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410A -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틀을 사용하여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 - Google Patents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틀을 사용하여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410A
KR20010012410A KR1019997010363A KR19997010363A KR20010012410A KR 20010012410 A KR20010012410 A KR 20010012410A KR 1019997010363 A KR1019997010363 A KR 1019997010363A KR 19997010363 A KR19997010363 A KR 19997010363A KR 20010012410 A KR20010012410 A KR 2001001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king
stack
mold
sheet unit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627B1 (ko
Inventor
프란츠 젠. 하스
요한 하스
요한 작센호퍼
Original Assignee
에리히 콜레트닉
프란츠 하스 바펠마시넨-인두스트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콜레트닉, 프란츠 하스 바펠마시넨-인두스트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리히 콜레트닉
Publication of KR2001001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8Discharging baked goods from t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하며 제빵 시트 유닛으로 형성되는 제빵 틀을 사용하여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에 관한 것이다. 제빵 시트 유닛은 제빵 틀의 하부 절반부를 자체 상면에 가지며 제빵 틀의 상부 절반부를 자체 하면에 갖는다. 수직 제빵 샤프트가 하부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하부 적재 스테이션에서는 예비 제품이 각각의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 위에 놓인다. 제빵 샤프트는 서로 자유롭게 적층되는 제빵 시트 유닛으로 구성된 수직 스택을 포함한다. 하부 지지장치 위에 지지되는 스택은 예비 제품을 포함한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이 연속적으로 추가됨으로써 적층 장치에 의해 하부에서 일정하게 보충되며, 제빵 시트 유닛이 연속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상부에서 일정하게 감소되어서, 자유롭게 적층된 제빵 시트 유닛 및 이들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형성된 제빵 틀은 스택 내에서 단계적으로 제빵 샤프트를 통해 상승한다. 동시에, 제빵 틀 내의 예비 제품은 박막형 제품으로 구워진다. 스택 내에서 단계적으로 제빵 샤프트를 통해 상승함으로써, 서로 적층된 두 개의 제빵 시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제빵 틀은 자체 위의 스택의 부품의 중량에 의해서만 굽는 동안에 발생된 내압에 대하여 밀폐 유지된다. 제빵 틀은 방출 스테이션으로 운반되고, 그 다음에 구워진 박막형 제품이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으로부터 취해진다.

Description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 틀을 사용하여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 {BAKERS' OVEN FOR PRODUCING THIN-WALLED SHAPED PRODUCTS WITH BAKING FORMS EACH CONSISTING OF TWO FORM HALVES WHICH OPEN AND CLOSE}
무형의 덩어리로부터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제빵 오븐에 있어서,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틀 절반부가 18-140 개폐 가능한 제빵 집게(baking tongs) 내에 포함되고, 두 개의 틀 절반부를 갖는 각각의 틀은 제빵 집게의 두 개의 집게 절반부 내에 수용된다. 제빵 집게는 한 방향으로 각각의 제빵 오븐의 이전 챔버와 후속 제빵 공간을 통해 연속으로 작동하는 무한 체인으로 연결된다. 이전 챔버를 통과할 때에는, 먼저 개방된 제빵 틀로부터 각각의 박막형 제품을 제거한 후에, 개방된 제빵 틀 내에 소정량의 무형의 덩어리를 유입시키도록 제빵 집게가 자체 제빵 틀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개방된다. 그 다음에, 제빵 집게는 자체 제빵 틀을 폐쇄시키기 위하여 폐쇄된다. 오븐을 통과하는 후속 공정 동안에, 제빵 틀이 가열되고 이 폐쇄된 제빵 틀 내에 수용되어 있는 무형의 덩어리는 박막형 제품으로 구워지는 한편, 제빵 틀은 제빵 중에 내부에 발생된 내압에 대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빵 오븐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무한 제빵 집게 체인은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빵 공간을 통과하는 두 개의 적층식 운반 레벨로 배치되고, 제빵 공간의 전면에 연결된 이전 챔버의 전방 단부 및 제빵 공간의 후방 단부에서 한 운반 레벨로부터 다른 운반 레벨로 유도된다.
각각의 제빵 집게는 제빵 오븐을 통과하며 운반되고, 개폐 및 밀폐되는 제빵 틀을 내부에 포함하는 외부에서 작동 가능한 기계로서 설계된다. 이전의 챔버를 통과할 때, 제빵 틀은 자체 제빵 집게에 의해 개방되고, 잠깐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에 다시 폐쇄된다. 무한 제빵 집게 체인은 제빵 집게 체인을 연속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전의 챔버 내에 고정 배치되고 제빵 집게 체인의 회전 운동과 관련하여 매번 제빵 집게의 운동 순서를 산출하는 각각의 제어 장치를 통과할 때 각각의 제빵 집게 체인의 이러한 회전 운동으로부터 동일한 운동 반복이 야기된다.
이전의 챔버를 통과할 때, 개방된 제빵 집게가 제품 제거 스테이션을 통과하고, 이 때 구워진 형상 제품은 개방된 제빵 틀로부터 제거되어 오븐의 방출 스테이션을 통해 이전의 챔버로부터 방출된다. 제품 제거 스테이션의 다음에, 개방된 제빵 집게가 적재 스테이션을 통과하고, 이 때 소정량의 무형의 덩어리가 빈 개방된 제빵 틀 내에 유입된다. 종방향으로 연장된 오븐의 수평 제빵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폐쇄된 틀은 폐쇄된 제빵 집게 내에서 가열된다. 가스-가열식 오븐에 있어서, 제빵 틀은 오븐의 제빵 공간 내에서 발생하여 제빵 집게 쪽으로 보내지는 고온 가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열된다. 전기적으로 가열되는 오븐에 있어서, 제빵 틀은 제빵 집게의 집게 절반부 내에 설치된 전기 가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전기 가열 소자는 제빵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외부 소스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박막형 제품은 제빵 집게에 의해 제빵 공간을 통해 주기를 갖고 운반되는 제빵 틀 내에서 연속적인 사이클로 제조된다. 각각의 제빵 사이클은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제빵 공간을 통해 제품 제거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각각의 제빵 틀 내에서 일어난다. 각각의 단일 제빵 사이클에 있어서, 적재 스테이션에서는 무형의 덩어리가 제빵 집게에 의해 이미 개방되어 있는 제빵 틀 내로 유입되고, 제품 제거 스테이션에 도달하기 전에 자체 제빵 집게에 의해 다시 개방될 때까지 제빵 틀은 자체 제빵 집게에 의해 폐쇄 및 밀폐 유지되고, 그리고 박막형 제품이 개방된 제빵 틀로부터 제거된다.
개방된 제빵 틀이 적재 스테이션으로 자체 제빵 집게에 의해 다시 운반될 때, 제빵 틀 내에서는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다음의 제빵 사이클이 개시된다.
각각의 제빵 사이클에서, 제빵 집게에 의해 외부로부터 폐쇄 유지되는 틀 내에서의 제빵 공정 동안에, 폐쇄된 제빵 틀 내에 갇혀있는 무형의 덩어리는 부풀려진 박막형 제품으로 압력 하에서 분포되고 부풀려지고 구워진다. 최종 박막형 제품의 외형 중에서 상면은 상부 틀 절반부의 제빵 면의 표면 형상에 의해 결정되고, 하면은 제빵 틀의 하부 틀 절반부의 제빵 면의 표면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최종 박막형 제품의 벽두께는 제빵 틀이 폐쇄되었을 때의 서로 마주보는 이들 두 개의 제빵 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최종 박막형 제품의 외측 가장자리의 윤곽은 폐쇄된 제빵 틀의 중공 틀 공간의 측면 제한부에 의해 결정된다.
제빵 틀 및 제빵 집게가 폐쇄되었을 때, 두 개의 집게 절반부 및 두 개의 틀 절반부는 서로에 대해 대향으로 놓인다. 집게 절반부는 서로 대향인 정지부에 의해 서로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제빵 틀의 전면에 배치된 제빵 면은 서로 마주보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된다. 이들 두 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제빵 면은 이들 사이에 폐쇄된 제빵 틀의 중공 틀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은 박막형 제품으로 제빵 틀 내에서 만들어지는 제품에 따라서, 측면이 개방되거나, 기밀 상태까지는 아니지만 밀봉 스트립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측면이 밀폐된다. 이러한 중공 틀 공간 내에서, 소정량의 무형 덩어리가 압력 하에 박막형 제품으로 구워진다. 중공 틀 공간 내에서의 굽기 동안에 형성되는 제빵 가스에 의하여, 무형 덩어리가 부풀어지고, 이것이 중공 틀 공간 전체에 분포되고, 상기 가스는 두 개의 제빵 면 사이에서 폐쇄된 제빵 틀의 중공 틀 공간으로부터 각각의 제빵 오븐의 제빵 공간 내로 흘러 나간다. 제빵 틀 및 제빵 집게가 폐쇄될 때, 제빵 가스는 제빵 틀의 중공 틀 공간 내에 내압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내압은 제빵 면을 거쳐 틀 절반부로 전달되고 이들로부터 제빵 집게의 집게 절반부로 전달된다. 이러한 내압은 폐쇄된 제빵 집게에 의해 상쇄되며, 이들 제빵 집게는 제빵 집게 및 제빵 틀에 의존하는 자체 회전 동안에 자체 집게 절반부의 고유 중량에 의하거나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고정 폐쇄 수단에 의하여 폐쇄 유지되거나 또는 자체 집게 절반부 상에 측면 장착되는 제빵 집게 잠금 장치에 의해 폐쇄 유지되며, 이에 의하여 자체 정지부를 갖고 서로에 대항하여 놓여진 자체 집게 절반부가 제빵 가스에 의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빵 가스에 의해 생성된 내압은 매우 강한 가스의 성장에 기인하여 제빵 공정의 초기 단계에서 증가하며, 중공 틀 공간으로부터의 제빵 가스의 방출에 의해 감소된다. 내압의 최대 발생 압력은 중공 틀 공간의 측면 한도의 설계에 따라서 주로 좌우되기 때문에, 가스가 밀봉 스트립의 소수의 증기 슬롯만을 통해서 방출될 수 있는 밀봉 스트립에 의해 전체 둘레가 둘러지는 중공 틀 공간 내에서보다 측면이 완전 개방된 중공 틀 공간 내에서 훨씬 적다.
폐쇄된 상태에서 측면 개방 중공 틀 공간을 형성하는 제빵 틀을 포함하는 관절식 결합 집게 절반부를 갖춘 제빵 집게의 경우에는, 내압이 굽는 동안에만 약간 압력이 증가하고, 제빵 틀은 중공 틀 공간의 위에 놓이는 각각의 집게 절반부의 고유 중량에 의해서, 또는 제빵 집게의 집게 절반부가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식 폐쇄장치에 의해서 밀폐 유지된다.
내압이 굽는 동안에 크게 증가하는, 밀봉 스트립에 의해 전체 둘레가 측면 제한되는 측면 개방 중공 틀 공간을 폐쇄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제빵 틀의 틀 절반부를 포함하는 집게 절반부를 갖춘 제빵 집게는 각각의 제빵 집게의 두 개의 대향 면에서 측면 밀폐 유지된다. 관절부에 의해 연결되는 집게 절반부의 경우에, 관절부에 대향인 제빵 집게의 측면 상에 제빵 집게 잠금부가 제공되고, 이 잠금부는 제빵 집게가 폐쇄될 때 확실하게 잠궈진다. 제빵 틀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직선으로 움직이는 집게 절반부를 갖춘 관절부가 없는 제빵 집게의 경우에는, 제빵 집게의 두 개의 대향 측면 각각에 제빵 집게 잠금부가 제공되고, 이 잠금부는 제빵 집게가 폐쇄될 때 확실하게 잠궈진다. 각각의 제빵 집게 잠금부는 각각의 제빵 집게에 부착되는 장치이며, 제빵 집게를 폐쇄시킬 때 외부에서 작동되며, 잠금 상태시 두 개의 집게 절반부를 확실하게 연결시킨다. 각각의 제빵 집게 잠금부는 제빵 집게의 폐쇄 이후에 그리고 제빵 집게의 개방 이전에 작동되어야 한다.
공지되어 있는 제빵 오븐에 있어서, 제빵 집게의 제빵 집게 절반부 내에 편평한 제빵 판이 결합되는데, 이 제빵 판은 제빵 틀의 상부 및 하부 틀 절반부로서 전면 상에 형성되고 후면 상에서 가열된다.
구성, 레이아웃, 및 기능의 관점에서 볼 때,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개개의 제빵 틀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 제빵 집게를 경유하여, 회전 제빵 집게의 개별 부품의 운동을 유발시키는 고정식 제어장치 및 박막형 제품을 위한 방출 스테이션으로 진행하는 연속 회전식 제빵 집게 체인을 갖춘 공지된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빵 오븐은 소정의 조리법에 따라서 준비되는 무형의 덩어리로부터 단일의 예정된 형상을 갖는 박막형 제품을 독특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특별하게 설정된다.
이러한 제빵 오븐은 주로 밀가루와 물로 구성된 유체 웨이퍼 반죽으로부터 제빵 집게의 회전식 제빵 틀 내에서 구워지는 식용 웨이퍼를 공업적으로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제빵 오븐 및 웨이퍼 반죽에 따라서, 제조되어질 웨이퍼는 최대 1% 내지 4%의 수분 함유량을 갖는 바삭바삭한 부서지기 쉬운 웨이퍼가 되거나, 또는 8% 이상의 수분 함유량을 갖는 부드럽고 탄력적인 웨이퍼가 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제빵 오븐은 편평한 유동 가능한 전분 기재 무형 덩어리로부터 제빵 집게의 회전식 제빵 틀 내에서 구워지며 6% 내지 22%의 수분 함유량을 갖춘 탄성을 갖는 분해 가능한 포장 트레이를 공업적으로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18 내지 140 제빵 집게를 포함하는 자체 무한 제빵 집게 체인을 갖춘 공지된 종방향 연장 제빵 오븐은 기계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귀찮은 장치이다. 제빵 틀은 몇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제빵 집게 내에 수용되고 제빵 오븐의 양쪽 운반 레벨 상의 측면 유도 레일의 측면 작동 바퀴 상의 제빵 공간을 통해 작동한다. 제빵 집게의 유도로를 따라서 이전의 챔버 내에, 제빵 집게의 통과시 제빵 틀의 개폐를 위한 집게 절반부의 운동 및 폐쇄된 제빵 집게의 잠금과 해제를 위한 제 빵 집게 잠금부의 잠금 부재의 운동을 발생시키는 제어 캠 및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무한 제빵 집게 체인이 기계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오븐 프레임에 장착되는 공압 또는 유압식 체인 신장 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제빵 집게는 제빵 집게와 상호 연결되고 제빵 오븐의 양쪽 단부에 배열된 체인 유도부에 걸쳐 작동하는 두 개의 측면 운반 체인으로 구성된다.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된 종방향 연장 제빵 오븐에서는, 자체 제빵 집게 및 제빵 틀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박막형 제품의 제조 용량의 차이는 제빵 오븐 및 각각의 제빵 공간의 길이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해서만 나타난다. 기존의 종방향 연장 웨이퍼 제빵 오븐이 고용량의 새로운 종방향 연장 제빵 오븐으로 교체되어야 할 때 제빵 오븐의 부지에서 기다란 구성 공간은 새로운 제빵 오븐을 필요로 한다. 제한된 공간 조건하에서, 부지에 필요한 길이는 각각의 제조 설비의 단부에 제공되는, 박막형 제품으로부터 제조되는 최종 제품을 위한 포장기계에 이르기까지 박막형 제품을 처리 및 가공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제조 설비 및 종방향 연장 제빵 오븐의 임의의 용량 증가를 위한 제한 인자에 적당하다.
독일 특허 제 714 019호에 웨이퍼 제빵 기계가 공지되어 있는데, 측면 작동 롤러에 의해 상기 제빵 기계의 측벽 내에 유도되는 웨이퍼 성형 박스가 제공되고, 상기 성형 박스는 제조되어질 웨이퍼의 상면 및 하면의 패턴에 상응하는 함몰부를 자체 상면 및 하면에 가지며, 각각의 지지 측면 후크 고리가 하면 및 상면에 인접한 잠금 핀을 지나 아래로 돌출한다. 하부 운반 레벨에 있어서, 이들 성형 박스는 하단부에서 제빵 덩어리로 채워지고, 고정식 고리 상에 지지되는 성형 박스 스택의 하단부에서 제빵 틀 내로 연속적으로 조립되고, 그리고 구워진 웨이퍼를 위한 상부 제거 스테이션을 향해 위쪽으로 수직 제빵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며, 이들 각각은 하부 박스의 잠금 핀에 체결되는 상부 박스의 후크 고리에 의해 단단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적층된 성형 박스로 구성된다. 제빵 샤프트의 하단부에서, 매번 자체 상단부에서 제빵 덩어리로 채워지는 성형 박스가 커넥팅로드 기어의 크랭크에 의해 제빵 샤프트 내로 아래로부터 가압되고, 그리고 제빵 틀을 형성하도록 성형 박스 스택의 최하위 성형 박스와 함께 결합된다. 이에 따라서, 전체 성형 박스 스택은 고정식 고리에 의해 상승되고, 하나의 성형 박스 높이만큼 상승되어서, 스택 내의 최하위 성형 박스의 후크 고리가 새로 도착한 성형 박스의 잠금 핀 내로 감겨지고, 그 다음에 새로운 최하위 성형 박스를 갖춘 전체 스택이 다시 고정 고리 상에 놓여진다. 스택의 하단부에서 성형 박스의 추가에 의하여, 스택 내의 제빵 틀은 제빵 샤프트를 통해 위쪽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한편, 웨이퍼는 이들에 의해 형성된 제빵 틀 내에서 구워진다. 스택이 상승될 때, 스택의 최상위 제빵 틀 내에서 상부 성형 박스의 후크 고리는 하부의 성형 박스의 잠금 핀으로부터 회전되며, 최상위 성형 박스는 기계의 프레임의 측벽 내에서 작동하는 무한 컨베이어의 두 개의 무한 링크 체인에 연결되고, 성형 박스 스택으로부터 최상위 제빵 틀을 해제시킴으로써 이 성형 박스를 상승시키고 이를 상부 운반 레벨을 통해 운반하고, 하부 운반 레벨로의 후방 수직 운반에 의해 제빵 샤프트의 하단부로 다시 운반되며, 이 때 이러한 성형 박스는 무한 컨베이어의 링크 체인으로부터 다시 분리된다. 최상위 성형 박스가 스택으로부터 상승될 때, 구워진 웨이퍼는 하부 성형 박스의 상면 상에 놓여지며 스트립퍼에 의해 상부 제거 스테이션에서 상기 성형 박스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웨이퍼 제빵 기계는 소수의 비교적 박막 성형 박스로 구성되는 낮은 성형 박스 스택을 갖춘 짧은 제빵 샤프트를 가지며, 이러한 박막 성형 박스는 성형 박스에 의해 형성되는 제빵 틀 내에서 웨이퍼를 굽는 동안에 발생하는 높은 내압을 견딜 수 있도록, 후크 고리 및 잠금 핀에 의해 단단하게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개폐 가능한 틀 절반부로 구성된 제빵 틀이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빵 오븐에 관한 것이다. 제빵 틀은 개방 상태에서 예비 제품으로 채워지며, 이 예비 제품은 폐쇄된 제빵 틀 내에서 박막형 제품으로 변형되고, 이러한 박막형 제품의 형상은 폐쇄된 제빵 틀에 의해 형성된 중공 공간에 일치한다.
예비 제품으로는 폐쇄된 제빵 틀 내에서 굳어지는 무형의 덩어리 또는 폐쇄 제빵 틀 내에서 박막형 제품으로 구워지는 무형의 덩어리가 사용될 수 있다. 식용의 무형 제빵 덩어리로는 반죽 조리법에 따라서 바삭바삭한 크런치 웨이퍼로 구워지거나 부드러운 웨이퍼로 구워지는, 예를 들어 무설탕 또는 설탕함유 웨이퍼 반죽과 같은 소정의 반죽이나 무설탕 또는 설탕함유 제과점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제빵 반죽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식용에 적합하지 않은 부패 가능한 포장 트레이 또는 다른 부패 가능한 전분함유 포장 제품의 형태로 구워지는 전분-기재 제빵 덩어리를 무형의 제빵 덩어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무형의 덩어리와 함께 틀 내로 유입되는 박막형 제품에 통합되는 예비 형성된 제품이나 폐쇄 틀 내의 상이한 형상에 따라 예비 성형되는 제품을 예비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비 형성된 제품은 무형의 덩어리로 만들어진 박막형 제품일 수도 있다.
도 1은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수직 운반로를 갖춘 제빵 오븐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수직 제빵 샤프트를 통과하는 운반로의 일부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 일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의 밀봉 스트립의 일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서로 적층된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스택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택 내의 제빵 시트 유닛들은 서로 느슨하게 적층되어 있으며 단지 중량에 의해서만 서로 유지되고 있고,
도 7은 박막형 제품의 제조를 위한 수직 운반로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스택을 위한 지지장치의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 틀 내에서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형의 제빵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서 제조되는 박막형 제품의 외형을 가진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 틀 내에서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을 제시한다. 이러한 제빵 오븐 내에는, 밀폐 사이클을 통과하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이 제공되며, 제빵 틀의 하부 제빵 틀 절반부가 이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에 지지되고 제빵 틀의 상부 제빵 틀 절반부가 이 제빵 시트 유닛의 하면에 지지되며, 쌍을 이루어 서로 적층되어 폐쇄된 제빵 틀을 형성한다. 하부 적재 스테이션에서, 각각의 제빵 시트 유닛은 그 상면에 예비 제품이 적재되며, 그 다음에 하부 지지장치 상에 얹혀지는 제빵 시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수직 스택에 통합되고, 그리고 구워진 박막형 제품을 제거 하기 위한 상부 제거 스테이션으로 수직 제빵 샤프트를 통해 상향 연장된다. 상단부에서 스택은 개개의 제빵 시트 유닛으로 일정하게 분리되고, 예비 제품을 적재한 제빵 시트 유닛을 연속적으로 추가하는 적층 장치에 의해서 하부에서 일정하게 보충되기 때문에,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제빵 틀은 제빵 샤프트를 통해 단계적으로 상향 이동하는 한편, 제빵 틀 내에 포함된 예비 제품은 박막형 제품으로 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빵 오븐은, 제빵 시트 유닛이 서로에 대해 느슨하게 적층되고, 두 개의 포개진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개개의 제빵 틀은 각각의 스택의 중량에 의해서만 굽는 동안에 발생되는 내압에 대하여 밀폐 유지되는 한편, 스택 내부에서 수직 제빵 샤프트를 통해 상부 제거 스테이션으로 단계적으로 상향 이동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제빵 샤프트 외부에서 일정하게 독립적으로 보충 및 분리되는 제빵 틀 스택으로 제빵 샤프트를 따라서 연장된 운반장치를 교체함으로써, 일정하게 이동되어야 하는 제빵 오븐의 부품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자체 중량에 의해서만 서로 고정되는 일정하게 보충되는 제빵 틀 스택은 제빵 샤프트를 따라서 연장되는 밀폐된 제빵 틀용 운반장치나, 또는 제빵 집게 내에 제빵 틀을 포함하고 제빵 오븐의 수평 고온 제빵 공간 내에 자체 가동 부품 모두를 갖고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공지된 종방향 연장 제빵 오븐의 무한 제빵 틀 체인보다 유지보수가 훨씬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빵 오븐은 두 개의 틀 부품의 연결을 위하여 종래의 제빵 오븐에서 필요한 측면 잠금 장치 및 제빵 오븐 내에서 제빵 시트 유닛을 유도하기 위하여 종래의 제빵 오븐에 필요한 측면 작동 바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빵 오븐의 구성에 있어서, 양면 사용이 가능하며 수직 제빵 샤프트를 통해 이동하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의 일정하게 보충되는 스택은 제빵 샤프트를 통해 운반되며 값비싼 재료 및 제빵 샤프트 내의 고온에 따른 복잡한 구조물을 필요로 하는 가동 부품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빵 샤프트의 상부에 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분리 장치는 스택을 분리하고 제빵 틀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스택의 상면으로부터 제빵 시트 유닛을 하나씩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빵 시트 유닛을 하부 적재 스테이션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단독 수직 컨베이어가 제빵 샤프트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빵 시트 유닛이 서로 상응하는 상부 및 하부 적층 면을 가질 수 있어서, 이에 의하여 제빵 시트 유닛이 스택의 내부에서 서로의 상면 상에 느슨하게 놓여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부 제빵 틀 절반부로서 설계된 다수의 제빵 틀 부품이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 상에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부 제빵 틀 절반부로서 설계된 다수의 제빵 틀 부품이 제빵 시트 유닛의 하면 상에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면에 할당된 제빵 시트 유닛의 상부 적층 면이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에 배치된 하부 제빵 틀 절반부의 밀봉 스트립에 각각 통합될 수 있어서, 제빵 시트 유닛이 제빵 시트 유닛들에 의해 형성된 스택 내부에 자체 제빵 틀 절반부의 밀봉 스트립을 갖고 서로 느슨하게 적층된다.
상면 및 하면 상에 배치된 제빵 틀 절반부를 갖고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은 제빵 면의 이면을 지지하는 시트 제품의 비틀림 및 굽힘 저항 구성을 고려하여, 시트 제품에 형성되어 있는 가열 채널이 시트 제품을 강화시킨다. 서로 마주보는 적층 면은 두 개의 제빵 시트 유닛이 적층되고 제빵 틀의 폐쇄 동안에 두 개의 포개진 제빵 시트 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제빵 틀의 두 개의 틀 절반부의 정확한 상호 배치를 고려한다.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이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빵 면 및 이들의 상면과 하면 상에 배치된 적층 면은 각각의 시트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은 상부 제빵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상단부 및 하부 제빵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부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제빵 시트 및 상부 제빵 시트의 전방면에 형성된 하부 제빵 틀 절반부는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을 형성하고, 그리고 이면에 형성된 보강 리브와 함께 제빵 시트 유닛의 가열 채널의 경계 벽의 하부를 형성한다. 이들의 이면에서, 상부 및 하부 제빵 시트는 자체 보강 리브의 전방면에 의해 서로 적층되고, 각각의 제빵 시트 유닛에 대한 쌍으로 서로 단단하게 연결된다.
하나의 부품으로, 또는 자체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되는 제빵 시트를 갖춘 평행육면체 판 제품으로, 또는 자체 이면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적층되는 두 개의 제빵 시트로 제조될 수 있는, 양면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층 가능한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은 제빵 틀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적층되어, 자체 적층 면에 의해 아래로부터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상부 제빵 시트 유닛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틀 절반부는 하나의 제빵 틀을 형성하도록 하부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틀 절반부와 함께 결합되고, 동시에 이러한 제빵 틀은 폐쇄된다. 두 개의 포개진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상단 및 하단에서 제한되는 폐쇄된 제빵 틀은 박막형 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하여 단일 중공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빵 틀은 단일 제빵 틀 내에서 다수의 박막형 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의 다수의 중공 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빵 틀은 단일 제빵 틀 내에서 다수의 상이한 박막형 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다수의 중공 틀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양면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하단부에서 일정하게 보충되며 상단부에서 일정하게 분리되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에 있어서, 하단부에서 제빵 시트 유닛이 아래로부터 적층되고, 그리고 상단부에서 분리되어,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 상에 전체 중량이 얹혀지도록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이 스택에 통합되는 다음의 적층 단계 이전에 스택의 하단부에 할당된 적재 스테이션에서 새로운 시트 유닛은 자체 상면에 예비 제품을 적재한다.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이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으로서 전체 스택 중량을 지지할 때까지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이 스택의 아래에 이동되고 스택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에 대해 가압된다. 이러한 적층 단계에서, 스택은 자체 하단부에서 제빵 시트 유닛으로 보충되고, 동시에 자체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틀 절반부는 새로운 밀폐 제빵 틀을 형성하도록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 상에 예비 제품으로 채워진 하부 틀 절반부와 함께 결합한다. 이러한 제빵 틀은 서로 적층된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제빵 틀 스택 내에서 최하위 제빵 틀이 된다. 이러한 제빵 틀의 중공 틀 공간은 전체 스택의 중량에 의해 구워지는 동안 발생되는 내압에 대하여 밀폐 유지된다. 이러한 제빵 틀은 각각의 적층 단계에 의하여 한 레벨씩 자체 중공 틀 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빵 시트 유닛과 함께 상향 이동한다. 스택의 상단부에서, 제빵 틀의 중공 틀 공간은 상부를 제한하는 제빵 시트 유닛의 중량에 의해서만 밀폐 유지되고, 그리고 이러한 제빵 시트 유닛이 스택의 분리 시에 상승되는 경우에 제빵 틀의 중공 틀 공간은 또한 개방된다. 이러한 중공 틀 공간 내에 제조된 박막형 제품은 스택의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빵 틀 절반부의 상면 위에 남겨져서 이로부터 직접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양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은 밀폐 사이클에서 각각의 제빵 오븐을 통해 운반되고 수직 스택 내에서 제빵 오븐의 수직 샤프트를 통과한다. 상기 수직 스택은 서로의 상면에서 적층되는 제빵 시트 유닛으로 구성되고 자체 하단부에서 하나의 제빵 시트 유닛으로 연속적으로 보충되며 자체 상단부에서 제빵 시트 유닛 한 개씩 감소된다. 양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은 각각의 스택의 형성 공정을 제빵 틀의 폐쇄 공정에 결합시키는 것과, 그리고 스택의 분리 공정을 제빵 틀의 개방 공정에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예비 제품이 적재된 후에 제빵 틀을 폐쇄시키기 위한, 그리고 구워진 박막형 제품의 제거 전에 제빵 틀을 개방시키기 위한 추가의 공정 또는 작동 장치가 필요 없다. 스택을 형성하는 제빵 오븐의 적층 장치는 서로의 상면 상에 아래로부터 시트를 적층하기 때문에, 제빵 틀은 폐쇄된다. 스택을 분리시키는 제빵 오븐의 분리 장치는 제빵 시트 유닛을 각각의 스택으로부터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빵 틀을 개방시키고 제빵 시트 유닛을 제빵 틀 절반부로 분리시킨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예컨대, 융기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웨이퍼 패턴을 자체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갖춘 편평 직사각형 시트와 같은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스 가열식 제빵 오븐(1)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박막형 제품은 박막형 제품의 벽두께 및 외형을 결정하는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개폐 가능한 제빵 틀 내에서 무형의 덩어리로부터 만들어진다.
개폐 가능한 제빵 틀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측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2)이 제공되며(도 2 내지 도 5a 참조), 이 유닛(2)은 가열 채널을 통해 가열될 수 있는 평행육면체 판을 가지며, 두 개의 대향 측벽(2a) 상에 측면 고정 개구부 또는 가열 채널(4)을 가지고, 상면(2b) 및 하면(2c) 상에는 제빵 면(5, 6)과 적층 면(7, 8)을 갖는다. 제빵 시트 유닛(2)의 상면(2b)은 제빵 틀의 하부 절반부로서 설계되고, 제빵 시트 유닛(2)의 하면(2c)은 제빵 틀의 상부 절반부로서 설계된다. 두 개의 포개진 제빵 시트 유닛(2)들은 적층 면(7, 8)을 서로 마주하며 적층되고, 제조되어질 각각의 박막형 제품을 위한 폐쇄된 제빵 틀을 함께 형성한다. 제빵 틀은 제빵 시트 유닛(2)의 하면(2c) 상에 배치되는 상부 제빵 틀 절반부와 제빵 시트 유닛(2)의 상면(2b) 상에 배치되는 하부 제빵 틀 절반부로 구성된다. 내부에 통합된 제빵 틀 절반부들을 갖춘 각각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2)은 임의의 박막형 제품에 대하여 설정된다.
편평한 직사각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빵 시트 유닛(2)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판을 갖는다. 편평한 직사각형 판의 상면(2b) 및 하면(2c) 상에는 측면 밀봉 스트립(9, 10)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제빵 면(5, 6)이 형성되어 있다. 제빵 시트 유닛(2)의 적층 면(7, 8)은 이들 밀봉 스트립(9, 10) 내에 통합되어 있으며, 이들 적층 면(7, 8) 각각은 제빵 면(5, 6) 위로 돌출되어 있고, 이들은 함께 제빵 시트 유닛(2)의 상부 제빵 틀 절반부(5, 9) 및 하부 제빵 틀 절반부(6, 10)를 각각 형성한다. 상부 제빵 틀 절반부(5, 9)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스트립(9b)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 채널(11)이 두 개의 대향 밀봉 스트립(9b) 내에 형성된다. 서로 적층되는 두 개의 제빵 시트 유닛(2)은 상부 제빵 틀 절반부(5, 9)와 하부 제빵 틀 절반부(6, 10)의 밀봉 스트립(9, 10)이 서로 마주보도록 놓여지고, 측면 증기 채널을 제외하고는 완전하게 폐쇄된 제빵 틀을 형성한다. 제빵 틀이 폐쇄된 경우 빵을 굽는 동안에 발생된 가스는 상기 증기 채널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원형, 삼각형, 오각형, 또는 부채꼴형 편평 층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시트 유닛은 측면 밀봉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원형, 삼각형, 오각형, 또는 부채꼴형 제빵 면을 상면과 하면 상에 갖춘 판형 제품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각각의 제빵 시트 유닛의 적층면은 일체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제빵 시트 유닛은 원형, 삼각형, 오각형, 또는 부채꼴형의 기저부를 갖춘 제조될 층과 형상이 동일한 평행육면체 판을 가질 수도 있다.
약간 상향의 직사각형 트레이 형상의 박막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시트 유닛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판을 가지며, 트레이의 형상에 상응하는 함몰부를 갖춘 상부 제빵 면을 상면에 지니고 트레이의 형상에 상응하는 융기부를 갖춘 하부 제빵 면을 하면에 지닌다. 하부 및 상부 제빵 면 모두는 트레이의 외형에 상응하며 제빵 시트 유닛의 적층면을 포함하는 밀봉 스트립에 의해 제한된다.
불확정 가장자리를 갖춘 편평 층으로 형성되는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시트 유닛은 제조되어질 편평 층의 각각의 외형에 상응하는 제빵 면을 상면 및 하면에 갖춘 평행육면체 판을 가지며, 박막형 제품의 벽 두께를 결정하는 동일한 스페이서가 외측에 배치되고, 제빵 시트 유닛의 상부 및 하부 적층면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제빵 오븐에 있어서, 양측면을 사용할 수 있는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2)은 제빵 오븐(1)의 단열 외벽(12)의 내부에서 밀폐 사이클로 제빵 오븐(1)을 통해 운반된다. 상기 사이클은 상향 유도 운반로(13)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로(13)의 시작 위치에서 제빵 시트 유닛(2)은 제빵 틀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적층되고, 제빵 틀을 개방하기 위하여 단부에서 제빵 시트 유닛(2)이 다시 분리된다. 폐쇄된 제빵 틀을 위한 상기 수직 운반로(13)는 하부 적재 스테이션(14)으로부터 제빵 공간으로 제조된 제빵 샤프트(15)를 통해 상부 제거 스테이션(16)으로 유도된다. 상부 제거 스테이션(16)으로부터 분리된 제빵 시트 유닛(2)은 제빵 샤프트(15)의 외부에 위치한 하향 유도 운반로로 이동되어, 상향 유도 운반로(13)로 보내지기 전에 개별적으로 하강된다.
폐쇄된 제빵 틀 및 이를 형성하는 제빵 시트 유닛(2)은 오직 중량에 의해서만 서로 유지되는 느슨하게 포개진 제빵 시트 유닛으로 구성되고, 연속적으로 보충되는 스택(18)에 의하여 제빵 샤프트(15)를 통해 상향 이동된다.
제빵 오븐(1)의 내부에서, 제빵 샤프트(15)의 외측은 단열 외판(19)에 의해 제한된다. 제빵 샤프트(15)의 내부에서 스택(18)을 따라서 가스 버너(20)가 서로 수직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가스 버너(20)에 의해 생성되는 가열 가스는 스택(18)의 전반에 걸쳐 제빵 시트 유닛(2)의 가열 채널(4)을 통해 흐르고, 이에 의하여 스택(18) 내에 수용되는 예비 제품을 둘러싸는 폐쇄된 제빵 틀이 가열된다. 제빵 샤프트(15)의 바닥에서, 스택(18)은 적층장치(21)에 의해서 하부 수평 컨베이어(22)로부터 공급되는 제빵 시트 유닛(2)으로 연속적으로 보충된다. 적층장치(21)는 스택(18)의 하단부에 할당되는 지지장치(23) 및 스택(18)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승장치(24)로 구성된다. 지지장치(23)는 스택(18)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과 접하고, 전체 스택(18)의 중량이 지지장치(23) 상에 걸린다. 지지장치(23)는 수평면 내에서 서로 대향으로 위치되는 두 개의 캐리지(25, 26)를 포함한다. 이들 캐리지(25, 26)는 제빵 오븐(1)의 프레임 내에 수직으로 지지되고 서로 대향인 전방면에 고정 볼트(27, 28)를 가지며, 이들 고정 볼트(27, 28)는 스택(18)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의 가열 채널(4) 내로 연장되며 스택(18)의 전체 중량을 지탱한다. 적층 공정 동안에 스택(18)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먼저 두 개의 캐리지(25, 26)가 잡아당겨져서 스택(18)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으로부터 고정 볼트(27, 28)를 빼내고, 그 다음에 스택(18)을 조이기 위하여 캐리지(25, 26)는 스택(18)의 새로운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의 가열 채널(4) 내로 자체 고정 볼트(27, 28)를 밀어 넣도록 다시 조여진다.
적층되어질 제빵 시트 유닛(2)은 운반로(13) 및 스택(18)의 하부의 앞에 존재하는 적재 스테이션(14)을 통해 수평 컨베이어(22)에 의해 운반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적재 스테이션(14)은 주입 스테이션과 같이 제조될 수 있으며, 무형의 덩어리인 측정된 양의 예비 제품이 매번 각각의 제빵 시트 유닛(2)의 상면(2b)에 주입된다. 상면(2b)에 예비 제품을 갖춘 제빵 시트 유닛(2)은 스택(18)의 밑으로 하부 수평 컨베이어(22)에 의해 운반되고, 상승장치(24)의 수직 가변 램(29)에 의해 하부 수평 컨베이어(22)로부터 상승된다. 이러한 램(29)은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2)이 스택(18) 내에 통합되도록 스택(18)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2)을 가압하고, 스택(18)의 전체 중량을 지지함으로써,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2)을 스택(18) 내에 새로운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으로 통합시킨다. 스택(18)의 종전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이 지지장치(23)에 의해 해제된 후에, 지지장치(23)의 램(29)은 하나의 제빵 시트 유닛(2)의 높이만큼 전체 스택(18)을 들어올린다. 그 후에, 지지장치(23)는 스택(18)의 새로운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과 접하게 되고, 스택(18)은 상승장치(24)에 의해 지지장치(23) 상에 위치된다.
제빵 샤프트(15)의 상부에서, 스택(18)은 분리장치(30)에 의해 개개의 제빵 시트 유닛(2)으로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분리장치(30)는 상부 수평 컨베이어(31)에 의해 지지되는 그립 헤드(32)를 포함한다. 그립 헤드(32)는 스택(18)의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2)을 전자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스택(18)으로부터 들어올리고 제빵 샤프트(15)의 외부에 위치된 하향 유도 운반로(17)의 수직 컨베이어(33)로 운반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그립 헤드(32)가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2)을 스택(18)으로부터 들어올릴 때, 이 때까지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2)에 의해 상향 제한되었던 최상위 제빵 틀이 개방된다. 최상위 제빵 틀 내에서 구워진 박막형 제품은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 상에서 유지되고, 이 때까지는 상기 제빵 틀의 하방이 제한된다. 이제, 최상위 제빵 틀은 스택(18)의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2)의 상면이 되어 스택(18)의 상면을 형성한다.
스택(18) 내의 구워진 박막형 제품은 예를 들면 흡입 헤드(도시 안함)에 의해 제거 스테이션(16) 내에서 각각 제거되어, 스택(18)의 부근에 위치한 방출 스테이션(34)으로 보내지고, 이를 통하여 제빵 오븐(1)으로부터 방출된다.
스택(18)이 통과하는 제빵 샤프트(15) 내에서(도 1 참조), 가스 버너(20)가 스택(18)의 양측면에 나란히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될 수도 있다. 스택(18)의 일측면으로부터 제빵 시트 유닛(2)의 가열 채널(4) 내로 흐르는 가열 가스는 제빵 시트 유닛(2)을 통과한 후에 스택(18)의 대향 측면에서 제빵 샤프트(15) 내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가열 가스는 제빵 샤프트(15)를 빠져나가는 동시에 두 개의 상부 배출 개구부(35, 36)를 통해 스택(18)의 폐쇄된 제빵 틀로부터 빠져나간다. 가스 버너(20) 및 배출 개구부(35, 36)는 스택(18)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도 2 참조), 제빵 샤프트(37)가 두 개의 나란한 샤프트 부분(39, 40) 내의 수평 분할 벽에 의해 2차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가스 버너(41, 42) 및 배출 개구부(43, 44)가 스택(18)의 서로 수직으로 나란하게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샤프트 부분(39, 40)은 하부 가열 구역(39a, 40a)을 각각 포함하며, 가스 버너(41, 42)가 각각 하부 가열 구역(39a, 40a) 내에 배치되고, 샤프트 부분(39, 40)의 배출 개구부(43, 44)는 각각 상부 가열 구역(39b, 40b) 내에 배치된다. 가스 버너(41, 42) 및 배출 개구부(43, 44) 각각은 중간 플로어(45, 46)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이들 중간 플로어(45, 46)는 스택(18)의 통로를 위하여 각각 중앙 개구부(45a, 46a)를 가지며, 하부 가열 구역(39a, 40a)으로부터 상부 가열 구역(39b, 40b) 내로 가열 가스 및 제빵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측면 플로어 개구부(45b, 46b)를 갖는다.
제빵 샤프트(15)의 아래에 배치된 수평 컨베이어(22)는 스택(18)의 하단부를 지나 제빵 오븐(1)의 측벽(2a) 근처의 제빵 시트 유닛(2)용 방출 스테이션(47)으로 연장되고(도 1의 우측 참조), 제빵 오븐(1)의 측벽(2a) 내에 제공되는 서비스 도어(도시 안함)를 갖는다.
제빵 시트 유닛(2)용 방출 스테이션(47)을 경유하여, 하향 유도 운반로(17)에 의해 하부 수평 컨베이어(22)로 이동된 제빵 시트 유닛(2)은 스택(18)의 하단부를 우회하여 하부 수평 컨베이어(22)에 의해 방출 스테이션(47)으로 운반되어 제빵 오븐(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제빵 시트 유닛(2)이 세정되고 손질된 후에, 이 제빵 시트 유닛(2)은 제빵 오븐(1)의 부품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방출 스테이션(47)을 통해 제빵 오븐(1) 내로 재유입되어 하부 수평 컨베이어(22)에 의해 적층장치(21)로 운반된다.
제빵 시트 유닛(2)용 방출 스테이션(47)은 방출 스테이션(47)을 통하여 제빵 시트 유닛(2)을 다른 제빵 시트 유닛(2)으로 개별적으로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빵 오븐(1)을 재장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평한 층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빵 시트 유닛(2)은 얕은 트레이를 위한 적층 가능한 제빵 시트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다.
제빵 오븐(1) 내의 수직 상방 유도 운반로(13)를 형성하는 스택(18)은 적층장치(21)의 연속적인 적층 과정으로 인하여 차례로 스택(18)에 통합되고 스택(18)과 제빵 샤프트(15)를 통과한 후에는 스택(18)의 상단부에서 분리장치(30)에 의해 스택(18)으로부터 제거되는 적층된 제빵 시트 유닛(2)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적층 공정에 의하여, 상면(2b) 상에 예비 제품이 이미 적재되어 있는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2)은 스택(18) 내로 아래에서 통합된다.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2)은 스택(18)의 하단부 아래에서 하부 수평 컨베이어(22)에 의해 운반되고, 그리고 바닥에 배치되어 있는 상승장치(24)의 램(29)에 의하여 스택(18)의 하단부 쪽으로 하부 수평 컨베이어(22)로부터 상승되어 스택(18)의 하면에 대해 자체 상면(2b)이 가압된다. 그 후에,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2)과 이것의 위에 올려져 있는 스택(18)은 상승장치(24)의 램(29)에 의해 더욱 상승되고, 종전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과 스택(18)은 지지장치(23)의 고정 볼트(27, 28)로부터 상승된다. 지지 캐리지가 수평으로 잡아 당겨짐으로써, 고정 볼트는 스택(18)의 종전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으로부터 빼내어 진다. 스택(18)의 새로운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의 측면 고정 개구부(4)가 지지장치(23)의 고정 볼트(27, 28)쪽으로 향할 때까지 스택(18)은 상승장치(24)의 램(29)에 의해 더욱 상승된다. 그 다음에, 지지장치(23)의 두 개의 캐리지가 서로 밀리며 고정 볼트(27, 28)가 스택(18)의 새로운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의 고정 개구부(4) 내로 밀려진다. 그 후에, 상승장치(24)의 램(29)이 자체 초기 바닥 위치로 하강되어, 하부 수평 컨베이어(22)의 운반 레벨 아래로 하강되기 전에 지지장치(23)의 고정 볼트(27, 28) 상에 스택(18)을 먼저 위치시킨다. 그 다음에, 하부 수평 컨베이어(22)는 스택(18)의 하단부 아래로 이미 예비 제품을 상면(2b)에 갖춘 새로운 제빵 시트 유닛(2)을 운반하고, 그리고 새로운 적층 공정이 시작된다.
각각의 적층 공정 동안에, 결합되어질 제빵 시트 유닛(2)의 상면(2b) 상에 형성되는 이미 적재된 하부 제빵 틀 절반부는 스택(18)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의 하면(2c) 상에 형성되는 제빵 틀의 하향 밀봉 스트립에 대한 상향 밀봉 스트립을 갖고 아래로부터 밀려지고, 그리고 두 개의 제빵 틀 절반부는 폐쇄된 제빵 틀을 형성한다.
각각의 적층 공정에 의하여, 스택(18)의 하단부에서 새로운 폐쇄 제빵 틀이 형성되고, 이 폐쇄 제빵 틀의 중공 틀 공간은 스택(18)의 2 개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의 서로 마주보는 제빵 면(5, 6)에 의해 상방 및 하방 한계가, 그리고 이들 2 개의 최하위 제빵 시트 유닛(2)의 포개진 밀봉 스트립에 의해 측면 한계가 정해진다. 이러한 중공 틀 공간은 밀봉 스트립 내에 제공된 증기 채널을 제외하고는 완벽하게 밀폐된다. 적층 공정 동안에 제빵 틀을 폐쇄시킴으로써 중공 틀 공간 내에 놓여진 무형의 덩어리는 편평한 층과 같은 형상을 갖는 박막형 제품으로 구워지고, 또한 중공 틀 공간 및 이 공간을 형성하는 제빵 시트 유닛(2)이 제빵 샤프트(15)를 통해 스택(18) 내에서 한 단계씩 위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빵 공정 동안, 제빵 가스가 증기 채널을 통해 중공 틀 공간에서 빠져 나와 폐쇄 제빵 틀로부터 제빵 샤프트(15) 내로 배출되기 전에, 무형의 덩어리는 중공 틀 공간에 발생하여 분포되는 제빵 가스에 의해 부풀려진다. 초기 상태에서 신속하게 증가하여 잠시 후에는 다시 신속하게 감소되는, 굽기 동안 발생된 중공 틀 공간 내부의 내압은 중공 틀 공간의 상면 상에 놓이는 스택(18)의 각 부품의 중량에 의해 완화된다. 중공 틀 공간은 각각의 새로운 적층 공정에 의해 하나의 레벨씩 스택(18) 내에서 상향 이동하고, 상면 상에 놓인 스택(18)의 부분은 자체 상단에서 각각의 제빵 시트 유닛(2)이 제거됨으로써 더 작고 가벼워진다. 전체 제빵 공정 동안에, 중공 틀 공간 내에 발생한 내압은 상면 상에 놓인 스택(18)의 부분의 중량에 의해 중공 틀 공간상에 위로부터 가해지는 압력보다 항상 더 작다. 그 이유는 개개의 제빵 시트 유닛(2)의 중량 및 서로 적층된 제빵 시트 유닛(2)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스택(18)의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이다.
스택(18)의 상단부에서, 중공 틀 공간은 상면에 접한 제빵 시트 유닛(2)의 중량에 의해서만 밀폐되며, 스택(18)이 해체되는 동안에 이 제빵 시트 유닛(2)이 들어 올려질 때 이 중공 틀 공간 또한 개방된다. 제빵 시트 유닛(2)을 분리하기 위하여, 스택(18)의 아래에 배치된 상승장치(24)에 의해 실행되는 적층 공정 동안에 상부 수평 컨베이어(31)의 그리퍼(74)는 스택(18)의 상단부 위에서 스택(18)이 최상위 위치로 상승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 다음에는, 스택(18)이 상승장치(24)에 의해 다시 하강하는 동안에 그립 헤드(32)가 스택(18)의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2)을 붙잡아 고정하며, 종전의 제 2 제빵 시트 유닛(2) 즉, 새로운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2)은 그립 헤드(32)에 의해 고정된 제빵 시트 유닛(2)으로부터 하방으로 이탈된다. 그 결과, 스택(18)의 두 개의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2)에 의해 종전에 형성되었던 제빵 틀이 개방되며, 이에 의하여 구워진 박막형 제품이 스택(18)의 현재 최상위 제빵 시트 유닛(2)의 상면 위에 놓여지게 되어 이로부터 제거되는 한편, 그립 헤드(32)는 제거된 제빵 시트 유닛(2)을 제빵 샤프트(15)의 외부에 배치된 수직 컨베이어(33)의 상단부로 운반한다. 다음 적층 공정 동안에 스택(18)이 상승장치(24)에 의해 다시 자체 최상위 위치로 상승되기 전에 상부 수평 컨베이어(31)의 그립 헤드(32)는 스택(18)의 상단부 위로 다시 위치되고, 그리고 다음 분리 공정이 시작된다.

Claims (6)

  1.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 틀을 사용하여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으로서,
    상기 제빵 틀은 상기 틀 절반부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제조되는 박막형 제품의 외형을 형성하고, 밀폐 사이클로 이동하면서 상호 상면에 적층될 수 있는 제빵 시트 유닛이 상기 제빵 오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이 상기 제빵 틀의 하부 절반부를 자체 상면에 가지며 상기 제빵 틀의 상부 절반부를 자체 하면에 가지고, 이들 상부 및 하부 절반부의 포개진 쌍은 폐쇄된 제빵 틀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빵 시트 유닛은 하부 적재 스테이션에서 예비 제품을 적재하고 그 다음에, 제빵 시트 유닛들로 구성되며 하부 고정 장치 상에 지지되는 스택에 통합되고, 상기 스택은 구워진 박막형 제품을 위한 제거 스테이션에 이르기까지 수직 제빵 샤프트를 통해서 상향 연장되며 자체 상단부에서 독립적인 제빵 시트 유닛으로 연속적으로 분리되며, 그리고 상기 제빵 틀 내에 수용된 예비 제품이 박막형 제품으로 구워지는 동안에 상기 스택은 자체 하단부에서 예비 제품을 적재한 제빵 시트 유닛을 추가시키는 적층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보충되고 상기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제빵 틀은 상기 제빵 샤프트를 통해 단계적으로 상향 이동되는, 제빵 오븐에 있어서,
    상기 제빵 샤프트를 통해 상기 스택 내에서 상기 상부 제거 스테이션으로 상향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스택 내에서 상기 제빵 시트 유닛들이 느슨하게 적층되며 두 개의 포개진 제빵 시트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개별적인 제빵 틀이 상면 위에 놓인 스택의 개별 부분의 중량에 의해서만 굽는 동안에 발생되는 내압에 대하여 밀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빵 틀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택의 상부로부터 차례로 제빵 시트 유닛을 제거하는 분리 장치를 상기 제빵 샤프트 상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 오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재 스테이션으로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택의 운반 방향에 반대로 움직이는 자체 수직 컨베이어를 상기 제빵 샤프트의 외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 오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이 상호 동일한 상부 및 하부 적층 면을 각각 가지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적층 면에 의해서 상기 제빵 시트 유닛들이 상기 스택 내에서 서로 느슨하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 오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틀 절반부로서 설계된 다수의 제빵 틀 부품들이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 상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그리고 상부 틀 절반부로서 설계된 다수의 제빵 틀 부품들이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의 하면 상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 오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에 배치된 상부 적층 면이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의 상면에 배치된 하부 제빵 틀 절반부의 밀봉 스트립 내에 각각 통합되고,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의 하면에 배치된 하부 적층 면이 상기 제빵 시트 유닛의 하면에 배치된 상부 제빵 틀 절반부의 밀봉 스트립 내에 각각 통합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제빵 시트 유닛들이 상기 제빵 틀 절반부의 밀봉 스트립에 의해 상기 스택 내에서 서로 느슨하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 오븐.
KR10-1999-7010363A 1997-05-09 1998-05-11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틀을 사용하여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 KR100502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789/97 1997-05-09
AT0078997A AT411203B (de) 1997-05-09 1997-05-09 Backofen für die herstellung von dünnwandigen formkörpern mit jeweils aus zwei formhälften bestehenden, auf- und zumachbaren backformen
PCT/AT1998/000121 WO1998051156A1 (de) 1997-05-09 1998-05-11 Backofen für die herstellung von dünnwandigen formkörpern mit jeweils aus zwei formhälften bestehenden, auf- und zumachbaren backform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410A true KR20010012410A (ko) 2001-02-15
KR100502627B1 KR100502627B1 (ko) 2005-07-22

Family

ID=34997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364A KR100477237B1 (ko) 1997-05-09 1998-05-11 각각 2개의 절반 모울드로 이루어진 개폐 가능한 베이킹 모울드로 벽이 얇은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베이킹 오븐
KR10-1999-7010363A KR100502627B1 (ko) 1997-05-09 1998-05-11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틀을 사용하여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364A KR100477237B1 (ko) 1997-05-09 1998-05-11 각각 2개의 절반 모울드로 이루어진 개폐 가능한 베이킹 모울드로 벽이 얇은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베이킹 오븐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6196117B1 (ko)
EP (2) EP0980207B1 (ko)
JP (2) JP2001523975A (ko)
KR (2) KR100477237B1 (ko)
CN (2) CN1144524C (ko)
AT (2) AT411203B (ko)
AU (2) AU7198198A (ko)
BR (2) BR9815527A (ko)
DE (2) DE59806869D1 (ko)
ES (2) ES2190587T3 (ko)
ID (1) ID23384A (ko)
RU (2) RU2193849C2 (ko)
TR (2) TR199902761T2 (ko)
WO (2) WO19980511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761B1 (ko) * 2010-02-21 2012-05-21 강달중 호두과자의 성형틀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4204B (de) * 2000-12-22 2006-10-15 Haas Franz Waffelmasch Beschickungsvorrichtung für einen backofen zur herstellung von gebackenen formkörpern
US6925469B2 (en) * 2001-03-30 2005-08-02 Intertainer, Inc.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 platform
DE102004020745A1 (de) * 2004-04-27 2005-11-24 Werner & Pfleiderer Lebensmitteltechnik Gmbh Backofen
AT511404B1 (de) * 2011-05-11 2015-10-15 Haas Food Equipment Gmbh Backofen
AT511405B1 (de) * 2011-05-11 2013-05-15 Franz Haas Waffel Und Keksanlagen Ind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polsterförmigen hohlkörpern
CN102669200B (zh) * 2012-06-12 2014-12-10 阳政精机(无锡)有限公司 食品烘烤设备中食品模具的自动开合装置
US10010216B2 (en) * 2013-01-14 2018-07-03 Hamilton Beach Brands, Inc. Sandwich making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a sandwich with the same
US10030338B2 (en) 2014-03-04 2018-07-24 William P. Dempse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elletized recycled asphalt shingles
JP5985020B1 (ja) * 2015-08-12 2016-09-06 内外ヴィッカーズ株式会社 オーブン
MA45298A (fr) * 2015-10-23 2018-08-29 F Lli Venturini S R L Procédé et appareil pour fabriquer des panigacci
EP3266307B1 (de) * 2016-07-06 2018-09-26 Haas Food Equipment GmbH Backvorrichtung
US10663763B2 (en) 2017-07-12 2020-05-26 Vision Pro (Wuxi) Ltd Multifocal intraocular lens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CN111403133B (zh) * 2020-05-13 2021-11-1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复合悬式绝缘子芯棒加工系统
CN111403132B (zh) * 2020-05-13 2021-09-28 恒大电气有限公司 一种复合悬式绝缘子成型加工方法
RU206675U1 (ru) * 2020-12-21 2021-09-21 Халима Юсуфовна Боташева Подовая хлебопекарная печь
CN113575624A (zh) * 2021-06-21 2021-11-02 陈蝶 一种面包生产用的烘焙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9832A (en) * 1928-10-19 1930-05-27 Sanitary Food Machine Corp Electrical cooking apparatus
US1814942A (en) * 1930-01-20 1931-07-14 Mabey Electric And Mfg Company Double electric toaster
DE714019C (de) * 1936-09-16 1941-11-20 Hengler & Cronemeyer Nachf Waffelbackmaschine, deren Backformen in geschlossener Aufeinanderfolge absatzweise durch einen Heizofen bewegt werden
AT386106B (de) * 1983-06-01 1988-07-11 Hebenstreit Gmbh Waffelbackautomat sowie verfahren zur luftversorgung dieses waffelbackautomaten
AT388081B (de) * 1984-02-20 1989-04-25 Haas Franz Waffelmasch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in mehreren nebeneinanderliegenden linien und hintereinanderliegenden querreihen antransportierten gefuellten waffelschnitten
AT384933B (de) * 1984-05-04 1988-01-25 Haas Franz Waffel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erollten, vorzugsweise kegelfoermigen hohlwaffeln
US4803918A (en) * 1986-02-03 1989-02-14 Carbon Fred S Double baker for waffles, pancakes and similar food items
AT388486B (de) * 1987-05-07 1989-06-26 Haas Franz Waffelmasch Waffelbackzange
AT391589B (de) * 1988-10-20 1990-10-25 Haas Franz Waffelmasch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den verschluss der backzangen eines waffelbackofens zur erzeugung von verrottbaren, vorzugsweise essbaren waffeln
AT393440B (de) * 1989-02-20 1991-10-25 Haas Franz Waffelmasch Stueckgut, wie z.b. toastbrotscheiben, weissbrotscheiben, soft-waffeln od. dgl.
AT400208B (de) * 1993-10-04 1995-11-27 Haas Franz Waffelmasch Scharniergelenk für backzangen
AU2213795A (en) * 1994-03-30 1995-10-23 Henrik Klof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forming an object from a flowable composition
PL177489B1 (pl) * 1994-05-27 1999-11-30 Franz Haas Waffelmaschinen Industriegesellschaft Mbh Sposób i urządzenie do produkcji wafli do lodó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761B1 (ko) * 2010-02-21 2012-05-21 강달중 호두과자의 성형틀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3384A (id) 2000-04-20
TR199902760T2 (xx) 2000-02-21
CN1262602A (zh) 2000-08-09
DE59806869D1 (de) 2003-02-13
CN1144525C (zh) 2004-04-07
BR9808767A (pt) 2001-09-11
ATA78997A (de) 2003-04-15
DE59807473D1 (de) 2003-04-17
JP2001523975A (ja) 2001-11-27
KR20010012411A (ko) 2001-02-15
ES2194315T3 (es) 2003-11-16
EP0980206B1 (de) 2003-01-08
AU7198298A (en) 1998-12-08
CN1262603A (zh) 2000-08-09
EP0980207B1 (de) 2003-03-12
AU7198198A (en) 1998-12-08
AT411203B (de) 2003-11-25
BR9815527A (pt) 2001-12-26
KR100477237B1 (ko) 2005-03-17
RU2193849C2 (ru) 2002-12-10
JP2001523976A (ja) 2001-11-27
WO1998051157A1 (de) 1998-11-19
EP0980206A1 (de) 2000-02-23
WO1998051156A1 (de) 1998-11-19
RU2193850C2 (ru) 2002-12-10
US6178878B1 (en) 2001-01-30
KR100502627B1 (ko) 2005-07-22
CN1144524C (zh) 2004-04-07
TR199902761T2 (xx) 2000-05-22
EP0980207A1 (de) 2000-02-23
ATE230565T1 (de) 2003-01-15
ES2190587T3 (es) 2003-08-01
US6196117B1 (en) 2001-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627B1 (ko) 개폐 가능한 두 개의 틀 절반부로 각각 구성되는 제빵틀을 사용하여 박막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빵 오븐
US4631029A (en) Baking oven with heated air distribution-II
US5123336A (en) Plant for treating baking good
US20040081934A1 (en) Oven for producing baked molded bodies
US6450086B1 (en) Facility for preparing bakery and pastry products
US10845121B2 (en) Method and plant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friction elements, in particular brake pads
US200401368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baking trays and a load carrier therefore
US4886041A (en) Continuous processing baking machines
US20090074902A1 (en) Dough press and dough loading system
RU22338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печ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ыпеченных вафельных листов
EP0987948B1 (en) Modular system for conveying bakery products, and oven provided with said modular system
AT414083B (de) Backofen für die herstellung von dünnwandigen formkörpern in auf- und zumachbaren backformen
CN218588091U (zh) 披萨成型机构
KR950015104B1 (ko) 호두과자 자동제빵기
RU222683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хлебобулочных и/или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CN115720488A (zh) 具有可变薄饼模具速度的焙烤装置
SU155661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в печах
US1506221A (en) Brickmaking machine
JP3012176U (ja) 焼成オーブン及び焼成施設
JPH09140317A (ja) 焼成物の焼成方法及び自動オーブン
GB2299740A (en) Bakers' oven
ITVR970114A1 (it) Forno per prodotti di panific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