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765A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765A
KR20010031765A KR1020007004830A KR20007004830A KR20010031765A KR 20010031765 A KR20010031765 A KR 20010031765A KR 1020007004830 A KR1020007004830 A KR 1020007004830A KR 20007004830 A KR20007004830 A KR 20007004830A KR 20010031765 A KR20010031765 A KR 20010031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ln
air
compartment
drying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1454B1 (ko
Inventor
플레스텐작조제
Original Assignee
플렌스텐작 조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I9700284A external-priority patent/SI9700284B/sl
Priority claimed from SI9800094A external-priority patent/SI9800094B/sl
Application filed by 플렌스텐작 조제 filed Critical 플렌스텐작 조제
Publication of KR20010031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6Wood, e.g. lumber, timber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면에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건조장치, 특히 건조격실부를 만드는 것으로서, 이 건조장치는 공기이동에 의해 특정 대기조건의 목재로부터 수분을 제어전달하는 능력으로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목재제품의 건조처리에 사용하여 운송컨테이너의 크기와 운송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킬른용적을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건조효과를 포함하는 건조목재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조장치를 사용자가 고정형이나 가동형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건조장치{A Drying Device}
다년생 수목과 같은 작은 나무들은 베어진 후 종류에 따라 비교적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목재는 세포내에 모세관을 포함하며, 이 모세관에는 자유액체와 소위 함수량이라는 흡수된 물분자를 함유하는데, 산업용으로서의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특정 레벨까지 저하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목재는 적절한 처리, 예를 들어 건조에 의한 결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허용가능한 최종 수분분포량까지 건조하여야 한다. 이 건조공정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목재는, 목재와 관련된 기후조건이 상당히 양호하고, 적합한 질의 건조된 절단목재가 만들어 질 수 있으면 개방된 자연환경하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공기건조 ). 목재를 공기건조하는 것은 수년도 걸릴 수 있는 장기간의 공정이라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최종적으로 목재를 건조시키는 경우 따듯한 건조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되고 다른 설계 조건을 포함하는 적절한 저장조건이 필요하다. 목재내에 흡수된 물은 그 표면에 빗물, 눈 또는 그 외의 물질로 덮여져 있지 않는 경우에만 주위의 기류에 의해 증발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햐야 한다. 환기가 가능하도록 재적재하는 것은 공기건조법에 약간의 도움을 줄뿐이고, 건조가 불균일하여 목재의 품질을 열화시킬 수 있고 계속하여 곰팡이, 미생물, 균류, 곤충의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자연 공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형상변형 문제, 즉 임의의 예방처리조절법 또는 감시법으로 방지할 수 없는 예측불가능한 건조상태가 항상 존재할 수 있다. 목재내의 수분분포량은 기후조건에 따라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기로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는 통상 비용을 상승시키고 품질보증 등에 있어 불합격이 많아져서 설계상 시간변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런 기술에는 낮은 에너지소비, 넓은 건조구역, 저장소, 안전대책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공기를 줄이기 위한 실험, 즉 축류팬을 이용한 건조법도 행하였으나, 축류팬이 좌우할 수 없는 상대습도 등과 같은 변수가 많다.
비용, 품질 및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건조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의 기술적 시도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건조장치가 개발되었다. 그 첫 번째 타입은 분실식건조기(compartment kiln type)와 터널식건조기(tunnel kiln type)이다. 이들 공지의 건조장치는 고정타입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타입의 건조장치에 의하면 목재는 건조처리를 진행시키기 위해 온도, 습도, 기류용량 등의 서로 다른 물리적조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격실내에 배치된다. 제 2타입의 건조장치에 의하면, 목재는 수평운송부에 의해 건조장치를 통하여 운반되며 이 건조장치에서는 주로 건조처리를 서서히 실행하기 위해 여러 가지 물리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처리된다. 분실식건조기의 건조장치는 터널식건조기의 건조장치에 비하여 저렴하지만 생산속도가 낮아서 투자비용이 비교적 높다.
이미 알려져 있는 타입의 건조장치들은 이후 설명하게 될 경제적인 측면에서 투자비가 크고 설치가 곤란하다는 것 등의 몇 가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요즘 목재를 건조하는데 이용되는 기술처리는 처리온도를 얻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유전, 대류, 전도 또는 방사원리에 의해 15∼45℃의 저온이나 45∼90℃의 중간온도 또는 90∼130℃의 고온에서 실시된다.
몇 가지 타입의 건조장치에 의하면, 목재는 적절한 운송캐리지에 의해 격실 내에 놓인다. 천장이나 그 외의 위치에 놓인 환기팬에 의해 어떤 경우는 횡방향으로 송풍되는 기류가 발생되며, 다른 경우는 수평 및 횡방향으로 안내되고 그 외의 예에서 공기가 종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들 공지의 모든 건조장치에 따르면 운송부는 킬른용적내에 가능한 한 다량의 목재를 적재할 수 있는 방식 및 크기로 구성된다. 목재는 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수평면에 있게 되는 방식으로 환기장치를 따라서 적재된다. 킬른내의 기류 및 목재량에 필요한 공기틈새의 크기를 생각하여 특정의 타협안을 얻어야 한다. 고온의 공기가 높은 수분량을 함유하는 목재와 접촉하는 경우 공기는 가능한 최대치까지 수분을 흡수하여 적재목재내에 깊이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환기팬은 가능한 최대수분량을 갖는 충분히 강한 기류를 만드는데, 이 것은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공기속에 수분이 많기 때문에 벽과 그 외의 장비 등의 차가운 곳에서 응축하여 손상을 일으키기 쉽다. 킬른 용적내에 머무르는 응축액은 킬른용적 및 건조처리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
최근의 건조법중의 하나를 실행하려는 특허출원 EP 0 170 648 AI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격실은 따듯한 단열벽을 갖는다. 톱으로 베어진 목재는 킬른용적내에 종방향으로 환기가 가능하도록 적재한다. 이 건조장치에는 기류를 가열영역에 통과시키고 계속하여 적재된 목재를 통과시켜 냉각영역으로 가게 하여 이 냉각영역에서 기류가 동일한 루프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안내시키는 환기팬이 설치된다. 가열영역에서 공기가 가열된 후 적재목재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취하며 그 후 이 수분은 냉각영역을 통하여 가열영역까지 감에 따라 방출된다. 이런 조합구성은 새롭게 베어진 목재를 처리하는 경우라면 응축물을 만들기 쉽지만 산업적으로 사용되기 전에 낮은 수분량을 갖는 목재, 즉 최종마무리된 목재에 아주 적합하다.
적재된 목재를 건조처리함에 따라 발생되는 포화공기에 의해 가능한 많은 수분량을 격실로부터 배출하려면 공기를 가열하여야 한다. 다량의 포화공기를 처분하는데는 가열공기로 사용하기 전에 열손실이 많다. 이러한 목재건조법은 에너지효율은 낮다.
상술한 건조법 외에도 진공건조법이 PCT/DK87/00012 및 WO 87/04779에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예를 들어 건조시의 결함을 피하기 위해 건조법의 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진공법을 적용한 상기 장치는 적절한 진공조건을 유지하는데 매우 민감하며, 수분량이 적은 목재를 건조처리하는데 보다 적합하기 때문에 수분 대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른 건조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공지의 수단에 의하면 이들 방법은 모두 몇 가지 불완전한 면, 예를 들어 세계경제에 적합하지 않은 비교적 낮은 에너지효율, 공간소비에 대한 높은 요구조건, 동력원에 대한 높은 의존성, 높은 건조결함가능성, 매우 작거나 부적합한 능력을 가지며 건조목재량 및 방법을 결정하는 건조용량을 갖는 고정타입으로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 베니어판 등의 나무 반제품, 또는 톱으로 잘려진 목재나 그 외의 제품을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수직면에서의 건조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수직면에서의 건조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수평면에서의 건조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방향으로 환기가능하게 목재가 쌓여 있으며 탈습건조 및 대류건조가 조합된 동작모드중의 수직면에서의 건조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수직면에서의 도 5에 따른 건조장치의 횡단면도.
도 6은 목재가 쌓여져 있으며 자연공기건조가속처리에 적합한 다른 동작모드중의 도 1 ∼ 도 3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건조장치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응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목재적재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장치에는 통기하우징이 제공되며, 그 내측구역은 배기관 및 통기관에 의해 주변구역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건조장치에 고정된 여러 가지 기류흡기구와 공기처분수단을 갖는 많은 환기시스템에 기초하여 새로운 건조장치가 만들어진다. 이런 장치는 가열부, 응축부 및 환기팬을 포함하는 가열응축장치를 구비한다. 이 건조장치는 운송캐리지의 도움으로 건조대상목재가 놓이는 건조킬른을 갖는다. 건조처리는 강제순화공기에 의해 건조킬른내에서 실행된다. 킬른격실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가열응축부에 의해 킬른격실내에 일체화된 적재공간위에 놓인 공기편향판과 일치하여 건조처리중의 언제라도 공기를 예비배향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환기부를 포함하는 건조장치의 일체부로서 통기 및 배기기능을 하는 적절한 통기공을 구비하는데, 가열응축부는 건조격실의 반대측으로부터 킬른격실의 바닥에서 끝난다. 가열응축장치에 의한 공기편향판은 적어도 하나의 환기부를 갖는데, 이 환기부는 칸막이벽과 킬른용적의 상부로 구성되는 자체조정형의 통합부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킬른격실의 상부와 공동으로 환기시스템이 놓이는 터널형 통기공을 제공한다. 상술한 전체부분을 공기편향판이라고 부른다. 전술한 통기공은 킬른격실의 상부에 장착된 미소기후환기부에서 시작된 후 주로 측벽을 따라서 안내되어 킬른용적의 공간내에서 끝난다.
킬른용적내에는 온상태나 오프상태에서 위치조정하여 각도조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부가 배치된다. 미소기후배기부가 통기공과 연결되어 폐쇄상태로 되면 킬른격실의 상부로부터 시작하여 킬른용적내에 걸쳐서 내부순환이 일어나지만 개방상태에서는 내부순환공기는 통기공의 도움으로 외부의 대기와 다시 접촉하며 킬른용적으로부터 대기로 습한 공기의 평행한 기류가 취출되고 압력차에 기인하여 터널형 통기공내의 신선한 건조공기속에 흡수된다. 터널형 통기공내에는 가열요소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및 수평적재 및 종방향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부속품이 구비되어 건조대상목재나 그 외의 제품을 적재하는 적재부가 제공된다. 이 부속품은 또한 건조목재의 주요면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다. 목재를 적재할 수 있게 하는 원격홀더들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들은 적재부의 수직지지부보다 짧다. 상기 적재부는 서로 쌓여서 장착될 수 있다. 바닥캐리지는 운송휘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해결수단에 따르면 미소기후환기부에 근접한 킬른격실공간내에는 곰팡이, 균류 및 그 외의 미생물같은 균주의 성장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내에 포함된 수분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방사기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킬른격실내에 2극배치로 조립된 자석을 구비하는 새로운 건조장치가 제공되는데 그 자화처리는 모든 처리, 즉 화학, 물리 및 생물학적 처리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장치는 또한 칸막이벽의 개구에 조립된 환기팬을 갖는 가열응축장치를 포함한다. 이 가열응축장치는 응축효과 및 가열방출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규칙한 중간기류를 연결하도록 설계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3에 도시한 건조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모든 운송목적으로 표준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운송분야에 알려져 있는 표준 및 그 외의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킬른격실(1)을 갖는 목재 등의 재료를 건조하도록 설계되었다. 킬른격실(1)은 현재 공지의 모든 건조장치와 비교하여 몇 가지 이점과 몇 가지 한계를 갖지만 이 한계점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수단에 의해 극복할 수 있다. 이런 방식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적절한 위치에 극히 신속하고 간단히 설치하여 고정장치나 가동장치로서 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킬른격실(1)의 측벽(11, 12, 13, 14)중의 적어도 하나, 즉 본 실시예에서는 종벽(13)은 예를 들어 킬른격실(1)에 들어갈 수 있게 하고 예들 들어 사람이 접근하도록 된 적절한 도어(13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시한 실시예에에서 종벽(11 )은 승강도어를 구비하는데, 이 도어는 본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시스템환기부(111)가 되는데, 이 환기부는 다른 방법에서는 상기 종벽(11)의 부위에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따른 시스템환기부(111)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킬른격실(1)의 반대측, 즉 벽(12)의 상부에는 킬른격실의 내부를 외부의 대기와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각각 배기하는 통기공(121, 122)의 적절한 배기깔때기( 1210, 1220)를 구비하는 적절한 미소기후환기부(1211)가 고정되어 있다. 미소기후환기부(1211)에 의해 통기공(121)은 외부의 대기와 킬른격실(1)의 상판(100)근처의 내부구역(10')을 연결하거나 단절시키며, 마찬가지로 통기공(122)은 동일한 방식으로 적절한 미소기후환기부(1221)에 의해 후방벽(12)에 대하여 일정거리를 두고 킬른격실(1)의 바닥(101)부근의 내부공간(10″)과 외부의 대기를 연결하는데, 후방벽에는 역시 가열응축장치(2)가 위치한다. 미소기후환기부(1211)를 사용함으로써, 건조프로그램을 자동방식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큰 이점이 얻어진다.
가열응축장치(2)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의 부분, 즉 응축용 출구(201)를 구비하는 하우징(20), 응축부(21), 가열부(22), 컴프레서(23) 및 스로틀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응축부(21)와 가열부(22)와 환기팬(25)과 함께 적절한 회로(26)에 연결되며 환기팬(25)은 킬른격실(1)의 다른 내부구역쪽으로 동일방향으로 공기가 계속하여 응축부(21)로부터 가열부(22)로 흐르게 한다. 이런 가열응축장치(2)는 따듯한 다습공기가 배수관(201)을 통해 유출되는 응축물로서 형성된 수분의 양을 응축부(21)의 도움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공기는 주변구역으로부터 킬른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에 대하여 대략 2℃정도 가열부(22)내에서 따듯해진다.
킬른격실(1)내에는 킬른용적의 상부에 킬른격실(1)의 바닥부(101)와 연결된 측벽(12)으로부터 일정거리에 가열응축부(2)에 근접한 공기편향판(3)을 갖는 칸막이벽이 조립된다. 통기공(121, 122)과 가열응축장치(2)는 측벽(12)과 상부구역(100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편향판(3)은 상부구역(100)으로부터 일정거리 킬른격실(1)의 상부구역(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킬른격실(1)의 시스템환기부(111)를 갖는 도어(1 1)쪽으로 연장된다. 공기편향판(3)을 갖는 상부구역(100)은 킬른격실(1)의 환기부( 111)가 상부(100), 측벽(112) 및 공기편향판(3)사이의 통로(30)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상부(100) 및 도어(11)에 대하여 위치한다.
상부구역(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공기편향판(3)의 형상과 위치로 인하여 터널형의 통기공(1000)이 형성되는데, 이 통기공내에는 통기공(121, 122)에 근접설치된 적절하게 이격된 두 개의 환기팬(41, 42)으로 구성되는 환기부(40)가 위치하는데, 두 개의 다른 환기팬(43, 44)이 역시 가열요소(430, 440)를 구비하는 킬른격실 (1)의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및 공기편향판(3)의 아래의 바닥(101)과 시스템환기부(111)와 벽사이의 공간에는 각각 적재도어(11)가 위치하며 나머지 킬른용적(6)은 충분히 큰 킬른용적을 제공하여 건조하려는 목재나 그 외의 재료가 쌓이는 적재부(5)를 갖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캐리지를 실을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적재부(5)에 관한 모든 상세사항을 설명한다.
건조장치내에는 또한 공기의 흐름을 분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팬(71)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부(7)가 설치된다. 위치에 있어서 환기팬이 킬른격실(1)의 인접측벽에 평행하게 배치될 때는 비활동상태이고 역으로 선회하고 있을 때는 활동상태이다. 환기팬은 비활동상태, 예를 들어 캐리지(5)가 어떤 이유로 킬른용적(6)을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 선회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한 두 개의 환기팬(71', 71″)은 적절한 지지부(72', 72″)상에 별개로 배치되며 각 지지부는 킬른격실(1)의 종방향측벽(13, 14)의 일측에 위치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목재용 캐리지적재부(5)는 휘일을 구비하며 킬른용적(6)속에 놓이게 된다. 이 캐리지적재부(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수직원격요소(51)에 의해 목재를 수직상태로 쌓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수직적재부(52)가 전체폭에 대하여 특정정도로 적재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 (5)는 도 4의 휘일(50)을 구비하며 더 많은 적재부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휘일(5 0)을 구비하는 별개의 적재부(5)를 서로 소망의 높이로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킬른용적(6)의 전체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소망정도로 적재할 수 있어서 공기가 양호하게 통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의 주표면이 수직면상에 배치되게 하는 방식으로 적재부(5)상의 킬른용적(6)내에 목재를 적재하는 것을 선택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작은 폭을 갖는 목재부는 수직상태로 쌓아서 적절한 원격요소(51')에 의해 목재사이에 공기틈새가 생기게 함으로써 적재부(5)내에 적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킬른격실(1)내, 보다 정확히는 구역(10')내에는 자외선방사장치(8)가 장착되는데, 이 자외선방사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방출기이며 곰팡이, 균류 및 그 외의 미생물 등의 균주의 발생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에 자외선을 방사한다.
또한 구역(10')내의 킬른격실(1)내에는 2극상태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자석(9)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자화처리는 모든 처리, 즉 화학, 물리 및 생물학적처리에 영향을 주며 킬른용적(1)내에 존재하는 모든 수분의 성질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의 건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응축-대류법에 의해 탈습하는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건조하려는 목재는 필요에 따라서 수직원격요소(51') 및 수평원격요소(52)를 가질 수 있는 부속품(51)에 의해 목재가 적절히 쌓이는 적재부(5)상의 승강적재도어(11)를 개방함으로써 킬른용적(6)내에 넣어진다. 이 단계에서 톱으로 잘라진 목재의 거친면에 붙은 박층의 젖은 물질이 목재에 제공되어 목재로부터 더 이상의 수분량의 손실을 방지한다. 목재가 킬른용적(6)내에 넣어지고 도어(11)가 닫힌 후 환기팬(41, 42, 43, 44), 환기부(40), 가열응축부에 부착된 환기팬(25) 및 환기팬(71)의 작동으로 건조처리가 시작된다. 벽에 조립된 시스템환기부(111)와 도어(11)가 닫힌다. 가열응축부(2)가 작동하여 공기가 환기부(40)의 가열요소(430, 440)를 작동시킴으로써 얻어진 예정온도치에서 순환하게 된다. 이 상태가 원하는 바와 일치하면 가열요소(430, 440)가 정지되고 작동상태의 가열응축장치(2)에 의해서만 소망의 열이 공급될 수 있다. 건조처리를 가속시키기 위해 적합하게 가열된 공기가 적절하게 순환되어야 한다. 목재상/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공기에 의해 흡수되면 가열응축장치(2)를 통과하며 이 가열응축장치에서 도 8에 도시한 응축부(21)의 도움으로 수분이 제거된 후 배수관(201)에 의해 가열응축장치로부터 인출된다. 이 단계에서 통기공(121, 122)에 의해 킬른격실( 1)이 외부공기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가 가열응축장치(2)를 통과할 때 공기는 일정온도까지 가열되고 터널형 통기공(1000)을 통하는 순환운동중에 환기팬(25, 41, 42, 43, 44)에 의해 흡수되며 이 통기공에서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가열요소(430, 440)에 의해 가열된 후 통로(30)를 통과하고 시스템환기부(111) 및 공기편향판(3)에 의해 킬른용적(6)속으로 들어가며 여기서 캐리지적재부(50)상에 쌓여진 목재의 배치에 따라서 환기팬(17)에 의해 안내된다.
이 건조상태에 의해 목재로부터 수분이 순화공기중으로 강하게 이동될 수 있다. 통기공(122)을 통하여 공기가 킬른용적(6) 및 킬른격실(1)로부터 외부의 대기로 나오게 된다. 과학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분이 많아진 냉각공기는 하류측으로 내려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경우 킬른격실(1)의 바닥(101)쪽으로 내려간다. 그러나 압력차가 동시에 생기기 때문에 통기공을 통하여 나온 공기는 미소기후환기부(1211)에 의해 통기공(12)을 통하는 수분을 적게 함유하는 신선한 공기로 교체된다.
킬른용적(6)내의 가용공기의 나머지는 가열응축부(2)를 통과하면서 응축부(2 1)에 의해 공기로부터 수분이 해방되고 약간 건조되며 가열부(22)에 의해 소망정도까지 가열되고 나와서 모든 환기팬의 도움으로 터널형 통기공(1000)으로 들어가서 킬른용적(6)속으로 들어감으로써 새로운 순환사이클을 시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열방식은 특히 초기에 목재위와 내부에 다량의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과거의 건조처리에서 알려진 건조결함을 일으키는 고온까지 목재를 가열하지 않으면서 목재를 건조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어떤 종류의 부속품도 결합하지 않고 목재를 재적재하지 않고 공기를 추가로 가열하지 않고 새로 개발된 킬른용적(6)내의 건조장치에 의해 간단하고 놀랄만큼 짧은 시간에 새로 개발된 킬른용적(6)내의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추가의 공기가열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기는 공기편향판(3)근처의 통로(30)를 통과하며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환기부(111)가 개방되며 심지어 기능적으로 제거된 새로이 개발된 건조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새로 개발된 건조방식을 실행함으로써 미소기후환기부(1211)와 통기공(12 1, 122)이 폐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지의 건조방법의 해결수단과 비교해본 차이점은 저효율을 야기할 수 있는 반복순환과 건조공기와 포화공기의 혼합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환기부(40)의 환기팬(41, 42, 43, 44)과 가열응축장치(2)의 환기팬 (25)과 환기팬(71)을 작동시키면 적절한 공기순환이 생긴다. 킬른격실(1)로 들어가고 계속하여 킬른용적(6)속으로 들어간 외부의 공기는 개방된 시스템환기부(111)를 통과한 후 킬른용적(6)을 통하고 자체조정환기부(31)를 통하여 안내되며 그 후 가열부(22)를 갖는 가열응축장치(2)를 통하여 대부분 또는 영구히 기능상 제거되지만 환기팬(25)에 의해 터널형 통기공(1000)을 통하여 공기통로(30)로 안내된다. 시스템환기부(111)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공기통로(30)로부터 나오는 공기는 킬른용적( 6)속으로 다시 들어갈 수 없지만 킬른격실(1)로부터 외부의 대기로 배기된다. 이렇게 건조한 신선한 공기만이 건조목재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관련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유입된 신선한 공기는 본 발명의 원리에 영향을 주지않는 부속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극도의 기후조건의 경우에 몇 가지 방식으로 처리되어야 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는 공기이동에 의해 특정 대기조건의 목재로부터 수분을 제어전달하는 능력으로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목재제품의 건조처리에 사용하여 운송컨테이너의 크기와 운송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킬른용적을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건조효과를 포함하는 건조목재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조장치를 사용자가 고정형이나 가동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킬른격실(1)내에 배치된 다수의 환기 시스템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며, 응축부 (21) 및 가열부(22)로 구성된 가열응축장치(2)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환기팬( 25)을 갖고, 킬른격실(1)내에 킬른용적(6)과 적어도 하나의 적재도어(131)를 가지며, 킬른격실(1)에서는 목재나 그 외의 건조대상재가 캐리지적재부(5)에 의해 배치되어 목재내의 수분이 점차 상기 킬른격실(1), 특히 상기 킬른용적(6)내의 순환공기로 흡수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도어로서 배치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벽(1 1)은 시스템환기부(111)를 구비하며 이 시스템환기부는 기능면에서 킬른격실(1)내의 킬른용적(6)위에 배치된 공기편향판(3)과 공동으로 기류를 안내하여 건조를 실시 및 감시하며 가열응축장치(2)는 킬른격실(1)의 바닥(101)에 근접한 킬른격실(1)의 다른 측벽(12)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체조정환기부(31)를 구비하는 가열응축장치(2)에 근접한 상기 공기편향판(3)이 상기 바닥까지 연장되며, 공기편향판(3)은 킬른용적(6)의 위로 그리고 시스템환기부(111)쪽의 방향으로 킬른격실(1)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공기편향판(3)과 킬른격실(1)의 도어(11)의 벽에 조립된 시스템환기부(111)사이의 공기통로(30)는 적절한 환기조립체(40)가 내장되는 터널형 통기공(10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통기공 및 배기공(121, 122)은 킬른격실(1)의 벽(12)에 인접배치된 하나의 동일미소기후환기부(1211)를 구비하며, 그 다음에는 공기편향판(3 )의 부근에 가열응축장치(2)가 배치되므로, 킬른격실(1)의 상판(100)아래에서 하나의 통기공(121)이 킬른격실(1)로부터 외부의 대기로 연장되며 제 2통기공(122)이 킬른격실(1)의 바닥(101)의 위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킬른용적(6)내에는 조정가능한 지지부(72)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환기부(71)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의 환기부(7)가 배치되어 기류를 분산시키며 측벽에 평행하기 배치된 경우는 오프모드로 하고 평행하지 않게 배치된 경우는 제자리에서 온모드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환기부(111)는 그 폐쇄상태에서는 공기가 킬른격실(1)의 상판(100)과 공기편향판(3)사이의 구역내의 터널형 통기공(1000)으로부터 공기편향기(3)와 도어(11)의 벽사이의 공기통로(30)를 통과하여 자체조정환기부 (31)쪽의 방향으로 킬른용적(6)속으로 들어가고 공기편향판(3)의 아래에서 가열응축부(2)쪽으로 가는 내부순환이 가능한 방식으로 킬른격실(1)의 도어(11)벽에 배치되며, 시스템환기부(111)가 개방된 경우 공기가 터널형 통기공(1000)으로부터 시스템환기부(111)를 개방하여 생긴 적어도 두 개의 틈새를 통과하기 때문에 공기가 상측의 개방공간내의 킬른격실(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틈새를 통과하고 동시에 신선한 공기가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하측틈새를 통하여 킬른용적(6)속으로 직접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편향판(3)과 킬른격실(1)이 상판(100)사이의 터널형 통기공(1000)내에 배치된 환기팬(41, 42, 43, 44)의 적어도 일부는 터널형 통기공(10 00)을 보조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제공된 적절한 가열부(430, 4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건조재, 특히 목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지적재부(5)는 수직원격요소(51) 뿐만 아니라 수평원격요소(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적재부(5)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휘일(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적재부(5)는 수직원격요소(51)에 의해 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응축부(2)는 적어도 응축부(21)와 가열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적절한 회로를 이루는 응축부(21), 가열부(22), 컴프레서(2 3) 및 스로틀(24)의 근처에서 응축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201)을 구비하는 하우징(20)내의 가열응축장치(2)도 환기팬(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킬른격실(1)은 국제컨테이너운송용의 치수기준을 만족하는 표준컨테이너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편향판(3)의 환기부(31)는 자체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킬른격실(1)의 내부에는 방사장치(8)가 환기 및 배기공(121 , 122)에 근접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장치(8)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방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킬른격실(1)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석(9)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킬른격실(1)의 내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영구자석(9)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킬른격실(1)의 내부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영구자석에 의한 2극성의 자계가 배기 및 통기공(121, 122)과 공기편향판(3)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보아서 이웃하는 수직원격요소(51)사이의 거리는 항시 측방의 수직지지부(52)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9. 제16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수직원격요소(51)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쌓여진 목재요소사이에 각각 특정거리의 공기틈새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적재부(5)는 수직원격요소(51)외에 수평원격요소(51')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분량이 증가한 경우는 킬른격실(1)의 상부에서 작동
    하고 공기가 취출된 통기공(122)을 통하여 킬른격실(6)과 연통되며 압력차이가 있는 경우는 통기공(121)에 의해 신선한 외부공기가 구역(10')속으로 흡수되는 미소기후환기부(1211)가 통기공(121, 122)과 공동으로 작용하지만, 미소기후환기부 (121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외부의 대기와 고립되어 건조공정이 이루어지며 킬른격실(1)내에서 내부공기순환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KR10-2000-7004830A 1997-11-04 1998-03-30 건조장치 KR100481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I9700284A SI9700284B (sl) 1997-11-04 1997-11-04 Susilna naprava
SIP-9700284 1997-11-04
SI9800094A SI9800094B (sl) 1998-03-27 1998-03-27 Susilna naprava
SIP-9800094 1998-03-27
PCT/SI1998/000008 WO1999023430A1 (en) 1997-11-04 1998-03-30 A dry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765A true KR20010031765A (ko) 2001-04-16
KR100481454B1 KR100481454B1 (ko) 2005-04-08

Family

ID=2666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830A KR100481454B1 (ko) 1997-11-04 1998-03-30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EP (1) EP1029211B1 (ko)
JP (1) JP3955729B2 (ko)
KR (1) KR100481454B1 (ko)
CN (1) CN1139777C (ko)
AP (1) AP2000001792A0 (ko)
AT (1) ATE231605T1 (ko)
AU (1) AU765744B2 (ko)
BG (1) BG63980B1 (ko)
CA (1) CA2308245C (ko)
CZ (1) CZ298942B6 (ko)
DE (1) DE69810955T2 (ko)
DK (1) DK1029211T3 (ko)
EA (1) EA002122B1 (ko)
EE (1) EE04246B1 (ko)
ES (1) ES2191285T3 (ko)
HU (1) HU224255B1 (ko)
IL (1) IL135930A (ko)
IS (1) IS5459A (ko)
NO (1) NO325868B1 (ko)
NZ (1) NZ504078A (ko)
OA (1) OA11405A (ko)
PL (1) PL340367A1 (ko)
PT (1) PT1029211E (ko)
SK (1) SK286566B6 (ko)
TR (1) TR200001236T2 (ko)
WO (1) WO1999023430A1 (ko)
YU (1) YU494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256B1 (ko) * 2002-03-14 2004-08-21 (주)뉴-그린 열풍건조장치
TR200601074A2 (tr) * 2006-03-08 2007-10-22 Elmotek Elektromekani̇k Otomasyon Taahhüt Dan. Eği̇ti̇m Ve Yazilim Tek San. Ve Ti̇c. Ltd.Şti̇. Kurutma fırınlarında yenilik
DE102007057237A1 (de) * 2007-11-26 2009-05-28 Umicore Ag & Co. Kg Tunnelofen für die Temperaturbehandlung von Waren
CN102087070B (zh) * 2009-12-07 2012-07-18 承逸工业有限公司 木板材的电热炉
CN102445056B (zh) * 2011-11-16 2014-04-02 西安银马实业发展有限公司 湿坯制品室式干燥二次码烧方法及其码烧系统
CN102564091B (zh) * 2012-01-30 2014-08-13 曹树梁 注浆成型中空陶瓷太阳板基体素坯的干燥方法
CN105627706B (zh) * 2016-03-18 2018-08-24 浙江安吉双虎竹木业有限公司 一种全方位循环供热烘箱系统
CN105651016B (zh) * 2016-03-18 2018-10-16 浙江安吉双虎竹木业有限公司 一种板材干燥装置
CN106123539A (zh) * 2016-06-25 2016-11-16 安徽省申运木业有限公司 一种木材干燥器
CN106247762B (zh) * 2016-08-30 2019-05-10 北京五洲木国际实业有限公司 一种顶风机型船舱木材干燥装置及干燥方法
CN106288671B (zh) * 2016-08-31 2019-05-10 北京五洲木国际实业有限公司 一种侧风机型船舱木材干燥装置及干燥方法
CN107398955A (zh) * 2017-08-15 2017-11-28 广西河池市宜州梦若天蓝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木棍切片机
CN109737703A (zh) * 2018-11-29 2019-05-10 颍上县陈家工艺家具有限公司 一种木材烘干装置
CN110686470A (zh) * 2019-09-23 2020-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泵烘干设备及其除湿控制方法和除湿控制装置
CN115289784A (zh) * 2022-08-02 2022-11-04 安徽九洲华隆实木家俬有限公司 一种实木家具烘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0422A (en) * 1942-09-22 1945-02-27 Claude R Wickard Dehydrator
FR1247859A (fr) * 1959-02-14 1960-12-02 Svenska Flaektfabriken Ab Procédé pour régler la force du séchage dans les sécheurs à contre-courant
GB1229987A (ko) * 1967-05-01 1971-04-28
USRE28226E (en) * 1970-05-18 1974-11-05 Circulating air dryer
CH585379A5 (en) * 1974-08-23 1977-02-28 Felber Norbert Felix Timber drying plant with combined operating system - dries timber with heat pump air and air circulation to required dryness
DE2441855A1 (de) * 1974-08-31 1976-03-11 Niels Valdemar Vest Joergensen Anlage zum lufttrocknen von holz
USRE31633E (en) * 1979-02-21 1984-07-24 Lumber conditioning kiln
SE423931B (sv) * 1980-10-15 1982-06-14 Nils Oskar Tore Loof Sett att torka treprodukter
AT385840B (de) 1984-07-26 1988-05-25 Leisser Josef Verfahren zur trocknung von empfindlichen guetern, z. b. holz
DK59286D0 (da) 1986-02-06 1986-02-06 Steen Ole Moldrup Fremgangsmaade og anlaeg til fjernelse af vaeske fra trae
FR2644588B2 (fr) * 1987-02-04 1993-06-04 Nosley Heritiers Jacques Capteur electromagnetique pour mesurer la vitesse d'ecoulement d'un fluide conducteur de l'electricite
US4955146A (en) * 1988-09-01 1990-09-11 Boldesigns, Inc. Lumber drying kiln
IT1232009B (it) * 1989-03-21 1992-01-22 C E A F Convertitori En Altern Impianto di essiccazione, particolarmente per legname
DE59106827D1 (de) * 1991-03-23 1995-12-07 Brunner Reinhar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Holz.
SE505655C2 (sv) * 1994-02-11 1997-09-29 Flaekt Ab Förfarande för torkning av virke
CZ279668B6 (cs) * 1994-06-15 1995-05-17 Els, S.R.O. Zařízení k sušení a ochraně dřev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029211E (pt) 2003-04-30
ES2191285T3 (es) 2003-09-01
BG104350A (en) 2000-12-29
HUP0100543A3 (en) 2001-12-28
EA002122B1 (ru) 2001-12-24
KR100481454B1 (ko) 2005-04-08
AU6531798A (en) 1999-05-24
DE69810955T2 (de) 2003-05-15
EE200000261A (et) 2001-06-15
TR200001236T2 (tr) 2000-11-21
YU49487B (sh) 2006-08-17
NO20002349L (no) 2000-05-04
ATE231605T1 (de) 2003-02-15
NO325868B1 (no) 2008-08-04
IL135930A0 (en) 2001-05-20
YU25800A (sh) 2002-06-19
PL340367A1 (en) 2001-01-29
BG63980B1 (bg) 2003-08-29
AU765744B2 (en) 2003-09-25
HU224255B1 (hu) 2005-07-28
HUP0100543A2 (hu) 2001-08-28
EP1029211B1 (en) 2003-01-22
CZ20001472A3 (cs) 2001-11-14
DK1029211T3 (da) 2003-05-19
CA2308245C (en) 2010-01-12
CA2308245A1 (en) 1999-05-14
EP1029211A1 (en) 2000-08-23
SK6312000A3 (en) 2001-05-10
NZ504078A (en) 2003-08-29
IS5459A (is) 2000-04-18
IL135930A (en) 2003-12-10
CN1277670A (zh) 2000-12-20
JP3955729B2 (ja) 2007-08-08
JP2001522028A (ja) 2001-11-13
DE69810955D1 (de) 2003-02-27
WO1999023430A1 (en) 1999-05-14
OA11405A (en) 2004-04-08
EE04246B1 (et) 2004-02-16
EA200000480A1 (ru) 2000-10-30
AP2000001792A0 (en) 2000-06-30
NO20002349D0 (no) 2000-05-04
SK286566B6 (sk) 2009-01-07
CZ298942B6 (cs) 2008-03-19
CN1139777C (zh)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454B1 (ko) 건조장치
JP3906313B2 (ja) 減圧式乾燥機及びそれを用いた木材の乾燥方法
US3659352A (en) Circulating air dryer
JP2001521848A (ja) 製材木材の乾燥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H01503136A (ja) セラミック中空体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CA2724838C (en) Method for drying objects of organic material and a dryer
US20160102909A1 (en) A method of evaporating liquid and drying static bed of particles within a container and recovering water condensate
US7089683B1 (en) Drying device
WO2006130072A1 (en) Method and means for drying using microwaves
US20220214105A1 (en) Lumber drying kiln including bidirectional push-pull air circulation
KR20070018136A (ko) 고효율 연속 근적외선 건조기
RU21822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и обработки древесины
RU2228499C2 (ru) Способ сушки пило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44802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пиломатериалов
JPH02195844A (ja) 懸肉の処理方法並びにその装置
RU41848U1 (ru) 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KR200179838Y1 (ko)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CN112611181A (zh) 空气能热循环除湿木材烘干窑
UA73079C2 (en) Drying unit
KR20000063124A (ko)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HU197083B (hu) Szárítókamra, elsősorban fűrészelt fa szárítására
JPS60210967A (ja) 海苔乾燥装置
JPS60159579A (ja) 循環式穀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