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090B1 -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090B1
KR100331090B1 KR1019960020982A KR19960020982A KR100331090B1 KR 100331090 B1 KR100331090 B1 KR 100331090B1 KR 1019960020982 A KR1019960020982 A KR 1019960020982A KR 19960020982 A KR19960020982 A KR 19960020982A KR 100331090 B1 KR100331090 B1 KR 10033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cylindrical member
flange
spool shaft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025A (ko
Inventor
쥰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97000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29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shaft and 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01K89/01142Reciprocating mechanisms for reciprocating the guid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스풀 축의 원활한 슬라이딩과 회전 방향에서의 흔들림의 감소를 달성하기 위한 스피닝 릴이 개시되어 있다.
스피닝 릴(1)은 릴 몸체(2), 로우터(3), 스풀(4), 스풀 축(8), 및 후방 제동 기구(7)를 구비한다. 스풀 축(8)은 스풀(4)에 고정되어 있으며, 후방 제동 기구(7) 내로 연장되며, 스풀(4)과 피니언 기어(12)를 관통한다. 후방 제동 기구(7)에는 부싱(61)과 마찰 접촉 부재(66)가 제공되어 있다. 부싱(61)은, 릴 몸체(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대적 회전은 방지되고 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드는 허용되도록 스풀 축(8)을 지지하는 원통형 부재(80), 및 원통형 부재(80)의 외주 상에 위치하는 플랜지(81)를 구비한다. 방사 방향의 십자형으로 돌출한 4개의 돌출부(82)들이 원통형 부재(80) 상에 제공되고, 돌출부(82)들과 맞물리는 요홈(86)들이 플랜지(81)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원통형 부재(80)와 플랜지(81)는 이들 두 부재의 회전 편차는 방지되고 축 방향으로 이들 두 부재의 기울어짐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피닝 릴
본 발명은 스피닝 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적인 회전은 불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스풀 축을 지지하는 부싱이 제공된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에는 릴 몸체, 릴 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터, 및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이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스피닝 릴에는 제동 기구가 제공되어, 이에 의해 스풀이 정지되어 있으며 릴 몸체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지만, 특정 수준을 넘는 힘이 가해질 때 스풀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동 기구가 릴 몸체의 배면 단부에 제공되는 후방 제동 방식의 스피닝 릴에서 스풀에 고정된 스풀 축은 후방을 향하여 제동 기구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제동 기구에는 스풀 축이 릴 몸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지만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스풀 축을 지지하는 부싱이 제공되어 있다.
스플릿 형의 부싱의 사용은 이들 제동 기구에서 공지이다. 그와 같은 부싱들은 릴 몸체와 마찰력으로 맞물릴 수 있는 디스크 판인 플랜지, 및 형상이 실제적으로 원통형이며 스풀 축이 상대적 회전은 할수 없으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스풀 축을 지지하는 원통형 부재로 구성된다. 달걀 형 단면을 갖는 관통 홀이 원통형 부재의 중심을 통하여 형성되어 있어 스풀 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스풀 축이 릴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게다가, 원통형 부재에는 그 외주 상에 그축과 평행인 절삭 면이 제공되어 있으며, 따라서, 원통형 부재의 외주는 달걀 형 형상을 갖는다. 달걀 형의 맞물림 홀이 플랜지 부재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 부재는 원통형 부재의 외주 주위에 맞추어질 수 있다.
스피닝 릴에서, 일반적으로, 핸들을 작동하는 중에 느낌이 손상되며, 스풀 축이 부싱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흔들리면 그렇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전술한 스플릿 형 부싱에서 플랜지의 맞물림 홀과 원통형 부재의 외주 사이의 갭은 최소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플랜지 부재와 원통형 부재 사이의 공간이 작게 만들어지면, 부싱이 부착되는 방법에 따라, 플랜지는 어떤 각도로 밀려지고 원통형 부재는 스풀 축을 갉아 낸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경우, 스풀 축은 원활하게 슬라이드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형 부재가 스풀 축을 밀 수 있도록 공간이 원통형 부재와 스풀 축 사이에 형성되거나, 플랜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공간이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 부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이와 같은 공간이 형성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흔들림은 회전 방향으로 발생된다.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 부재가 일체형인 부싱들도 또한 공지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체형 부싱에 있어서도, 역시 플랜지 부재가 어떤 각도로 밀려진다면 플랜지 부재는 원통형 부재를 눌러 갈며, 따라서, 원통형 부재와 스풀 축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남길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체형 부싱에서조차, 스풀 축의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이 시도될 때 흔들림이 회전 방향으로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방향의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스풀 축의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은 낚시대 설치용이며, 릴 몸체, 로우터, 스풀, 스풀 축, 부싱, 및 회전 제어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릴 몸체는 핸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낚시대에 설치될 수 있다. 로우터는 릴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핸들에 의해 회전된다. 스풀은 로우터의 전방에 위치하며, 릴 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로우터의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 축의 원단(遣端)은 스풀에 고정되며, 후단은 릴 몸체의 배면 단부 내로 연장되어 있다. 부싱에는 원통형 부재, 플랜지 부재, 및 연결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원통형 부재는 릴 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스풀 축의 배면 단부의 외주 상에 위치하며, 회전할 수는 없으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스풀 축을 지지한다. 부싱은 플랜지의 외주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 수단은 회전에서의 편차는 방지되며 축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기울어짐은 허용되도록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를 연결한다. 회전 제어 수단은 릴 몸체를 향해 원통형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은 제1특징에서 설명된 릴이며, 여기서, 연결 수단은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의 일측 상에 제공되고 방사상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에 제공되며 돌출부가 내부로 맞추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이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은 제2특징에서 설명된 스피닝 릴이며, 여기서, 돌출부는 하나 이상의 원주형의 돌출부이며 원통형 부재의 외주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은 제1특징 또는 제2특징에서 설명된 스피닝 릴이며, 여기서 돌출부는 원통형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원주형이다.
제1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에서, 부싱에서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 사이의 연결수단은 이들 두 부재가 축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은 수용하고 이들의 회전에서의 편차는 방지하도록 이들 두 부재를 연결하며, 따라서, 스풀 축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원통형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일 플랜지가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어떤 각도로 밀려진다면, 연결 수단이 플랜지와 원통형 부재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수용하므로, 플랜지만 기울어지고 원통형 부재는 스풀 축을 눌러 갈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풀 축은 스풀 축이 언제나 원활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원통형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이, 연결 수단이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의 회전에서의 편차를 더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 방지하므로, 스풀 축의 회전 방향에서의 흔들림은 감소될 수 있다.
제2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에서 연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가 맞추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으로 구성되며, 이에 의해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에 의한 회전상의 편차를 방지하며, 또한 축 방향으로 이들 두 부재에 의한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수용하는 간단한 구조가 달성 된다.
제3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에서, 돌출부는 원통형 부재의 외주 상에 제공된 원주형 돌출부이며, 돌출부와 요홈의 계속적인 선형 접촉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에 의한 회전 편차를 방지하고 또한 더 간단한 디자인으로 두 부재에 의한 축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수용한다.
제4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에서, 돌출부는 원통형 부재의 외주 상에 원통형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원주형 돌출부이며, 이에 의해 돌출부를 형성하기 쉽게 된다.
(실시예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의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스피닝 릴은 일차적으로 핸들(1a)을 갖는 릴 몸체(2):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릴 몸체(2)의 전방에 위치하는 로우터(3); 및 낚시줄을 회수하기 위하여 로우터(3)의 전방에 위치하는 스풀(4)을 구비한다.
릴 몸체(2)는 몸체(2a)를 구비하며, 설치 부재(2b)는 스피닝 릴을 낚시대에 부착하기 위하여 몸체(2a)의 상부 위에 형성된다. 몸체(2a)는 로우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우터 구동 기구(5)와, 회전 축을 따라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풀(4) 상에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평탄 권선 구동 기구(6)를 수용하고 있다. 아울러, 릴 몸체(2)의 몸체(2a)의 배면 단부는 후방 제동 기구(7)를 수용하는 원통형 돌출부(2c)로서 형성되어 있다. 스풀 축(8)은 스풀(4)에 고정되어 있으며, 로우터(3)와 몸체(2a)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후단은 후방 제동 기구(7)에 의해 맞물려진다(이하에 설명됨).
로우터 구동 기구(5)에는 핸들(1a)이 부착되는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주 기어(11)와 이 주 기어(11)(톱니 단면은 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가 제공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로우터(3)의 중앙을 통과하여 스풀(4)을 향해 연장되는 전단을 갖는 원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몸체(2a)에 의해 지지되는 볼 베어링(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더욱이, 스풀 축(8)은 피니언 기어(12)의 중심을 통과하며, 따라서 스풀 축은 회전의 중심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특정한 공간이 피니언 기어(12)의 내경과 스풀 축(8)의 외경 사이에 유지된다. 평탄 권선 구동 기구(6)는 축(10)의 회전을 스풀 축(8)의 전후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 권선 구동 기구(6)는 스풀 축(8) 아래에 위치한 나사가 형성된 축(21); 나사가 형성된 축(2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 나사가 형성된 축(21)의 아래에 위치한 안내 축(23); 및 피니언 기어(12)와 맞물리고, 나사가 형성된 축(21)의 원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4)를 구비한다. 나사가 형성된 축(21)과 안내 축(23)은 스풀 축(8)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나사가 형성된 축(21)의 외주 상에는 나선형의 요홈(21a)이 있으며, 맞물림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는 요홈(21a)과 맞물리도록 슬라이더(22)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스풀 축(8)의 축 방향에 수직인 면을 갖는 고정 판(25)은 어느 정도의 작업에 의해 몸체(2a)에 삽입된다. 스풀 축(8)이 고정 판(25)을 통과하는 구역에, 베어링(26)이 스풀 축(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고정 판(25)은 나사가 형성된 축(21)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안내 축(23)의 후단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지지한다. 나사가 형성된 축(21)의 원단은 몸체(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안내 축(23)의 원단은 몸체(2a)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사가 형성된 축(21)과 안내 축(23)을 지지하기 위해 몸체(2a)에 느슨하게 삽입되는 고정 판(25)을 채용함으로써, 스풀 축(8), 나사가 형성된 축(21) 및 안내 축(23) 사이의 갭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몸체(2)가 굽어지는 경우에도 슬라이더(22)는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로우터(3)에는 슬리브 형 부재(30), 및 이 슬리브 형 부재(30)의 양쪽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는 제1 아암 부재(31)와 제2 아암 부재(32)가 제공되어 있다. 아암 부재(31)(32)와 슬리브 형 부재(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전면 벽(33)은 슬리브 형 부재(30)의 전단에 형성되며 보스(33a)는 이 전면 벽(33)의 중앙에 형성된다. 관통 홀이 보스(33a)의 중앙에서 피니언 기어(12)의 전단에 형성되며, 스풀 축(8)은 이 관통 홀을 통과한다. 아울러, 전면 벽(33)을 통과하는 피니언 기어(12)의 단부에 나사가 형성되며, 너트(34)는 이 나사에 결합된다. 더욱이, 피니언 기어(12)와 로우터(3)는 서로 상대적 회전을 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1 베일 지지 요소(40)는 제1 아암(31)의 내측을 향한 면에 그 단부가 진동 가능하게 부착되며(전방을 향하여), 제2 베일 지지요소(43)는 제2 아암(32)의 내측을 향한 면에 그 단부가 진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1 베일 지지 요소(40)의 단부는 낚시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줄 로울러(41), 및 이 줄 로울러(41)를 위한 고정 축 덮개(42)를 구비한다. U 형으로 구부러진 베일(45)은 고정 축 덮개(42)로부터 제2 베일 지지 요소(43)를 향해 연장된다.
스풀(4)은 로우터(3)의 제1 아암(31)과 제2 아암(32) 사이에 위치한다. 이 스풀(4)은 그 후단에 링 모양의 스커트 부재(4a), 스커트 부재(4a)의 전방에 위치한 줄 감는 몸체(4b), 및 줄 감는 몸체(4b)의 단부에 고정된 플랜지 부재(4c)를 구비한다. 플랜지 부재(4c)의 외주단은 내측을 향한 면을 향하여 굽어져 있다. 로우터(3)의 슬리브 형 부재(30)는 스커트 부재(4a)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동으로 만들어진 고정 부싱(51)은 줄 감는 몸체(4b)의 중앙의 내부에 맞추어져 부착된다. 스풀 축(8)의 선도단은 고정 부싱(51) 내에 삽입된다. 고정 부싱(51)의 후단은 다른 부분의 단면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긴 요홈(51a)은 단면(端面) 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52)은 스풀(4)과 스풀 축(8)을 고정하기 위해 요홈(51a)에 부착된다. 이 핀(52)은 스풀 축(8)을 그 직경 방향으로 관통한다.
수지로 만들어진 스풀이 이용될 경우에, 통상적으로 스풀의 내경은 낚시줄이 스풀에 감겨질 때 수축한다. 그러므로, 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스풀(4)의 내경과 스풀 축(8)의 외경 사이에 여분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풀과 스풀 축 사이의 이러한 공간으로 인하여 흔들림이 증가한다. 그러나, 황동으로 만들어진 고정 부싱(51)을 스풀(4)내에 맞추어 삽입함으로써, 스풀(4)의 내경은 줄을 감을 때에도 수축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풀(4)의 내경과 스풀 축(8)의 외경 사이의 여분의 공간의 필요성은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스풀(4)과 스풀 축(8) 사이의 흔들림은 방지된다. 스풀 축(8)의 선도단은 줄 감는 몸체(4b)를 넘어서 연장된다. 원 터치 버튼(54)이 스풀 축(8)의 원단에 부착되어 있다. 원터치 버튼 칼라(55)는 원 터치 버튼(54)의 주위에 위치한다. 원 터치 버튼 칼라(55)는 스풀(4)의 줄 감는 몸체(4b)에 나사 결합되며 원 터치버튼(54)을 정위치에 유지시킨다.
제4도 및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제동 기구(7)는 대체로 디스크 형상의 부싱(61); 제1 마찰 판(67)과 제2 마찰 판(68)으로 구성된 마찰 접촉 부재(66); 마찰을 주는 코일 스프링(70); 지지부재(71): 및 고정 캡(72)으로 구성된다. 부싱(61)은 스풀 축(8)의 배면 단부의 외주 주위에 맞추어지며, 통상적으로 원통형 돌출부(2c)에 의해 지지되지 않지만, 하중이 가해질 때에만 원통형 돌출부(2c)와 접촉하고 지지된다. 제5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61)은 원주형의 원통형 부재(80)와 원통형 부재(80)의 외주 상에 위치한 플랜지(81)를 구비한다.
4개의 원주형 돌출부(82)는 원통형 부재(80)의 외주 상에 방사방향의 십자형으로 제공되어 있다. 평행인 절삭면(8a)이 스풀 축(8)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삭된 부분의 단면 형상은 달걀 형이다. 맞물림 홀(83)은 달걀 형 외부면 주위에 맞추어지며, 원통형 부재(80)의 중앙을 관통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풀 축(8)은 원통형 부재(8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은 불가능하고 슬라이드는 가능하게 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81)는 와셔 형의 링 요소이며, 그 두께는 돌출부(82)의 직경보다 크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80)의 외부면 주위에 맞추어지는 중앙 홀(85)은 플랜지(8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요홈(86)은 중앙 홀(85)에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요홈이 4개의 돌출부(82)의 각각에 맞추어 진다. 원주 방향으로 이들 요홈(86)과 돌출부(82) 사이의 갭은 매우 작으며, 따라서, 원주 방향(회전 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최대한 감소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방향으로 요홈(86)들과 돌출부(82)들의 단부 사이의 갭들은 플랜지(81)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크게 만들어 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요홈(86)들과 십자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82)들은 선형 접촉상태에 있으며, 갭들은 방사 방향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따라서, 부싱(61)이 부착된 방식에 의해 플랜지(81)가 어떤 각도로 밀려지는 경우에도, 플랜지(81)는 이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 특히, 원통형 부재(80)와 플랜지(81) 사이의 회전상의 편차는 방지되며, 요구되는 양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은 이들 돌출부(82)들과 요홈(86)들 사이의 맞추어진 상태에 따라 허용된다.
스플라인(87)이 부싱(61)의 후방 외주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마찰 판(67)의 내주는 이 스플라인(87) 위로 맞추어진다. 제1 마찰 판(67)과 2개의 제2 마찰 판(68)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2 마찰 판(68)의 외단은 원통형 돌출부(2c)의 내부를 따라 형성된 스플라인 요홈(89)들 내로 맞추어 진다.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마찰면(88a)(88b)(88c)들은 각각 제1 마찰 판(67)과 제2 마찰 판(68), 제2 마찰 판(68)과 플랜지(81), 및 플랜지(81)와 원통형 돌출부(2c)의 전면 벽 사이에 위치한다. 원통형 지지 요소(71)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70)은 제1 마찰 판(67)과 제2 마찰 판(68)을 동시에 가압한다. 이에 의해 부싱(61)과 릴 몸체(2) 사이의 마찰 접촉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의 제어가 달성된다.
고정 캡(72)은 외부로부터 원통형 돌출부(2c)의 외주 상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되며 소정의 위치에 지지 요소(71)를 지탱한다. 고정 캡(72)의 나사 조임 긴밀도를 조정함으로써, 마찰 접촉 부재(66)를 구성하는 판들의 각각에 대한 압력은 변화될 수 있으며 제동력은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 캡(72)은 볼트(73)에 의해 지지 요소(71)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 관하여 주로 낚시줄 회수 동작에 초점을 맞추어 이하에 설명한다.
줄 회수 시에, 베일(45)은 낚시줄 회수 위치로 절환된다. 핸들(1a)이 이 위치에 있는 베일(45)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력은 축(10)과 주 기어(11)를 경유하여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전방부를 통해 로우터(3)에 전달된다. 한편, 축(10)의 회전력은 평탄 권선 구동 기구(6)에 의해 스풀 축(8)에 대한 전후 운동으로 전환된다. 특히, 스풀(4)은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베일(45)과 줄로울러(41)에 의해 안내된 줄은 줄 감는 몸체(4b) 위에 전후 방향으로 균일하게 감겨 진다.
스풀(4)의 중앙으로 삽입된 고정 부싱(51) 덕분에, 스풀(4)에 많은 양의 줄이 감겨진 경우라도, 스풀(4)의 내경은 수축되지 않는다. 아울러, 평탄 권선 구동 기구(6)의 안내 축(23)과 나사가 형성된 축(21)은 고정 판(25)에 의해 지지되며, 고정 판(25)은 몸체(2a)와 별개로 제공되어 있다. 스풀 축(8)은 또한 베어링(26)을 통해 고정 판(25)에 의해 지지되며, 이에 의해 몸체(2a)가 큰 하중으로 인해 굽어지는 경우에도 슬라이더(22)의 운동에 미치는 어떤 영향도 막을 수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더(22)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후방 제동 기구(7)의 작동이 다음에 설명된다.
예를 들어, 줄이 핸들(1a)에 의해 감겨지고 있을 때 물고기가 큰 힘으로 줄을 당길 경우에, 스풀(4)은 줄을 풀어 주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 힘은 스풀 축(8)을 통하여 부싱(61)에 전달된다. 그 결과로, 이 힘이 마찰 접촉 요소(66)의 마찰력을 능가할 경우에 스풀(4)은 회전한다.
여기서, 스풀 축(8)과 부싱(61)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이들 두 부재 사이에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갭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부싱(61)이 부착되는 조건에 따라, 플랜지(88)는 기울어질 수 있고 마찰 접촉 요소(66)에 의해 밀려질 수 있다. 과거에는, 플랜지가 이와 같이 기울어지고 밀려질 때, 부싱은 눌러 갈고 스풀 축과 부싱은 원활하게 슬라이드하지 않았기 때문에 [스풀 축과 부싱 사이의] 갭은 증가되어야 했다. 그러나, 공간의 크기가 증가되면, 회전 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증가하고, 핸들 작동 중에 느낌이 감소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부싱(61)의 원통형 부재(8)와 플랜지(81)는 맞물린 돌출부(82)들과 요홈(86)들에 의해 연결되며, 따라서, 이들 두 부재 사이의 회전 편차는 방지되고 또한 두 부재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이 허용된다. 그러므로, 플랜지(81)가 기울어지고 밀려지는 경우에도 플랜지(81)는 기울어지고 이 힘은 흡수되며, 원통형 부재(80)는 눌러 갈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위해 스풀 축(8)과 원통형 부재(80) 사이에 필요한 공간의 크기는 최소화될 수 있고, 회전 방향에서 흔들림도 또한 감소된다.
(다른 실시예들)
(1) 원통형 부재(80)와 플랜지(81) 사이의 연결 수단은 맞물린 돌출부(82)들과 요홈(86)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 부재(80)와 플랜지(81)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허용하고 회전 편차를 방지하는 한 어떤 종류의 수단도 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제동 기구와 스풀 축이 동심이 아닌 스피닝 릴에서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
제1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에서, 플랜지가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밀려지는 경우에도, 플랜지만 기울어지고 연결 수단이 플랜지와 원통형 부재에 의한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수용하므로 원통형 부재가 스풀 축을 눌러 갈지 않으며, 따라서, 원통형 부재는 스풀 축이 언제나 원활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스풀 축을 지지한다. 슬리브와 플랜지 사이의 회전 편차가 연결 수단에 의해 방지되므로,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 사이의 회전 편차는 대체로 방지되며, 스풀 축의 회전 방향에서의 흔들림은 감소된다.
제2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에서, 연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가 맞추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으로 구성되며, 이에 의해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에 의한 회전 편차를 방지하고 또한 이들 두 부재에 의한 축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수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가 달성된다.
제3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에서, 돌출부는 원통형 부재의 외주 상에 제공된 원주형 돌출부이며, 이에 의해 돌출부와 요홈 사이의 계속적인 선형 접촉이 달성되며, 따라서, 또한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에 의한 회전 편차를 방지하고 또한 이들 두 부재에 의한 축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수용할 수 있다.
제4특징에 따른 스피닝 릴에서, 돌출부는 원통형 부재의 외주 상에 일체로 형성된 원주형 돌출부이며, 이에 의해 돌출부는 용이하게 형성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평탄 권선 구동 기구의 부분 사시도,
제3도는 스풀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후방 제동 기구의 수직 단면도,
제5도는 부싱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제6도는 플랜지 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피닝 릴 2. 릴 몸체
3. 로우터 4. 스풀
7. 후방 제동 기구 8. 스풀 축
61. 부싱 62. 마찰 접촉 부재
80. 원통형 부재 81. 플랜지 부재
82. 돌출부 86. 요홈

Claims (4)

  1. 핸들을 가지며, 낚시대에 설치 가능한 릴 몸체;
    상기 릴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로우터;
    상기 로우터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릴 몸체 상에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 축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스풀;
    상기 스풀에 고정된 원단과 상기 릴 몸체의 후부 내로 연장되는 후단을 갖는 스풀 축;
    상기 스풀 축의 후단의 외주에 위치하며 상대적 회전은 방지되고 상대적인 기울어짐과 또한 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가능하도록 스풀 축을 지지하는 원통형 부재, 원통형 부재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플랜지 부재, 및 두 부재들의 축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기울어짐은 허용되는 한편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 부재 사이의 회전 편차는 방지되도록 원통형 부재와 플랜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부싱; 및
    상기 릴 몸체를 향하여 상기 플랜지 부재를 밀음으로써 상기 두 부재의 상대적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낚시대 설치용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원통형 부재 또는 플랜지 부재의 어느 일측에 제공되고 방사상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다른 원통형 부재 또는 플랜지 부재에 제공되며 돌출부가 내부로 맞추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설치용 스피닝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원통형 부재의 외주에 제공된 원주형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설치용 스피닝 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원통형 부재 외주 상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원주형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설치용 스피닝 릴.
KR1019960020982A 1995-06-13 1996-06-12 스피닝 릴 KR100331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46062 1995-06-13
JP7-146062 1995-06-13
JP14606295A JP3355063B2 (ja) 1995-06-13 1995-06-13 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025A KR970000025A (ko) 1997-01-21
KR100331090B1 true KR100331090B1 (ko) 2002-08-08

Family

ID=1539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982A KR100331090B1 (ko) 1995-06-13 1996-06-12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57631A (ko)
EP (1) EP0748587B1 (ko)
JP (1) JP3355063B2 (ko)
KR (1) KR100331090B1 (ko)
DE (1) DE69618286T2 (ko)
MY (1) MY117898A (ko)
SG (1) SG67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8239B1 (en) * 2000-06-14 2001-12-11 Liang-Jen Chang Clutch mechanism of fishing line winder
JP5652382B2 (ja) * 2011-11-30 2015-01-14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管理機
JP6389370B2 (ja) * 2014-03-28 2018-09-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8073A (en) * 1945-11-07 1951-04-10 Siegrist Karl Braking arrangement for casting reels
GB606030A (en) * 1946-01-08 1948-08-05 Karl Siegris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shing-rod reels
US4402469A (en) * 1981-07-31 1983-09-06 Brunswick Corporation Self-aligning drag drive for fishing reels
FR2561497B1 (fr) * 1984-03-26 1987-01-23 Mitchell Sports Frein pour moulinet de peche au lancer
US4725012A (en) * 1986-06-30 1988-02-16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drag with duplex control
US5201477A (en) * 1989-04-11 1993-04-13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drag brake mechanism and clutch
EP0639328B1 (en) * 1989-11-17 1999-07-28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US5249760A (en) * 1990-02-23 1993-10-05 Shimano, Inc. Fishing reel with feed shaft and transmission member
JP3392237B2 (ja) * 1994-11-11 2003-03-3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57631A (en) 1999-01-12
MY117898A (en) 2004-08-30
JP3355063B2 (ja) 2002-12-09
DE69618286T2 (de) 2003-01-16
DE69618286D1 (de) 2002-02-07
EP0748587A2 (en) 1996-12-18
EP0748587B1 (en) 2002-01-02
SG67947A1 (en) 1999-10-19
JPH08336347A (ja) 1996-12-24
EP0748587A3 (en) 1997-03-19
KR970000025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7610B2 (ja) 自動車のクラッチ制御機構
EP0639328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0646438B1 (ko) 양 축수릴의 제동장치
CN108338134B (zh) 双轴承绕线轮的卷筒制动装置
KR20000022570A (ko)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 제어용 작동기구의 구조
US4901944A (en) Fishing reel having a spool shaft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US5494232A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KR100331090B1 (ko) 스피닝 릴
KR19990030157A (ko)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스풀 제동장치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EP0707790B1 (en) Spinning reel anti-reverse device
US5904310A (en) Double bearing type of a fishing reel having a rotatable and slidable clutch member supported by a bearing
US4618106A (en) Fishing reel with friction and magnetic brakes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KR20040107370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AU1984599A (en) Fishing reel
KR102054240B1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스풀
US5855328A (en) Spinning reel with bushing for supporting spool shaft
US6056222A (en) Spinning reel anti-reverse device
US4323143A (en) Automatic gap adjusting device for disc brake incorporating mechanical brake mechanism
WO2001084915A2 (en) Planetary gear assembly for fishing reel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US5018682A (en) Fishing reel having a spool shaft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JPH1146641A (ja) 魚釣用リール
JP2002335835A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