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351A -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351A
KR20010049351A KR1020000025737A KR20000025737A KR20010049351A KR 20010049351 A KR20010049351 A KR 20010049351A KR 1020000025737 A KR1020000025737 A KR 1020000025737A KR 20000025737 A KR20000025737 A KR 20000025737A KR 20010049351 A KR20010049351 A KR 20010049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per
branch
closing cover
branch 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829B1 (ko
Inventor
칸 토미타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1004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4Openable part of feed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걸림 처리시에 용지를 찢거나 분기 톱(分岐爪)을 파손시키지 않고 용지 걸림 처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지부재(20)는 분기 톱(11)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21)과 지지부재 자체를 정·역회전시키는 제2지지점(22)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 커버(13)에 붙박힌 안내판(12)에 맞물림부(유지부)(25)가 형성되고 거기에 지지부재(20)의 탄성부재(24)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개폐 커버(13)를 개방하면 분기 톱(11) 및 지지부재(20)도 제2지지점(22)을 중심으로 개방된다. 분기 톱(11)의 오른쪽에 용지가 걸려 있을 경우는, 탄성부재(24)가 맞물림부(25)로부터 떨어져 분기 톱(11) 및 지지부재(20)는 이동하지 않고 개폐 커버(13)가 개방된다.

Description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CONVEYING PATH SWITC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HEET CONVEYING PATH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의 이송경로를 전환하는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이송하는 경로를 전환시키기 위한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는 널리 알려져 있다. 예컨대 표준 용지받이 외에 소터, 메일 박스, 자동양면장치 등을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들의 어느 한 이송측으로 용지를 유도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분기 톱(分岐爪)이나 분기 판 등(이하, 총칭하여 분기 톱이라고 한다)을 이용하여 용지의 이송경로를 전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통상은 분기 톱 부근에 안내판 등을 배치하고 분기 톱과 함께 이송로를 구성하여 이송경로가 전환된 용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서는 이송 경로가 분기하는 개소에서 걸린 용지를 제거할 수 없거나 제거할 수 있다 하여도 용이하지 않았다.
이송경로가 분기하는 개소에서 걸린 용지를 제거할 수 없다는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있어서는 분기 개소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부터 걸린 용지를 빼내지 않으면 안되고, 용지가 구겨져 걸린 경우에는 용지를 빼내는 것이 곤란하거나 그것을 빼내면서 장치나 용지에 손상을 주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분기 개소에서 걸린 용지를 제거할 수 있는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서는 분기 개소의 좌우 또는 상하 어느 한 쪽 안내판이 외포장 커버와 함께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조와, 분기 톱과 그 회전 지지점을 구비하는 안내판이 일체적으로 외포장 커버와 함께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조가 있는데, 전자의 경우, 분기 톱의 앞쪽(커버를 개방했을 때의 앞쪽)에 용지가 걸려 있을 경우에는 용지 걸림 처리를 아주 양호하게 행할 수 있지만 분기 톱의 안쪽에 용지가 걸려 있을 경우에는 그 제거가 아주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치를 소형화하면 할 수록 걸린 용지 제거성이 손상받는다는 결과로 된다.
나아가 후자의 경우, 분기 톱 안쪽에 걸린 용지 제거성은 높아지지만 분기 톱 앞쪽에 큰 사이즈의 용지가 있고 그 용지의 선단 또는 후단이 개방된 범위에 없을 경우는 용지가 분기부 상류측 및 하류측의 안내판에 끼우고 게다가 분기 톱이 용지에 걸려 외포장 커버가 열리지 않는 등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억지로 외포장 커버를 열면 분기 톱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여기서 분기 개소에서 걸린 용지를 제거할 수 있는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2는 상기 전자의 구조를 갖는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부(50) 위쪽에 분기 톱(51)이 설치되고 정착부(50)로부터 위쪽으로 송출되는 용지를 분기 톱(51)에 의해 좌우(화살표방향a)또는 위쪽(화살표방향b)으로 경로를 전환하여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53은 개폐가능한 외포장 커버이며 이 외포장 커버(53)와 함께 용지를 정착부(50)로부터 위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안내판이나 이송 롤러쌍의 종동 롤러 등이 일체적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12에 나타낸 종래예에서는 걸린 용지가 분기 톱(51)의 오른쪽(커버(53)를 개방했을 때 분기 톱(51)의 앞쪽)에 있을 경우는 용지 걸림을 아주 양호하게 처리할 수 있지만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린 용지J가 분기 톱(51)의 안쪽에 숨어 있는 경우는 걸린 용지J를 제거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도13은 상기 후자의 구조를 갖는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분기 톱(51)은 안내판(52)에 지지되어 있다. 그 안내판(52) 및 분기 톱(51)은 외포장 커버(53)와 함께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3에 나타낸 종래예에서는 걸린 용지가 분기 톱(51)의 안쪽에 있는 경우에는 외포장 커버(53)와 함께 안내판(52) 및 분기 톱(51)을 개방함으로써 용지 제거성이 제고된다. 그러나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J가 정착부(50)와 분기 톱 위쪽의 안내판 혹은 이송롤러쌍(81) 등에 끼워서 걸린 경우, 분기 톱(51)이 용지J에 걸려 외포장 커버(53)를 개방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그대로 커버(53)를 개방하고자 하면, 걸린 용지J가 찢어지거나 분기 톱(51)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구조의 경우,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J의 상류측이 끼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커버(53)를 개방할 수 있지만 분기 톱(51)이 용지J 위에 올라 탄 상태로 되어 용지 걸림 처리가 용이하다고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있어서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용지 걸림 처리성을 향상시킨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2는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이송경로의 전환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3은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이송경로의 다른 전환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4는 이 화상 형성 장치의 분기부 개폐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이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6A,도6B는 분기 톱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7은 분기 톱이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8은 분기 톱과는 독립적으로 개폐 커버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9는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걸림 처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걸림 처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걸림 처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2는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13은 종래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14는 상기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있어서의 용지 걸림 처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린터 본체
5 정착부
10 용지이송 분기부
11 제1분기 톱
12 안내판
12a 맞물림 안내부
13 분기부 개폐 커버
14 이송 롤러쌍
15 제2분기 톱
20 분기 톱 지지부재
21 제1지지점
22 제2지지점
23B 돌출부(걸어맞춤수단의 피유지수단)
24 탄성부재(걸어맞춤수단의 피유지수단)
25 맞물림부(걸어맞춤수단의 유지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용지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분기 톱과,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하여 상기 분기 톱 부근을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구비하는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그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독립 또는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지지점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분기 톱과,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해 상기 분기 톱 부근을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구비하는 용지 이송경로 전환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와 착탈 자유롭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 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분기 톱과,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해 상기 분기 톱 부근을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구비하는 용지 이송경로 전환기구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이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독립 또는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지지점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 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분기 톱과,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해 상기 분기 톱 부근을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구비하는 용지 이송경로 전환기구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2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와 착탈 자유롭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회전을 저해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기 톱 부재와 상기 개폐 커버와의 사이에 용지가 있는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기 톱 부재와 상기 개폐 커버 사이에 용지가 있고 동시에 이 용지의 선단측이 용지이송방향 상류측 부재에 의해 끼워지고 이 용지의 후단측이 용지이송방향 하류측 부재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기 톱 부재와 상기 개폐 커버 사이에 용지가 있고 동시에 이 용지의 선단측이 용지이송방향 상류측 부재에 의해 끼워지고 이 용지의 후단측이 용지이송방향 하류측 부재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고, 용지의 일측이 용지이송방향 상류측 부재 또는 용지이송방향 하류측 부재의 어느 한 쪽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유지부재와 피유지부재로 구성되고, 이 유지부재 또는 피유지부재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부재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유지부재와 피유지부재로 구성되고, 이 유지부재 또는 피유지부재중 적어도 한 쪽의 선단부분이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유지부재와 피유지부재의 걸어맞춤을 안내하는 걸어맞춤 안내부를 구비할 것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프린터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프린터 본체(1)에는 작상부(2), 광 기록부(3), 급지부(4), 정착부(5), 용지이송 분기부(10) 등이 배설되어 있다. 또 프린터 본체(1)에는 증설한 용지배출장치(60) 및 양면반전장치(70)가 부설되어 있다. 이 프린터의 화상형성 동작에 관해서는 종래 주지의 전자사진 방식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용지 이송을 중심으로 한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화상정보에 따른 레이저 광선이 광 기록부(3)에 의해 작상부(2)의 감광체에 조사되어 감광체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 잠상은 현상 장치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화되고 급지부(4)로부터 이송된 용지상에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부(5)에 있어서 용지상에 정착되고 화살표방향A과 같이 프린터의 표준 용지받이(6)위에 배출된다.
용지 이송 분기부(10)에는 제1분기 톱(11), 안내판(12), 이송롤러쌍(14), 제2분기 톱(15), 용지 배출 롤러쌍(16), 안내판(17),(18),(19)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제1분기 톱(11) 및 제2분기 톱(15)은 도1과 도2에 나타낸 위치에 각각 전환(요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분기 톱의 전환은 미도시한 솔레노이드에 의해 행해진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후의 용지를 표준 용지받이(6)에 배출할 경우, 제1분기 톱(11)이 도1의 위치로 전환되어 용지는 분기 톱(11)의 왼쪽을 지나 안내판(17),(18)으로 안내되고 용지배출 롤러쌍(16)에 의해 표준 용지받이(6)로 배출된다.
도2는 정착후의 용지를 증설한 용지배출장치(60)로 유도하여 용지받이(61),(62),(63)중 어느 하나로 배출할 경우의 용지이송 분기부(10)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용지를 증설 용지배출장치(60)로 유도할 경우, 제1분기 톱(11) 및 제2분기 톱(15)은 도2의 위치로 전환되어 용지는 제1분기 톱(11)과 안내판(12)으로 안내되고 이송롤러쌍(14)에 의해 위쪽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안내판(19)과 제2분기 톱(15)에 안내되어 증설 용지배출장치(60)로 송출된다.
도3은 정착후의 용지를 양면 반전장치(70)로 유도하여 용지 뒷면에 화상을 형성할 때의 용지 이송 분기부(10)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용지를 양면 반전장치(70)로 유도할 경우, 제1분기 톱(11) 및 제2분기 톱(15)은 도3의 위치로 전환되어 용지는 제1분기 톱(11)과 안내판(12)으로 안내되고 이송롤러쌍(14)에 의해 위쪽으로 이송된다. 이 용지는 도3의 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제2분기 톱(15)에 의해 화살표방향C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송되어 양면 반전장치(70)로 송출된다.
양면 반전장치(70)의 구성과 작용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용지는 화살표방향D와 같이 이송됨으로써 안팎이 반전되어 재차 프린터 본체(1)내로 이송되어 용지 뒷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용지 뒷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도1 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 용지받이(6) 또는 증설 용지배출장치(60)의 용지받이(61),(62),(63)중 어느 하나로 배출된다.
도4는 프린터 본체(1)의 용지이송 분기부(10)의 오른쪽 위치에 설치된 분기부 개폐 커버(이하, 개폐 커버라고 한다)(13)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용지이송 분기부(10)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이 개폐 커버(13)를 개방하여 용지 걸림을 처리한다.
프린터 본체(1)에 있어서, 용지 이송 분기부(10)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반전장치(70)를 아래쪽 지지점으로 개방하고 나아가 개폐 커버(13)를 개방한다. 이 개폐 커버(13)는 커버 아래쪽 단부 부근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분기 톱(11)의 오른쪽 안내판(12)은 개폐 커버(13)에 지지되고 개폐 커버(13)를 개방하면 커버(13)와 일체적으로 개방된다. 또 개폐 커버(13)(보다 정확히는 개폐 커버(13)와 함께 개폐되는 미도시한 안내부재)에는 이송롤러쌍(14)의 종동 롤러(14b)와, 제2분기 톱(15)이 설치되어 있고 종동 롤러(14b) 및 제2분기 톱(15)도 커버(13)와 일체적으로 개폐된다. 개폐 커버(13)를 닫으면 종동 롤러(14b)는 소정의 가압력으로 이송롤러쌍(14)의 구동 롤러(14a)에 압접된다.
다음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분기 톱(11)과 그 지지기구에 관하여 도5∼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에 있어서 개폐 커버(13)는 지지점(22)을 중심으로 하여 프린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지지점(22)에는 지지부재(20)도 장착되며 지지부재(20)는 개폐 커버(13)와는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20)의 타단에는 지지점(21)이 형성되고 그 지지점(21)에 제1분기 톱(11)이 원추형 접합되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분기 톱(11)이 프린터 본체(1)에 요동 지지점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또 개폐 커버(13)에 고정된 안내판(12)에 요동 지지점이 형성되는 것도 아니며 개폐 커버(13)와는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20)위에 요동 지지점이 형성되고 있다.
개폐 커버(13)와는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13)와도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는 제1분기 톱(11)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21)과, 지지부재(20) 자체를 개폐 커버(13)와 독립 또는 일체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지지점(22)을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지지부재(20)에는 팔 모양으로 돌출된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 돌출부(23)의 선단에는 탄성부재(24)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1분기 톱(11) 오른쪽의 안내판(12)은 그 일부가 커버(13)측으로 움푹 들어가 맞물림부(25)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3)와 맞물림부(25)로 지지부재(20)와 개폐 커버(13)(안내판(12))를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13)를 닫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지지부재(20)의 탄성부재(24)가 안내판(12)의 맞물림부(25)에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물림부(25)가 걸어맞춤수단의 유지부이며 탄성부재(24)가 걸어맞춤수단의 피유지부로 된다. 또한 돌출부(23)의 선단에 탄성부재(24)를 설치하지 않고 맞물림부(25)의 선단부(턱부)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돌출부(23)와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6A, 도6B는 분기 톱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지지부재(20)는 돌출부(23B) 자체를 탄성부재로서 형성한 것이다. 돌출부(23B)의 재질로서는 예컨대 폴리아세탈(POM)로 할 수 있다. 도6A의 예에서는 돌출부(23B)와 맞물림부(25)로 지지부재(20)와 개폐커버(13)(안내판(12))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맞물림부(25)가 걸어맞춤수단의 유지부재이며 돌출부(23B)가 걸어맞춤수단의 피유지부재이다. 또한 돌출부(23B)가 아니고 맞물림부(25)를 탄성부재로 형성해도 좋다. 혹은 돌출부(23B)와 맞물림부(25)를 다 탄성부재로 형성해도 좋다.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13)를 닫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지지부재(20)의 돌출부(23B)의 선단부는 안내판(12)의 맞물림부(25)에 걸어맞춰진 상태로 되어 있다. 맞물림부(25)와 돌출부(23B)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는 경우는 도6B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3B) 자체가 변형한다. 또 양자의 걸어맞춤이 떨어진 상태로부터 맞물림부(25)에 돌출부(23B)가 걸어맞춰지는 경우도 돌출부(23B) 자체가 변형하여 걸어맞춰진다. 또한 지지부재(20)를 도6A와 같이 구성한 경우의 용지이송 분리부(10)의 작용은 도5의 구성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이하, 양자를 대표하여 도5 구성의 지지부재(20)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점(22)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 커버(13)를 개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판(12), 종동 롤러(14b), 제2분기 톱(15)이 커버(13)와 함께 개방된다. 이 때, 지지부재(20)가 제2 지지점(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지지부재(20)의 탄성부재(24)가 안내판(12)의 맞물림부(25)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20)에 원추형 접합으로 지지되어 있는 제1분기 톱(11)도 개폐 커버(13)를 개방함으로써 정착부(5) 위쪽의 용지경로 분기부가 크게 해방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20)의 탄성부재(24)가 안내판(12)의 맞물림부(25)에 맞물리고 있는 경우에는 개폐 커버(13)와 함께 지지부재(20) 및 제1분기 톱(11)이 일체적으로 개폐된다.
그런데 맞물림부(25)와 탄성부재(24)의 맞물림 힘에 의해 개폐 커버(13) 개방시에 지지부재(20)(및 제1분기 톱(11))를 이동시키므로 제1분기 톱(11)의 회전 이동을 방해하듯한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탄성부재(24)가 변형하여 맞물림부(25)로부터 떨어져 커버(13)를 개방해도 제1분기 톱(11) 및 지지부재(20)가 개방되지(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분기 톱(11)의 오른쪽에 용지가 있는 상태(특히 용지가 정착부(5)와 위쪽의 안내부재(82),(83) 혹은 이송롤러쌍(81)(도9참조)등에 끼워 걸린 듯한 상태)에서는 개폐 커버(13)를 개방할 때, 제1분기 톱(11)이 용지J에 걸려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탄성부재(24)가 변형하여 안내판(12)의 맞물림부(25)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개폐 커버(13)(및 안내판(12), 종동롤러(14b), 제2분기 톱(15))이 개방되어도 제1분기 톱(11)(및 지지부재(20))는 개방되지 않아 용지가 찢어지거나 분기 톱(11)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부재(20)의 탄성부재(24)와 안내판(12) 맞물림부(25)의 맞물림 힘은 본 발명자에 의한 실험에 의하면, 5N(뉴톤)이하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물론,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걸림이 없는 경우에 지지부재(20)와 제1분기 톱(11)을 개폐커버(13)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킬 만한 맞물림 힘이 필요하다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그 맞물림 힘은 장치 구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4)가 맞물림부(25)로부터 떨어져 개폐 커버(13)가 개방된 상태(도8의 상태)로부터 커버(13)를 닫을 (용지 걸림 처리 종료후에 커버를 닫는다)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탄성부재(24)가 맞물림부(25)에 맞물린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3)의 폐쇄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부재(24)가 맞물림부(25)에 맞물리도록 (도6A의 예에서는 돌출부(23B)의 선단부가 맞물림부(25)에 용이하게 걸어맞추도록) 안내판(12)에 안내부(12a)를 마련하고 있다. 커버(13)를 닫을 때, 커버(13)와 안내판(12)은 지지점(2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도8에 굵은 화살표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12a)가 탄성부재(24)에 맞대인다. 바꿔 말하면, 커버(13)를 닫은 경우에 탄성부재(24)에 맞대이도록 안내부(12a)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안내부(12a)가 탄성부재(24)를 (도6A의 예에서는 돌출부(23B)를) 변형시키고 탄성부재(24)는 안내부(12a)의 코너부(12b)를 타고 넘어 맞물림부(25)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안내부(12a)를 마련하여 커버(13)의 폐쇄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부재(24)가 맞물림부(25)에 맞물리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용자는 분기 톱(11)의 위치나 탄성부재(24)와 맞물림부(25)의 위치 관계 등을 걱정하지 않고 커버(13)를 닫음으로써 자동적으로 최초의 상태로 분기 톱(11)을 복귀시킬 수 있다.
도9∼도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지 걸림 처리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 용지받이(6)측으로 배출하고자 한 용지가 정착부와 용지 배출 롤러 사이에서 주름진 상태로 걸렸을 경우, 개폐 커버(13)를 개방함으로써 개폐 커버(13)(및 안내판(12), 종동 롤러(14b), 제2 분기 톱(15)(도7 참조)과 함께 분기 톱(11)과 지지부재(20)가 일체적으로 개방되어 분기 톱(11)이 걸린 용지J로부터 멀어지고 용지 이송 분기부가 크게 개방되어 걸린 용지J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53)를 개방해도 분기 톱(51)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걸린 용지J는 분기 톱(51)의 왼쪽에 은폐되어 용지 걸림을 제거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있다.
도10에서는 용지가 정착부(5)와 상방의 이송롤러(81)에 끼워 걸려 있다. 이 경우, 걸린 용지J는 분기 톱(11)의 오른쪽에 있기(분기 톱(11)과 안내판(12)사이에 있다)때문에 개폐 커버(13)를 개방하고자 하면 분기 톱(11)이 걸린 용지J에 떠받치어 분기 톱(11)(및 지지부재(20))의 이동이 저해된다. 이것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에 부설된 탄성부재(24)가 안내판(12)의 맞물림부(25)로부터 떨어져(도8 참조), 분기 톱(11)(및 지지부재(20))은 개방되지 않고 개폐 커버(13)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용이하게 커버(13)를 열 수 있고 또 커버(13)를 개방한 개소의 쉽게 손이 대이는 곳에 걸린 용지J가 있어 용이하게 걸린 용지J를 제거할 수 있다. 도13에 나타낸 종래의 구성에서는 분기 톱(51)의 지지점이 안내판(52)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기 톱(51)의 오른쪽에 걸린 용지J가 있는 경우에는 걸린 용지J가 떠받치어 커버(53)를 개방할 수 없었다. 억지로 커버를 열려고 하면 걸린 용지J가 찢어지거나 분기 톱(51)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의 선단측이 용지이송 분기부(10)의 상류측에 있는 부재 (예컨대 안내판(82),(83)(도8), 또는 이송 롤러(81)등)에 끼워지고 용지의 후단측이 용지이송 분기부(10)의 하류측에 있는 부재 (예컨대 정착장치(5))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13)가 개방된 경우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20)와 안내판(12)의 걸어맞춤 (탄성부재(24)와 맞물림부(25)의 걸어맞춤, 또는 돌출부(23B)와 맞물림부(25)의 걸어맞춤)이 떨어진다. 그러나 용지의 한쪽이 용지이송 분기부(10)의 상류측에 있는 부재 또는 하류측에 있는 부재의 어느 한쪽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13)가 개방된 경우는 끼워진 쪽과 반대측의 용지 단부가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지지부재(20)와 개폐 커버(13)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어 지지부재(20)(분기 톱(11))와 개폐 커버(13)가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도11에서는 양면 반전장치(70)(도1 참조)로 용지를 이송하고 있는 경우의 용지 걸림 처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걸린 용지J는 제1분기 톱(11)의 오른쪽에 있고 나아가 용지 선단은 제2분기 톱(15)과 안내판(12) 사이로부터 양면 반전장치(70)로 진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용지 걸림의 경우, 개폐 커버(13)를 개방해도 제1분기 톱(11)과 지지부재(20)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커버(13)의 개방에 의해 걸린 용지J의 위쪽이 크게 개방되므로 용이하게 걸린 용지J를 제거할 수 있다. 도14의 종래 구성에서는 커버(53)를 개방해도 분기 톱(51)이 걸린 용지J위에 있기 때문에 용지 걸림 제거의 방해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0)에 제1분기 톱(11)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점(21)과 지지부재 자체를 회전시키는 제2지지점(22)을 형성하고 지지부재(20)를 개폐 커버(13)와 독립 또는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제1분기 톱(11)을 개폐 커버(13)와 일체적으로 개폐시킬수 있고, 제1분기 톱(11)을 이동시키지 않고 개폐 커버(13)를 개방할 수도 있어 제1분기 톱(11)의 어느 한쪽에 용지가 걸려있을 경우라도 용이하게 용지 걸림을 처리할 수 있다.또 분기 톱(11)의 오른쪽(개폐 커버(13)쪽)에 용지 걸림이 있을 경우라도 커버 개방에 의해 걸린 용지를 찢거나 분기 톱(11)을 파손하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의하면,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그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독립 또는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지지점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마련했으므로 분기 톱(및 지지부재)과 일체적인 개폐 커버의 개폐 동작, 또는 분기 톱(및 지지부재)과는 독립한 개폐 커버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분기 톱 근처의 용지 걸림 처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2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와 착탈 자유롭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마련했으므로 분기 톱 지지부재가 개폐 커버에 걸어맞춰진 상태 또는 떨어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를 개폐시킬 수 있어 분기 톱 근처에서의 용지걸림 처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5의 구성에 의해, 분기 톱 지지부재의 회전을 저해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므로 걸린 용지에 의해 분기 톱 지지부재의 회전 (즉 분기 톱의 이동)이 저해된 경우에는 걸어맞춤수단의 맞물림이 떨어지므로 걸린 용지가 찢어지거나 분기 톱 등 부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6의 구성에 의해, 분기 톱 부재와 개폐 커버 사이에 용지가 있는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는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므로 걸린 용지가 찢어지거나 분기 톱 등 부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7의 구성에 의해, 분기 톱 부재와 개폐 커버 사이에 용지가 있고 동시에 이 용지의 선단측이 용지이송방향 상류측 부재에 의해 끼워지고 용지의 후단측이 용지이송방향 하류측부재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는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개폐 커버와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므로 용지의 선단측 및 후단측이 다 끼워진 상태에서도 걸린 용지가 찢어지거나 분기 톱 등 부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8의 구성에 의해, 용지의 선단측 또는 후단측의 어느 한쪽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는 개폐 커버와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므로 개폐 커버와 함께 분기 톱이 개방되어 용지걸림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9또는 10의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수단은 유지부재와 피유지부재로 구성되고 이 유지부재 또는 피유지부재 중에 적어도 어느 한쪽이 탄성부재이든지, 이 유지부재 또는 피유지부재 중에 적어도 어느 한쪽 선단부분이 탄성부재이므로 간단한 구성이면서 염가로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할 수 있고 분기 톱 지지부재(및 분기 톱)의 개폐 커버와 독립 또는 일체적인 회전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11 또는 청구항12의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수단은 유지수단과 피유지수단의 걸어맞춤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므로 걸어맞춤이 떨어진 상태로부터 걸어맞춤 상태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화상 형성 장치에서 용지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분기 톱과,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하여 상기 분기 톱 부근을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구비하는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이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독립 또는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지지점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2.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분기 톱과,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하여 상기 분기 톱 부근을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구비하는 용지 이송경로 전환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와 착탈 자유롭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3. 용지 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분기 톱과,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하여 상기 분기 톱 부근을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구비하는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이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독립 또는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지지점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용지 이송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분기 톱과,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하여 상기 분기 톱 부근을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구비하는 용지 이송경로 전환기구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톱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상기 분기 톱을 지지하는 제1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2지지점과, 상기 개폐 커버와 착탈 자유롭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는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회전을 저해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기 톱 부재와 상기 개폐 커버 사이에 용지가 있는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기 톱 부재와 상기 개폐 커버 사이에 용지가 있고 동시에 이 용지의 선단측이 용지이송방향 상류측부재에 의해 끼워지고 이 용지의 후단측이 용지이송방향 하류측부재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를 상기 개폐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기 톱 부재와 상기 개폐 커버 사이에 용지가 있고 동시에 이 용지의 선단측이 용지이송방향 상류측 부재에 의해 끼워지고 이 용지의 후단측이 용지이송방향 하류측 부재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이 떨어지고, 용지의 일측이 용지이송방향 상류측 부재 또는 용지이송방향 하류측 부재의 어느 한 쪽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 커버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분기 톱 지지부재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유지부재와 피유지부재로 구성되고, 이 유지부재 또는 피유지부재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4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유지부재와 피유지부재로 구성되고, 이 유지부재 또는 피유지부재중 적어도 일측의 선단부분이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유지부재와 피유지부재의 걸어맞춤을 안내하는 걸어맞춤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유지부재와 피유지부재의 걸어맞춤을 안내하는 걸어맞춤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00025737A 1999-05-24 2000-05-15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KR100350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355499 1999-05-24
JP11-143,554 1999-05-24
JP2000-100918 2000-04-03
JP2000100918A JP3896241B2 (ja) 1999-05-24 2000-04-03 用紙搬送経路切替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351A true KR20010049351A (ko) 2001-06-15
KR100350829B1 KR100350829B1 (ko) 2002-08-28

Family

ID=2647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737A KR100350829B1 (ko) 1999-05-24 2000-05-15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32611B1 (ko)
JP (1) JP3896241B2 (ko)
KR (1) KR100350829B1 (ko)
CN (1) CN1117021C (ko)
DE (1) DE10025299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0287B2 (en) 2014-02-11 2018-05-01 Picasolar, Inc. Solar cell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1241B2 (en) * 2001-01-12 2003-01-28 Hewlett-Packard Company Integral actuation linkage for paper diverter for switch to straight-through paper path
JP3748777B2 (ja) * 2001-02-01 2006-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46024B2 (ja) * 2001-03-27 2004-07-2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US6578845B2 (en) * 2001-04-09 2003-06-17 Mustek Systems Inc. Automatic document feeding apparatus having separation mechanism
CN100436293C (zh) * 2004-03-12 2008-11-26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具有分纸换向装置的打印机及其分纸换向装置
JP4537226B2 (ja) * 2005-02-28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1081668B (zh) * 2006-05-29 2010-10-13 株式会社理光 用于图像形成装置的片状物传送通路切换装置以及片状物传送装置
JP4963656B2 (ja) 2006-10-23 201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061712B2 (en) 2007-01-26 2011-11-2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99713B2 (ja) * 2007-01-26 2012-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87053B2 (en) * 2007-02-05 2011-02-15 Pitney Bowes Inc. Print interface system for a sheet handling device
JP4980856B2 (ja) * 2007-11-12 2012-07-18 株式会社リコー 記録媒体搬送経路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5230268B2 (ja) * 2008-05-28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0936B2 (ja) * 2009-03-16 2011-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搬送路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US8371582B2 (en) 2009-06-29 2013-02-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023140B2 (ja) * 2009-12-11 2012-09-12 シャープ株式会社 搬送装置
JP5234021B2 (ja) * 2010-01-29 2013-07-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780925B2 (ja) * 2011-01-21 2015-09-16 レシップ株式会社 運賃箱
JP5970756B2 (ja) * 2011-07-26 2016-08-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搬送方向切替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JP6002375B2 (ja) * 2011-09-30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6011909B2 (ja) 2012-03-22 2016-10-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158A (ko) * 1973-09-07 1975-05-07
JPH01308357A (ja) * 1988-06-01 1989-12-13 Minolta Camera Co Ltd 作像装置
JP2890916B2 (ja) 1991-08-21 1999-05-17 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反転装置
US5368290A (en) * 1992-01-16 1994-11-29 Fujitsu Limited Paper transport mechanism
US5516219A (en) * 1994-08-01 1996-05-14 Lasermaster Corporation High resolution combination donor/direct thermal printer
US5839032A (en) * 1996-03-08 1998-11-1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electably controlled sheet discharge paths
JP2916118B2 (ja) 1997-07-14 1999-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0287B2 (en) 2014-02-11 2018-05-01 Picasolar, Inc. Solar cell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021C (zh) 2003-08-06
JP3896241B2 (ja) 2007-03-22
US6332611B1 (en) 2001-12-25
CN1274674A (zh) 2000-11-29
DE10025299A1 (de) 2000-12-21
KR100350829B1 (ko) 2002-08-28
JP2001039602A (ja) 2001-02-13
DE10025299B4 (de)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829B1 (ko) 용지이송경로 전환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US7809308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997619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508542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45147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231105A (ja) 再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220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uplex recording function
JPH0342448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US632830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uilt-in surface reverse path
JPS628397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25459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18453A (ja) 画像形成装置
JPH02127333A (ja) 給紙装置
JP2001121783A (ja) シート排出装置
JP3487535B2 (ja) ロール紙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49269B2 (ja) シート材積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11255403A (ja) 画像形成装置
JP292394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12048Y2 (ko)
JPH066369Y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02158542A (ja) 画像形成装置
JPH0757650B2 (ja) 画像形成装置
JP3647016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202089A (ja) 自動原稿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647015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