KR20010076362A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362A
KR20010076362A KR1020010003045A KR20010003045A KR20010076362A KR 20010076362 A KR20010076362 A KR 20010076362A KR 1020010003045 A KR1020010003045 A KR 1020010003045A KR 20010003045 A KR20010003045 A KR 20010003045A KR 20010076362 A KR20010076362 A KR 20010076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cartridge
main assembly
frame
driving force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700B1 (ko
Inventor
니따니스스무
요꼬모리간지
아리미쯔다께시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1007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8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characterised by being applied to printers having transversely- moving carri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1Rotational subunit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 화상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부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고 축과 동축으로 배치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공정을 통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비임 프린터 등), 전자사진 프린터형 팩시밀리 기계, 전자사진 프린터형 워드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대전 부재, 현상 부재 또는 세척 부재를 유닛으로서 내장한 카트리지이고, 상기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적어도 하나의 대전 부재, 현상 부재 및 세척 부재를 유닛으로서 내장한 카트리지이고, 상기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적어도 하나의 현상 부재를 유닛으로서 내장할 수도 있고, 상기 유닛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이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작용할 수 있는 공정 수단을 유닛으로서 내장하고, 상기 유닛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인 프로세스 카트리지형이 사용되어 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형을 사용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이 서비스맨에 의존할 필요없이 사용자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그 결과 작업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형이 전자사진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안정된 화상 질을 제공하기 위해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에 적절한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감광 드럼을 갖는 세척 유닛과 현상 장치를 갖는 현상 유닛은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는 가압 스프링에 의해 서로를 향해 가압된다. 여기서, 현상 롤러에는 회전 가능 롤러가 제공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의 축들 사이의 거리가 유지된다. 여기서, 롤러의 직경은 현상 롤러의 직경 보다 크고, 가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한 감광 드럼과 롤러 사이의 가압 접촉에 의해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의 갭은 유지된다.
도1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용 구동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력은 구동 기어(153) 및 드럼 기어(4)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에 전달된다. 구동 기어(5)는 드럼 기어(4)와 맞물림 결합을 하여, 구동력은 드럼 기어(4)를 통해 전달된다. 구동 기어(5)는 현상 롤러를 구동시키고, 아이들러 기어(6, 7)를 통해 토너 교반 기어(8)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위치설정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종단부에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되는 안내부(160)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부(40)가 제공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삽입될 때, 결합부(40)는 안내부(160)를 따라 삽입되고,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정지부(161)에 대한 접촉에 의해서 올바른 위치설정이 달성된다. 이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드럼 기어(4)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되는 구동 기어(153)와 결합된다.
구동력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에 가해질 때, 결합력(F1)은 피치점에서 드럼 구동 기어(4)와 구동 기어(153)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 상의 노말 라인(L1)으로부터 결합 압력각에 의해 이탈되는 방향으로 발생된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는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정지부(161)에 대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힘은 감광 드럼(1)의 축방향에 대체로 수직하게 발생되고, 카트리지(103)의 위치 이탈은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19에 도시된 것처럼 카트리지(103)가 구동될 때 현상 유닛(152)을 위한 구동력은 드럼 기어(4)와 구동 기어(5) 사이의 결합 방향(E)에 집중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종방향에서 볼 때 비틀림력이 발생된다. 화질을 안정화시키도록 이러한 힘에 의한 프레임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프레임은 보강되거나 또는 좌측 및 우측 압박 스프링의 탄성력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구성으로서, 프레임의 비틀림에 대하여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설명된 구조는 매우 양호한 것이고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어서 화질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구조의 향상을 더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경량이고 소형인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프레임의 두께가 감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레임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구동력이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까지 인가될 때, 결합력에 의해 제공된 프레임의 중심을 선회하는 모멘트가 억제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축 주위를 회전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구비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형상하기 위해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된 현상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부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축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현상 구동력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이점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지어 설명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아래의 설명으로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 및 착탈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4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5는 감광 드럼 및 현상 롤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 배치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13은 바닥에서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14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드럼 구동력 전송 부재와 주 조립체 드럼 구동력 전송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현상 유닛의 구동 전송 기구용 연결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구동 전송 기구.
도18은 제1 프레임이 피벗될 때의 구동 전송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20은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설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자사진 감광 드럼
2: 현상 롤러
10: 세척 부재
12: 현상제 수용부
18: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
19: 교반 부재
21: 축
41: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
101: 주 조립체
103: 프로세스 카트리지
151: 제1 프레임
152: 제2 프레임
154: 현상 구동력 전달 부재
155: 개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후속하는 설명에서, "횡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 또는 그로부터 탈거되는 방향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은 횡방향을 가로지르는(사실상 그에 수직인) 방향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부 위치를 취하는 표면이고, "하부 표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하부 위치를 취하는 표면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도1 및 도2에 도시된 전형적인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전자사진형인 레이저비임 프린터이다.
도1은 장치(101)의 측면도이고,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거 작업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먼저, (기록 종이, OHP시트 등의) 기록재용 공급 수단의 구조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다.
다수의 기록재(P)는 공급 카세트(110) 내에 포함되고, 기록재(P)의 리딩 단부는 공급 스프링(116)에 의해 압박된 적재판(stacking plate)(117)에 의해 공급 롤러(118)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공급 카세트(110)는, 사용자가 기록재를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로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도1의 우측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 때, 축(119)는 공급 카세트(110)의 측벽들에 형성된(도시되지 않은) 활주 홈을 따라서 상향 이동한다. 그러므로, 적재판(117)은 기록재(P)의 로딩을 허용하도록 공급 카세트(110)의 바닥 표면으로 낮춰진다.
공급 롤러(118)는 축(121) 상에 고정된다. 축(121)의 일단부에, 공급 롤러(118)의 회전 구동 제어를 허용하도록(도시되지 않은) 솔레노이드가 제공된다. 공급 롤러측에 인접한 기록재(P)의 단부에, 분리 갈고리(separation claw)(122)가 구비되어 있다. 단부에 인접하게, 카세트 입구 가이드(123)(도시되지 않은)가 스프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치의 주 조립체 기부에는 기록재(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25)에 안내하도록 횡측에 안내부(124)가 구비되어 있다.
공급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솔레노이드(도시되지 않은)는 구동 기어의 구동력이 클러치를 통하여 축(121)에 전달되도록 작동한다. 이로써, 공급 롤러(118)는기록재(P)를 카세트 입구 가이드(123)로 공급하기 위하여 회전한다. 이 때, 단지 최상부 기록재(P)만이 마찰 계수와의 관계로 인해 들어 올려진다. 그후, 기록재(P)는 공급 롤러(118)의 회전에 의해 등록 롤러(125)들 사이의 닙(nip)에 도달한다. 기록재(P)는 감광 드럼(1) 상의 현상된 화상의 리딩 에지와 동기식으로 감광 드럼(1)과 전사 롤러(108) 사이로 등록 롤러(125)에 의해 공급된다.
그후, 화상 형성 장치 처리를 통하여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현상된 화상은 소정의 압력에서 감광 드럼(1)에 가압 접촉된 전사 롤러(108)에 의해 기록재(P) 상에 전사된다.
현상된 화상이 수용된 기록재(P)는 고정 입구 가이드(130)를 따라서 고정 수단(109)으로 공급된다. 기록재(P)는 가열된 고정 롤러(112)와 가압 롤러(113) 사이에 형성된 닙을 통하여 지나가서, 현상된 화상은 기록재(P) 상에 고정된다. 그 후, 기록재(P)는 배출 롤러(134)에 의해 배출 출구(135)가 구비된 배출 트레이(114)로 배출된다.
스캐너 유닛(106), 즉 레이저 광학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레이저 비임은 다각형 거울(138)의 회전에 의해 선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감광 드럼(1)의 표면을 주사한다. 스캐너 유닛(106)의 온-오프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전위는 레이저 비임에 노출된 지점에서 소정의 수준으로 바뀐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전 잠상은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다.
카트리지(103)는 감광 드럼(1)의 종방향(축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장착 또는 탈거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대향 종방향 단부 표면의 각각에, 장치의 주 조립체(101) 내에 구비된 안내부(60)와 결합을 위한 안내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마련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삽입될 때, 안내부(40)는 안내부(60)를 따라서 삽입된다. 이들이 장치의 주 조립체(101)의 정지부(61)에 인접하게 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는 정확히 위치설정된다. 이 때, 카트리지(103)의 기어(18)와 장치의 주 조립체(101)의 주 조립체 기어(154)는 서로 맞물림 결합을 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103) 및 본 발명과 관련된 주요 부분이 설명될 것이다.
(세척 유닛)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제1 프레임(세척 유닛)이 도면부호 151로 표시된다. 제1 프레임(151)은 축(9) 상에서 회전하도록 그에 부착된 감광 드럼(1)을 구비한다. 제1 프레임(151)은 감광 드럼(1)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 형상의 세척 부재(10)와,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11)를 구비한다. 프레임 각각의 측표면 내에, 이하에서 설명될 제1 프레임(152)(현상 유닛)과 완전히 연결되는 연결 구멍(도시되지 않은)이 제공된다.
(현상 유닛)
도3에서, 제2 프레임(현상 유닛)이 도면부호 152로 표시된다. 제2 프레임(152)은 현상제 수용부(12)와, 현상 롤러(현상제 이송 부재)의 형상인 현상부재(2)와, 현상 블레이드(13)를 갖는다. 제2 프레임(152) 내에서, 현상제는 현상제 수용부(12) 상에서 교반 부재(19)에 의해 현상 용기(14) 내로 공급된다. 현상 블레이드(1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 부재(2)의 외측 주연부에 압착되어, 현상제가 전기적으로 대전되면서 현상제의 얇은 층이 형성된다. 교반 부재(19)는 제2 프레임(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축(19a)와 탄성 시트의 형상인 교반 블레이드(19b)를 포함하고, 교반 부재(1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감광 드럼을 갖는 제1 프레임(151)(세척 유닛)과 현상 장치를 갖는 제2 프레임(152)(현상 유닛)은 축(21)(연결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감광 드럼(1) 및 현상 부재(2)는 가압 스프링(22)(압축 스프링)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도5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 부재(2)는 축(2a) 상에 회전 가능한 롤러(3)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광 드럼(1)의 축과 현상 부재(2)의 축 사이의 거리가 유지된다. 롤러(3)의 직경은 현상 부재(2)의 직경보다 크다.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하여, 감광 드럼(1)과 롤러(3)는 소정의 간극이 감광 드럼(1)과 현상 부재(2) 사이에 유지되도록 서로에 대해 압착된다.
(구동열)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구동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103)는 제1 프레임(151) 및 제2 프레임(152)에서 장치의 주 조립체(101)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는다. 제2 프레임(152)은 현상 부재(2)의 단부에 제공된 기어(15)와,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와 작동식으로 연결된 아이들러 기어(16, 17)를 포함하는 기어열을 구비한다. 장치의 주 조립체(101)는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와 결합 가능한 주 조립체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54)를 구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 내로 삽입되면, 구동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는 제2 프레임(152)의 구동력 입력 부재이다.
감광 드럼(1)의 회전 축은 감광 드럼(1)과의 일체식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1 프레임(1)을 구동하기 위한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를 구비한다.
장치의 주 조립체(101)는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와 결합 가능한(암수 결합) 주 조립체 커플링(도시되지 않은)을 구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 내로 삽입되면, 이들은 감광 드럼(1)의 축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된다.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는 제1 프레임(151)의 구동력 입력 부재로서 기능한다.
(세척 유닛과 현상 유닛 사이의 연결)
여기서, 제2 프레임(152) 내에 제공된 연결 부재(20)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7은 제2 프레임(152)의 구동열이 제공되어 있는 구동측의 연결 부재(20)를 도시한다. 구동측 연결 부재(20)는 현상 부재(2)를 위한 베어링부(20a), 아이들러 기어(16, 17)를 위한 축(20b, 20c),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를 위한 축(20d)을 구비한다. 연결 부재(20)의 축(20d)의 중심에서 제1 프레임(151)과의 연결을 위한 관통 구멍(20e)이 제공된다.
한편으로, 구동측과 대향된 비구동측의 연결 부재(도시되지 않은)는 제1 프레임(151)과의 연결을 위한 관통 구멍과 현상 부재(2)를 위한 베어링부를 구비한다. 대향측의 현상 부재(2)를 위한 베어링부는 베어링부(20a)의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중심을 갖는다. 대향측에서 연결을 위한 관통 구멍(20e)(도시되지 않은)은 관통 구멍(20e)과 동일한 중심선 상에 있다.
구동측 및 비구동측의 연결 부재들은 위치 설정 보스(도시되지 않은)에 의해 현상 용기(14)에 고정되어 현상 용기(14)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한다.
제1 프레임(151)과 제2 프레임(152)의 사이의 연결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52)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20)의 관통 구멍(20e)과, 제1 프레임(151)의 측부에 제공되는 구멍(151a)과, 축(21)에 의해 수행된다. 특히, 구멍(151a)이 관통 구멍(20e)과 정렬하고 축(21)이 구멍(151a)과 관통 구멍(20e)을 관통하도록 제1 프레임(151)이 제2 프레임(152)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프레임(151)과 제2 프레임(152)은 축(21) 주위의 선회 동작을 위해 연결된다. 현상 구동력 전달 부재(18)의 중심은 유닛의 연결 위치(선회 동작의 중심)에 배치된다.
제1 프레임(151)과 제2 프레임(152)의 사이에서, 프레임들의 각 일측 종단부 및 타측 종단부에는 가압 스프링(22)이 제공된다. 이로써, 감광 드럼(1)과 현상 부재(2)는 서로 가압된다. 가압 스프링(22)의 위치는 감광 드럼(1) 및 현상 부재(2)로부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의 중심을 지나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스프링(22)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대향 종단부에서의 가압 스프링(22)의 스프링력은 사실상 동일하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이 장치의 주 조립체(101)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로 공급될 때의 구조에 있어서, 제1 프레임(151)과 제2 프레임(152)의 사이에서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결합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는 주 조립체(101) 구동력 입력 기어, 즉 주 조립체 기어(154)와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의 사이에서 그들 사이의 관련 위치가 유지되도록 결합력(F2)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가압된다.
이때, 구동력은 감광 드럼(1)의 축 방향으로 카트리지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를 통해 제1 프레임(151)으로 전달되고, 결합력(F2)을 이용한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대한 가압력은 분산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151)과,
축(21)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51)에 연결된 제2 프레임(152)과,
상기 제1 프레임(151)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1)과,
상기 제2 프레임(152)에 제공되어 현상제로 상기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2)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될 때 장치의주 조립체(101)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받도록 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는 축(21)과 동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 항목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는 현상 롤러(2) 형태로 상기 현상 부재(2)의 종방향에 대체로 직각인 방향으로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 항목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상기 기어의 중심의 하류측 위치에서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 기어(154)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3 항목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제2 프레임(152)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151)에 제공된 개구(155)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상기 주 조립 기어(154)와 결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3 항목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상기 기어와 상기 주 조립 기어(154)는 헬리컬 기어(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 항목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101)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를 더 포함하고, 상기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는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여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6 항목에 있어서,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는 커플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 항목에 있어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가 기어 형태이고, 상기 기어가 현상 롤러 형태인 현상 부재(2)의 종방향 일단부에서 제2 프레임(152)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 항목에 있어서, 기어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은 제1 기어열(17, 16, 15)에 의해 현상 롤러(2)에 전달되고 제2 기어열을 통해서 제거된 현상제 공급 부재에 전달되어 상기 공급 부재를 회전시키고, 상기 공급 부재는 세척 부재(10)에 의해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 항목에 있어서, 제2 기어열이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12)에 제공된 교반 부재(19)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 항목에 있어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 및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는 장착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에 대하여 동일측에 제공되어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는 감광 드럼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1 항목에 있어서,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가 커플링의 형태이고,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가 헬리컬 기어의 형태이고, 상기 헬리컬 기어가 장착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커플링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1 항목에 있어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는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의 하류에 배치되고,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형태의 현상 부재(2) 및 제거된 현상제 공급 부재를 구동하는 크랭크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기 순서로 배치되고, 공급 부재는 세척 부재(10)에 의해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3 항목에 있어서, 제1 프레임(151)은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12)를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었을 때 현상제 수용부(12) 위의 위치에서 세척 부재(10)에 의해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된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거된 현상제 수용부가 마련되고, 공급 부재는 제거된 현상제 수용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6 항목에 있어서,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41)는 커플링의 형태이고,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도록 장치의 주 조립체(101) 내에 마련된 주 조립체 커플링과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7 항목 또는 제15 항목에 있어서, 커플링이 사실상 비틀린 삼각형 프리즘의 형태이고, 주 조립체 커플링은 사실상 삼각형인 단면을 갖는 비틀린 구멍이며, 상기 사실상 삼각형인 프리즘 및 구멍은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었을 때 상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1 프레임(151)과,
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 프레임(151)에 연결된 제2 프레임(152)과,
제1 프레임(151)에 마련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하기 위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3)에 장착되었을 때 하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프레임(152)에 마련된 현상 롤러(2)와,
제2 프레임(152)에 마련되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12)와,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제2 프레임(152)에 마련된 세척 부재(10)와,
세척 부재(10)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1 프레임(151)에마련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었을 때 현상제 수용부(12)의 위에 있도록 배치된 제거된 현상제 수용부(151b)와,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었을 때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장치의 조 조립체(101)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제1 프레임(151)에 마련되고, 감광 드럼과 동축을 이루는 커플링과,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었을 때 현상 부재(1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101)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제2 프레임(152)에 마련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으로 커플링의 하류에 배치되고, 축(21)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장착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커플링 내부에 배치된 헬리컬 기어(18)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 드럼 및 현상 롤러(2)는 장착 방향에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기 순서로 배치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18) 및 커플링은 장착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와 동일하게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는 감광 드럼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서 장치의 주 조립체(10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7 항목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비틀린 사실상 삼각형 프리즘의 형태이고, 주 조립체 커플링은 사실상 삼각형 단면을 갖는 비틀린 구멍이고, 상기 사실상 삼각형 프리즘과 상기 구멍은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4 항목 또는 제17 항목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12)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주 조립체 현상 구동력 전달 부재(154)와,
(b)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를 착탈식으로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151)과,
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51)과 연결된 제2 프레임(152)과,
상기 제1 프레임(151)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152)에 제공된 현상 부재(2)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2)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고, 상기 축(21)과 동축으로 배치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21.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주 조립체 커플링과,
(b) 주 조립체 헬리컬 기어(154)와,
(c)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를 착탈식으로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었을 때 상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1 프레임(151)과,
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51)과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하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2 프레임(152)과,
상기 제1 프레임(151)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152)에 제공된 현상 롤러(2)와,
상기 제2 프레임(152)에 제공되어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12)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152)에 제공된 세척 부재(10)와,
상기 세척 부재(10)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현상제 수용부(12) 위에 있도록 배치되어 제1 프레임(151)에 제공된 제거된 현상제 수용부(12)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로부터 수용하도록 제1 프레임(151)에 제공되고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인 커플링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2)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152)에 제공된 헬리컬 기어(18)를 포함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는 상기 축(21)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2)는 장착 방향으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기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 및 커플링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3)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0은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12는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부분 분해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13은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의 벽을 갖추고, 구동력 전달 기구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위에서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14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가 결합되어 있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5는 카트리지측 상의 드럼 구동력 전달부와, 장치 주 조립체측 상의 드럼 구동력 전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현상 유닛의 구동력 전달 기구의 연결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측 상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8은 제1 프레임부가 피벗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측 상의 구동력 전달 기구의 반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먼저, 도10을 참조하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총괄적인 구조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10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330)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한 전색(full-color) 레이저 비임 프린터이다. 화상 형성 장치(330)의 주 조립체(350)에서, 4개의 카트리지 공간(350a-350d)이 제공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카트리지(240)가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체의 카트리지 공간 내에 위치된 모든 카트리지(240)는 구조면에서는 정확히 동일하나,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t)의 색은 차이를 갖는다. 특히, 카트리지 공간(350a)은 청록색의 현상제(t)가 저장된 카트리지(240a)를 고정시키며, 카트리지 공간(350b)은 황색의 현상제(t)가 저장된 카트리지(240b)를 고정시키며, 카트리지(350c)는 자홍색의 현상제(t)가 저장된 카트리지(240c)를 고정시키며, 카트리지 공간(350d)은 흑색의 현상제(t)가 저장된 카트리지(240d)를 고정시킨다.
화상 형성 장치(330)의 주 조립체(350) 내에 적절히 위치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40a-240d)로 인해, 4개의 감광 드럼(244a-244d)이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 감광 드럼(24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244a-244d)의 주연면에 인접하여, 감광 드럼(244a-244d)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대전 롤러(245a-245d),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유닛(242a-242d), 각각의 감광 드럼(244) 상의 현상제 화상을 기록재(P) 상에 전사하기 위한 정전 전사 장치(334), 및 감광 드럼(244a-244d)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246a-246d)는 감광 드럼(244a-244d)의 회전 방향 관점에서 목록 순서대로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면 부호(331a-331d)는 레이저 비임을 감광 드럼(244a-244d)의 주연면 상에 돌출시키고 동시에 화상 정보에 따라 유기 레이저 비임을 변조시킴으로써 대응 감광 드럼(244a-244d)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스캐너 유닛을 지시하고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240)는 감광 드럼(244), 대전 롤러(245), 현상 유닛(242), 및 세척 부재(246)를 일체로 포함한다. 카트리지(240)는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되어질 것이다.
감광 드럼(244)은 알루미늄 실린더로서, 예컨데 230 mm의 직경, 알루미늄 실린더의 주연면 상에 피복된 유기 광도전성 재료(OPC계 감광 드럼)층의 알루미늄 실린더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244)은 지지 부재에 의해 종방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은)로부터 감광 드럼(244)의 종방향 단부 중의 하나의 단부에 구동력이 전사됨에 따라, 감광 드럼(24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대전 롤러(245)는 탄성 롤러이며 접촉 형태이다. 즉, 대전 롤러(245)에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됨에 따라, 충전 롤러(245)는 감광 드럼(244)의 주연면과 접하여 위치되며, 감광 드럼(245)의 주연면은 균일하게 충전된다.
스캐너 유닛(331a-331d)은 대응 감광 드럼(244a-244d)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화상 신호로 변조된 광 비임은 레이저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은)로부터 고속에서 회전된 다각형 미러(332a-332d) 상에 돌출된다. 화상 형성 광의 비임, 또는 화상 신호로 변조된 광 비임은 다각형 미러(332a-332d)에 의해 반사되며 감광 드럼(244a-244d)의 주연면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포커싱 렌즈(333a-333d)를 통해 감광 드럼(244a-244d)의 주연면 상에 초점을 맞춘다. 그 결과, 정전 잠상이 각각의 감광 드럼(244a-244d)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242)은 황색, 청록색, 자홍색, 및 흑색 현상제(t) 중의 하나의 현상제를 포함한다. 현상제는 현상 롤러(251) 즉, 현상 부재의 주연면 상에서 피복되며, 현상제를 대전시킨다. 또한, 현상 롤러(251)의 주연면이 잠상이 존재하는 감광 드럼(244)의 주연면에 초소형으로 근접하고 평행하도록 위치된 현상 롤러(251)에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그 결과, 현상제는 정전 잠상의 하부 전위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가로질러 감광 드럼(244)의 주연면 상으로 전사된다. 결과적으로, 현상제 화상은 감광 드럼(244) 상에 형성된다.
무한 벨트(335)는 모든 감광 드럼(244a-244d)과 접촉하고 원형으로 구동되도록 위치설정된다. 벨트(135)는 주연부가 대략 700mm이며, 150㎛ 두께의 필름이 형성된다. 4개의 롤러 즉, 구동기 롤러(336), 두 개의 종동 롤러(337a,337b), 및 인장 롤러(338) 둘레에서 인장되며 도면에 화살표(X) 방향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원형으로 구동된다. 기록 매체(P)는 롤러(344)에 의해 벨트(335)의 외향면 상에 직접 압축되게 유지되며, 절연성을 갖는 기록 매체(P)와 벨트(335)의 절연층 사이에 전하를 유도하기 위해 벨트(335)와 롤러(344)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기록 매체(P)는 벨트(335)의 외향면에 정전기로 부착되며, 벨트(335)와 감광 드럼(244) 사이의 계면(전사 스테이션)에 전달되어 적절하게 위치설정된다.
벨트(335)의 루프 내에, 전송 롤러(339a-339d)가 상기 벨트(335)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감광 드럼(244a-244d)과 상응하는 지점에서 소정의 압력에 의해 위치한다. 양성 대전체는 이러한 롤러(339)로부터 벨트(335)를 통해 기록 매체(P)로 가해진다. 극성으로 음성인 감광 드럼(244a-244d) 상의 현상제 화상은 기록 매체(P)가 이러한 대전체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에 의해 감광 드럼(244a-244d)과 접촉하여 이동하는 동안 차례로 기록 매체(P)로 전송된다.
이송부(340)는 기록 매체(P)를 이송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시트 공급 카세트(341)에서, 기록 매체의 복수의 시트는 저장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동작 중에, 공급 롤러(342)는 기록 매체의 복수의 시트를 공급하기 위해 그리고 그 시트들은 차례로 하나씩 상 형성 동작의 진행과 같이 이송시키기 위해 회전 구동된다. 기록 매체(P)가 전달될 때, 이것은 한 쌍의 등록 롤러(343)와 부딪혀서, 휘어있다면 펴지게된다. 그 후, 기록 매체(P)는 벨트(335)의 회전과 동시에 즉, 감광 드럼(244a-244d) 상의 현상제 화상의 선단 모서리와 동시에 한 쌍의 등록롤러(343)에 의해 벨트(335)로 방출된다. 특히, 한 쌍의 등록 롤러(343)는 벨트(335) 상의 기록 매체(P)의 기록 영역의 선단 모서리가 감광 드럼(244a) 및 벨트(335)의 접촉면에 도착할 때와 동시인 감광 드럼(244a) 또는 최상부의 감광 드럼 상의 현상제 화상의 선단 모서리가 감광 드럼(244a) 및 벨트(335)의 접촉면에 도착할 때에 회전하게 된다.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P)로 전송된 후, 기록 매체(P)는 구동 롤러(336)의 곡률로 인하여 벨트(335)로부터 분리되고, 기록 매체(P) 상의 복수의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P)에 고정되는 고정부(345) 안으로 이동된다. 특히, 고정부(345)는 열과 압력이 적절하게 기록 매체(P)로 가해지도록 열 롤러(346) 및 그 열 롤러(346) 상에서 가압되는 압력 롤러(347)로 구성된다. 전송된 현상제 화상이 고정되지 않은 기록 매체(P)가 고정부(345)를 지날 때, 현상제는 열에 의해 녹아서 압력에 의해 기록 매체(P)에 전색 화상으로 고정된다. 화상이 고정된 후, 또는 전색 화상이 형성된 후, 기록 매체(P)는 한 쌍의 토출 롤러(348)에 의해 전달부(349)를 통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토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다음으로 도11 내지 도1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240a-240d)가 기술된다. 카트리지(240)는 제1 프레임부에 둘러싸인 드럼 유닛(241) 및 제2 프레임부에 둘러싸인 현상 유닛(242)을 포함한다.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유닛은 한 쌍의 핀의 축이 부합하는 피벗축(243)에 대해 서로 상대적으로 피벗되도록 한 쌍의 핀에 의해 연결된다.
(제1 프레임부)
도11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부에 둘러싸인 드럼 유닛(241)은 감광 드럼(244)을 포함하는데, 이 감광 드럼은 축(244a)를 사용하여 드럼 유닛(2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드럼 유닛(241)은 감광 드럼(244)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245), 감광 드럼(244)과 접촉시켜서 감광 드럼(244)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제거를 위한 세척 부재(246), 후술되는 현상제 저장부(252) 상에 위치한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247) 및 제거된 현상부 이송 기구(248)를 포함한다. 또한, 드럼 유닛(241)은 드럼 유닛(241)과 현상 유닛(242)을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구멍(241a)(도12의)을 포함한다. 구멍(241a)의 중심선은 피벗축(243)과 일치한다.
부가하여, 용어 "위에(above)"는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350)에 적절히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지칭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 부재(246)에 의해 화상 전송이 지워진 후에 감광 드럼(244) 상에 잔존하는 현상제 및 제거된 현상제는 제거된 이송 기구(248)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247)로 이송된다.
제거된 현상제 이송 기구(248)에는 현상제 진행판(249)과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24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25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거된 현상제 이송 부재가 제공된다. 크랭크(250)는 일편의 금속 로드로 형성되어 5㎜의 회전 반경을 갖는다. 크랭크(250)의 회전은 제거된 현상제를 세척 부재(246) 부근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247)로 이송시키기 위해 현상제 진행판(249)이 방향(도13에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이동하게 한다. 현상제 진행판(249)은 1㎜ 두께의 일편의 금속판이고, 현상제를 앞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획부(249a)가 제공된다.
부가하여,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진행판(249)이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스크류가 제거된 현상제 이송 부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부)
도11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부에 내장된 현상 유닛에는 현상 부재로서 현상 롤러(251), 적절한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252), 및 현상 수단을 위한 프레임부(254)가 제공된다. 현상제 저장부(252)는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247) 아래에 위치되고, 현상제 전송 수단과 겸용인 교반 부재(253a, 253b)를 수용한다.
부가하여, 용어 "아래"는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적절하게 안착된 상태를 언급하도록 사용된다.
현상제 저장부(252) 내의 현상제는 교반 부재(253)에 의해 현상 수단 프레임부(254) 내에서 현상제 공급 롤러(255)로 전달된다. 그후, 현상제는 시계 방향(화살표 Z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롤러(255)에 의해 시계 방향(화살표 Y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롤러(251)의 주연면에 부착되고, 현상 블레이드(256)는 현상 롤러(251)의 주연 상에서 가압되어 유지된다. 현상제가 현상 롤러(251)의 주연면에 부착됨에 따라 현상제는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연결)
도12를 참조하면, 현상 유닛(24)(제2 프레임부의)에는 드럼 유닛(241)(제1 프레임부의)에 연결된 현상 유닛(242)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현상 유닛(242)의 종방향 단부(현상 롤러(251)의 종방향 단부)에 위치된 한 쌍의 베어링 부재(257, 258)가 제공된다. 베어링 부재(257, 258)에는 각각 베어링면을 구비한 구멍(257a, 258a)이 제공된다. 구멍(257a, 258a)의 중심축은 피벗축(243)과 일치한다. 이러한 구멍(257a, 258a)을 통해, 핀(243a)이 베어링 부재(257, 258)의 외측으로부터 드럼 유닛(241)에 제공되는 구멍(241a) 내부로 삽입된다. 그 결과, 드럼 유닛(241)과 현상 유닛(242)은 이들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피벗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2개의 유닛 사이의 후술되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259)을 제공함으로써, 감광 드럼(244)과 현상 롤러(251)가 2개의 롤러의 각각의 종방향에 대해 전체 범위를 가로질러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남아있는 것이 보장된다.
특히, 한 쌍의 압축 스프링(259)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유닛(241)과 감광 유닛(242) 사이에 위치되어, 감광 드럼(244)과 현상 롤러(251)는 압축 스프링(259)의 탄성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 유지된다. 압축 스프링(259)은 유닛(241, 242)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와 다른 하나의 종방향 단부 각각에 제공된다. 스프링력은 대체로 동일하다.
(구동력 전달 기구)
다음으로, 카트리지(240) 내의 구동력 전달 기구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력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카트리지(240)의 드럼 유닛(241)과 현상유닛(242)에 독립적으로 전달된다.
도12를 참조하면, 드럼 유닛(241)에는 감광 드럼(244)의 종방향 단부에 위치되는, 카트리지측 상의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로서 드럼 구동 커플링(260)이 제공된다. 드럼 구동 커플링(260)의 축선은 감광 드럼(244)의 축선과 일치한다. 이러한 드럼 구동 커플링(260)을 위하여, 구동력은 장치 주 조립체측에 대해 구동력 전달 부재로서의 커플링(261)으로부터 전달된다.
도1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측 상의 커플링(260)은 비틀린, 대략 등변인 삼각형 필라(pillar)인 반면, 주 조립체 측 상의 커플링(261)은 비틀린, 대략 등변인 삼각형 구멍의 형태이다. 카트리지측 커플링(260)은 감광 드럼(244)의 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주 조립체 측 커플링(261) 내부에 결합된다. 그후, 주 조립체측 커플링(261)이 회전하기 시작함에 따라, 주 조립체측 커플링(261) 내부의 카트리지측 커플링(260)의 결합이 점진적으로 깊어지고 이에 따라 2개의 커플링부는 비틀린 등변 삼각형 구조를 갖게 된다. 장치측 커플링(261)이 120°의 최대 회전을 마칠 때까지, 2개의 커플링이 서로 완전하게 결합되고, 구동력은 감광 드럼(244)에 전달되기 시작한다. 부가하면, 카트리지측 커플링(260)의 회전축은 감광 드럼(244)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또한, 드럼 유닛(241)은 제거된 현상제 이송 기구(248)의 크랭크(250)의 축에 부착된 기어(262) 및 기어(262)와 맞물림 결합된 아이들러 기어(263)(도17의)를 구비한다.
현상 유닛(242)의 베어링 부재(257), 즉 구동측 상의 베어링 부재에는 현상수단 구동력 전달 부재로서의 기어(264)와 아이들러 기어(265, 266)가 대응하여 고정되는 축(257b 내지 254d)이 제공된다. 기어(264)는 헬리컬 기어이고, 구동력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 측에 대한 현상 수단 구동력 전달 부재로서 헬리컬 기어(267)로부터 상기 기어(264)로 전달된다. 부가하면,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35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관해, 기어(264)는 상술된 카트리지측 커플링(260)으로서 카트리지(240)의 동일한 측에 위치된다. 또한,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35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관해, 기어(264)가 카트리지측 커플링(260)의 내측 상에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35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관해, 기어(264)는 카트리지측 커플링(260)의 하류측 상에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240)는 감광 드럼(24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350) 내로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된다.
축(257b)의 축선은 그 축선이 피벗 축(243)과 일치하는 관통 구멍(257a)의 축선과 일치한다. 기어(264)는 그 축선이 드럼 유닛(241)과 현상 유닛(242)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전술한 연결핀(243a)의 축선(즉, 피벗 축(243))과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요약하면,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240)는 드럼 유닛(241)과, 현상 유닛(242)이 핀(243a)에 대해 피벗 이동하게 되는 방식으로 핀(243a)을 사용하여 드럼 유닛(241)에 연결되는 현상 유닛(242)과, 드럼 유닛(241)이 제공되는 감광 드럼(244)과, 현상제(t)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244)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현상 유닛(242)에 제공되는 현상 롤러(251)와,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350)에 있을 때 장치 주 조립체(350)로부터 현상 롤러(2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현상 수단 구동력 전달 부재로서의 기어(264)를 포함한다. 기어(264)는 그 축선이 전술된 핀(243a)의 축선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상기 기어는 현상 롤러(251)의 길이 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한다. 상기 기어는 전술된 헬리컬 기어(267), 즉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3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의해 기어(264)의 축선에 대해 하류측 상에서 장치 주 조립체(350)에 제공되는 주 장치측 상의 기어중 하나와 맞물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240)는 현상 롤러(251)의 축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350) 내로 삽입되고, 기어는 현상 유닛(242)에 제공되고, 기어(264)는 드럼 유닛(241)의 개구(241b)를 통해 노출되고, 기어(264)는 노출된 부분에 의해 헬리컬 기어(267)와 맞물리는 것을 본 명세서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와 같은 카트리지측 커플링(260)이 장치 주 조립체(350)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방향은 기어(264)가 장치 주 조립체(350)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방향에 수직이다. 전술된 구조 정렬부의 제공으로, 구동력이 기어(264) 내로 입력될 때, 헬리컬 기어(267)와 기어(264)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생성되는 힘(F)에 의해 피벗 축(243)에 대하여 생성되는 모멘트는 작다. 다시 말하면, 기어(264)의 축선이 드럼 유닛(241)과 현상 유닛(242)을 연결하는 핀(243a)의 축선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기어(264)를 위치설정하는 것은 현상 유닛(242)의 위치설정이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기어(264)와 헬리컬기어(267) 사이의 백래쉬가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안정적인 화상 형성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력이 장치 주 조립체(350)로부터 현상 유닛(242)으로 전달될 때, 구동력으로서 발생될 수도 있는, 장치 주 조립체(350)로부터 입력되는 모멘트는 생성되지 않고, 따라서 카트리지 프레임의 변형의 결과로 인한 만족스럽지 않은 화상이 제공되지 않는다.
기어(264) 내로 입력된 후에, 구동력은 분리되어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된 구동력의 일부는 구동력 전달 수단 또는 기어열에 의해 드럼 유닛(241)의 제거된 현상제 운반 기구(248) 뿐만아니라 현상 롤러(251)와 교반 부재(253)에 전달된다.
특히, 기어 내로(264) 입력된 후에, 구동력의 일부는 제1 기어열을 구성하는 아이들러 기어(265, 266)에 의해 현상 롤러(251)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기어(268)와 현상제 공급 롤러(255)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기어(269)에 전달되고 현상 롤러(251)와 현상제 공급 롤러(255)를 회전시킨다. 또한, 아이들러 기어(265)는 단차 기어이고, 구동력의 회전 속도를 저감시킨다.
구동력의 다른 일부는 교반 부재(253a)를 회전시키도록 교반 부재(253a)의 현상제 교반 기어(270a)에 전달된 후, 아이들러 기어(271)에 의해 교반 부재(253b)를 회전시키도록 교반 부재(253b)의 현상제 교반 기어(270b)에 더 전달된다.
아이들러 기어(271)로부터, 구동력은 분산되어 전달된다. 즉, 아이들러 기어(271)에 전달된 구동력의 일부는 아이들러 기어(272)를 통해 드럼 유닛(241)의 아이들러 기어(263)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러 기어(263)는 제거된현상제 운반 기구(248)의 크랭크(250)에 부착된 기어(262)와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크랭크(250)에 전달하고 이어서 현상제 진행판(249)에 전달한다. 즉, 현상 유닛(242)의 기어(264) 내로 입력된 구동력의 일부는 구동력 전달 수단, 즉 기어열(기어(265, 270a, 271, 272, 263, 262))에 의해 현상제 진행판(249), 즉 드럼 유닛(241)의 제거된 현상제 운반 부재에 전달되고, 현상제 진행판(249)을 왕복 이동시킨다. 아이들러 기어(271, 263)는 단차되고 구동력의 회전 속도를 저감시킨다.
기어(270a, 271, 270b, 272, 262, 263)는 제2 기어열을 구성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기어(264, 265, 266, 268, 269, 270a, 270b, 271, 272)는 현상 유닛(242)에 부착되고, 기어(267, 262, 263)는 드럼 유닛(241)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광 드럼(244)을 구동하는 수단은 현상 롤러(251), 교반 부재(253) 및 현상제 진행판(249)을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부터 별도로 제공된다. 따라서, 현상제 진행판(249) 및 교반 부재(253)의 회전 속도 및 진동에서의 요동이 감광 드럼(244)에 직접 전달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거된 현상제의 누적이 현상제 진행판(249) 상에 하중을 증가시키게 될 때에도, 감광 드럼(244)의 회전은 그러한 증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현상 유닛(242)은 드럼 유닛(241)에 대해 피벗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242)의 아이들러 기어(272)는 드럼 유닛(241)의 아이들러 기어(263)에 대해 피벗된다. 따라서, 피벗축(243)과 아이들러 기어(272, 263)의 축선이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이들러기어(272, 263)는 드럼 유닛(241)에 대해 현상 유닛(242)의 피벗을 간섭하지 않고 그 2개의 기어들 사이의 백래쉬가 최소화된다.
카드리지(240)에는 감광 드럼 측에 위치한 핸들(240a)이 제공된다. 이러한 핸들(240a)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카트리지(240)를 전술한 카트리지 공간(350a-350d) 내로 또는 그로부터 설치 또는 제거하도록 감광 드럼(24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350) 내로 삽입되는 방향면에서, 기어(264)는 카트리지측 커플링(260)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또한, 카트리지(240)가 장치 주 조립체(3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서, 감광 드럼(244), 현상 롤러(251), 현상제 진행판(249)을 구동하기 위한 크랭크(250)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264)용 축이 배치되는 관통 구멍(257a) 및 피벗 축(243)과 일치하는 중심선은 베어링 부재(257) 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현상 수단 프레임부(254) 내에 유사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베어링 부재(257) 대신에 현상제 저장부(2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출원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 있을 수 있는 개조예 및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1 프레임과,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어 현상제로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받도록 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축과 동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현상 롤러 형태로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에 대체로 직각인 방향으로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기어의 중심의 하류측 위치에서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상기 주 조립 기어와 결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기어와 상기 주 조립 기어는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부재는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여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가 상기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는 커플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기어 형태이며, 상기 기어는 현상 롤러 형태인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기어에 의해 수용된 상기 구동력은 제1 기어열에 의해 상기 현상 롤러에 전달되며 제2 기어열을 통해 제거된 현상제 공급 부재에 전달되어 상기 공급 부재를 회전시키고, 상기 공급 부재는 세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열은 현상을 위해 사용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에 제공된 교반 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현상 부재 구동력 수용 부재와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는 상기 장착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에 대해 같은 쪽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는 커플링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 부재 구동력 수용 부재는 헬리컬 기어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헬리컬 기어는 장착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커플링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감광 드럼, 현상 롤러 형태의 상기 현상 부재, 상기 제거된 현상제 공급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크랭크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로부터 하류로 상기 순서로 배치되고, 상기 공급 부재는 세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현상용으로 사용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제 수용부 위의 위치에서 세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된된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거된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급 부재는 상기 제거된 현상제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는 커플링의 형태이고,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해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주 조립체 커플링과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7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비틀린 사실상 삼각형 프리즘의 형태이고, 주 조립체 커플링은 사실상 삼각형 단면을 갖는 비틀린 구멍이고, 상기 사실상 삼각형 프리즘과 상기 구멍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써 현상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하부 위치에 있도록 배치된 상기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된 현상 롤러와,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되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남아 있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된 세척 부재와,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위에 있도록 배치된 제거된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제공되고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상인 커플링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축과 동축상으로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내부에 배치되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는 장착 방향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상기 순서로 배치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와 상기 커플링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와 동일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비틀린 사실상 삼각형 프리즘의 형태이고, 주 조립체 커플링은 사실상 삼각형 단면을 갖는 비틀린 구멍이고, 상기 사실상 삼각형 프리즘과 상기 구멍은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4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주 조립체 현상 구동력 전달 부재와,
    (b)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고, 상기 축과 동축으로 배치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21.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탁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주 조립체 커플링과,
    (b) 주 조립체 헬리컬 기어와,
    (c)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될 때 하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롤러와,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어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세척 부재와,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제 수용부 위에 있도록 배치되어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제거된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도록 제1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인 커플링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는 상기 축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는 장착 방향으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기 순서로 배치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 및 커플링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와 동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03045A 2000-01-19 2001-01-19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383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9778 2000-01-19
JP2000-9778 2000-01-19
JP2000-390778 2000-12-22
JP2000390778A JP3720707B2 (ja) 2000-01-19 2000-12-22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362A true KR20010076362A (ko) 2001-08-11
KR100383700B1 KR100383700B1 (ko) 2003-05-14

Family

ID=2658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045A KR100383700B1 (ko) 2000-01-19 2001-01-19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59869B2 (ko)
EP (1) EP1118914B1 (ko)
JP (1) JP3720707B2 (ko)
KR (1) KR100383700B1 (ko)
CN (1) CN124402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2614C1 (ru) * 2006-01-11 2021-07-29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прибор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6697B2 (ja) * 2001-02-09 2004-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隔機構
JP2003162201A (ja) * 2001-11-28 2003-06-06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34807B2 (ja) * 2002-02-20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11930B2 (ja)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58372B2 (ja) 2002-02-22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の離間保持部材
JP4164293B2 (ja) * 2002-06-03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174380B2 (ja) * 2002-07-04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0381952C (zh) * 2002-09-06 2008-04-1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打印机碳粉盒及其装拆方法
US7024150B2 (en) * 2002-09-17 2006-04-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parable clean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03450B2 (ja) * 2002-10-22 200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18517B2 (ja) * 2002-11-29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部品
JP2004177835A (ja) * 2002-11-29 2004-06-24 Canon Inc 部品及び部品の供給方法
US7088939B2 (en) * 2003-07-25 2006-08-08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072603B2 (en) * 2003-08-01 2006-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holding member
JP4086766B2 (ja) * 2003-11-28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組立方法
JP3782807B2 (ja) * 2003-11-28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の取り付け方法
JP3789122B2 (ja) * 2003-11-28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KR100640056B1 (ko) * 2003-12-27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3950892B2 (ja) * 2004-01-30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532120B1 (ko) * 2004-02-03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분리형 현상기
KR100532119B1 (ko) * 2004-02-03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JP4630634B2 (ja) * 2004-11-05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44209B2 (ja) * 2004-12-07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695015B1 (ko) * 2005-01-26 200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 카트리지
JP4865341B2 (ja) * 2005-02-04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84732B2 (ja) * 2005-04-27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280753B2 (ja) * 2005-04-27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WO2007003005A2 (en) * 2005-07-05 2007-01-11 Gcc Ip Pty Ltd A removably mountable frame for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removably mountable adaptor for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artridges for use with a removably mountable frame and removably mountable adaptor
US7236722B2 (en) * 2005-08-25 2007-06-26 Lexmark International, Inc. Helically splined drive membe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2008040377A (ja) * 2006-08-10 2008-02-21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の着脱構造
US7856192B2 (en) * 2006-12-28 2010-12-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280772B2 (ja) *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84257B2 (ja) * 2006-12-2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219462B2 (ja) * 2007-01-31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94186B2 (ja) *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8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7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1186447A (ja) * 2010-02-15 2011-09-2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106656B2 (ja)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13909A (ja) 2010-06-30 2012-01-19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JP6415198B2 (ja) 2013-09-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800660B2 (ja) * 2015-10-14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19174625A (ja) * 2018-03-28 2019-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9683456A (zh) * 2019-03-01 2019-04-26 广州奥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动变更的通用型兼容粉盒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476A (ja) * 1989-07-07 1991-02-21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37859B2 (ja) 1994-04-26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A2160649C (en) 1994-10-17 1999-11-23 Yoshiya Nomur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5943528A (en) 1995-04-28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a gripping cover feature usable with a process cartridge, a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using the process cartridge
JP3323696B2 (ja) 1995-06-13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ース部材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62079A (ja) 1995-08-25 1997-03-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再充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02872B2 (ja) 1995-08-25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768632B2 (ja) 1996-02-27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2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1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3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244367A (ja) 1996-03-11 1997-09-19 Mita Ind Co Ltd プロセスユニット
JP3367036B2 (ja) 1996-05-31 2003-01-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3363751B2 (ja) 1996-08-29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69199A (ja) 1996-08-29 1998-03-10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フレーム
JP3466831B2 (ja) 1996-08-29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69805B2 (ja) * 1996-09-26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111B2 (ja) * 1997-03-18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3372829B2 (ja) * 1997-06-23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2614C1 (ru) * 2006-01-11 2021-07-29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прибор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US11215949B2 (en) 2006-01-11 2022-01-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60802B2 (en) 2006-01-11 2022-10-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579563B2 (en) 2006-01-11 2023-02-1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841673B2 (en) 2006-01-11 2023-12-1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22902A1 (en) 2001-09-20
EP1118914A3 (en) 2006-02-01
KR100383700B1 (ko) 2003-05-14
JP3720707B2 (ja) 2005-11-30
CN1244026C (zh) 2006-03-01
US6459869B2 (en) 2002-10-01
JP2001272901A (ja) 2001-10-05
EP1118914B1 (en) 2011-10-05
CN1307255A (zh) 2001-08-08
EP1118914A2 (en)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370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6463234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059988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058337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1551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18448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롤러
US7039339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56669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隔機構
US723375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688003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085516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274457B2 (en) Developing cartridge
US201202758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57164A1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12523A (ja) 現像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995782A (en) Developing cartridge with mounting positioning fea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434111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AU736223B2 (en)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3148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枠体
JP200032185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