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584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584A
KR20010051584A KR1020000066635A KR20000066635A KR20010051584A KR 20010051584 A KR20010051584 A KR 20010051584A KR 1020000066635 A KR1020000066635 A KR 1020000066635A KR 20000066635 A KR20000066635 A KR 20000066635A KR 20010051584 A KR20010051584 A KR 2001005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member
reinforcement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076B1 (ko
Inventor
두카트미하엘
발터지크프리트
얀뤼디거
Original Assignee
주르겐 헤르만
독터. 인제니어.하.체.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르겐 헤르만, 독터. 인제니어.하.체.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주르겐 헤르만
Publication of KR2001005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가 필라(A, B, C)에 체결도어 측면 충돌의 경우에 내부 지지 블럭 상에서 지지될 수 있는 길이방향 보강부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차량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보디의 종방향 보강 영역의 주위에 위치한 측방향 보강재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B-필라 내로 합체된 보강 튜브를 구비한 자동차용 승객 공간이 DE 196 03 098 A1에 공지되어 있고, 보강 튜브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보강부 내에서 제한된 길이의 돌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충돌의 경우에 안정적이도록 만들어진 차량 보디의 종방향 보강 영역 내에 위치한 보강재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유익한 특징들은 종속항에 특정되어 있다.
본 발명으로 달성되는 주요 장점은, 종방향 측방 보강재에 의해서 예를 들어 차량 보디의 각 측면 상의 종방향 보강부 내에서 튜브 형상인 지지 부재가 위치되므로, 대체로 안전한 승객 공간이 특히 측면 충돌 시에도 보장된다는 점에 있다.
이는 차량의 휠 박스들 사이에서 대체로 전체 길이에 걸쳐 종방향 보강부 내에서 연장되며 차량의 내측부의 보디 필라에 대하여 유지 요소들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지지 부재에 의해 달성되고, 하나의 지지 블럭이 보강부의 각 내측부와 측방향 내측벽의 보디 필라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수평면 내에서 지지 부재에 정확히 대향해서 위치된다. 지지 부재는 양호하게는 외측 보강부와 측면 내측벽 사이에 유지되는 보강 공간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의 각 측면의 지지 부재는 측방향 내측벽의 보디 필라 내의 만입부 내에 위치되어 유지 요소에 의해 유지된다. 특히, 지지 부재들은 튜브형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고, 클램프 유지부에 의해 보디 필라에 대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튜브형 요소가 사용되지 않으면 전체가 경금속, 강재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보디가 가능하고,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금속 폼(foam)으로 구성될 수 있는 둥근 튜브형 보디 또는 다각형 튜브형 보디로 구성된다.
측면 충돌의 경우에 지지 요소가 지지부의 내부로 즉시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블럭이 제공된다. 지지 블럭은 개방 또는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라운딩된 만입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제공되어 만입부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딩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동시에, 지지 블럭은 또한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영역들이 서로에 대해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부재는 측방향 내측벽 내에서 만입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되고, 지지 블럭은 만입부의 후방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다.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들 상에서 차량 보디의 추가적인 횡방향 보강을 달성하기 위해, 플랫폼의 시트 횡방향 부재는 중간 B-필라가 그와 연결되고 동시에 지지 부재가 유지부에 의해 시트의 횡방향 지지부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보디 구조가 강화되고, 힘은 대향 보디측으로 전달되고, 측면 충돌에 대한 차량 보디의 횡방향 강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엔진 차량의 차량 보디의 지지 부재, 측면 내측벽 및 측면 외측벽, 내측 보강부를 구비한 측벽 조립체의 도면.
도2는 종방향 지지부 및 시트 횡방향 지지부를 구비한 지지 부재의 저면도.
도3은 지지부를 구비한 시트 횡방향 부재의 단면도.
도4는 지지 부재가 합체되고 도어가 도시된 측벽 조립체 그룹의 단면도.
도5는 유지부 및 보디 필라를 구비한 지지 부재의 확대도.
도6은 유지부들 사이에 합체된 지지 부재를 구비한 측벽 조립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측 보강부
2 : 외측 보강부
3 : 측면 외측벽
4 : 측면 내측벽
6 : 지지 부재
7, 8, 9 : 유지 요소
11 : 지지 블럭
A, B, C : 필라
도1에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내측 보강부(1) 사이의 차량 보디 내에 보디 구조물(1a)과 측면 외측벽(3)의 외측 보강부(2)가 있고, 지지부(5)의 영역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6)를 갖는 측면 내측벽(4)이 제공된다. 이 지지 부재(6)는 유지 요소(7, 8, 9)들에 의해 측면 내측벽(4)의 필라(A, B, C)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지지 부재(6)는 유지 요소(7, 8, 9)들에 의해 필라(A, B, C)의 만입부(10) 내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로 구성된다. 유지 요소들은 튜브 둘레에 끼워져서 필라 단부와 연결되는 소위 클램프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6)는 예를 들어 원형 단면, 타원형 단면 또는 다각형 단면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이중 튜브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종방향 늑재를 구비한 튜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내측 보강부(1) 상에서, 지지 블럭(11)이 지지 부재(6)에 대향 배치되어 측면 충돌의 경우에 지지 부재(6)와 접하게 된다. 휴지 상태에서, 이들 지지 블럭(11)들은 필라(A, B, C)들의 만입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6)는 만입부(10) 내의 유지 요소(7, 8, 9)들에 의해 이격된다.
유지부(7, 8, 9)들 사이에서, 지지 부재(6)는 특히 도6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자유롭게 위치된다.
필라(A, B, C)들의 하단부의 만입부(10)들은 대략 튜브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지지 블럭(11)들은, 측면 충돌의 경우에 튜브(6)가 지지 블럭(11)을 관통하거나 지지 블럭을 변형시켜서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반원형 단부를 갖는 단부 영역을 구비해서 만들어진다.
B-필라는 그의 바닥 단부에 의해 도2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시트 횡방향 부재(12)와 함께 수직면(x-x) 내에 위치된다. 시트 횡방향 부재(12)는 내측 보강부(1) 및 길이방향 지지부(13)와 단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지지 블럭(11)과 지지 부재(6)용 유지 요소(8)는 수직면(x-x) 내에서 시트 횡방향 부재(12)의 단부측에 대향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러한 영역 내에서 측면 충돌의 경우에 차량 보디의 매우 안정된 구조가 달성되어, 전방에 착석한 사람이 특히 머리 부위를 보호받게 된다.
지지 부재(6)는 또한 후방 또는 전방 충돌의 경우에 길이방향으로 차량의 압축을 감소시도록 사용되고, 휠을 유지하는 지지 부재(6)에 의해 지지되고 휠들 사이에 놓인 영역의 변형이 상쇄된다. 지지 부재(6)는 그의 자유 단부에 변형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시트 횡방향 부재(12)의 주위에서의 측면 충돌에 의해, 시트 외측벽(3)은 시트 횡방향 부재(12) 상에서 지지되는 지지 블럭(11)에 대하여 만입부(10) 내로 이동하도록 지지 부재(6)에 대해 가압된다. 대향 측면 상에서는, 지지 블럭(11)이 지지 부재(6)에 대하여 가압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충돌 시에도 안전한 승객 공간이 보장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 보디의 길이방향 지지 부재의 영역 내에 위치한 측면 보강부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보강부는 차량의 휠 박스들 사이의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부분적으로 자유로운 지지 부재(6)로 구성되고, 유지 요소(7, 8, 9)들에 의해 차량의 측면 내측벽(4)의 보디 필라(A, B, C)에 체결될 수 있고,
    내측 보강부(1)와 측면 내측벽(4)의 보디 필라(A, B, C)들의 하단부 사이에서, 지지 블럭(11)이 지지 부재(6)에 대향해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 내측벽(4)의 보디 필라(A, B, C)들은 내측 보강부(1) 및 측면 외측벽(3)의 외측 보강부(2)와 단부 연결되어 있고, 지지 부재(6)는 외측 보강부(2)와 측면 외측벽(3) 사이에 유지되는 보강 영역(2)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의 각 측면 상의 지지 부재(6)는 측면 외측벽(3)의 보디 필라(A, B, C)의 만입부(10) 내에 위치되어 유지 요소(7, 8, 9)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6)는 튜브형 요소로 구성되고, 유지 요소(7, 8, 9)는 클램프형 유지부(7, 8, 9)로 구성되고, 유지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지지 부재(6)는 보디 필라(A, B, C)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블럭(11)은 개방 또는 폐쇄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라운딩된 만입부(10)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되어 만입부(10)와 정합되는 오목하게 라운딩된 오목부(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6)는 유지부(7, 8, 9)에 의해 만입부(10)로부터 일정 거리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6)는 유지부(7, 8, 9)에 의해 차량의 각 측면 상에서 적어도 세 개의 보디 필라(A, B, C)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중간 보디 필라(B)는 대략 시트 횡방향 부재(12)의 레벨에서 단부가 위치되고, 유지부(8)에 의해 길이방향 지지 부재(6)의 연결부가 시트 횡방향 부재(12)의 수직면(X-X) 내에 제공되어 시트 횡방향 부재의 단부측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6)는 단부측 변형 요소로서 폐쇄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6)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000066635A 1999-11-11 2000-11-10 차량 KR100702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4292A DE19954292C2 (de) 1999-11-11 1999-11-11 Fahrzeug
DE19954292.9 1999-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584A true KR20010051584A (ko) 2001-06-25
KR100702076B1 KR100702076B1 (ko) 2007-04-03

Family

ID=792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635A KR100702076B1 (ko) 1999-11-11 2000-11-10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86625B1 (ko)
EP (1) EP1099584B1 (ko)
JP (1) JP4488461B2 (ko)
KR (1) KR100702076B1 (ko)
AT (1) ATE308429T1 (ko)
DE (2) DE19954292C2 (ko)
ES (1) ES224678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4296C2 (de) * 1999-11-11 2003-06-18 Porsche Ag Fahrzeug
JP2001233254A (ja) * 2000-02-22 2001-08-28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体構造
DE10061639B4 (de) * 2000-12-11 2011-03-10 Volkswagen Ag Versteifungsstruktur an Kraftfahrzeugen,insbesondere Heckversteifungsstruktur
DE10117009B4 (de) * 2001-04-05 2005-04-21 Daimlerchrysler Ag Tragsäule für einen Karosserierahmen eines Kraftfahrzeugs
DE10149244A1 (de) * 2001-10-05 2003-04-24 Daimler Chrysler Ag Tragelement für Fahrzeugkarosserie
DE10151768B4 (de) 2001-10-19 2005-08-18 Dr.Ing.H.C. F. Porsche Ag Fahrzeug
JP3969054B2 (ja) * 2001-10-25 2007-08-29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のピラー下部構造
US6834912B2 (en) * 2002-10-18 2004-12-28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controlled deformation of body side structure
WO2004109145A2 (en) * 2003-06-05 2004-12-16 Pedro Frommer, M.D., P.A. Resilient and deformable member for absorbing kinetic energy
US6926351B2 (en) * 2003-09-17 2005-08-09 Daimlerchrysler Corporation Convertible vehicle uni-body having and internal supplemental support structure
US20050116460A1 (en) * 2003-10-17 2005-06-02 Mcgill Scott M. Method of manufacturing a frame assembly
US20070287740A1 (en) * 2005-05-25 2007-12-13 Transcept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middle-of-the night insomnia
JP4293180B2 (ja) 2005-11-24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DE102006034977A1 (de) * 2006-07-28 2008-01-3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eitenschweller einer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WO2008036152A2 (en) * 2006-09-20 2008-03-2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Earth stress management and control process for hydrocarbon recovery
KR100820711B1 (ko) * 2006-12-13 2008-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필라 장치
FR2916414B1 (fr) * 2007-05-24 2010-02-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pour encadrement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09088B4 (de) 2008-02-14 2017-06-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Seitenschweller
US20100207428A1 (en) * 2009-02-16 2010-08-19 Mazda Motor Corporation Side vehicle-body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JP5354360B2 (ja) * 2009-05-19 2013-11-2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DE102010006672A1 (de) * 2010-02-03 2011-08-04 Audi Ag, 85057 Tragstruktur einer Fahrzeugkarosserie im schwellerseitigen Bereich einer C-Säule
US8696051B2 (en) * 2010-12-22 2014-04-15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 side sill assembly with a collapsible sill insert
US20120161472A1 (en) 2010-12-22 2012-06-28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US8608230B2 (en) * 2012-04-13 2013-12-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Localized energy dissipation structures for vehicles
US8833839B2 (en) 2012-04-13 2014-09-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mpact protection structures for vehicles
DE102012214748B4 (de) * 2012-08-20 2021-10-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Schweller
GB2521361B (en) * 2013-12-17 2020-03-25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and chassis therefor
US9073586B1 (en) * 2014-06-27 2015-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verse sill reinforcement for a truck bed and method of making a sill reinforcement
US11097782B2 (en) 2014-11-24 2021-08-24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Sill beam uniform deceleration unit
CN104590383A (zh) * 2015-01-30 2015-05-06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车身侧围加强及保护结构
US9821852B2 (en) * 2016-02-03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ssurized air insert for side impacts
CN108016502A (zh) * 2016-10-28 2018-05-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门槛加强梁结构
EP3781444A4 (en) * 2018-04-16 2021-11-17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EVEN DECELERATION UNIT
KR20210072521A (ko) * 2019-12-09 2021-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아웃터보강패널
DE102021106787B3 (de) 2021-03-19 2022-03-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Verstärkung eines Seitenschweller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2969A (en) * 1964-06-05 1966-12-20 Budd Co Tubular frame unitized body structure
DE3011345C2 (de) * 1980-03-25 1982-04-29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erbindung von Rohren mit Randbereichen von Blechen o.dgl. flächigen Bauteilen
JPS6239375A (ja) * 1985-08-16 1987-02-20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センタピラ−下端部構造
JPS6338084A (ja) * 1986-07-31 1988-02-1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センタピラ−下部構造
JPS6418784A (en) * 1987-07-14 1989-01-23 Mazda Motor Side sill structure of automobile
JPH03109177A (ja) * 1989-09-25 1991-05-09 Mazda Motor Corp 車両の車体側部構造
DE4016730A1 (de) * 1990-05-24 1991-11-28 Daimler Benz Ag Tragsaeule fuer den karosserierahmen eines kraftfahrzeuges
US5370438A (en) * 1991-10-31 1994-12-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ructural member of automobile
US5352011A (en) * 1991-11-11 1994-10-04 Mazda Motor Corporation Body structure of an automotive vehicle
KR950010168Y1 (ko) * 1992-02-28 1995-11-29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US5388885A (en) * 1993-02-01 1995-02-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Body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DE19522680C1 (de) * 1995-06-22 1996-05-30 Daimler Benz Ag Selbsttragende Rohbau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9528874C2 (de) * 1995-08-05 1998-02-26 Volkswagen Ag Tragstruktur für ein Fahrzeug
JP3508317B2 (ja) * 1995-08-29 2004-03-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ボディストッパー構造
DE19603098C2 (de) * 1996-01-29 1998-03-19 Daimler Benz Ag Fahrgastzelle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JP3198960B2 (ja) * 1996-04-04 2001-08-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H1029482A (ja) * 1996-07-15 1998-02-03 Ootsuka:Kk 衝撃エネルギー吸収材
DE19648164C2 (de) * 1996-11-21 2000-01-27 Karmann Gmbh W Karosserieteil, insbesondere Profilrahmenträger
KR100196412B1 (en) * 1996-12-16 1999-06-15 Hyundai Motor Co Ltd Door side impact structure
TW556692U (en) * 1997-01-31 2003-10-01 Mazda Motor Body structure for vehicle
DE19708215C2 (de) * 1997-02-28 2001-06-28 Audi Ag Schweller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Verstärkungseinlage
GB9724542D0 (en) * 1997-11-21 1998-01-21 Philipp Harald Electronic Smart Hammer
US5954390A (en) * 1997-12-18 1999-09-21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dynamic side impact system
US6193306B1 (en) * 1999-12-22 2001-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upport assembly for a vehicle
US6199940B1 (en) * 2000-01-31 2001-03-13 Sika Corporation Tubular structural reinforcing member with thermally expansible foam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63264A (ja) 2001-06-19
KR100702076B1 (ko) 2007-04-03
EP1099584A1 (de) 2001-05-16
DE19954292C2 (de) 2003-04-24
DE19954292A1 (de) 2001-05-31
JP4488461B2 (ja) 2010-06-23
ES2246786T3 (es) 2006-03-01
DE50011499D1 (de) 2005-12-08
ATE308429T1 (de) 2005-11-15
EP1099584B1 (de) 2005-11-02
US6386625B1 (en) 200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1584A (ko) 차량
US6644725B2 (en) Body pillar for a motor vehicle
KR960000697A (ko) 자동차의 차체 구조
ES2225703T3 (es) Sistema de proteccion antivuelco para vehiculos automoviles que comprende una parte de deformacion teorica.
KR20060109978A (ko) 안전 공간을 가진 상용 차량을 위한 운전실 지지 구조물
US6616219B2 (en) Energy absorbing deformation element
GB2306922A (en) Vehicle body structure with crash boxes at connection of side sill and rear wheel arch
KR200141687Y1 (ko) 차량도어용 임팩트빔의 충격강도 보강구조
KR0142928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200255457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68613Y1 (ko) 리어 도어와 리어사이드의 충격 보강구조
KR20010005168A (ko) 차량의 측면 보강구조
KR100320821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200197181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100259956B1 (ko) 범퍼의 충격 흡수용 보강구조물
KR200210036Y1 (ko) 차량용 사이드 실 패널 어셈블리
KR100207129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200197179Y1 (ko)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레일 구조
KR19980042193U (ko) 자동차 차체의 b-필라 구조
KR19980023454U (ko) 차량용 대쉬보드판넬의 임팩트빔구조
KR970035084A (ko) 자동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9990023864U (ko) 자동차용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9980056600A (ko) 자동차 차체의 b-필라 조립체
KR19980050495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