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643A -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643A
KR20010062643A KR1020000080541A KR20000080541A KR20010062643A KR 20010062643 A KR20010062643 A KR 20010062643A KR 1020000080541 A KR1020000080541 A KR 1020000080541A KR 20000080541 A KR20000080541 A KR 20000080541A KR 20010062643 A KR20010062643 A KR 20010062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gnetic recording
polyester film
film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262B1 (ko
Inventor
마사아키 오노
카츠야 오카모토
토시히로 츠즈키
츠토무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1006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29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rising naphthalene ring compounds, e.g.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1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layer being polyes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5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haracterised by roughness or surface features, e.g. by add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8Magnetic, para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9/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권심부에서 표층부에 이르는 전체길에서 전자변환특성이 우수하고 드롭아웃이 적은 디지털비디오테이프를 작성하기 위하여 적절한 베이스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폴리에스테르층 A 및 폴리에스테르층 B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서, 층 A측 표면의 중심선면 평균조도(SRa값)가 2~4㎚, 십점 평균면조도(SRz값)가 10~40㎚이고, 층 B 중에 평균입자직경이 50㎚이상 250㎚미만의 미세입자 α 및 입자직경이 250㎚이상 500㎚미만의 미세입자 β가 포함되고, 층 B중의 미세입자 α의 함유량이 0.1~1.0중량%, 미세입자 β의 함유량이 0.01~0.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A측 표면에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기기록테이프에 의해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AGNETIC RECORDING TAPE}
본 발명은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특히 디지털 비디오카세트테이프용 등, 디지털데이터를 기록하는 강자성 금속박막형 자기기록매체용의 베이스필름으로서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필름에 관한 것이다.
1995년에 실용화된 민생용 디지털비디오테이프는 베이스필름상에 Co의 금속자성박막을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하고, 그 표면에 다이아몬드형상 카본막을 코팅하는 등 한 것이다. Hi8용 ME(증착) 테이프에 비하여 표면성이 더욱 평활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내구성을 갖는다.
그 베이스필름으로서는 (1) 폴리에스테르필름과, 상기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밀착된 불연속 피막과 상기 피막 속 및 피막 표면에 존재하는 미립자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필름(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소62-30105호 공보), (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A와, 미립자가 함유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B가 적층된 복합필름(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평1-26338호 공보), (3) 평활한 폴리에스테르필름이고 비자성면측 표면에 미끄럼제 주체의 피복층이 형성된 필름(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소57-195321호 공보) 등이 이용되고, Hi8ME 테이프용 베이스필름에 비하여 더욱 금속자성막 형성 표면조도가 적은 베이스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베이스필름을 가지고 작성된 자기기록테이프는 핸드링성이 불량하거나, 테이프자성면의 표면기복의 불균형이 크거나, 진공증착공정에 있어서 냉각캔에 부착하는 이물의 영향에 의해 드롭아웃(DO)이 많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들 문제를 극복하여 전자변환특성이 양호한 자기기록테이프로 되고, 더구나 핸드링성이 양호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한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평10-172127호 공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필름의 한쪽의 한쪽측 표면 A의 SRa값이 2~4㎚, SRz값이 10~40㎚이고, 다른쪽의 한쪽측 표면 B의 SRa의 값이 5~15㎚, SRz값이 50~250㎚이며, 표면 B의 외측에는 도포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용이층이 없고, 또 높이 540㎚ 이상의 돌기개수가 2~20개/100㎠인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서, 표면 A의 외측에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사용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민생용 디지털비디오테이프는 매우 좋은 평을 받고 있고, 시장에 의해 많은 테이프를 투입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 때문에 1회의 증착조작으로 보다 다량의 디지털비디오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도록 베이스필름 길이가 보다 길어지게 되어 왔고, 종래 10000m 이하이었던 것이 12000m 이상, 더욱이는 15000m 이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변화 속에서, 상기한 일본국 특허공개 평10-172127호 공보에개시되어 있는 베이스필름으로 감은 길이를 10000m를 초과하는 베이스필름롤을 작성하여 민생용 디지털비디오테이프를 제조한 경우, 상기 필름롤의 보빈에 가까운 권심부의 필름으로 제조된 디지털비디오테이프의 전자변환특성이 불량하여 드롭아웃이 많아진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름길이가 10000m를 초과하는 긴 롤이어도, 권심부에서 표층부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전자변환특성이 양호하고, 드롭아웃이 적은 디지털비디오테이프를 작성할 수 있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적어도 폴리에스테르층 A 및 폴리에스테르층 B가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서, 층 A측 표면의 중심선면 평균조도(SRa값)가 2~4㎚, 十점평균 면조도(SRz값)가 10~40㎚이고, 층 B중에 평균입자직경이 50㎚이상, 250㎚미만의 미세립자 α 및 평균입자직경이 250㎚이상, 500㎚미만의 미세립자 β가 포함되고, 층 B중의 미세립자 α의 함유량이 0.1~1중량%, 미세립자 β의 함유량이 0.01~0.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그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A측 표면에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기기록테이프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적어도 폴리에스테르층 A와, 폴리에스테르층B가 적층되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층 A측의 표면상에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라는 것은 분자배향에 의해 고강도 필름으로 되는 폴리에스테르이면 되지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그 구성성분의 80%이상이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이면 다른 성분을 공중합하여도 좋다.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p-크실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의 디올성분, 아지핀산, 세바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르본산 성분, 트리메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등의 다관능 디카르본산 성분, p-옥시에톡시 안식향산 등이 있다.
또한, 상기한 폴리에스테르는, 이 외에 폴리에스테르와 비반응성 설폰산의 알칼리금속염 유도체,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실용적으로 불용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등의 하나 이상을 5중량%를 넘지 않는 정도로 혼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A측 표면의 중심선면 평균조도(SRa값)는 2∼4㎚이고, 바람직하게는 2~3㎚이다. 층 A측 표면의 十점 평균면조도(SRz값)는 10~40㎚이고,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SRa값이 2㎚미만이면 표면 A상에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강자성 금속박막이 지나치게 평활하여 디지털비디오테이프 리코더 내의 기록, 재생시에 비디오헤드에 의해 비디오테이프의 강자성 금속박막이 마모되어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SRa값이 4㎚를 초과하면,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이 지나치게 거친 면으로 되어 비디오테이프의 출력특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SRz값이 10㎚미만이면,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이 지나치게 평활하여 디지털비디오테이프 리코더 내의 다수회에 걸친 반복기록, 재생으로 비디오테이프의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SRz값이 40㎚를 초과하면,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이 지나치게 거친면으로 되어 비디오테이프의 작은 DO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A측 표면에는 평균입자직경이 5~30㎚의 미세입자를 0.5~12중량% 함유하는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입자로서는 실리카, 탄산칼슘, 알루미나, 폴리아크릴산구, 폴리스틸렌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세입자의 평균입자직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30㎚이고,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6~10중량%이다. 유기화합물로서는 폴리비닐알콜, 트라간트고무, 카제인, 젤라틴,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유극성 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A측 표면에 상기 도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SRa값 및 SRz값은 상기 도포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한 값이다.
또 자기기록테이프의 자기헤드와의 미끄럼성을 향상하고 내구성을 더욱 증가하기 위하여, 층 A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 내에 평균입자직경이 30~150㎚인 미세입자를 0.01~1중량% 함유시키고, 층 A측 표면상에 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입자의 보다 바람직한 평균입자직경은 40~100㎚이고,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02~0.8중량%이다.
층 A측 표면의 SRa, SRz는 피복층의 미세입자, 그 외의 성분, 혹은 층 A 속에 첨가된 미세입자의 조정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의 외측 표면에는 층 B중의 미세입자 α, β에 의한 표면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미세입자 α는 평균입자직경이 50㎚이상, 250㎚미만의 입자이고, 미세입자 β는 평균입자직경이 250㎚이상, 500㎚미만의 입자이다. 층 B중의 미세입자 α의 함유량은 0.1~1중량%, 미세입자 β의 함유량은 0.01~0.1중량%이다.
층 B측 표면의 SRa값은 10~2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2㎚이다. 층 B측 표면의 SRz값은 200~4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350㎚이다.
미세입자 β의 평균입자직경이 250㎚미만 혹은 미세입자 β의 함유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필름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하게 되어서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제조시, 특히 막형성 후의 슬리터(slitter)에 의한 슬릿공정에 있어서, 필름을 소정의 폭으로 슬릿하고, 롤형상으로 감아서 제품화할 때에 주름이 들어가 롤형상으로 감아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층 B측 표면의 SRz값이 200㎚미만이면 동일한 경향이다. 미세입자 β의 평균입자직경이 500㎚를 초과하면, 또 미세입자 β의 함유량이 0.1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필름에 강자성 금속을 진공증착한 후 롤형상으로 필름을 감고 방치하였을 때에, 그 층 B측 표면의 조도가 강자성 금속층 표면에 전사되어 강자성 금속층의 표면기복이 커지게 되고, 그 결과 디지털비디오테이프의 자기변환특성이 악화되어 드롭아웃이 증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층 B측 표면의 SRz값이 500㎚를 초과하여도 마찬가지의 경향이다.
미세입자 α의 평균입자직경이 50㎚미만, 혹은 미세입자 α의 함유량이 0.1중량%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제조하여 10000m이상으로 슬릿하고 제품으로서 방치하고 있는 기간에,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미세입자 β에 의한 돌기형상이, 특히 보빈 가까이의 권심부에서 층 A측 표면에 전사되어, 층 A측 표면에 움푹 들어간 형상의 변형을 주어 진공증착후 강자성 금속박막에 움푹 들어간 형상의 변형이 남고, 그 결과 디지털비디오테이프의 전자변환특성이 악화하여 드롭아웃이 증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층 B측 표면의 SRa값이 10㎚ 미만이면 마찬가지의 경향에 있다. 미세입자 α의 평균입자직경이 250㎚를 초과하면 또는 미세입자 α의 함유량이 1중량%를 초과하면, 층 B측 표면의 조도가 증대하여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제조하여 10000m 이상으로 슬릿하고, 제품으로서 방치하고 있는 기간에,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조도가 층 A측 표면에 전사되어 층 A측 표면의 표면기복이 증대하고, 진공증착후 강자성 금속박막의 표면기복이 커지게 되며, 그 결과 디지털비디오테이프의 전자변환특성이 악화하여 드롭아웃이 증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층 B측 표면의 SRa값이 25㎚를 상회하여도 마찬가지의 경향으로 된다.
미세입자 α, β로서는 실리카, 탄산칼슘, 알루미나, 규산알루미늄과 같은무기화합물, 폴리아크릴산구, 폴리스틸렌구 등의 유기화합물,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등의 무기입자를 핵으로 하여 유기고분자로 피복된 입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세입자 α로서는 무기미세입자가 바람직고, 특히 규산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미세입자 β로서는 유기미세입자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스틸렌입자가 바람직하다.
층 B에는 미세입자 α, β이외에, 또한 미세입자 α보다 작은 미립자를 내재시켜도 좋다. 상기 미립자로서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폴리스틸렌, 알루미나실리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화제, 대전방지제, 각종 에스테르성분 등 다른 성분을 첨가하여도 좋다.
폴리에스테르필름의 막형성공정, 슬릿공정, 자기테이프 가공공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필름의 각종 가이드롤과의 미끄럼성 및 폴리에스테르필름의 핸드링성이 양호한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미끄럼성 및 핸드링성 개량을 위하여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에 미끄럼용이층이 도포되어 있으면, 폴리에스테르필름에 강자성 금속을 진공증착할 때에 냉각캔과의 사이에서 미끄럼용이층이 삭제되거나 미끄럼용이층이 냉각캔에 부착되거나 하여 냉각캔을 오염하고, 필름에 열부화를 일으키거나 오염물이 진공증착된 필름에 부착되어 비디오테이프의 드롭아웃을 일으키거나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층 B측 표면에는 도포에 의한 미끄럼용이층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층 B중에 미세입자 α, β의 2종류의 미세입자를 특정비율 함유함으로써 층 B측 표면에 미끄럼용이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필름의 미끄럼성 및 핸드링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층 A와 층 B가 적층되어 이루어지지만, 층 B의 두께는 전체두께의 8~2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이다. 층 B의 두께가 전체두께의 8%미만이면 층 B중의 미세입자, 특히 미세입자 β가 탈락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층 B의 두께가 전체두께의 25%보다 크면 층 B중의 미세입자의 형상이 층 A를 통하여 표면 A상에 돌기형상 변형을 일으키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에 있어서, 층 B중에는 왁스 및/또는 비누가 0.05~1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1~0.7중량%이다. 또, 층 B중에는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화합물이 0.001~0.1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03~0.08중량%이다. 왁스 및/또는 비누와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좋지만, 양자를 조합시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왁스로서는 카르나우바왁스, 경납, 밀랍, 중국밀랍, 라놀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누로서는 지방족, 방향족 설폰산, 수지산, 나프텐산 등의 금속염, 예를 들면 알킬벤젠설폰산의 나트륨염, 리튬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왁스 또는 비누가 0.05중량% 이상이면, 백코트 내의 잔류용매에 의한 폴리에스테르필름 내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올리고머의 석출이 방지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다. 1중량%보다 많게 함유되면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이 끈적거려 백코트층의 접착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층 A중에 왁스 및/또는 비누를 0.05~1중량% 함유시켜도 좋다.
실리콘화합물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화합물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화합물, 불소화합물 모두 입자형상이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내에 분자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화합물 및/또는 불소화합물이 0.01중량% 미만이면 DVC테이프를 제조할 때, 금속박막 형성후 DLC층을 형성할 때의 감아내는 부분, 혹은 백코트하기 전의 감아내는 부분에서 제품단부의 필름/필름부분에서 블로킹에 기인하는 필름절단이 일어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실리콘화합물 및/또는 불소화합물이 0.1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접착성이 악화되기 쉽게 되고 백코트층이 폴리에스테르필름에서 박리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법의 일예를 예시한다. 보다 다층을 형성하여도 좋고 제법은 하기의 방법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용융, 성형, 이축연신, 열고정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플라스틱필름 제조공정에 있어서, 공통압출기술의 작용에 의해 층 A/B가 적층된 필름을 압출하여 막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필름층 A상에 코팅에 의해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피복층을 형성하여 권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즉, 함유입자를 가능한 한 제외한 층 A용의 원료와 미세입자 α, 미세입자 β를 함유시킨 층 B용의 원료를 용융하여 함께 압출하고, 캐스팅드럼상에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시트를 얻는다. 상기 미연신 필름시트를 일축연신하여 층 A측 표면상에 상기 기재의 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액을 조정, 도포 및 건조하고, 그 후에 일축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배향하여, 열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필름이 얻어진다.
이축연신은 예를 들면 축차(逐次) 이축연신법 혹은 동시 이축연신법으로 행할 수 있다. 원한다면, 열고정 전에 더욱 세로 혹은 가로방향 혹은 세로와 가로방향으로 다시 연신을 행하여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수도 있다.
피복층의 형성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축방향으로의 연신을 완료한 단계에서 원하는 도포액을 기층 필름상에 도포한다. 도포방법으로서는, 독터블레이드(doctor blade) 방법, 그라비어 방법, 리버스롤방식, 메타링바 방식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은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필름으로서 특히 디지털비디오테이프 용도로 사용하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데이터스트레이지테이프 용도로 사용하여도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테이프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A측 표면에 강자성 금속박막을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강자성 금속박막은 철, 코발트, 니켈, 또는 이들 합금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자성 금속박막 두께는 100~300㎚가 바람직하다. 강자성 금속박막 두께가 100~300㎚로 매우 얇기 때문에 강자성 금속박막 표면은 베이스필름 표면형상을 그대로 반영한다. 이 강자성 금속박막상에 보호를 위해 다이아몬드상 카본(DLC)막을 보호막으로서 5~2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불소계 미끄럼제를 2~10㎚정도의 두께로 미끄럼층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자기기록테이프는 베이스필름의 층 B측 표면상에 비디오테이프리코더 내의 각종 가이드, 핀 등에 대한 주행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코트층은 고체미립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를 가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고체미립자로서는 카본블랙, 결합제로서는 폴리우레탄수지, 첨가제로서는 실리콘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백코트층의 두께는 0.3~1.5㎛ 정도이다.
<측정법>
(1) SRa값, SRz값
코사카 연구소 제작의 광촉침식(임계각 집점에러 검출방식)의 3차원조도계(ET-30H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Ra값 JIS B0601 Ra에 상당하는 중심선면 평균조도.
SRz값 JIS B0601 Rz에 상당하는 十점평균 면조도. 조도 곡면에서 기준면적분 만큼 빼낸 부분의 평균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가장 높은곳에서 5번째까지의 산의 표고의 평균값과 가장 낮은곳에서 5번째까지의 곡저의 깊이 평균값의 거리를 입력 환산한 것.
시험편의 측정하는 표면에 Al증착을 실시하였다.
측정방향은 폭방향으로 하고, 컷오프값은 0.08㎜, 측정길이는 0.1~0.25㎜, 송출피치는 0.2㎛, 측정스피드는 20㎛/s, 측정개수는 100개로 하였다. 단위는 ㎚로 하였다.
(2) 전자변환특성, 내구성
본 발명의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은 시판의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비디오테이프리코더(DVC)를 사용하여, 드롭아웃(DO)를 관측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작성한 DVC테이프 중에서, 베이스필름롤의 표층부에서 제조된 20권 및 권심부에서 제조된 20권을 선택한다. 상기 DVC테이프를 시판의 카메라 일체형의 디지털비디오테이프리코더로 녹화하고, 1분간의 재생을 하여 화면에 나타낸 블록형상의 모자이크 개수를 세어, 각 20권의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DO의 측정을 하였다. 또한 DO는 상온상습(25℃, 60%RH)에서 테이프 제조후의 초기특성과 100회 반복하여 주행한 후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DO는 값이 작은 쪽이 좋다.
다음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질적으로 불활성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평균입자직경 60㎚의 실리카를 0.02중량% 함유시킨 원료 A와 실질적으로 불활성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평균입자직경 190㎚의 규산알루미늄을 0.36중량% 및 입자직경 320㎚의 폴리스틸렌구를 0.05중량% 함유시킨 원료 B를 두께비 5:1의 비율로 공통 압출하고, 롤연신법으로 110℃에서 3.0배로 세로연신하였다.
세로연신 후의 공정에서 층 A측 표면에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도포하고,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 0.10중량%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0.30중량%
아미노에틸실란 커플링제 0.01중량%
평균입자직경 12㎚의 극미세 실리카 0.03중량%
고형분 농도 20㎎/㎡
그 후, 스텐터로 횡방향으로 110℃에서 3.3배로 연신하고, 200℃에서 열처리하여 중간스풀에 권취하였다. 그 후, 슬리터로 소폭으로 슬릿하고, 원통코어에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두께 6.3㎛, 깊이 15000m의 롤형상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A측 표면에 진공증착에 의해 코발트-산소 박막을 110㎚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코발트-산소 박막층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다이아몬드형상 카본막을 10㎚의 두께로 형성시켰다. 다음에 함불소카본산 미끄럼제를 4㎚의 두께로 그 위에 형성하였다. 계속하여 카본블랙, 폴리우레탄,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백코트층을 400㎚의 두께로 형성하고, 슬리터에 의해 폭 6.35㎜로 슬릿하고, 릴로 권취하여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로 변경하고, 세로연신온도, 배율을 135℃로 5.0배로 하고, 가로연신온도, 배율을 135℃, 6.0배로 하며, 또한 160℃에서 1.2배로 가로로 연신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2㎛,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18㎚, 270㎚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A에 함유시킨 실리카를 제외한 다른 것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4.2㎛,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규산알루미늄 함유량을 0.20중량%로 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17㎚,250㎚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규산알루미늄의 함유량을 0.80중량%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3㎚, 345㎚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규산알루미늄의 평균입자직경을 70㎚, 함유량을 0.40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2㎚, 340㎚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규산알루미늄의 평균입자직경을 220㎚, 함유량을 0.15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4㎚, 380㎚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폴리스틸렌구의 평균입자직경을 270㎚, 함유량을 0.02중량%로 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SRz값은 각각 16㎚, 220㎚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폴리스틸렌구의 평균입자직경을 270㎚, 함유량을 0.08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18㎚,240㎚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폴리스틸렌구의 평균입자직경을 450㎚, 함유량을 0.02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4㎚, 340㎚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폴리스틸렌구의 평균입자직경을 320㎚, 함유량을 0.09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2㎚, 320㎚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카르나우바왁스를 0.4중량% 추가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증착후의 냉각캔의 올리고머 오염은 전혀 없었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자기기록테이프를 높은 온도(60℃)하에서 10일간 방치하고, 상온상압(25℃, 60%RH)에서 DO를 보았지만 증가는 없었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카르나우바왁스를 0.03중량% 추가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자기기록테이프를 높은 온도(60℃)하에서 10일간 방치하고, 상온상압(25℃, 60%RH)에서 DO를 보았지만, 초기 DO가 3개/분으로 증가하여 있었다. 백코트층을 보면 올리고머 이물이 보였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카르나우바왁스를 1.5중량%추가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증착후의 냉각캔의 올리고머 오염은 전혀 없었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자기기록테이프를 높은 온도(60℃)하에서 10일간 방치하고, 상온상압(25℃, 60%RH)에서 DO를 보았지만, 초기 DO가 5개/분으로 증가하여 있었다. 백코트층을 보면 일부 박리되어 있었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실리콘오일을 0.05중량% 추가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종래, 금속박막 형성후, DLC층을 형성할 때의 감아내는 부분, 혹은 백코트하기 전의 감아내는 부분에서 제품단부의 필름/필름부분에서 블로킹이 일어나 필름이 절단되는 일이 드물게 있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전혀 그와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실리콘오일을 0.0008중량% 추가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금속박막 형성후, DLC층을 형성할 때의 감아내는 부분에서 제품단부의 필름/필름부분에서 블로킹이 약간 발생하였다. 다행히 필름이 절단되지 않고 테이프화 되었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실리콘오일을 0.15중량% 추가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100회 주행후의 DVC테이프를 보면 백코트층이 일부 박리되어 있었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카르바우바왁스를0.4중량%, 실리콘오일을 0.05중량% 추가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증착후의 냉각캔의 올리고머 오염은 전혀 없었다. 종래, 금속박막 형성후 DLC층을 형성할 때의 감아내는 부분, 혹은 백코트하기 전의 감아내는 부분에서 제품단부의 필름/필름부분에서 블로킹이 일어나 필름이 절단되는 일이 드물게 있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전혀 그와 같은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자기기록테이프를 높은 오도(60℃)하에서 10일간 방지하고, 상온상압(25℃, 60%RH)에서 DO를 보았지만 증가는 없었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수용액 도포의 고형분 농도를 10㎎/㎡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도포 수용액의 메틸셀룰로오스 농도를 0.15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도포 수용액 내의 극미세 실리카의 농도를 0.02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A에 함유시킨 실리카의 평균입자직경을 90㎚로 변경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0㎚, 300㎚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규산알루미늄의 평균입자직경을 40㎚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8㎚, 280㎚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규산알루미늄의 함유량을 0.07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8㎚, 280㎚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규산알루미늄의 입자직경을 270㎚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30㎚,310㎚이었다.
비교예 8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규산알루미늄의 함유량을 1.2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31㎚, 320㎚이었다.
비교예 9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폴리스틸렌구의 입자직경을 210㎚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으려고 슬릿하였지만 길이방향의 주름이 폭방향의 절반 가까이 들어갔다. 이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여도 테이프작성의 수득율이 대폭으로 저하되는 일이 예상되어 자기기록테이프 제조는 중지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4㎚, 170㎚이었다.
비교예 10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폴리스틸렌구의 함유량을 0.008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으려고 슬릿을 하였지만 길이방향의 주름이 폭방향의 3분의 2 가까이 들어갔다. 이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여도 테이프작성의 수득율이 대폭으로 저하되는 일이 예상되어 자기기록테이프 제조는 중지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15㎚, 150㎚이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폴리스틸렌구의 입자직경을 550㎚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1㎚, 510㎚이었다.
비교예 12
실시예 1의 베이스필름 제조에 있어서, 원료 B에 함유시킨 폴리스틸렌구의 함유량을 0.15중량%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3㎛, 길이 15000m의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롤을 얻고, 폭 6.35㎜의 자기기록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B측 표면의 SRa값 및 SRz값은 각각 23㎚,530㎚이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필름을 베이스필름으로서 사용한 본 발명의 자기기록테이프는 필름제품의 권심부에서 표층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자변환특성이 양호하고, 드롭아웃이 적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디지털비디오테이프로 되었다.

Claims (11)

  1. 적어도 폴리에스테르층 A 및 폴리에스테르층 B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서, 층 A측 표면의 중심선 면평균조도(SRa값)가 2~4㎚, 十점 평균면조도(SRz값)가 10~40㎚이고, 층 B 중에 평균입자직경이 50㎚이상 250㎚미만의 미세입자 α 및 평균입자직경이 250㎚이상 500㎚미만의 미세입자 β가 포함되고, 층 B중의 미세입자 α의 함유량이 0.1~1중량%, 미세입자 β의 함유량이 0.01~0.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층 B중에 왁스 및/또는 비누가 0.05~1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층 B중에 실리콘화합물 및/또는 불소화합물이 0.001~0.1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층 B중에 왁스 및/또는 비누가 0.05~1중량%, 실리콘화합물 및/또는 불소화합물이 0.001~0.1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층 B측 표면에는 도포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용이층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층 A측 표면에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층 A측 표면에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층 A측 표면에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테이프.
  10. 제9항에 있어서, 층 B측 표면에 백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테이프.
  11. 제9항에 있어서, 디지털 기록방식 비디오카세트리코더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테이프.
KR1020000080541A 1999-12-24 2000-12-22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 KR100758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640399 1999-12-24
JP99-366403 199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643A true KR20010062643A (ko) 2001-07-07
KR100758262B1 KR100758262B1 (ko) 2007-09-12

Family

ID=1848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541A KR100758262B1 (ko) 1999-12-24 2000-12-22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68627B2 (ko)
EP (1) EP1111594A1 (ko)
JP (1) JP2001243616A (ko)
KR (1) KR100758262B1 (ko)
CN (1) CN119705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4457B1 (en) * 1999-12-03 2004-12-22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for forming
US6783889B2 (en) * 2000-12-13 2004-08-31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JP2002313057A (ja) * 2001-04-18 2002-10-25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テープカセット
US7344786B2 (en) * 2001-10-29 2008-03-18 Fujifilm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smooth coating layer on one side of the support
US8017795B2 (en) * 2005-04-21 2011-09-13 Ndsu Research Foundation Radiation curable polymer films having improved laser ablation properties and radiation curable sensitizers therefor
WO2007095176A2 (en) * 2006-02-14 2007-08-23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ing process
US9221286B2 (en) 2013-04-09 2015-12-29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ester film with smooth surface properties for winding and printing
US20160129287A1 (en) * 2014-11-10 2016-05-12 Training Mask, LLC Scent Suppression Mas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5321A (en) 1981-05-08 1982-12-01 Teijin Ltd Metallic thin film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616057A (en) 1985-07-10 1986-10-07 Sun Chemical Corporation Polymer emulsion containing a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JPS6426338A (en) 1987-07-22 1989-01-27 Hitachi Ltd Rotor of rotary electric machine
EP0572224B2 (en) * 1992-05-27 2004-03-10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JPH09164644A (ja) 1995-12-13 1997-06-24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用複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0172127A (ja) 1996-12-09 1998-06-26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テープ
JPH10172128A (ja) 1996-12-09 1998-06-26 Toray Ind Inc 磁気テープ
JPH10188256A (ja) 1996-12-20 1998-07-21 Sony Corp 磁気記録媒体
JPH10261217A (ja) 1997-03-18 1998-09-29 Toray Ind Inc 磁気テープ
JPH10261218A (ja) * 1997-03-18 1998-09-29 Toray Ind Inc 磁気テープ
JP3746791B2 (ja) * 1997-04-30 2006-02-15 帝人株式会社 低帯電性複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16145A (ja) 1997-06-20 1999-01-22 Sony Corp 磁気記録媒体
JPH1191053A (ja) 1997-09-19 1999-04-06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H11170466A (ja) 1997-12-17 1999-06-29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1594A1 (en) 2001-06-27
CN1311507A (zh) 2001-09-05
US6468627B2 (en) 2002-10-22
KR100758262B1 (ko) 2007-09-12
CN1197057C (zh) 2005-04-13
US20010006743A1 (en) 2001-07-05
JP2001243616A (ja) 200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262B1 (ko)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자기기록테이프
JP5926596B2 (ja) 積層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テープの製造方法
US6936331B2 (en) Polyester film and recording tape
EP1069553B1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polyester film therefor
JP2000016644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ロール
US6162527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H10172127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テープ
JPH03207727A (ja) 二軸配向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ロール
JP2001184623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テープ
JP3604964B2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0211685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テープ
JPH10261218A (ja) 磁気テープ
JP4089070B2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テープ
EP0635824A1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9164644A (ja) 磁気記録媒体用複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9235394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媒体
JP4622096B2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テープ
JP2000251246A (ja) 磁気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テープ
JPH10172128A (ja) 磁気テープ
JP2005298712A (ja) 磁気記録テープ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テープ
JP4552286B2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テープ
JP2001084563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856630B2 (ja) 積層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2004039145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テープ
JPH10261217A (ja) 磁気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