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903A -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903A
KR20010066903A KR1020000038275A KR20000038275A KR20010066903A KR 20010066903 A KR20010066903 A KR 20010066903A KR 1020000038275 A KR1020000038275 A KR 1020000038275A KR 20000038275 A KR20000038275 A KR 20000038275A KR 20010066903 A KR20010066903 A KR 20010066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pool
rotating member
mov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948B1 (ko
Inventor
사토준
가와사키겐이치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조
Publication of KR2001006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용이하고 정도(精度) 높게 행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스풀(12)을 제동하는 장치로서, 제동부재(51)와, 회전부재(52)와, 복수의 이동부재 (53)와, 이동기구(54)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재(51)는, 릴 본체(1)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부재(52)는 제동부재(51)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릴 본체(1)에 대하여 스풀(12)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복수의 이동부재(53)는, 스풀(1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따라 제동부재 (51)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회전부재(52)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부재(52)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동시에 제동부재(51)에 다른 개수로 접촉 가능한 부재이다. 이동기구(54)는, 회전부재(52)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Brake apparatus of double bearing reel}
본 발명은, 제동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스풀을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루어 낚시에 이용되는 베이트 릴이라고 불리우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케스팅시에 스풀의 회전 속도가 줄풀기 속도보다 빠르게 되는 백래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동력을 스풀에 작용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동장치로서 스풀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원심제동기구와, 스풀축의 양단을 조여 잡음으로써 스풀축을 기계적으로 제동하는 캐스팅콘트롤기구를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동장치의 원심제동기구에 있어서, 릴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제동력을 조정 가능한 것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3047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원심제동기구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의 선단에 접촉 가능한 제동부재와, 제동력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재는 스풀축에 고정되어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복수의 이동부재는, 회전부재에 현(弦)방향을 따라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원심력에 의해 스풀축심을 지나는 면내에서 요동한다. 제동부재는,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릴 본체에 장착되며, 원심력에 의해 요동하는 이동부재에 접촉 가능하다. 제동력 조정기구는, 제동부재를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이다.
상기 종래의 원심제동기구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이동부재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동부재가 스풀축 바깥쪽을 향하여 요동한다. 그리고 제동부재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제동력 조정기구에 의해 제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동부재에 이동부재가 접촉할 때의 요동각도에 따라 모멘트가 변화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캐스팅콘트롤기구는, 스풀축의 양단을 조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마찰플레이트와, 마찰플레이트에 의한 조임력을 조절하기 위해 릴 본체에 나사 결합하여 마련된 캡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캐스팅콘트롤기구에서는, 캡을 돌림으로써, 스풀축을 한 쪽의 마찰플레이트에서 다른 쪽의 마찰플레이트 측으로 압압하여 스풀축을 제동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제동장치에서는, 캐스팅콘트롤기구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하면 스풀축이 약간 이동한다. 스풀축이 이동하면, 이에 따라 원심제동기구의 회전부재도 이동부재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동부재와의 간격이 이동전과 다른 간격이 되어 이동부재의 요동각도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캐스팅콘트롤기구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하면 제동부재를 축방향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여도 원심제동기구의 제동력이 변동하는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조정 가능한 종래의 원심제동기구에서는 스풀축이 이동하면 제동력을 정도(精度)높게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용이하고 정도높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원심 브레이크기구의 단면확대도이다.
도 4는 원심 브레이크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이동부재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확대도이다.
도 6은 회전부재가 가장 스풀에 접근했을 때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릴 본체
12...스풀(spool)
16...스풀축
22...캐스팅콘트롤기구
23...원심브레이크기구
51...제동부재
52...회전부재
53...이동부재
54...이동기구
65...가이드축
70...제동손잡이
74...회전캠기구
발명 1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스풀을 제동하는 장치로서, 제동부재와, 회전부재와, 복수의 이동부재와,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재는, 릴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부재는 제동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릴 본체에 대하여 스풀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복수의 이동부재는,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따라 제동부재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회전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전체로서 제동시에 제동부재에 다른 마찰상태로 접촉 가능한 부재이다. 이동수단은, 회전부재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 제동장치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이동부재가 원심력에 의해 제동부재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면, 이동부재와 제동부재의 마찰에 의해 제동력이 회전부재에 작용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이 때,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위치에 의해, 예를 들어 이동부재의 접촉개수나 이동부재의 제동부재에의 압압력 등이 변화하고, 이동부재와 제동부재의 마찰상태가 다른 상태가 되어 제동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회전부재를 이동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회전부재는, 릴 본체에 대하여 스풀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스풀축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스풀축이 캐스팅콘트롤기구의 조작 등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회전부재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부재와 제동부재의 축방향의 위치관계는 변동하지 않는다. 이 결과, 스풀축이 이동하여도 설정된 제동력은 변동하지 않고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정도 높게 행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부재는, 제동부재의 내주측에 배치되며,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개수가 변화하도록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이동부재의 개수가 변동하여 제동력이 변화한다. 여기서는, 이동부재의 개수를 바꿈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으므로, 제동력의 변화가 단계적으로 되며, 제동력의 변화가 현저하게 된다.
발명 3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제동부재는, 이동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선단이 넓어지는 제동면을 가지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호 다른 이동한계위치까지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동부재의 제동면을 선단이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회전부재로부터의 거리를 축방향에서 변동시킴과 동시에, 이동부재의 이동한계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이동부재가 제동면에 접촉하는 개수를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위치에서 다르게 하고 있다.
발명 4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는, 원통형상의 제동면을 가지며, 복수의 이동부재는, 제동부재에의 접촉위치가 축방향에서 다르도록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이동부재가 제동면에 접촉하는 위치를 축방향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제동면에 접촉하는 개수를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위치에서 다르게 하고 있다.
발명 5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는 원통형상의 제동면을 가지며, 복수의 이동부재는, 회전부재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현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요동축 주위로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의 이동부재는 스풀축 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제동부재에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요동하는 복수의 이동부재가 제동면에 접촉하는 위치를 축방향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이동부재가 제동면에 접촉하는 개수를 회전 부재의 축방향의 위치에서 다르게 하고 있다.
발명 6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제동부재는, 이동부재와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스풀축에 직교하는 환상(環狀)의 제동면을 가지며, 복수의 이동부재는,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동부재에의 압압력이 변화하도록 회전부재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현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요동축 주위로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요동하는 이동부재의 요동축심과 제동면의 거리가 변동하면, 이동부재가 제동면에 접촉할 때의 요동각도가 변화하여 압압력이 변화한다.
발명 7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은 스풀축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부재는 스풀축을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의 내륜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또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수단은 베어링의 외륜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베어링을 통해 회전부재를 상기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 시킨다. 이 경우에는 이동 수단이 베어링의 외륜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외륜 사이의 전동체(轉動體)를 통하여 내륜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륜과 함께 회전부재가 이동한다. 이 때, 내륜은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나, 외륜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회전부재가 회전 중이어도 제동력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8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 수단은, 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의 회동을 스풀축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이동시키는회전캠기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회전캠기구를 회동부재에 의해 회동시키면 회전부재가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회전운동을 간단한 캠기구로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있으므로, 이동수단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발명 9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7 또는 8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연동부재를 조여 잡음으로써 스풀을 제동하는 캐스팅콘트롤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캐스팅콘트롤기구의 조작에 의해 스풀축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동부재의 제동력이 변동하지 않는다.
<발명의 실시형태>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장착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양 베어링 릴은, 주로 루어 낚시에 이용되는 베이트 릴로서, 릴 본체(1)와 릴 본체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판상의 아암부(2a)와, 아암부(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부(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핸들(2)의 아암부(2a)의 외측면은 이음매가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낚시줄이 꼬이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측방에 장착된 제1측커버(6) 및 제2측커버(7)와, 프레임(5)의 상부에 장착된 썸레스트(thumb rest, 10)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8, 9)과, 이들의 측판(8, 9)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핸들(2)측의 제2측커버(7)는 나사에 의해 측판(9)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핸들(2)과 반대측의 제1측커버(6)는 베이어닛 구조(14)에 의해 프레임(5)의 측판(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2)과 반대측의 측판(8)에는, 스풀(12)이 통과 가능한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내에는, 스풀(12)과, 스풀(12)내에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위한 레벨와인드기구(15)와, 써밍을 할 경우의 엄지손가락이 닿게 되는 클러치조작레버 (17)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과 제2측커버(7)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와인드기구(15)에 전하기 위한 기어기구(18)와, 클러치기구(13)와, 클러치조작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기구(13)의 착탈을 위한 클러치착탈기구(19)와, 줄풀기시에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기구(21)와, 스풀축(16)을 양단에서 조여 제동하는 캐스팅콘트롤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개구(8a)에는 캐스팅시에 백래쉬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브레이크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양측부에 접시모양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으며, 양 플랜지부(12a)의 사이에 통형의 줄권취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 스풀(12)은, 줄권취부(12b)의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으며, 보스부 (12c)를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예를 들어 세레이션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6)은, 측판(9)을 관통하여 제2측커버(7)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측커버(7)에 형성된 보스부(29)에 베어링(3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스풀축(16)의 타단은, 원심브레이크기구(23)내에서 베어링(3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벨와인드기구(15)는, 한 쌍의 측판(8, 9)간에 고정된 가이드 통(25)과, 가이드 통(25)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워엄 샤프트(26)와, 라인 가이드(27)를 가지고 있다. 워엄 샤프트(26)의 단부에는, 기어기구(18)를 구성하는 기어(28a)가 고정되어 있다, 또, 워엄 샤프트(26)에는, 나선상의 홈(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라인 가이드(27)가 이 나선상의 홈(26a)에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기어기구(18)를 통하여 워엄 샤프트(26)가 회전됨에 따라, 라인 가이드(27)는 가이드 통(25)에 의해 왕복이동한다. 이 라인 가이드(27)내에 낚시줄이 삽입 통과되어 낚시줄이 스풀(12)에 균일하게 감긴다.
기어기구(18)는,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통형상의 피니언 기어(32)와, 상술한 워엄 샤프트(26)의 단부에 고정된 기어(28a)와, 핸들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기어(28a)에 맞물리는 기어(28b)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측판(9)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중심에 스풀축(16)이 관통하는 통형부재로서, 스풀축(16)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의 우측단부 외주에 형성되어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톱니부 (32a)와 타단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를 가지고 있다. 톱니부(32a)와 맞물림부 (32b)의 사이에는 잘록한 잘록부(32c)가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기어(32)의 단면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며, 거기에 스풀축(16)을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클러치핀(16a)이 걸리게 된다. 여기서는 피니언 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의 오목홈과 스풀축(16)의 클러치핀 (16a)이 이탈하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맞물림부 (32b)의 오목홈과 클러치핀(16a)에 의해 클러치 기구(13)가 구성된다.
클러치조작레버(1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8, 9)사이의 뒷부분에서 스풀(12)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의 측판(8, 9)에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조작레버(17)를 고정하는 클러치캠(미도시)이 이 장공을 관통하고 있다. 클러치조작레버(17)는, 장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클러치착탈기구(19)는, 클러치요크(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탁탈기구(19)는, 클러치조작레버(17)의 회동에 의해 클러치요크(40)를 스풀축의 축심과 평행으로 이동시킨다. 또, 핸들축(30)이 줄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클러치 기구(13)가 온되도록 클러치요크(4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에 있어서, 통상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안쪽의 클러치 결합위치에 위치하여 있고,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클러치핀(16a)이 걸어 맞추어져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요크(40)에 의해 피니언기어 (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클러치핀(16a)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캐스팅콘트롤기구(22)는 보스부(29)의 외주측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바닥부를 가지는 통형의 캡(45)과, 캡(45)의 바닥부에 장착된 마찰브레이크(46)와, 후술하는 브레이크 케이스(55)에 장착된 마찰플레이트(47)를 구비하고 있다. 양 마찰플레이트(46, 47)는, 스풀축(16)의 양단에 접촉하여 스풀축(16)을 조여 잡는 것으로서, 캡(45)을 돌려 양 마찰플레이트(46, 47)에서 발생하는 조임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풀(12)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캐스팅콘트롤기구(22)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하면, 캡(45)에 장착된 마찰플레이트(46)로 스풀축(16)을 마찰플레이트(47) 측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스풀축(16)이 약간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원심브레이크기구의 구성]
원심브레이크기구(2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고정된 제동부재(51)와, 제동부재(51)의 내주측에 동심으로 배치되어 릴 본체(1)에 대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부재(52)와, 회전부재(52)에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예를 들면 6개)의 이동부재(53)와, 회전부재(52)를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기구(54)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재(51)는, 예를 들면 구리계 합금제의 얇은 원통형부재로서, 브레이크 케이스(55)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동부재(51)는, 원통형의 제동면(51a)을 내주면에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5)는, 바닥을 가지는 단통형의 부재로서, 그 내측 바닥부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베어링 가이드부(55a)가 형성되고, 외측바닥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손잡이지지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가이드부(55a)는, 이 내주측에 스풀축(16)을 지지하는 베어링(35a)이 배치되고 캐스팅콘트롤기구(22)의 마찰플레이트(47)가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지지부(55b)는, 이동기구(54)의 후술하는 제동손잡이(7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되어있다. 손잡이지지부(55b)의 외추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원호상의 3개의 관통공(55c)이 형성되며, 손잡이 지지부(55b)의 기단부 외주부에는, 제동손잡이 (70)의 회동량을 규제하기 위한 회동규제돌기(55d)가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5)는, 나사(49, 도 2)에 의해 제1측커버(6)에 고정되어 있다. 결국, 브레이크 케이스(55)는 릴 본체(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5)의 외주면에는, 베이어닛 구조(14)를 구성하는 돌기부(14a)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군데 형성되어 있다. 또, 개구(8a)에는, 이 돌기부(14a)에 대향하는 위치에 걸어멈춤돌기(14b)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멈춤돌기(14b)는 개구(8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52)는,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부재이다. 회전부재(52)는, 스풀축(16)에 회전 불가능하며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부쉬부(56)와, 부쉬부 (56)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 부착대(57)를 가지고 있다.
부쉬부(56)는, 대략 통형의 부재로, 베어링(35a)의 내륜(35c)에 압입되는 소직경의 압입부(58)와, 압입부(58)로부터 대직경의 장착부(59)를 가지고 있다. 압입부(58)는, 내륜(35c)에 압입되어 내륜(35c)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압입부(58)의 내주면은, 스풀축(16)에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부(59)의 내주면은, 스풀축(16)의 외주면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59)에는, 가이드 부착대(57)가 장착되는 소직경부(59a)와, 소직경부(59a)보다 대직경이며 가이드 부착대(57)가 위치 결정 및 회전 멈춤되는 걸어멈춤부(59b)를 가지고 있다. 소직경부(59a)에는, 직경방향을 따라 단(段)이 있는 관통공(59c)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59c)에는 스풀축(16)에 대하여 부쉬부(56)를 회전 멈춤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멈춤핀(60)이 압입되어 있다. 회전멈춤핀(60)의 선단은, 스풀축(16)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형성된 평행한 면취부(16b)에 접촉하고 있어, 이에 의해 부쉬부(56)가 스풀축(16)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걸어멈춤부(59b)에는, 평행한 면취부(59d)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착대(57)는, 부쉬부(56)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원통부(61)와, 제1원통부(61)의 외주부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얇은 두께의 링형의 제1원판부(62)와, 제1원판부(62)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원통부(63)와, 제2원통부(63)의 연장된 일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두꺼운 두께의 링형의 제2원판부(64)를 가지고 있다.
제1원통부(61)의 내주부에는, 부쉬부(56)의 면취부(59d)에 걸어 맞추어지는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면취부(59d)와 구멍(61a)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부착대(57)가 부쉬부(56)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된다. 제1원통부(61)의 일단(도 3 좌단)은, 구멍(61a) 형성부분에서 부쉬부(56)의 장착부(59)의 걸어멈춤부(59b)에 접촉하고 있다. 또, 타단에는, 소직경부(59a)의 단부 외주면에 장착된 멈춤링(66)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착대(57)는, 부쉬부(56)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다. 제1원판부(62)는, 브레이크케이스(55)의 베어링 가이드부(55a)의 선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제2원통부(63)는, 베어링 가이드부 (55a)의 외주면과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원판부(64)의 외주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예를 들면, 6개의 가이드 오목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오목부(64a)는, 이동부재(53)를 수납함과 동시에 이동부재(53)를 제동부재(51)에 접촉 가능한 상태와 접촉 불가능한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오목부(64a)에는, 이동부재(53)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돌기부(64b, 64c)가 대향하는 양 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 오목부(64a)의 바닥부에는, 이동부재(53)를 안내하기위한 가이드축(65)이 직경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64b)는, 이동부재(53)가 가이드축(65)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64c)는, 이동부재(53)가 제동부재(51)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축(65)은 단면이 장원형의 축으로, 이동부재(53)를 회전 불가능하고 직경방향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가이드축(6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축 방향에서 다른, 예를 들면, 2개 위치 중 어느 한 쪽에서 가이드 오목부(64a)의 바닥부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동부재(53)가 제동부재(51)에 접촉할 때에 스풀축 방향으로 2종류의 위치에서 제동부재(51)에 접촉할 수 있다.
이동부재(53)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이동부재(53)는, 회전부재(52)에 직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부재(52)의 스풀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동부재(51)에 다른 수로 접촉하는 것이다. 이동부재 (53)는, 가이드축(65)에 안내되는 직방체 형상의 본체부(53a)와, 본체부(53a)의 내측단부(도 5 하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부(53a)로부터 회전방향의 양방향(도 5에서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걸림돌기(53b)와, 본체부(53a)의 외측단부(도 5에서 상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부(53a)로부터 스풀축 방향의 양방향(도 5에서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접촉부(53c)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53a)의 내부에는, 스풀축(16)의 직경방향을 따라 장원형의 가이드공 (53e)이 관통되어 있고, 이 가이드공(53e)에 가이드축(65)이 끼워져 이동부재(53)가 가이드축(65)에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걸림돌기(53b)는, 가이드오목부(64a)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64b, 64c)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53b)가 돌기부(64b)와 돌기부(64c)의 사이에 배치되면, 돌기부(64b)에 걸려 이동부재(53)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 직경방향 안쪽으로 눌려져 돌기부(64c)보다 안쪽으로 배치되면, 돌기부(64c)에 의해 걸려 제동부재(51)에 접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동부재(51)에 접촉 가능한 이동부재(53)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53c) 중 한 쪽에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접촉볼록부(53d)가 돌출되어 있다. 접촉볼록부(53d)는 제동부재(51)의 내주면(제동면)에 접촉하는 볼록부로, 제동부재(51)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원주방향(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부재(53)의 접촉볼록부(53d)는, 가이드축(65)에의 장착상태를 변경하는 것으로, 제동부재(51)에 대하여 스풀축 방향의 두개의 다른 위치에서 접촉한다. 즉, 도 5a에 실선으로 도시한 제1위치와, 제1위치와 장착상태를 역으로 한 2점쇄선으로 도시한 제2위치이다. 또, 가이드축(65)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축 방향의다른 위치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도 도 5a의 두개의 위치와 다른 제3위치(2점쇄선)와 제4위치(실선)에서, 제동부재(51)에 접촉한다. 이 결과, 이동부재(53)의 접촉볼록부(53d)는, 4개의 다른 스풀축 방향 위치에서 제동부재(51)에 접촉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동력을 4단계로 조정 가능하다. 이 4단계의 제동력은 이동부재(53)의 접촉볼록부(53d)의 방향(장착상태)이나 제동부재(51)에 접촉 가능한 이동부재(53)의 수 등에 의해 자유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3)의 수가, 회전부재(52)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6-4-3-1의 순으로 변화한다. 이 이동부재(53)가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각 단계에서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하는 사람의 기호나 사용하는 루어의 종류 또는 무게 등에 의해 자유로 변경 가능하다.
이동기구(5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동손잡이(70)와, 제동손잡이(70)의 회동을 스풀축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회전부재(52)를 왕복 이동시키는 회전캠기구(74)를 가지고 있다.
제동손잡이(70)는, 브레이크케이스(55)의 손잡이지지부(55b)에 장착되어 있으며, 손잡이지지부(55b)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볼트(76)에 의해 와셔(77)를 사이에 두고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동손잡이(70)는, 손잡이지지부(55b)에 장착되는 통형의 보스부(71)와, 보스부(71)의 외주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통형의 캠부(72)와, 보스부(71)와 캠부(72)를 잇는 원판상의 조작부(73)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71)와 손잡이지지부(55b)의 사이에는, 제동손잡이(70)를 원주방향의 4군데에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기구(75)가 장착되어 있다. 보스부(71)의 선단에는, 절결부(71a)가 원주방향으로 1군데 형성되어 있어, 이 절결부(71a)가 손잡이지지부(55b)에 형성된 회전규제돌기(55d)에 걸림으로써, 제동손잡이(70)의 회동 범위가, 예를 들면, 75도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캠부(72)에는, 예를 들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군데의 두꺼운 부분(厚肉部, 72a)이 형성되어 있다. 두꺼운 부분(72a)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방향의 안쪽으로 팽창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두꺼운 부분(72a)에 회전캠기구(74)를 구성하는 캠홈(80)이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캠홈(80)은, 축방향 및 원주방향의 다른 위치에 등간격으로 소정의 원주방향 길이로 형성된 4개의 제동홈(80a~80d)과, 각 제동홈(80a~80d)을 연결하는 경사홈(80e)을 가지고 있으며, 대략 캠부(72)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73)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돌출부(73a, 73b)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한 쪽의 돌출부(73b)에는, 지침(指針)(73c)이 직경방향을 따르는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측커버(6)의 지침(73c)의 주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부터 4까지의 문자가 각인 되어 있어, 지침(73c)이 가리키는 숫자가 제동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회전캠기구(74)는, 캠부재(85)와, 베어링지지부재(86)를 구비하고 있다. 캠부재(85)는, 링형상부(87)와, 링형상부(87)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캠핀(8)과, 링형상부(87)로부터 관통홈(55c)을 관통하여 브레이크케이스(55)의 내부로 연장하는 3개의 돌출부(89)를 구비하고 있다. 링형상부(87)는, 제동손잡이(70)의 보스부(71)의 외주측에 배치되며, 보스부(71)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핀(88)은, 환봉형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제동손잡이(70)의 두꺼운 부분(72a)에 형성된 캠홈(80)에 두꺼운 부분(72a)과 다른 부분과의 경계부분으로부터 결합 가능하다. 즉, 캠핀(88)의 돌출길이는, 두꺼운 부분(72a)과 다른 부분과의 차보다 약간 짧다. 돌출부(89)는, 원통의 일부를 구성하는 듯한 외주면과 내주면을 가지고 있으며, 외주면의 선단측에 수나사부(89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89)가 관통홈(55c)을 관통함으로써, 캠부재(85)는, 릴본체(1)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캠핀(88)과 캠홈(80)의 결합에 의해, 제동손잡이(70)의 회동이 회전캠기구(74)의 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캠핀(88)이 4군데의 제동홈(80a~80d)에 걸어 맞추어지면, 축방향의 4군데에서 회전캠기구(74)가 위치 결정된다.
베어링지지부재(86)는, 원통형의 부재로, 베어링가이드부(55a)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지지부재(86)는, 선단 내주부에 수나사부(89a)에 결합하는 암나사부(86a)를 가지고 있다. 또, 암나사부(86a)에 연속하여 베어링 (35a)을 수납하는 수납공간(86b)을 내부에 가지고 있다. 이 수납공간(86b)에 베어링(35a)을 장착한 상태에서, 베어링지지부재(86)를 캠부재(85)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베어링(35a)의 외륜(35d)이 베어링지지부재(86)와 캠부재(85)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 베어링(35a)의 내륜(35c)에는 부쉬부(56)가 압입되어 있다. 이 결과, 회전캠기구(74)와 회전 부재(52)가 베어링(35a)을 통하여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캠기구(7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베어링(35a)을 통하여 회전부재(5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재(53)가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위치가 축방향으로 변화한다. 이 때, 베어링(35a)을 통하여 양자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52)가 회전하여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결과, 회전하는 회전부재(52)를 간단한 구성으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캠핀(88)이 제동홈(80a)에 결합하면, 도 3에 도시한 스풀(12)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로 회전부재(52)에 배치되며,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3)의 수가 최대가 되어, 제동력이 최대로 된다. 또, 제동홈(80c)에 결합하면, 도 6에 도시한 위치로 회전캠기구(74)가 전진하여 회전부재(52)가 가장 스풀(12)에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며,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3)의 수가 최소로 되어 제동력이 최소가 된다.
[릴의 동작]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요크(40)는, 안쪽으로 눌려져 있어 클러치 온 상태이다. 이 결과,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메인기어(31), 피니언 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하여 스풀(12)에 전달되며, 스풀(12)이 줄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원심브레이크기구(23)의 이동부재(53)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이동부재(53)가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나, 스풀(12)의 회전속도가 늦기 때문에 제동력이 그만큼 커지지 않아서, 핸들(2) 회전에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만약 제동력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면, 제동손잡이(70)를 회전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제동력이 약한 위치에 회전부재(52)를 배치하면 된다.
캐스팅을 할 경우에는, 백래쉬를 억제하기 위하여 제동손잡이(70)를 회동시켜 제동력을 조정한다. 제동손잡이(70)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캠기구(74)가 스풀(12)측으로 전진하고,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3)의 수가 서서히 감소하여 제동력이 서서히 약하게 된다. 그리고, 지침(73c)이 숫자 [1]을 나타내는 위치까지 제동손잡이(70)가 회전하면, 도 6에 도시한 위치에 회전부재(52)가 배치되며, 제동력이 가장 약하게 된다.
계속해서, 클러치조작레버(17)를 하방으로 누른다. 클러치조작레버(17)의 이동에 의해 클러치 요크(4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피니언 기어(32)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아서, 스풀 (12)은 자유회전 상태가 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로서 클러치조작레버(17)에 놓인 엄지로 스풀을 써밍하면서 스풀축(16)이 수직면을 따르도록 릴을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낚시대를 흔들면 루어가 던져져 스풀(12)이 줄풀기 방향으로 강하게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풀(12)의 회전에 의해 스풀축(16)이 줄풀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이 회전부재(52)에 전달된다. 회전부재(52)가 회전하면, 이동부재(53)가 제동부재(51)에 미끄럼 접촉하여 원심브레이크기구(23)에 의해 스풀 (12)이 제동되어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만일 스풀(12)에서 백래쉬가 발생하여도, 제1측커버(6)가 베이어닛구조 (14)에 의해 간단하게 착탈될 수 있으므로, 백래쉬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 무게가 다른 루어로 바꿔 달 경우에는, 루어의 무게에 따라 제동손잡이(70)를 회동시켜 제동력을 4단계로 조정한다. 여기서는, 외부에 노출된 제동손잡이 (70)를 회동하는 것만으로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또 제동력을 조정하면,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3)의 수가 변화하므로, 제동력의 차이가 명확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5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으므로, 캐스팅콘트롤기구(22)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하여도 회전부재(52)와 제동부재(51)의 스풀축 방향의 상대위치가 변화하지 않고 원심브레이크기구(23)에 의한 제동력이 변화하는 일이 없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캠기구(74)에 의해 회전부재(52)를 이동시켰으나, 나사 등의 다른 변환기구에 의해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b)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52)에 가이드축(65)을 경사지게 방사상으로 마련함과 동시에, 이동부재(53)의 가이드축방향의 이동량을 각각의 가이드축(65)마다 다른 양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동부재(51)의 제동면(51a)은, 선단이 넓어지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원추대 형상의 내주면이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도, 이동기구(54)에 의해 회전부재(52)를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재(53)의 이동한계위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 (53)의 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c)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동부재(53)를 회전 부재(52)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또 현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요동축 주위로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여도 좋다. 여기서, 이동부재(53)에는 스풀축 방향의 다른 위치에 원통형의 제동부재(51)의 제동면(51a)에 접촉하는 접촉볼록부(53d)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도, 회전부재(5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제동부재 (51)에 접촉하는 접촉볼록부(53d)의 수가 변화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d)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부재(51)를 스풀축에 직교하는 환상의 제동면(51a)을 가지며, 브레이크케이스(55)의 벽면에 고정된 링형상의 부재로 구성하고, 복수의 이동부재(53)를 회전부재(52)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또, 현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요동축(50) 주위로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요동하는 이동부재(53)의 요동축(50)의 축심과 제동부재(51)의 제동면(51a)의 거리가 변화하면, 이동부재(53)가 제동면(51a)에 접촉할 때의 요동각도가 변화한다. 이에 의해 이동부재(53)의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가 변화하고, 제동부재(51)에의 압압력이 변화하여 제동력이 변화한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축(16)을 캐스팅콘트롤기구(22)에 의해 제동하고 있으나, 레벨와인드기구(15)가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경우에는, 레벨와인드기구(15)에 캐스팅콘트롤기구(22)를 마련함과 동시에 원심브레이크기구(23)를 레벨와인드기구(15)에 마련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위치에 따라 이동부재와 제동부재의 마찰상태가 다른 상태가 되어 제동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회전부재를 이동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회전부재는 릴 본체에 대하여 스풀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스풀축에 대하여도 상대 이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스풀축이 캐스팅콘트롤기구의 조작 등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해도, 회전부재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부재와 제동부재의 축방향의 위치관계는 변동하지 않는다. 이 결과, 스풀축이 이동하여도 설정된 제동력은 변동하지 않고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정도높게 행할 수 있다.

Claims (9)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스풀을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로서,
    상기 릴 본체에 고정된 제동부재와,
    상기 제동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스풀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부재와,
    상기 스풀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전체로서 제동시에 상기 제동부재에 다른 마찰상태로 접촉 가능한 복수의 이동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기 제동부재의 내주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개수가 변화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선단이 넓어지는 제동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호 다른 이동한계위치까지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원통형상의 제동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기 제동부재에의 접촉위치가 축방향에서 다르도록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원통형상의 제동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현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요동축 주위로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풀축 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와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풀축에 직교하는 환상의 제동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에의 압압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현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동축 주위로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스풀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스풀축을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의 내륜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또 상기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베어링의 외륜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베어링을 통해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상기 스풀축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캠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을 조여 잡음으로써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캐스팅콘트롤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KR1020000038275A 1999-07-07 2000-07-05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KR100671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93073 1999-07-07
JP19307399A JP3747429B2 (ja) 1999-07-07 1999-07-07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903A true KR20010066903A (ko) 2001-07-11
KR100671948B1 KR100671948B1 (ko) 2007-01-19

Family

ID=1630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275A KR100671948B1 (ko) 1999-07-07 2000-07-05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93483B1 (ko)
JP (1) JP3747429B2 (ko)
KR (1) KR100671948B1 (ko)
MY (1) MY116083A (ko)
TW (1) TW4480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2498B1 (en) * 2000-09-05 2002-07-23 W. C. Bradley/Zebco Holdings, Inc.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with infinite control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510728B1 (ko) * 2012-05-04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JP6368529B2 (ja) * 2014-04-28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用の制動板組、及び釣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用の制動板組を備えた釣用リール
US9999210B1 (en) 2015-03-10 2018-06-19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Micro external adjustable spool braking system
KR101744597B1 (ko) * 2015-11-23 2017-06-20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
JP6886344B2 (ja) * 2017-05-17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235633B1 (ko) * 2019-01-31 2021-04-05 주식회사 바낙스 텐션 조정노브 이탈방지구가 구비된 베이트 캐스트 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2512B (sv) * 1980-03-18 1984-04-09 Abu Ab Centrifugalbromsanordning vid fiskerulle
JP2538904Y2 (ja) * 1991-07-10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遠心ブレーキ機構
US5362011A (en) * 1991-12-16 1994-11-08 Shimano Inc. Baitcasting reel having an improved centrifugal brake
JP2572095Y2 (ja) * 1992-01-2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929517B2 (ja) * 1994-04-01 1999-08-0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US5996921A (en) * 1997-03-06 1999-12-07 Ryobi Limited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for baitcasting reel
US6086005A (en) * 1997-03-11 2000-07-1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magnetic force spool rotational-speed control during spool free rotational state
US5950949A (en) * 1997-04-25 1999-09-14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US6003798A (en) * 1997-11-14 1999-12-21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US5984221A (en) * 1998-10-21 1999-11-16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JP2000354442A (ja) * 1999-06-16 2000-12-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93483B1 (en) 2001-09-25
JP3747429B2 (ja) 2006-02-22
KR100671948B1 (ko) 2007-01-19
TW448034B (en) 2001-08-01
JP2001017043A (ja) 2001-01-23
MY116083A (en) 200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773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원심 제동 장치
KR100616144B1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100646438B1 (ko)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US4572455A (en) Fishing reel with reversible crank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US9282731B2 (en) Dual-bearing reel spool braking device
KR20040036564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EP1425966B1 (en) Fishing reel component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US9545089B2 (en) Dual-bearing reel spool braking device and a dual-bearing reel
KR20010066838A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JP2002084938A (ja) フィシングリール用のブレーキ装置
KR100638864B1 (ko)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JPH10304799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KR102656379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EP0711500B1 (en) Spinning reel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KR910002679Y1 (ko) 양베아링 릴의 드랙기구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3747431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5857631A (en) Spinning reel with bushing including tiltable flange
JP2004298006A (ja) 魚釣用リール
US10609917B2 (en) Dual-bearing reel
JP2001017044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H11266758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