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759A - 라인 가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라인 가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759A
KR20010072759A KR1020017002086A KR20017002086A KR20010072759A KR 20010072759 A KR20010072759 A KR 20010072759A KR 1020017002086 A KR1020017002086 A KR 1020017002086A KR 20017002086 A KR20017002086 A KR 20017002086A KR 20010072759 A KR20010072759 A KR 2001007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ine guiding
recess
guiding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522B1 (ko
Inventor
롤란트 뮐러
볼프강 리히터
Original Assignee
클라우즈 하이드리히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즈 하이드리히,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즈 하이드리히
Publication of KR2001007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Toy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가이딩하는데 사용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라인 수용채널(1)을 가지며, 라인 수용채널(1)은 받침벽부(2), 덮개부(3), 그리고 측벽부(4,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1)은 횡분할부에 의해 상호간 기울어질 수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9,10)로 분할된다. 상기 횡분할부(6)는 덮개부(3)를 통하여 측벽부(4,5)내에서 받침벽부(2)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횡분할부(6)에 의해 인접되는 세그먼트(9,10)는 적어도 하나의 요부(11)를 갖는 일측의 세그먼트(9,10)와, 상기 요부(11)에 맞물리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부(12)를 갖는 타측의 세그먼트(9,10)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라인 가이딩 장치{LINE GUIDANCE DEVICE}
고정터미널로부터 이동가능한 소비자로 이르는 라인은 라인 가이딩 장치내에 설비된다.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는 일측단부가 고정점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이동소비자에 연결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라인 가이딩 장치는 플렉시블하게 상호연결된 체인링크로 만들어진다. 체인링크는 수용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체인링크의 수용챔버는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내부에 라인이 설비된다. 두개가 대향되며 서로 이격되는, 상부 및 하부 크로스바와 더불어 체인 사이드바가 상기 수용챔버를 형성한다.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체인 사이드바에 연결된다.
라인을 배치하기 위하여, 독일연방공화국 공보 제 265,449 B5호(DD 265 449 B5)에는 받침벽부, 덮개부 및 측벽부로 형성되는 라인 수용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은 횡분할부에 의해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며, 각각의 세그먼트들은 상호간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횡분할부는 덮개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유럽공보 제 0544,027 B1호(EP 0 544 027 B1)에는 또다른 라인 가이딩 장치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마찬가지로, 유럽공보 제 0544,027 B1호에서 개시된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는 라인 수용채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배치되어 라인을 가이딩한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은 받침벽부, 덮개부, 그리고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횡분할부는 상기 라인 수용채널을 상호간 기울어질 수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는 제 1반쪽부와 제 2반쪽부가 평행하게 연장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두개의 반쪽부 사이에서 루프형 천이를 형성하면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횡분할부는 상기 덮개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유럽공보 제 0544,027 B1호에 따른 라인 가이딩 장치의 구조에서는, 라인 수용채널의 덮개부와 측벽부중에서 적어도 한 부분은 이것을 채널 내부를 향해 지지하는 채널 벽부에 대하여 돌출형으로 형성되고 플렉시블하게 탄력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횡분할부는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의 횡방향과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영국 실용공보 제 90 16 870.4호(UTILITY MODEL G 90 16 870.4)에서는 다른 구성의 라인 가이딩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는 그 내측으로 몇 개의 라인이 연장되는 라인 가이딩 채널 및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는 하측 반쪽부(하반부) 및 그 위로 상측 반쪽부(상반부)를 포함하여, 이들은 상기 가이딩 장치의 일단부에서 루프형으로 상호 병합되어 있다. 상기 하반부의 자유단부는 고정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상반부의 자유단부는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의 길이방향에서 전후로 움직이는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라인들은 공통의 묶음장치에 의하여 하나로 묶여지고, 묶음장치의 외측부에는 라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효과적이며 슬라이딩력이 우수한 슬라이딩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딩장치는 라인이 매우 긴 경우에도 상기 상반부의 라인 설치부와 하측 반쪽부의 라인 설치부 사이의 마찰을 방지한다.
독일연방공화국 공보 265,449 B5호(DD 265 449 B5), 유럽공보 0 544,207 B1호(EP 0 544 207 B1), 유럽공보 0 490,002 A2(EP 0 490 002 A2)에서 개시된 라인 가이딩 장치는 플라스틱 사출성형한 이후에 소정의 공구를 사용하여 절단가공하므로 스트랜드는 개별적인 세그먼트로 분할형성된다.
예컨데, 유럽공보 0544,207 B1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는 상대적으로 휨 및 비틀림 강성도를 거의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라인 가이딩 장치의 실제 유용도는 상대적으로 제한된다. 또 보다 더 큰 문제는, 기존의 라인 가이딩 장치는, 루프 영역내에서 특정 곡률반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위 반경클립(radius clip)과 같은 부가적 구성요소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들이 라인 가이딩 장치에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상반부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하반부를 따라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못한다. 이는 긴 거리상에서 사용되지 못하게 되므로 역시 라인 가이딩 장치의 용도가 제한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배치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라인 가이딩 장치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라인 가이딩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인접된 세그먼트간의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일부절개도,
도 4는 본 발명 라인 가이딩 장치 측벽부내의 돌부와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선회각 제한기를 구비한 라인 가이딩 장치의 라인 수용채널 또는 스트랜드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라인 가이딩 채널 또는 스트랜드의 인접한 세그먼트가 상호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확대도,
도 7은 선회각 제한기를 구비한 라인 가이딩 장치 또는 스트랜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 8은 도 7의 라인 가이딩 장치의 인접한 두 세그먼트들의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곡률반경 제한기를 구비한 라인 가이딩 장치 또는 스트랜드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단일 스트랜드를 구비한 라인 가이딩 장치의 개략도,
도 12는 만곡진 횡분할부를 가지는 스트랜드의 개략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스트랜드의 평면도,
도 14는 지그재그형 횡분할부를 가지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평면도.
전술한 설명에 의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라인 가이딩 장치를 개선하여 라인 가이딩 장치의 유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라인 가이딩 장치가 보다 더 큰 휨 및 비틀림 강성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라인 가이딩 장치가 별도의 부가적 구성요소없이 용이하게 특정의 곡률반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 1 항과 독립항 2 항에서의 특징지워지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적 개선과 구성들은 개선된 장점과 특징들은 각각의 종속항들의 요지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배치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는 라인 수용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은 받침벽부, 덮개부, 그리고 측벽부를 가진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은 횡분할부에 의해 다수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되어 각각의 세그먼트들은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횡분할부는 덮개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들의 횡분할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분할부는 하나의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요부(recess)를 갖고, 다른 세그먼트는 상기 요부와 맞물리는 돌부(projection)를 갖도록 설계되고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다른 양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이 배치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는 평행하며 상호 연결되는 두개의 스트랜드를 가진다. 상기 스트랜드들은 크로스바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스트랜드는 받침벽부, 덮개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각각의 스트랜드는 횡분할부에 의해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며, 각각의 세그먼트들은 상호간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횡분할부는 덮개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들의 횡분할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분할부는 하나의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요부를 갖고, 다른 세그먼트는 상기 요부와 맞물리는 돌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고 구성된 라인 가이딩 장치는,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횡분할부의 소정형상에 따라 종방향 그리고/또는 횡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므로 라인 가이딩 장치의 높은 휨 및 비틀림 강도 및 횡방향 강성도를 실현한다는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만일, 하나의 세그먼트에 형성된 돌부가 인접한 세그먼트의 요부에 끼워지면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인접한 세그먼트들이 상호간 위치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요부와 돌부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루프영역에서 인접한 세그먼트들이 서로에 대하여 구부러질 때에도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라인 가이딩 장치의 루프영역에서도 증가된 휨 및 비틀림강도가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횡분할부는 절삭공구를 상응하게 가이딩하므로써 형성가능하다. 또한 라인 가이딩 장치에 형성되는 횡분할부 절삭의 다른 방법으로는, 물 분사식 절삭공구에 의하여 형성가능하다. 한편, 본 라인 가이딩 장치의 횡분할부 절삭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적절한 형상의 펀치날류 등에 의하여 형성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분할부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횡방향 축과 직각이 아닌 소정의 각도로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가진다. 예컨데, 상기 횡분할부는 아치형이 될 수 있는데, 이는 특히 피치원의 원호로 설명된다. 상기 아치형 횡분할부는 하나의 세그먼트에 전방 표면 만곡을 구비한 요부를 형성한다. 다른 세그먼트는 상기 요부와 대응되게 만곡진 전방 표면을 구비한 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횡분할부는 지그재그형이거나 구불구불한(蛇行)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인 가이딩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개선에 따르면, 측벽부내에 요부와 돌부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단면을 구비하고 라인 가이딩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요부와 돌부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요부와 돌부의 이러한 형상은 부차적으로 기울어지는 작동 동안에 인접한 세그먼트들의 안내를 구현한다. 이러한 기울어짐 작동은 라인섹션이 라인 가이딩장치의 루프형 영역으로 병합될 때 라인 가이딩 장치를 이동하는 중에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가이딩 장치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요부와 돌부를 덮개부내에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 것이다. 상기 덮개부내의 요부와 돌부 형성은 라인 가이딩 장치의 휨 및 비틀림 강도의 증가를 수반하게 된다.
본 라인 가이딩 장치의 또다른 구성으로는, 덮개부와 저면부사이에 받침벽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횡분할부도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저면부를 통하여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들의 추가적 횡분할부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차 횡분할부는, 하나의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요부를 가지며 다른 세그먼트가 상기 요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라인 가이딩 장치에서 이러한 부가적 수단이 고려됨으로써 상기 요부는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의 보다 더 큰 휨 및 비틀림 강성도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벽부의 아래의 측벽부내에 V자형으로 횡분할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곡률반경의 제한기를 형성함으로써 부가되는 요소를 생략할 수 있는 또다른 바람직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곡률반경 제한기는 라인 가이딩 채널 또는 각각의 스트랜드의 구성품을 형성할수 있어, 라인 가이딩 장치의 상반부가 하반부상에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는 큰 변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요부와 돌기가 상보적이 되도록 만들어질 것이 제안된다. 이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생산공정을 단순화시킨다.
루프 형성영역에서 라인 가이딩장치의 곡률반경의 선회각 등을 제한하는 것은 요부와 돌부 각각이 인접 세그먼트들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을 가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본 라인 가이딩 장치의 장점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로는, 탭이 상기 돌부에 구비되며, 탭은 탭의 단면을 지나 이보다 측면으로 확장된 헤드를 갖는다. 상기 요부는 상기 탭이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섹션과, 상기 헤드가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헤드수용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헤드수용부의 종방향 길이는 헤드의 종방향 길이보다 더 크다. 이는 펀칭이나 절단 등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라인 가이딩 장치의 이러한 구성은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인접된 세그먼트들의 선회각의 제한이 달성된다. 특히, 상기 요부의 종방향 길이는 돌부의 종방향 길이보다 더욱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부와 돌부는 대체적으로 T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가이딩 장치의 특징과 그 구성은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시에 의하여 보다 더 상세히 나타난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배치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를 도시하였다. 적어도 하나의 라인은 라인 수용채널(1)의 채널(8)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라인은 도 1에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1)은 받침벽부(2)와, 덮개부(3)와, 그리고 측벽부(4,5)로 구성된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1)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이지만 다른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1)은 횡분할부(6)에 의해 분할되어 상호간 기울어질 수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9,10)로 분할된다. 상기 횡분할부(6)는 상기 덮개부(3) 영역을 걸쳐서 연장되며 측벽부(4,5)에서 연속되어 적어도 지지벽부의 연접부까지 연장형성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횡분할부(6)가 대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개구부(7)까지 형성된다. 상기 원형 단면의 개구부(7)는 인접한 세그먼트(9,10)들이 상호 기울어지는 상태에서 라인 수용채널(1)의 재료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9,10)의 상기 횡분할부(6)는, 하나의 세그먼트(9)가 적어도 하나의 요부를 가지고, 다른 세그먼트(10)가 상기 요부(11)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부(1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그먼트(9,10)는 요부(11)와 돌부(12)를 모두 가진다. 예컨데,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9)를 본다면, 세그먼트(9)는 세그먼트(9)의 오른쪽으로 인접한 세그먼트(10)를 향하여 형성되는 요부(11)를 포함하고, 그 요부(11)를 향하여 상기 세그먼트(9)의 오른쪽에 인접하여 있는 돌부(12)가 연장된다. 상기 세그먼트(9)도 상기 요부(11)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 돌부(12)가 형성되어 상기 세그먼트(9)의 왼쪽에배치된 세그먼트(10)의 상응하게 형성된 요부(11)에 맞물린다. 이러한 형태의 본 라인 가이딩 장치는 예컨데, 레이저 등이 사용되는 절삭공구의 안내가 항상 동일하다는 장점이 있다. 유용성이 있는 한도내에서, 상기 횡분할부는 하나의 세그먼트가 단지 요부 또는 돌부를 가지고 또한 단지 돌부 또는 요부를 가지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세그먼트가 몇개의 요부 및/또는 돌부를 가지는지는 상기 횡분할부의 길이에 의존한다.
인접한 세그먼트(9,10)가 상호 맞물리는 돌부(12)와 요부(11)를 포함하도록 상기 횡분할부가 연장된다는 사실이 라인 가이딩 장치의 라인 수용 채널(1) 및 이와 유사한 것의 비틀림 강성도의 증가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인접한 세그먼트들이 라인 가이딩 장치의 길이(종)방향에 대하여 엇갈리는(crosswise) 방향으로 상호간 변위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에서는,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상기 돌부(12)는 상기 요부(11)와 맞물린다.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가 루프형 영역에서 휘어지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9,10)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종방향에 직교하며 받침벽부내를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울어진다. 도 3은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9,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절개도면이다. 지시부호 α는 인접한 세그먼트들간의 선회각을 나타낸다. 기울어지는 동안, 상기 돌부(12)는 요부(11)로부터 이탈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돌부(12)는 직사각형의 탭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요부(11)는 돌부(12)에 상보적이다. 상기 각각의 돌부 또는 요부의 평행연장면(17,18)은 상호 미끄러지면서 경유하게 된다. 지시부호 U는 인접한 세그먼트들이 최대 허용 선회각(α)에 도달한 때에 요부(11)로 연장한 돌부(12)의 돌출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요부(11)와 돌부(12)의 이런 형태는 기울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세그먼트들의 라인 수용채널이 커다란 비틀림 강성도를 나타내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라인 가이딩 장치의 돌부 및 요부의 형성길이는 인접한 세그먼트들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돌부(12)가 요부(11)내에 일부라도 연장된 상태를 가지도록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덮개부 뿐만 아니라 측벽부의 요부(11)와 돌부(12)에 대하여도 구현된다.
도 2는 라인 수용채널(1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라인 수용채널(13)의 기본적 구성은 전술한 라인 수용채널(1)과 상응하게 되어 있다. 라인 수용채널(13)과 라인 수용채널(1)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라인 수용채널(13)은 채널(15)과 채널(1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채널(15,16)은 파티션(1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상기 파티션(14)은 측벽부(4,5)와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형성된다. 횡분할부(6)는 파티션(14)을 통해서도 연장형성된다.
도 4는 라인 수용채널(19)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19)은 측벽부(4,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4,5) 사이에는 파티션(14)이 제공되고, 이 파티션(14)은 라인 수용채널(19)의 종방향으로 측벽부(4,5)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19)은 덮개부(20,21,22)를포함하여 형성된다. 인접한 덮개부(20,21,22) 사이에는 틈새(23,24)가 제공되므로, 이를 통하여 라인이 각각의 채널(15,16)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19)은 횡분할부(6)에 의해 상호 기울어질 수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9,10)로 분할된다. 상기 횡분할부(6)는 덮개부(20,21,22)를 통하여 연장되며, 측벽부(4,5)와 파티션(14)내에서 연속되어 적어도 받침벽부(2)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상기 횡분할부(6)는 세그먼트(9,10)들이 상호 맞물리는 요부와 돌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세그먼트(9)의 덮개부(20)에는 요부(25)와 돌부(28)가 형성된다. 하나의 세그먼트(10)의 덮개부(21)에서도 요부(26)와 돌부(29)가 형성된다. 다른 덮개부(22)에도 요부(27)와 돌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요부(25,26,27)와 돌부(28,29,30)는 라인 수용채널(19)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부(28,29,30)와 요부(25,26,27)의 기본적인 작용모드는 도 3에서 설명된 기본 작용모드와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덮개부 영역에 있는 요부와 돌부들에 부가되어, 상기 라인 수용채널(19)은 측벽부(4,5)와 파티션(14)에 요부(31,32,33)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4,5)와 파티션(14)은 이에 상응하게 형성된 돌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요부(31,32,33)는 대체적으로 평행한 두개의 아치형의 연장섹션(34,3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돌부(36)도 대응하는 연장섹션을 갖는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이 기울어지는 동안,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맞물려 있는 돌부(36)와 요부(31,32,33)에 의하여 안내된다. 상기 요부(31,32,33)와 돌부(36)는라인 수용채널(19)의 비틀림 강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기도 한다.
도 5에서는 하나 이상의 라인이 배치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용 스트랜드(37)가 도시된다. 상기 스트랜드(37)는 받침벽부(40), 덮개부(41), 그리고 측벽부(38,39)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트랜드(37)는 중공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트랜드(37)는 횡분할부에 의하여 상호간 상대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42,43)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횡분할부는 덮개부(41)를 통하여 연장되며, 측벽부(38,39)내에서 연속되며 적어도 받침벽부(40)와의 연접부까지 연장형성된다. 상기 횡분할부(44)는 개구부(45)로 마감되므로 굽힘축 영역에서 스트랜드의 응력을 감소시킨다.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들의 상기 횡분할부에는 하나의 세그먼트가 요부(46)를 가지고 다른 하나의 세그먼트가 상기 요부(46)로 연장되는 돌부(47)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부(47)는 스트랜드(37)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탭(4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탭(48)의 자유단에는 탭의 횡단면 이상으로 측방향으로 확장된 헤드(49)가 제공된다.
상기 요부(46)는 탭(48)의 이동을 위한 섹션(52)을 포함한다. 상기 요부(46)는 돌부(47)의 헤드(49)가 움직이기 위한 헤드수용부(53)를 포함한다. 도 5에 적절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수용부(53)의 종방향 길이는 헤드(49)의 종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돌부(47)와 요부(46)는 인접된 세그먼트들이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도 6에서는 스트랜드의 인접한 세그먼트들이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부호 ΔS는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헤드수용부(53)의 내측에서 헤드(49)가 스트랜드(37)의 종방향으로 변위된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선회각(α)은 변위된 거리(ΔS)에 비례하는 선회각이다. 상기 거리(ΔS)를 조절함으로써 상응하게 선회각(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헤드(49)는 헤드수용부(53)의 정지면(54,55)에 접촉하는 정지면(50,5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정지면(51,55;50,54)들은 선회각(α)을 제한시킨다.
라인 가이딩 장치는 두개의 스트랜드(37)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랜드(37)는 적절한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다.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트랜드 사이에는 라인을 배열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중공단면인 스트랜드(37)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스트랜드(37)의 기본적 구조는 라인 수용채널의 단부에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예시에 의하여 라인은 라인 수용채널에 직접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배치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용 스트랜드(5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스트랜드(56)는 중공단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받침벽부(40), 덮개부(41), 그리고 측벽부(38,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랜드(56)는 횡분할부(44)에 의하여 다수의 세그먼트(42,43)로 분할되어 상호간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횡분할부는 덮개부(41)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38,39)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40)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난 스트랜드(56)의 실시예에서 요부(46)와 돌부(47)는 덮개부(41)에 형성된다. 이에 부가되어, 요부(57,58)는 측벽부(38)에 형성되어 돌부(59)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돌부(47)는 실질적으로 탭형상이다. 이는 직사각형 요부(46)내로 연장된다.
상기 측벽부(38,39)에 형성된 요부(57,58)는 각각 헤드수용부(53)를 갖는다. 상기 헤드수용부는 섹션(52)과 연통된다. 상기 헤드수용부(53)와 섹션(52)은 아치형 섹션(34,35)을 갖는다.
상기 돌부(59)는 아치형 탭(48)이 형성되어 각각의 요부(57,58)들의 섹션(52)내로 연장된다. 상기 돌부(59)는 탭(48)의 자유단에 헤드(49)를 갖는다.
도 8에 적절히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랜드(56)의 인접한 세그먼트(42,43)가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는 경우, 상기 헤드수용부(53)는 헤드(49)보다 크게 형성되어 인접한 세그먼트(42,43)가 선회각(α)로 기울어질 수 있다. 헤드(49)와 헤드수용부(53)는 선회각(α)를 제한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울어지는 중에, 상기 돌부(47)는 요부(46)로부터 미끄러져 나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선회각(α)에 도달하게 된 경우에도 상기 돌부(47)는 계속하여 요부(46)내에서 연장하도록 스트랜드(56)의 종방향 치수로 형성된다. 상기 세그먼트(42,43)간에 있어서 스트랜드(56)가 연속된 종방향과 교차하는(crosswise) 방향으로의 상대적 변위는 상기 돌부(47)와 요부(46)에 의하여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상기 스트랜드(56)는 중공 단면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스트랜드(56)는 라인 수용채널로 직접 사용할 수 있으므로, 라인은 보호되는 배치를 위해 그 내부에 설치될 것이다.
도 9는 스트랜드(60)의 개략 사시도이다. 상기 스트랜드(60)는 받침벽부(40), 덮개부(41)와 더불어 측벽부(38,39)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횡분할부(44)는 스트랜드(60)를 다수의 세그먼트(42,43)로 분할하여 상호간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횡분할부는 덮개부(41)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38,39)내에서 받침벽부(40)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상기 횡분할부(44)는 세그먼트(42,43)가 각각 요부(46)와 돌부(47: 도 10 참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세그먼트(42)의 돌부(47)는 인접한 세그먼트(43)의 요부(46)내로 연장된다. 상기 돌부(47)와 요부(46)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요부 및 돌부의 구성과 대체적으로 상응한다. 스트랜드(6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돌부(47)는 요부(46)내에 반드시 연장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받침벽부(40)는 덮개부(41)와 저면부(6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스트랜드(60)는 부가적 횡분할부(62)를 포함하는데, 부가적 횡분할부(62)는 저면부(61)를 통하여 연장되고 측벽부(38,39)내에서 받침벽부(40)와의 연접부까지 연장형성된다. 상기 부가적 횡분할부(62)는 V형상이므로, 부가적 횡분할부(62)는 인접한 세그먼트(42,43)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선회각은 상기 부가적 횡분할부(62)가 개방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저면부(61)에서는 상기 부가적 횡분할부(62)가 요부(63)와 돌부(64)를 형성하고 있다.
도 9에 적절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그먼트(42,43)는 요부(63)와 돌부(64)를 포함한다. 상기 요부(63)의 종방향 길이와 돌부(64)의 종방향 길이는인접한 세그먼트(42,43)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랜드(60)가 벌어지는 상태에 있는 경우 돌부(64)는 요부(63)로부터 이탈된다. 도 9에서처럼 인접한 세그먼트(42,43)가 기울어지는 동안 세그먼트의 돌부(64)는 인접한 세그먼트의 요부(63)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돌부(63)와 요부(64)의 구성뿐만 아니라 덮개부(41)의 돌부(47)와 요부(46)의 구성은, 인접한 세그먼트들이 스트랜드의 종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덮개부의 돌부 그리고/또는 저면부의 돌부가 대응하는 요부에 항상 맞물리게 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스트랜드는 라인 수용채널로 바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61)뿐만 아니라 측벽부(38,39)의 섹션도 각각 곡률반경의 제한기(65)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배치되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 11에 도시된다. 도 11은 하나의 스트랜드(66)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크로스바아(67)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66)와 평행한 제 2스트랜드(미도시)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는 제 2스트랜드는 상기 스트랜드(66)와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세그먼트(42)의 측벽부(38)에는 체결수단(68)이 설치되어 크로스바아(67)를 스트랜드(66)와 결합시킨다. 측벽부(39)상에는 통공(69)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체결요소가 체결수단(68)을 고정시키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랜드(66)는 받침벽부(40), 덮개부(41), 그리고 측벽부(38,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횡분할부(44)는 스트랜드(66)를 다수의 세그먼트(42,43)로 분할한다. 상기 세그먼트(42,43)는 상호간에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횡분할부(44)는 덮개부(41)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38,39)내에서 받침벽부(40)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상기 덮개부(41) 상에는 돌부(47)와 요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요부(46)와 돌부(47)는 상보적으로 만들어진다. 각 세그먼트(42,43)는 각각 돌부(47)와 요부(46)를 갖는다. 하나의 세그먼트(42)의 돌부(47)는 다른 하나의 세그먼트(43)의 요부(46)를 향해 연장된다.
요부(33)와 돌부(36)는 측벽부(38,39)에도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요부(33)와 돌부(36)도 상보적이다. 상기 요부(33)와 돌부(36)는 아치형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벽부(40) 아래에는 곡률반경 제한기(65)가 형성된다. 상기 곡률반경 제한기(65)의 구성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상응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배치되기 위한 라인 가이딩 장치의 스트랜드(70)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스트랜드(70)는 받침벽부(73), 덮개부(74), 그리고 측벽부(71,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횡분할부(77)는 스트랜드(70)를 다수의 세그먼트(75,76)로 분할한다. 상기 세그먼트(75,76)는 스트랜드(70)의 종방향으로 상호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횡분할부(77)는 상기 덮개부(74)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71,72)내에서 받침벽부(73)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상기 횡분할부(77)는 개구부(78)에서 종료하고, 개구부(78)는 스트랜드의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게(crosswise) 연장된 휨축 영역 내에서 스트랜드의 휨응력을 방지한다.
상기 측벽부(71,72)는 받침벽부(73)의 아래까지 연장된다. 상기 받침벽부(73)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저면부(79)는, 받침벽부(73)의 아래로 연속된 측벽부(71,72)의 연장부분을 연결한다.
상기 스트랜드(70)는 저면부(79)를 통하여 연장하는 부가적 횡분할부(80)를 갖는다. 이러한 부가적 횡분할부(80)는 측벽부(71,72)내에서 받침벽부(73)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부가적 횡분할부(80)는 V형으로 형성된다. 이 부가적 횡분할부(80)는 상기 횡분할부(77)와 동일선상에서 배열 형성된다. 각 세그먼트(75,76)의 저면부(79)는 각각 곡률반경 제한기(81)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벽부(73)의 아래로 연장된 측벽부(71,72) 섹션도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분할부(77)는 대체로 아치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횡분할부(77)는 세그먼트(75)내에 요부(82)를 형성하며, 세그먼트(76)의 이에 대응하는 형상인 돌부(83)가 상기 요부(82)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횡분할부(77)는 반드시 스트랜드(70)의 폭 전체에 걸쳐서 아치형으로 만들어질 필요는 없다. 상기 횡분할부는 Σ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라인 가이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라인 가이딩 장치의 기본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라인 가이딩 장치와 상응하고 있다.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는 라인 수용채널(84)을 포함한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84)은 측벽부(85,86)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85,86) 사이에는 파티션(87)이 제공되는데, 이는 라인 수용채널(84)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측벽부(85,86)와 평행하다.상기 라인 수용채널(84)은 덮개부(88,89,90)를 포함한다. 인접한 덮개부(88,89 및 89,90)들 사이에는 간극(91,92)이 형성되는데, 이를 통하여 측벽부(85)와 파티션(87)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93) 또는 파티션(87)과 측벽부(86)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94)로 라인이 삽입된다.
상기 라인 수용채널(84)은 횡분할부(95)에 의해 상호 기울어질 수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96,97)로 분할된다. 특히, 상기 횡분할부(95)는 라인 수용채널(84)의 종방향으로 상호 동일거리를 가지고 형성되어, 모든 세그먼트(96,97)는 라인 수용채널(84)의 종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된다.
상기 횡분할부(95)는 덮개부(88,89,90)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85,86)와 파티션(87)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98)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된다.
도 15에 적절히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횡분할부(95)는 라인 수용채널(84)의 종방향에 대하여 교차방향(crosswise)에서 보는 경우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96,97) 사이에 형성된 횡분할부(95)는 세그먼트(96)에 요부(99)를 형성하며 다른 세그먼트(97)에도 요부(100)를 형성한다. 이에 대응하는 돌부(101,102)는 상기 요부에 대향하는 세그먼트에 형성된다.

Claims (11)

  1. 라인 수용채널(1,13,19,84)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배치하기 위한 라인 가이딩 장치로서,
    상기 라인 수용채널(1,13,19,84)은 받침벽부(2,98), 덮개부(3,20,21,22,88,89,90), 그리고 측벽부(4,5,85,86)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 수용채널은 횡분할부(6,95)에 의해 상호간에 기울어질 수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9,10,96,97)로 분할되며, 상기 횡분할부(6,95)는 덮개부(3,20,21,22,88,89,90)를 통하여 연장하며 측벽부(4,5,85,86)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2,98)와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라인 가이딩 장치에 있어서,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9,10,96,97)의 적어도 하나의 횡분할부(6,95)는, 하나의 세그먼트(9,10,96,97)는 적어도 하나의 요부(11,25,26,27,31,32,33,99,100)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세그먼트(9,10,96,97)는 상기 요부(11,25,26,27,31,32,33,99,100)와 맞물리게 되는 돌부(12,28,29,30,36,101,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2. 두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된 스트랜드(37,56,60,66)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배치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로서, 상기 스트랜드(37,56,60,66) 각각은 받침벽부(40), 덮개부(41),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38,39)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랜드(37,56,60,66) 각각은 횡분할부(44)에 의해 상호 기울어질 수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42,43)로 분할되고, 상기 횡분할부(44)는 덮개부(41)를 통하여 측벽부(38,39)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40)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되고,
    두개의 인접한 세그먼트(42,43)의 적어도 하나의 횡분할부(44)는, 하나의 세그먼트(42,43)가 적어도 하나의 요부(46,57,58,63)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세그먼트(43)가 상기 요부(46,57,58,63)와 맞물리게 되는 돌부(49,59,64)를 포함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31,32,33,57,58)와 상기 돌부(36,59)는 상기 측벽부(4,5,38,39)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36,58)는 상기 라인 가이딩 장치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만곡섹션(34,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11,25,26,27,31,32,46,63)와 상기 돌부(12,28,29,30,47,64)는 덮개부(3,41)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벽부(40)는 상기 덮개부(41)와 저면부(61) 사이에 형성되고, 그리고 부가적 횡분할부(62)가 상기 저면부(61)를 통하여 연장하여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38,39)내에서 적어도 받침벽부(40)와의 연접부까지 계속하여 연장형성되고,
    두개의 세그먼트(42,43)들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횡분할부(62)는, 하나의 세그먼트(42,43)가 적어도 하나의 요부(63)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세그먼트(42,43)가 상기 요부(63)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와 상기 요부들은 실질적으로 상호 상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와 상기 돌부는 각각 인접한 세그먼트(42,43)의 선회각( α)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50,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59)는 헤드(49)를 구비한 탭(48)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49)는 탭 횡단면을 지나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그리고,
    상기 요부(57,58)는 상기 탭(48)의 이동을 위한 섹션(52) 및 상기 헤드(49)의 이동을 위한 헤드수용부(53)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수용부(53)의 종방향 길이가 상기 헤드(49)의 종방향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46,57,58)의 종방향 길이가 상기 돌부(47,59)의 종방향 길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11.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46,57,58)와 상기 돌부(47,59)는 실질적으로 T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딩 장치.
KR1020017002086A 1998-08-17 1999-08-10 라인 가이딩 장치 KR100630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7231.0 1998-08-17
DE19837231A DE19837231A1 (de) 1998-08-17 1998-08-17 Leitungsführungs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759A true KR20010072759A (ko) 2001-07-31
KR100630522B1 KR100630522B1 (ko) 2006-09-29

Family

ID=787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086A KR100630522B1 (ko) 1998-08-17 1999-08-10 라인 가이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59037B2 (ko)
EP (1) EP1104589B1 (ko)
JP (1) JP4120751B2 (ko)
KR (1) KR100630522B1 (ko)
CN (1) CN1178354C (ko)
DE (2) DE19837231A1 (ko)
TW (1) TW453008B (ko)
WO (1) WO20000117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29B1 (ko) * 2002-04-11 2010-07-13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라인, 케이블 등의 능동 유도를 위한 라인 유도 유닛
KR20190032578A (ko) * 2016-08-12 2019-03-27 이구스 게엠베하 연결 배열체 및 라인 라우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2829A1 (de) * 1999-12-23 2001-08-23 Kabelschlepp Gmbh Stra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stärkten Stranges einer Leitungsführungsanordnung
FR2807229B1 (fr) * 2000-03-28 2002-06-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support et de guidage d'un faisceau de fils electriquement conducteurs permettant de suivre les deplacements d'un sieg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KR20040010929A (ko) * 2002-07-25 2004-02-05 김두진 일체형 케이블체인의 제조방법 및 그 일체형 케이블체인
EP1579543A4 (en) * 2002-11-22 2006-07-26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ELEMENT FOR SUPPORTING AN ENSEMBLE
GB0304535D0 (en) * 2003-02-28 2003-04-02 Thompson Richard J Trunking and connecting means therefor
DE202004005848U1 (de) * 2003-10-15 2005-02-24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S7718894B2 (en) * 2003-10-15 2010-05-18 Igus Gmbh Line guide device
US7784259B2 (en) * 2004-01-23 2010-08-31 A&A Manufacturing Co., Inc. Monolithic enclosed cable carrier
DE102004040162B4 (de) 2004-08-19 2013-10-24 Eisenmann Ag Vorrichtung zum Beschichten von Gegenständen
DE102005004453A1 (de) * 2005-02-01 2006-08-10 Volkswagen Ag Krümmbarer Leitungskanal zur Aufnahme von Leitungen
DE202005016472U1 (de) * 2005-10-19 2006-01-19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Führungseinrichtung für Datenleiter sowie Verteilereinrichtung für Datenleiter eines Nachrichtenkabelkabels
JP4789632B2 (ja) * 2006-01-20 2011-10-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102006005745A1 (de) * 2006-02-07 2007-08-09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102006009521B3 (de) * 2006-02-28 2007-08-23 Ernst & Engbring Gmbh & Co. Kg Kabelführ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4118308B2 (ja) * 2006-04-14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8025775A (ja) * 2006-07-24 2008-02-07 Tsubakimoto Chain Co 折り曲げ組み立て式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052073B2 (ja) * 2006-09-04 2012-10-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350735B2 (ja) * 2006-09-20 2009-10-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折り曲げ式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0727362B1 (ko) * 2007-01-05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소음과 분진을 저감시킨 케이블 베어
DE102007017940A1 (de) 2007-04-13 2008-10-16 Igus Gmbh Seitenwandsegment für ein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Seitenwandseg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eitenwandsegmentes
JP4391547B2 (ja) 2007-04-17 2009-12-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ューブ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8991147B2 (en) * 2008-08-05 2015-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gmented track to facilitate removal of stiffening layers from a cable retained in the track
US7842890B2 (en) * 2008-09-19 2010-11-30 Jadak, Llc One-piece optical imager housing and method for releasably locking a one-piece housing assembly
KR101018293B1 (ko) * 2009-03-04 2011-03-04 주식회사 코닥트 소음과 분진의 저감 및 바디의 처짐을 완화한 케이블 베어
DE102010003282B4 (de) * 2010-03-25 2015-08-20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insbesondere Energieführungskette
JP4749494B1 (ja) * 2010-04-02 2011-08-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用多関節支持部材
DE202010004852U1 (de) * 2010-04-09 2011-08-26 TRUMPF Maschinen Grüsch AG Laserbearbeitungsmaschine
JP2013013183A (ja) * 2011-06-28 2013-01-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保護具
JP2013070552A (ja) * 2011-09-26 2013-04-18 Tsubakimoto Chain Co 合成樹脂製のケーブル・配管類保護案内部材
DE202014101366U1 (de) * 2014-03-24 2014-03-28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einstückigem Gelenk, entsprechendes Kettenglied und Gelenkband
US9557005B2 (en) * 2014-05-23 2017-01-31 Roger Neil Rovekamp Planar non-compressible rigidizable chain assembly
DE202014103562U1 (de) 2014-07-31 2014-09-11 Igus Gmbh Führungseinrichtung
ES2886156T3 (es) * 2014-09-18 2021-12-16 Igus Gmbh Equipo de guiado de líneas, en particular para aplicaciones de sala blanca, partes de carcasa y nervaduras de apoyo para ello.
WO2016171725A1 (en) * 2015-04-24 2016-10-2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able track
US10020644B1 (en) * 2015-06-23 2018-07-10 Flexability Concepts, Llc Movable raceway
CN105346486A (zh) * 2015-11-27 2016-02-24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汽车电瓶的线束自动定位结构
JP6432580B2 (ja) 2016-09-27 2018-12-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仕切部材
JP6431024B2 (ja) * 2016-11-08 2018-11-28 矢崎総業株式会社 湾曲規制部材及び給電装置
JP6457992B2 (ja) * 2016-11-22 2019-01-23 矢崎総業株式会社 湾曲規制部材及び給電装置
JP6743744B2 (ja) * 2017-03-30 2020-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装体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07689607A (zh) * 2017-09-08 2018-02-13 合肥永烨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防干扰布线槽及其制作工艺
GB2568763B (en) * 2017-11-28 2020-11-25 Subsea Energy Solutions Ltd Stiffening member and protective housing assembly
FR3074250B1 (fr) * 2017-11-29 2020-06-26 Legrand France Conduit flexible
JP6640255B2 (ja) * 2018-02-20 2020-02-05 矢崎総業株式会社 湾曲規制部材及び給電装置
CN110535432A (zh) * 2018-05-24 2019-12-03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线缆收集装置、线缆引导装置及建筑构件
JP6804490B2 (ja) * 2018-06-27 2020-12-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該ワイヤハーネスを備えた給電装置
JP7162252B2 (ja) 2019-01-25 2022-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液体検出センサ
CN110137868B (zh) * 2019-05-08 2020-07-07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供电功能的坦克链装置
CN111525452B (zh) * 2020-04-28 2022-05-1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电缆用组合式转弯导向装置
CN113669508B (zh) * 2021-07-22 2023-04-25 海洋石油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管线支撑功能的加强结构
CN115218044B (zh) * 2022-05-27 2024-03-12 青岛天智达高科产业发展有限公司 风筒卡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1843A (en) * 1968-03-22 1970-07-28 Delbert R Ogle Cable supporting rack
US4392344A (en) * 1981-06-30 1983-07-12 Central Safety Equipment Company Chain-link cable carrier
DE3410083C3 (de) * 1983-04-14 1998-02-26 Volkswagen Ag Blockiergeschü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DD265449B5 (de) 1987-10-01 1996-11-28 Kabelschlepp Gmbh Kabel- und Schlauchschlepp
US5127515A (en) * 1990-10-01 1992-07-07 Maskinfabrikken Baeltix A/S Chain link conveyor
DE9016870U1 (ko) 1990-12-13 1992-04-16 W.L. Gore & Associates Gmbh, 8011 Putzbrunn, De
ATE149656T1 (de) * 1991-11-26 1997-03-15 Gore W L & Ass Gmbh Schleppkettenersatz
US5638672A (en) * 1993-10-13 1997-06-17 Fujitsu Limited Chain cable retainer
DE4428680C1 (de) * 1994-08-12 1995-09-14 Michael M Ruettiger Flexible Gliederkette zum Führen von Kabeln, Leitungen, Schläuchen, etc.
DE19544931A1 (de) * 1995-12-01 1997-06-05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mit Zusatzkörper
DE19710489A1 (de) * 1997-03-13 1998-09-24 Kabelschlepp Gmbh Faltbares Schutzelement für Leitung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29B1 (ko) * 2002-04-11 2010-07-13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라인, 케이블 등의 능동 유도를 위한 라인 유도 유닛
KR20190032578A (ko) * 2016-08-12 2019-03-27 이구스 게엠베하 연결 배열체 및 라인 라우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2968A (zh) 2001-09-12
CN1178354C (zh) 2004-12-01
DE19837231A1 (de) 2000-02-24
JP4120751B2 (ja) 2008-07-16
US6459037B2 (en) 2002-10-01
EP1104589B1 (de) 2002-11-13
DE59903417D1 (de) 2002-12-19
WO2000011772A1 (de) 2000-03-02
EP1104589A1 (de) 2001-06-06
JP2002524011A (ja) 2002-07-30
TW453008B (en) 2001-09-01
US20010025715A1 (en) 2001-10-04
KR100630522B1 (ko) 200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522B1 (ko) 라인 가이딩 장치
KR100411359B1 (ko) 라인 가이드 장치
US6423901B2 (en) Guiding arrangement for energy lines
US5411443A (en) Dragchain substitute
US6695014B2 (en) Energy guiding chain
US6023024A (en) Partition device for a cableway
JP4615598B2 (ja) ケーブルドラッグ装置と該ケーブルドラッグ装置を収容する保持装置とを含むケーブルドラッグシステム
KR970068074A (ko) 통신 케이블 관리 장치
US6176072B1 (en) Chain link with insertable partitions
CN103453075A (zh) 线缆类保护引导部件
JPH0160708B2 (ko)
JP2008536069A5 (ko)
KR100981460B1 (ko) 와이어, 케이블 등의 고정 안내를 위한 라인 안내 시스템및 지지 스트랩
US20030024231A1 (en) Energy drag chain
US5014506A (en) Guide chain for guiding energy lines
EP1473487B1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6945027B2 (en) Energy drag chain
US4858424A (en) Variable radius cable carrier
KR20190107707A (ko) 에너지 가이드 체인을 위한 분할 바
US6226973B1 (en) Guide chain for energy supply lines
EP1013571B1 (en) Magnetic curves with improved magnetic field for conveyors
KR20230060533A (ko) 케이블을 보호하는 내부 하위 구획을 갖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및 이를 위한 체인 링크 및 프레임 모듈
KR970027930A (ko) 무단 변속기용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