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77Y1 -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77Y1
KR200477677Y1 KR2020100012985U KR20100012985U KR200477677Y1 KR 200477677 Y1 KR200477677 Y1 KR 200477677Y1 KR 2020100012985 U KR2020100012985 U KR 2020100012985U KR 20100012985 U KR20100012985 U KR 20100012985U KR 200477677 Y1 KR200477677 Y1 KR 200477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ushion
cushion frame
pin ho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535U (ko
Inventor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2020100012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7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을 강하게 가압하더라도 시트 양측면 후방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에 구비된 헤드레스트를 통해 시트 착석자의 목 부위를 최대한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트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Rotation link}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추돌 사고시에 시트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목 상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중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은 각각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은 시트쿠션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은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연접부위에 장착된 리클라이닝장치에 의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은 시트레일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이의 역할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된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프레임(1)에 장착된 높이조절장치(2)가 동작하면, 상기 높이조절장치(2)를 구성하는 피니언샤프트(3)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샤프트(3)가 회전하면 랙바(4)의 랙(5)이 상기 피니언샤프트(3)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랙바(4)가 힌지축(6)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레일브라켓(7)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시트쿠션 프레임(1)에 타단이 고정 결합된 전방링크(8,9)가 회전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이동레일브라켓(7)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후방파이프(10)에 타단이 고정 결합된 후방링크(11,12)가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 결과 시트쿠션 프레임(1)이 시트레일(13)에 대해 상측으로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시트쿠션의 높이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링크(8,9)와 상기 후방링크(11,12)는 시트쿠션 프레임(1)의 양쪽 측면에 각각 한 개씩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바, 즉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된 시트쿠션 프레임(1)의 한쪽 측면에 설치된 전방링크(8) 및 후방링크(11)와, 상기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시트쿠션 프레임(1)의 반대쪽 측면에 설치된 전방링크(9) 및 후방링크(12)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미설명 도면번호 14는 시트백 프레임이고, 15는 시트레일을 구성하면서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이며, 16은 고정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레일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트쿠션 높이조절장치 구성 및 동작설명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2009년 11월 18일자로 특허 출원한 10-2009-0111208호를 통해 이미 상세히 기재한 바 있기에, 본 명세서에서는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는 후방 추돌 사고 발생시 시트백을 가압하는 시트 착석자 상체의 가압력에 의해 시트의 한쪽 측부가 지면을 향해 가라않게 됨에 따라 시트 착석자의 목 부위 상해치를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면 시트 착석자의 상체는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을 강하게 타격하게 되고, 시트백을 통해 시트 착석자 상체의 가압력을 전달받은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인 후방부가 지면을 향하는 아래쪽으로 다운(down)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이때, 시트의 양쪽 측면 중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된 일측면은 피니언샤프트(3)와 랙(5)의 강한 치합력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시트 착석자의 보호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시트의 반대쪽 측면은 시트의 처짐을 구속할만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인 후방부가 지면을 향하는 아래쪽으로 다운(down)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방 추돌 사고시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시트의 반대쪽 측면에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인 후방부가 시트 착석자 상체의 가압력에 의해 다운되면, 시트에 구비된 헤드레스트가 시트 착석자의 목 부위를 충분히 받쳐주지 못하게 되고, 이 결과 시트 착석자의 목 상해치가 가중되어 큰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의 양쪽 측면 중 높이조절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시트의 한쪽 측면에 시트의 처짐 방지를 위한 구조가 갖추어짐에 따라, 후방 추돌 사고시 시트백에 작용하는 시트 착석자 상체의 가압력에 의해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인 시트의 후방부가 지면을 향해 다운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시트 착석자의 목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양 측면 중 높이조절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어느 한쪽 측면에서 일단은 시트레일을 구성하는 이동레일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후방파이프에 고정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핀구멍이 관통 형성된 후방링크와; 상기 핀구멍을 관통해서 상기 후방링크와 대면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스톱퍼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핀구멍은 상기 후방파이프를 중심으로 한 회전반경을 따라 양단이 길게 형성된 원호형상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구멍에는 상기 스토퍼핀과의 강한 결합력을 유발하여 외부 하중에 의한 시트 후방부의 다운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치형이 상기 핀구멍의 원호형상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을 강하게 가압하더라도 시트 양측면 후방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에 구비된 헤드레스트를 통해 시트 착석자의 목 부위를 최대한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트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종래 시트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처짐 방지장치를 구비한 시트의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용 시트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시트이며, 시트의 높이조절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시트쿠션 프레임(1)의 양쪽 측면 중 어나 하나의 측면에 장착된 높이조절장치(2)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높이조절장치(2)가 동작하면 상기 높이조절장치(2)를 구성하는 피니언샤프트(3)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샤프트(3)가 회전하면 랙바(4)의 랙(5)이 상기 피니언샤프트(3)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랙바(4)가 힌지축(6)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레일브라켓(7)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시트쿠션 프레임(1)에 타단이 고정 결합된 전방링크(8,9)가 회전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이동레일브라켓(7)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후방파이프(10)에 타단이 고정 결합된 후방링크(11,12)가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 결과 시트쿠션 프레임(1)이 시트레일(13)에 대해 상측으로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시트쿠션의 높이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링크(8,9)와 상기 후방링크(11,12)는 시트쿠션 프레임(1)의 양쪽 측면에 각각 한 개씩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바, 즉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된 시트쿠션 프레임(1)의 한쪽 측면에 설치된 전방링크(8) 및 후방링크(11)와, 상기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시트쿠션 프레임(1)의 반대쪽 측면에 설치된 전방링크(9) 및 후방링크(12)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시트는 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면 시트 착석자의 상체는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을 강하게 타격하게 되고, 시트백을 통해 시트 착석자 상체의 가압력을 전달받은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인 후방부가 지면을 향하는 아래쪽으로 다운(down)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이때, 시트의 양쪽 측면 중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된 일측면은 피니언샤프트(3)와 랙(5)의 강한 치합력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시트 착석자의 보호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시트의 반대쪽 측면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인 후방부가 지면을 향하는 아래쪽으로 크게 다운(down)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의 다운 현상이 발생하면 시트 착석자의 목 상해치가 가중되어 큰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본 고안은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시트의 반대쪽 측면에 시트의 처침 방지를 위한 장치를 마련하여, 시트의 다운 현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시트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는 도 4와 같이 시트쿠션 프레임(1)의 양쪽 측면 중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어느 한쪽 측면에서 일단은 시트레일(13)을 구성하는 이동레일브라켓(7)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후방파이프(10)에 고정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핀구멍(12a)이 관통 형성된 후방링크(12)와, 상기 핀구멍(12a)을 관통해서 상기 후방링크(12)와 대면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스톱퍼핀(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핀구멍(12a)은 상기 후방파이프(10)를 중심으로 한 회전반경을 따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의 전방부로 갈수록 최소높이가 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의 후방부로 갈수록 최대높이가 되도록 양단이 길게 형성된 원호형상 구멍으로, 상기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도 4의 상태에서 후방링크(12)가 힌지축(6)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스톱퍼핀(17)이 상기 원호형상 핀구멍(12a)을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다운(down) 상태의 시트쿠션 프레임(1)은 시트레일(13)의 상측으로 원활히 상승하여 업(up) 상태가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핀구멍(12a)에는 상기 스토퍼핀(17)과의 강한 결합력을 유발하여 외부 하중에 의한 시트 후방부의 다운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치형(12b)이 상기 핀구멍(12a)의 양쪽 내측면에 원호형상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구조가 특징이다.
따라서, 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면 시트 착석자의 상체는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을 강하게 타격하게 되고, 시트백을 통해 시트 착석자 상체의 가압력을 전달받은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인 후방부가 지면을 향하는 아래쪽으로 다운(down)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이때, 시트의 양쪽 측면 중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된 일측면은 피니언샤프트(3)와 랙(5)의 강한 치합력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시트의 반대쪽 측면도 스토퍼핀(17)이 핀구멍(12a)의 치형(12b)에 강하게 끼여져 움직임이 구속됨에 따라 이 부위에서도 시트의 처짐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시트백을 강하게 가압하더라도 시트 양측면 후방부의 처짐이 방지됨에 따라, 시트에 구비된 헤드레스트를 통해 시트 착석자의 목 부위를 최대한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시트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 - 시트쿠션 프레임 2 - 높이조절장치
7 - 이동레일브라켓 10 - 후방파이프
13 - 시트레일 12 - 후방링크
12a - 핀구멍 12b - 치형
17 - 스톱퍼핀

Claims (3)

  1. 시트쿠션 프레임(1)의 양 측면 중 높이조절장치(2)가 장착되지 않은 어느 한쪽 측면에서 일단은 시트레일(13)을 구성하는 이동레일브라켓(7)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후방파이프(10)에 고정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의 전방부로 갈수록 최소높이가 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의 후방부로 갈수록 최대높이가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핀구멍(12a)이 형성되며, 상기 핀구멍(12a) 내부에는 시트후방부의 다운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치형(12b)이 상기 핀구멍(12a)의 원호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내측면에 형성되는 후방링크(12);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에 고정되고, 상기 핀구멍(12a)으로 삽입되며, 시트후방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상기 치형(12b)에 끼워져 시트의 움직임을 구속시키는 스톱퍼핀(17)
    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00012985U 2010-12-15 2010-12-15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KR200477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85U KR200477677Y1 (ko) 2010-12-15 2010-12-15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85U KR200477677Y1 (ko) 2010-12-15 2010-12-15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535U KR20120004535U (ko) 2012-06-25
KR200477677Y1 true KR200477677Y1 (ko) 2015-07-24

Family

ID=4685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985U KR200477677Y1 (ko) 2010-12-15 2010-12-15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7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5508A (ja) * 2005-05-12 2006-11-24 Shiroki Corp シート
KR20080045209A (ko) * 2005-09-15 2008-05-22 인티어 오토모티브 시팅 시스템스 게엠베하 시트 쿠션 로커 기구를 갖는 시트 조립체
KR20090015452A (ko) * 2007-08-08 2009-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09208737A (ja) * 2008-03-06 2009-09-1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5508A (ja) * 2005-05-12 2006-11-24 Shiroki Corp シート
KR20080045209A (ko) * 2005-09-15 2008-05-22 인티어 오토모티브 시팅 시스템스 게엠베하 시트 쿠션 로커 기구를 갖는 시트 조립체
KR20090015452A (ko) * 2007-08-08 2009-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09208737A (ja) * 2008-03-06 2009-09-1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535U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3095B2 (en) Seat
US9381840B2 (en) Seat
JP3113656U (ja) 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3760979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7604213B2 (en)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KR101252201B1 (ko) 차량 시트의 목상해 방지장치
KR101272933B1 (ko)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US10106057B2 (en) Seat for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eat
US9145071B2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JP5921767B2 (ja) 車両座席の垂直調整用の座席調整装置
JP2015515946A5 (ko)
JP5153794B2 (ja) バックレスト支持機構
KR101053515B1 (ko) 차량시트용 충격흡수장치
KR200477677Y1 (ko)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KR101875430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다이브 시트
KR101945797B1 (ko) 파워 헤드레스팅 장치
JP3723407B2 (ja) シートベルトアンカの係止構造
JP4967303B2 (ja) 車両用シートの支持構造
KR20070054282A (ko) 차량용 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074787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해제 방지구조
KR100461319B1 (ko) 자동차의 측면충격 보호용 시트
KR19990041853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조
JP2001158260A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KR20070065720A (ko) 여객 운송기 시트용 액티브 헤드 레스트 구동장치
KR100534945B1 (ko) 목 상해 방지용 자동차 시트의 처짐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