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913A - 용량성 부하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량성 부하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913A
KR20010020913A KR1020000028753A KR20000028753A KR20010020913A KR 20010020913 A KR20010020913 A KR 20010020913A KR 1020000028753 A KR1020000028753 A KR 1020000028753A KR 20000028753 A KR20000028753 A KR 20000028753A KR 20010020913 A KR20010020913 A KR 20010020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terminal
power supply
curr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780B1 (ko
Inventor
쯔찌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2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구동회로는, 입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 및 게이트를 구비한 제 1 FET, 제 1 전원단자에 접속된 드레인, 출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2 FET, 제 1 전원단자와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전류제어회로, 입력단자와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전류제어회로, 및 출력단자와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3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전압만큼 입력전압으로부터 벗어난 전압으로 바이어스되어, 제 2 트랜지스터는 소스-폴로워 방식으로 발진없이 동작한다. 따라서, 구동회로는 커패시터없이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회로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량성 부하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DRIVE CIRCUIT AND DRIVE CIRCUIT SYSTEM FOR CAPACITIVE LOAD}
본 발명은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예컨대 LCD 의 용량성 부하의 구동회로의 출력단을 구성하는 구동기 또는 버퍼에 사용되는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용량성 부하의 구동회로의 전형예로서 LCD 가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의 LCD 의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픽셀 전극과 그 위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TFT) 를 갖는 반도체 기판, 기판의 전체 표면을 덮도록 형성된 단일의 투명 공통 전극을 갖는 대향기판, 및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 두 개의 기판 사이에 캡슐화된 액정을 구비한다. 스위칭 기능을 갖는 TFT 를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전압이 선택된 픽셀전극에 인가되어 액정의 트랜스미턴스가 각 픽셀 전극과 상기 대향하는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변화된다.
반도체 기판상에는, 복수의 다른 레벨의 전압 (그래데이션 전압) 을 공급하여 각 픽셀 전극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 및 각 TFT 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라인이 위치된다. 데이터 라인과 대향되는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액정 커패시턴스와, 데이터 라인과 서로 교차하는 주사 라인과의 사이의 커패시턴스로 인하여 데이터 라인은 큰 용량성 부하가 된다. 그래데이션 전압은 데이터라인을 경유하여 각 픽셀 전극으로 인가되고, 상기 그래데이션 전압은 각각의 하나의 프레임 주기에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모든 픽셀로 기입되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 구동회로는 큰 용량성 부하를 갖는 해당 데이터 라인을 신속히 구동해야 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 구동회로는 높은 전압 정밀도를 가지고 큰 커패시턴스를 갖는 해당 데이터 라인을 빠르게 구동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다양향 데이터 라인 구동회로가 개발되었다. 이제까지 개발된 다양한 데이터 라인 구동회로 중에서, 높은 전압 정밀도의 출력 및 신속한 구동을 가능하게 한 회로는 연산증폭기로 형성된 구동기 (버퍼) 부를 포함하는 구동회로이다. 전형적이고도 가장 간단한 일례가 도 16 에 도시되었다.
도 16 의 연산증폭기는 입력전압 (Vin) 과 동일한 전압을 출력전압 (Vout) 으로서 출력할 수 있는 전압 폴로어 (follower) 의 형태이다. 도시된 연산증폭기는 차동증폭기단 (610) 과 출력증폭기단 (620) 으로 구성된다. 차동증폭기단 (610) 은 전류제어회로 (601), 동일 특성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 (603 및 604), 및 동일 특성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 (605 및 606) 를 포함하며, 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다.
약술하면, NMOS 트랜지스터 (605 및 606) 는 공통으로 접속된 게이트, 및 전원단자 (T14) 에 공통으로 접속된 소스를 각각 구비한다. NMOS 트랜지스터 (606) 의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 (606)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 (603 및 604) 는 공통으로 접속된 소스를 각각 구비한다. PMOS 트랜지스터 (603) 의 게이트는 입력단자 (T1) 에 접속되어 입력전압 (Vin) 을 수신한다. PMOS 트랜지스터 (603) 의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 (605) 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 (604) 의 게이트는 출력전압 (Vout) 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 (T2) 로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 (604) 의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 (606) 의 드레인으로 접속된다. 전류제어회로 (601) 는 전원단자 (T13) 와 PMOS 트랜지스터 (603 및 604) 의 공통 접속된 소스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반면, 출력증폭기단 (620) 은 전류제어회로 (602), NMOS 트랜지스터 (607) 및 커패시터 (608) 을 포함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다. 전류제어회로 (602) 는 전원단자 (T11) 와 출력단자 (T2) 사이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 (607) 는 출력단자 (T2) 에 접속된 드레인, 전원단자 (T12) 에 접속된 소스, 및 PMOS 트랜지스터 (603) 와 NMOS 트랜지스터 (605) 의 공통 접속된 드레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다. 커패시터 (608) 는 NMOS 트랜지스터 (607) 의 게이트와 출력단자 (T2) 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여기서, 전류제어회로 (601 및 602) 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는 각각 I61 및 I62 라 한다. 전압 VDD는 전원단자 (T11및 T13) 로 인가되며, 전압 Vss 는 전원단자 (T12및 T14) 로 인가된다. 또한, 출력단자 (T2) 는 용량성 부하인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다.
출력전압 (Vout) 은 차동증폭기단 (610) 에 피드백되기 때문에, 즉, 출력전압 (Vout) 은 PMOS 트랜지스터 (604) 의 게이트로 공급되기 때문에, 도 16 의 연산증폭기는 전압증폭도가 "1" 이며, 높은 전류공급용량을 갖는 구조 (전압 폴로워)를 구비한다.
동작시, 출력전압 (Vout) 이 입력전압 (Vin) 보다 낮은 경우, NMOS 트랜지스터 (607) 의 게이트 전압은 낮아져, NMOS 트랜지스터 (607) 가 일시적으로 오프상태가 되어, 출력전압 (Vout) 이 전류제어회로 (602) 를 통해 공급된 전류 (I62) 에 의해 풀업되는 결과가 된다. 한편, 출력전압 (Vout) 이 입력전압 (Vin) 보다 높은 경우, NMOS 트랜지스터 (607) 의 게이트 전압은 승압되어, 출력전압 (Vout) 이 NMOS 트랜지스터 (607) 의 작용에 의해 풀다운된다. 이 때, NMOS 트랜지스터 (605 및 606) 는 각각의 드레인-소스의 경로를 통해 동일한 전류를 흘리도록 동작하므로, 출력전압 (Vout) 은 감쇠되어, 신속히 입력전압 (Vin) 으로 수렴된다. 이 동작에서, 커패시터 (608) 에 의해 위상 보상이 수행되어 발진이 방지된다.
상술한 동작에서, 지정되거나 선택된 그래데이션 전압은 각 출력기간동안 입력전압 (Vin) 으로서 공급되며, 높은 전류 공급용량으로 상기 그래데이션 전압에 의해, 연산증폭기는 큰 커패시턴스를 가지며 출력단자 (T2) 에 접속된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연산증폭기는,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회로의 전류 공급용량에 무관하게, 임피던스 변환의 동작에 의해,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6 (전압 폴로워 회로) 의 연산증폭기는 피드백 구조를 가지므로, 발진이 종종 일어나고, 따라서 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위상 보상 커패시터 등의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산증폭기가 집적회로로서 집적되는 경우, 위상 보상 커패시터는 흔히 점유면적이 큰 칩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다수의 연산증폭기가 단일의 집적회로 내에 설치되는 경우, 집적회로에 요구되는 면적이 커져,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정밀도의 전압출력으로 부하를 신속히 구동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만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간단한 회로구조를 갖고, 발진없이 안정하게 동작가능한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구동회로가 집적회로로서 집적될 때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은, 입력전압을 제 1 전압으로 레벨 변환시키는 레벨 변환수단, 상기 제 1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게이트 및 상기 입력전압에 따른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소스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소스 폴로워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 1 전류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도전형의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레벨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구동회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입력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전압을 출력하기 위하여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레벨 변환수단은 또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간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 1 전원단자, 입력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출력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단자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하며,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인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간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전류 제어수단,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간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전류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동회로가 제공된다.
이 구동회로에서, 상기 제 1 전류제어수단은 제 2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접속된 제 1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류제어수단은 상기 출력단자와 제 3 전원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2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전류제어회로가 상기 입력단자와 제 4 전원단자간에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회로는, 적어도,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제 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제 2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치,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3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3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4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회로는 하나 이상의 소정 전압으로 출력단자를 프리차지하는 제 1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 1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2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회로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제 1 전류제어회로는 제 2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드레인-소스 경로를 갖는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류제어회로는 상기 출력단자와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드레인-소스 경로를 갖는 제 2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는 다른 도전형이다. 상기 제 3 전류제어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드레인-소스 경로를 갖는 제 3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이다. 상기 구동회로는 제 1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제 2 바이어스 트랜지스터가 직렬로 접속된 바이어스 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의 것과 다른 도전형이다. 상기 제 1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갖는다. 상기 제 1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이며, 상기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게이트-소스 전압을 갖는다. 상기 제 2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및 제 3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게이트-소스 전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르면, 입력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출력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를 갖는 제 1 의 n-채널 트랜지스터;
제 1 전원단자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2 의 n-채널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전류제어수단, 및
상기 제 2 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를 갖는 제 1 의 p-채널 트랜지스터;
제 2 전원단자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2 의 p-채널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 3 전류제어수단; 및
상기 제 2 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 4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구동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제어수단은 제 3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류제어수단은 상기 출력단자와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전류제어수단은 제 5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 3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4 전류제어수단은 상기 출력단자와 제 6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4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제 7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5 전류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제 8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6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회로는, 적어도,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제 1 의 n-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전류제어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치,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7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5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7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3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의 n-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4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구동회로는, 적어도,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5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의 p-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5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5 스위치,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6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4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6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6 스위치,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8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6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8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7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의 p-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8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회로 시스템은, 상기 출력단자를 하나 이상의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1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접속에서는, 상기 구동회로 시스템은 상기 제 1 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 1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2 프리차지수단, 및 상기 제 1 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 2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3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따르면:
제 1 전원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제어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1 도전형의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전원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공통으로 접속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해 동일한 드레인-소스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의 도전형을 갖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스에 각각 접속된 게이트와 소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디바이스 크기를 갖는 제 1 도전형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시터,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스에 각각 접속된 게이트와 소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디바이스 크기를 갖는 제 2 도전형의 하나 이상의 제 2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로 이루어진 구동회로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전류에 의해 분명하게 결정된다. 그러므로, 입력전압 (Vin) 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로 인가되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입력전압 (Vin) 으로부터 벗어난 전압이 된다. 한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전원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수신하므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소스 폴로워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전류가 제어되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은 명백히 결정되므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로부터 얻어지는 출력전압 (Vout) 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으로부터 벗어난 전압에서 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입력전압 (Vin) 에 따른 출력전압 (Vout) 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전압 (Vin) 이 변동되면,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폴로워 동작의 작용에 의해 출력전압 (Vout) 은 입력전압 (Vin) 에 따른 전압으로 신속히 변화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개념에 따른 구동회로의 개념적인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개념에 따른 구동회로의 개념적인 회로도.
도 3 은 도 2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4 는 도 2 의 구동회로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도 5a 는 도 4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5b 는 도 4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전압 파형도.
도 6 은 도 2 의 구동회로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도 7a 는 도 6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7b 는 도 6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전압 파형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개념에 따른 구동회로의 개념적인 회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4 개념에 따른 구동회로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도 10a 는 도 9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10b 는 도 9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전압 파형도.
도 11 은 도 9 의 구동회로의 더 상세한 실시예의 회로도.
도 12 는 도 11 의 구동회로의 일실시예의 개조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3a 는 도 12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13b 는 도 12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전압 파형도.
도 14a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와 관련된 전류제어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4b 및 도 14c 는 각각 도 11 및 도 12 의 구동회로로 구동회로가 교체된, 도 14a 의 회로의 개조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4d, 도 14e, 및 도 14f 는 도 14a 의 하나의 바이어스 회로가 복수의 구동회로에 공통으로 접속된 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5a 는 도 14 의 전류제어회로의 개조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5b 및 도 15c 는 각각 도 11 및 도 12 의 구동회로로 구동회로가 교체된, 도 15a 의 회로의 개조예의 회로도.
도 15d, 도 15e, 및 도 15f 는 도 15a 의 하나의 바이어스 회로가 복수의 구동회로에 공통으로 접속된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16 은 종래기술의 구동회로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2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3, 4, 5 : 전류제어회로
11, 12, 21, 22, 23, 24, 111, 112, 121, 122, 123, 124 : 스위치
101, 102, 231, 504, 505, 605, 606 : NMOS 트랜지스터
33, 34, 103, 131, 201, 503, 603, 604 : PMOS 트랜지스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서, 상호 대응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부재번호 또는 기호가 주어진다. 또한, 모든 도시된 회로는 전력 공급원의 수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개념에 따른 구동회로의 개념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회로는, 동일 도전형이며 공통으로 접속된 각각의 게이트를 갖는 2 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1 및 2) 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지스터 (1) 는 서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 및 입력단자 (T1) 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다. 상기 트랜지스터 (2) 는 전원단자 (T3) 에 접속된 드레인 및 출력단자 (T2) 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다. 전류제어회로 (3) 는 상기 전원단자 (T3) 에서 입력단자 (T1) 로 흐르는 전류 (I1) 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단자 (T3) 와 상기 트랜지스터 (1) 의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다. 전류제어회로 (4) 는 상기 입력단자 (T1) 에서 전원단자 (T4) 로 흐르는 전류 (I2) 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단자 (T1) 와 전원단자 (T4) 사이에 접속된다. 전류제어회로 (5) 는 출력단자 (T2) 에서 전원단자 (T4) 로 흐르는 전류 (I3) 를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단자 (T2) 와 전원단자 (T4) 사이에 접속된다. 전압 (E1및 E2) 은 전원단자 (T3및 T4) 에 각각 공급된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터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되지 않음) 에 접속된다. 덧붙여, 도 1 의 참조부호 "s" 는 트랜지스터의 소스단자를 나타낸다. 이것은 다른 도면에도 적용된다.
이하, 도 1 의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전압 (Vin) 이 입력단자 (T1) 로 인가되면, 트랜지스터 (1) 의 게이트 전압 (V1) 은 입력전압 (Vin) 에서 트랜지스터 (1)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1) 만큼 벗어난 전압이 된다.
V1= Vin + Vgs1 (1)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드레인-소스 전류 (Ids) 및 게이트-소스 전압 (Vgs) 사이의 관계에 있어 고유한 특성 (본 명세서에서 "Ids-Vgs 특성" 이라 함) 을 가지므로, 트랜지스터 (1)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1) 은 상기 트랜지스터 (1) 의 Ids-Vgs 특성과 전류 (I1) 에 의해 명백히 결정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1) 의 드레인-소스 전류를 I1이라고 가정하면, 트랜지스터 (1)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1) 은 Vgs1(I1) 이 되며, 트랜지스터 (1) 의 게이트 전압 (V1) 은 다음의 상태에서 안정하게 된다.
V1= Vin + Vgs1(I1) (2)
또한, 상기 전압 (V1) 이 트랜지스터 (2) 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경우, 출력전압 (Vout) 은 전압 (V1) 에서 트랜지스터 (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2) 만큼 벗어난 전압이 된다.
Vout = V1- Vgs2 (3)
이 출력전압 (Vout) 은 트랜지스터 (2) 의 드레인-소스 전류가 전류 (I3) 와 같게 되는 때 안정된다. 이 상태의 상기 트랜지스터 (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2) 은 트랜지스터 (2) 의 Ids-Vgs 특성과 전류 (I3) 에 의해 명백히 결정되는 Vgs2(I3) 이 된다. 즉, 출력전압 (Vout) 은 다음의 상태에서 안정된다.
Vout = V1- Vgs2(I3) (4)
상기 식 (2) 및 (4) 로부터, 입력전압 (Vin) 이 일정하면, 출력전압 (Vout) 은 다음과 같이 된다 :
Vout = Vin + Vgs1(I1) - Vgs2(I3) (5)
이 때, 출력전압 범위는, 적어도 트랜지스터 (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2(I3)) 을 뺀, 전원전압 (E1) 과 전원전압 (E2) 사이의 전압차가 된다.
따라서, 전류 (I1및 I3) 가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1(I1) 및 Vgs2(I3)) 를 균등화하도록 제어된다면, 식 (5) 에서와 같이, 출력전압 (Vout) 은 입력전압 (Vin) 과 같게 된다. 또한, 동일 칩상의 트랜지스터 특성이 변한다 할지라도, 트랜지스터 (1 및 2) 의 디바이스 크기 및 전류 (I1및 I3) 가 "Vgs1(I1) - Vgs2(I3)" 의 관계를 상수가 되도록 설정되면, 트랜지스터 특성의 변동에 무관하게 높은 정밀도의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각각의 디바이스 크기가 동일하게 설정되고 전류 (I1및 I3) 가 동일하도록 설정되면, 또는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각각의 채널길이가 동일하도록 설정되고 전류 (I1및 I3) 가 각각 트랜지스터 (1 및 2) 의 채널폭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면,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의 변동에 무관하게 높은 정밀도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류 (I2) 가 전류 (I1) 과 같도록 제어되면,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회로의 전류 공급용량이 낮다 할지라도, 도 1 의 구동회로는 쉽게 동작될 수 있다. 덧붙여, 전류제어회로 (4) 가 생략되었어도, 도 1 의 구동회로는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회로는 충분한 전류 공급용량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입력전압 (Vin) 이 변동되면, 도 1 의 구동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입력전압 (Vin) 이 변동될 때,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가 충분히 작은 커패시턴스만을 가진다면, 전압 (V1) 은 다소 빠르게 입력전압 (Vin) 의 변화를 따라가며, 식 (2) 에 나타낸 전압으로 변화한다. 여기서, 입력전압 (Vin) 이 전원전압 (E1) 에 근접하게 변동되면, 출력전압 (Vout) 은 트랜지스터 (2) 의 소스 폴로워 동작에 의해 식 (5) 로 표현된 전압으로 빠르게 변화한다. 한편, 입력전압 (Vin) 이 전원전압 (V2) 에 근접하게 변동되면, 트랜지스터 (2) 는 일시적으로 턴오프 되며, 출력전압 (Vout) 은 전류 (I3) 의 전류 공급용량에 의해 식 (5) 로 표현된 전압으로 빠르게 변화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2) 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임계전압에 근접함에 따라, 트랜지스터 (2) 의 소스 폴로워 동작의 전류 공급용량이 낮아진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2) 의 소스 폴로워 동작은 전류 (I3) 에 대응하는 전류 공급용량을 최소로 유지한다. 즉, 입력전압 (Vin) 이 전원전압 (E1) 에 근접하게 변동되는 경우, 도 1 의 구동회로는 트랜지스터 (2) 의 소스 폴로워 동작에 의해 얻어진 높은 구동용량을 가지며, 입력전압 (Vin) 이 전원전압 (E2) 에 근접하게 변동되는 경우, 도 1 의 구동회로는 전류 (I3) 에 의존하는 구동용량을 갖는다. 그러므로, 전류제어회로 (5) 에 의해 전류 (I3) 가 조정되면, 도 1 의 구동회로의 구동용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동작에서, 출력단자 (T2) 가 데이터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되지 않음) 에 접속되기 때문에, 출력단자 (T2) 의 전압변화는 용량성 부하의 충방전을 초래하지만, 상기 용량성 부하는 높은 정밀도의 전압으로 빠르게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의 구동회로는 간단한 구조로 높은 구동용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1 및 2) 의 디바이스 크기 및 전류 (I1및 I3) 가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설정되면, 디바이스 제조공정 및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에 무관하게 높은 정밀도의 전압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에서, 트랜지스터 (1 및 2) 는 MOS 트랜지스터를 나타내는 전자회로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1 및 2) 가 다른 형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될지라도, 유사한 장점이 유사한 동작으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MOS 트랜지스터 (1 및 2) 의 드레인, 게이트, 및 소스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베이스, 및 이미터에 각각 해당함을 고려함으로써, MOS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각각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교체되더라도, 유사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다음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설명은 생략되며,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구동회로만을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개념에 따른 구동회로의 개념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의 구동회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1 의 구동회로와 다르다.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공통접속된 게이트를 프리차지하기 위한 회로로서, 스위치 (11) 가 전원단자 (T3) 와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공통접속된 게이트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출력단자 (T2) 를 프리차지하기 위한 회로로서, 스위치 (12) 가 전원단자 (T4) 와 출력단자 (T2) 사이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1) 의 드레인-소스 전류를 차단할 수 있기 위해, 스위치 (21) 가 입력단자 (T1) 와 트랜지스터 (1) 의 소스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전류 (I2) 를 차단할 수 있기 위해, 스위치 (22) 가 입력단자 (T1) 와 전원단자 (T4) 사이에 전류제어회로 (4) 와 직렬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2) 의 드레인-소스 전류를 차단할 수 있기 위해, 스위치 (23) 가 전원단자 (T3) 와 출력단자 (T2) 사이에 트랜지스터 (2) 와 직렬로 접속된다. 전류 (I3) 를 차단할 수 있기 위해, 스위치 (24) 가 출력단자 (T2) 와 전원단자 (T4) 사이에 전류제어회로 (5) 와 직렬로 접속된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터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하지 않음) 에 접속된다.
이하, 도 2 의 구동회로의 동작을 도 2 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인 도 3 을 참조하여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하는 한 출력주기 동안 설명한다.
먼저, 시각 t0 에서, 스위치 (11 및 12) 가 턴온되며, 스위치 (21, 22, 23, 및 24) 가 턴오프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공통-접속된 게이트가 전원전압 (E1) 으로 프리차지되며, 출력단자 (T2) 가 전원전압 (E2) 로 프리차지 된다.
시각 t1 에서, 스위치 (11) 는 턴오프 되며, 스위치 (21 및 22) 가 턴온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1 및 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의 전압 (V1) 은 입력전압 (Vin) 에서 트랜지스터 (1) 의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빠르게 변화하며, 식 (2) 에 표현된 전압으로 안정된다.
시각 t2 에서, 스위치 (12) 가 턴오프되고, 스위치 (23, 24) 는 턴온된다. 그 결과, 출력전압 (Vout) 은 식 (5) 에 의해 표현된 전압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시각 t3 까지 식 (5) 에 의해 표현된 전압으로 유지된다.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것과 유사한 출력전압 범위를 가진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와 유사하게, 전류 (I1, I3) 가 트랜지스터 (1, 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1(I1), Vgs2(I3)) 을 균등하게 하도록 제어된다면, 출력전압 (Vout) 은 입력전압 (Vin) 과 같아지게 된다. 또한, 만약 트랜지스터 (1, 2) 의 디바이스 크기와 전류 (I1, I3) 가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을 고려하여 설정된다면,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에 관계없이 높은 정밀도의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류 (I2) 가 전류 (I1) 와 동일하도록 제어된다면,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회로의 전류공급용량이 낮더라도, 도 2 의 구동회로는 쉽게 동작될 수 있다.
이제,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특징과 다른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구동용량을 낮추지 않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가 개선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입력전압 (Vin) 이 전원전압 (E2) 에 근접하게 변화할 때, 구동회로는 전류 (I3) 에 의존하는 구동용량을 갖는다. 전류 (I3) 를 크게 하면, 정적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한편, 입력전압 (Vin) 이 전원전압 (E1) 에 근접하게 변화하면, 구동회로는 트랜지스터 (2) 의 소스-폴로워 동작에 의해 주어진 높은 구동용량을 갖는다.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하는 각각의 한 출력 주기동안, 출력단자 (T2) 는 전원전압 (E2) 으로 프리차지되어, 각각의 한 출력 주기의 전압 출력은 트랜지스터 (2) 의 소스-폴로워 동작에 의해 주어진 높은 구동용량에 의해 얻어진다. 이렇게 배치하면, 전류 (I1, I2, I3) 가 제한되더라도, 고속 구동이 가능하게 되고, 정적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2) 를 시각 (t2) 에서 시각 (t3) 까지의 기간 동안에 소스-폴로워 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전압이라면, 출력단자 (T2) 의 프리차지전압은 전원전압 (E2) 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입력단자 (T1) 에 공급된 복수의 상이한 입력전압 (Vin) 에 해당하는 복수의 프리차지 전압 공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 (I1) 가 어느 정도 크다면, 스위치 (11) 에 의해 주어진 트랜지스터 (1, 2) 의 공통 접속 게이트의 프리차지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류 (I1) 가 매우 작은 값으로 한정된다면, 입력전압 (Vin) 의 변화에 응하여 트랜지스터 (1, 2) 의 게이트 커패시턴스의 충/방전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결과, 트랜지스터 (1, 2) 의 공통 접속 게이트의 전압이 식 (2) 로 표현된 전압 (V1) 으로 급격히 변화될 수 없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1, 2) 의 공통 접속 게이트가 각각의 한 출력 기간의 초기 단계에서 프리차지된다면, 트랜지스터 (1) 는 소스-폴로워 방식으로 동작하고, 그 결과, 트랜지스터 (1, 2) 의 공통 접속 게이트의 전압은 식 (2) 에 의해 표현된 전압 (V1) 으로 급격히 변화할 수 있다.
스위치 (21, 22, 23, 24) 는, 스위치 (11, 12) 에 의해 주어진 각 프리차지 시간 동안에, 입력단자 (T1) 와 출력단자 (T2), 및 전원단자 (T3, T4) 사이에서 흐르는 상이한 전류들을 차단하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과잉 전류를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프리차지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류제어회로 (3, 4, 5) 가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생략되었더라도,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적절히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1, 2) 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거의 임계전압이 되어 드레인-소스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게 될 때, 전압 (V1) 과 출력전압 (Vout) 은 안정화된다. 한편, 임계전압 근처에서, 게이트-소스 전압의 변화에 따른 드레인-소스 전류의 변화가 느림에 따라 전압 (V1) 과 출력전압 (Vout) 이 안정화될 때까지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는 또다른 문제가 있다. 또한, 전압 (V1) 과 출력전압 (Vout) 이 안정화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트랜지스터 (1, 2) 의 공통 접속 게이트의 게이트 커패시턴스와 출력단자 (T2) 에 접속된 용량성 부하의 커패시턴스에 크게 좌우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1, 2) 의 게이트 커패시턴스와 용량성 부하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충분한 전류 공급 용량의 작용에 의해 전압 (V1) 과 출력전압 (Vout) 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트랜지스터 (1, 2) 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전류제어회로 (3, 4, 5) 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출력단자 (T2) 를 프리차지함으로써 높은 구동용량을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고, 동시에, 전류 (I1, I2, I3) 를 제한함으로써 낮은 전력 소비를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특정 실시예를,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특정 실시예의 회로도인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에 도시된 특정 구동회로에서, 도 2 에 도시된 트랜지스터 (1, 2) 는 각각 NMOS (n채널 MOS) 트랜지스터 (101, 102) 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전압 (E1, E2) 은 각각 VDD와 VSS이며, 여기서, VDD〉VSS이다. 도 2 에 도시된 전류제어회로 (3, 4, 5) 는 전류를 I11, I12, I13로 각각 제어하는 전류제어회로 (103, 104, 105) 에 의해 각각 구현된다. 도 2 에 도시된 스위치 (11, 12, 21, 22, 23, 24) 는 도 3 에 도시된 스위치 (11, 12, 21, 22, 23, 24) 와 유사하게 제어되는 스위치 (111, 112, 121, 122, 123, 124) 에 의해 각각 구현된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터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하지 않음) 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101, 1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 상의 전압을 V10이라 한다.
도 5a 는 도 4 에 도시된 스위치 (111, 112, 121, 122, 123, 124) 를 제어하는 타이밍도이고, 도 5b 는 도 4 에 도시된 회로에서의 입력전압 (Vin), 출력전압 (Vout) 및 전압 (V10) 의 전압 파형도이다.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는 한 출력 주기는 도 5a 와 도 5b 에 도시되어 있고, 입력전압 (Vin) 과 동일한 전압을 출력전압으로서 출력시키는 공정은 도 5b 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 와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 t0 에서 전압 (V10) 은 전압 (VDD) 로 프리차지되고, 시각 t1 후에, 전압 (V10) 은 입력전압 (Vin) 에서 트랜지스터 (101)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101(I11)) 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변화되어, 다음과 같이 안정화된다.
V10=Vin+Vgs101(I11) (6)
한편, 시각 t0 에서 출력전압 (Vout) 은 전압 (VSS) 으로 프리차지되고, 시각 t2 후에, 출력전압 (Vout) 은 전압 (V10) 에서 트랜지스터 (10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102(I13)) 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변화되고, 다음과 같이 안정화된다.
Vout=V10-Vgs102(I13) (7)
윗 식에서, Vgs101(I11)과 Vgs102(I13)은 양의 값이다. 만약 전류 (I11) 와 전류 (I13) 가 Vgs101(I11)과 Vgs102(I13)가 같아지도록 제어된다면, 출력전압 (Vout) 은 식 (6) 과 식 (7) 에서 알 수 있듯이 입력전압 (Vin) 과 같아지게 된다. 이 때, 출력전압 범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VSS≤Vout≤VDD-Vgs102(I13) (8)
도 6 은 도 2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또다른 특정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특정 구동회로에서, 트랜지스터 (1, 2) 는 각각 PMOS (p 채널 MOS) 트랜지스터 (201, 202) 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전압 (E1, E2) 은 각각 VDD〉VSS인 VSS와 VDD이다. 도 2 에 도시된 전류제어회로 (3, 4, 5) 는 각각 전류를 I21, I22, I23로 제어하는 전류제어회로 (203, 204, 205) 에 의해 각각 구현된다. 도 2 에 도시된 스위치 (11, 12, 21, 22, 23, 24) 는 도 3 에 도시된 스위치 (11, 12, 21, 22, 23, 24) 와 유사하게 제어되는 스위치 (211, 212, 221, 222, 223, 224) 에 의해 각각 구현된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터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201, 2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 상의 전압은 V20으로 한다.
도 7a 는 도 6 에 도시된 스위치 (211, 212, 221, 222, 223, 224) 를 제어하는 타이밍도이고, 도 7b 는 도 6 에 도시된 회로에서의 입력전압 (Vin), 출력전압 (Vout) 및 전압 (V20) 의 전압 파형도이다.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는 한 출력 주기는 도 7a 와 도 7b 에 도시되어 있고, 입력전압 (vin) 과 같은 전압을 출력전압 (Vout) 으로서 출력하는 공정이 도 7b 에 도시되어 있다.
도 7a 와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 t0 에서, 전압 (V20) 은 전압 (VSS) 로 프리차지되고, 시각 t1 후에, 전압 (V20) 은 입력전압 (Vin) 에서 트랜지스터 (201)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201(I21)) 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변화되고, 다음과 같이 안정화된다.
V20=Vin+Vgs201(I21) (9)
한편, 시각 t0 에서, 출력전압 (Vout) 은 전압 (VDD) 로 프리차지되고, 시각 t2 후에 출력전압 (Vout) 은 입력전압 (V20) 에서 트랜지스터 (20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202(I23)) 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변화되고, 다음과 같이 안정화된다.
Vout=V20-Vgs202(I23) (10)
윗 식에서, Vgs201(I21)과 Vgs202(I23)은 음의 값이다. 만약 전류 I21와 I23가 Vgs201(I21)과 Vgs202(I23)가 같아지도록 제어된다면, 출력전압 (Vout) 은 식 (9) 과 식 (10) 에서 알 수 있듯이 입력전압 (Vin) 과 같아지게 된다. 이 때, 출력전압 범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VSS-Vgs202(I23)≤Vout≤VDD(11)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개념에 의한 구동회로의 개념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구동회로는, 공통으로 접속된 각 게이트를 구비한 2개의 n채널 트랜지스터 (301, 302) 와, 공통으로 접속된 각 게이트를 구비한 2개의 p채널 트랜지스터 (401, 402) 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301) 는 서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 및 입력단자 (T1) 에 접속된 소스를 구비한다. 트랜지스터 (302) 는 전원단자 (T3) 에 접속된 드레인과 출력단자 (T2) 에 접속된 소스를 구비한다. 트랜지스터 (401) 는 서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 및 입력단자 (T1) 에 접속된 소스를 구비한다. 트랜지스터 (402) 는 전원단자 (T4) 에 접속된 드레인과 출력단자 (T2) 에 접속된 소스를 구비한다. 전류제어회로 (303) 는, 전원단자 (T3) 에서 입력단자 (T1) 으로 흐르는 전류 (I31) 를 제어하기 위해 전원단자 (T3) 와 트랜지스터 (301) 의 드레인 사이에 접속된다. 전류제어회로 (403) 는, 입력단자 (T1) 에서 전원단자 (T4) 로 흐르는 전류 (I41) 를 제어하기 위해 전원단자 (T4) 와 트랜지스터 (401) 의 드레인 사이에 접속된다. 전압 (VDD, VSS) 는 각각 전원단자 (T3, T4) 에 공급되며 여기서 VDD〉VSS이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터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이제, 도 8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전압 (Vin) 이 입력단자 (T1) 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 (301, 401) 의 각 게이트 전압 (V30, V40) 은 입력전압 (Vin) 에서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벗어난 전압이 되고 다음의 상태에서 안정하게 된다.
V30=Vin+Vgs301(I31) (12)
V40=Vin+Vgs401(I41) (13)
한편, 출력전압 (Vout) 은 트랜지스터 (302, 402) 의 각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전압 (V30, V40) 에서 벗어난 전압이 되고, 트랜지스터 (302, 402) 의 각 드레인-소스 전류가 서로 같게 될 때 안정화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 (302, 402) 의 드레인-소스 전류를 IC라고 가정하면, 출력전압 (Vout) 은 다음과 같이 된다.
Vout=Vin+Vgs301(I31)-Vgs302(IC)
=Vin+Vgs401(I41)-Vgs402(IC) (14)
또한, 출력전압 범위는, 트랜지스터 (302, 402) 의 각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뺀, 전압 (VDD) 와 전압 (VSS) 사이의 전압차가 된다.
여기서, 전류 (I31) 와 전류 (I41) 가 서로 같고, 트랜지스터 (301, 30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301(I31) 과 Vgs302(IC) 이 서로 같으며, 트랜지스터 (401, 402) 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401(I41), Vgs402(IC) 이 서로 같다면, 출력전압 (Vout) 은 입력전압 (Vin) 과 같게 된다. 또한, 전류 (I31) 와 전류 (I41) 가 서로 같게 되면,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 회로가 전류 공급 용량에 있어서 낮을지라도 도 8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제, 입력전압 (Vin) 이 변화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전압 (Vin) 이 변화할 때 만약 트랜지스터 (301, 3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의 커패시턴스와 트랜지스터 (401, 4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의 커패시턴스가 충분히 작다고 하면, 전압 (V30, V40) 은 입력전압 (Vin) 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따라가고 식 (12) 와 식 (13) 에 의해 표현된 전압으로 변화한다. 여기서, 입력전압 (Vin) 이 고전압측 (VDD) 에 근접하도록 변한다면, 트랜지스터 (402) 는 일시적으로 턴오프되고, 출력전압 (Vout) 은 트랜지스터 (302) 의 소스 폴로워 동작에 의해 신속히 풀업된다. 반면에, 입력전압 (Vin) 이 저전압측 (VSS) 에 근접하도록 변한다면, 트랜지스터 (302) 는 일시적으로 턴오프되고, 출력전압 (Vout) 은 트랜지스터 (402) 의 소스 폴로워 동작에 의해 신속히 풀다운된다. 즉, 입력전압 (Vin) 이 고전압측 또는 저전압측의 어느 하나에 근접하도록 변화하는지에 상관없이, 트랜지스터 (302) 또는 트랜지스터 (402) 가 소스 폴로워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도 8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높은 구동용량을 가질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만약 트랜지스터 (401, 402) 의 크기가 Ids-Vgs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트랜지스터 (301, 302) 와 비교하여 조정된다면, 전류 (IC) 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입력단자 (T1) 와 전원단자 (T4) 사이의 전류가 제어되고 출력단자 (T2) 와 전원단자 (T4) 사이의 전류가 제어되는 이러한 구성은, 트랜지스터 (1, 2) 가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경우에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유사하게, 트랜지스터 (301, 302) 의 크기가 트랜지스터 (401, 402) 와 비교하여 조정되는 경우에, 전류 (IC) 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트랜지스터 (1, 2) 가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경우에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8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의 트랜지스터 (1, 2) 가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경우에 얻어진 성능과,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의 트랜지스터 (1, 2) 가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경우에 얻어진 성능 모두를 포함한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개념에 따른 구동회로의 일실시예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4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입력단자 (T1) 와 출력단자 (T2) 가 각각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입력단자 (T1) 와 출력단자 (T2) 에 접속되고, 도 4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전압 (VDD) 이 공급되는 전원단자와 전압 (VSS) 이 공급되는 전원단자가 각각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전압 (VDD) 이 공급되는 전원단자와 전압 (VSS) 이 공급되는 전원단자에 접속되는 방식으로, 도 4 에 도시된 구동회로와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를 결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9 에서, 도 4 와 도 6 에 도시된 것에 해당하는 소자는 동일한 부재번호와 기호가 주어지고, 기술의 간략화를 위해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전원단자에 대해서, 전압 (VDD) 이 공급되는 전원단자는 T3로 주어지고, 전압 (VSS) 이 공급되는 전원단자는 T4로 주어진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터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이제,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동작을 도 10a 와 도 10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 는, Vm 이하의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는 한 출력 기간 (시각 t0 에서 t3) 동안과, Vm 이상의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는 또다른 출력 기간 (시간 t0' 에서 t3') 동안에, 도 9 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여기서, Vm 은 VDD와 VSS사이의 전압이다. 도 10b 는, 트랜지스터 (101, 102) 의 각 게이트-소스 전압 ((Vgs101(I11), Vgs102(I13)) 을 동일하게 하고 또한, 트랜지스터 (201, 202) 의 각 게이트-소스 전압 ((Vgs201(I21), Vgs202(I23)) 을 동일하게 하도록 전류 (I11, I13, I21, I23) 를 제어하여, 입력전압 (Vin) 과 같은 전압이 출력전압 (Vout) 으로서 출력되는 경우에, 도 9 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전압 파형도이다.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 t0 부터 시각 t3 까지, 스위치 (111, 112, 121, 122, 123, 124) 는 도 5a 와 유사하게 온-오프 제어되는 한편, 스위치 (211, 212, 221, 222, 223, 224) 는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도 10b 에 도시된 입력전압 (Vin), 전압 (V10) 및 출력전압 (Vout) 은 도 5b 에 도시된 파형과 유사하게 된다. 시각 t0' 부터 시각 t3' 까지, 스위치 (211, 212, 221, 222, 223, 224) 는 도 7a 와 유사하게 온-오프 제어되는 한편, 스위치 (111, 112, 121, 122, 123, 124) 는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도 10b 에 도시된 입력전압 (Vin), 전압 (V20) 및 출력전압 (Vout) 은 도 7b 에 도시된 파형과 유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Vm 이하의 선택된 전압 레벨이 출력될 때 도 4 에 도시된 구동회로를 동작시키고, Vm 이상의 선택된 전압 레벨이 출력될 때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4 에 도시된 구동회로와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것과 동일한 구동용량을 가진다.
또한, 입력전압 (Vin) 과 동일한 출력전압 (Vout) 을 출력시키는 경우,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4 에 도시된 구동회로가 동작할 때 식 (8) 에 의해 표현된 것과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가 동작할 때 식 (11) 에 의해 표현된 출력전압 범위를 갖는다. 여기서, 전압 (Vm) 이 다음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면,
VSS-Vgs202(I23)≤Vm≤VDD-Vgs102(I13) (15)
출력전압 (Vout)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VSS≤Vout≤VDD(16)
즉,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출력전압 범위는 전원의 전압 범위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가 Vm 이하의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할 때, 출력단자 (T2) 는 전압 (VSS) 으로 프리차지되고,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가 Vm 이상의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할 때, 출력단자 (T2) 는 전압 (VDD) 으로 프리차지된다. 그러므로, 출력단자 (T2) 가 전원전압 (VSS) 과 전원전압 (VDD) 중 하나로만 프리차지되는 도 4 와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 비해서,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프리차지용으로 작은 충/방전 전력을 가지고, 따라서, 프리차지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4 와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것과 동일한 구동용량, 및 전원의 전압 범위와 동일한 출력전압 범위를 가지고, 또한 도 4 와 도 6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 비해서 전력 소비를 더 줄일 수 있다.
도 11 에는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다른 특정 실시예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각 전류 회로 (104, 105, 203) 가 NMOS 트랜지스터로 형성되고, 도 9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각 전류제어회로 (103, 204, 205) 가 PMOS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각 각의 소정 전압을 이들 전류제어 트랜지스터 (103, 104, 105, 203, 204, 205) 의 게이트에 인가함으로써, 각 전류 (I11, I12, I13, I21, I22, I23) 는 원하는 값으로 제어될 수 있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터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도 1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류제어 트랜지스터 (104, 105, 203) 의 게이트는 바이어스 전압 (BIASN) 이 공급된 단자 (T6) 에 접속되고, 전류제어 트랜지스터 (103, 204, 205) 의 게이트는 바이어스 전압 (BIASP) 이 공급된 단자 (T5) 에 접속된다. 복수의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이 동일하더라도, 각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크기가 조정된다면, 각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는 다른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에 무관한 임의의 값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상이한 바이어스 전압을 각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에 인가하는 것이 가능한 점은 당업자들에 있어서 당연한 사실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실시예의 변형예의 회로도이다.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 포함된 회로 소자의 것보다 적은 수의 회로 소자로 구성되어,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 비해 스위치 제어 신호의 종류수가 감소되었다는 점에서 개선되었다.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 포함된 스위치 (122, 222) 와 전류제어회로 (104, 204) 가 생략되고 PMOS 트랜지스터 (131) 와 NMOS 트랜지스터 (231) 가 새로 추가되었다는 점에서,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와 상이하다. PMOS 트랜지스터 (131) 는 각각 NMOS 트랜지스터 (101) 의 드레인(게이트)과 소스에 접속된 소스와 드레인, 및 전압 (BIASP) 이 공급된 단자 (T5) 에 접속된 게이트를 포함한다. NMOS 트랜지스터 (231) 는 각각 PMOS 트랜지스터 (201) 의 드레인(게이트)과 소스에 접속된 소스와 드레인, 및 전압 (BIASN) 이 공급된 단자 (T6) 에 접속된 게이트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 (131) 는 PMOS 트랜지스터 (103) 의 것보다 작은 임계전압을 가져, 동일한 게이트 전압이 PMOS 트랜지스터 (103, 131) 에 인가되고, PMOS 트랜지스터 (131) 는 PMOS 트랜지스터 (103) 의 것보다 충분히 더 큰 전류공급용량을 가진다. NMOS 트랜지스터 (231) 는 NMOS 트랜지스터 (203) 의 것보다 작은 임계 전압을 가져, 동일한 게이트 전압이 NMOS 트랜지스터 (203, 231) 에 인가되고, NMOS 트랜지스터 (231) 는 NMOS 트랜지스터 (203) 의 것보다 충분히 더 큰 전류공급용량을 가진다. 여기서, NMOS 트랜지스터 (101) 와 PMOS 트랜지스터 (103, 131) 로 구성되는 회로를 회로블록 (130) 이라고 부르고, PMOS 트랜지스터 (201) 와 NMOS 트랜지스터 (203, 231) 로 구성되는 회로를 회로블록 (230) 이라고 부른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트 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이제,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동작을 도 13a 와 도 13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 는, Vm 이하의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는 한 출력 기간(시각 t0 에서 t3 까지) 동안과, Vm 이상의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는 또다른 출력 기간(시간 t0' 에서 t3' 까지) 동안에, 도 12 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13b 는, 입력전압 (Vin) 과 같은 출력전압 (Vout) 을 출력시키는 경우에, 도 12 의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전압 파형도이다. 도 13a 에서 보듯이, 스위치 (112, 123, 124, 212, 223, 224) 의 온-오프 타이밍은 도 10a 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요약하면,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는, 시각 t0 에서 시각 t3 까지, 회로블록 (230) 과 스위치 (221) 가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전류제어회로 (104) 와 스위치 (122) 에서 구현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행하고, 시각 t0' 에서 시각 t3' 까지, 회로블록 (130) 과 스위치 (121) 는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전류제어회로 (204) 와 스위치 (222) 에서 구현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행한다고 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Vm 이하의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하는 한 출력 기간 (시각 t0 에서 t3까지) 동안, 시각 t0 에서, 스위치 (111, 211) 는 턴온되고 스위치 (121, 221) 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101, 1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는 전압 (VDD) 로 프리차지되고 트랜지스터 (201, 2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는 전압 (VSS) 로 프리차지된다. 또한, 스위치 (112) 는 턴온되고 스위치 (123, 124) 는 턴오프되어, 출력단자 (T2) 는 전압 (VSS) 로 프리차지된다. 반면에, 스위치 (212, 223, 224) 는 시각 t0 에서 t3 까지의 기간 동안에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시각 t1 에서, 스위치 (111, 211) 는 턴오프되고 스위치 (121, 221) 는 턴온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101, 201) 의 작용에 의해, 트랜지스터 (101, 1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에서의 전압 (V10) 과 트랜지스터 (201, 2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에서의 전압 (V20) 은 각각 입력전압 (Vin) 에서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다음 식 (16, 17) 에 의해 표현된 전압에서 안정하게 된다.
V10=Vin+Vgs101(I11) (16)
V20=Vin+Vgs201(I21) (17)
이 때, 트랜지스터 (131, 231) 는 오프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전류 (I11) 는 전원단자 (T3) 와 입력단자 (T1) 사이에 흐르고, 전류 (I21) 는 입력단자 (T1) 와 전원단자 (T4) 사이에 흐른다.
시각 t2 에서, 스위치 (112) 는 턴오프되고, 스위치 (123, 124) 는 턴온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102) 의 소스-폴로워 동작에 의해, 출력전압 (Vout) 은, 전압 (V10) 에서 트랜지스터 (102) 의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다음 식 (18) 에 의해 표현된 전압에서 시각 t3 까지 안정하게 된다.
Vout=V10-Vgs102(I13) (18)
여기서, 전류 (I11, I13) 가 트랜지스터 (101, 102) 의 Vgs101(I11) 과 Vgs102(I13) 이 같아지도록 제어된다면, 출력전압 (Vout) 은 입력전압 (Vin) 과 같아지게 된다.
Vm 이상의 선택된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는 또다른 출력 기간(시각 t0'에서 t3'까지) 동안에, 시각 t0'에서, 스위치 (111, 211) 는 턴온되고, 스위치 (121, 221) 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101, 1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는 전압 (VDD) 로 프리차지되고, 트랜지스터 (201, 2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는 전압 (VSS) 로 프리차지된다. 또한, 스위치 (212) 는 턴온되고 스위치 (223, 224) 는 턴오프되어 출력단자 (T2) 는 전압 (VDD) 로 프리차지된다. 반면에, 스위치 (112, 123, 124) 는 시각 t0'에서 시각 t3'까지의 기간 동안에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시각 t1'에서 스위치 (111, 211) 는 턴오프되고 스위치 (121, 221) 는 턴온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101, 201) 의 작용에 의해, 트랜지스터 (101, 1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에서의 전압 (V10) 과 트랜지스터 (201, 202) 의 공통 접속된 게이트에서의 전압 (V20) 은 각각 입력전압 (Vin) 에서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식 (16, 17) 에 의해 표현된 전압에서 안정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 (131, 231) 는 오프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전류 (I11) 는 전원단자 (T3) 와 입력단자 (T1) 사이로 흐르고 전류 (I21) 는 입력단자 (T1) 와 전원단자 (T4) 사이로 흐른다.
시각 t2' 에서, 스위치 (212) 는 턴오프되고 스위치 (223, 224) 는 턴온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 (202) 의 소스-폴로워 동작에 의해, 출력전압 (Vout) 은, 전압 (V20) 에서 트랜지스터 (102) 의 게이트-소스 전압만큼 벗어난 전압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다음 식 (19) 에 의해 표현된 전압으로 시각 t3'까지 안정된다.
Vout=V20-Vgs202(I23) (19)
여기서, 만약 전류 (I21, I23) 가 트랜지스터 (101, 102) 의 Vgs101(I11) 과 Vgs102(I13) 이 같아지도록 제어된다면 출력전압 (Vout) 은 입력전압 (Vin) 과 같아지게 된다.
또한, 만약 전류 (I11) 와 전류 (I21) 가 서로 같다면, 입력전압 (Vin) 을 인가하는 외부 회로가 전류 공급 용량에 있어서 낮더라도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트랜지스터 (101, 201) 양쪽 다 턴온이 되도록 입력전압 (Vin) 이 전압 (VSS) 보다 어느정도 높고, 전압 (VDD) 보다 어느정도 낮은 경우일 때이다. 다음은 트랜지스터 (101) 또는 트랜지스터 (201) 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도록, 입력전압 (Vin) 이 전압 (VSS) 또는 전압 (VDD) 의 어느 하나에 가까운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전압 (Vin) 이 시각 t1 에서 t3 까지의 기간 동안 전압 (VSS) 에 가까운 레벨에 있을 때, 시각 t1 에서, 전압 (V10) 은 식 (16) 에 의해 표현된 전압으로 되지만 전압 (V20) 은 식 (17) 에 의해 표현된 전압으로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입력전압 (Vin) 이 전압 (VSS) 에 가깝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201) 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트랜지스터 (201) 의 임계 전압보다 작다면 트랜지스터 (201) 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시각 t1 직후에, 전압 (V20) 은 시각 t0 에서 시각 t1 까지의 기간 동안에 프리차지된 전압 (VSS) 에 있게 되지만, 전류는 트랜지스터 (231) 의 작용에 의해 입력단자 (T1) 에서 트랜지스터 (203) 의 드레인으로 공급되므로, 전압 (V20) 은 입력전압 (Vin) 과 전압 (VSS) 사이의 중간 전압으로 풀업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 (231) 의 전류 공급 용량이 트랜지스터 (203) 의 것보다 크다면, 입력단자 (T1) 로부터 전원단자 (T4) 로 흐르는 전류는 전류 제어 트랜지스터 (203) 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 (I21) 가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201) 가 오프 상태에 있도록 입력전압 (Vin) 이 전압 (VSS) 에 가까울지라도 입력단자 (T1) 와 전원단자 (T4) 사이에 전류 (I21) 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입력전압 (Vin) 이 시각 t1' 에서 t3' 까지의 기간 동안 전압 (VDD) 에 가까운 레벨에 있을 때, 시각 t1'에서, 전압 (V20) 은 식 (17) 에 의해 표현된 전압으로 되지만 전압 (V10) 은 식 (16) 에 의해 표현된 전압으로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입력전압 (Vin) 이 전압 (VDD) 에 가깝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101) 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트랜지스터 (101) 의 임계 전압보다 작다면 트랜지스터 (101) 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시각 t1' 직후에, 전압 (V10) 은 시각 t0' 에서 시각 t1' 까지의 기간 동안에 프리차지된 전압 (VDD) 에 있게 되지만, 전류는 트랜지스터 (131) 의 작용에 의해, 트랜지스터 (103) 의 드레인에서 입력단자 (T1) 로 공급되므로, 전압 (V10) 은 입력전압 (Vin) 과 전압 (VDD) 사이의 중간 전압으로 풀다운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 (131) 의 전류 공급 용량이 트랜지스터 (103) 의 것보다 크다면, 전원단자 (T3) 로부터 입력단자 (T1) 로 흐르는 전류는 전류 제어 트랜지스터 (103) 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 (I11) 가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101) 가 오프 상태에 있도록 입력전압 (Vin) 이 전압 (VDD) 에 가까울지라도, 전원단자 (T3) 와 입력단자 (T1) 사이에 전류 (I11) 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회로블록 (130, 230) 은 입력전압 (Vin) 의 전압 레벨과는 무관하게 각각 전류 (I11, I21) 가 흐르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전류제어회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시각 t1 에서 시각 t3 까지의 기간 동안에, 스위치 (221) 와 회로블록 (230) 은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스위치 (122) 와 전류제어회로 (104) 에 의해 성취된 것과 같은 기능을 행하고, 시각 t1' 에서 시각 t3' 까지의 기간 동안에, 스위치 (121) 와 회로블록 (130) 은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스위치 (222) 와 전류제어회로 (204) 에 의해 성취된 것과 같은 기능을 행한다. 그러므로,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총체적인 기본 동작은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것과 완전히 동일하며,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성능은 도 1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의 것과 실질적으로 같다.
도 14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구동회로와 연관된 전류제어회로의 한 예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a 에서, 회로블록 (500) 은 각 전류제어회로가 단일의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이고, 회로블록 (30) 은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정확히 제어하는 바이어스 회로이다.
요약하면, 회로블록 (500) 은, 트랜지스터 (1, 2) 가 각각 NMOS 트랜지스터 (501, 502) 로 이루어지고, 전류제어회로 (3, 4, 5) 가 각각 PMOS 트랜지스터 (503) 와 NMOS 트랜지스터 (504, 505) 로 형성된, 도 1 에 도시된 구동회로이다. PMOS 트랜지스터 (503) 의 게이트는 회로블록 (30) 의 단자 (T5) 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 (504, 505) 의 각 게이트는 회로블록 (30) 의 단자 (T6) 에 공통 접속된다. 전원단자 (T3, T4) 에는 전원전압 (VDD, VSS) 이 각각 공급된다. 출력단자 (T2) 는 데이터라인과 같은 용량성 부하 (도시되지 않음) 에 접속된다.
회로블록 (30) 은 전류제어회로로서 역할하는 트랜지스터 (503,504,505) 의 각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바이어스 회로이다. 이 바이어스 회로 (30) 는 도시한 바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 (31,32) 및 PMOS 트랜지스터 (33,34) 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 (33,34) 는 동일한 Ids-Vgs 특성을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 (31) 는 단자 T5에 접속된 드레인, 전원단자 T8에 접속된 소스, 및 외부 바이어스 전압 (BIAS) 을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다. NMOS 트랜지스터 (32) 는 단자 T6에 공통으로 접속된 게이트 및 드레인, 전원단자 T8에 접속된 소스를 구비한다. PMOS 트랜지스터 (33) 는 단자 T5에 공통으로 접속된 게이트 및 드레인, 전원단자 T7에 접속된 소스를 구비한다. PMOS 트랜지스터 (34) 는 단자 T6에 접속된 드레인, 전원단자 T7에 접속된 소스, 및 단자 T5에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다. PMOS 트랜지스터 (33,34) 는 동일한 Ids-Vgs 특성을 갖고 공통으로 접속된 각각의 게이트를 구비하므로, PMOS (33,34) 의 각 드레인-소스 전류는 동일하다. 여기서, PMOS 트랜지스터 (33,34) 의 드레인-소스전류를 I4라 한다. 이 전류 (I4)는 외부 바이어스 전압 (BIAS) 에 의해 제어되고, 단자 T5및 T6에서의 각 전압 (BIASP 및 BIASN) 은 전류 I4에 의해 제어된다. 전원단자 T7및 T8에는 전원전압 VDD및 VSS가 각각 공급된다.
여기서, PMOS 트랜지스터 (33,34,503) 와 NMOS 트랜지스터 (32,504) 의 디바이스 크기가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전류 (I4, I51, 및 I52) 가 전류 (I51및 I52) 를 균등하게 하도록 설정된다면,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동되더라도,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회로의 전류공급용량에 상관없이 구동회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 (33,34,503) 와 NMOS 트랜지스터 (32,505) 의 드레인 크기가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전류 I4, I51, 및 I53가 트랜지스터 (501,502) 의 각 게이트-소스전압을 균등하게 하도록 설정된다면,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동되더라도, 입력전압 (Vin) 과 동일한 출력전압 (Vout) 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트랜지스터 (501,502) 가 동일한 디바이스 크기를 갖고, PMOS 트랜지스터 (33,34,503) 가 동일한 디바이스 크기를 갖고, NMOS 트랜지스터 (32,504,505) 가 동일한 디바이스 크기를 갖도록 설계한다. 이 경우, 전류 I4, I51, I52, 및 I53는 동일하고,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동되더라도, 전류 I4, I51, I52, 및 I53사이의 관계는 유지된다. 이에 따라,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회로의 전류공급용량에 상관없이, 구동회로는 입력전압 (Vin) 과 동일한 출력전압 (Vout) 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제어회로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구동회로 (500) 에 바이어스 회로 (30) 가 연관되면,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회로의 전류공급용량에 상관없이 구동회로 (500) 를 만들고, 디바이스 제조공정 및 온도변동에 기인한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에 상관없이, 구동회로 (500) 는 매우 정확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a 를 참조하면, 도 14a 에 도시된 전류제어회로의 변형예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 에 도시된 바이어스 회로 (40) 는, 바이어스 회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트랜지스터 (31,33) 가 생략된다는 점에서 도 14a 에 도시된 바이어스 회로 (30) 와 상이하다. 도 15a 에 도시된 회로에서, 외부 바이어스 전압 (BIAS) 은 바이어스 전압 (BIASP) 로서 구동회로 (500) 와 바이어스 회로 (40) 내의 트랜지스터 (34) 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전류 (I4) 는 외부 바이어스 전압 (BIAS) 에 의해 제어된다.
도 15a 에 도시된 회로에서, 도 14a 에 도시된 회로와 마찬가지로, PMOS 트랜지스터 (34,503) 및 NMOS 트랜지스터 (32,504) 의 디바이스 크기가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전류 (I4,I51,I52)가 전류 (I51,I52) 를 균등하게 하도록 설정된다면,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동되더라도, 입력전압 Vin 을 공급하는 외부회로의 전류공급용량에 상관없이 구동회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 (34,503) 및 NMOS 트랜지스터 (32,505) 의 디바이스 크기가 트랜지스터의 특성변동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전류 (I4,I51,I53) 가 트랜지스터 (501,502) 의 각 게이트-소스전압을 균등하게 하도록 설정된다면,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동되더라도, 입력전압 (Vin) 과 동일한 출력전압 (Vout) 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바이어스 회로 (30) 에서 얻어진 것과 유사한 바람직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14b 와 도 14c, 및 도 15b 와 도 1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a 및 도 15a 에 도시된 구동회로 (500) 가 도 11 또는 도 12 에 도시된 구동회로, 또는 대안으로, 구동회로의 다른 실시예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또한, 도 14a 및 도 15a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바이어스 회로 (30 또는 40) 는 하나의 구동회로 (500) 에만 제공된다. 그러나, 복수의 구동회로 (500) 가 제공되는 경우, 도 14d, 도 14e, 도 14f, 및 도 15d, 도 15e, 도 15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바이어스 회로 (30 또는 40) 가 복수의 구동회로 (500) 에 공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류제어회로는 정전류원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전류제어회로가 정전류원으로 대체될 수 있다면, 유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분명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된 구성에만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는, 각 게이트가 공통으로 접속된 한 쌍의 트랜지스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는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폴로워 방식으로 동작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매우 간단한 회로구조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구동회로는 높은 전류공급용량을 갖는 용량성 부하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의 구동에만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그래데이션 레벨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전압레벨이 각 데이터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TFT-OLED (thin film transistor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용 데이터라인과 같은 타 데이터라인 (용량성 부하를 구성함)를 구동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Claims (34)

  1. 입력전압을 제 1 전압으로 레벨변환하는 레벨변환수단,
    상기 제 1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게이트 및 상기 입력전압에 따라서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소스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소스 폴로워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 1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동회로로서,
    상기 레벨변환수단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의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 및 게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레벨변환수단은 또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 2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3. 제 1 전원단자,
    입력전압을 수신하는 입력단자,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이며, 상기 제 1 전원단자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 1 전류제어수단,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 2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제어수단은 제 2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류제어수단은 상기 출력단자와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제 2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3 스위치를, 적어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와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3 전류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제 2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치,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3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3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4 스위치를, 적어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를 하나 이상의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9.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1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10.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를 하나 이상의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1 프리차지수단,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1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2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류제어회로의 각각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이하, FET 라 함) 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되는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갖는 FET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12. 입력전압을 수신하는 입력단자,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에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를 구비하는 제 1 의 n 채널 트랜지스터,
    제 1 전원단자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2 의 n 채널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제어하는 제 1 전류제어수단, 및
    상기 제 2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제어하는 제 2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공통으로 접속된 드레인과 게이트를 구비한 제 1 의 p 채널 트랜지스터,
    제 2 전원단자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2 의 p 채널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제어하는 제 3 전류제어수단, 및
    상기 제 2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제어하는 제 4 전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제어수단은 제 3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류제어수단은 상기 출력단자와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전류제어수단은 제 5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 3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전류제어수단은 상기 출력단자와 제 6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4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3 스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5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5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4 스위치,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6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4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6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5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6 스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제 7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5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제 8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 6 전류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치,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7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5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7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3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1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4 스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5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5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5 스위치,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6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4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6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6 스위치,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8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6 전류제어회로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 8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7 스위치,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8 스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17. 제 1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를 하나 이상의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18. 제 1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1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1 프리차지수단, 및
    상기 제 1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2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2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19. 제 1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를 하나 이상의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1 프리차지수단, 상기 제 1 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1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2 프리차지수단, 및 상기 제 1 의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2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3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6 전류제어회로의 각각은, FET 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되는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갖는 상기 FET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시스템.
  2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제어회로는 제 2 전원단자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드레인-소스 경로를 갖는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류제어회로는 상기 출력단자와 제 3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드레인-소스 경로를 갖는 제 2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는 다른 상기 도전형이며,
    상기 제 3 전류제어회로는 상기 입력단자와 제 4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드레인-소스 경로를 갖는 제 3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상기 도전형이며,
    상기 구동회로는, 제 1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와 제 2 바이어스 트랜지스터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1 바이어스 트랜지스터가 상기 제 2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의 것과는 다른 상기 도전형인 바이어스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서로 크기가 동일한 드레인-소스 경로 전류를 가지며,
    상기 제 1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상기 동일한 게이트-소스 전압을 가지며 상기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상기 동일한 도전형이고,
    상기 제 2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및 제 3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상기 동일한 게이트-소스 전압을 가지며 상기 제 2 및 제 3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것과 상기 동일한 도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22. 제 1 전원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제어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1 도전형의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이며, 제 2 전원단자에 접속된 소스,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공통으로 접속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해 동일한 드레인-소스 전류가 흐르게 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및 상기 소스에 각각 접속된 게이트 및 소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디바이스 크기를 갖는 제 1 도전형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류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및 상기 소스에 각각 접속된 게이트 및 소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디바이스 크기를 갖는 제 2 도전형의 하나 이상의 제 2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장치.
  23. 제 1, 제 2, 및 제 3 정전류원,
    전원,
    상기 제 1 정전류원에 접속된 드레인,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정전류원에 접속된 소스, 및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에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이며, 상기 전원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 및 출력단자와 상기 제 3 정전류원에 접속된 소스를 구비하며, 소스 폴로워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성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회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제 1 외부제어입력에 응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제 1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1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제 2 외부제어입력에 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2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2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수단의 각각은, 대응하는 노드와 대응하는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외부제어입력에 응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정전류원의 각각은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대응하는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전압을 인가하는 외부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29. 제 1 및 제 2 정전류원,
    제 1 및 제 2 전원,
    상기 제 1 정전류원에 접속된 드레인과,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에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에 접속된 드레인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인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정전류원에 접속된 드레인과,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에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것과 반대인 도전형인 제 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전원에 접속된 드레인 및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것과 동일한 도전형인 제 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3 트랜지스터의 각 소스는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트랜지스터의 각 소스는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성 부하를 구동하는 구동회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제 1 외부제어입력에 응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제 1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1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제 2 외부제어입력에 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2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2 프리차지수단, 및 상기 제 2 외부제어입력에 응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제 3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제 3 프리차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수단의 각각은, 대응하는 노드와 대응하는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외부제어입력에 응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류원의 각각은 전류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압을 제어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대응하는 전류제어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전압을 인가하는 외부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KR10-2000-0028753A 1999-05-26 2000-05-26 용량성 부하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 KR100385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576899A JP3482908B2 (ja) 1999-05-26 1999-05-26 駆動回路、駆動回路システム、バイアス回路及び駆動回路装置
JP99-145768 1999-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913A true KR20010020913A (ko) 2001-03-15
KR100385780B1 KR100385780B1 (ko) 2003-06-02

Family

ID=1539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753A KR100385780B1 (ko) 1999-05-26 2000-05-26 용량성 부하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24669B1 (ko)
EP (1) EP1056070A3 (ko)
JP (1) JP3482908B2 (ko)
KR (1) KR100385780B1 (ko)
TW (1) TW5251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3222B2 (ja) 2000-06-02 2008-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省電力駆動方法
JP4929431B2 (ja) * 2000-11-10 2012-05-09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ネル表示装置のデータ線駆動回路
JP3846293B2 (ja) * 2000-12-28 2006-11-15 日本電気株式会社 帰還型増幅回路及び駆動回路
JP3730886B2 (ja) 2001-07-06 2006-01-05 日本電気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JP3666423B2 (ja) * 2001-07-06 2005-06-29 日本電気株式会社 駆動回路
US7102608B2 (en) * 2002-06-21 2006-09-05 Hima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driving pixels located in a row of an LCD panel toward the same average voltage value
US6977549B2 (en) * 2002-02-25 2005-12-20 Nec Corporation Differential circuit, amplifier circuit, driv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ose circuits
JP4252855B2 (ja) * 2002-11-06 2009-04-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ソースフォロア回路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
US7446744B2 (en) * 2002-11-15 2008-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with pre-charging arrangement
JP2004361424A (ja) * 2003-03-19 2004-12-2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素子基板、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駆動方法
JP4353759B2 (ja) 2003-09-22 2009-10-2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駆動回路
EP1619688A1 (en) * 2004-07-21 2006-01-25 Dialog Semiconductor GmbH Dynamical biasing of memory sense amplifiers
US7208974B1 (en) * 2004-09-27 2007-04-24 Marvell International Ltd. Rail-to-rail source followers
US7912440B2 (en) * 2004-11-16 2011-03-22 St-Ericsson Sa Apparatus for filtering a reference voltage and mobile phones comprising such apparatus
TWI296405B (en) * 2005-08-19 2008-05-0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Source-follower type analogue buff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therwith
US7423476B2 (en) * 2006-09-25 2008-09-09 Micron Technology, Inc. Current mirror circuit having drain-source voltage clamp
JP2008139697A (ja) 2006-12-04 2008-06-19 Nec Electronics Corp 容量性負荷駆動回路および容量性負荷駆動方法、液晶表示装置駆動方法
WO2014077200A1 (ja) * 2012-11-13 2014-05-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並びに、信号出力回路
US9172363B2 (en) * 2013-10-25 2015-10-27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Driving an MOS transistor with constant precharging
CN103854587B (zh) * 2014-02-21 2017-03-01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栅极驱动电路及其单元和一种显示器
US10483976B1 (en) * 2018-05-24 2019-11-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s to interpret pin input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0412A (ja) * 1982-11-15 1984-05-24 Nec Corp 双方向性定電流駆動回路
JPS61212907A (ja) 1985-03-18 1986-09-20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
US4818901A (en) * 1987-07-20 1989-04-04 Harris Corporation Controlled switching CMOS output buffer
GB2225910A (en) * 1988-12-08 1990-06-13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Processing sampled analogue electrical signals
US5126685A (en) * 1990-12-18 1992-06-30 Synaptics, Incorporated Circuits for linear conversion between voltages and currents
KR960000619B1 (ko) * 1991-12-27 1996-01-10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일괄소거형의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의 구동제어회로
US5526014A (en) 1992-02-26 1996-06-11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H0675543A (ja) 1992-02-26 1994-03-18 Nec Corp 液晶表示パネル駆動用半導体装置
US5426447A (en) 1992-11-04 1995-06-20 Yuen Foong Yu H.K. Co., Ltd. Data driving circuit for LCD display
US5510807A (en) 1993-01-05 1996-04-23 Yuen Foong Yu H.K. Co., Ltd. Data driver circuit and associated method for use with scanned LCD video display
JPH06214527A (ja) 1993-01-18 1994-08-05 Sharp Corp 出力回路
JPH07319429A (ja) 1994-05-30 199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画像表示装置
JP3135810B2 (ja) * 1995-01-31 2001-02-1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033673B2 (ja) * 1995-04-21 2000-04-1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増幅用の演算増幅回路
JP2792490B2 (ja) 1995-12-20 1998-09-03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駆動回路の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
JPH11259A (ja) * 1997-06-10 1999-01-06 Toshihide Shigemura 調理用鍋及び鍋蓋支持具
KR100275651B1 (ko) * 1997-07-28 2000-12-15 가네꼬 히사시 연산 증폭기를 구비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용 구동기
JP3147098B2 (ja) * 1997-07-28 2001-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3799775B2 (ja) 1997-10-07 2006-07-19 ソニー株式会社 出力バッファ回路
US6037811A (en) * 1997-10-10 2000-03-14 International Microcircuits, Inc. Current-controlled output buffer
JPH11119741A (ja) 1997-10-15 1999-04-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データドライ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82908B2 (ja) 2004-01-06
TW525126B (en) 2003-03-21
KR100385780B1 (ko) 2003-06-02
EP1056070A3 (en) 2002-01-09
EP1056070A2 (en) 2000-11-29
US6624669B1 (en) 2003-09-23
JP2000338461A (ja) 200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780B1 (ko) 용량성 부하 구동회로 및 구동회로 시스템
KR100297140B1 (ko) 저전력소비와 정밀한 전압출력을 갖는 액정 표시용 구동 회로
US6480178B1 (en) Amplifier circuit and liquid-crystal display unit using the same
KR100783445B1 (ko) 오프셋 캔슬 기능을 갖는 연산 증폭기
KR100432652B1 (ko) 레벨 시프터 및 평판 표시 장치
US6567327B2 (en) Driving circuit, charge/discharge circuit and the like
US7176910B2 (en) Driv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KR970063901A (ko) 연산증폭회로
JP2000040924A (ja) 定電流駆動回路
KR100696266B1 (ko) 아날로그 버퍼 및 그의 구동방법
US6469562B1 (en) Source follower with Vgs compensation
US7176752B2 (en) Plate voltage generation circuit capable controlling dead band
US6483384B1 (en) High speed amplifier
JPH11259052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5835999A (en) Low power regenerative feedback device and method
US7133487B2 (en) Level shifter
US6975168B2 (en) Drive circuit
KR100699585B1 (ko) 출력 버퍼회로
KR100373340B1 (ko) 박막트랜지스터-엘시디의 소오스 드라이버
US6876254B2 (en) Dual amplifier circuit and TFT display driving circuit using the same
JP2002055645A (ja) マトリックス型画像表示装置の駆動回路装置
KR20220125036A (ko) 슬루율이 향상되고 출력단의 쇼트 전류를 최소로 하는 증폭기
KR100267765B1 (ko) 바이어스보상회로
KR20040030838A (ko)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KR20010083708A (ko) 제로-크로싱 감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