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787A -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787A
KR20010066787A KR1020000024622A KR20000024622A KR20010066787A KR 20010066787 A KR20010066787 A KR 20010066787A KR 1020000024622 A KR1020000024622 A KR 1020000024622A KR 20000024622 A KR20000024622 A KR 20000024622A KR 20010066787 A KR20010066787 A KR 20010066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pool
axial direction
rotating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438B1 (ko
Inventor
가와사키겐이치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조
Publication of KR2001006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7Centrifugal

Abstract

양 축수릴의 원심 브레이크기구에 있어서,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가 개시된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스풀(12)을 제동하는 기구로서, 회전부재(66)와, 복수의 제동부재(68)와, 고정부재(67)와, 연결핀(24)과, 제동력 조정기구(69)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재는 축수수납부(64a)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된다. 복수의 제동부재는, 회전부재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다. 고정부재는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브레이크 케이스(64)에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한다. 연결 핀은 스풀축(16)에 회전부재를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제동력조정기구는, 고정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제동부재가 고정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Description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Brake apparatus in reel having dual bearings}
본 발명은 제동장치, 특히 양 축수릴의 스풀을 제동하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루어 낚시에 사용되는 미끼 릴이라 불리우는 양 축수릴에서는, 캐스팅시 스풀의 회전속도가 낚시줄풀림 속도보다 빨라지는 백 러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동력을 스풀에 작용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동장치로서 스풀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원심제동기구와, 스풀축의 양단을 끼워 지지함으로써 스풀축을 기계적으로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동장치의 원심제동기구에 있어서, 릴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일본특허공개 평 10-30479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원심제동기구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동부재와, 제동부재의 선단에 접촉가능한 고정부재와, 제동력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제동부재는, 회전부재에 현(弦)방향에 따라 축회전방향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원심력에 의해 스풀 축심(軸芯)을 통과하는 면내에서 요동한다. 고정부재는, 스풀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릴본체에 장착되고, 원심력에 의해 요동된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하다. 제동력 조정기구는, 고정부재를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제동부재가 고정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이다.
상기 종래의 원심 제동기구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제동부재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제동부재가 스풀축 바깥쪽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고정부재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제동력 조정기구에 의해 고정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부재에 제동부재가 접촉할 때의 요동각도에 따라 모멘트가 변화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스풀축의 양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쌍의 마찰 플레이트와, 마찰 플레이트에 의한 끼움력을 조절하기 위해 릴본체에 나사결합하여 마련된 캡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캐스팅 컨트롤 기구에서는, 캡을 돌림으로써 스풀축을 한쪽의 마찰플레이트에 의해 다른 한 쪽의 마찰플레이트측에 눌러 스풀축을 제동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제동장치에서는, 캐스팅 컨트롤기구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하면스풀축이 약간 이동한다. 스풀축이 이동하면, 그에 따라 원심력 제동기구의 회전부재도 제동부재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릴본체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고정부재와의 간격이 이동전과 다른 간격이 되어 제동부재의 요동각도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캐스팅 컨트롤 기구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하면, 고정부재를 축방향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여도 원심제동기구의 제동력이 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원심 제동기구에서는, 스풀축이 이동하면 제동력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발명 1에 따른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는, 양 축수릴의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을 제동하는 장치로서, 회전부재와, 복수의 제동부재와, 고정부재와, 연결수단과, 제동력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재는,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된 부재이다. 복수의 제동부재는, 회전부재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부재이다. 고정부재는,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릴본체에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 제동부재에 다른 마찰상태로 접촉가능한 부재이다. 연결수단은, 스풀과 연동하는 연동부재에 회전부재를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단이다. 제동력 조정수단은, 고정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제동부재가 고정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부재이다.
이러한 제동장치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스풀축과 스풀 자신을 포함하는 연동부재가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부재에 회전할 수 없도록 연결된 회전부재가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제동부재가 원심력에 의해 고정부재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동부재가 고정부재에 접촉하면, 제동부재와 고정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제동력이 회전부재에 작용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이 때, 고정부재의 축방향의 위치에 의해, 고정부재와 제동부재와의 마찰상태가 다른 상태로 되어 제동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고정부재를 제동력 조정수단에 의해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는,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되며, 연동부재에 대하여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풀축 등의 연동부재가 연동부재의 덜거덕거림이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등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회전부재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고정부재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고정부재와의 간격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동부재가 이동하여도 설정된 제동력은 변동하지 않아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은 연동부재로서의 스풀축에 회전할 수 없도록 연결되어 있고, 연결수단은 스풀축에 마련되어 회전부재를 스풀축에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이 회전하면 스풀축이 회전함과 동시에 연결수단을통해 회전부재를 회전할 수 없도록 하고, 제동부재가 고정부재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이 때, 스풀축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회전부재는 연결수단에 의해 스풀축에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스풀축의 덜거덕거림이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에 의해 스풀축이 이동하여도 제동력은 변동되지 않는다.
발명 3에 따른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회전부재의 외주측에 회전부재와 동심(同芯)에 배치된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추형상의 제동면을 내주면에 가지고, 제동부재는 제동면의 내주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이동한계위치까지 이동가능하도록 회전부재에 장착되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면에 접촉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부재의 제동면이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추형상이므로, 고정부재를 회전부재에 접근시킴에 따라 제동부재와 제동면과의 접촉원의 직경이 작아져 제동면에 대한 제동부재의 이동거리가 짧아진다. 이 때문에, 이동한계위치가 회전부재에 가까운 제동부재라도 제동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접촉가능한 제동부재의 수가 차차 증가하여 제동력이 커진다. 반대로 고정부재를 회전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면, 제동력이 서서히 작아진다. 이 때, 연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회전부재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와의 거리는 변화하지 않아 접촉원의 직경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동력은 변화하지 않는다.
발명 4에 따른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는, 제동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동부재가 제동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맞닿으므로, 원심력의 제동면에 수직인 만큼 힘이 제동을 위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수직항력이 되므로, 원심력이 효율적으로 제동력으로 변환된다.
발명 5에 따른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3 또는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릴 본체에 스풀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동면이 마련된 원추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본체부를 가지며, 제동력 조정수단은 릴 본체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릴 본체의 외부에 노출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이동을 본체부의 스풀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된 손잡이부를 이동시키면, 릴 본체에 지지된 고정부재의 본체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동력을 릴 본체의 외부로부터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는, 회전부재에 회전부재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현방향에 따른 축회전방향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무게중심위치는 요동중심보다 스풀측에 배치되어 있고, 고정부재는 제동부재의 선단부에 접촉가능하면서 또한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대략 직교하는 고리모양의 제동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이 회전하면 회전부재에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제동부재의 선단부가 고정부재 쪽으로 요동하고, 고정부재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이러한 제동력은, 고정부재에 접촉하였을 때의 제동부재의 요동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연동부재가 회전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회전부재는 그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접촉시의 요동각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는, 발명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연동부재를 끼워 지지함으로서 스풀을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에 의해 연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동부재의 제동력이 변동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 축수릴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단면평면도이고,
도 3은 그 스풀 주변부의 단면확대도이고,
도 4는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회전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제동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12 스풀
16 스풀축
22 캐스팅 컨트롤 기구
23 원심 브레이크 기구
24 연결 핀
64 브레이크 케이스
65 회전지지부
66 회전부재
67 고정부재
68,86 제동부재
69 제동력 조정기구
70, 70a 브레이크 라이너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장착된 양 축수릴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양 축수릴은 주로 루어 낚시에 사용되는 미끼 릴로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판형상의 아암부(2a)와, 아암부(2a)의 양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손잡이(2b)를 갖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핸들(1)의 아암부(2a)의 외측면은 이음매가 없는 매끈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낚시줄이 엉키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측방에 장착된 제1 측커버(6) 및 제2 측커버(7)와, 프레임(5)의 앞부분에 개폐가능하도록 장착된 앞 커버(10)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측판(8, 9)과, 이들 측판(8, 9)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1)를 가지고 있다.
핸들(2)측의 제2 측커버(7)는 나사에 의해 측판(9)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핸들(2)과 반대측의 제1 측커버(6)는 프레임(5)의 측판(8)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측커버(6)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공기모양의 커버부재(6a)와, 커버 본체(6a)에 나사고정된 브레이크 케이스(64)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64)에 대하여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스풀(12)내에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서밍을 행할 경우 엄지손가락이 놓이는 섬레스트(thumb rest;17)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과 제2 측커버(7)와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기구(18)와, 클러치기구(13)와, 섬레스트(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기구(13)의 결합 또는 이탈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결합/이탈기구(19)와, 드래그 기구(21)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5)과 제1 측커버(6)와의 사이에는, 캐스팅시의 백 러쉬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 부분의 구성]
스풀(12)은 양측부에 접시모양의 브러시부(12a)를 가지고 있으며, 양 브러시부(12a)의 사이에 관모양의 실감기몸체부(12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스풀(12)은 실감기몸체부(12b)의 내주측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관모양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으며, 보스부(12c)를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예컨대 세레이션결합에 의해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방법은 세레이션 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키결합이나 스프라인 결합 등 각종의 결합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16)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커버(7)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커버(7)에 형성된 보스부(29)에 축수(35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16)의 타단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23) 내에서 축수(35a)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들 축수(35a, 35b)는 시일드 볼 베어링이다. 스풀축(16)은 스풀(12)이 고정되는 중앙부의 대직경부분(16a)과, 그 양단에 현성된 두 개의 소직경부분(16b, 16c)를 가지고 있다.
대직경부분(16a)은 스풀(12)의 실감기몸체부(12b)의 내부공간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 외주면에는 스풀(12)을 고정하기 위한 세레이션(16d)이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분(16a)의 도 3의 우측단에는 클러치기구(13)를 구성하는 평행한 면취부(16e)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소직경부분(16c)의 외주측에는,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회전부재(66)가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부재(66)는 축수(35a)에 의해 브레이크 케이스(64)에 지지되어 있다. 소직경부분(16c)의 도 3 우측단에는 회전부재(66)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24)이 장착되어 있다. 연결핀(24)은, 소직경부분(16c)의 우측단부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회전부재(66)를 스풀축(1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이 결과, 스풀축(16)의 타단은 회전부재(66)를 통해축수(35a)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우측의 소직경부분(16b)에는, 피니온기어(32)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소직경부분(16b)의 선단부는 축수(35b)에 의해 보스부(29)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의 양단은 회전저항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구형상면으로 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1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8, 9)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관(25)과, 가이드관(25)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웜샤프트(26)와, 라인가이드(27)를 가지고 있다. 웜샤프트(26)의 단부에는, 기어기구(18)를 구성하는 기어(28a)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웜 샤프트(26)에는 나선형 홈(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라인가이드(27)가 이 나선형 홈(26a)에 맞물려져 있다. 이 때문에, 기어기구(18)를 통해 웜샤프트(26)가 회전되어짐으로써, 라인가이드(27)는 가이드관(25)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이 라인가이드(27) 내에 낚시줄이 관통한 상태로 삽입되어 낚시줄이 스풀(12)에 균일하게 감겨 붙는다.
기어기구(18)는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기어(31)와,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관모양의 피니온기어(32)와, 상술한 웜 샤프트(26) 단부에 고정된 기어(28a)와, 핸들축(30)에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며, 기어(28a)에 맞물리는 기어(28b)를 가지고 있다.
피니온 기어(3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9)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중심에 스풀축(16)에 관통하는 관모양 부재로서, 스풀축(16)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피니온 기어(32)는, 도 3 우단측 외주부에 형성되며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톱니(32a)와, 타단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와, 톱니부(32a)와 맞물림부(32b)와의 사이에 형성된 잘록부(32c)를 가지고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온기어(32)의 단면에 형성된 타원형의 오목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스풀축(16)의 대직경부분(16a)의 단부에 형성된 면취부(16e)가 맞물림고정된다. 여기서는 피니온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의 오목구멍과 스풀축(16)의 면취부(16e)가 이탈하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력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맞물림부(32b)의 오목구멍과 면취부(16e)에 의해 클러치 기구(13)가 구성된다.
섬레스트(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8, 9) 사이의 뒷부분에서 스풀(12)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조작 레버를 겸하고 있다. 프레임(5)의 측판(8, 9)에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섬레스트(17)가 이 장공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섬레스트(17)는 장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클러치 결합/이탈기구(19)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요크(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결합/이탈기구(19)는 섬레스트(17)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 요크(40)를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그리고, 핸들축(30)이 실감기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클러치기구(13)가 온되도록 클러치요크(40)를 이동시킨다. 클러치 요크(40)는, 스풀축(16)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핀(41)(한쪽만 도시)에 의해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은 클러치 요크(40)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즉,스풀축(16)이 회전하여도 클러치 요크(40)는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는 그 중앙부에 피니온 기어(32)의 잘록부(32c)에 맞물림결합하는 맞물림결합부(40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클러치 요크(40)를 지지하는 각 핀(41)의 외주에서 클러치 요크(40)와 제2 측커버(7)와의 사이에는 스프링(42)이 배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요크(40)는 스프링(42)에 의해 항상 안쪽(클러치 맞물림결합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통상상태에서는 피니온기어(32)는 안쪽의 클러치 맞물림결합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면취부(16e)가 맞물림결합되어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0)에 의해 피니온 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면취부(16e)와의 맞물림결합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상태로 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기어(31)에 눌려지는 마찰플레이트(45)와, 스타 드래그(3)의 회전조작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45)를 메인기어(31)에 소정의 힘으로 누르기 위한 누름판(46)을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의 양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16)의 끼움력을 조절하기 위한 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브레이크 케이스(64) 내에 장착되어 있다. 캡(52)은 보스부(29)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에서는, 캡(52)을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캡(52)이 도 3 좌측으로 전진하여 스풀축(16)이 캡(52)측의마찰플레이트(51)에 의해 눌려져 도 3 좌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한쌍의 마찰플레이트(51)의 끼움력이 강해져 스풀(12)에 대한 제동력이 커진다. 캡(52)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캡(52)이 도 3 우측으로 후퇴하여 스풀축(16)이 브레이크 케이스(64)측의 마찰플레이트(51)의 탄성에 의해 도 3 좌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한쌍의 마찰 플레이트(51)의 끼움력이 약해져 스풀(12)에 대한 제동력이 작아진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커버(6)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케이스(64)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64)는, 릴 본체(1)를 구성하는 바닥이 있는 짧은 관모양의 부재로서, 커버 본체(6a)에 예컨대 두 개의 나사(75a, 75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64)는, 측판(8)에 형성된 스풀(12) 통과용 원형의 개구(8a)의 주위에서 베이어닛(bayonet) 구조(14)에 의해 측판(8)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결과, 제1 측커버(6)가 측판(8)에 착탈가능해진다. 브레이크 케이스(64)의 바닥부 중심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관모양의 축수수납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축수수납부(64a)에 스풀축(16) 및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회전부재(66)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축수(35a)가 수납되며, 그 축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바닥면에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마찰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축수 수납부(64a)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된 회전부재(66)와, 회전부재(66)에 장착된 복수의 제동부재(68)와, 제동부재(68)에 다른 마찰상태로 접촉가능한 고정부재(67)와,연결핀(24)과, 제동부재(68)가 고정부재(67)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동력 조정기구(69)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재(66)는, 축수수납부(64a)에 축수(35a)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회전부재(66)는, 스풀축(16)에 연결핀(24)에 의해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 회전부(71)와, 회전부(71)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예컨대 6개의 가이드축(72)을 가지고 있다. 회전부(71)는, 스풀축(16)의 소직경부분(16c)의 외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관모양부(71a)와, 관모양부(71a)의 도 3 우측단 외주부에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 할 수 없도록 장착된 가이드 장착부(71a)를 가지고 있다. 관모양부(71a)의 도 3 좌단에, 축수(35a)가 장착되어 있다. 관모양부(71a)의 중간부에는, 축수(35a)의 내륜과 가이드 장착부(71b)에 끼워진 대직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단에는 연결핀(24)에 맞물림고정되는 한쌍의 맞물림고정홈(7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고정홈(71c)의 축방향 길이는 연결핀(24)의 직경보다 길고 또한 맞물림고정홈(71c)의 바닥부와 연결핀(24)과의 사이는 축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부재(66)는 스풀축(1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회전부재(66)는, 이와 같이 연결핀(24)에 의해 스풀축(1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또한 축수수납부(64a)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 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부재(66)는,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그러나, 스풀축(16)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회전부재(66)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가이드 장착부(71b)는, 내주측이 관모양부(71a)에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된 원판부(71d)와, 원판부(71d)의 외주측으로부터 축수수납부(64a)의 외주측 쪽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선단에 가이드축(72)이 내부에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된 축장착부(71e)를 가지고 있다. 축장착부(71e)는 두께가 두꺼운 원판형상의 부재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축(72)의 설치부분의 주위에는 지름방향의 길이가 다른 6개의 규제공간(90a∼90f)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공간(90a∼90f)의 중심부에 가이드축(72)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규제공간(90a∼90f)의 외주측에는 제동부재(68)가 이동가능한 개구(9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동부재(68)는, 기단측(基端側)에 턱부(68a)를 갖는 원기둥모양의 부재로서, 회전부재(66)의 가이드축(7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원심력에 의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턱부(68a)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부재(68)가 원심력에 의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규제공간(91a∼90f)의 개구(91)부분에 맞물림고정되어 그 이상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 결과, 제동부재(68)는 각각 다른 거리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가능하다. 제동부재(68)의 선단부에는 고정부재(67)에 장착된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하는 접촉면(68b)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68b)은, 브레이크 라이너(70)를 따라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규제공간(90a)의 개구(91)까지의 지름방향의 길이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67)가 가장 회전부재(66)로부터 떨어져 있는 후퇴위치에 있을 때외주측으로 이동한 제동부재(68)의 선단이 브레이크 라이너(70)에 맞닿을 수 없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공간(90f)의 길이는, 고정부재(67)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외주측으로 이동한 제동부재(68)의 선단이 브레이크 라이너(70)에 맞닿을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의 규제공간(90b∼90e)의 길이는, 예컨대 그 사이에서 같은 간격으로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고정부재(67)는, 회전부재(66)의 외주측에 배치된 관부(67a)와 관부(67a)의 내주측에 일체형성되고, 축수수납부(64a)에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부(67b)를 가지는 관모양의 부재이다. 관부(67a)의 내주면에는 스풀(12) 쪽으로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면을 갖는 브레이크 라이너(70)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관부(67a)의 외주면의 선단부에는 맞물림고정돌기(67c)가 지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맞물림고정돌기(67c)는 브레이크 케이스(64)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맞물림고정홈(64b)에 맞물림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고정부재(67)는, 브레이크 케이스(64), 즉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67b)는, 축수수납부(64a)에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지지부(67b)의 외측측면에는 제동력 조정기구(69)를 구성하는 캠돌기(92)가 형성되어 있다. 캠돌기(92)는 원호상의 돌기로서, 그 돌출량이 둘레방향의 일방향을 따라 차차 커지도록 되어 있다.
제동력 조정기구(69)는, 고정부재(67)를 앞뒤(스풀축방향)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브레이크 케이스(6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손잡이부(80)와, 손잡이부(80)의 회전을 고정부재(67)의 전후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81)를가지고 있다. 손잡이부(80)는, 제1 측커버(6)로부터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릴 본체(1)의 외부로부터 조작가능하다. 손잡이부(80)는, 예컨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7단계로 회전위치가 위치결정된다. 즉, 제동해제위치와 6개의 제동위치이다. 손잡이부(80)의 우측단면에 있어서, 캠돌기(9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변환기구(81)를 구성하는 원호상의 캠돌기(93)가 형성되어 있다. 캠돌기(93)는, 그 돌출량이 둘레방향의 다른방향을 따라 차차 커져 캠돌기(91)와 반대의 돌출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캠돌기(93)에 고정부재(67)의 캠돌기(92)의 선단이 맞닿아 있다. 변환기구(81)는, 이 두 캠돌기(92, 93)와, 리턴 용수철(94)로 구성되어 있다. 리턴 용수철(94)은, 지지부(67b)와 축수수납부(64a)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된 턱부(64c)와의 사이에서 축수수납부(64a)의 외주측에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부재(67)를 도 3 좌측(후퇴위치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있다.
이 제동력 조정기구(69)에서는, 손잡이부(8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돌기(93)에 캠돌기(92)가 올라앉아 고정부재(67)가 도 3 우측으로 전진한다. 반대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67)가 리턴 용수철(94)에 의해 탄성가압되어 후퇴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라이너(70)가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67)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너(70)와 제동부재(68)와의 접촉원의 직경이 변화한다. 이에 따라,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하기까지의 이동거리가 변화하고,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가능한 제동부재(68)의 수가 변화하여 제동력을 릴 본체(1)의 외부로부터 간단히 조정할수 있다.
여기서는 예컨대, 손잡이부(80)를 제동해제위치에 조작하여 고정부재(67)를 후퇴위치에 배치하면 모든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할 수 없어 제동력은 스풀(12)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 상태를 도 3의 중심선의 하측에 나타내고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손잡이부(80)를 회전시켜 고정부재(67)를 서서히 전진시켜 회전부재(66)에 접근시키면,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하고 또한 고정부재(67)의 전진량에 따라 접촉하는 제동부재(68)의 수가 증가한다. 이 결과,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제동력이서서히 증가한다. 그리고, 도 3의 중심선의 상측 및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진위치에 도달하면 모든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가능해져 제동력이 최대로 된다.
여기서, 원심력은 회전속도의 2승에 비례하여 커지므로,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 있어서의 고정부재(67)의 각 위치에서의 제동력은 회전속도의 2승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 손잡이부(80)의 조정에 의해 얻어진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제동력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에 의해 제동력을 변경하여도 변동되기 어렵다. 이것은, 회전부재(66)가 스풀축(16)에 회전할 수 없도록 직접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결핀(24)을 통해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릴 본체(1)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스풀축(16)이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조정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핀(24)은 축방향으로 이동하나, 회전부재(66)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 결과, 손잡이부(80)에 의해 조정된 고정부재(67)와 회전부재(66)와의 간격은 스풀축(16)이 이동하여도 변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제동력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에 의해 제동력을 변경하여도 변동되기 어렵다.
[릴의 동작]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40)는 스프링(42)에 의해 안쪽(도 3 왼쪽)으로 눌려져 있고, 이에 따라 피니온 기어(32)는 맞물림결합위치로 이동시켜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온기어(32)의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면취부(16e)가 맞물려 클러치온상태로 되어 있고,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메인기어(31), 피니온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해 스풀(12)에 전달되고, 스풀(12)이 실감기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제동부재(68)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제동부재(68)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지만, 스풀(12)의 회전속도가 느리므로, 제동력은 그다지 커지지 않아 핸들(2)의 회전의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만약 제동력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면, 손잡이부(80)에 의해 고정부재(67)를 후퇴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그 결과, 모든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970)에 맞닿을 수 없어, 스풀(12)에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 의한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캐스팅을 행할 경우에는, 백 러쉬를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부(80)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한다. 손잡이부(80)를 회전시켜 고정부재(67)를 서서히 전진시키면,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하고 또한 전진량에 따라 그 접촉가능한 제동부재(68)의 수가 증가한다. 이 결과,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제동력이 서서히증가한다. 그리고, 전진위치에 도달하면 모든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가능해져 제동력이 최대로 된다.
계속해서, 섬레스트(17)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여기서는, 섬레스트(17)는, 측판(8, 9)의 장공을 따라 아래쪽의 이탈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섬레스트(17)의 이동에 의해 클러치요크(4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클러치요크(40)에 맞물림결합된 피니온기어(32)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이 결과, 피니온기어(32)의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면취부(16e)와의 맞물림이 풀려 클러치오프 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오프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12)은 자유회전상태로 된다. 클러치오프 상태로 하여 섬레스트(17)에 얹어 놓은 엄지손가락으로 스풀(12)을 서밍하면서 스풀축(16)이 연직면을 따르도록 릴을 축방향으로 경사시켜 낚시대을 흔들면, 루어가 던져져 스풀(12)이 실품림방향으로 세차게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풀(12)의 회전에 의해 스풀축(16)이 낚시줄풀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이 회전부재(66)로 전달된다. 회전부재(66)가 회전하면,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 의해 스풀(12)이 제동되어 백 러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스풀(12)에서 백러쉬가 발생하여도 제1 측커버(6)가 베이어닛 구조(14)에 의해 간단히 착탈될 수 있으므로, 백러쉬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축(92a∼72f)을 지름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배치하였으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직교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동거리의 규제를 가이드축에 의해 행하여도 좋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브레이크 케이스(64)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64)의 바닥부 중심에는 바깥쪽 및 안쪽으로 돌출하는 관모양의 축수수납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스풀축(16)을 지지하는 축수(35a)가 수납되고, 그 바닥면에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마찰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축수수납부(64a)의 선단에는 관모양의 회전지지부(65)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회전지지부(65)는, 단이 형성된 관모양의 부재로서, 제동력 조정기구(69)를 구성하는 리턴 용수철(83)의 일단을 맞물림고정하기 위한 턱부(65a)가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지지부(65)의 선단측(도 3 우측) 외주에는, 한쌍의 축수(65b)를 통해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회전부재(66)가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 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결과, 회전부재(66)는, 릴 본체(1)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 할 수 없도록 지지되게 된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회전지지부(65)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 할 수 없도록 지지된 회전부재(66)와, 브레이크 케이스(64)에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주면에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추형상의 브레이크 라이너(70)가 마련된 고정부재(67)와, 브레이크 라이너(70)의 내주측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예컨대 6개의 제동부재(68)와, 고정부재(67)를 스풀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동력 조정기구(69)를 가지고 있다.
회전부재(66)는, 스풀축(16)에 연결핀(24)에 의해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회전부(71)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방사상으로 회전부(71)에 배치된, 예컨대 6개의 가이드축(72a∼72f)을 가지고 있다.
회전부(71)는 변형된 관모양의 부재로서, 그 좌단부 외주면에는 브레이크 라이너(70)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심의 원추형상의 콘면(71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단부에는, 연결핀(24)에 맞물림고정되는 맞물림고정홈(71c)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축(72a∼72f)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콘면(71f)에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회전부재(66)는, 이와 같이 연결핀(24)에 의해 스풀축(1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또한 회전지지부(65)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이동 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부재(66)는,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그러나, 스풀축(16)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회전부재(66)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6개의 가이드축(72a∼72f)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길이가 각각 다르며, 예컨대, 가이드축(72a)이 가장 길고 그로부터 순서대로 짧아져 가이드축(72f)이 가장 짧다. 각 가이드축(72a∼72f)의 기단부는, 콘면(71f)에 고정되어 있다. 각 가이드축(72a∼72f)의 선단부에는, 제동부재(68)의 외주측으로의 이동을 다른 이동한계위치로 규제하기 위한 보다 큰 지름을 갖는 스토퍼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축(72a)의 길이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67)가 가장 회전부재(66)로부터 떨어져 있는 후퇴위치에 있을 때 외주측으로 이동한 제동부재(68)의 선단이 브레이크 라이너(70)에 맞닿을 수 없고, 또한 고정부재(67)가 가장 회전부재(66)에 근접한 전진위치에 있을 때 선단이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축(72f)의 길이는, 고정부재(67)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외주측으로 이동한 제동부재(68)의 선단이 브레이크 라이너(70)에 맞닿을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의 가이드축(72b∼72e)의 길이는, 예컨대, 그 사이에서 같은 간격으로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제동부재(68)는 관모양의 부재로서,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가능하다. 제동부재(68)는 가이드축(72a∼72f)에 각각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동부재(68)의 내주면에는 가이드축(72a∼72f)에 지지되는 소직경부(68c)와, 스토퍼부(73)에 지지되는 대직경부(68d)가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부(68c)의 내경은, 가이드축(72a∼72f)보다 크고 스토퍼부(73)보다 작다. 대직경부(68d)의 내경은 스토퍼부(73)보다 크다. 이 때문에, 제동부재(68)의 외주측으로의 이동이 다른 이동한계위치로 규제된다.
고정부재(67)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재(66)의 축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브레이크 케이스(64)의 축수수납부(64a)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상측부분이 후퇴위치에 배치되고 하측부분이 전진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부재(67)는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추형상의 관부(67a)와, 축수수납부(64a)에 지지되는 지지부(67b)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부는 일체형성되어 있다. 관부(67a)는 회전부재(66)의 외주측에 회전부재(66)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관부(67a)의 내주면에 브레이크 라이너(70)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67b)는 링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는 예컨대 세레이션톱니가 형성되고, 축수수납부(64a)의 외주면에 형성된 세레이션톱니에 맞물려져 있다. 지지부(67b)의 외측면에는 원호상의 캠돌기(9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정부재(67)가 브레이크 케이스(64)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동할 수 없도록 지지된다.
제동력 조정기구(69)는, 고정부재(67)를 앞뒤(스풀축 방향)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축수수납부(64a)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손잡이부(80)와, 손잡이부(80)의 회전을 고정부재(67)의 전후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81)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80)는, 제1 측커버(6)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릴본체(1)의 외부로부터 조작가능하다. 손잡이부(80)의 우측단면에는 변환기구(81)를 구성하는 캠홈(82)이 형성되어 있다. 캠홈(82)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깊이가 회전각도에 따라 다르며, 예컨대, 손잡이부(8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차차 얕아진다. 이 캠홈(82)에 고정부재(67)의 캠돌기(92)의 선단이 맞닿아 있다. 변환기구(81)는, 이 캠홈(82)과, 캠돌기(92)와, 리턴용수철(83)로 구성되어 있다. 리턴용수철(83)은, 턱부(65a)와 고정부재(67)의 지지부(67b)와의 사이에서 축수수납부(64a)의 외주측에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부재(67)를 도 3 좌측(후퇴위치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있다.
이 제동력 조정기구(69)에서는, 손잡이부(8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홈(82)에 캠돌기(92)가 올라앉아 고정부재(67)가 도 3 오른쪽으로 전진한다. 반대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67)가 리턴용수철(83)에 의해 탄성가압되어 후퇴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라이너(70)가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추형상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67)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너(70)와 제동부재(68)와의 접촉원의 직경이 변화한다. 이에 따라,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하기까지의 이동거리가 변화하고,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가능한 제동부재(68)의 수가 변화하여 제동력을 릴 본체(1)의 외부로부터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예컨대, 제동력 조정기구(69)에 의해 고정부재(67)를 후퇴위치에 배치하면 모든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될 수 없어 제동력은 스풀(12)에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손잡이부(80)를 회전시켜 고정부재(67)를 서서히 전진시켜 회전부재(66)에 접근시키면,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하고 또한 고정부재(67)의 전진량에 따라 접촉하는 제동부재(68)의 수가 증가한다. 이 결과,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제동력이 서서히 증가한다. 그리고, 전진위치에 도달하면 모든 제동부재(68)가 브레이크 라이너(70)에 접촉이 가능해져 제동력이 최대로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동부재(68)의 이동한계위치를 모두 다르게 하여 제동력을 손잡이부(80)의 회동량에 비례하여 변화시켰으나, 일부의 제동부재의 이동한계위치를 같은 위치로 설정하고, 손잡이부의 회동량에 따라 제동력을 급격하게 변화시켜도 좋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수단으로서 연결핀(24)을 사용하였으나, 회전부재(66)를 연동부재인 스풀축(16)에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단이면 연결수단은 어떠한 수단이어도 좋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동부재(68)를 가이드축(72)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원심력에 의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시켰으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부재(86)를 회전부재(66)에 요동가능하도록 장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66)를 회전부(71)와, 회전부(71)에 제동부재(86)를 요동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요동부(87)로 구성하고, 제동부재(86)를 회전부재(66)에 요동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요동부(87)는, 회전부(71)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현방향에 따른 축회전방향으로 제동부재(86)를 요동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제동부재(86)는 레버형상을 이루며, 선단부(86a)가 스풀축방향 바깥쪽으로 굽어져 있다. 제동부재(86)의 무게중심위치(G)는, 요동중심(S)보다 스풀(12)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67)는, 제동부재(86)의 선단부(86a)에 접촉가능하며, 또한 회전부재(66)의 회전축심에 직교하는 고리모양의 브레이크 라이너(70a)를 가지고 있다. 회전부재(66)가 회전지지부(65)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이동 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는 구성, 및 회전부재(66)가 스풀축(16)에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서는, 스풀(12)이 회전하여 제동부재(86)에 원심력이 작용하면, 제동부재(86)의 선단부(86a)가 브레이크 라이너(70a) 쪽으로 요동하고 브레이크 라이너(70a)에 접촉하여 스풀(12)이 제동된다. 이 때의 제동력은, 제동부재(86)의 무게중심(G)으로부터 요동축심(S)까지의 최단거리와 무게중심(G)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결정되는 모멘트와, 요동중심(S)으로부터 브레이크 라이너(70a)의 제동부재(86)의 접촉위치까지의 최단거리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제동력보다는 약한 것이 된다. 그리고, 제동력의 조정은, 고정부재(67)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무게중심(G)을 요동축심(S)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행한다. 이 때문에, 연속적으로 제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그 변화의 정도는 비교적 작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회전부재(66)와 고정부재(67)와의 간격이 스풀축(16)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변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축(16)에 연결핀(24)을 통해 회전부재를 연결하였으나, 스풀(12)에 연결수단을 통해 직접 연결하여도 좋다.
(f)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수단이 항상 연결상태로 유지되었으나, 연결수단을 연결상태와 연결해제상태로 절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제동상태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어도, 연결해제하는 것만으로 바로 제동력을 해제할 수 있고, 연결하는 것만으로 원래의 제동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의 축방향의 위치에 의해 제동부재와 고정부재와의 마찰상태가 다른 상태로 되어 제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를 제동력 조정수단에 의해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는,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 할 수 없도록 장착되고, 연동부재에 대하여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풀축등의 연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회전부재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고정부재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고정부재와의 간격은 변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동부재가 이동하여도 설정된 제동력은 변동하지 않아 제동력의 조정작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양 축수릴의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을 제동하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복수의 제동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 상기 제동부재의 다른 마찰상태로 접촉가능한 고정부재와,
    상기 스풀과 연동하는 연동부재에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동력 조정수단을 구비한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연결부재로서의 스풀축에 회전할 수 없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스풀축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스풀축에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측에 상기 회전부재와 동심에 배치된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추형상의 제동면을 내주면에 가지며,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제동면의 내주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서로 다른 이동한계위치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면에 접촉가능한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제동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스풀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동면이 마련된 원추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제동력 조정수단은,
    상기 릴 본체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을 상기 본체부의 상기 스풀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갖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현방향을 따르는 축방향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그 무게중심 위치는 요동중심보다 상기 스풀측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동부재의 선단부에 접촉가능하고 또한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대략 직교하는 고리모양의 제동면을 가지고 있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를 끼워 지지함으로써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더 구비하는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KR1020000024622A 1999-05-13 2000-05-09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KR100646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33199 1999-05-13
JP11133199A JP2000316438A (ja) 1999-05-13 1999-05-13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787A true KR20010066787A (ko) 2001-07-11
KR100646438B1 KR100646438B1 (ko) 2006-11-14

Family

ID=1509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622A KR100646438B1 (ko) 1999-05-13 2000-05-09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71396B1 (ko)
EP (1) EP1051906B1 (ko)
JP (1) JP2000316438A (ko)
KR (1) KR100646438B1 (ko)
AT (1) ATE271778T1 (ko)
DE (1) DE60012411T2 (ko)
TW (1) TW4747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86B1 (ko) * 2002-09-12 2004-10-08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US6955315B2 (en) * 2004-02-13 2005-10-18 Doyo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US6959886B1 (en) * 2004-11-16 2005-11-01 Yeon Seok Rho Bait casting reel
US20060175449A1 (en) * 2005-02-01 2006-08-10 Doyo Engineering Co., Ltd. Anti-backlash apparatus of bait reel
KR100702066B1 (ko) * 2005-04-28 2007-03-30 연 석 노 베이트 캐스트 릴
KR200427970Y1 (ko) * 2006-06-23 2006-10-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외부 조정 백래시 방지장치
US20110079672A1 (en) * 2009-10-07 2011-04-07 Hyunkyu Kim Automatic external adjustable spool braking system
KR200464020Y1 (ko) * 2010-09-16 2012-12-06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브러쉬 브레이크장치
JP5718119B2 (ja) * 2011-03-29 2015-05-1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5926564B2 (ja) * 2012-01-18 2016-05-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KR101510728B1 (ko) * 2012-05-04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KR101510729B1 (ko) * 2013-07-09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US10385929B2 (en) 2016-01-06 2019-08-20 Boninfante Friction, Inc. Vehicle input shafts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602730B2 (en) * 2017-06-23 2020-03-31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US10918096B2 (en) 2017-07-11 2021-02-16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Centrifugal braking system for baitcast fishing reels
US11864543B2 (en) * 2021-01-25 2024-01-09 Cary Hogan JONES Fly fishing reel with brake assembly and methods
US20230363368A1 (en) * 2022-05-12 2023-11-16 Accurate Grinding And Mfg. Corp. Dba Accurate Fishing Products Cast control system for a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798A (ja) 1997-03-06 1998-11-17 Ryobi Ltd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3727149B2 (ja) * 1997-09-04 2005-12-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1396B1 (en) 2002-04-16
EP1051906A3 (en) 2000-12-13
TW474784B (en) 2002-02-01
KR100646438B1 (ko) 2006-11-14
EP1051906B1 (en) 2004-07-28
JP2000316438A (ja) 2000-11-21
DE60012411T2 (de) 2005-07-28
EP1051906A2 (en) 2000-11-15
DE60012411D1 (de) 2004-09-02
ATE271778T1 (de) 2004-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438B1 (ko)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KR101201670B1 (ko) 스피닝 릴
KR100616144B1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CN108338134B (zh) 双轴承绕线轮的卷筒制动装置
US5996920A (en) Removable spool brake device mounted on a side plate in a double-bearing type fishing reel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JP2010000042A (ja) 魚釣用リール
KR20010066838A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JP3727149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00125721A (ja) 部品着脱構造及び釣り用リールの部品着脱構造
JP2000262196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523890Y2 (ja) 両軸受リール
JPH1032772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ッグ機構
JPH0919245A (ja) マルチプライヤ型魚釣りリール
JPH1014456A (ja) 両軸受リール
US10609917B2 (en) Dual-bearing reel
KR100331090B1 (ko) 스피닝 릴
JP4903181B2 (ja) 魚釣用リール
US6983905B2 (en) Fishing reel screw operation structure
JPH11196728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4932649B2 (ja) 魚釣用リール
US20230157268A1 (en)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 bearing reel
JPH11266758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22065242A (ja) 両軸受けリール、及びその制動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