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376A - 차량용 시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376A
KR20010030376A KR1020000053974A KR20000053974A KR20010030376A KR 20010030376 A KR20010030376 A KR 20010030376A KR 1020000053974 A KR1020000053974 A KR 1020000053974A KR 20000053974 A KR20000053974 A KR 20000053974A KR 20010030376 A KR20010030376 A KR 20010030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seat
headrest
seat back
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까노나오끼
이시카와토시히로
카게마사유끼
이시쿠라카즈타카
Original Assignee
밀러 제임스 이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러 제임스 이,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밀러 제임스 이
Publication of KR2001003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37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후부출돌시에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켜서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효과적으로 받아내어, 목뼈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시트장치(1)에 가동지지기구(5)를 설치하였으므로, 차량의 후부충돌을 받아서 승무원 M의 허리부분 Ma부근으로부터 시트백(3)에 하중이 입력되었을때, 그 하중입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순간 중심을 중심으로 시트백(3)전체가 초기위치로부터 회동해서 헤드레스트(4)가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한다. 시트백(3)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이동시키므로, 헤드레스트(4)(시트백(3))의 적절한 동작을 실현하여, 그 헤드레스트(4)에 의해 승무원M의 머리부분 Mb를 효과적으로 받아내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장치{SHEET APP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후부출돌시에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시트장치에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의 시트쿠션브래킷에 연결지지된 시트백과, 시트백에 장비된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어 있다. 헤드레스트는, 통상시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가볍게 받아내는 동시에, 차량의 후부출돌시에, 차량에 대해서 뒤쪽으로 이동할려고 하는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받아내어서 보호하여 목뻐를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때문에, 승무원의 체격 등에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위치와 전후방향위치를 조절가능한 시트장치도 널리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차량후부출동시, 승무원의 머리부분과 헤드레스트와의 사이의 틈새가 작을수록, 헤드레스트가 유효하게 가능하여 목뼈다치기가 어렵다. 그러나, 승무원 체격등에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을 행하였을 경우에도, 차량후부충돌에 대비해서 상시 머리부분과 헤드레스트의 틈새를 작게하도록 계속 승차하는 것은 무리가 있고, 차량후부충돌직전에 순간적으로 머리부분을 헤드레스트에 접근시키도록 하는 것도 불가능하여, 결국, 승무원이 목뼈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차량의 후부충돌시에 승무원이 목뼈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후부충돌시에 헤드레스트를 통상시의 초기위치로부터 승무원의 머리부분에 강제적으로 접근시켜서, 차량에 대해서 뒤쪽으로 이동하려고하는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헤드레스트에 의해 받아내도록한 시트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 10-80338호 공보의 시트장치에서는, 시트백이 거의 연직의 시트백프레임과 이 시트백프레임의 앞쪽에 위치하는 충격수압(受壓)프레임을 가진다. 분할형의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하단부가 충격수압프레임의 상단부에 뒤쪽으로부터 연결되고, 지지프레임의 도중부분이 시트백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차량후부충돌시에 승무원의 등부근으로부터 충격수압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면, 충격수압프레임이 뒤쪽으로 밀려움직여, 헤드레스트가 지지프레임을 개재해서 통상시의 초기위치에서부터 앞쪽으로 회동해서 승무원의 머리부분에 접근한다.
일본국 특개평 7-291005호 공보의 시트장치에서는, 시트백의 거의 연직의 시트백프레임의 뒤쪽에,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거의 연직의 지지프레임이 좌우 1쌍의 벨로우즈형상의 연결부재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지지프레임의 도중부분은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지지프레임의 좌우 1쌍의 연결부재 부근에 좌우방향을 향한 스프링부재가 걸려 장착되어 있다. 차량후부충돌시에 승무원의 등 부근으로부터 스프링부재를 개재해서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하중이 입력되어서 연결부재가 신장하여, 승무원의 몸통 부분이 어느 정도 뒤쪽으로 이동해서 시트백에 받아내어지고, 헤드레스트가 초기위치에서부터 앞쪽으로 이동해서 승무원의 머리부분에 접근한다.
국제공개공보 WO97/10117호의 도 1, 도 2의 시트장치에서는, 시트쿠션의 좌우 1쌍의 시트쿠션브래킷이 승무원의 어깨부분의 뒤쪽부근까지 연장되고, 각 시트쿠션브래킷의 상단부와 하부에 1쌍의 직선형상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이들 가이드슬릿에 시트백의 옆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1쌍의 걸어맞춤핀이 각각 걸어맞춤 되어있다. 위쪽의 가이드슬릿은 거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아래쪽의 가이드슬릿은 뒤쪽으로 경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트백은, 상하 1쌍의 가이드슬릿의 길이방향을 향한 선분의 수직 2등분선의 교점으로서 근사적으로 구하게 되는 순간중심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시트백이 초기위치일때에 각 가이드슬릿의 하단부에 걸어맞춤핀이 걸어맞춤하고, 통상의 사용상태일때, 이 상태에서 시트백과 시트쿠션브래킷이 결합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으로부터 시트백에 하중이 입력되면, 결합핀이 파단해서 걸어맞춤핀이 가이드슬릿에 안내되어서 직선적으로 이동하고, 시트백이 회동해서 헤드레스트가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한다. 상하 1쌍의 가이드슬릿이 직선형상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하게되는 시트백의 순간중심은 거의 일정위치가 되며, 승무원의 가슴부분 부근에 위치해 있다.
또한 상기 국제공개공보의 도 5, 도 6의 시트장치에서는, 시트쿠션과 각 시트쿠션브래킷이 자세가 다른 앞뒤 1쌍의 링크를 개재해서 연결되는 동시에, 통상 시는 결합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으로부터 시트백에 하중이 입력되면, 결합핀이 파단해서 링크가 요동하고, 시트백이 회동해서 헤드레스트가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한다. 시트백의 순간중심은, 좌우 1쌍의 링크의 길이방향을 향한 직선의 교점으로서 구하게 되고,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뒤쪽으로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일본국 특개평 10-80338호 공보와 동 특개평 7-291005호 공보의 시트장치에서는, 차량후부충돌시에 승무원의 등 부근으로부터 충격수압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어서, 헤드레스트가 앞쪽으로 회동한다. 즉,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의 중심(重心)에 대해서 위쪽에 위치하는 등 부근으로부터 충격수압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기 때문에, 또, 시트백이 승무원을 받아냈을때에 위쪽일수록 뒤쪽으로 크게휘어지기 쉽고, 그 때문에, 충격수압프레임에 입력되는 하중 즉 헤드레스트를 회동시키는 힘을 크게하는 데에 한도가 있어,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없고 헤드레스트의 응답성이 나빠진다.
또, 지지프레임의 도중부분이 시트백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연결부의 대략 위쪽에,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헤드레스트가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승무원으로부터의 하중입력시에 헤드레스트는 거의 앞쪽으로 밖에 이동하지 않는다. 그런데, 통상 시트백은 뒤쪽으로 경사한 형상으로 경사해 있으며, 차량의 후부충돌시에 승무원이 시트백을 따라서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이동하기 쉬워지고, 승무원의 머리부분이 헤드레스트의 위쪽으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후부충돌시에 헤드레스트에 의해 머리부분을 효과적으로 받아내기 위해서는,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프레임의 도중부분이 시트백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후부충돌시에, 분할형의 헤드레스트에 작용하는 승무원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성(剛性)을 높이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차량후부충돌시에, 헤드레스트는 고속으로 회동하여 그 순간중심의 위쪽에서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받아내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로부터 머리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이 커질 염려가 있다. 또한, 차량후부충돌시에, 헤드레스트를 강제적으로 회동시키도록한 시트장치에 있어서, 목뼈를 다치게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머리부분을 받아낸 헤드레스트가 그 반동에 의해 용이하게 초기위치로 역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상기 국제공개공보의 도 1, 도 2의 시트장치에서는, 순간 중심을 이동시킨다고하는 사고방식이 없으므로, 헤드레스트(시트백)의 적절한 동작을 설정하는 일이 어렵다. 즉, 상하 1쌍의 가이드슬릿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의 순간중심이 승무원의 어깨부분 부근의 거의 일정위치로되고, 그러므로,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시트백에 하중이 입력되면, 허리부분부근으로부터 순간중심까지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시트백에 큰 회동모멘트가 작용한다. 그 때문에, 통상의 사용상태일때, 그 회전모멘트에 의해 시트백이 회동하지 않도록, 시트백과 시트쿠션브래킷을 좌우 1쌍의 결합핀에 의해 상당히 강력하게 결합해둘 필요가 있다.
결합핀 대신에 부세부재를 설치하고, 이 부세부재에 의해 시트백을 초기위치에 회동부세하여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당히 강력하고 대형의 부세부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찰야후부충돌시, 부세부재의 상당히 강력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시트백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를 승무원의 머리부분에 신속하게 접근 시키는 일이 어렵게 된다. 또, 시트백의 순간중심이 거의 일정위치이기 때문에, 차량후부충돌시, 그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시트백이 회동하면, 헤드레스트의 수평성분속도가 승무원의 머리부분에 접근할수록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국제공개공보의 도 5, 도 6의 시트장치에서는, 차량후부충돌시,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이 뒤쪽으로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가 승무원의 머리부분에 접근할수록, 헤드레스트의 앞쪽으로의 이동속도가 증가하고, 또,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에 의해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받아내었을때, 승무원의 머리부분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시트백을 초기위치쪽으로 회동시키는 모멘트가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시트장치에 있어서, 차량후부충돌시에,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켜서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확실하게 받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효과적으로 받아내서 목뼈를 다치는 것을 극력방지하는 것, 헤드레스트의 이동의 응답성을 높이는 것,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 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 등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시트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시트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4는, 시트장치의 요부측면도.
도 5는, 시트장치의 작동설명도.
도 6은, 제 1의 변경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요부측면도.
도 7은, 도 6의 시트장치의 작동설명도.
도 8은, 제 2의 변형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요부측면도.
도 9는, 제 3의 변형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요부측면도.
도 10은, 제 4의 변경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작동설명도.
도 11은, 제 5의 변경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작동설명도.
도 12는, 제 6의 변경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작동설명도.
도 13은, 제 7의 변경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작동설명도.
도 14는, 제 8의 변경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측면도.
도 15는, 제 9의 변경형태에 관한 시트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승무원 Ma: 허리부분
Mb: 머리부분 1: 시트장치
2: 시트쿠션 3, 3H, 3I: 시트백(Seat back)
4: 헤드레스트(head rest) 5, 5A∼5G: 가동지지기구
5a∼5g: 순간중심 6: 파워스프링(Power spring)
15: 시트쿠션브래킷 20, 20I: 프레임
30, 30B, 3D∼30G: 제 1지지부 31, 53, 54, 56: 링크
40, 40A, 40C, 40D, 40F, 40G: 제 2지지부
41, 50, 51: 가이드슬릿 42, 52: 걸어맞춤핀
60: 완충부재
본 발명의 제 1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의 시트쿠션브래킷에 연결지지된 시트백과, 시트백에 장비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의 시트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충돌을 받아서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시트백에 하중이 입력되었을때, 그 하중입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순간중심을 중심으로 시트백전체를 통상시의 초기위치로부터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시트백을 시트쿠션브래킷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지지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지지기구는,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차량용 시트장치에서는, 차량의 후부충돌을 받아서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시트백에 하중이 입력되면, 시트백을 시트쿠션 브래킷에 움직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지지기구에 의해, 시트백전체가 그 하중입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순간중심을 중심으로 초기위치로부터 회동해서, 헤드레스트가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한다.
가동지지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후부충동시, 헤드레스트와 함께 시트백전체를 회동시키고, 또한, 시트백을 회동시키는 힘으로서,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입력된 하중의 거의 전부가 작용하기 때문에, 시트백의 회동의 응답성이 향상하여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헤드레스트와 함께 시트백을 회동시키기 때문에, 헤드레스에 작용하는 승무원의 머리부분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성도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뒤쪽 또는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헤드레스트에 의해 확실하게 받아 낼 수 있다.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 중심이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순간 중심에 대해서 헤드레스트가 수평쪽으로 기울어져서,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받아낼 때의 헤드레스트의 앞쪽으로의 이동속도가 작아지고, 헤드레스트로부터 머리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이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에 의해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받아냈을때, 승무원의 머리부분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시트백을 초기위치쪽으로 회동시키는 모멘트가 작아진다.
또한,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순간중심이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차량충돌시, 승무원의 허리부분부근으로부터 시트백에 입력되는 하중에 의해, 시트백을 회동시키는 모멘트가 증가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를 신속하게 승무원의 머리부분에 접근시키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이 결과,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허드레스트에 의해 효과적으로 받아내어 목뻐를 다치는 것을 극력방지할 수 있다.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시트백의 순간중심을 비교적 아래쪽에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시트백에 입력되는 하중에 의해, 시트백을 초기위치로부터 회동시키는 모멘트를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백을 초기위치에 유지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본 발명의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을 초기위치에 회동부세하는 부세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차량후부충동시 이외의 통상시에, 부세부재에 의해 시트백을 초기위치로 회동부세해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지지기구는,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의 하중입력시에,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원호형상의 궤적을 따라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지지부와,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또한 위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로서 제 1지지부보다 위쪽에 설치된 제 2지지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가동지지기구에 있어서, 차량후부충돌시에, 제 1지지부에 의해,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원호형상의 궤적을 따라서 요동시키고, 제 1지지부보다 위쪽에 설치된 제 2지지부재에 의해,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백전체를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키고, 그때에, 시트백의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제 2지지부에 의해 시트백과 함께 헤드레스트를 지지하기 때문에, 시트백과 헤드레스트에 작용하는 승무원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성을 확실하게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본 발명의 제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는, 상단(上端)부가 시트쿠션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下端)부가 시트백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가지며, 제 2지지부는, 시트쿠션브래킷과 시트백의 한쪽에 설치된 가이드슬릿과 다른쪽에 고정된 가이드슬릿에 걸어맞춤한 걸어맞춤핀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지지부를 링크를 가진 간단한 구조로 하고, 제 2지지부를 가이드슬릿과 걸어맞춤핀을 가진 간단한 구조로해서, 본 발명의 제 3의 발명의 작용을 달성할 수 있어, 제작코스트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본 발명의 제 3의 발명 또는 제 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지지부는 시트백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1지지부는 시트백의 하단부 부근과 시트쿠션브래킷을 연결하고, 제 2지지부는 시트백의 하반부중의 상단부부근과 시트쿠션브래킷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제 2지지부를 시트백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시트쿠션브래킷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어 제작코스트적으로도 유리하게 된다. 시트쿠션브래킷의 길이를 짧게해도, 시트백전체를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또, 그때, 시트백의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시트백과 시트쿠션브래킷을 제 1, 제 2지지부를 개재해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본 발명의 제 1∼제 5의 발명의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중 승무원의 어깨부분 부근에 대응하는 상단부쪽 부분을, 뒤쪽으로 오프셋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시트백의 프레임의 상단부쪽 부분에 있어서, 뒤쪽으로 오프셋한 만큼 프레임의 앞쪽에 쿠션부재를 두껍게 설치할 수 있어,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을 시트백에 받아내어질때, 승무원의 어깨부분부근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목뻐를 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본 발명의 제 1∼제 6의 어느 한 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적어도 상단부쪽 부분에, 발포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을 시트백에 받아내어질때, 시트백의 적어도 상단부쪽부분에 설치된 발포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에 의해, 승무원의 어깨부분부근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목뻐를 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시트쿠션, 이 시트쿠션의 시트쿠션브래킷에 연결지지된 시트백, 시트백에 장비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자동차의 시트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 1∼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트장치(1)는, 시트쿠션(2), 시트백(3), 헤드레스트(4), 차량의 후부충돌을 받아서 승무원 M의 허리부분 Ma부근으로부터 시트백(3)에 하중이 입력되었을때, 그 하중입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순간중심을 중심으로 시트백(3)전체를 통상시의 초기위치(도 1, 도 5에 부분적으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부터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4)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시트백(3)을 시트쿠션(2)의 시트쿠션브래킷(15)에 가동하게 지지하는 가동지지기구(5), 시트백(3)을 상기 초기위치로 회동부세하는 좌우 1쌍의 비교적 강력한 파워스프링(6)(부세부재에 상당함)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쿠션(2)은, 쿠션본체(10)와, 쿠션본체(10)의 후부의 좌우양쪽에 설치된 1쌍의 베이스부재(11)를 가지고, 이들 베이스부재(11)의 후단(後端)부분의 피벗지지(樞支)부(11a)에, 시트백(3)의 중단(中段)부근까지 세워올려진 좌우 1쌍의 연직판형상의 시트쿠션브래킷(15)의 하단부가, 좌우방향을 향한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시트쿠션브래킷(15)에, 시트백(3)이 가동지지기구(5)를 개재해서 움지임가능하게 연결지지되어 있다.
1쌍의 베이스부재(11)는, 좌우 1쌍의 앞뒤로 뻗는 가이드레일(12)에 각각 걸어맞춤되어서 앞뒤이동자재롭게 안내되고, 시트위치조절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시트쿠션(2)과 함께 시트백(3)과 헤드레스트(4)의 앞뒤위치를 조절가능하고, 시트자세조절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시트쿠션(2)에 대해서 시트백(3)과 헤드레스트(4)를 앞뒤로 회동시켜서 그 자세를 조절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트위치조절기구와 시트자세조절기구에 대해서는, 기존의 것을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시트자세조절기구에 의해 시트백(3)의 자세를 조절가능한 상태에서, 시트백(3)을 앞쪽으로 회동시키도록 부세하는 스프링부재(13)가, 베이스부재(11)와 시트쿠션브래킷(15)과의 연결부부근에 짜넣어져있다.
시트백(3)은, 파이프재에 의해 대략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백프레임(20)과, 시트백프레임(20)의 좌우의 연직통부분(20a)의 앞부분에 고착되고 또한 시트백프레임(20)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좌우 1쌍의 연직판형상의 사이드프레임(21)을 가진다. 각 시트쿠션브래킷(15)의 안쪽에 사이드프레임(21)이 약간의 틈새를 내어서 배설되어 있다.
시트백프레임(20)의 상부의 수평통부분(20b)에 좌우 1쌍의 헤드레스트홀더(22)가 고착되고, 이들 헤드레스트홀더(22)에, 헤드레스트(4)를 지지하는 좌우 1쌍의 헤드레스트프레임(25)의 하단부가 끼워맞춤 연결된다. 또한, 시트백(3)에 대해서 헤드레스트(4)의 상하방향위치 또한 전후방향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좌우의 연직통부분(20a)에는, 상하 1쌍의 좌우방향으로 긴 스프링부재(23)의 양단부가 고착되고, 이들 스프링부재(23)의 상하양쪽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뻗는 상하 1쌍의 와이어(24)의 양단부가, 좌우의 연직통부분(20a)부근에 고착되어 있다.
가동지지기구(5)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구(5)는, 승무원 M의 허리부분 Ma부근으로부터의 하중입력시에, 시트백(3)을 시트쿠션(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또한 위쪽으로 원호형상의 궤적을 따라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1쌍의 제 1지지부(30)와, 시트백(3)을 시트쿠션(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또한 위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40)로서 제 1지지부(30)보다 위쪽에 설치된 좌우 1쌍의 제 2지지부(40)를 가지고, 이들 제 1, 제 2지지부(30),(40)는, 시트백(3)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1쌍의 제 1지지부(30)는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시트백(3)의 하단부 부근과 시트쿠션브래킷(15)을 연결한다. 각 제 1지지부(30)는, 상단부가 시트쿠션브래킷(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시트백(3)의 사이드프레임(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31)를 가진다.
링크(31)의 상단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축부분(32)이 형성되고, 그 축부분(32)이, 시트쿠션브래킷(15)의 후술하는 가이드슬릿(41)의 아래쪽에 형성된 축구멍(35)에 회동가능하게 안쪽끼움되어 있다. 한편, 링크(31)의 하단부에 축구멍(33)이 형성되고, 그 축구멍(33)에 바깥쪽으로부터 볼트(36)가 상대회동가능하게 안쪽끼움되어 있다. 볼트(36)는 사이드프레임(21)에 형성된 구멍(37)을 끼우고 통하기 해서 그 안쪽으로 돌출하고, 볼트부재(36)에 대해서 링크(31)의 하단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볼트(36)가 너트(38)에 나사식붙이기 되어있다.
1쌍의 제 2지지부(40)는 좌우대칭으로 구성되고, 시트백(3)의 하반부중의 상단부 부근과 시트쿠션브래킷(15)을 연결한다. 각 제 2지지부(40)는, 시트쿠션브래킷(15)의 상단부부분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가이드슬릿(41)과, 사이드프레임(21)의 상하방향중단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형상으로 고착되어서 가이드슬릿(41)에 걸어맞춤한 걸어맞춤핀(42)을 가진다.
걸어맞춤핀(42)이 가이드슬릿(41)에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가이드슬릿(41)에 대해서 걸어맞춤핀(42)이 회동하고 또한 가이드슬릿(4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슬릿(4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걸어맞춤핀(42)에 너트(43)가 나사식붙이기 되어있다. 가이드슬릿(41)은 뒤쪽만곡형상으로 약 40°에 걸쳐서 형성되고, 시트백(3)이 상기 초기위치일때, 걸어맞춤핀(42)이 가이드슬릿(41)의 하단부에 걸어맞춤하는 동시에, 링크(31)는 연직자세로부터 약간 뒤아래쪽으로 약간경사한 자세로 되어있다.
1쌍의 파워스프링(6)은, 각각, 시트쿠션브레킷(15)의 바깥쪽에 배설되고, 파워스프링(6)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일단부가, 링크(31)의 축부분(32)에 형성된 걸어맞춤홈(32a)에 걸어맞춤되고, 파워스프링(6)의 외단(外端)부에 위치하는 타단부가 시트쿠션브레킷(15)의 가이드슬릿(41)과 축구멍(35)의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분(49a)에 걸어맞춤되어, 링크(31)를 개재해서 시트백(3)을 상기 초기위치에 회동부세하고 있다. 축부분(32)의 선단부에는 링부재(49b)가 고착되고, 이 링부재(49b)에 의해 파워스프링(6)이 걸어맞춤홈(32a)으로부터 걸어맞춤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축부분(32)이 축구멍(35)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빠짐방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제 1지지부(30)와 제 2지지부(40)를 가진 가동지지기구(5)를 설치함으로써,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3)의 초기위치의 순간중심이(5a)로, 회동도중위치의 순간중심이 (5b)로, 회동종료위치의 순간중심이 (5c)로 된다.
이와 같이, 시트백(3)의 회동위치에 따라서 순간 중심이 변화하나, 어떤 위치에 있어서의 시트백(3)의 순간중심은, 걸어맞춤핀(42)이 가이드슬릿(41)에 따라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한 수선(垂線)중 걸어맞춤핀(42)을 통과하는 직선(가이드슬릿(41)의 원호중심과 걸어맞춤핀(42)을 연결하는 직선)과, 링크(31)의 길이방향연장선(회동중심인 축부분(32)과 시트백(3)과의 연결부인 볼트(36)를 연결하는 직선)과의 교점으로서 구하게 된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백(3)의 회동종료위치의 순간중심(5c)은 초기위치의 순간중심(5a)보다 거리(a1)만큼 위쪽에 위치하고, 거리(b1)만큼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가동지지기구(5)는, 시트백(3)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장치(1)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후부충돌시이외의 통상시에는, 파워스프링(6)에 의해 시트백(3)이 초기위치에 회동부세되어서 유지되어 있다. 차량후부충돌시에 승무원 M의 허리부분 Ma부근으로부터 시트백(3)에 하중이 입력되면, 시트백(3)을 시트쿠션(2)의 시트쿠션브래킷(15)에 움직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지지기구(5)에 의해, 시트백(3)전체가 파워스프링(6)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그 하중입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순간중심을 중심으로 초기위치로부터 회동하고, 헤드레스트(4)가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한다.
기동지지기구(5)를 설치함으로써, 차량후부충돌시, 헤드레스트(4)와 함께 시트백(3) 전체를 회동시키고, 또한, 시트백(3)을 회동시키는 힘으로서, 승무원 M의 허리부분(Ma)부근으로부터 입력된 하중의 거의 전부가 작용하기 때문에, 시트백(3)의 회동의 응답성을 높이고 헤드레스트(4)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4)와 함께 시트백(3)을 회동시키기 때문에, 헤드레스트(4)에 작용하는 승무원 M의 머리부분(Mb)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성도 높일 수 있다.
시트백(3)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 중심이 앞쪽 또한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순간 중심에 대해서 헤드레스트(4)가 수평쪽으로 기울기때문에, 승무원M의 머리부분Mb를 받아낼때의 헤드레스(4)의 앞쪽으로의 이동속도가 작아지고, 헤드레스트(4)로부터 머리부분Mb에 작용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시트백(3)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 중심이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헤드레스트(4)에 의해 승무원 M의 머리부분Mb를 받아냈을때, 헤드레스트(4)로부터 순간 중심까지의 거리(c1)가 초기위치일때보다 작아진다. 즉, 승무원M의 머리부분(Mb)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시트백(3)을 초기위치쪽으로 회동시키는 모멘트가 작아지고, 헤드레스트(4)가 초기위치로 회동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의 결과, 차량후부충돌시, 뒤쪽 또는 시트백(3)의 자세에 따라서는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승무원 M의 머리부분 Mb를 헤드레스트(4)에 의해 효과적으로 받아내어서, 승무원M이 목뻐를 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시트백(3)의 순간중심을 비교적 아래쪽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승무원M의 허리부분Ma부근으로부터 시트백(3)에 입력되는 하중에 의해, 시트백(3)을 초기위치로부터 회동시키는 모멘트를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파워스프링(6)에 의해 시트백(3)을 초기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가동지지기구(5)에 있어서, 차량후부충돌시에, 제 1지지부(30)에 의해, 시트백(3)을 시트쿠션(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원호형상의 궤적을 따라서 요동시키고, 제 1지지부(30)의 위쪽에 설치된 제 2지지부(40)에 의해, 시트백(3)을 시트쿠션(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백(3) 전체를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4)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키고, 그때에 시트백(3)의 순간 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제 2지지부(30),(40)에 의해 시트백(3)과 함께 헤드레스트(4)를 지지하기 때문에, 시트백(3)과 헤드레스트(4)에 작용하는 승무원M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성을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제 1지지부(30)를 링크(31)를 가진 간단한 구조로, 또 제 2지지부(40)를 가이드슬릿(41)과 걸어맞춤핀(42)을 가진 간단한 구조로해서, 차량후부충돌시에, 시트백(3)전체를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4)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키는 것, 시트백(3)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키는 것, 시트백(3)과 헤드레스트(4)에 작용하는 승무원M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성을 높이는 것 등의 효과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고, 제작코스트적으로도 매우 유리하게 된다.
또, 시트백(3)의 회동시에, 특히 시트백(3)의 전후방향중단부분의 전후방향으로의 변이(變移)를 없애도록 하였으므로, 흉추(胸椎)에 상하방향으로의 신장부하를 주는 일없이, 시트백(3)에 의해 승무원M의 등부근을 안정적으로 받아내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변경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1]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구(5A)의 제 2지지부(40A)가, 상기 제 2지지부(40)의 원호형상의 가이드슬릿(41) 대신에, 앞쪽 아래쪽기울기로 경사형상의 가이드슬릿(50)을 가진다. 이에 의해,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3)의 초기위치의 순간중심이(5d)로, 회동도중위치의 순간중심이(5e),(5f)로, 회동종료위치의 순간중심이 (5g)로 된다.
또한, 어떤위치에 있어서의 시트백(3)의 순간중심은, 가이드슬릿의 길이방향을 향한 성분의 수직 2등분선과, 링크(41)의 길이방향연장선과의 교점으로서 근사적으로 구하게 된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백(3)의 회동종료위치의 순간중심(5g)은 초기위치의 순간중심(5d)보다 거리(a2)위쪽에 위치하고, 거리(b2)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헤드레스트(4)가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해서 시트백(3)의 순간중심이 앞쪽으로 거리(b2)이동하고, 또, 시트백(3)의 순간중심이 위쪽으로 거리(a2)이동하면, 순간중심에 대한 헤드레스트(4)가 수평쪽으로 매우 기울기때문에, 승무원M의 머리부분Mb를 받아낼때의 헤드레스트(4)의 이동속도의 앞쪽속도성분이 매우 작아져, 헤드레스트(4)로부터 머리부분Mb에 작용하는 충격을 극력저감할 수 있다.
또, 헤드레스트(4)가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해서 시트백(3)의 순간중심이 위쪽으로 거리(a2)이동하면, 헤드레스트(4)에 의해 승무원M의 머리부분Mb를 받아냈을때, 헤드레스트(4)로부터 순간 중심까지의 거리(c2)가 초기위치일때보다 매우 작아진다. 즉, 헤드레스트(4)가 초기위치로 매우 회동하기 어렵게 된다. 그외에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주효한다.
2]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구(5B)는, 승무원M의 허리부분Ma부근으로 부터의 하중입력시에, 다른(상하)2개소에 있어서, 시트백(3)을 시트쿠션(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또한 위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제 2지지부(30B),(40)를 가진다. 제 1지지부(30B)는, 시트쿠션브래킷(15)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가이드슬릿(51)과, 사이드프레임(21)에 바깥쪽으로 돌출형상으로 고착되어서 가이드슬릿(51)에 걸어맞춤한 걸어맞춤핀(52)을 가진다. 가이드슬릿(51)에 대한 걸어맞춤핀(52)의 이동궤적이 상기 실시형태의 링크(41)의 일단부와 동일한 원호위의 이동궤적이 되는 형상으로, 가이드슬릿(51)을 형성해도 된다. 이 변형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주효한다.
3]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구(5C)는, 승무원M의 허리부분Ma부근으로부터의 하중입력시에, 다른(상하)2개소에 있어서, 시트백(3)을 시트쿠션(2)에 대해서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제 2지지부(30),(40C)를 가진다. 제 2지지부(40C)는, 일단부가 시트쿠션브래킷(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시트백(3)의 사이드프레임(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53)를 가진다. 링크(53)의 타단부의 이동궤적이 상기 걸어맞춤핀(32)의 이동궤적과 동일한 이동궤적이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변형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주효한다.
4]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1지지부를, 시트쿠션브래킷(15)에 형성된 가이드슬릿과, 사이드프레임(21)에 바깥쪽으로 돌출형상으로 고착되어서 가이드슬릿에 걸어맞춤된 걸어맞춤핀을 가진 구조로 하고, 제 2지지부를, 시트쿠션브래킷(15)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백(3)의 사이드프레임(21)에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가진 구조로 해도 되며,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주효한다.
5]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구(5D)에 있어서, 제 1지지부(3D)의 링크(54)의 초기각도를 앞쪽비스듬이 아래쪽으로 약간 경사시켜서, 링크(54)의 회동각도를 크게 설정하는 동시에, 제 2지지부(40D)의 경사형상의 가이드슬릿(55)의 경사각도를 앞쪽아래쪽 기울기로 완만하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차량후부충돌시,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양만큼, 헤드레스트(4)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시트백(3)의 상단부쪽 부분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승무원의 어깨부분 부근이 시트백(3)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해서, 목뻐를 다치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6]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구(5E)에 있어서, 제 1지지부(30E)의 링크(56)를 길게 구성해도 되며,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구(5F)에 있어서, 제 1지지부(30F)와 제 2지지부(40F)의 거리를 길게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도,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구(5G)에 있어서, 제 1지지부(30G)의 높이를 낮게 설정하는 동시에, 제 2지지부(40G)의 높이를 낮게 설정해도 된다.
9]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 (3H)의 적어도 상단부쪽 부분에, 발포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60)를 설치해도 된다.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 M이 시트백(3H)으로 받아내어졌을때, 완화부재(60)에 의해 승무원M의 어깨부분부근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목뻐를 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10] 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3I)의 프레임(20I)중 승무원M의 어깨부분부근에 대응하는 상단부쪽부분을, 뒤쪽으로 (예를 들면, 30㎜정도)오프셋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20I)의 상단부쪽부분에 있어서, 프레임(20I)의 앞쪽에 쿠션부재 등을 두껍게 설치하여,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M이 시트백(3I)에 받아내어질때, 승무원M의 어깨부분부근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목뻐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11] 파워스프링(6) 등의 스프링부재를 생략해서, 시트쿠션(2)에 대하여, 통상시에는 시트백(3)을 초기위치에 유지하고, 차량후부충돌시에 시트백(3)을 유지해제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하는 유지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이 유지기구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차량후부충돌시의 충격에 의해 걸어맞춤부재를 걸어맞춤해제시키거나, 시트쿠션에 대해서 시트백을 고정연결하는 어떠한 부재를 파단하도록 구성하는 일이 가능하다.
12] 제 1, 제 2지지부를, 가이드슬릿과 걸어맞춤핀을 가진 구조로하는 경우, 가이드슬릿을 시트백(3)의 사이드프레임(21)에 형성하고, 걸어맞춤핀을 시트쿠션브래킷(15)에 고정적으로 장착해도 된다.
13] 시트백(3)과 헤드레스트(4)를 일체형으로 구성해도 된다.
14] 상기 시트장치의 구조는 일예를 표시하는 것에 불과하며, 기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을 부가한 형태에 의해 실시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에 의하면, 가동지지기구를 설치하였으므로, 차량후부충돌시, 헤드레스트와 함께 시트백전체를 회동시키고, 또한, 시트백을 회동시키는 힘으로서,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입력된 하중의 거의 전부가 작용하기 때문에, 차량후부충돌시, 시트백의 회동의 응답성이 향상되고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헤드레스트와 함께 시트백을 회동시키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에 작용하는 승무원의 머리부분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성도 높이고, 그 결과, 뒤쪽 또는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헤드레스트에 의해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을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받아낼때의 헤드레스트의 앞쪽으로의 이동속도를 작게해서, 헤드레스트로부터 머리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고, 헤드레스트에 의해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받아냈을때, 승무원의 머리부분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시트백을 초기위치쪽으로 회동시키는 모멘트가 작아진다. 또한,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순간 중심이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차량충돌시,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시트백에 입력되는 하중에 의해, 시트백을 회동시키는 모멘트가 증가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를 신속하게 승무원의 머리부분에 접근시키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이 결과,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의 머리부분을 헤드레스트에 의해 효과적으로 받아내어 목뻐다치는 것을 극력방지할 수 있다.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시트백의 순간중심을 비교적 아래쪽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시트백에 입력되는 하중에 의해, 시트백을 초기위치로부터 회동시키는 모멘트를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백을 초기위치에 유지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에 의하면, 시트백을 초기위치에 회동부세하는 부세부재를 설치하였으므로, 차량후부충돌시이외의 통상시에, 부세부재에 의해 시트백을 초기위치에 회동부세해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에 의하면, 차량후부충돌시에, 제 1지지부에 있어서,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원호형상의 궤적을 따라서 요동시켜, 제 1지지부보다 위쪽에 설치된 제 2지지부재에 있어서,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백 전체를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키고, 그때에 시트백의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제 2지지부에 의해 시트백과 함께 헤드레스트를 지지하기 때문에, 시트백과 헤드레스트에 작용하는 승무원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강성을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차량용 시트장치에 의하면, 제 1지지부를 링크를 가진 간단한 구조로하고, 제 2지지부를 가이드슬릿과 걸어맞춤핀을 가진 간단한 구조로해서, 본 발명의 제 3의 발명의 작용을 달성할 수 있어, 제작코스트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에 의하면, 제 1, 제 2지지부를 시트백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시트쿠션브래킷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코스트적으로도 유리하게 된다. 시트쿠션브래킷의 길이를 짧게해도, 시트백전체를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또 그때, 시트백의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시트백과 시트쿠션브래킷을 제 1, 제 2지지부를 개재해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에 의하면, 시트백의 프레임중 승무원의 어깨부분 부근에 대응하는 상단부쪽부분을, 뒤쪽으로 오프셋하였으므로, 시트백의 프레임의 상단부쪽 부분에 있어서, 뒤쪽으로 오프셋한 만큼 프레임의 앞쪽에 쿠션부재 등을 두껍게 설치할 수 있어,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이 시트백에 받아내어질때, 승무원의 어깨부분 부근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여, 목뻐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의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에 의하면, 시트백의 적어도 상단부쪽 부분에, 발포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설치하였으므로, 차량후부충돌시, 승무원이 시트백에 받아내어질때, 발포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에 의해, 승무원의 어깨부분 부근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여, 목뻐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의 시트쿠션브래킷에 연결지지된 시트백과, 시트백에 장비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의 시트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충돌을 받아서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 시트백에 하중이 입력되었을때, 그 하중입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순간중심을 중심으로 시트백전체를 통상시의 초기위치로부터 회동시켜서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시트백을 시트쿠션브래킷에 움직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지지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지지기구는, 시트백의 회동에 수반해서 그 순간중심을 위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을 초기위치에 회동부세하는 부세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지지기구는, 승무원의 허리부분 부근으로부터의 하중입력시에,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또한 위쪽으로 원호형상의 궤도를 따라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지지부와,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또한 위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로서 제 1지지부보다 위쪽에 설치된 제 2지지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는, 상단부가 시트쿠션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시트백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가지며, 제 2지지부는, 시트쿠션브래킷과 시트백의 한쪽에 설치된 가이드슬릿과 다른쪽에 고정된 가이드슬릿에 걸어맞춤한 걸어맞춤핀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지지부는 시트백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1지지부는 시트백의 하단부부근과 시트쿠션브래킷을 연결하고, 제 2지지부는 시트백의 하반부중의 상단부부근과 시트쿠션브래킷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6. 제 1항∼제 5항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중 승무원의 어깨부분 부근에 대응하는 상단부쪽 부분을, 뒤쪽으로 오프셋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7. 제 1항∼제 6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적어도 상단부쪽 부분에, 발포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KR1020000053974A 1999-09-17 2000-09-14 차량용 시트장치 KR20010030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340999 1999-09-17
JP1999-263409 1999-09-17
JP2000032988A JP3760979B2 (ja) 1999-09-17 2000-02-10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0-32988 2000-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376A true KR20010030376A (ko) 2001-04-16

Family

ID=2654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974A KR20010030376A (ko) 1999-09-17 2000-09-14 차량용 시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84901B1 (ko)
JP (1) JP3760979B2 (ko)
KR (1) KR20010030376A (ko)
DE (1) DE60028675T8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388A (ko) * 2002-11-14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
KR101252201B1 (ko) * 2010-12-09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목상해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2109A1 (de) * 2000-12-29 2002-07-11 Ingbuero Schimmelpfennig & Bec Fahrzeugsitz
DE10139763B4 (de) * 2001-08-13 2004-11-0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FR2843343B1 (fr) 2002-08-12 2005-04-01 Renault Sa Appuie-tete actif pour siege de vehicule roulant
FR2846921B1 (fr) * 2002-11-08 2006-12-15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dote d'un dispositif de protection du cou en cas de choc arriere
DE10355246B3 (de) * 2003-11-26 2005-05-12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Fahrzeugsitz
US7644987B2 (en) 2004-09-27 2010-01-12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having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ES2345791T5 (es) 2006-06-16 2013-12-16 Innovation & Safety, S.L. Asiento de vehículo desmontable
JP2008254721A (ja) * 2007-03-13 2008-10-23 Delta Kogyo Co Ltd 車両用シート
KR101053515B1 (ko) * 2010-12-08 2011-08-03 이규형 차량시트용 충격흡수장치
KR101262970B1 (ko) 2011-05-13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프레임 마운팅 브라켓 및 시트프레임 유닛
US9409504B2 (en) 2013-01-24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096157B2 (en) 2013-01-24 2015-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air distribution system
US9016784B2 (en) 2013-01-24 2015-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in seat leg support system and suspension
US9016783B2 (en) 2013-01-24 2015-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in seat flex rest composite cushion extension
US9061616B2 (en) 2013-01-24 2015-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headrest assembly
US9126508B2 (en) 2013-01-24 2015-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pper seatback pivot system
US9399418B2 (en) 2013-01-24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9126504B2 (en) 2013-01-24 2015-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thin flex composite headrest assembly
US9415713B2 (en) 2013-01-2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8727374B1 (en) 2013-01-24 2014-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back with side airbag deployment
US9902293B2 (en) 2013-01-24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with optimized leg-splay angle
US9216677B2 (en) 2013-01-24 2015-1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ick-connect trim carrier attachment
US9193284B2 (en) 2013-06-11 2015-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cushion bolster for ingress/egress
US9527418B2 (en) 2013-09-12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mi rigid push/pull vented envelope system
US8905431B1 (en) 2013-09-24 2014-1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US9187019B2 (en) 2013-10-17 2015-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igh support for customer accommodation seat
US9505322B2 (en) 2013-10-25 2016-1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al lumbar pump assembly
US9566884B2 (en) 2013-11-1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head restraint electrical connector
US9315130B2 (en) 2013-11-11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head restraint
US9365143B2 (en) 2013-12-12 2016-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seat modular cushion
US9649963B2 (en) 2014-03-0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Pllc Trim and foam assembly for a vehicle seat
DE102014206983B4 (de) * 2014-03-14 2020-06-10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Energieabsorption bei Unfällen
US9527419B2 (en) 2014-03-31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cushion tilt
US9302643B2 (en) 2014-04-02 2016-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side airbag deployment
US9421894B2 (en) 2014-04-02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9694741B2 (en) 2014-08-25 2017-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mbient functional lighting of a seat
US10471874B2 (en) 2014-09-02 2019-1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ssage bladder matrix
US9789790B2 (en) 2014-10-03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9333882B2 (en) 2014-10-03 2016-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al upper seatback support
US9776533B2 (en) 2014-10-03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bar upper seatback support assembly
US9771003B2 (en) 2014-10-29 2017-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customizing a vehicle seat for an occupant
US9517777B2 (en) 2014-11-06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ne departure feedback system
US9340131B1 (en) 2014-11-06 201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 restraint with a multi-cell bladder assembly
US10065570B2 (en) 2014-12-10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seat
US9593642B2 (en) 2014-12-19 2017-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cam carrier
US9663000B2 (en) 2015-01-16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configured to improve access
US9707877B2 (en) 2015-01-20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thigh extension and support trim carrier
US9365142B1 (en) 2015-01-20 2016-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al independent thigh extensions
US9566930B2 (en) 2015-03-02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with side-impact airbag deployment mechanism
US9802535B2 (en) 2015-04-27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having ambient lighting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9718387B2 (en) 2015-08-03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9688174B2 (en) 2015-08-07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cell seat cushion assembly
US9573528B1 (en) 2015-08-25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eatback storage
US9809131B2 (en) 2015-12-04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US9931999B2 (en) 2015-12-17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panel lower clip anchorage features for dynamic events
US10093214B2 (en) 2016-01-14 2018-10-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chanical manual leg tilt
US9914421B2 (en) 2016-01-15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flexible slip plane joint for side air bag deployment
US10035442B2 (en) 2016-01-25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upper seatback module
US9776543B2 (en) 2016-01-25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9756408B2 (en) 2016-01-25 2017-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ound system
US10052990B2 (en) 2016-01-25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nded seatback module head restraint attachment
US10046681B2 (en) 2016-04-12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10081279B2 (en) 2016-04-12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thigh extension trim tensioning slider mechanism
US10625646B2 (en) 2016-04-12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49856B1 (en) 2016-06-07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10596936B2 (en) 2017-05-0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retaining elastic strap for vent blower attachment to a back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494A (en) * 1992-10-29 1995-08-01 Life Force Associates, L.P. Rearward moving seat
JP2840025B2 (ja) 1994-04-27 1998-12-2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
AU716487B2 (en) * 1995-09-14 2000-02-24 Autoliv Development Ab A seat for use in a vehicle
DE19646304C2 (de) * 1996-08-03 1998-07-23 Grammer Ag Fahrzeugsitz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und gleichzeitig verstellbarer Sitzplatte
FR2765533B1 (fr) * 1997-07-03 1999-09-03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dote d'un dispositif de protection du cou en cas de choc arriere
JP2862853B2 (ja) 1997-09-30 1999-03-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
DE19853981B4 (de) * 1997-11-21 2017-01-05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388A (ko) * 2002-11-14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
KR101252201B1 (ko) * 2010-12-09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목상해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8675T8 (de) 2007-10-18
EP1084901A3 (en) 2003-08-20
EP1084901A2 (en) 2001-03-21
JP2001150993A (ja) 2001-06-05
DE60028675D1 (de) 2006-07-27
JP3760979B2 (ja) 2006-03-29
DE60028675T2 (de) 2007-05-24
EP1084901B1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0376A (ko) 차량용 시트장치
EP1084050B1 (en) Chair structure
JP3623441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101252201B1 (ko) 차량 시트의 목상해 방지장치
US8246112B2 (en) Vehicle seat
GB2359017A (en) A vehicle seat head-rest
US20110193378A1 (en) Impact absorption block for vehicle seatback assembly
KR20030015025A (ko) 자동차의 서브마린 방지용 패널 구조
EP1247724B1 (en) Vehicle body structure with a curved side pillar
JP522851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229524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20070054282A (ko) 차량용 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JP5487346B1 (ja) 車両用頭頸部保護装置
KR100454124B1 (ko) 경추보호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580001B1 (ko) 후방추돌에 의한 상해 방지용 시트
JP5512081B2 (ja) 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シート
JP3563685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200477677Y1 (ko)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WO2002022399A2 (en) Energy dissipating vehicle seat
KR20070065720A (ko) 여객 운송기 시트용 액티브 헤드 레스트 구동장치
JP3595767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20080102841A (ko) 목 보호용 헤드레스트
KR100569365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KR20030081693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완충장치
KR100494505B1 (ko) 차량의 시트 등받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