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194A - 공구지지구 및 공구지지구용 진동 수정구 - Google Patents

공구지지구 및 공구지지구용 진동 수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194A
KR20010050194A KR1020000049231A KR20000049231A KR20010050194A KR 20010050194 A KR20010050194 A KR 20010050194A KR 1020000049231 A KR1020000049231 A KR 1020000049231A KR 20000049231 A KR20000049231 A KR 20000049231A KR 20010050194 A KR20010050194 A KR 20010050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ool
contact
contact por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548B1 (ko
Inventor
이시까와히또시
Original Assignee
나이또 시로
에누티쯔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또 시로, 에누티쯔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또 시로
Publication of KR2001005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23Q3/183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26Chucks the radial or angular position of the tool being adjustable
    • B23B31/0261Chucks the radial or angular position of the tool being adjustable for center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isolating vibrations in parts of the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2/00Turning
    • Y10S82/903Balancing and cen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3Yieldable tool
    • Y10T407/134Resiliently mounted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3Yieldable tool
    • Y10T407/134Resiliently mounted tool
    • Y10T407/137Resiliently mounted tool including yield stress or flexure limit adjus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3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 Y10T408/85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to move radially
    • Y10T408/858Moving means including wedge, screw or cam
    • Y10T408/8583Moving means including wedge, screw or cam with resiliently urged Tool
    • Y10T408/85843Resilient Tool or tool-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85Tool re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85Tool rest
    • Y10T82/2591Tool post

Abstract

공구선단 (18) 의 위치가 가로로 어긋나서 공구지지구 (10) 의 회전중심 (Ca) 에서 벗어나 있어도, 나사부재 (24) 를 돌려서 공구 (17) 의 절삭구 선단 (18) 의 위치를 공구지지구 (10) 의 회전중심 (Ca) 에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축체 (13) 의 기부(基部)측에는 공작기의 회전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12) 를 구비하고, 축체 (13) 의 선부측에는 공구 (17) 를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부 (14) 를 구비하고 있는 공구지지구 (10) 에 있어서, 상기 축체 (13) 의 외주부에 있어서는 길이방향을 향해 서로 멀어진 위치에 제 1 접부 (26) 와 제 2 접부 (27) 를 설정하고, 양접부 (26,27) 사이에는 나사부재 (24) 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양접부 (26,27) 사이에서 축체 (13) 의 선부측 축선 (C) 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수정수단 (20) 을 배치한다.

Description

공구지지구 및 공구지지구용 진동 수정구{TOOL HOLDER AND VIBRATION COMPLEMENTING APPARATUS OF THE TOOL HOLDER}
본 발명은 공작기의 회전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공구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작기의 회전부에 공구지지구의 축체(軸體)의 기부(基部)측을 장착하고, 축체의 선부(先部)측에는 절삭구 등의 공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지부에 부착되는 절삭구 등의 공구의 선단부분의 심진동(芯振動)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 공구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 등을 사용하여 피가공물에 천공하거나 구멍의 내면을 절삭하는 경우, 공작기의 회전부에 장착되어 있는 공구지지구의 선부측에 절삭구 등의 공구를 장착하고, 공작기 등의 회전부를 고속회전시킴으로써 공구지지구의 선부측 공구를 고속회전시켜 피가공물에 대하여 단시간에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구지지구는 고속회전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고속회전에 따라 공구지지구의 선부측에 장착한 공구의 선단이 약간이라도 흔들리면, 구멍의 치수정밀도가 흐트러지거나 구멍의 내주면이 갈라지는 등, 구멍의 정밀가공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는 공구지지구의 축체의 진동을 수정하는 수단을 공구지지구에 설치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04931호 참조).
여기서, 종래예를 도 1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공구지지구 (1) 에 있어서의 축체 (3) 의 기부측 (2) 은, 도시하지 않은 주지 구성의 공작기에 있어서의 주축 (1a) 의 테이퍼구멍 (1b) 에 끼워맞추기 위하여, 주지된 바와 같이 테이퍼상의 생크부 (2) 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축체 (3) 의 선부측에는 공구 (4a) 의 지지부 (4) 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드릴 등의 절삭구로 예시되는 공구 (4a) 를 체결고착하기 위하여 지지부 (4) 에는 확대 축소가 자유로운 협착공을 갖는 척 (4) 이 구비된다. 그리고, 주지의 구성에 있어서는 척 (4) 의 개소에서 절삭구 (4a) 가 축체 (3) 에 대하여 직접적 또한 일체상으로 장착되어 지지되는 경우도 있다). 축체 (3) 의 외주부에서 또한 생크부 (2) 측에는 주지와 같이 로봇의 파지부로 쥘 경우에 사용되는 직경이 큰 플랜지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5a 는 걸어맞춤용 홈부를 나타낸다.
도 12 에 나타내는 공구지지구 (1) 에 있어서, 플랜지부 (5) 의 홈부 (5a) 의 저부에는 복수의 반경방향의 구멍 (6) 이 나사홈으로 파여 있으며, 각 구멍 (6) 에는 하중을 가하는 나사부재로서 수나사 (7) 가 조여져 있다. 수나사 (7) 의 두부(頭部)에는 육각렌치용 육각구멍 (8) 이 형성되어 있으며, 렌치를 사용하여 각 수나사 (7) 를 구멍 (6) 내에서 진퇴조정하고, 공구지지구 (1) 를 고속회전시켰을 때에 그 반경방향의 위치 변화가 하중의 변화로서 나타남으로써, 공구지지구 (1) 의 축체 (3) 의 진동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구지지구 (1) 의 축체 (3) 부분에서 축체의 진동을 수정하여도, 선단의 공구부착부 (4) 에 가까운 위치에서 축심이 흔들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선단부분 (3a) 에도 동일한 하중으로서 수나사 (9) 를 진퇴조정이 자유롭도록 부착해 두고, 각 수나사 (9) 를 진퇴시킴으로써, 선단부분 (3a) 의 축체의 진동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과 같은 축체 진동의 수정수단은, 이 수정수단을 설치한 개소나 그 근방의 축체의 진동만을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예컨대 드릴 (4a) 과 같이 공구부착부 (4) 로부터의 돌출치수가 큰 길이의 공구인 경우, 회전중심에 대한 축심의 진동을 가장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것은, 드릴선단의 날끝 (4b) 부분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수나사 (7 및 9) 를 사용하여도 드릴선단의 날끝 (4b) 부분과 같이 공구부착부 (4) 에서 크게 돌출한 부분의 회전중심에 대한 축심의 진동을 수정할 수는 없다.
본 출원의 목적은, 축체의 일부를 가압하기 위한 나사부재를 회전구동시킨다는 간단한 조작으로서, 축체에 있어서의 선단측 축선 (C) 을 변위시키고, 돌출한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공구 선단의 중심부를 공구지지구의 회전중심 (Ca) 에 맞추도록 한 진동수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공구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축체에 있어서의 선부측 축선 (C) 을 변위시키기 위한 나사부재를 공구지지구의 주축의 주위에 적어도 3 개소 이상, 균등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공구로서의 절삭구의 축심이 어느 방향으로 흔들리고 있어도 그 방향과는 관계없이 절삭구의 선단을 공구지지구의 회전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공구지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1 개소에 설치된 나사부재라도, 그 나사부재의 회전구동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절삭구의 선단 위치를 왼쪽으로든 오른쪽으로든 자유롭게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한 공구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이미 완성되어 있는 공구지지구에 대하여 그 축체의 주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축체의 선부측 축선 (C) 을 변위시키고, 지지부에서 크게 돌출시켜 장착되어 있는 공구 선단의 중심부를 공구지지구의 회전중심 (Ca) 에 맞추도록 한 진동수정수단 부착 공구지지구로 상기 공구지지구를 변경할 수 있는 진동수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도면 및 이와 관련한 다음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진동수정수단을 구비하는 공구지지구의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2a 는 나사부재를 4 개소에 설치한 예, 도 2b 는 나사부재를 3 개소에 배치한 예, 도 2c 는 나사부재를 6 개소에 설치한 예.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진동수정수단의 확대도.
도 4 는 공구 날끝이 흔들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파단도.
도 5 는 공구 날끝의 흔들림을 수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파단도.
도 6 은 다른 실시예의 진동수정수단을 구비하는 부분단면도.
도 7a 및 도 7b 는 또 다른 예의 진동수정수단의 부분단면도.
도 8a 및 도 8b 는 또 다른 예의 진동수정수단의 부분단면도.
도 9a 및 도 9b 는 또 다른 예의 진동수정수단의 부분단면도.
도 10a 및 도 10b 는 또 다른 예의 진동수정수단의 부분단면도.
도 11a 및 도 11b 는 또 다른 예의 진동수정수단의 부분단면도.
도 12 는 종래의 진동수정구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구지지구 11 : 플랜지부
12 : 생크부 13 : 축체
14 : 지지부 17 : 공구
18 : 날끝 20 : 진동수정수단
21 : 환상체 22 : U 홈
24 : 나사부재 26 : 제 1 접부
27 : 제 2 접부 28,29 : 맞닿음부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구지지구 (10) 의 단면도이고, 도 2a 는 도 1 의 Ⅱ-Ⅱ선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b, 2c 는 나사부재 (24) 의 수를 변경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의 진동수정구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있어서, 부호 10 내지 18 이 붙여진 부재에 의한 구성은, 도 12 에서 나타내는 공구지지구 (1) 와 마찬가지로 주지의 것인데, 이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공구지지구 (10) 는, 주지와 같이 주체부로서의 중공부 (13a) 를 갖는 축체 (13) 를 구비한다. 축체 (13) 의 외주에는 플랜지부 (11) 를, 또한 플랜지부 (11) 의 뒤쪽위치에는 기부측 후측을 향해 돌출설치한 테이퍼상의 생크부 (12) 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공작기의 회전부에 대하여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이다.
플랜지부 (11) 의 앞측 위치의 축체 (13) 는, 플랜지부 (11) 보다 현저하게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11) 보다 큰 직경의 경우도 있다). 플랜지부 (11) 의 앞측에는 단부 (11b) 가 형성되어 있다. 축체 (13) 는 주지와 같이 가늘고 긴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이 아닌 경우도 있음), 그 선부측에는 공구 (17) 를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부 (14) 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 (14) 는 척부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주지와 같이 지지부 (14) 의 중심공 (14a) 에 삽입된 임의의 절삭구로서의 드릴 (17) 의 기부를, 콜렉터 척 (collector chuck) (15a), 체결 링 (15) 등을 사용하여 체결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 (14) 에 있어서는, 지지부 (14) 의 축체부분의 두께나 콜렉터 척 (수축고리) (15a), 체결 링 (15) 등의 제조오차로 인해 전체 두께가 불규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공구지지구 (10) 의 회전중심 (Ca) 에 대하여 공구선단 (18) 의 위치가 가로로 어긋나서 공구지지구의 회전중심 (Ca) 에서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 드릴 (17) 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드릴 (17) 의 선단의 날끝 (18) 이 화살표 S 방향으로 흔들려서 정밀가공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체 (13) 의 외주면에 진동수정구 (20) 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배치하고 있다. 진동수정구 (20) 의 주체부는, 어느 정도의 두께로 중량이 있는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축체 (13) 의 외주로 바깥에서 끼울 수 있도록 링형상 (환상체) (21) 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상체 (21) 의 외주측에서 내주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멍 (23) 에 대해서는, 나사부재 (24) 를 진퇴가 자유롭도록 나사식 결합시키고 있다. 수나사로 구성되는 나사부재 (24) 는, 두부 (24b) 에 형성하는 주지의 조작홈을 통해 전체길이를 암나사구멍 (23) 내로 관입시키고 있다. 나사부재 (24) 가 나사식 결합되어 있는 암나사구멍 (23) 은, 환상체 (21) 주위에 있어서, 1 개소라도 공구 (17) 선단 (18) 의 심진동의 조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축체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3 개소 이상, 여러 개이어도 되는데 (도 2b, 도 2c 참도), 이들을 균등위치에 설치하면 공구 끝 (18) 의 중심의「진동」을 조정할 때에 매우 간단, 신속해진다.
상기 환상체 (21) 의 1 개의 측면에는, 상기 축체 (13) 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접부 (26) 에 맞닿게 하기 위한 맞닿음부 (28) 를 구비시킨다. 이 제 1 접부 (26) 는 상기 단부 (11b) 에 형성한다. 즉, 플랜지부의 전벽면 (26) 을 이용하여 여기에 상기 환상체 (21) 의 1 개의 측면 (28) 을 맞닿게 하도록 한다.
상기 나사부재 (24) 의 선단 (29) 은, 상기 제 1 접부 (26) 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접부 (27) 에 대하여 맞닿을 수 있게 하고 있다. 제 2 접부 (27) 는, 축체 (13) 의 외주면에 환상의 U 홈 (22) 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나사부재 (24) 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양접부 (26,27) 를 가압하여, 이들 사이에서 축체 (13) 의 선단측 축선 (C) 을 변위시키는 힘 (F) 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나사부재의 선단부 (29) 가 축체 (13) 에 압접상태로 되었을 때, 축체 (13) 로부터의 반력으로 상기 환상체 (21) 의 단면 (28) 과 플랜지부 (11) 의 측단면 (26) 은 압접상태로 되어 환상체 (21) 와 축체 (13) 를 강고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상체 (21) 의 플랜지부 측단면 (28) 과 플랜지부 (11) 의 단면 (26) 이 맞닿은 상태, 즉 환상체 (21) 가 플랜지 (11) 측으로 이동불가능한 압접상태로 되면, U 홈 (22) 의 중심점 (22a) 에 대하여 관통구멍 (23) 은 그 중심점이 지지부 (14) 측으로 약간 어긋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부재 (24) 가 조여져서, 그 선단부 (29) 가 U 홈 (22) 내로 들어갔을 때에, 나사선단부 (29) 는 U 홈 (22) 의 지지부 (14) 측의 경사면 (27) (제 2 접부) 에만 닿고, 플랜지 (11) 측 경사면에는 전혀 닿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나사부재 (24) 를 나사구멍 (23) 에 조여 체결한 때, 조이는 힘 (도 3 에 있어서, 공구지지구 (10) 의 축심 (C) 방향을 향하는 힘) 은, 경사면 (27) 의 작용에 의해 도 3 에 F 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 즉 축부 (13) 의 지지부 (14) 측을 화살표 (Fa) 방향으로 휘게 할 만큼 힘을 갖게 된다.
이어서, 30 은 환상의 커버를 나타내며, 나사부재 (24) 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상체의 외주에 배치하고, 단부를 축체 (13) 측에 착탈을 자유롭게 하여 고정부착하고 있다. 31 은 나사머리 (24b) 보다 작은 직경의 조작구멍을 나타내며, 나사머리 (24b) 의 외주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공구지지구 (10) 에 드릴 (17) 을 장착하여 회전시켰을 때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릴의 날끝 위치 (18) 가 회전중심축 (Ca) 에서 어긋난 경우에는, 공구 (17) 의 선단 (18) 의 중심부를 공구지지구의 회전중심 (Ca) 에 맞추도록 한다. 이 경우, 도 2 의 3 개의 나사부재 (24) (또는 그 이상) 의 각각의 체결력 (경사면 (27) 으로의 압접력) 을 조정함으로써, 도 3,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체 (13) 를 휘게 하여 축선 (C) 을 화살표 (Fa) 방향으로 변위시켜 날끝 위치 (18) 를 회전중심축 (Ca) 에 일치시킨다.
도 12 에 나타내는 종래품은 수정구의 나사 (7) 를 조여도, 나사 바로 아래의 하중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정장소로부터 공구측까지에서 발생하는 축심의 진동을 수정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3 에 나타내는 힘 (F) 과 같이 나사 (24) 를 조이는 힘이 축체 (13) 를 휘게 하여 공구부착부측 (14) 에 미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구 선단 (18) 의 회전중심과 공구지지구 (10) 의 회전중심 (Ca) 의 진동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진동수정구 (20) 는 수정구 (20) 보다 공구 (17) 측 부근의 진동을 수정할 수 있다. 이것은 경사면 (27) 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서, 이 경사면 (27) 의 경사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힘 (F) 의 방향을 보다 공구측을 향하게 할 수도 있는데, 그 만큼 필요로 하는 힘 (나사 (24) 를 체결하는 힘) 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드릴선단의 날끝 (18) 의 진동을 더욱 수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구지지구 (10) 를 도 6 에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비하여 진동수정구 (20) 의 부착위치를 보다 공구 (17) 측에 설치한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진동수정구 (20) 를 공구측으로 함으로써, 경사면 (27) 의 경사각도를 얕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보다 작은 나사체결력으로 공구선단 (18) 의 진동수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 의 공구지지구 (10) 에 관한 진동수정수단에 대해서는, 공구지지구 (10) 에 대하여 장착이탈이 자유로운 구성인 진동수정구 (20) 를 장착하여 공구지기구 (10) 에 관한「진동」의 수정을 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진동수정수단 (20) 은 착탈이 자유로운 독립한 것이어도 되는데, 독립한 구성의 것이 아니라, 공구지지구 (10) 의 제조과정에서 미리 환상체 (21) 를 축체의 외주면에 장착한 것이어도 된다.
이어서, 도 6 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능상 상술한 도 1 내지 도 5 의 것과 동일 또는 균등구성으로 생각되는 부분에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5 에 있어서 사용한 숫자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구별을 위하여 알파벳 e 를 더 붙임으로써 그 구성을 이해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 이후에 나타나는 진동수정수단 (20) 이 부착되어 있는 공구지지구 (10) 의 부분도에 관한 구성에 있어서도 순차 동일한 생각으로 이전 도면과 동일한 숫자부호를 붙이고, 알파벳 f, g, h, i 를 차례로 더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상술한 도 1 ∼ 도 6 의 실시형태에서는, 진동수정구 (20) 의 제 2 접부로서, U 홈 (22) 의 일면의 경사면을 이용하였으나, 축체 (13) 의 둘레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맞닿음부 (29) 를 받아내는 걸어맞춤 구조가 존재하면 되고, U 홈일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는 제 2 접부 (27) 에 대하여 나사부재 (24) 를 대향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제 1 접부 (26) 에 U 홈 (22) 을 형성하고, 나사부재 (24) 를 이것에 대하여 진퇴가 자유롭도록 구성하여도 도 3 에 나타내는 힘 (F) 을 발생시키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중 진동수정수단 (20) 에 관한 실시형태는 다음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나는 진동수정수단 (20) 은, 도 3 에 나타내는 진동수정수단 (20) 과는 일부 구성에 있어서 달라진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진동수정수단이 목적으로 하는 점은, 축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임의의 중간위치에 진동수정수단을 설치하여 축체 (13) 의 선부측 축선을 변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 에 있어서 33 은, 축체 (13f) 의 길이방향 (38) 의 임의의 중간위치 외주에 설치한 전후개방형 뱃바닥형상의 오목부로서, 그 내측 축체 길이방향 (38) 을 향해 서로 떨어진 전후위치의 양측에 제 1 접부 (26f) 와 제 2 접부 (27f) 를 구성하기 위한 경사면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부 (33) 에는 강재(鋼材)로 만들어진 누름부재 (34) 가 뱃바닥을 향해 자유롭게 진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 누름부재 (34) 의 전후에는 상기 제 1 접부와 제 2 접부의 경사부분에 맞닿게 하기 위하여, 대응 경사형태로 한 제 1 맞닿음부 (28f) 와 제 2 맞닿음부 (29f) 를 구비한다. 축체의 주위에는 나사부재 (24f) 를 진퇴지지하기 위한 수나사 형성부재 (36) 가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나사 형성부재 (36) 는 오목부 (33) 의 수 및 이에 대응하는 나사부재 (24f) 의 수량만큼 각 독립적으로 축주위에 고정적으로 배치하여도 된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환상체 (21f) 를 축주위에 배치하고, 이것에 원하는 수만큼 암나사형성부재 (36) 를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뱃바닥형상의 오목부 (33) 도, 도 1 의 U 홈 (22) 과 마찬가지로 축체 (13) 의 외주면에 연속환상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오목부 (33) 를 축체 (13) 의 외주면에 연속환상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환상체 (21f) 를 축둘레방향을 향해 이동이 자유롭게 함으로써, 수나사 형성부재 (36) 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변하여 축체 (13f) 에 있어서의 선단측 축선 (Cf) 의 변위방향을 임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부재 (24) 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재 (34) 에는 오목부 (34a) 가 형성되며, 이에 대하여 나사부재 (24f) 의 선단 (35) 이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도 7 의 진동수정수단 (20) 은, 나사부재 (24) 를 조작하여 선단부 (35) 를 축중심방향으로 진행시키면 누름부재 (34) 의 양측 누름면 (28f,29f) 은 제 1 접부 (26f) 와 제 2 접부 (27f) 의 사면을 넓혀 도 3 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축체 (13f) 의 선단측 축선 (Cf) 을 변위시키는 힘 (Ff) 을 발생시킨다.
도 8 의 진동수정수단의 제공목적은, 도 1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종래의 공구지지구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서 축체에 있어서의 선단측 축선의 변위를 용이화시키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 에 있어서 11bg 는, 축체 (13g) 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38) 의 임의의 중간위치 외주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단부에서, 길이방향 (38) 을 향해 서로 떨어진 위치의 양측에 제 1 접부 (26g) 와 제 2 접부 (27g) 를 구성하기 위한 입상벽면 (26g) 과, 이와 직교하는 축체 외주면 (27g) 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 단부 (11bg) 에는, 강재(鋼材)로 이루어진 누름부재 (40) 가 각부 (42) 의 공간을 향해 진퇴가 자유롭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누름부재 (40) 의 전후에는, 상기 제 1 접부 (26g) 와 제 2 접부 (27g) 에 맞닿게 하기 위하여 대응 경사형상의 맞닿음면으로 한 제 1 맞닿음부 (28g) 와 제 2 맞닿음부 (29g) 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축체 (13g) 에 있어서의 각부 (42) 에는 수나사구멍 (23g) 을 형성하고, 이것에는 상기 누름부재 (40) 의 투시공 (43) 을 관통시킨 나사부재 (24g) 를 진퇴가능하게 나사결합시키고 있다. 도 8 의 진동수정수단 (20g) 은, 나사부재 (24g) 를 조작하여 누름부재 (40) 를 각부 (42) 방향으로 진행시키면 누름부재 (40) 의 양측 닿음면 (28g,29g) 은 제 1 접부 (26g) 와 제 2 접부 (27g) 의 닿음면을 넓히고, 도 7 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축체 (13g) 에 있어서의 선단측 축선 (Cg) 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도 9, 도 10 의 진동수정수단의 제공목적은, 나사부재의 조이는 힘이 축체의 선단측 축선의 변위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 1 접부 (26h,i) 를 구성하는 입상벽면 (26h,i) 은 플랜지 (11h,i) (또는 축체에 고정된 별도의 부재를 형성한 환상부재) 의 앞측에 형성되는 단부를 이용하고, 축체 (13h,i) 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38) 을 향해 서로 떨어진 위치에는 축체와 일체로 고정적으로 형성한 (또는 별도의 부재로 자유롭게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적으로 형성한) 환상체 (21h,i) 를 배치하고, 거기에 수나사부 (23h,i) 로서 제 2 접부 (27h,i) 를 구성한다. 그 암나사부 (23h,i) 에는 나사부재 (24h,i) 를 나사식 결합시키고, 그 선단을 제 1 맞닿음부 (28h,i) 로 하고, 기부의 나사측을 제 2 맞닿음부 (29h,i) 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나사부재 (24h,24i) 를 조작하여 입상벽면 (26h,i) 과 수나사부 (23h,i) 를 구비하는 부재 (21h,i) 의 사이를 넓힘으로써 축체 (13h,i) 에 있어서의 선부측 축선 (Ch,i) 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도 9 와 도 10 에 있어서의 나사부재 (24h,i) 의 축선방향은, 도 9 와 같이 축체 (13h) 의 축선과 평행상태로 하거나 혹은 도 10 과 같이 경사상으로 각도 (47) 을 부여하여 조작하기 쉽도록 하거나 임의로 하면 된다.
도 11 의 진동수정수단의 제공목적은, 나사부재의 나사의 회전구동 조작방향에 의해 축체의 선단측 축선의 방향이 우측 부근으로 되거나 좌측 부근으로 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변위하는 힘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도 11 에 있어서, 제 1 접부 (26j) 로서는 입상벽면 (26j) 에 대하여 좌측 암나사 (또는 우측 수나사) (23j) 를 형성하고, 축체 (13j) 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38) 을 향해 서로 떨어진 위치에는 제 1 접부 (26j) 의 나사와는 반대방향의 우측 암나사부 (또는 좌측) (23j) 를 제 2 접부 (27j) 로서 나사지지부재 (50) 에 배치한다. 나사지지부재 (50) 로서는 강재로 만들어진 너트와 같은 독립된 상태의 구성의 것이면 된다. 제 1 맞닿음부 (28j) 와 제 2 맞닿음부 (29j) 로서는, 1 개의 나사부재 (24j) 의 양측에 좌측 나사 (28j) 와 우측 나사 (29j) 를 형성하고, 이들을 상기 제 1 접부 (26j) 와 제 2 접부 (27j) 에 각각 형성한 좌우 암나사에 나사식 결합시키고, 1 개의 나사부재 (24j) 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구동 조작함으로써 양접부 (26j,27j) 를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하여 축체 (13j) 에 있어서의 선부측 축선 (Cj) 의 방향을 좌우측으로, 다른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조립에 있어서는, 나사부재 (24j) 의 양측을 각각 대응하는 암나사에 나사식결합시킨 상태에서, 아직 회전구동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너트 (50) 를 용접 (51) 등, 임의의 수단으로 축체 (13j) 의 외주에 고착시킨다. 52 는 끼워맞춤용 오목홈을 나타내고, 53 은 나사조작용 각부재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에 있어서는 축체 (13) 의 주위에 각각 4 조의 진동수정수단 (20) 을 배치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그 수는 1 내지 6 조 등,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의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진동수정수단 (20) 에 대해서는 각각 1 조에 대한 조작을 설명하였으나, 축둘레에 배치되는 2 조, 3 조, 수조의 진동수정수단 (20) 을 번갈아 조작하면 축심 (C) 을 임의의 방향으로 굽혀 변위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공구 (17) 에 있어서의 날끝 (18) 의 위치를 공구지지구 (10) 의 회전중심 (Ca) 에 다가가게하여 일치시킬 수도 있으나, 공구 (17) 의 날끝 (18) 의 위치를 회전중심 (Ca) 에서 멀어지게하여 절삭반경을 크게 하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이어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의 각 a 도는 공구지지구의 도 3 에 대응시킨 위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b 도는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의 각 a 도의 진동수정수단 (20) 위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체 (13) 의 선단부에 있는 지지부 (14) 에 대하여 공구 (17) 를 장착하고, 천공, 절삭작업을 실시할 경우, 상기 공구선단 (18) 의 위치가 옆으로 어긋나서, 공구지지구 (10) 의 회전중심 (Ca) 에서 벗어나 있어도 나사부재 (24) 를 돌려 공구지지부 (10) 의 2 개의 접부 (26,27) 사이에서 축체 (13) 의 선부측 축선 (C) 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구 (17) 의 날끝 선단 (18) 의 위치를 공구지지구 (10) 의 회전중심 (Ca) 으로 간단히 다가가서 일치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럼으로써, 공구지지구 (10) 를 고속회전시켜 천공, 절삭작업을 실시할 경우에 정밀도가 높은 정밀가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축체의 기부측에는 공작기의 회전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고, 축체의 선부측에는 공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공구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축체의 외주부에 있어서는 길이방향을 향해 서로 떨어진 위치에 제 1 접부와 제 2 접부를 설정하고, 양접부 사이에는 나사부재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양접부의 사이에서 축체의 선부측 축선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수정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축체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진동수정수단을, 축체의 외주부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3 개소 이상의 균등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지지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정수단은, 각각 제 1 접부와 제 2 접부에 맞닿게 하는 제 1 맞닿음부와 제 2 맞닿음부를 구비하는 맞닿음부재와, 상기 맞닿음부재의 제 1 맞닿음부와 제 2 맞닿음부를 각각 상기 제 1 접부와 제 2 접부로 밀어서 길이방향을 향해 서로 떨어진 위치에 양접부 사이에서 축체의 선단측 축선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지지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정수단은 제 1 접부 또는 제 2 접부에 맞닿게 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하는 맞닿음부재와, 상기 맞닿음부재에 설치되는 암나사구멍에 대하여 나사식 결합시키고, 또한 선단을 상기 2 개의 접부중 나머지 접부에 맞닿게 한 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재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양접부 사이에서 축체의 선부측 축선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지지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정수단은, 적어도 제 1 접부 또는 제 2 접부의 일측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그 수나사부에 나사부재의 일측을 나사식 결합시키고, 나사부재의 타측은 나머지 부재에 맞닿게 하고, 상기 나사부재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양접부의 사이서 축체의 선부측 축선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지지구.
  6. 축체의 기부측에는 공작기의 회전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고, 축체의 선부측에는 공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공구지지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진동수정구로서, 상기 진동수정구는 상기 축체의 주위에 배치하는 환상체와, 그 환상체의 외주측에서 내주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멍에 대하여 나사식 결합시킨 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환상체에 있어서의 1 개의 측면에는, 상기 축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접부에 맞닿게 하기 위한 맞닿음부를 구비시키고, 상기 나사부재의 선단은 상기 제 1 접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부에 대하여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재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양접부 사이에서 축체의 선부측 축선을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지지구용 진동수정구.
KR1020000049231A 1999-08-30 2000-08-24 공구유지구 및 공구유지구용 진동 수정구 KR100610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42768 1999-08-30
JP24276899 1999-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194A true KR20010050194A (ko) 2001-06-15
KR100610548B1 KR100610548B1 (ko) 2006-08-09

Family

ID=1709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231A KR100610548B1 (ko) 1999-08-30 2000-08-24 공구유지구 및 공구유지구용 진동 수정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57445B1 (ko)
EP (1) EP1080832B1 (ko)
KR (1) KR100610548B1 (ko)
CN (1) CN1174834C (ko)
CA (1) CA2316753C (ko)
DE (1) DE60010599T2 (ko)
HK (1) HK1033921A1 (ko)
IL (1) IL138150A0 (ko)
TW (1) TW5261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153A (ko) * 2018-03-02 2020-10-28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공구의 밸런스 및 오실레이션 조정 시스템, 밸런스 및 오실레이션 계측 장치, 밸런스 및 오실레이션 조정 방법, 및 공구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6684A1 (de) * 2000-04-04 2001-10-11 Widia Gmbh Bohrwerkzeug
CH695324A5 (de) * 2001-08-20 2006-03-31 Rego Fix Ag Auswuchtsystem zum Umwuchtausgleich eines rotierenden Maschinenteils.
JP3704320B2 (ja) 2002-03-18 2005-10-12 株式会社日研工作所 工具ホルダ
AU2002950263A0 (en) * 2002-07-17 2002-09-12 Anca Pty Ltd Workpeice mounting for precision machining
DE102005055622B3 (de) 2005-08-23 2006-11-16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Dehnspanneinrichtung
US7393164B2 (en) * 2006-10-02 2008-07-01 Primetool Mfg, Inc. Dynamic balancing ring for cutter holder
JP5301774B2 (ja) * 2006-11-29 2013-09-25 オークマ株式会社 主軸構造
EP2581158A1 (de) * 2006-12-06 2013-04-17 Rego-Fix AG Werkzeugkupplung und Verfahren zum Auswuchten einer Werkzeugkupplung
DE102008045675A1 (de) * 2008-09-04 2010-03-11 Komet Group Gmbh Rundlaufendes Schaftwerkzeug
DE102009050701A1 (de) 2009-10-26 2011-04-28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Spanneinrichtung
CN102441808A (zh) * 2010-09-30 2012-05-0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刀把
US8734070B2 (en) * 2010-10-20 2014-05-27 Kennametal Inc. Toolholder with externally-mounted dynamic absorber
IL210165A (en) * 2010-12-22 2015-01-29 Iscar Ltd Cutting Tools
US8959785B2 (en) * 2010-12-30 2015-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unout
DE102011104982B4 (de) * 2011-06-20 2013-02-07 Kennametal Inc. Einstellmechanismus für einen einstellbaren Werkzeughalteradapter sowie Werkzeughalteradapter
DE102012111548B4 (de) * 2012-11-28 2014-07-10 Hirschmann Gmbh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s rohrförmigen Werkstückes
US9221141B1 (en) * 2013-02-27 2015-12-29 The Boeing Company Tuned mass tool holder
JP6324233B2 (ja) * 2014-06-25 2018-05-16 Big Daishowa株式会社 回転体の防振構造
US20160067788A1 (en) * 2014-09-06 2016-03-10 James C. Brown Adjustable Tool Holder
DE102014226654B4 (de) * 2014-12-19 2016-12-08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Spannfutter
JP6851092B2 (ja) 2017-03-02 2021-03-31 Big Daishowa株式会社 工具ホルダの工具締付方法及び工具ホルダ
US10618116B2 (en) * 2017-05-04 2020-04-14 Mark Woodman Lathe error-correcting collet chuck
JP7180120B2 (ja) 2018-05-29 2022-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工具ホルダ
CN109333126B (zh) * 2018-11-13 2024-03-15 广州市敏嘉制造技术有限公司 一种曲轴装夹工装
WO2020108770A1 (en) * 2018-11-30 2020-06-04 Kyocera Unimerco Tooling A/S Tool supporter with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 tool using the same
CN114193180A (zh) * 2021-11-16 2022-03-18 上海新山田精密刀具有限公司 一种精密滑块式可调刀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37045A (de) * 1943-05-26 1945-03-31 Oerlikon Buehrle Ag Stahlhalter.
US4218068A (en) * 1978-12-26 1980-08-19 Caterpillar Tractor Co. Deflectable holding assembly
US4428704A (en) * 1980-07-28 1984-01-31 Ex-Cell-O Corporation Micro-adjusting cartridge for cutting tool
JPS60104624A (ja) * 1983-11-10 1985-06-10 Kokusai Koki Kk 工具保持装置における工具長補正装置
DE3500602A1 (de) * 1985-01-10 1986-07-10 Bernhard 4500 Osnabrück Mönkediek Bohrwerkzeug
DE3630126A1 (de) * 1985-09-09 1987-03-12 St Etienne Mach Outil Bohrgeraet
DE3904259A1 (de) * 1989-02-13 1990-08-16 Guehring Gottlieb Fa Kupplung zur loesbaren fixierung von bauteilen an entsprechenden traegerteilen
CH681964A5 (ko) * 1990-08-21 1993-06-30 Planetron Ag
DE4110894A1 (de) * 1991-04-04 1992-10-08 Zettl Gmbh Cnc Spannfutter
US5286042A (en) * 1993-03-24 1994-02-15 Hydra-Lock Corporation Tool holder with centering adjustment
JPH0727121A (ja) * 1993-06-30 1995-01-27 Jacobs Japan Inc 締付け用ネジ
JPH07156004A (ja) * 1993-12-01 1995-06-20 Toyoda Mach Works Ltd 刃先位置補正機能を有する回転切削工具
US5601295A (en) * 1995-12-29 1997-02-11 Baker; Arthur A. Tool holder system for industrial cutting tools
JPH09286101A (ja) 1996-04-23 1997-11-0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97012A (en) * 1996-06-27 1999-12-07 Brian; Frank J. Differential thread control of chuck gripping of work
JPH10113805A (ja) * 1996-10-11 1998-05-06 Mitsubishi Heavy Ind Ltd 多軸ボール盤の特殊センタリング装置
EP0882535B1 (de) * 1997-06-05 2001-08-08 Polytool Ag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Rundlauffehlern eines Werkzeugs
JPH11104931A (ja) * 1997-10-01 1999-04-20 Nt Tool Kk 工具保持具
JP2000052176A (ja) * 1998-06-04 2000-02-22 Manyoo Tool Kk 工具ホルダ
JP3199684B2 (ja) * 1998-07-17 2001-08-20 政人 石井 測定装置
US5915896A (en) * 1998-09-14 1999-06-29 Sikorsky Aircraft Corp. Adjustable machine tool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153A (ko) * 2018-03-02 2020-10-28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공구의 밸런스 및 오실레이션 조정 시스템, 밸런스 및 오실레이션 계측 장치, 밸런스 및 오실레이션 조정 방법, 및 공구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6753C (en) 2007-01-30
CN1286155A (zh) 2001-03-07
EP1080832A3 (en) 2001-12-12
IL138150A0 (en) 2001-10-31
HK1033921A1 (en) 2001-10-05
TW526117B (en) 2003-04-01
EP1080832B1 (en) 2004-05-12
CN1174834C (zh) 2004-11-10
CA2316753A1 (en) 2001-02-28
KR100610548B1 (ko) 2006-08-09
DE60010599D1 (de) 2004-06-17
US6557445B1 (en) 2003-05-06
DE60010599T2 (de) 2005-05-19
EP1080832A2 (en) 200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548B1 (ko) 공구유지구 및 공구유지구용 진동 수정구
JP4472705B2 (ja) ツールホルダとの係合を改良すべく構成されたカッティングツール
WO2010084584A1 (ja) チャック機構、爪材、及び旋盤
WO2001076815A1 (fr) Structure de montage de porte-outil
KR20000062944A (ko) 공구 홀더 및 공구 홀더 장착 장치
WO2001076814A1 (fr) Porte-outil
JP2007216378A (ja) 刃部交換式切削工具
US7396196B2 (en) Cutting machining tool
KR101166210B1 (ko) 소재 가이드 장치 및 자동 선반
JP4598927B2 (ja) 工具保持具
JP2012179685A (ja)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JP2009012155A (ja) チャック機構、爪材、及び旋盤
JPH10249627A (ja) エンドミル
JP2000263361A (ja) 工具ホルダ
KR101912009B1 (ko) 다이아몬드 버니싱공구
JP2005297162A (ja) 工具ホルダ
US5649795A (en) Machine tool
JP2000246522A (ja) チャック、棒材把持装置及び自動旋盤
JP2011115888A (ja) 工具ホルダ
JP2007144598A (ja) 切削工具
JP2005103706A (ja) 切削工具
KR20020074912A (ko) 벨로우즈관의 플랜지 용접작업용 지그
JP2003145378A (ja) 工具ホルダ及び芯振れ修正具
JP2022076797A (ja) 補助ハンドルおよび電動工具システム
JPH065892U (ja) 回転加工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