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570A -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 제어용 작동기구의 구조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 제어용 작동기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570A
KR20000022570A KR1019990004812A KR19990004812A KR20000022570A KR 20000022570 A KR20000022570 A KR 20000022570A KR 1019990004812 A KR1019990004812 A KR 1019990004812A KR 19990004812 A KR19990004812 A KR 19990004812A KR 20000022570 A KR20000022570 A KR 2000002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ool
sub
shaft
spoo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7123B1 (ko
Inventor
응켕화
Original Assignee
유게 치토시
시마노 싱가폴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게 치토시, 시마노 싱가폴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유게 치토시
Publication of KR2000002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낚시용 릴은 스풀 축의 제1단과 스풀 사이에 배치된 제동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스풀과 스풀 축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제한한다. 스풀 주위에 배치된 로우터는 낚시줄을 감아들이기 위해 하우징 상의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되어 진다. 핸들은 하우징 내에 배치된 면 기어에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는 면 기어와 접촉하여 이로부터의 회전력을 로우터 축으로 전달하고, 그 다음에 로우터로 전달한다. 부제동기구는 스풀 축의 제2단에 근접한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스풀 축과 하우징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부제동기구 작동기구는 피니언 기어와 같이 면 기어의 같은 쪽에 배치되어, 하우징 내에서의 스풀의 회전을 잠그거나 풀어주며, 이에 따라, 부제동기구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 부제동기구 작동기구의 위치는 피니언과 같이 면 기어의 같은 쪽이며, 이에 의해 낚시용 릴의 하우징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 제어용 작동기구의 구조{CONFIGURATION OF AN ACTUATION MECHANISM WHICH CONTROLS OPERATION OF A SUB-DRAG MECHANISM IN A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작동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낚시용 릴은 매우 복잡해져 왔다. 일부 낚시용 릴은 특별한 제동기구를 가지며, 이 제동기구는 스풀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 스풀의 자유로운 회전을 제한하고 산 미끼가 낚시줄을 당길 때 겪게 되는 백래시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그와 같은 낚시용 릴의 일례가 미국 특허 제4,746,077호(일본국 특허출원 제60-117177호에 상응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 언급한 미국 특허에서, 낚시용 릴에는 낚시대의 밑면에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이 제공되어 있다. 스풀 축은 전체적으로 낚시대의 길이 방향에 평행으로 하우징 내에 맞추어진다. 스풀은 스풀 축의 전단에 부착된다. 스풀은 스풀 축과 스풀에 연결된 제동기구를 포함하여, 산 미끼로 인한 백래시를 감소시키도록 스풀 축에 대한 스풀의 상대적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스풀에 가해지는 제동력의 양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베일 부재를 포함하는 로우터는 하우징 상에 지지되며, 낚시줄을 스풀 상에 감기 위해 스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구동축은 하우징을 통해 전체적으로 스풀 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구동축은 이에 고정된 상응하는 대형 면 기어face gear)를 가진다. 대형 면 기어는 그 제1축면 상에 기어 치들을 갖는 구조이며, 기어 치들은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있다. 구동축의 일단에 고정된 핸들의 회전에 따라 로우터와 베일이 스풀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피니언 기어는 로우터와 베일에 연결된다.
하우징의 후방부에는 부제동기구가 스풀 축 상에 설치된다. 부제동기구는 스풀 축에 가해지는 제동력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부제동기구는 스풀 축의 일단에 고정된 맞물림 부재,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들, 및 클러치 디스크들에 가해지는 힘을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한다. 맞물림 부재는 잠금 부재 상에 형성된 기어 치들을 수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 복수의 요홈들을 포함한다. 잠금 부재 기어 치가 맞물림 부재 상의 요홈들 중의 하나에 맞물릴 때, 스풀 축은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대해 고정된다. 잠금 부재가 맞물림 부재와의 맞물린 상태로부터 이동되어 나올 때, 스풀 축은 회전할 수 있지만 손잡이에 의해서 클러치 디스크들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의해 한정된다.
잠금 부재의 이동은 면 기어의 제2축면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작동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형상은 하우징이 면 기어를 수용하도록 적절한 공간을 가지며, 피니언 기어가 로우터와 베일을 구동시키며, 작동기구는 부제동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형상이다. 부제동기구용 작동기구가 면 기어의 제2축면과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우징은 다소 크다. 그와 같은 배열은 하우징을 커지게 한다.
제조비를 줄이고, 하우징이 더 작은 보관 공간을 차지하게 함으로써 낚시 릴의 보관을 더 용이하게 하도록 낚시용 릴 하우징은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는 모든 작동 부품들을 수용하도록 하우징이 커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기계적 부품들이 압축된 배열을 갖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시용 릴의 하우징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부제동기구용 작동기구를 면 기어의 제2축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맞추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낚시용 릴은 릴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지지된 스풀 축을 포함한다. 스풀은 스풀 축의 제1단 상에 지지되며, 부제동기구는 스풀 축의 제2단에 근접하여 하우징에 고정된다. 로우터 축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며 로우터는 스풀 주위에 낚시줄을 감기 위해 스풀의 일부의 주위에 배치된다. 구동축은 전체적으로 스풀 축에 수직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며, 면 기어는 구동축 상에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는 로우터 축 상에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는 로우터가 면 기어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 기어를 통해 회전하도록 면 기어와 맞물린다. 부제동기구 작동기구는 부제동기구 작동기구 사이에 배치된 피니언 기어와 함께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릴 하우징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제동기구 작동기구는, 캠 종동부가 캠 휠과 맞물리고 캠 휠이 회전함에 따라, 캠 종동부가 부제동기구 작동기구의 다른 부분들과 함께 이동되어 부제동기구와 맞물림이 해제되고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대해 스풀 축을 고정시키도록, 구동축에 고정된 캠 휠, 및 캠 휠과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캠 종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낚시 릴은 스풀과 스풀 축 사이에 연결된 제동기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부제동기구 작동기구는 캠 종동부를 캠 휠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캠 휠과 맞물리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캠 종동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작동 레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부제동기구 작동기구는 상기 작동 레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잠금 부재와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는 하우징 내에서 회전에 대해 스풀 축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구조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하우징 내에서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더 압축된 하우징이 가능하게 된다. 부제동기구 작동기구가 스풀 축과 같이 면 기어의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은 크기가 작아질 수 있어 공간이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과 여타의 목적들, 특징들, 측면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 질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 참조 번호는 상응하는 부품들을 일관되게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라 부제동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기구를 갖는 낚시용 릴의 측면도,
도 2는 오프(off) 위치에 있는 작동기구의 세부사항을 도시하며, 낚시용 릴의 제1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으로, 작동기구의 세부사항을 보이도록 면 기어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약간 확대된 상태로 도 1에 유사한, 낚시용 릴의 일부에 대한 부분단면 측면도,
도 3은 온(on) 위치에 있는 작동기구의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와 유사한, 낚시용 릴의 일부에 대한 부분단면 측면도,
도 4는 도 2와 도 3의 제1측과 반대인 낚시용 릴의 제2측으로부터 본 도면으로, 낚시용 릴로부터 탈거된 구동기구의 후사시도,
도 5는 부제동기구의 일부에 대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부제동기구와 작동기구의 부분들의 일부에 대한 부분 입면, 부분 단면 후단부도(rear end view),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프 위치에 있는 작동기구의 세부상황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와 유사한, 낚시용 릴의 일부에 대한 부분단면 측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온 위치에 있는 작동기구의 세부상황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7과 유사한, 낚시용 릴의 일부에 대한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낚시용 릴(1)은 낚시대(미도시) 상에 낚시용 릴(1)을 설치하는 사용되는 브라켓트(2)를 포함한다. 브라켓트(2)는 하우징(3)으로부터 연장된다. 하우징(3)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릴(1)의 여러 기계적 구성품들을 둘러싸며 보호한다.
로우터(5)와 베일(6)은 하우징(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우터(5)와 베일(6)은 스풀(7)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스풀(7)은 낚시줄(미도시)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스풀(7)은 스풀 축(8)의 단부(端部) 상에 지지된다. 스풀 축(8)은 명백하게 도시하기 위해 스풀(7)이 제거된 상태로 도 2에 더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로우터 축(9)은 스풀 축(8)의 일부 주위에 동축을 가지며 배치되어 있다. 로우터 축(9)은 로우터(5)와 베일(6)을 지지한다.
왕복동기구(4)는 로우터(5)가 회전됨에 따라 스풀(7)을 전후(도 1, 도 2, 및 도 3에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우징(3)의 하부 내에 배치된다. 왕복동기구(4)는 웜 축(4a), 및 스풀 축(8)에 부착된 슬라이더(4b)를 포함한다. 슬라이더(4b)는 웜 축(4a)에 평행한 안내봉 상에 지지된다. 슬라이더(4b)와 웜 축(4a) 사이의 맞물림은 스풀 축(8)을 왕복동 방식으로 전후로 움직이게 한다. 슬라이더(4b)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을 더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다른 도면들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일방향 클러치 기구(미도시)는 또한 하우징(3) 내로 맞추어지며,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방향 클러치 레버(11)를 통해 결합되고 결합해제된다. 일방향 클러치 기구(미도시)는 결합될 때 로우터(5)를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한다. 일방향 클러치 기구가 결합해제될 때, 로우터(5)가 양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핸들 아암(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핸들 아암(10)은 구동축(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12)은, 핸들 아암(10)이 회전될 때, 구동축(12)과 면 기어(15)가 함께 회전하도록, 면 기어(15)에 연결되어 있다. 면 기어(15)는, 실선으로 도시될 경우 다른 요소들의 도시를 방해하게 되므로, 도 2와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여러 가지 요소들은 면 기어(15)에 의해 가리워지게 된다. 아래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도 4는 도 2와 도 3이 취해진 쪽과 반대인 쪽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반대 각도의 사시도이다.
피니언 기어(18)는 로우터 축(9)에 연결되어 있다. 핸들 아암(1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력이 구동축(12)으로부터 면 기어(15)로 전달되고, 그 다음 피니언 기어(18)와 다시 로우터 축(9)을 경유하여 로우터(5)에 전달되도록, 피니언 기어(18)는 면 기어(15)의 일 축면에 형성된 기어 치들과 접촉한다. 로우터(5)는 낚시줄이 스풀(7) 주위에 맞물려 감기도록 베일(6)을 줄감기 위치로 가게 하는 베일 회동기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스풀(7)은 제동기구(20)를 더 포함한다. 제동기구(20)는 스풀 축(8)의 원단과 스풀(7)의 내부 부분들 사이에 맞물려진 클러치 판(미도시)들을 포함한다. 제동기구(20)에서의 제동력은 플레이트 너트(21)를 스풀 축(8)에 대해 조임으로써 조정된다. 플레이트 너트(21)는 스풀 축(8)의 단부 상에 형성된 상응하는 나선부(미도시)와 맞물리는 나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너트(21)를 조이면 스프링(미도시)이 제동기구(20)의 클러치 판들에 향해 압축되어 스풀(7)과 스풀 축(8) 사이에 허용될 미끄러짐 또는 상대적 회전의 양을 조정하게된다.
이제,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작동기구(25)와 부제동기구(28)가 설명된다.
도 5에 도시된 부제동기구(28)는 하우징(3)의 일부와 조절 다이얼(34) 사이에 각각 배치된 클러치 판(32)과 코일 스프링(33)을 포함하여, 복수의 클러치 판들을 포함한다. 조절 다이얼(34)은 후방 덮개(66)에 고정된다. 후방 덮개(66)는 하우징(3)의 후방부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 덮개(66)에는 조절 다이얼(34)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 리테이너(67)는 조절 다이얼(34)의 축방향 이동은 방지하고 조절 다이얼(34)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후방 덮개(66) 내부의 조절 다이얼(34)의 일부와 맞물린다. 다이얼 리테이너(67)는, 조절 다이얼(34)이 회전됨에 따라, 다이얼 리테이너(67)이 이와 함께 회전하도록 조절 다이얼(34)에 고정된다. 또한, 조절 다이얼(34)에는 그 외주면 상에 기어 치들을 닮은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들은, 조절 다이얼(34)의 회전 시에 조절 다이얼(34)이 찰깍 소리를 내며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하우징(3) 내의 상응하는 돌출부(미도시)와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또한 클러치 판(32)에는, 클러치 판(32)이 회전할 때, 찰깍 소리가 들리도록 유사한 클릭 기구(미도시)와 맞물리는 기어 치들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 다이얼(34)에는 장력 나사(68)의 단부 상에 형성된 상응하는 나사선(미도시)들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그 내면 상에 나사선(미도시)들이 형성되어 있다. 장력 나사(68)는 코일 스프링(33)과 가압부재(69)를 보유하는 컵 형상을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축(8)의 후단부는, 다음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평행인 양측면을 갖는 일종의 달걀 형상을 가진다. 가압부재(69)는 둥근 개구를 가지며, 스풀 축(8)이 가압부재(69)와 장력 나사(68)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스풀 축(8)의 단부가 상기 둥근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키 판(70)과 장력 나사(68)가 서로에 대해 축방향 이동을 할 수 있지만 서로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장력 나사(68)는 키 판(70)과 맞물려진다. 키 판(70)은 하우징(3) 내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하우징(3)의 일부와 맞물려진다. 키 판(70)은 코일 스프링(33)이 키 판(70)과 가압부재(69) 사이에 한정된 상태로 후방 덮개(66) 내에 배치된다.
슬리이브(36)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축(8)의 후단부 상에 배치된다. 키 판(70)은 슬리이브(36)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앙 개구를 가진다. 슬리이브(36)는 키 판(70)에 대해 상대적 회전을 할 수 있다. 슬리이브(36)에는 스풀 축(8)의 형상에 상응하는 달걀 형상을 갖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리이브(36)의 외면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달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풀 축(8)과 슬리이브(36)믐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다. 그러나, 스풀 축(8)은 슬리이브(36)에 대해 왕복동 운동을 할 수 있다.
슬리이브(3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개구를 동해 연장된다. 슬리이브(36)에는 하우징(3)과 맞물리는 환형 돌출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이브(36)는 C형 클립과 환형 돌출부(36a)에 의해 축방향 이동이 억제된다. 클러치 판(32)을 포함하여 클러치 판들은 환형 돌출부(36a)와 키 판(70) 사이에 한정된다. 따라서, 조절 다이얼(34)이 회전될 때, 장력 나사(68)와 가압부재(69)는 도 5에서 키 판(70)을 향해 내측으로 이동되어, 코일 스프링(33)이 압축되게 한다. 압축된 코일 스프링(33)은 키 판(70)을 클러치 판(32)을 포함한 클러치 판들 쪽으로 하우징(3)을 향해 밀게 되어 슬리이브(36)와 스풀 축(8)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동력을 생성한다.
부제동기구(28)는,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클러치 판(32)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3)에 대한 스풀 축(8)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크기는 조절 다이얼(34)에 의해 장력 나사(68)가 얼마나 꽉 조여졌는가에 달려있다.
키 판(70)과 클러치 판들을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생성되는 제동력을 스풀 축(8)이 극복하도록 스풀 축(8) 상에 충분한 힘이 있는 경우에, 클러치 판(32)와 접촉하고 있는 클릭 기구는 찰깍 소리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부제동기구(28)는 도 5와 도 5에 도시된 잠금 링(35)을 포함한다. 잠금 링(35)은 스풀 축(8) 또는 슬리이브(36)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슬리이브(36)의 일부에 고정된다. 잠금 부재(40)는 도 6에서 하우징(3)의 방향에 대해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3)의 부분들 내에 보유된다. 도 6에 도시된 잠금 안내부(G)는 잠금 부재(40)를 보유하는 것을 돕는다. 잠금 안내부(G)는 하우징(3)에 부착된다.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위치에서, 잠금 부재(40)는 잠금 링(35)과 맞물리며, 따라서, 스풀 축(8)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잠금 링(35)과 잠금 부재(40)가 서로 맞물릴 때, 부제동기구(28)는 스풀 축(8)의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작동할 수 없다.
작동기구(25)는 구동축(12)에 견고하게 고정된 캠 휠(42)을 포함한다. 작동기구(25)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외부에 배치된 작동 레버(45)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 도 3, 및 도 4에서 본 발명의 세부사항을 더 명확히 보이도록 하우징(3)의 부분들이 절제되었기 때문에 작동 레버(45)는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작동 레버(45)는 하우징(3)의 대향하는 내벽들 사이에 연장되는 축(46) 상에 지지된다. 축(46)은 하우징(3)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작동 레버(45)가 회전됨에 따라 축(46)이 작동 레버(45)의 상응하는 이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작동 레버(45)는 축(4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면, 작동 레버(45)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오프 위치와 온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레버(47)는 또한 축(46)에 이와 함께 회전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레버(47)는 제1토글 스프링(50)에 연결되어 있다. 제1토글 스프링(50)의 일단은 제1레버(47)에 연결되고 제1토글 스프링(50)의 타단은 하우징(3)의 일부에 연결된다.
제1토글 스프링(50)의 목적의 하나는 작동 레버(45)를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오프 위치와 온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작동 레버(45)는 오프 또는 온 위치의 어느 한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고, 제1토글 스프링(50)은 약간 압축되지만, 작동 레버(45)가 오프 또는 온 위치의 어느 한 위치로 되돌아갈 때 다시 팽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토글 스프링(50)은 작동 레버(45)를 온과 오프 위치들로 편향시키거나 또는 토글시킨다.
또한, 제2레버(52)는, 작동 레버(45)가 축(46)을 회전시키도록 이동될 때, 제2레버(52)가 또한 축(46)과 함께 회전하도록, 축(46)에 견고하게 부작된다. 그러므로, 작동 레버(45), 제1레버(47), 및 제2레버(52)는 모두 일체와 같이 함께 이동한다.
제2레버(52)에는 도 2와 도 3에 더 명확히 도시된 기다란 개구(52a)가 형성되어 있다. 제3레버(53)는 축(55) 상에 설치되며 축(55) 주위를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축(55)는 하우징(3)과 안내판(39) 사이에 지지된다. 안내판(39)은 하우징(3)의 상부에 고정된다. 제3레버(53)에는, 제2레버(52)가 축(46) 상에서 회전할 때, 제3레버(53)가 제2레버(52)의 이동에 따르도록, 기다란 개구(52a)를 통해 연장되는 핀(53a)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작동 레버(45)가 도 2의 오프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온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핀(53a)을 갖는 제3레버(53)의 일부는 핀(53a)과 제2레버(52)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도 2와 도 3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캠 종동부(58)는 제3레버(5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캠 종동부(58)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휠(42)과 맞물도록 형성된다. 캠 종동부(58)의 하단은 제2토글 스프링(60)의 일단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개구를 가진다. 하우징(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종동부(58)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2안내판(38)을 포함한다.
제2토글 스프링(60)의 제2단은 제2토글 스프링(60)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두 위치들로 편향시키도록 하우징(3)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 맞추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토글 스프링(60)의 두 다리들은, 캠 종동부(58)가 제3레버(53)를 향하여 상방으로 밀려지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토글 스프링(60)의 두 다리들은 서로를 향해 압축되어 있으며, 따라서, 캠 종동부(58)를 밀어 캠 휠(42)과 맞물리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온 위치에서, 제2레버(52)는, 잠금 부재(40)와 잠금 링(35)이 맞물리지 않도록, 잠금 부재(40)의 상부와 맞물려 잠금 부재(40)를 하방으로 밀어준다. 그러므로, 온 위치에서, 스풀 축(8)은 회전할 수 있으며, 부제동기구(28)는 작동할 수 있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오프 위치에서, 잠금 부재(40)와 잠금 링(35)이 결합되도록 제2레버(52)는 잠금 부재(40)의 상부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잠금 부재(40)가 편향 스프링(62)으로 인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오프 위치에서, 스풀 축(8)은 회전할 수 없으며, 부제동기구(28)는 작동할 수 없다.
작동기구(25)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작동 레버(45)가 오프 위치(도 2)인 상태에서, 스풀 축(8)은 잠금 부재(40)와 잠금 링(35)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회전할 수 없다. 작동 레버(45)가 온 위치로 이동되어진 때, 제2레버(52)는 잠금 부재(40)의 상부와 맞물리어 스풀 축(8)이 회전하고 부제동기구(28)가 작동하게 한다. 더욱이, 제2레버(52)의 이동에 의해 제3레버(53)는 캠 종동부(58)를 이동시켜 캠 휠(42)과 맞물리게 한다. 낚시줄이 충분히 풀려져 나간 후에, 핸들 아암(10)은 마침내 낚시줄을 감아들이도록 회전되게 된다. 핸들 아암(10)이 회전될 경우, 구동축(12)이 회전하여 캠 휠(42)이 회전하게 한다. 그 다음으로, 캠 종동부(58)는 제2토글 스프링(60)에 의해 편향되어 캠 휠(42)과 맞물리게 되므로, 캠 휠(42)의 치들 중의 하나가 캠 종동부(58)와 맞물리게 된다. 캠 휠(42)이 더 회전하게 되면 캠 종동부(58)를 상방으로 밀게 된다. 캠 종동부(58)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제3레버(53)가 축(55)의 주위로 회동하게 되며, 따라서, 제2레버(52)가 잠금 부재(40)로부터 결합해제되게 된다. 또한, 제2레버(52)가 잠금 부재(40)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제1토글 스프링(50)은 작동 레버(45)를 오프 위치를 향해 밀기 시작하게 된다.
도 4에 관하여, 하우징(3), 스풀 축(8), 및 피니언 기어(18)의 대부분은 작동기구(25)를 더 명확히 도시하기 위하여 제거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및 제2토글 스프링(50)(60)의 자유단들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해당 구멍들에 얀장되어 삽입된다. 그러나,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피니언 기어(18)는 면 기어(15)에 형성된 기어 치들과 맞물린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피니언 기어(18)와 스풀 축(8)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2)의 하부와 작동기구(25) 사이에 연장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구조는, 전형적으로 작동기구들이 면 기어를 피니언과 작동기구 사이에 갖는 상태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종래의 기술과 크게 다르다.
본 발명의 구조에는 명확한 이점들이 있다. 특히, 피니언 기어를 작동기구(25)와 면 기어(15)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작동기구(25)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부분적으로 빈 공간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해 하우징(3)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3)의 크기는 종래 기술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는 몇 가지 작은 구조적 차이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다른 요소들만이 기술되는 것과 기술되지 않지만 제1실시예와 공통의 참조번호를 갖는 요소들은 제1실시예에서 공통으로 참조번호가 부여된 요소들과 일반적으로 같다는 것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에서, 캠 휠(142)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기어 치들에 형성되어 있다. 캠 휠(142)은 제1실시예의 캠 휠(42)과 전체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2레버(152)는 제1실시예의 제2레버(52)에서와 같은 기능으로 역할을 하는 개구(152a)를 가지나, 개구(152a)는 폐단부 대신에 개단부를 가진다.
제1 및 제2 실시예 모두에서, 부제동기구를 위한 작동기구는 피니언 기어가 작동기구와 면 기어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풀 축과 같이 면 기어(15)의 같은 쪽에 배치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피니언 기어 쪽과 반대의 면 기어 쪽에 배치된 작동기구를 가지며, 또한 종래 기술의 작동기구는, 면 기어가 작동기구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하우징의 근접한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작동기구는 면 기어의 피니언 기어 쪽에 배치되며, 하우징은 종래 기술에서보다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인 낚시용 릴을 작고 더 압축형으로 만든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 동등물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을 제한하는 목적을 갖지 않는다.

Claims (5)

  1. 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된 스풀 축;
    상기 스풀 축의 제1단 상에 지지된 스풀;
    상기 스풀 축의 제2단에 근접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부제동기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로우터 축;
    상기 스풀 주위에 낚시줄을 감기 위해 상기 스풀의 일부 주위에 배치된 로우터;
    전체적으로 상기 스풀 축에 수직으로 상기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면 기어;
    상기 로우터 축 상에 설치되며, 상기 로우터가 면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를 통해 회전되도록 상기 면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가 자신과 상기 면 기어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릴 하우징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부제동기구 작동기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제동기구 작동기구는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캠 휠, 및 상기 캠 휠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캠 종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 종동부가 캠 휠과 맞물리고 상기 캠 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캠 종동부가 상기 부제동기구 작동기구의 다른 부분들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부제동기구를 결합해제시키고 상기 스풀 축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잠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과 상기 스풀 축 사이에 연결된 제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제동기구 작동기구가 상기 캠 종동부를 상기 캠 휠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기 캠 휠과 결합되는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캠 종동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작동 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제동기구 작동기구는 상기 작동 레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잠금 부재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스풀 축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의 회전에 대해 선택적으로 잠그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1999-0004812A 1998-09-08 1999-02-11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 제어용 작동기구의 구조 KR100517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61698A JP3542284B2 (ja) 1998-09-08 1998-09-08 釣り用リール
JP10-272616 1998-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570A true KR20000022570A (ko) 2000-04-25
KR100517123B1 KR100517123B1 (ko) 2005-09-27

Family

ID=1751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812A KR100517123B1 (ko) 1998-09-08 1999-02-11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 제어용 작동기구의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98908A (ko)
EP (1) EP0985343B1 (ko)
JP (1) JP3542284B2 (ko)
KR (1) KR100517123B1 (ko)
CN (1) CN1138469C (ko)
AU (1) AU769838B2 (ko)
DE (1) DE69909198T2 (ko)
DK (1) DK0985343T3 (ko)
TW (1) TW3772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6893B2 (en) * 1999-11-30 2002-09-10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US6328239B1 (en) * 2000-06-14 2001-12-11 Liang-Jen Chang Clutch mechanism of fishing line winder
US7055771B2 (en) * 2001-03-26 2006-06-06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 Trip mode selector switch for spinning reel
KR100380028B1 (ko) * 2001-05-09 2003-04-18 주식회사 바낙스 스풀 제동력 순간 절환장치를 구비한 스피닝 릴
US6513743B1 (en) 2001-06-11 2003-02-04 The Orvis Company, Inc. Anti-reverse large arbor fly reel
IL160964A0 (en) * 2001-10-11 2004-08-31 Kaneka Corp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ligan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634586B1 (en) * 2002-07-02 2003-10-21 Liang-Jen Chang Anti-reversional mechanism for trolling reel
JP2006304675A (ja) * 2005-04-28 2006-11-09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4809265B2 (ja) 2007-02-23 2011-11-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9065927A (ja) * 2007-09-14 2009-04-0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8636670B2 (en) 2008-05-13 2014-01-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irculator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9717896B2 (en) 2007-12-18 2017-08-01 Gearbox, Llc Treatment indications informed by a priori implant information
US20090287120A1 (en) 2007-12-18 2009-11-19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irculator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EP2111754B1 (en) 2008-04-25 2012-06-20 Globeride, Inc. Fishing spinning reel
JP4865759B2 (ja) * 2008-04-25 2012-02-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481101B2 (ja) * 2009-06-08 2014-04-2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JP5912371B2 (ja) * 2011-09-27 2016-04-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JP6235446B2 (ja) * 2014-10-24 2017-11-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235445B2 (ja) * 2014-10-24 2017-11-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10785970B1 (en) * 2017-09-06 2020-09-29 Thomas Sandstrom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bi-directionally rotating rotor with drag control to prevent line twist
US10881091B2 (en) 2017-09-19 2021-01-05 Pure Fishing, Inc. Reel dra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535A (en) * 1906-11-10 1910-03-22 Packard Motor Car Co Combined friction and positive clutch.
US2760357A (en) * 1952-05-27 1956-08-28 Enterprise Mfg Co Salt water reel
GB758626A (en) * 1954-01-21 1956-10-03 Georges Mombur Improvements in fishing reels
FR2038492A6 (ko) * 1969-03-17 1971-01-08 Bernier Jean
US3600964A (en) * 1970-03-05 1971-08-24 Shakespheare Of Arkansas Inc Optionally automatic two speed drive for a fishing reel
US4344587A (en) * 1978-04-17 1982-08-17 Hildreth W C Automatic motorized fishing reel
JPS6075222A (ja) * 1983-09-30 1985-04-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DE3401945A1 (de) * 1984-01-20 1985-08-01 Cormoran Sportartikel-Vertrieb, 8039 Puchheim Angelwinde
US4746077A (en) * 1985-05-30 1988-05-24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Control device for a drag mechanism in a spinning type fishing reel
SE460168B (sv) * 1986-06-11 1989-09-18 Abu Garcia Produktion Ab Betesfiskebroms foer haspelrulle
US4834307A (en) * 1988-06-01 1989-05-30 Abu Garcia Produktion Ab Open fixed-spool fishing reel
US5201477A (en) * 1989-04-11 1993-04-13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drag brake mechanism and clutch
EP0639328B1 (en) * 1989-11-17 1999-07-28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KR920003650Y1 (ko) * 1990-08-31 1992-06-08 주식회사 은성사 낚시용 릴의 스풀제동력 절환장치
JP2779580B2 (ja) * 1993-04-16 1998-07-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724059A (ja) * 1993-07-09 1995-01-27 Nissho Corp 血液バツグ
KR100304065B1 (ko) * 1993-10-21 2001-11-22 마쯔이 요시유끼 낚시용스피닝릴의드래그장치
AUPO185596A0 (en) * 1996-08-23 1996-09-19 Jarvis Walker Pty Ltd A spinning reel for fi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83527A (ja) 2000-03-28
CN1247024A (zh) 2000-03-15
DK0985343T3 (da) 2003-10-27
AU4735699A (en) 2000-03-16
US6098908A (en) 2000-08-08
CN1138469C (zh) 2004-02-18
EP0985343A1 (en) 2000-03-15
DE69909198T2 (de) 2004-04-15
JP3542284B2 (ja) 2004-07-14
KR100517123B1 (ko) 2005-09-27
DE69909198D1 (de) 2003-08-07
TW377271B (en) 1999-12-21
EP0985343B1 (en) 2003-07-02
AU769838B2 (en)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123B1 (ko)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 제어용 작동기구의 구조
KR910002135Y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력 절환장치
EP0639328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950006285B1 (ko) 릴의 클러치 구조
US5149009A (en) Fishing reel
US6957788B2 (en)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H06510915A (ja) 魚釣りリールのベイル組立体のためのジャミング防止機構
JP2000354442A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4618106A (en) Fishing reel with friction and magnetic brakes
KR970005230B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
US4899952A (en) Double bearing type fishing reel
JP4913307B2 (ja) 釣り用リールのための遊星ギアアセンブリ
JP7261753B2 (ja) 魚釣用リール
KR101940640B1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드래그 전환 장치
JPH0331187Y2 (ko)
JP4015931B2 (ja) 釣用リールのねじ操作構造
KR100331090B1 (ko) 스피닝 릴
JP3448324B2 (ja) 両軸受リール
KR200265237Y1 (ko) 플라이 낚싯대용 릴
JPH0220215B2 (ko)
JP3005412U (ja) 魚釣用リ−ル
JP2535459Y2 (ja) 両軸受型リール
JP2023520599A (ja) プル・ターン式レバードラグ・プリセットノブ
JP438189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KR100226421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