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585A -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및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및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32585A KR20010032585A KR1020007005833A KR20007005833A KR20010032585A KR 20010032585 A KR20010032585 A KR 20010032585A KR 1020007005833 A KR1020007005833 A KR 1020007005833A KR 20007005833 A KR20007005833 A KR 20007005833A KR 20010032585 A KR20010032585 A KR 200100325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plastic bottle
- arm
- bottle
- recess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3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1 polyprop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932 little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PFMBZIOSGYJDE-UHFFFAOYSA-N 1,1,2,2-tetrachloro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Cl)Cl QPFMBZIOSGYJD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QVIHTHCMHWDBS-UHFFFAOYSA-N iso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88 sand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LLVZDVNHNWSDS-UHFFFAOYSA-N 4-methylidene-3,5-dioxabicyclo[5.2.2]undeca-1(9),7,10-triene-2,6-dione Chemical compound C1(C2=CC=C(C(=O)OC(=C)O1)C=C2)=O LLLVZDVNHNWS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FHBJXIEBWOOFA-UHFFFAOYSA-N 5-methyl-3,6-dioxabicyclo[6.2.2]dodeca-1(10),8,11-triene-2,7-dione Chemical compound O=C1OC(C)COC(=O)C2=CC=C1C=C2 SFHBJXIEBWOOF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1399 Barg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10050909 Barg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7 intermediat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XOHFPCZGPKIRD-UHFFFAOYSA-N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O)=O)C=CC2=CC(C(=O)O)=CC=C21 RXOHFPCZGPKI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35 sensit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3 slow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 B65D23/106—Handles formed separately the gripping region of the handle extending between the neck and the base of the bottle or jar and being located in a radial plane comprising the axis of the bottle or j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보틀 본체의 측면에 형성한 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감착완을 갖춘 손잡이를, 전기 감착완의 단부를 손잡이 붙임용 요부내의 벽에 꽂아 넣도록 해서 붙여서 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하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종래의 플라스틱 보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도4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6에 있어서의 하방 감착완의 하단과 보틀벽이 접촉하는 경계 부근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의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의 선단부 (先端部)의 구조의 일례를 나나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의 선단의 감합 (嵌合)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정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5는, 도14의 배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8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정면도이다.
도19 (a)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19 (b) 는 도19 (a) 의 측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1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2는, 도 21의 A-A 단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4는, 도23의 A-A 단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b)의 C-C 단면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측면도, (b) 는 정면도, (c) 는 저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측면도, (b) 는 (a) 의 저면확대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측면도, (b) 는 (a) 의 A-A 단면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측면도, (b) 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2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이다.
도하방 감착완 (33)은, 도 32의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이다.
도34는, 도 하방 감착완 (33)의 A-A 단면도이다.
도35는, 도 3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이다.
도36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이다.
도37은, 도 36의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이다.
도38은, 도 37의 A-A 단면도이다.
도39는, 도 36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이다.
도40은 ,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이다.
도41는, 도 40의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이다.
도42는, 도 41의 A-A단면도이다.
도43은, 도 4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이다.
도4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붙여진 손잡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및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붙임용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붙임용 요부에 그것과는 별체(別體)의 전기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붙인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관한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근년 글래스에 비교해서 경량이고 내충격이 큰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수지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보틀 본체에, 그것과는 별체의 손잡이를 붙인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이 실용화되고, 그 중에서도 보틀 본체의 측면에 성형한 손잡이붙임용 요부에 손잡이가 붙은과 그 손잡이가 붙은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嵌着腕)을 갖춘 손잡이를, 전기 감착완의 단부 (端部)를 손잡이붙임용 요부내의 벽에 꽂아 넣도록 해서 붙여져서 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은 도3에 정면단면도를 표시한 것같이 블로우 성형용틀의 속에 미리 별체의 손잡이 (3) 을 그 감착완 (31,32) 의 단부를 블로우 성형용틀내에 돌출하도록 세트해 놓고 그 블로우 성형용틀의 속에서 보틀 본체 (1)를 블로우 성형함과 동시에 보틀벽 (10) 에 따라 감착완 (31,32)의 단부를 감싸 넣도록 해서 일체화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감착완 (31,32)의 단부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조각(42) 이 형성되어 이 돌출조각 (42) 도 보틀 벽 (10) 에 꽂아 넣도록 해서 빠짐방지 작용을 다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은 특히 손잡이 (3) 의 재질과 해서 보틀 본체 (1) 과 같은 재질 등, 서로 미끄러짐이 나쁜 수지를 선택한 경우, 하방 감착완 (32) 의 하측의 보틀벽 (11) 극히 얇게 되어 구멍이 쉽게 열리게 되는 등, 보틀 강도나, 손잡이 붙임 강도에 불안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려고 예의 검토의 결과, 손잡이의 재질이 보틀 본체와 서로 미끄러짐이 나쁜 수지의 경우, 보틀 본체를 블로우 성형함과 함께 손잡이와 일체와 될 때에, 보틀 벽과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 단부의 하방 돌출조각과 마찰을 일으키고 흠이 생기거나 과연신이 되기도 하고 보틀 벽이 외측만큼 얇게 되기 쉬운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그 요지는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을 갖춘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이고,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하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이고 또한, 보틀 본체의 측면에 형성한 손잡이붙임용 요부에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을 갖춘 손잡이를 전기 감착완의 단부를 손잡이붙임용 요부내의 벽에 꽂아 넣도록 해서 붙여서 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성형하고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하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이고 , 또한 하방 감착완의 돌출조각의 보틀 본체와 접하는 표면부분에 작은 요철(小凹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은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하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보틀 본체를 블로우 성형하는 동시에 손잡이와 일체화될 때에, 보틀벽과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 단부의 하측의 면과는 마찰이 비교적 작아서 스무스하게 연신되고, 보틀 벽이 외측에 가까운 곳이더라도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더욱이, 하방 감착완의 돌출조각의, 보틀 본체와 접하는 표면부분에 작은 요철을 형성한 것에 의해 접촉 면적이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하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않은 것과 더불어 한층 더 보틀벽과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 단부의 하측의 면과의 마찰이 작아지고 스무스하게 연신되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량 (最良)의 형태
본 발명의 보틀 본체는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해서, 우선, 사출성형에 의해 중간제품인 관상 (管狀) 소재 (이하, 프리폼이라고 한다. )를 형성하고, 다음에, 그 프리폼을 연신온도, 예컨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의 경우는 90∼120℃ 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블로우 성형틀내에 셋트하고, 전기 프리폼내에 고압공기 등을 불어 넣고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손잡이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 에스테르수지,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손잡이의 재질로서 보틀 본체와 같은 폴리 에스테르수지를 채용하면, 회수하여 리싸이클할 때에, 본체와 함께 처리할 수가 있고, 또한 손잡이로서 재생수지를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플라스틱 보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2에 나타낸 것같이, 보틀 본체 (1) 의 측면에 형성한 손잡이 붙임용 요부 (2) 에, 잡는 부분 (30) 과 그 잡는 부분 (30) 의 상하 양단으로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 (31, 32)을 갖춘 손잡이 (3)를 , 전기 감착완 (31, 32) 의 단부를 손잡이붙임용 요부 (2) 내의 벽에 꽂아 넣도록 해서 설치해서 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2) 의 단부의 상측에 돌축조각 (4)을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 (32)의 단부의 하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이고, 또한, 하방 감착완의 돌출조각 (4) 의 보틀 본체와 접하는 표면부분에 작은 요철 (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요컨대 도 2에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 (32) 의 단부의 상측에 돌출조각 (4)을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 (32)의 단부의 하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 않는 기본 형상이면 좋지만, 돌출조각 (4)의 높이 (h4)는 2∼5㎜, 폭 (w4)는 5∼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h4)는 2㎜에 미달하거나 폭 (w4)은 5㎜에 미달하는 경우, 보틀벽과의 맞불림양이 지나치게 작고, 빠짐방지의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높이 (h4)가 5㎜를 초과하거나 폭 (4w)이 15㎜를 초과하는 경우, 보틀 벽이 돌출조각 (4)을 충분히 넘어설 수가 없고 감착완 (32) 상면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외관이 나빠지거나 빠짐 방지효과가 악화될 우려도 생기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은 요철의 부설위치는, 도 2에 표시한 것같이 돌출조각 (4)의 보틀 본체와 접하는 표면부분 (401)이면 좋지만, 감착완 (32)의 하면의 표면부분 (321)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은 요철 (5)로서는, 주름모양, 배지(梨地) 모양 (배 껍질처럼 오돌토돌한 모양), 격자모양 혹은 조구 (條構) 모양이더라도 좋고, 작은 요철 (5)의 높이로서는 0.05∼1.0㎜, 바람직하게는 0.05∼0.5㎜ 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가 있다.
작은 요철 (5)를 부설하기 위해서는, 손잡이의 사출성형틀에 대응하는 작은 요철을 새겨 넣어 놓고 성형과 함께 부설하기도 하고, 성형후의 샌드 브래스트는 가공이나 절삭가공에 의해 부설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4에 그 측면도를, 도 5에 도 4의 III-III단면도를 나타내듯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의 횡단면 형상이 H형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내측편의 폭이 외측편 보다도 짧은 것이 된다. 도 5에 있어서,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4)의 단면형상은 내측편 (5)과 외측편 (6)을 중앙 세로 립 (9) 으로 연결된 H형을 만들고, 내측편 (5)의 폭이 외측편 (6) 보다도 짧게 형성해 놓는다.
내측편 (5)을 외측편 (6)보다도 짧게 형성해 놓으므로, 쥐었을 때에 구부러진 손가락을 따라 내려가는 형이 되어 손에 익숙해지기 쉽지만, 특히, 외측편 (6) 의 폭을 20㎜이하 12㎜이상으로 해서 내측편 (5)의 폭을 외측편 (6)의 폭보다도 2∼3㎜ 짧게 한 경우 상당히 손에 길들어지기가 쉽다.
또한 손잡이의 내측편 (5), 외측편 (6)의 두께에도 의하지만 외 R 7, 7' 은 크고, 내 R 8, 8' 는 작고, 외 R은 내 R 1.5∼5배의 R로 하는 것에 의해, 더욱 손에 길들어지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 손잡이 (3)은 잡는 부분 (4)의 상하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감착완 (31, 32)을 형성하고, 감착완 (31, 32)의 선단부에 각각 돌출조각 (33, 34)을 설치하여 놓고 손잡이붙임용 요부 (2)의 안의 보틀벽에 돌축조각 (33,34)을 꽂아 넣도록 해서 손잡이를 장착해 놓는다.
또한, 도 4, 5에 나타낸 것 같이 잡는 부분 (4)의 중간의 내측편 (5)과 외측편 (6)의 거의 중간에, 중앙 세로 립 (9)과 직교하는 가로 립 (90)을 설치해서 보강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6에 그 측면도를 도 7에 도 6에 있어서의 하방 감착완의 하단과 보틀벽이 접촉하는 경계부근의 상태의 부분사시도에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 (33)의 단부에 형성한 돌출조각 (35)에 연속되는 부분의 횡단면형상이 가로 벽 (36)과 그 가로 벽 (36) 의 거의 중앙에 있어서 하방에 연속되는 세로 벽 (37)으로 이루어진 T자상(狀) 또한 십자상을 나타내는 감착부 (하방 감착완 (33)1)를 갖는 구조의 손잡이가 된다.
그리고, 더욱 도 6, 도7에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 (33)의 하단과 보틀 벽 (4)이 접촉하는 경계부근의 하방 감착완 (33)의 접촉면을 폭광면 (幅廣面)으로 한 구조의 손잡이가 생긴다.
돌출조각 (35)에 연속하는 부분의 횡단면형상을 T자상 또한 십자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감착완 (331) 의 강도가 충분히 강화되어, 보틀 벽 (4)으로 감착완 (331)을 감쌀 때의 응력에 잘 견딜 뿐만 아니라, 보틀 벽 (4)과 접촉하는 부분이 세로 벽 (37) 하면 (下面)이 소면적이기 때문에 마찰응력이 작고, 돌출조각 (35)으로부터 감착부 (하방 감착완 (33)1)에 이르기까지의 감싸 넣기가 스므스하게 행할 수 있고, 보틀 본체 (1)와 손잡이 (3)와의 붙임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손잡이 (3)의 붙일때에 손잡이 (3)가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 에스테르수지로 이루어진 손잡이의 경우는 사출성형시의 냉각이 균일하게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결정화에 의한 백화가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하방 감착완 (33)의 하단과 보틀 벽 (4)이 접촉하는 경계부근의 하방 감착완 (33)의 접촉면을 폭광면으로 한 것에 의해 보틀 벽 (4)에 전해지는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보틀 벽 (4)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손잡이 (3)의 붙일때에 손잡이 (3) 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8에 그 측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 (3)의 하방 감착완 (32)의 단부의 상측에는 돌출조각 (P)가 설치되어 있고, 하방 감착완 (32)의 최하단 (34)은 하방 감착완 (32)의 길이 방양 거의 중앙에 존재하고, 그 최하단 (34)으로 부터 하방 감착완 (32)의 돌출조각 (P)의 선단 상면까지의 높이 (B)는 손잡이 (3)의 최하단 (34)로부터 하방 감착완 (32)의 선단까지의 수평거리 (A)의 0.5∼2.5배인 구조의 손잡이가 된다.
전기 높이 (B)가 전기 수평거리 (A)의 0.5배 미만에서는 보틀 성형시에 화살표와 같이 손잡이 (3) 의 하방 감착완 (32)의 돌출조각 (P) 근방에 보틀 벽 (10)을 끄어 넣을 경우에 돌출조각 (P)의 선단이 방해를 해서 보틀 벽 (10)을 끌어 넣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손잡이 (3)가 보틀 본체 (1)로부터 이탈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B가 A의 2.5배를 초과하면 사용시에 손잡이 (3)을 파악했을 때의 응력으로 팔이 변형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태양 (態樣)에 의해 보틀 본체 (1)와 손잡이 (3)와의 붙임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의 붙일 때에 손잡이가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가 있는 이유로서는, 하방 감착완 (32)의 선단의 돌출조각 (P)을 감싸 넣는 보틀 벽 (10)이 거의 연신을 받지 않는 단계에서 하방 감착완 (32)의 하면에 접하고, 적어도 화살표 (a)에서 나타낸 것같이 최하단 (34)를 지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또한 하방 감착완 (32)의 최하단 (34)이 손잡이의 길이 방향 거의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들어가기 어려운 무용의 데트 스페이스 (dead space)를 만들지 않고, 최소한의 재료로 손잡이 (3)를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돌출조각의 보틀 벽으로의 말려들기가 확실히 행해져 사용시에 손잡이를 파악했을 때의 응력으로 손잡이의 팔이 변형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은, 그 용기 본체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주된 원료로 한 폴리 에스테르 수지로 되어, 손잡이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주된 원료로 한 폴리 에스테르 수지의 재생품이고 또한 그 극한점도가 0.68이하의 폴리 에스테르수지를 주된 원료로 한 것이 된다. 또한, 그 때에 그 손잡이가 적어도 표면이 결정 (結晶)하여 백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폴리 에스테르 수지는,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의 호모 폴리머를 주된 대상으로 하지만, 테레프탈산(酸) 성분의 일부를 예컨대 이소포탈산, 2, 6 - 나프탈렌 디카르본산으로 한 것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에틸렌 글리콜 성분의 일부를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로 된 것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손잡이를 구성하는 폴리 에스테르수지는 전기 폴리에스테르수지의 보틀등의 성형품 혹은 버진 (virgin)원료의 재생품이고 통상은 보틀을 분쇄하고 이 분쇄물 (플래이크 (flakes))을 세정·건조 등의 공정을 거친후, 압출기에서 가열하면서 입상품 (펠레트) 으로 된 것이다. 또는, 폴리 에스테르 수지는 100%재생품인 것이지만, 재생품의 유효 이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형태이지만 , 반드시 재생품이 100%일 필요는 없다. 요는 손잡이에 성형하기 이전의 분쇄물 (플래이크) 혹은 입상품 (펠레트), 또는 성형한 손잡이의 극한점도 「 극한점도 : 테프라 글로로에탄 (tetra chloroethane) / 페놀 (phenol) =40/60 의 혼합용매 중에 용해하고 20℃ 로 측정 」 가 0.68 이하, 통상은 0.65∼0.55 일 필요가 있다.
더욱이, 성형한 손잡이가 폴리 에틸렌 테레트타레이트를 주된 원료로 하는 폴리 에스테르 수지의 재생품이고 또한 그 극한점도가 0.68이하의 폴리 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되고, 게다가 적어도 그 표면이 구정결정 (球晶結晶) 해서 백화해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를 구성하는 재생품의 폴리 에스테르 수지의 극한점도는 0.68 이하 통상은 0.65∼0.55 이고, 0.69 이상에서는, 비교적 고온의 100℃ 부근이상이 아니면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백화할때의 에너지의 손실을 생기게 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극한점도가, 0.68이하, 통상은 0.65∼0.55이라면 비교적 저온의 90℃ 부근 이하이더라도 용이하게 결정화가 진행되기 쉽고 백화 돨 때의 에너지의 손실이 적게 끝나는 것이다.
이것은, 극한점도가 낮은 재생품의 폴리 에스테르수지는, 극한점도의 저하, 바꾸어 말하면 분자량의 저하에 따라 용융 급냉 후의 승온결정화온도「승온결정화온도(Tcc) : 300℃에서 용융후, 승온속도 10℃/분 조건으로 승온 하여 측정」이, bar-gin의 폴리 에스테르수지의 150∼200℃에 대하여, 110∼140℃로 낮게 되는 것에 의한다.
손잡이가 적어도 그 표면을 구정결정 (球晶結晶)해서 백화 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저온의 90℃ 부근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결정화부를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표면만을 백화 시키는 것에 의해, 백화될 때의 에너지가 적게 끝나 것과 함께 황미 (黃味)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는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손잡이의 거의 전체를 백화시키더라도 좋고, 그 경우는, 열처리의 온도나 시간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를 백화시키는 결정화가 비교적 저온에서 용이하게 행 할 수가 있고 에너지의 손실이 적게 끝나는 것이다. 또한, 그 손잡이가 적더라도 표면을 구정결정 하고 백화 하여 성형하여 놓기 때문에, 재생과정에서의 열이력때문에 생긴 약간의 황미가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폴리 에스테르제이고, 백화시킨 것이 된다. 폴리 에스테르 수지제 손잡이의 표면만을 백화시키면 백화에 필요한 가열 에너지가 적게 끝나는 동시에 백화에 필요한 시간도 적게 끝나게 되기 때문에 극히 유리하다. 도4, 도5, 도6 또는 도8에 나타낸 구조의 손잡이에 있어서, 외관상 가장 눈에 띄는 뒷 판의 외면 및 앞판의 외면 (전면) 의 표면이 백화되고 있으면, 내부 구조나 황색화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가 높은 만큼, 백화에 필요한 가열 에너지나 시간이 지극히 적게 끝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그것에 더해서 손잡이가 붙은의 천면이나 측면을 백화시킬 수도 있다.
손잡이를 백화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가 붙은 폴리 에스테르제 보틀을 성형후 110℃∼20O℃에서 10∼60초 가열시키든지, 손잡이를 사출성형할 때에 서냉 (徐冷)하여 백화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하면, 손잡이는 보강 립, 부분적인 백탁 (白濁), 서페이이스 싱크 (surface sink) 및 기포가 눈에 띄지 않게 되고, 외관이 향상된다. 또한 손잡이를 백화 시키는 것에 의해 강도도 향상되기 때문에 얇게 만들 수 있고, 보틀 본체의 중량도 경감화 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손잡이는, 도 9에 그 측면도를 표시한 것과 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에서 그 상하의 감착완에 걸쳐서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되는 동시에 전기 중앙 립에 직교하는 가로 립을 설치하게 되고, 그 가로 립의 상부에는 전기의 중앙 립을 관통하는 물뽑기구멍을 형성시킨 것이 된다.
도 9에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으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 에 걸쳐서, 내측판 (34)과 외측판 (35)을 중앙 립 (36)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되는 동시에 전기 중앙 립 (36)에 직교하는 가로 립 (361)를 설치하게 되고, 그 가로 립 (361)의 상부에는 중앙 립 (36)을 관통하는 물뽑기 구멍 (21)이 설치되어 있다.
도9의 예에 있어서는, 전기 중앙 립 (36) 직교하는 가로 립 (361)을 적절한 간극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게 되고, 각 가로 립 (361)의 상부에 중앙 립 (36)을 관통하는 물뽑기구멍 (21)이 설치되어 있지만, 가로 립 (361)이 상단과 하단의 두 개의 장소로 해서 중간에 설치하지 않은 경우고 있고, 이 경우는 도시하지 않지만 하단의 가로 립 (361)의 상부의 한 개의 장소에만 물뽑기구멍 (21)을 설치하면 좋다.
또한 도9의 예에 있어서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취급할 때는, 정립상태가 많기 때문에, 가로 립 (361)의 상부에 물뽑기구멍 (21)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시 하지않지만 가로 립 (361)의 하부에 중앙 립 (36)과 관통하는 물뽑기구멍 (21)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도립 (倒立)상태에서도 물뽑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의 내측판 (34)과 외측판 (35)과는 판상 (板狀)이기때문에, 표면을 평활 (平滑)하게 해서 잡은 감촉이 미끄럽게 되도록 완성할 수가 있다.
손잡이 (3)의 손잡이가 붙은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에 걸쳐서, 내측판(34)과 외측판(35)을 중앙 립 (36)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 (3)전체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동시에 잡는 부분 (31)는 알맞은 탄성을 갖고, 잡은 감촉이 소프트하게 되고 양호하다.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사출 성형시에 성형틀을 개방된 옆쪽 한방향으로만 이동하면 좋기 때문에 사출성형틀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손잡이 (3)의 내측판 (34)과 외측판 (35)과의 사이에, 중앙 립 (36)에 직교하는 가로 립 (361)을 간극을 두고 복수 배열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가 붙은(31) 전체의 경량 구조를 손상되는 일 없이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않지만, 손잡이의 재질을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등의 폴리 에스테르수지 등의 강도가 큰 플라스틱으로 구성한 경우는, 이 가로 립 (361)을 상단과 하단의 2개 장소만으로 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는, 보틀 본체를 물 등으로 세정한 후에, 옆쪽에서 에어를 내뿜으면, 횡단면 H형 구조의 손잡이 (3)의 내부에 괸 물을 불어 날릴 수 있는 동시에, 가로 립 (361)의 상부에 남은 물도 중앙 립 (36)을 관통하는 물뽑기구멍 (21)을 통과한 에어의 기류에 의해 확실하게 불어 날려 제거할 수가 있다.
본 태양에 의하면 보틀 본체를 물 등으로 세정 한 후, 에어로 물방울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가 있고 부착된 물 (水)이 잔류하는 일은 없다.
또 손잡이 전체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동시에 잡는 부분은 알맞은 탄성을 갖아 감촉도 소프트하게 되고 양호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10에 그 하방 감착완의 선단부의 구조를 단면도로서 표시한 것같이, 그 하방 감착완 (33)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조각 (34)의 선단에, 다시 돌출부 (35)을 붙인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조각 (34)의 선단에 돌출부 (35)를 붙인 손잡이를 보틀 본체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 붙임용 요부의 벽면 (21)에 꽂아 넣도록 붙이하면, 돌출부 (35)의 존재에 의한 벽면 (21)에 대한 앵커효과에 의해 손잡이의 붙임 강도를 큰폭으로 향상할 수가 있다.
특히 손잡이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보틀 본체에 설치하는 경우는, 도 10에 표시한 것같이 돌출조각 (34)이 위쪽을 향해서 붙여져 있고, 하방 감착완 (33)의 하면에는 돌부 (突部)가 없는 부분만 미끄러짐 저항이 적으므로 돌출조각 (34)과 성형시의 벽면 (21)과의 결합이 극히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동시에, 돌출조각 (34)에 휘감은 벽면 (21)은 더욱 돌출부 (35)의 하측에 들어 가도록 휘감기기 때문에 아래 방향의 응력에 대해서 앵커 효과가 작용되고 빠지기 어렵게 되어 붙임 강도를 큰폭으로 향상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11에 그 사시도를 표시한 것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 (31)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에 걸쳐서, 내측판 (34)과 외측판 (35)을 중앙 립 (36)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잡는 부분 (31)의 하방 감착완 (33)의 내부에, 내측판 (34)와 외측판 (35)을 연결하여 폭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립 x를 형성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손잡이의 잡는 부분 (31)의 내측판 (34)과 외측판 (35)은 판상이기 때문에 표면을 평활하게 해서 잡는 감촉이 미끄럽게 되도록 마무리할 수 있다.
손잡이의 잡는 부분 (31)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에 걸쳐서 내측판 (34)과 외측판 (35)을 중앙 립 (36)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 전체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동시에, 잡는 부분 (31)는 알맞은 탄성을 갖고, 쥔 감촉이 소프트하게 되고 양호하다.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사출 성형시에 성형틀을 개방된 옆쪽 한방향으로만 이동하면 좋으므로 사출성형틀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것 같이 손잡이의 내측판 (34)과 외측판 (35)과의 사이에 중앙 립 (36)에 직교하는 가로 립 (361)을 간극을 두고 복수 배열하여 연결 하는 것에 의해, 잡는 부분 (31) 전체의 경량 구조를 손상하는 일 없이 보강 할 수 있다.
이 내측판 (34),외측판 (35), 중앙 립 (36)및 가로 립 (361)의 두께는, 2∼4 mm 로 하면 강도와 중량의 밸런스가 얻어지므로 바람직하고, 또한, 보강 립 x의 두께는 1∼4 mm 위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 립Ⅹ의 붙임 위치는 손잡이의 돌축조각 (331)의 감합량 (嵌合量)에 의해서 결정되어진다. 즉, 확실하게 붙이기 위해서 도 12에 나타내 듯이,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 면에 요부벽 (21)을 씌우고 감합량 (하방 감착완 (33) 선단으로부터 요부벽 (21)의 잡는 부분 (31)방향의 끝까지의 거리)을 정하였을 때에 요부벽 (21)의 끝의 위치에 보강 립 x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보강효과가 높고 바람직하다. 돌기를 감싸 넣기 위해서 감합량은 10∼12 mm 필요하기 때문에, 보강 립 x는 도 12와 같이 붙인다.
보강 립Ⅹ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 자체의 강도가 향상하는 동시에 보강 립 x가 내측판 (34)과 외측판 (35)과의 사이에 세워 알맞은 강성력 (剛性力)이 부여되기 때문에, 손잡이는 극히 이탈되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이루는 것이다.
본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 자체는 얇고 가볍게 완성될 수 있고 잡은 감촉이 대단히 양호하고, 손잡이 자체의 강도도 향상하는 동시에 손잡이가 보틀 본체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손잡이는, 도 13에 그 측면도를 표시한 것같이,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상면에 돌출조각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하방 감착완의 양측 하면에, 윗쪽으로 파인 요감부 (凹嵌部)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도 11에표시한 보틀 본체 (1)의 외면에 따른 형상의 블로우 성형 금형 (金型)내에 미리 손잡이 (3)를, 감착완 (32, 33)의 단부가 분할된 금형내의 면에 돌출된 상태로 세트하여 놓고, 성형온도에서 가열해 놓은 파리손 (parison) (4)를 금형에 장입하여 금형을 닫고, 파리손 (4)의 입구로부터 고압공기를 불어 넣고 (도시하지 않지만 연신 로드에 의한 종연신을 병용해도 좋다) 블로우 성형하는 것에 의해, 금형에 따라 보틀 본체 (1)를 성형함과 함께 파리손 (4)는 손잡이 (3)의 돌출조각 (321, 하방 감착완 (33)1)및 감착완 (32, 33)의 일부를 감싸 넣어서 붙이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 태양의 손잡이 (3)의 하방 감착완 (33)의 양측 하면에 형성된 요감부 (37)로서는 도13에 나타낸 것같이 미리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면 전체를, 선단 아래면 (하방 감착완 (33)2)으로부터 연장시킨 수평선보다도 0.3∼1.5 ㎜ 상측으로 파인 요감부 (37)로 해 놓고, 보틀 본체 (1)의 요부벽면 (21)이 합쳐지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손잡이 (3)의 별도의 예로서는, 손잡이 (3)의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면을 얇게, 예를 들면 0.5 mm∼2.5 ㎜의 두께로 그리고 평탄하게 형성하여 놓고, 블로우 성형시의 보틀 벽 압압력 (押壓力)에 의해서 양측 단부 아래면이 1.0∼2.5 mm정도 눌러 올려져서 용이하게 요감부 (3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하방 감착완 (33)의 단부 윗면에 돌축조각 (331)를 형성했기 때문에 아래면은 돌축조각이 불필요하게 되고, 요부 벽면 (21)이 스무스하게 연신되어 과도하게 얇아지기 어렵게 됨과 동시에 하방 감착완 (33)의 양측 아래면에 형성된 윗방향으로 파인 요감부 (37)에, 요부 벽면 (21)이 합쳐지고 전기 상면의 돌출조각(하방 감착완 (33)1)과 요감부 (37)를 끼워 붙이듯이 감싸 넣기 때문에, 손잡이 (3)는 보틀 본체 (1)에 강고하게 붙여지고, 극히 빠지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또한,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의 내측판 (34)과 외측판 (35)과는 판상이므로, 표면을 평활하게 해서 잡은 감촉이 미끄럽게 되도록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에 걸쳐서, 내측판 (34)과 외측판 (35)을 중앙 립 (36)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 (3) 전체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동시에, 잡는 부분 (31)은 적절한 탄성을 갖고, 잡은 감촉이 소프트하게 되고 양호하다.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사출성형시에 성형틀을 개방되어진 옆쪽 한방향으로만 이동하면 좋기때문에 사출성형틀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 자체를 얇고 가볍게 완성할 수 있고, 쥔 감촉이 미끄럽고 소프트한 것으로 됨과 동시에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의 단부 윗면의 돌출조각과 양측 아래면의 요감부에 요부 벽면이 합쳐지므로 보틀 본체나 손잡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라도 극히 빠지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14에 그 측면도를, 도 15에 그 배면도를 표시한 것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에서 그 상하의 감착완에 걸쳐서, 내측판과 외측판과를 중앙 립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적어도 손잡이가 붙은 외측판 외면의 중앙 립에 상당하는 부분에 요철모양을 형성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있어서는, 도 14및 도 15에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으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에 걸쳐서, 내측판 (35)과 외측판 (36)을 중앙 립 (37)에 의해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적어도 잡는 부분 (31)의 외측판 (36) 외면의 중앙 립 (37)에 상당하는 부분에, 요철모양 M을 형성하고 있다.
이 태양에 있어서는, 손잡이 (3)을 강도가 큰 폴리 에스테르 수지제로 하는 것에 의해, 내측판 (35)과 외측판 (36)을 1.5㎜∼2.5 mm로 얇고, 굴곡이 쉽게 완성될 수 있는 동시에, 그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에 걸쳐서, 내측판 (35)과 외측판 (36)과를 중앙 립 (37)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 (3) 전체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과 함께, 잡는 부분 (31)는 적절한 탄성을 갖고, 잡은 감촉이 소프트하게 되고 양호하다.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사출성형시에 성형틀을 개방된 옆쪽 한방향으로 이동하면 좋기때문에 사출성형틀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14에 보이는 것 같이 손잡이 (3)의 내측판과 외측판 (36)과의 사이에 중앙 립 (37)에 직교하는 가로 립 (371)을 간극을 두고 복수 배열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해, 잡는 부분 (31) 전체를 경량 구조를 손상하는 일 없이 보강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태양에서는 적어도 잡는 부분 (31) 외측벽 외면의 중앙 립 (37)에 상당하는 부분에 요철모양 M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투명 내지 반투명의 손잡이 (3)이더라도 손잡이 (3)의 내부를 가릴 수가 있고, 내부의 중앙 립 (37)이 눈에 띄지 않게 되고, 외관이 지극히 양호하다.
이 요철모양 M으로서는, 적당한 문자 예컨대「이 손잡이는 폴리 에스테르수지를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그대로 리싸이클 가능합니다. 」등의 문자를 각인으로 새겨서 표시를 겸할 수가 있다.
더욱이, 요철모양 M으로서는 문자의 그 외에 잔주름이나 사선등이 행해진 도15에 표시한 것과 같이 외측벽 외면 전체에 걸쳐 베풀면, 가로 립 (371)도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16에 그 측면도를 표시한 것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으로 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에 걸쳐서, 내측판과 외측판과을 중앙 립에 의해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되는 동시에, 적어도 손잡이가 붙은에 있어서 중앙 립만으로 하고, 가로 립은 설치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있어서는, 도16에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에 걸쳐서, 내측판 (35)과 외측판 (36)을 중앙 립 (37)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적어도 잡는 부분 (31)에 있어서 중앙 립(37)만으로 하여, 중앙 립 (37)에 직교하는 가로 립을 설치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태양에 있어서는, 손잡이 (3)를 강도가 큰 폴리 에스테르 수지제로 하는 것에 의해, 횡단면 H형 구조를 구성하는 내측판 (35)과 외측판 (36)을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라고 하는 두께가 얇게 완성할 수 있는 동시에, 중앙 립 (37)에 직교하는 가로 립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의 내측판 (35)과 외측판 (36)을·중앙 립 (37)에 따라 연결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 (3) 전체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과 함께, 잡는 부분 (31)는 적절한 탄성을 갖고, 잡은 감촉이 소프트하게 되고 양호하다.
더욱이 이 태양은 횡단면 H형 구조로 하고, 가로 립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중앙 립과 가로 립과의 교차부가 없고, 사출성형시의 서페이이스 싱크의 발생이 없는 것과 동시에 외관적으로 두드러지는 립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관적으로도 말끔하고, 극히 양호하다.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의 내측판 (35)과 외측판 (36)과는 판상이기때문에, 표면을 평활해서 쥔 감촉이 미끄럽게 되도록 완성할 수 있다.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사출 성형시에 성형틀을 개방된 옆쪽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면 좋기 때문에 사출 성형틀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가 있다.
본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 전체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과 함께 잡는 부분은 적절한 탄성을 갖고 쥔 감촉이 극히 소프트하게 되고 양호하다.
더욱이 가로 립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사출성형시의 서페이이스 싱크의 발생이 없고, 가로 립이 없는 것과 함께 극히 외관적으로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17에 그 측면도를, 도 18에 그 손잡이를 보틀 본체의 손잡이붙임용 요부에 붙인 상태를 표시한 것같이, 하방 감착완의 단면(端面)이 상방 (上方) 감착완의 단면보다도 보틀 외벽측에 위치해지도록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있어서, 보틀 본체 (1)에 붙여진 손잡이 (3)는 도 17및 도l8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와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단에 형성한 감착완 (32, 33)으로 이루어진, 상방 감착완 (32)의 단부 (端部) 윗면에는 돌출조각 (321)을 갖고, 하방 감착완 (33)의 단부의 윗면에 돌축조각 (331)를 갖는 동시에, 하방 감착완의 단면 (39)은 손잡이 (3)를 보틀 본체 (1)의 손잡이붙임용 요부 (2)에 붙인 경우에 상방 감착완의 단면 (38)보다도 보틀 외벽측의 위치가 되도록 해 놓는다.
하방 감착완의 단면 (39) 상방 감착완의 단면 (38)보다도 0. 5∼2. 0㎜ 보틀외벽측에 있는 것이 요구된다. 0.5 ㎜ 미만에서는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 면에 접하는 보틀벽 (21)이 얇게 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2. 0㎜를 초과하면 하방 감착완 (33)의 상면 단부에 형성된 돌축조각 (331)에 달라 붙는 보틀 벽 (22)의 량이 적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어느 쪽의 경우도 붙임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하방 감착완 (33)의 단면 (39)가 상방 감착완 (32)의 단면보다도 0. 5∼2. O mm 보틀 외벽측에 있는 것에 의해,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면에 접하는 보틀벽 (21)과, 돌축조각 (331)에 달라 붙는 보틀벽 (22)과 밸런스 좋게 배열되어 합쳐지기 쉽기 때문에 얇게 되지도 않고 충분히 성형되어서 붙임 강도가 보지되어진다고 생각된다.
본 태양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도 18에 표시한 보틀 본체 (1)의 외면에 따른 형상의 블로우 성형 금형의 내에 미리 손잡이 (3)를, 감착완 (32, 33)의 단부가 분할된 금형 내면에 돌출하는 상태로 세트해 놓고,성형온도에서 가열해 놓은 파리손 (4)을 금형에 장입하여 금형을 닫고, 파리손 (4)의 입구로부터 고압공기를 불어 넣어 블로우 성형하는 것에 의해, 금형에 따라 보틀 본체 (1)를 형성하는 동시에 파리손 (4)는 손잡이 (3)의 돌출조각 (321, 하방 감착완 (33)1) 및 감착완 (32, 33)의 일부를 감싸 넣어서 붙이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하방 감착완 (33)의 단면 (39)을 상방 감착완 (32)의 단면 (38)보다도 보틀 외벽측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보틀 성형시에 파리손 (4)를 풍선의 상태로 부풀리게 한 경우에 하방 감착완 (33)의 돌출조각 (331)이 손잡이 붙임용 요부 (2)의 안에 휘감기기 쉽게 되는 것과 함께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면에 접하는 보틀 벽(21)이 두께를 유지하여, 빠지기 어렵게 된다.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의 내측판 (34)과 외측판 (35)과는 판상이기때문에, 표면을 평활해서 쥔 감촉이 미끄럽게 되도록 완성할 수 있다.
그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로부터 그 상하의 감착완 (32, 33)에 걸쳐서, 내측판 (34)과 외측판 (35)과를 중앙 립 (36)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 (3) 전체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동시에 잡는 부분 (31)는 적절한 탄성을 갖고, 쥔 감촉이 소프트하게 되고 양호하다.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사출 성형시에 성형틀을 개방된 옆쪽 한방향으로만 이동하면 좋으므로 사출성형틀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 자체를 얇고 가볍게 완성 할 수 있고, 쥔 감촉이 미끄럽고 소프트한 것으로 되는 동시에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돌출조각이 보틀 본체의 요부 벽면과 합쳐지기 쉽게 되어 보틀 본체나 손잡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라도 극히 빠지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19(a)에 그 배면도를 표시한 것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 외면의 중앙으로부터 반면에만 요철에 의한 표시를 베푼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잡는 부분의 중앙으로부터 반면에만 요철에 의한 표시를 베푼 손잡이이기 때문에, 손잡이에 표시 기능을 부여할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손잡이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 에스테르수지,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손잡이의 재료로서 보틀 본체와 같은 폴리 에스테르수지를 채용하면, 회수해서 리사이클할 때에 본체와 함께 처리될 수가 있고, 또한 손잡이로서 재생수지를 사용 할 수가 있기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9(a)에 나타난 것 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 (31) 외면의 중앙으로부터 반면에만 요철에 의한 표시 (11)를 행했기 때문에, 양면에 표시 (11)를 베푼 것에 비교해서, 요철에 의한 거칠한 느낌이 적기 때문에, 손잡이 및 손잡이가 붙은 보틀을 쥐었을 때의 위화감이 완화된다.
손잡이를 반송하거나, 붙이기도 하는 공정에 있어서, 다수의 손잡이를 같은 방향으로 정렬할 때 등, 반면에만 요철에 의한 표시 (11)가 있으므로 시각적, 광학적인 좌우비대상을 이용해서 식별하기 쉽다.
손잡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구성되고, 양 틀이 손잡이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을 사용하지만, 그 때에 고정틀 측의 반면만으로 요철에 의한 표시 (11)를 해 놓으면, 손잡이의 성형이 종료되고 틀을 분할할 때에, 요철에 의한 표시 (11) 때문에 마찰저항이 큰 반면이 고정 틀에 안정되게 남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고정틀로부터, 손잡이를 꺼낼 때는 에젝션 핀 (ejection pin)으로 압출하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크더라도 지장이 적다.
요철에 의한 표시 (11) 이기 때문에, 무색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하더라도 표시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20에 그 측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과를 중앙 립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잡는 부분의 꼭대기 벽부에 절결을 설치하고, 그 꼭대기 벽부의 아래방향에 내측판과 외측판과를 연결하는 가로 립을, 거리를 두고 형성하고, 그 가로 립의 측면에 절결을 설치하고, 전기 절결 끼리 직렬하도록 배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태양에의하면,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잡는 부분의 일단부 (一端部)에, 내측판과 외측판과를 연결 하는 가로 립을, 거리를 두고 복수 형성하고, 각 가로 립의 측면에 절결을 설치하고, 각각의 절결이 직렬하도록 배열하였기 때문에, 반송 핀을 삽입했을 때에 거리를 두고 직렬에 복수 개소 (筒所)의 절결로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가 있고, 반송 핀을 삽입하여 손잡이 혹은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안정해서 반송 할 수 있고, 더구나 경량을 손상하는 일이 적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태양을 도 20에 기초해서 설명하면,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을 중앙 립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잡는 부분 (31)의 꼭대기 벽부 (105)에, 절결 (11)를 설치하고, 그 꼭대기 벽부 (105)의 아래방향에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을 연결하는 가로 립 (104)을, 거리를 두고 형성하여, 그 가로 립 (104)의 측면에 절결 (11)를 설치하여, 전기 절결 (11), 11끼리 직렬하도록 배치하여 놓는다. 따라서, 반송 핀 (4)을 절결 (11)의 직렬배치에 따라 삽입하면, 거리를 둔 2개의 장소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흔들리기 어려운 것이다. 또, 절결 (11)는 가로 립 (104)를 복수 형성하여 3개 곳 이상에서 반송 핀 (4)을 지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손잡이 (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이동형과 고정형으로 구성되는, 양틀이 손잡이 (3)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을 사용하지만, 그 때에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함께, 꼭대기 벽부 (105)에 절결 (11)를 설치하여 가로 립 (104)의 측내에도 절결 (11)를 설치하여, 전기절결 (11), 11 끼리 직렬하도록 배치한 것이고, 이것들의 절결(11), 11은 틀의 분할 방법 및 제품의 빠짐 방향에 일치하므로, 분할 및 제품의 꺼내기가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의하면, 반송 핀을 삽입하였을 때에 거리를 두고 직렬한 복수 개소의 절결로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가 있어, 반송 핀을 삽입하여 손잡이 혹은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안정하게 반송할 수가 있고, 더구나 경량화을 손상하는 일이 적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21에 그 측면도를, 도 22에 도 21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의 내면 양측에 면취부를 형성하여 손에 길들기 쉽게 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의 손잡이가 붙은를, 내측판과 외측판과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의 내면 양측에 면취부분를 형성하여 길들어지기 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횡단면 H형 구조가 비교적 휘어지기 쉽고 부드러운 것과 함께, 면취부을 형성하여 손에 길들기 쉽고 잡는 기분이 좋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태양을, 도 21∼도 22에 기초해서 설명하면, 잡는 부분 (31)와 그 상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신성형한 감착완 (32, 33)과를 갖는 손잡이 (3)이고, 그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과을 중앙 립 (103)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 (101)의 내면 양측에 면취부(11)를 형성하여 손에 길들어지기 쉽게 한 손잡이 (3)이다.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과를 중앙 립 (103)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 (101)의 내면 양측에 면취부 (11)을 형성하여 손에 길들기 쉽게 하였기 때문에, 손으로 쥐었을 때에 내측판 (101)의 내면에 대응하는 손가락의 구부러짐 상태에 따라 극히 길들기 쉽고, 쥐는 기분이 좋다. 면취부 (11)은, 도 22에 나타낸 것같이, 그 횡단면 형상에서, 면취부 (11)의 폭 (w 2)이 내측판 (101)의 폭 (wl)의 12∼25%로, 면취부 각도 (α 1)가 15∼30도 이고, 내외단(內外端)이 곡면 (fl, f 2)로 완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취부 (11)의 내측이 중심까지, 각도 (α 2)가 1∼5도의 사면 (21)로부터, 면취부 (11)을 거쳐 2단계에서 완성되는 것에 의해, 더욱 길들기 쉽고 쥐는 기분이 좋다.
손잡이 (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부터 구성되어, 양틀 이 손잡이 (3)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을 사용하지만, 그 때에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과를 중앙 립 (103)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 (101)의 내면 양측에 면취부 (11)을 형성한 것이고, 이것들의 면취부 (11)은 틀의 분할 방향 및 제품의 빠짐 방향으로 얇게 되기 때문에, 분할 및 제품의 취출 (取出)할 때에 저항으로 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23에 그 측면도를, 도 24에 도 23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과를 중앙 립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과 외측판의 한방향 또는 쌍방의, 양측 테두리부 부근만에 미끄러짐 방지용 요철부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과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과 외측판의 한방향 또는 쌍방향의 양측 테두리부 부근만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횡단면 H형 구조 자체의 구부러기 쉬움에 더해서, 양측 테두리부 부근만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미묘한 부드러움을 만들어 내고, 안은 미끄럽게 완성하여 전체의 감촉을 손상하는 일없이 미끄럼방지 효과를 발휘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태양을, 도 23∼도 24에 기초해서 설명하면, 잡는 부분 (31)과 그 상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신성형한 감착완 (32, 33)를 갖는 손잡이 (3)이고, 그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과를 중앙 립 (103)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의 한방향 또는 쌍방향의, 양측 테두리부 부근만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 (11)를 형성한 손잡이 (3)이다.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과를 중앙 립 (103)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도 23내지 도 24에 나타낸 것같이 전기 내측판 (101)의, 양측 테두리부 부근만에 미끄럼 방지 (11)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횡단면 H형 구조 자체의 구부러지기 쉬움에 더해서, 양측 테두리부부근만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등에 미묘한 부드러움을 만들어 내어, 한방향 양측 테두리부 부근을 제외하고, 안의 대부분은 미끄럽게 완성해서 전체의 감촉을 손상하는 일없이, 요철부 (11)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발휘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외측판 (102) 혹은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의 쌍방향의, 양측 테두리부 부근만에 요철부 (11)를 형성해도 좋다.
손잡이 (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부터 구성되어, 양틀이 손잡이 (3)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을 사용하지만, 그 때에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과를 중앙 립 (103)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전기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의 한 방향 또는 쌍방향의, 양측 테두리부 부근만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부 (11)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부 (11)이 분할 및 제품의 꺼내기방향과 일치되여, 언더 커트 (under cut)가 되기 어렵기 때문에, 분할 및 제품의 꺼내기를 할때에 저항으로 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25(a)에 정면도를, (b)에 측면도를, (c)에 (b)의 C-C 단면도를 표시한 것같이, 하방 감착완의 선부 (先部)의 상측에 그 하방 감착완에서 협폭의 돌출조각을 형성함 과 동시에, 하방 감착완의 상면 양측 테두리는 면취부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상측에 그 하방 감착완에서 협폭의 돌출조각을 형성함 과 동시에, 하방 감착완의 윗면 양측 테두리는 면취부로 하였기 때문에, 보틀 본체를 블로우 성형하면서 동시에 손잡이와 일체화될 때에, 돌출조각이 협폭인 부분만 보틀 벽은 덮이기 쉽고, 더구나 덮인 선단이 크게 늘여진 보틀 벽이, 하방 감착완의 윗면 양측 테두리에 접촉하였을 때, 면취부로 한 것에 의해 날카로운 응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 찢어지기 어렵게 되는 동시에, 돌출조각이 상향이므로 통상의 취급으로 상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빠지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도 25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과,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 (32,33)와를 갖춘 손잡이 (3)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상측에 그 하방 감착완 (33)에서 협폭의 돌축조각 (331)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방 감착완 (33)의 상면 양측 테두리는 면취부 (12)로 한 손잡이이다.
본 태양에 있어서의 손잡이 (3)는, 요컨대 도 25에 나타낸 것 같이 잡는 부분 (31)과 그 잡는 부분 (31)의 양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 (32, 33)와를 갖추고, 그 하방 감착완 (33)에서 협폭의 돌축조각 (331)을 형성하는 동시에, 하방 감착완 (33)의 상면 양측 테두리는 면취부 (12)로 한 기본 형상이면 좋다. 돌축조각 (331)의 폭 ( w)은, 하방 감착완 (33)의 선단의 폭 (w0) 30% 내지 7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하방 감착완 (33)의 폭 (w0)으로서는 통상 20∼30㎜, 돌출조각 (331)의 높이 (h )는 2∼5㎜, 폭 (w )는 5∼15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hl)는 2 mm에, 미만이거나, 폭 (wl)이 5 mm에 미만인 경우, 보틀 벽과의 맞물림량이 지나치게 적고, 빠짐방지 효과가 불충분하여 질 우려가 있어, 높이 (hl)가 5 mm을 넘거나, 폭 (wl)이 15 mm을 넘은 경우, 보틀 벽이 돌출조각 (331)을 충분히 넘을 수 없고, 하방 감착완 (33) 윗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외관이 나빠지거나, 빠짐방비의 효과가 악화될 우려도 생기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면취부 (12)은, 보틀 벽이 돌출조각 (331)을 넘어서 접촉하는 범위를 고려하여, 하방 감착완 (33)의 선단에서 15 mm 이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형상은, 예컨대 C-C 단면형상에서, 폭 (w 2)와 높이 (h 2)의 비 (w 2 / h2)가 약 (略)2 (수평에 대한 각도가 20℃∼30℃)가 되는 경사면으로 하고, 그 양단 (121,122)을 곡선으로 완성한 형상이 적당하다.
더욱이, 또한 면취부 (12)의 폭 (w 2)은, 그 부분의 손잡이 폭 (w0)의 5∼15 %정도가 바람직하다. 돌출조각 (331)의 보틀 본체와 접하는 표면부분 혹은, 하방 감착완 (33)의 하면의 표면부분에, 도시하지않지만, 주름모양, 배지모양, 격자모양, 혹은 조구모양 등의 작은 요철을 형성하고 미끄러짐을 좋게 해도 좋다.
그 경우 작은 요철의 높이로서는 0.05∼0.1 ㎜, 바람직하게는 0. 05∼0.5 mm의 범의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 작은 요철을 부설하기 위해서는, 손잡이의 사출성형틀에, 대응하는 작은 요철을 새겨 넣고 놓아 성형과 동시에 부설하거나, 성형후의 샌드 브라스트 가공이나 절삭가공에 의해 부설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26(a)에 측면도를, (b)에 정면도를, (c)에 저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에는 전기 돌출조각보다도 낮은 아래 보습 (下爪)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의 손잡이는,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함 과 동시에, 하측에는 전기 돌출조각보다도 낮은 아래 보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틀 본체를 블로우 성형하는 동시에 손잡이와 일체화될 때에, 보틀 벽과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선부의 하측과는, 낮은 아래 보습에 의한 비교적 작은 마찰밖에 없기 때문에 스무스하게 연신되고, 보틀 벽이 하방 감착완부의 위치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는 것과 함께 보틀 벽은 상측의 돌출조각에도 충분히 덮이는 것에 따라 상향에 힘이 가해지는 정도, 보틀 벽에 확실히 맞물리는 동시에 아래 보습에 의한 앵커 효과가 합쳐져 붙임 강도가 향상된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도 26에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가 붙은 (36)와 그 손잡이가 붙은 (36)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감착완(32,33)과를 갖춘 손잡이 (3)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상측에 돌출조각 (331)을 형성하는 동시에, 하측에는 전기 돌출조각보다도 낮은 아래 보습 (332)을 형성한 손잡이 (3)이다.
본 태양에 있어서의 손잡이 (3)은, 요컨대 도 26에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가 붙은 (36)와, 그 잡는 부분 (36)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 (32, 33)를 갖추고,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상측에 돌출조각 (331)을 형성하는 동시에, 하 측에는 전기 돌출조각보다도 낮은 아래 보습 (332) 을 형성한 기본 형상이면 좋다.
돌출조각 (331)의 높이 (hl)는 2∼5 ㎜, 폭 (wl)은 5∼2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hl)가 2 mm에 미만이거나, 폭 (wl)이 5㎜에 미만인 경우, 보틀 벽과의 맞물리기 량이 지나치게 적고, 빠짐방지 효과가 불충분하여 질 우려가 있어, 높이 (hl)이 5 mm을 넘거나, 폭 (wl)이 15 mm을 넘는 경우, 보틀 벽이 돌출조각 (331)을 충분히 넘을 수 없고, 하방 감착완 (33)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외관이 나쁘게 되거나, 빠짐 방지의 효과가 악화될 우려도 생기므로 상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아래 보습 (332)의 높이 (h 2)는, 돌출조각 (331)의 높이 (hl)보다 낮게 해서, 마찰저항을 적게 하면 좋지만, 돌출조각 (331)의 높이 (hl)가 60% 이하이고, 또한, 1∼2 mm이 바람직하다.
아래 보습 (332)의 높이 (h 2)가 1 mm에 미만이면 , 걸림 효과가 작기 때문에 붙임 강도의 작고, 돌출조각 (331)의 높이 (hl)의 60%, 또는 2㎜을 넘으면, 손잡이 장치용요부의 하면의 외측에 가까운 보틀 벽이 얇아지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아래 보습 (332)의 폭 (w 2)은 15 mm 이상의 폭이 넓음으로 해서, 앵커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 26(b) 및 (c)에 나타낸 것같이, 아래 보습 (332)의 폭 (w 2)은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폭 (wll)을 넘어서, 가로 아래 보습 (332)과 일체화해 놓으면, 더욱이 anchor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하면에서 측면에 걸쳐서 형상이 미끄럽게 되어, 성형때의 걸림 저항이 감소하고, 보틀 벽이 얇게 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유지된다.
이 때 아래 보습 (332) 및 가로 아래 보습 (333)의 전면 (r2, r 3)은, 반경 2∼5㎜의 곡면으로 해서 저항을 감소할 수 있다.
더욱이, 돌출조각 (331), 아래 보습 (332)의, 보틀 본체와 접하는 표면부분 혹은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면의 표면부분에, 도시하지 않지만, 주름모양, 배지모양, 격자모양 혹은 조구모양 등의 작은 요철을 형성해서, 미끄럼을 좋게 해도 좋다.
그 경우 작은 요철의 높이로서는 0.05∼1.1 ㎜, 바람직하게는 0. 05∼0. 5 mm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 작은 요철을 부설하기 위해서는, 손잡이의 사출성형틀에, 대응하는 작은 요철을 새겨 넣어 놓고 성형과 동시에 부설하거나, 성형후의 샌드 브라스트 가공이나 절삭 가공에 의해 부설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26(a)에 정면도를, (b)에 측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의 손잡이가 붙은 바깥면에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베이직 패턴(basic pattern) 모양 중에서 플레인 패턴 (plain pattern)을 뺀 모양으로 해서 표시를 하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의 잡는 부분 (31)외면에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베이직 모양 중에서 플레인 패턴을 뺀 모양으로 해서 표시를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손잡이에 표시기능을 부여할 수가 있고, 표시 부분만을 돌출시키거나, 파이게 한 것에 비교해서 표시가 명확하게 됨 과 동시에, 쥐었을 때의 위화감이 완화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 도 27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와 그 상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신성형한 감착완 (32,33)을 갖는 손잡이 (3)이고, 그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 외면에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진 베이직 패턴(11)의 중에서 플레인 패턴을 뺀 모양으로 해서 표시 (12)를 베푼 손잡이 (3)이다.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 외면에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진 베이직 패턴 (11)의 중에 플레인 패턴을 뺀 모양으로 해서 표시 (12)를 베풀었기때문에, 표시부분만을 돌출시키거나, 파이게 한 것에 비교해서, 표시 (12)가 명확하게 됨 과 동시에, 쥐었을 때의 위화감이 완화된다.
손잡이 (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부터 구성되어, 양틀이 손잡이 (3)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을 사용하지만, 그 때에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 외면에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진 베이직 패턴 (11)의 중에 플레인 패턴을 뺀 모양으로 해서 표시 (12) 행해 놓으면, 손잡이 (3)의 성형이 종료되고 틀을 분할할 때에,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진 땅모양의 마찰저항이 비교적 일정하므로, 안정해서 분할 및 제품의 꺼낼 수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미세한 요철로 이우어진 예컨대 주름모양으로 이루어진 베이직 패턴 (11)의 중에 플레인 패턴을 뺀 모양으로 해서 표시 (12)를 행해 놓기 때문에, 무색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하더라도 표시기능을 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28 (a)에 측면도를, (b)에 그 저면확대도를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의 선부에 가로 보습 (가로 보습)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가로 보습의 전체폭을 플라스틱 보틀 본체의 최대 지름 20∼30 %로 하고, 전기 가로 보습의 높이를 가로 보습의 전체폭의 3∼6 %로 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가로 보습의 폭을 플라스틱 보틀 본체의 최대 지름의 20∼30 %로 하고, 전기 가로 보습의 높이를 가로 보습의 전체폭의 3∼6 %로 한 것에 따라 손잡이붙임강도가 커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도 28에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에 가로 보습 (332)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가로 보습의 전체폭 (w)을 플라스틱 보틀 본체의 최대지름의 20∼30%로 하고, 전기 가로 보습 (332)의 높이 (H)를 가로 보습 (332)의 전체폭 (W)의 3∼6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이다.
감착완 (32, 33)의 선부에는 각각 상향의 돌출조각 (321,331)을 설치하여 놓는다.
용량이 1.8 리터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예로 들면, 보틀 본체의 몸통부의 최대지름은 약 100 mm이고, 이 경우, 가로 보습 (332)는 전체폭 (W)이 20∼30 mm 높이 (H)가 0.8∼1.2 mm에 형성하여 놓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29(a)에 측면도를, (b)에 (a)의 A-A단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상측에 형성한 돌출조각의 횡단면형상이 감착완 선단방향으로 향해서 가늘게 되어 있는 사다리꼴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하방 감착완의 선부에 위의 방향에 돌출형성한 횡단면형상이 감착완 선단방향으로 향해서 가늘게 되어 있는 사다리꼴을 하고 있기 때문에,인서트 성형할 때에는 전기 돌출조각의 양측 벽에 따라서 보틀 벽이 덮이기 쉬움과 동시에, 일단 덮인 보틀 벽은, 돌출조각의, 사다리꼴의 저변에 닿는 뒤의 벽에 걸려서 그 앵커 효과에 의해 빠지기 어렵고, 손잡이의 붙임강도가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 도 29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와 그 상하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신성형한 감착완 (32, 33)를 갖는 손잡이 (3)이고, 전기 감착완 (33)의 선부에 상향에 돌출 형성한 돌출조각 (331)의 횡단면형상이 감착완 선단방향으로 향해서 가늘게 되어 있는 사다리꼴을 하고 있는 손잡이 (3)이다.
전기 감착완 (33)의 선부에 상향에 돌출형성한 돌출조각 (331)을 형성하고 있고, 돌출조각 (331)의 횡단면형상은, (b)에 나타낸 것 같이 감착완 선단방향을 향해서 가늘게 되어 있는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30(a)에 측면도를, (b)에 (a)의 A-A 단면도을 나타낸 것같이,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 한여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동시에, 전기 중앙 립 측면에 표시를 베푼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동시에, 전기 중앙 립 측면에 표시를 베푼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손잡이에 표시기능을 부여할 수가 있고, 외측판의 측면에 표시한 것에 비교하여, 손잡이의 정면측에서는 표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고, 필요한 표시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요철을 형성하여 표시를 행한 경우라도 잡았을 때에 손가락에 닿지 않으므로 위화감이 없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도 30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와 그 상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신성형한 감착완 (32, 33)과를 갖는 손잡이 (3)이고, 그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과를 중앙 립 (103)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동시에, 전기 중앙 립 (103)측면에 표시 (14)를 베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이다.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과를 중앙 립 (103)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동시에, 전기 중앙 립 (103)에 표시 (14)를 행했기때문에, 외측판 (102)의 측면에 표시한 것에 비교하여, 외관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고, 필요한 표시 (14)를 할 수 있는 동시에, (b)에 보이는 것 같은 요철을 형성하여 표시 (14)를 베푸는 경우도 쥐었을 때에 손가락에 닿지 않기 때문에 위화감이 없다.
손잡이 (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부터구성되어, 양틀이 손잡이 (3)의 중아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을 사용하지만, 그 때에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를, 내측판 (101)과 외측판 (102)을 중앙 립(103)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동시에, 전기 중앙 립(103)에 표시 (14)를 베풀었으므로, 요철을 형성하고 표시 (14)를 행한 경우라도, 그 요철은 틀의 분할방향 및 제품의 빠짐방향으로 일치되기 때문에, 분할 및 제품의 꺼내기가 방해가 되지 않기때문에 바람직하다.
요철로 이루어진 표시 (14)를 베푼 경우는 명암이나 색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무색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손잡이 (3)이더라도 표시기능을 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31에 측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과 그 상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신성형한 감착완과를 갖는 손잡이이고, 전기 손잡이가 붙은 내측의 하부에, 잡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는것에 따라 요부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잡는 부분 내측의 하부에, 잡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따라 요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잡는 부분 외측은 평탄한 채로, 내측의 하 부에 요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부는 두텁게 확실히 쥘 수 있음과 동시에, 하부에 있어서 함몰부에 따라 손잡이붙임용 요부의 안의 벽과의 간극이 넓어져, 새끼손가락이 조금 후퇴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 넣는 스페이스가 넓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도 31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과 그 상하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신성형한 감착완 (32, 33)를 갖는 손잡이이고, 전기 잡는 부분 (31) 내측의 하부에, 잡는 부분 (31)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요부(11)를 형성해서 된 손잡이이다.
잡는 부분 (31) 내측의 하부로는, 쥐었을 때에 잡는 부분 (31) 내측에 닿는 검지손가락에서 새끼손가락까지의 4개의 손가락중, 새끼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이면 좋고, 통상 잡는 부분 (31) 내측 전체 높이의 아래로부터 3분의 1정도의 범위이면 좋다.
잡는 부분 (31)의 두께 (T0)는, 상부에서 통상 6∼10 mm 정도이고, 하부에서는 상부의 두께와의 차 (T△)를 0.5∼ 2 mm 정도 잡아, 얇게 하는 것에 의해 그 부분만 요부(11)를 형성할 수가 있다.
두께를 얇게 하는 부분만, 잡는 부분 (31) 내측에 요부(11)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잡는 부분 (31) 외측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외측은 평탄한 채이다.
하방 감착완 (33)의 선단에 형성한 돌출조각 (331)은, 위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기때문에, 이 돌축조각 (331)을 덮도록 안의 벽 (20)을 씌우는 량을 크게 얻지 못하고, 손가락 넣는 스페이스가 더욱 작게 되기 때문에 요부 (11)의 효과가 현저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32(a)에 정면도를, (b)에 측면도를, 도 33에 도32의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를, 도 34에 도 33의 A-A 단면도를, 도 35에 도32의 다른 예를 나타낸 하방 감착완부근의 확대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과를 갖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상측에서 양측부에 걸쳐서 연속해서 돌출된 악부 (鍔部)를 형성하고, 하반 감착완의 선부의 하측은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상측에서 양측부에 걸쳐서 연속해서 돌출된 악부를 형성하였기때문에, 보틀 본체를 블로우 성형하는 동시에 손잡이와 일체화될 때에, 연속하여 돌출된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보틀 벽이 표면에 따라서 스무스하게 이동되어 감싸 넣는 동시에,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하측은 돌출부를 형성하지않기 때문에, 보틀 벽과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 선부의 하측의 면과는 마찰이 비교적 작고 스무스하게 바깥 방향으로 연신되어, 보틀 벽이 바깥 쪽에 가까운 쪽에서라도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 도 32∼35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과,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32,33)과를 갖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상측에서 양측부에 걸쳐서 연속하여 돌출하는 악부 (4)를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하측은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한 손잡이 (3)이다.
이 태양의 손잡이는, 요컨대 도 32∼35에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상측로부터 양측부에 걸쳐서 연속하여 돌출된 악부 (4)를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하측은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는 기본 형상이면 좋지만, 악부 (4)의 상변 (40)의 높이 (h 40)는 2∼5 mm, 악부 (4)의 양측 돌출부 (41)의 돌출폭 (Ws 41)은 0. 5∼3 mm, 악부 (4)의 전체폭 (w 4)는 보틀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20 ∼3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의 악부의 형상으로서는, 도 33에 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상변에 양측을 향해서 커다라 면취부 (42)를 형성하고, 상측 (40)의 안이 높고, 양측 돌출부 (41)을 향해서 완만하게 낮게 되는 것 같은 각의 취해진 사다리꼴상, 혹은 도 35에 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면취부 (42)를 더욱 크게 해서, 전체로 해서 삼각주먹밥 형상으로 한 것이,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각의 얻어진 장방길이 등을 채용할 수 있지만 보틀 벽이, 악부의 커다란 면취부 (42)에 따라 더욱 스무스하게 이동되어 감싸 넣기 때문에 도 33의 각의 취해진 사다리꼴상, 혹은 도 35의 전체로 해서 삼각주먹밥 형상으로 한 면취부 (42)가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변의 높이 (h 40)가 2 mm에 미만하거나, 양측부 돌출폭 (Ws41)이 0. 5㎜에 미만인 경우, 보틀 벽과의 맞물리기량이 지나치게 적고, 빠짐방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어, 상변 높이 ( h 40)가 5㎜를 넘거나, 양측부 돌출폭 (ws 41)이 3㎜를 넘는 경우, 보틀 벽이 악부 (4)를 충분히 넘어설 수가 없고, 하방 감착완 (33)의 윗면이나 양측면과 보틀 벽과의 사이에 커다란 간극이 생겨서 외관이 나빠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잡는 부분 (31)와,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32, 33)에 걸쳐서는, 도 34에 나타낸 것같이,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세로 립 (53)에 의해서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은 도 38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의 폭 (W 33)을 선단폭 (Ws 33)보다도 넓게 해 놓으면 , 잡는 부분 (31)으로 부터 가해지는 수직응력이 하방 감착완 (33)의 하측의 보틀 벽에 넓은 면에서 분산되어, 좌굴 (座掘)변형를 일으키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는, 도 32∼35에 나타낸 것같이, 선단면 가까이 ( 선단면으로부터 3 mm 이하의 위치) 까지,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립 (53)에 의해서 연결한 횡단면인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H형 구조를 취하지 않고, 충분한 강도를 얻으려고 하면, 그 두께를 크게 취할 필요가 생기고, 두께를 크게 잡으면, 손잡이를 사출성형할 때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의 수축에 의해, 특히 선단면에 요부 (서페이스 싱크 라고도 한다)가 생기기 쉽고, 강도가 높은 H형 구조로 하면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 서페이스 싱크가 생기기 어려워 눈에 띄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손잡이 (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구성된 양틀이 손잡이 (3)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 (도시 않음)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잡는 부분 (31)이나 하방 감착완 (33) 등이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세로 립 (53)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이 H형 구조이면, 사출성형틀의 분할방향 및 제품 손잡이 (3)의 빠짐 방향에 대하여 저항이 되는 언더 커트 부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양틀을 분할해서 제품 손잡이 (3) 를 꺼내는 공정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태양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은, 보틀 본체를 블로우 성형하는 동시에 손잡이 (3)와 일체화될 때에, 연속해서 돌출한 악부가 미끄럽기 때문에 악부 (4)의 표면 (40)에서 양측 돌출부 (41)에 따라 스무스하게 이동되어 감싸 넣는 작용을 다하지만, 악부의 양측 돌출부 (41)의 뒷쪽까지 보틀 벽을 알맞게 감싸서 커버링 마진 (covering margin)을 형성하고, 상변 (40)의 커버링 마진과 일체화가 되고, 표면의 전주위에 걸쳐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고, 손잡이 붙임 강도가 극히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때, 악부 (4)의 정면형상, 도 33의 각이 취해진 사다리꼴상, 혹은 도 35의 전체로 해서 삼각주먹밥 형상으로 한 형상으로 하면, 양측 돌출부 (41)의 뒷쪽까지 보틀 벽이 알맞게 감싸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고, 상변 (40)의 커버링 마진과 일체가 되어, 악부 (4)의 전주위에 걸쳐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기 쉽게 때문에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변 (40)의 커버링 마진은 형성하기 쉽고, 양측 돌출부 (41)의 커버링 마진은 형성하기 어려운 경향에 있지만, 표면에 양측에 향해서 형성한 커다라 면취부 (42)가 저항을 경감하기 위해서 보틀 벽이 양측 돌출부 (41)의 뒷쪽까지 알맞게 감싸기가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36 (a)에 정면도를, (b)에 측면도를, 도 37 에 도36의 하방 감착완부근의 확대정면도를, 도 38에 도37의 A-A 단면도를, 도 39에 도36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과를 갖추고, 하방 감착완의 주위 전체에 연속해서 돌출하는 악부을 형성한 손잡이에 있어서, 전기 악부의 표면에 양측을 향해서 큰 면취부를 형성하고, 상측의 안이 크고, 양측 돌출부를 향해서 완만히 낮게 되도록 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주위 전체에 연속해서 돌출돤악부의 상변에 양측을 향해서 큰 면취부 (42)를 형성하고, 상측의 중앙부가 높고, 양측 돌출부를 향해서 완만히 낮게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보틀 벽이 악부 전체에서 소프트하게 받아내지므로, 얇게 되기 어렵고, 또한 악부의 커다란 면취부 (42)에 따라서 보틀 벽이 스무스하게 이동되어 악부의 양단부까지 감싸 넣을 수가 있는 것이다.
본 태양을 도면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 도 36∼도 39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과,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 (32,33)과를 갖추고,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주위 전체에 연속해서 돌출된 악부 (4)를 형성한 손잡이 (3)에 있어서, 전기 악부 (4)의 상변 (40)에 양측에 향해서 큰 면취부 (42)를 형성하고, 상측의 중앙부가 높고, 양측 돌출부 (41)에 향해서 완만히 낮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과 하는 손잡이 (3)이다.
악부 (4)의 상변 (40)의 높이 (h 40)는 2∼5 ㎜, 그 악부 (4)의 양측 돌출부 (41)의 돌출폭 (ws41)은 0.5∼3 ㎜, 그 악부 (4)의 전체폭 (w 4)은 보틀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20∼3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의 악부(4)의 형상으로서는, 도 37에 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상변에 양측으로 향해서 큰 면취부 (42)를 형성하고, 상측 (40)의 중앙부가 높고, 양측 돌출부 (41)에 향해서 완만하게 낮아진 것 같은 각의 얻어진 사다리꼴상, 혹은 도39에 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면취부 (42)를 더욱 크게 하고, 전체로 해서 삼각주먹밥 형상으로 한 것이, 보틀 벽이, 악부의 커다란 면취부 (42)에 따라서 스무스하게 이동되어 감싸 넣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높이 (h 40)가 2 mm에 미만하거나, 양측부 돌출폭 (Ws41)이 0. 5㎜에 미만인 경우, 보틀 벽과의 맞물리기량이 지나치게 적고, 빠짐방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어, 높이 ( h 40)가 5㎜를 넘거나, 양측부 돌출폭 (ws 41)이 3㎜를 넘는 경우, 보틀 벽이 돌출조각 (4)을 충분히 넘어설 수가 없고, 하방 감착완 (33)의 윗면이나 양측면과 보틀 벽과의 사이에 커다란 간극이 생겨서 외관이 나빠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잡는 부분 (31)와,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32, 33)에 걸쳐서는,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세로 립 (53)에 의해서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은 도 38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의 폭 (W 33)을 선단폭 (Ws 33)보다도 넓게 해 놓으면 , 잡는 부분 (31)으로 부터 가해지는 수직응력이 하방 감착완 (33)의 하측의 보틀 벽에 넓은 면에서 분산되어, 좌굴 (座掘)변형를 일으키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는, 도 36∼39에 나타낸 것같이, 선단면 가까이 ( 선단면으로부터 3 mm 이하의 위치) 까지,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립 (53)에 의해서 연결한 횡단면인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H형 구조를 취하지 않고, 충분한 강도를 얻으려고 하면, 그 만큼 두께를 크게 취할 필요가 생기고, 두께를 크게 잡으면, 손잡이를 사출성형할 때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의 수축에 의해, 특히 선단면에 요부 (서페이스 싱크 라고도 한다)가 생기기 쉽고, H형 구조로 하면 이 서페이스 싱크가 생기기 어려워 눈에 띄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손잡이 (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구성된 양틀이 손잡이 (3)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 (도시 않음)을 사용하지만, 통상이지만, 잡는 부분 (31)이나 하방 감착완 (33) 등이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세로 립 (53)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이 H형 구조이면, 사출성형틀의 분할방향 및 제품 손잡이 (3)의 빠짐 방향에 대하여 저항이 되는 언더 커트 부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양틀을 분할해서 제품손잡이 (3) 를 꺼내는 공정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태양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은, 보틀 본체를 블로우 성형하는 동시에 손잡이 (3)와 일체화될 때에, 연속해서 돌출한 악부가 미끄럽기 때문에 악부 (4)의 상변 (40)에서 양측 돌출부 (41)에 따라 스무스하게 이동되어 감싸 넣는 작용을 다하지만, 악부의 양측 돌출부 (41)의 뒷쪽까지 보틀 벽이 알맞게 감싸서 커버링 마진을형성하고, 상변 (40)의 커버링 마진과 일체화가 되고, 표면의 전주위에 걸쳐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고, 손잡이 붙임 강도가 극히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때, 악부의 정면형상, 도 37의 각이 취해진 사다리꼴상, 혹은 도 39의 전체로서 삼각주먹밥 형상으로 한 형상으로 하면, 양측 돌출부 (41)의 뒷쪽까지 보틀 벽이 알맞게 감싸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고, 상변 (40)의 커버링 마진과 일체가 되어, 악부의 전주위에 걸쳐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변 (40)의 커버링 마진은 형성하기 쉽고, 양측 돌출부 (41)의 커버링 마진은 형성하기 어려운 경향에 있지만, 상변 (40)에 양측을 향해서 형성한 커다라 면취부 (42)가 저항을 경감하기 위해서 보틀 벽이 양측 돌출부 (41)의 뒷쪽까지 알맞게 감사기가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잡이는, 도 40(a)에 정면도를, (b)에 측면도를, 도 41에 도 40의 하방 감착완부근의 확대정면도를, 도 42에 도41의 A-A 단면도를, 도 43에 도4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하방 감착완 부근의 확대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도 44에 다른 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 같이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과를 갖추고, 하방 감착완의 선부에 계지용 악판부 (係止用 鍔板部)를 형성한 손잡이에 있어서 전기 계지용 악판부에 접촉하는 하방 감착완 부분의 횡단면인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형상이 내측판과 외측판과를, 중앙 가로 립에 따라서 연결된 H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계지용 악판부에 접속하는 하방 감착완 부분의 횡단면인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단면형상이,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세로 립에 따라서 연결 한 H 형상을 갖기 때문에, 경량이지만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는 것 뿐만아니라, 어느 부분도 두께가 일정하고 특히 두꺼운 부분이 없기 때문, 계지용 악판부의 선단면에 사출성형시의 수축에 의한 함몰 (서페이스 싱크)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악판부에 따라 보틀 벽이 스무스하게 이동되어, 보틀벽이 얇게 되기 어려운 것이다.
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 도 40∼44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과,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32, 33)과를 갖추고,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에 계지용 악판부 (4)를 형성한 손잡이 (3)에 있어서, 전기 계지용 악판부 (4)에 접속하는 하방 감착완 (33)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인 횡단면형상이,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가로 립 (53)에 따라서 연결한 H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이다.
본 태양의 손잡이 (3)는, 도 40∼44에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위쪽에서 양측부에 걸쳐서 연속해서 계지용 악판부 (4)를 형성해서 되고, 계지용 악판부 (4)의 상변 (40)의 높이 (h 40)는 2∼5 mm, 그 악판부 (4)의 양측 돌출부 (41)의 돌출폭 (ws41)은 0.5∼3 mm, 그 악판부 (4)의 전체폭 (w 4)은 보틀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20∼30 ㎜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의 악판부 (4)의 두께 (t 4)로서는 도 42에 나타낸 것같이 2.0∼4.0 ㎜ 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2.O mm에 미만이면 , 보틀 벽이 덮이었을 때의 응력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고, 한편 두께가 4.0 ㎜을 넘어 버리면, 악판부 (4)의 선단면에 서페이스 싱크가 생기기 쉽게 되기 때문에, 두께로서는 2.0∼4.0 ㎜가 바람직하다. 또한, 악판부 (4)의 형상으로서는, 도 41에 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상변에 양측을 향해서 커다란 면취부 (42)를 형성하고, 상변 (40)의 중앙부가 높고, 양측 돌출부 (41)를 향해서 완만히 낮게 되는 것 같은 각의 얻어진 사다리꼴형상, 또는 도 43에 정면도를 나타낸 것같이, 면취부 (42)에 따라서 더욱 크게 하고, 전체로서 삼각주먹밥 형상으로 한 것,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각의 얻어진 장방형 등이 채용될 수 있지만, 보틀 벽이, 악부의 커다란 면취부 (42)에 따라 더욱 스무스하게 이동되어 감싸 넣기 때문에 도 41의 각의 취해진 사다리꼴형상, 혹은 도 43의 전체로서 삼각주먹밥 형상으로 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높이 (h 40)가 2 ㎜에 미만이거나, 양측부 돌출폭 (ws41)이 0. 5 ㎜에 미만인 경우, 보틀 벽과의 맞물리기 량이 지나치게 적고, 빠짐방지 효과가 불충분하여 질 우려가 있어, 높이 (h 40)가 5 mm를 넘거나, 양측부 돌출폭 (ws41)이 3 ㎜를 넘는 경우, 보틀 벽이 돌축조각 (4)을 충분히 넘을 수 없고, 하방 감착완 (33)의 상면이나 양측면과 보틀벽 과의 사이에 커다란 간극이 생겨서 외관이 나빠질 우려가 있어 상기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잡는 부분 (31)와,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 (32,33)에 걸쳐서는,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립 (53)에 의해서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경량이지만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다. 이 내측판 (51), 외측판 (52)및 중앙 가로 립 (53)의 두께 (t51, t52, t 53)로서는, 도 42에 나타낸 것같이 1.5∼2.5 ㎜로 하는 것이 강도 및 서페이스 싱크를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는, 즉, 악판부 (4)에 접속하는 부분까지 도 40∼44에 나타낸 것같이, 선단면 가까이 ( 선단면으로부터 4 mm 이하의 위치) 까지,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립 (53)에 의해서 연결한 횡단면인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H형 구조로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것은, H형 구조를 취하지 않고, 충분한 강도를 얻으려고 하면, 그 두께를 크게 취할 필요가 생기고, 두께를 크게 잡으면, 손잡이를 사출성형할 때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의 수축에 의해, 특히 악판부 (4)의 선단면에 요부 (서페이스 싱크 라고도 한다)가 생기기 쉽고, H형 구조로 하면 이 서페이스 싱크가 생기기 어려워 눈에 띄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손잡이 (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구성된 양틀이 손잡이 (3)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분할할 수 있는 사출성형틀 (도시 않음)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잡는 부분 (31)이나 하방 감착완 (33) 등이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세로 립 (53)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길이 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이 H형 구조이면, 사출성형틀의 분할방향 및 제품 손잡이 (3)의 빠짐 방향에 대하여 저항이 되는 언더 커트 부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양틀을 분할해서 제품손잡이 (3) 를 꺼내는 공정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 (33)은 도 42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측의 폭 ( W 33)을 선단폭 (ws 33) 보다도 넓혀 놓으면, 잡는 부분 (31)로 부터 가해진 수직응력이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쪽의 보틀 벽에 넓은 면에서 분산되고 , 좌굴변형을 일으키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태양의 손잡이에 있어서, 도 44에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에 형성된 악판부 (4)를 앞부분이 올라가도록 경사하여 배치하더라도 좋고, 또한, 상방 감착완 (32)의 선부에도 , 계지용 악판부 (4)를 형성하여 그 악판부 (4)에 접속하는 상방 감착완 (32)부분을 횡단면인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형상이, 내측판 (51)과 외측판 (52)을 중앙 가로 립 (53)에 의해서 연결한 H 형상을 갖도록 해도 좋다.
본 태양의 악부 (4)는, 도 40, 41, 43, 44에 나타낸 것같이 하방 감착완 (33)의 하면에는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 보틀 벽과 손잡이의 하방 감착완 선부의 하측의 면과는 마찰이 비교적 작고 스무스하게 바깥쪽으로 연신되어, 보틀 벽이 비깥쪽에 가까운 쪽이라도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지만, 상변의 높이보다도 낮은 높이에서 돌출시켜서 하변(下)으로 할 수도 있다. ( 도시하지 않음)
본 태양의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은, 보틀 본체를 블로우 성형하느 동시에 손잡이와 일체화될 때에, 연속해서 돌출하는 악부 (4)가 미끄럽기 때문에보틀 벽이 악부 (4)의 상변 (40)으로부터 양측 돌출부 (41)에 따라 스무스하게 이동하여 감싸 넣는 작용을 다하지만, 악부 (4)의 양측 돌출부 (41)의 표측까지 보틀 벽이 알맞게 감싸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고 상변 (40)의 커버링 마진과 일체로 되어서, 악부 (4)의전주위에 걸쳐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고, 붙임 강도가 극히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때, 악부 (4)의 정면형상이, 도 41의 각이 얻어진 사다리꼴상장, 혹은 도 43에 전체로 해서 삼각주먹밥 형상으로 한 형상으로 하면 , 양측 돌출부 (41)의 표측까지 보틀 벽이 돌아 넣어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고, 표면 (40)의 커버링 마진과 일체로 되어서, 악부 (4)의 전주위에 걸쳐서 커버링 마진을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변 (40)의 커버링 마진은 형성하기 쉽고, 양측 돌출부 (41)의 커버링 마진은 형성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지만, 상변 (40)에 양측을 향해서 형성한 커다란 면취부 (42)가 저항을 경감하기 위해서 보틀 벽이 양측 돌출부 (41)의 뒷쪽까지 알맞게 감싸기가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하 실시례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례1
도1에 나타낸 것같이, 미리 블로우 성형용 틀내에, 도 2에 나타낸 것같은, 잡는 부분 (30)과 그 잡는 부분 (30)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31, 32)를 갖추고, 돌출조각 (4) (40)의 높이 (h 4)가 3 mm, 폭 (w 4)이 10 mm 인 폴리 프로필렌제 및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 (3)를 세트하고, 중량 50 g의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프리폼 (5)를 95℃로 가열하여 블로우 성형했을때, 폴리 프로필렌제의 손잡이도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도, 하방감착완 (32)의 하측의 보틀 벽 (11)의 가장 얇은 부분이 0.1 ㎜의 두께를 유지하여, 완전히 구멍은 생기지 않았다.
비교예1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종래의 손잡이 (3), 즉 감착완 (32)의 단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조각 (42)이 형성되어져 있는 손잡이 (3)를 사용한 외에는, 실시례와 같은 조건으로 블로우 성형했을때, 폴리 프로필렌제의 손잡이의 경우는, 하방 감착완 (32)의 하측의 보틀 벽에 구멍은 생기지 않았지만, 그 가장 얇은 부분이 0.05 mm의 두께까지 얇아 지고,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의 경우는 하방 감착완 (32)의 아래쪽의 보틀 벽 (11)에 구멍이 생기는 것이 있었다.
실시례2
미리 블로우 성형틀내에, 도 25에 나타낸 것같은, 잡는 부분 (31)과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32, 33〕을 갖추고, 돌출조각 (331)의 높이 (hl)이 3 mm, 폭 (wl)이 10 mm, 면취부 (12)는, 예컨대 하방 감착완 (33)의 선단에서 8 mm의 부분의 C-C 단면형상에서, 폭 (w 2)가 2 ㎜, 높이 (h 2)가 1 ㎜의 경사면으로 하고, 그 양단 (121)이 r= 1 mm, 바깥단 (122)이 r= 5 ㎜의 곡선으로 완성되어 있는 폴리 프로필렌제 및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 (3)을 세트하고, 중량 50 g의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프리폼을 95℃로 가열하여 블로우 성형한 바, 폴리 프로필렌제의 손잡이도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도, 하방 감착완 (33)의, 아랫방향의 보틀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이 0.1 mm의 두께를 유지하여, 완전히 구멍은 생기지 않앗다.
실시례3
미리 블로우 성형틀내에, 도 26 (a), (b), (c)에 나타낸 것 같은, 잡는 부분 (36)와 그 잡는 부분 (36)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32,33)을 갖추고, 돌출조각 (331)의 높이 (hl)이 3 mm, 폭 (wl)이 10 ㎜, 아래 보습 (332)의 높이 (h 2)가 1.5 mm, 폭 (w 2)가 27 mm 인 폴리 프로필렌제및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 (3)를 세트하고, 중량 50 g의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프리폼을 95℃에 가열하여 블로우 성형한 바, 폴리 프로필렌제의 손잡이도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도, 하방 감착완 (33)의 아래 방향의 보틀벽의 가장 얇은 부분이 0.1 mm의 두께를 유지하여, 완전히 구멍은 생기지 않았다. 실시례4
도 28에 나타낸 것같이, 잡는 부분 (31)과 그 상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신성형 한 감착완 (32,33)를 갖고, 하방 감착완 (33)의 선부의 가로 보습의 전체폭 (w)이 25 ㎜, 가로 보습 (332)의 높이 (H)가 1 mm인 손잡이 (3)를 플라스틱 보틀 본체의 최대 지름이 10O mm, 높이가 300 ㎜, 용량이 1.8 리터에 대응하는 블로우 성형용금형을 사용해서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제조하였다.얻어진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관하여, 하기 방법에서 붙임강도를 측정한 결과, 손잡이의 빠짐은 보여지지 않았다.
[손잡이 붙임 강도 측정법]
물 1.8 리터를 충전하고 , 캡핑 (Capping) 샘플을 저부 (底部)를 아랫방향을 향해서, 높이 1.2 ㎜에서 콘크리트 바닥에 수직으로 낙하시키었을 때에, 플라스틱 보틀 본체로부터 손잡이 (3)가 빠지는 개수가 20개중 몇개인지를 측정하였다.
비교예2
가로 보습 (32)의 전체폭 (w)가, 18 mm 및 32 mm 인 이외는 실시례 (4)와 마찬가지로 해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제조한 바, 전체폭 18㎜의 것에 관해서는, 하방 감착완이 변형되고, 32 mm의 것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넓기때문에 어느것이나 안의 벽이 덮이지 않고, 제품으로서는 불합격이었다.
비교예3
가로 보습 (332)의 높이 (H)가 0.5 mm 및 1.5 ㎜ 인 이외는 실시례 4와 마찬가지로 해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을 제조한 바, 높이 (H) 0. 5 ㎜의 것에서는 전기 손잡이 붙임 강도는 20개중 3개에 빠짐이 보이고, 1.5 ㎜ 것에서는 보습의 부분에 맞는 안의 벽에 구멍의 발생이 보여졌다.
실시례 5∼6
미리 1.8 리터 보틀용 블로우 성형틀내에, 도 32, 33에 나타낸 것 같은, 잡는 부분 (31)과 그 잡는 부분 (31)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감착완 (32, 33)를 갖추고, 악부 (4) 상변 (40)의 높이 (h 40)가 3.5 mm, 양측 돌출부 (41)의 돌출부 (Ws41)가 2 mm이고, 곡률반경 (曲率半徑) 10 mm의 면취부 (42)를 형성한 폴리 프로필렌제의 손잡이 (3) (실시례5) 및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 (3) (실시례)을 세트하고, 중량 62 g의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프리폼을 107℃로 가열하여 블로우 성형한 바, 폴리 프로필렌제의 손잡이도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도, 하방 감착완 (33)의 하측의 보틀벽의 가장 얇은 부분이 0. 25 mm의 두께를 유지하여, 완전히 구멍은 생기지 않았고 양호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이 얻어졌다.
얻어진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관하여, 하기 방법에서 붙임강도를 측정한 결과, 손잡이 붙임 강도는, 실시례 5는 50 kg f, 실시례 6는 50 kg f이고, 어느것이나 실용적으로 사용가능하다고 되어진 25 kg f에 비교하여, 극히 크고 우수한 것이었다.
[붙임 강도]
인장 (引張) 시험기를 사용해서, 보틀 본체를 옆으로 뉘여 고정하고, 손잡이 (3)의 잡는 부분 (31)의 중앙 높이 부분을 잡고, 수직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최대치를 붙임강도로 한 ( 붙임 강도는 25 kg f 이상이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교례4∼5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종래의 감착완 (31,32〕의 선부에는 바깥방향 (아래방향)으로 돌출조각 (42)이 형성되어져 있는 손잡이 (3)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례 5∼6과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블로우 성형한 바, 폴리 프로필렌제의 손잡이 (3) (비교예4)의 경우는, 하방 감착완 (32)의 보틀 벽 (10)에 구멍이 생기지 않았지만, 그 가장 얇은 부분이 0.15 ㎜의 두께로 되고,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제의 손잡이 (3)(비교예5)의 경우는 하방 감착완 (32)의 하측의 보틀 벽 (10)에 구멍이 생기는 것이 있었다.
얻어진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관해서, 실시례 5∼6과 마찬가지로 해서 붙임강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례4는 40 k g f로 실용적인 것이었지만, 비교례5의 것은, 구멍이 생겼기 때문에 측정하지않았다.
Claims (56)
-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감착완을 갖춘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이고,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1항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돌출조각의, 보틀 본체와 접하는 표면부분에 작은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보틀 본체의 측면에 형성한 손잡이붙임용 요부에,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감착완을 갖춘 손잡이를, 전기 감착완의 단부를 손잡이 붙임용 요부내의 벽에 꽂아 넣도록 해서 붙여서 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상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하측에 돌출조각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3항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돌출조각의, 보틀 본체와 접하는 표면부분에 작은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의 횡단면 형상이 횡단면 H형을 이룸과 함께 내측판의 폭이 외측판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3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의 횡단면 H형 형상이 H형을 이룸과 함께 내측판의 폭이 외측판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3항에 있어서, 전기 돌출조각에 연속하는 부분의 횡단면형상이가로 벽과 그 가로 벽의 거의 중앙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연속하는 세로 벽과로 이루어진 십자상 또는 십자상을 나타내는 감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3항에 있어서, 전기 돌출조각에 연속하는 부분의 횡단면형상이가로 벽과 그 가로 벽의 거의 중앙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연속하는 세로 벽과로 이루어진 십자상 또는 십자상을 나타내는 감착부을 갖는 손잡이를, 전기 감착완의 단부를 손잡이 붙임용 요부내의 벽에 꽂아 넣도록 해서 붙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7항에 있어서, 전기 하방 감착완의 하단과 보틀 벽이 접촉하는 경계 부근의 하방 감착완의 접촉면을 폭이 넓은 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8항에 있어서, 전기 하방 감착완의 하단과 보틀 벽이 접촉하는 경계 부근의 하방 감착완의 접촉면을 폭이 넓은 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하방 감착완의 최하단이 하방 감착완의 길이 방향 거의 중아에 존재하고, 그 최하단으로부터 하방 감착완의 돌축조각의 선단 상면까지의 높이가 그 최하단에서 하방 감착완의 선단까지의 수평거리의 0.5 ∼ 2.5배인 것을 특지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3항에 있어서, 전기 하방 감착완의 최하단이 하방 감착완의 길이 방향 거의 중아에 존재하고, 그 최하단으로부터 하방 감착완의 돌축조각의 선단 상면까지의 높이가 그 최하단에서 하방 감착완의 선단까지의 수평거리의 0.5 ∼ 2.5배인 것을 특지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3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의 용기 본체가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주된 원료로 한 폴리 에스테르수지로 되고, 손잡이가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주된 원료로 하는 폴리 에스테르수지의 재생품이고, 또한 그 극한 점도가 0.68 이하의 폴리 에스테르수지를 주된 원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손잡이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주된 원료로 하는 폴리 에스테르수지의 재생품이고, 또한 그 극한점도가 0.68 이하의 폴리 에스테르수지를 주된 원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14항에 있어서, 전기 손잡이의 적어도 표면이 결정되고 백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손잡이가 폴리 에스테르제이고, 백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에서 그 상하의 감착완에 걸쳐서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함께 전기 중앙 립에 직교하는 가로 립을 설치해 놓고, 그 가로 립의 상부에는 전기의 중앙 립을 관통하는 물뽑기 구멍을 형성시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17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하방 감착완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조각의 선단에, 다시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19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과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에서 그 상하의 감착완에 걸쳐서,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의해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함께, 잡는 부분 아래방향의 감착완의 내부에, 내측판과 외측판을 연결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한 보강 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21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하방 감착완의 단부의 윗면에 돌출조각을 형성함과 함께, 그 하방 감착완의 양측 아래면에 상방에 파인 요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23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에서 그 상하의 감착완에 걸쳐서,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함께, 적어도 잡는 부분 외측판 바깥면의 중앙 립에 상당하는 부분에 요철모양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25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 요부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에서 그 상하의 감착완에 걸쳐서,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구조로 함과 함께, 적어도 잡는 부분에 있어서, 중앙 립만으로 하고, 가로 립은 설치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27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여,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3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이고, 하방 감착완의 단면이 상방 감착완의 단면보다도 보틀 외벽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 외면의 중앙으로부터 반면에만 요철 에 의한 표시를 베푼 것을 특징으로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30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함께, 전기 잡는 부분의 꼭대기 벽부에 절결을 설치하고, 그 꼭대기 벽부의 하방에 내측판과 외측판과를 연결 하는 가로 립을, 거리를 두고 형성하고, 그 가로 립의 측면에 절결을 설치하고, 전기 절결 끼리가 직렬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32항에 있어서, 보틀본 체의 측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잇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함께, 전기 내측판의 내면 양측에 면취부를 형성하여 손에 익숙해지기 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34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2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를,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함께, 전기 내측판과 외측판의 일방 또는 쌍방의, 내측 테두리부근마에, 미끄럼 방지용 요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36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위쪽에 그 하방 감착완 보다 협폭의 돌출조각을 형성함과 함께, 하방 감착완의 상면 양측 테두리는 면취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38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위쪽에 돌출조각을 형성함과 함께, 하측에는 전기 돌출조각보다도 낮은 아래 보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40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 외면에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진 베이직 패턴 속에 플레인 패턴을 뺀 모양으로 해서 표시를 베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42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3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이고, 하방 감착완의 선부에 가로 보습을 형성함과 함께 그 가로 보습의 전체폭을 플라스틱 보틀 본체의 최대지름의 20∼30 %로 하고, 전기 가로 보습의 높이를 가로 보습의 전체폭의 3∼6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상측에 형성한 돌출조각의 횡단면 형상이 감착완 선단방향을 향해서 가늘게 되어 있는 사다리꼴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45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잡는 부분을, 잡는 부분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립에 따라 연결 한 횡단면 H형 구조로 함과 함께, 전기 중앙 립 측면에 표시를 베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47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잡는 부분 내측의 하부에, 잡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함몰부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 제 49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을 갖춘 손잡이에 있어서,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상측에서 양측부에 걸쳐서 연속 해서 돌출하는 악부를 형성하고, 하방 감착완 의 선부의 하측은 돌출부를 형성하지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 제 51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 형성하고, 그 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보틀.
-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을 갖추고, 하방 감착완의 선부의 주위 전체폭에 연속하여 돌출하는 악부를 형성한 , 손잡이에 있어서, 전기 악부의 상변으로 양측을 향하여 커다란 면취부를 형성하고, 상측의 중앙부가 높고, 양측 돌출부를 향해서 낮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 제 5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잡는 부분과, 그 잡는 부분의 상하 양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한 감착완을 갖추고, 하방 감착완의 선부에 계지용 악판부를 형성한 손잡이에 있어서, 전기 계지용 악판부에 접속하는 하방 감착완 부분의 방향에 직각인 단면형상이, 내측판과 외측판을, 중앙 세로 립에 의해서 연결한 H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 제 55항에 있어서, 보틀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 붙임용 요부를 형성하고, 그손잡이 붙임용 요부에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7-327859 | 1997-11-28 | ||
JP32785997 | 1997-11-28 | ||
JP1998-088707 | 1998-04-01 | ||
JP8870798A JPH11222239A (ja) | 1997-11-28 | 1998-04-01 | 取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JP1998-099264 | 1998-04-10 | ||
JP9926498A JPH11292083A (ja) | 1998-04-10 | 1998-04-10 | 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JP1998-174743 | 1998-06-22 | ||
JP17474398A JP2000006937A (ja) | 1998-06-22 | 1998-06-22 | 把手付きポリエステル樹脂製ボトル及び把手 |
JP10206389A JP2000033947A (ja) | 1998-07-22 | 1998-07-22 | 把手付きプラスチックボトル |
JP1998-206389 | 1998-07-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2585A true KR20010032585A (ko) | 2001-04-25 |
KR100388699B1 KR100388699B1 (ko) | 2003-06-25 |
Family
ID=2752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5833A KR100388699B1 (ko) | 1997-11-28 | 1998-11-30 |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및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460715B1 (ko) |
EP (1) | EP1038786A4 (ko) |
KR (1) | KR100388699B1 (ko) |
CN (1) | CN1096989C (ko) |
AU (1) | AU727520B2 (ko) |
WO (1) | WO199902820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29119A1 (ko) * | 2022-05-25 | 2023-11-30 | 동아정밀공업(주) | 일체형 손잡이를 갖는 페트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01283B2 (en) * | 2001-07-26 | 2003-08-05 | Ernst Dieter Wunderlich |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and rigid handle containers |
DE10141640A1 (de) * | 2001-08-24 | 2003-03-13 | Sig Blowtec Gmbh & Co Kg |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Flüssigkeiten |
EP2347883B1 (en) * | 2002-07-31 | 2015-07-08 | Yoshino Kogyosho Co., Ltd. | Synthetic resin bottle with a handle |
US7103940B2 (en) * | 2003-04-18 | 2006-09-12 | Ogg Design, Inc. | Removeable handle |
EP1791833A2 (en) | 2004-09-24 | 2007-06-06 | Allergan, Inc. | 4-(condensed cyclicmethyl)-imidazole-2-thiones acting as alpha2 adrenergic agonists |
JP2008514603A (ja) | 2004-09-24 | 2008-05-08 | アラーガ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α2アドレナリン作動剤としての4−(ヘテロアリール−メチルおよび置換ヘテロアリール−メチル)−イミダゾール−2−チオン |
EP1797043A1 (en) | 2004-09-24 | 2007-06-20 | Allergan, Inc. | 4-(phenylmethyl and substituted phenylmethyl)-imidazole-2-thiones acting as specific alpha2 adrenergic agonists |
BRPI0516217A (pt) | 2004-09-28 | 2008-08-26 | Allergan Inc | compostos de 4-benzil-1,3-diidro-imidazol-2-tionas não-substituìdos e substituìdos que atuam como agonistas especìficos ou seletivos alfa2-adrenérgicos e métodos de utilização dos mesmos |
JP4887665B2 (ja) * | 2005-05-30 | 2012-02-29 | 東洋製罐株式会社 | 把手付耐熱容器 |
US20070045225A1 (en) * | 2005-08-02 | 2007-03-01 | Jhuang Yu C | Handle set for bottles |
US20070158300A1 (en) * | 2005-12-22 | 2007-07-12 | Plastipak Packaging, Inc. | Plastic container with separately formed handle |
US20070221607A1 (en) * | 2006-03-27 | 2007-09-27 |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 Split-ring handle and container assembly |
US20070221608A1 (en) * | 2006-03-27 | 2007-09-27 | Graham Packaging Company, Lp. | Handle and finish attachment for a container |
US7600655B2 (en) * | 2006-05-10 | 2009-10-13 | Graham Packaging Company, Llp | Anchor for attachment of a handle to a container |
WO2008123322A1 (ja) * | 2007-03-30 | 2008-10-16 | Yoshino Kogyosho Co., Ltd. | 把手付き合成樹脂製壜体 |
CN101445171B (zh) * | 2007-11-27 | 2012-09-05 | 日精Asb机械株式会社 | 一种塑料瓶与把手的连接方法和连接结构 |
US20110186540A1 (en) * | 2009-08-06 | 2011-08-04 | Priessnitz Robert | Bottle with handle |
US20120193321A1 (en) * | 2009-08-06 | 2012-08-02 | Priessnitz Robert | Bottle with gripping mechanism |
CN102241291B (zh) * | 2010-05-11 | 2014-10-29 | 上海宏晨家庭用品有限公司 | 伸缩式瓶手把 |
US20120305575A1 (en) * | 2011-06-01 | 2012-12-06 | Eastman Chemical Company | High strength bottle |
US20130008915A1 (en) * | 2011-07-07 | 2013-01-10 | Plastipak Packaging, Inc. | Handle for container |
US9161816B2 (en) * | 2011-07-29 | 2015-10-20 | Tidi Cfi Products, Llc | Fluoroscopy C-arm drape clip, drape clip assembly and method of clipping a sterile drape to a fluoroscopy C-arm |
US8870007B2 (en) * | 2012-08-27 | 2014-10-28 | Edward S. Robbins, Iii | Cup holder with recessed movable handle |
US9119491B2 (en) | 2013-09-12 | 2015-09-01 | Edward S. Robbins, III | Cup holder with more and less flexible portions and recessed movable handle |
WO2016023035A1 (en) * | 2014-08-08 | 2016-02-11 | Condiff Concept Company LLC | Utility bucket |
JP6909725B2 (ja) * | 2015-05-08 | 2021-07-28 |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 把手および把手付き容器 |
CN206719754U (zh) * | 2017-04-07 | 2017-12-08 | 伊隆开发有限公司 | 置物桶 |
US11198623B2 (en) | 2018-04-26 | 2021-12-14 | Tyron Pretorius | Water filtration container with a centralized handle and in-handle and in-reservoir filtration features |
USD900613S1 (en) | 2019-10-25 | 2020-11-03 | Niagara Bottling, Llc | Bottle |
US20230166886A1 (en) * | 2021-11-29 | 2023-06-01 | Yoshino Kogyosho Co., Ltd. | Bottle with handle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182B1 (ko) * | 1971-07-27 | 1979-01-22 | ||
JPS4944194U (ko) * | 1972-07-24 | 1974-04-18 | ||
JPS5322227B2 (ko) | 1972-08-31 | 1978-07-07 | ||
US4120073A (en) | 1977-03-24 | 1978-10-17 | Studebaker Robert L | Detachable holder for beverage cans |
US4915241A (en) * | 1987-03-09 | 1990-04-10 | Toyo Seikan Kaisha Ltd. | Synthetic resin bottle furnished with handgr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JPS643536A (en) * | 1987-06-26 | 1989-01-09 | Fujitsu Ltd | Instrument for measuring refractive index of waveguide |
JPS642670U (ko) * | 1987-06-26 | 1989-01-09 | ||
JPH0299735A (ja) | 1988-10-04 | 1990-04-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内燃機関の燃料制御装置 |
JPH0299735U (ko) * | 1989-01-30 | 1990-08-08 | ||
JP2583441Y2 (ja) * | 1990-05-22 | 1998-10-22 | 三菱樹脂株式会社 | 取手付ボトル |
JP2864041B2 (ja) | 1990-05-02 | 1999-03-03 | 株式会社進興製作所 | 自動パレット交換装置および自動パレット交換方法 |
JPH0780501B2 (ja) * | 1990-06-12 | 1995-08-30 | 三菱樹脂株式会社 | 取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JPH0642670A (ja) | 1992-11-06 | 1994-02-18 | Nachi Fujikoshi Corp | チェック弁付3方向流体制御弁 |
JP2589707Y2 (ja) * | 1992-11-13 | 1999-02-03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把手付き合成樹脂製容器 |
JP2981065B2 (ja) * | 1992-11-30 | 1999-11-2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取っ手付き容器 |
JPH06336251A (ja) | 1993-05-24 | 1994-12-06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ポリエステル取手付ボトル |
JP3300788B2 (ja) * | 1993-10-26 | 2002-07-08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把手付き合成樹脂製壜体 |
JPH0880947A (ja) * | 1994-09-13 | 1996-03-26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JPH08169059A (ja) * | 1994-12-19 | 1996-07-02 | Nissei Asb Mach Co Ltd | 把手付き合成樹脂製容器および容器用把手ならびに把手付き合成樹脂製容器の成形方法 |
JP3605165B2 (ja) * | 1994-12-29 | 2004-12-22 |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 合成樹脂製容器用把手の構造および把手付き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
JP3412974B2 (ja) * | 1995-07-21 | 2003-06-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像振れ補正装置 |
JPH0939971A (ja) * | 1995-07-27 | 1997-02-10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取手付プラスチツクボトル |
JPH0939973A (ja) | 1995-08-01 | 1997-02-10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取手付プラスチツクボトル |
JPH0939972A (ja) * | 1995-08-01 | 1997-02-10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取手付プラスチツクボトル |
JPH09254986A (ja) | 1996-03-27 | 1997-09-30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把手付きプラスチックボトル |
JP3508897B2 (ja) * | 1996-05-29 | 2004-03-22 |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 合成樹脂製把手及び把手付きボトル |
CA2183688C (en) * | 1996-08-20 | 2005-10-25 | Akiho Ota | Synthetic resin bottle with grip |
-
1998
- 1998-11-30 EP EP98955976A patent/EP1038786A4/en not_active Withdrawn
- 1998-11-30 AU AU12623/99A patent/AU727520B2/en not_active Expired
- 1998-11-30 KR KR10-2000-7005833A patent/KR1003886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11-30 WO PCT/JP1998/005362 patent/WO1999028200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8-11-30 US US09/554,856 patent/US64607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1-30 CN CN98813385A patent/CN1096989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29119A1 (ko) * | 2022-05-25 | 2023-11-30 | 동아정밀공업(주) | 일체형 손잡이를 갖는 페트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6989C (zh) | 2002-12-25 |
EP1038786A1 (en) | 2000-09-27 |
US6460715B1 (en) | 2002-10-08 |
CN1284037A (zh) | 2001-02-14 |
AU727520B2 (en) | 2000-12-14 |
KR100388699B1 (ko) | 2003-06-25 |
AU1262399A (en) | 1999-06-16 |
EP1038786A4 (en) | 2009-04-08 |
WO1999028200A1 (fr) | 1999-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88699B1 (ko) | 플라스틱 보틀용 손잡이 및 손잡이가 붙은 플라스틱 보틀. | |
EP0371969B1 (en) | Blow mold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ntainer having iml textured label wall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US11724847B2 (en) | Blow molded article with debossing | |
MXPA97003516A (en) | Plastic container with ma | |
CA2539955A1 (en) | 4-sided container with smooth front and back panels that can receive labels in a variety of ways | |
ES2237824T3 (es) | Peliculas polimericas. | |
JP2008179400A (ja) | プラスチックボトル取付用把手および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WO2004011228A1 (ja) | 把手付き合成樹脂製壜体 | |
JP3834435B2 (ja) | 把手体および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JP4139496B2 (ja) | 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JP4823587B2 (ja) |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 |
JP5632895B2 (ja) | プラスチックボトル取付用把手および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CN219668695U (zh) | 一种高强度吸塑包装盒 | |
CN200950997Y (zh) | 具有空气垫的地毯 | |
JPH11222239A (ja) | 取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JP3834438B2 (ja) | 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JP2007039135A (ja) | 把手体および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JP2727519B2 (ja) | 合成樹脂製壜体の壁構造 | |
JP3872396B2 (ja) | 把手付き合成樹脂製壜体 | |
JP2000109086A (ja) | 把手体および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CN2363870Y (zh) | 带侧手把的p.e.t.瓶改良构造 | |
JP3836624B2 (ja) | 把手 | |
JP2650521B2 (ja) | 取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JP2002274542A (ja) | 把手及び把手付きプラスチックボトル | |
JP2000109083A (ja) | 把手体および把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