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103A - 전자장비, 데이터 수신방법, 데이터 전송방법, 채널설정방법과 전자장비를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비, 데이터 수신방법, 데이터 전송방법, 채널설정방법과 전자장비를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103A
KR20010007103A KR1020000027427A KR20000027427A KR20010007103A KR 20010007103 A KR20010007103 A KR 20010007103A KR 1020000027427 A KR1020000027427 A KR 1020000027427A KR 20000027427 A KR20000027427 A KR 20000027427A KR 20010007103 A KR20010007103 A KR 2001000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tting
receiving
communication bu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하타
준지 카토
마코토 사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0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65Bandwidth and channe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사용자는 전송 또는 수신채널을 임의로 쉽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IEEE1394버스에 접속된 각 장치는 RAM(113)내에 설치된 레지스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전송 또는 수신디폴트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전송 및 수신에 사용되는 채널이 전송을 시작할 때 설정되지 않을 경우에 디폴트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부(116)를 조작하여 장치를 채널설정모드로 설정할 때, 제어부(112)는 표시부상의 채널설정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동작부(116)의 윗키(116a)와 아래키(116b)를 조작하여 설정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YES"키(116c)를 조작할 때, 제어부(112)는 상술된 레지스터에 선택된 채널을 입력하고, 디폴트채널 설정조작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송 또는 수신채널을 임의로 쉽게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비, 데이터 수신방법, 데이터 전송방법, 채널 설정방법과 전자장비를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방법{Electronic equipment, method of receiving dat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method of setting channel and method of grouping electronic equipment into channel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IEEE1394버스와 같은 통신버스에 의해 연결되는 통신시스템과의 사용을 위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송수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이 레지스터에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등에 관한 것이며, 송수신채널은 임의로 쉽게 설정될 수 있다.
IEEE 1394버스와 같은 통신버스에 의해 연결되는 통신시스템에서는 버스자원인 채널 및 대역은 유지될 수 있고, IEC 61883-1표준에 따른 가상의 플러그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 등이 동기모드에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종래의 전자장치는 접속되어야 할 장치를 능동적으로 발견하기 어렵게 되며, 어떠한 전자장치는 미리 동일한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대역이 있을지라도, 전자장치는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채널을 취해야만 하거나 채널을 오픈할 때까지는 이용가능한 채널을 기다려야만 한다.
IEC 61883-1표준은 전송을 시작할 경우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검색장치없이 채널을 접속하도록 설정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1)을 갖는다. 또한, 전송을 시작할 경우에 채널이 설정되지 않으면, 전송장치는 특정의 전송설정 레지스터에서 설명되는 기판단 채널(디폴트(default)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IEC 61883-1표준은 디폴트 채널을 재입력하여 다른 채널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2)을 갖추고 있지만, 수신장치의 채널을 설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상술한 기능(1)을 사용하지 못할 때, 일부의 채널조작의 방법을 판단하지 못할 경우에는 복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전송을 실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전송되어야 할 신호가 동일한 유형의 신호와 다른 포맷의 신호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른 전송율이 버스에 허용될지라도, 전자장치를 모든 종류의 수신장치의 동작과 매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장 낮은 전송율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송채널 및 수신채널을 임의로 쉽게 설정할 수 있는 전자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소정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버스에 접속된 전자장치이다. 이 전자장치는 수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이 메모리수단에 수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수단과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 전자장치는 이 메모리수단에 수신채널을 설정하도록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소정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버스에 접속된 전자장치이다. 이 전자장치는 수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통신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수신된 통신명령이 수신채널의 설정에 관한 통신명령인 경우에 수신채널을 메모리수단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과를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소정 채널의 데이터를 통신버스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버스에 접속된 전자장치이다. 이 전자장치는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이 메모리수단에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수단과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에, 이러한 전자장치는 전송채널을 메모리수단에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소정 채널의 데이터를 통신버스에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버스에 접속된 전자장치이다. 이 전자장치는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이 메모리수단에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수단과를 갖추고 있다. 이 전자장치는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통신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수신된 통신명령이 전송채널의 설정에 관한 통신명령인 경우에 메모리수단에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과를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방법은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소정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버스에 접속되는 데이터 수신방법이다. 이 데이터 수신방법은 수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하는 수신채널 설정조작처리의 단계와, 그 조작에 기초하여 메모리수단에서 수신채널을 기억시키기 위한 수신채널 설정처리의 단계와, 수신채널설정에 기초하여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수신채널의 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수신하기 위한 수신처리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방법은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소정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버스에 접속되는 데이터 수신방법이다. 이 데이터 수신방법은 통신버스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처리의 단계와, 수신처리에서 수신된 통신명령이 수신채널의 설정에 관한 통신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처리의 단계와, 통신명령이 수신채널의 설정에 관한 통신명령인 경우 수신채널을 메모리수단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처리의 단계와, 수신채널에 기초하여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된 수신채널의 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수신하기 위한 수신처리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방법은 소정 채널의 데이터를 통신버스에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버스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방법이다. 이 데이터 전송방법은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하는 전송채널설정 조작처리의 단계와, 상술된 조작에 기초하여 메모리수단에서 전송채널을 기억시키기 위한 전송채널 설정처리의 단계와, 전송채널에 기초하여 전송채널로부터 통신버스를 통한 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처리의 단계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방법은 통신버스에 소정 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버스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방법이다. 이 데이터 전송방법은 통신버스를 통하여 송신된 통신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처리의 단계와, 수신처리에서 수신된 통신명령이 전송채널이 설정에 관한 통신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처리의 단계와, 통신명령이 전송채널이 설정에 관한 통신명령일 경우 메모리수단에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처리의 단계와, 전송채널설정에 기초하여 통신버스를 통하여 전송채널로부터 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처리의 단계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수신채널과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메모리수단을 갖추어도 좋다. 수신채널과 전송채널은 동작수단에 의해 이 메모리수단에 설정되어도 좋다. 대신에, 수신채널과 전송채널은 수신된 통신명령에 따라서 이 메모리수단에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통신버스에 접속된 전자장치여도 좋다. 이러한 전자장치는 통신버스에 접속된 다른 전자장치의 수신채널과 전송채널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설정하기 위하여 통신명령을 내보내는 발생수단과, 통신버스를 통하여 이 발생수단에 의해 보내진 통신명령을 다른 전자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과를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설정방법은 통신버스를 통하여 다른 전자장치에 접속된 전자장치의 채널을 설정하는 채널설정방법이다. 이러한 채널설정방법은 통신버스에 접속된 다른 전자장치의 수신채널과 전송채널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사용된 통신명령을 내보내기 위한 발생처리의 단계와, 발생처리에서 발생된 통신명령을 통신버스를 통하여 다른 전자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처리의 단계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버스에 접속된 다른 전자장치의 수신채널과 전송채널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설정될 경우에는 그 전까지의 통신명령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명령은 통신버스를 통하여 다른 전자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전자장치에서 수신채널 및 전송채널은 예를 들면 수신채널 및 전송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메모리수단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통신버스에 접속된 전자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는 통신버스에 접속된 모든 전자장치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획득수단과,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채널로 모든 전자장치를 그룹화하기 위한 그룹 수단과, 이 그룹화수단으로부터 그룹화된 상태를 표시부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수단과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 전자장치는 그룹 수단으로부터 그룹화된 상태의 확인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수단과, 이 동작수단에 의해 확인조작을 실행할 경우에 그룹화된 상태에 기초하여 모든 전기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또는 수신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설정수단과를 더 갖추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그룹화 방법은 통신버스를 통하여 다른 전자장치에 복수의 채널로 접속된 전자장치를 그룹화하는 채널 그룹화 방법이다. 이러한 채널그룹화 방법은 통신버스에 접속된 복수의 전자장치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획득처리의 단계와, 정보획득처리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장치를 복수의 채널로 그룹화하기 위한 그룹화 처리의 단계와, 그룹화 처리의 그룹 화면상태를 표시부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처리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버스에 접속된 모든 전자장치의 정보(예를 들면, 모델정보 및 아이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모든 전자장치는 전송율과 대응하는 속도에 관련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룹화면상태를 표시부상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든 전자장치를 그룹화할 경우에 그러한 그룹화된 상태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그러한 그룹화에 대한 확인조작을 실행할 경우, 모든 전자장치의 채널을 그러한 그룹화된 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채널설정조작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IEEE 1394 노드로서 사용하는 복수의 전자장치를 IEEE1394버스에 접속하는 통신시스템(100)의 블록형식을 나타낸다. 이러한 통신시스템(100)은 DVCRs(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s)(102, 103), 모니터(104, 105), 위성방송 수신기(106), VTR(Video tape recorder)(107), PC(personal computer)(108)를 IEEE 1394 버스(101)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며 IEEE 1394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IEEE 1394 노드의 주요 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IEEE 1394를 통해 연결된 장비의 데이터 전송의 주기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IEEE 1394 표준 패킷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IEEE 1394 표준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IEEE 1394 표준 등시 패킷의 데이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CSR 구조 주소 공간을 설명하는데 참고가 되는 도면이다.
도 8은 주요 CSR들의 위치, 이름들과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반적인 ROM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버스 정보 블록, 루트 디렉토리와 유니트 디렉토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PCR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12d는 oMPR, oPCR, iMPR과 iPCR의 각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와 플러그 및 등시 채널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전송과 수신 채널들이 동작부의 동작에 의해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통신 명령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통신 명령이 데이터 블록으로 삽입되어 있는 비동기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17b는 디폴트 채널 설정 명령과 응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장비 그룹들을 제공하기 위해 장비가 그룹되는 방법의 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통신 시스템 106. 방송 수신기
104,105. 모니터 112. 제어부
115. 표시부 116. 동작부
도 1은 IEEE 1394의 노드들로 작용하는 다수의 전자장비가 IEEE 1394 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을 블록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100)은 DVCRs(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s)(102, 103), 모니터(104, 105), 위성 방송 수신기(106), VTR(video tape recorder)(107)과 PC(108)를 IEEE 1394 버스(101)에 연결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IEEE 1394 노드(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IEEE 1394 통신부(111), 제어부(112), RAM(113), ROM(114), 표시부(115)와 동작부(116)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12)의 제어하에서는, IEEE 1394 통신부(111)가 제어부(11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패킷들로 변형시키며, 이러한 IEEE 1394 패킷을 버스(101)를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버스(101)로부터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12)로 출력시킨다.
ROM(114)은 구조 ROM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ROM(114)은 여러 종류들의 프로그램과 여러가지 변수들을 저장한다. RAM(113)은 IEEE 1394 CSR(control and status registers)로 작용하며, 제어부(112)가 여러가지 프로세싱을 실행할 때에 요구되는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도 3은 IEEE 1394를 통해 연결된 장비의 데이터 전송 주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IEEE 1394에 따르면, 데이터는 패킷들로 분할되며, 구간 125μs의 통신 주기에 근거하여 시간 공유 방식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주기는 주기 마스터 기능을 가지고 있는 노드 (도 1에 도시된 장비들중 어느 장비)로부터 공급된 주기 시작 신호에 의해 생성된다.
한 통신 주기내의 데이터 전송 모드로서,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와 같은 정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등시 데이터가 만약 필요하다면, 전송 모드와 장비를 위한 동작제어명령과 장비들간의 연결제어 명령과 같은 제어신호들을 불규칙하게 전송하기 위한 비동기 데이터 전송모드가 있다. IEEE 1394 표준에 따르면, 데이터는 패킷 단위로 전송된다.
등시 패킷은 모든 주기들의 시작으로부터 전송하기위해 필요한 밴드(시간 단위로 가정을 하지만 밴드라고 부른다.)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등시 전송에서는, 일정 시간내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보장된다. 그러나, 전송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등시 전송은 이러한 전송 에러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지않고 있으므로, 데이터가 손실된다. 각 주기의 등시 전송내에서 이용되지 않는 시간 주기 동안에는, 아비트레이션(arbitration)의 결과로 버스를 유지하고 있는 노드가 비동기 패킷을 전송한다. 비동기 전송이 수신확인(acknowledge)과 재시도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한다고 하지만, 전송 타이밍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소정의 노드가 등시 전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노드가 등시 기능에 대응해야한다. 또한 등시 기능에 대응하는 노드들중 최소한 한 개는 주기 마스터 기능을 가져야한다. 게다가, IEEE 1394 버스(101)에 연결된 노드들중 최소한 한 개는 등시 자원 관리자 기능을 가져야한다.
비동기 데이터 전송에서는, 몇 가지 장비가 다른 장비에 몇 가지 요청을 통보하는 제어신호는 명령으로 칭하며, 이러한 명령을 전송하는 장치는 제어기라고 칭한다. 그러면, 명령을 수신하는 장치는 목표지점이라고 칭한다. 그 목표지점은 필요하다면, 명령의 실행된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신호(응답)를 제어기에 돌려준다. 그 후에는, 명령의 전송에 의해 시작되며, 응답의 복귀에 의해 마무리되는 일련의 교환들이 명령 통신으로 칭하게 된다.
제어기는 목표지점에 특정한 동작을 요청하고 명령 통신을 이용하여 목표지점의 현재 상태를 문의를 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내의 장비는 명령 통신을 시작하고 중지할 수 있다. 즉, 시스템내의 장비는 목표지점의 또는 제어기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IEEE 1394 표준에 따르면, 데이터는 패킷 단위로 전송된다. 도 4는 IEEE 1394 표준, 즉 패킷의 기본 형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대략적으로 분류된 이러한 패킷은 헤더, 통신 코드(tcode), 헤더 CRC, 이용자 데이터와 데이터 CRC로 구성된다. 헤더 CRC는 단지 헤더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IEEE 1394 표준은 헤더 CRC 의 검사에 의해 거절되는 헤더상에 노드가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하며, 이러한 거절된 헤더에 응답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IEEE 1394 표준에 따르면, 헤더는 통신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 코드(transaction code)는 주요 패킷들의 형태를 정의하고 있다.
또한, IEEE 1394 표준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패킷들의 다른 형태로서, 통신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등시 패킷과 비동기 패킷(도 3 참조)이 있다.
도 5는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비동기 패킷에서는, 헤더가 목적지 노드의 식별 데이터(목적지 ID), 통신 라벨(t1), 재시도 코드(rt), 통신 코드(tcode), 우선권 정보(pri), 소스 노드의 식별 데이터(소스 ID), 패킷 형태의 정보(목적지 오프셋, rcode, reserved), 패킷 형태의 데이터(quadlet_data, data_length, extended_tcode)와 헤더 CRC로 구성된다.
도 6은 등시 패킷의 데이터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등시 패킷에서는, 헤더가 데이터 길이(data_length), 등시 데이터 형태 태그(tag), 등시 채널(channel), 통신 코드(tcode), 동기 코드(sy)와 헤더 CRC로 구성된다.
IEEE 1394 버스(101)상의 데이터 흐름의 정지와 구동과 같은 제어는 플러그와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로서는, 상술한 CSR이 있다. 어떤 장비에서 다른 장비로 전송되는 등시 데이터는 버스(101)상의 한 채널내에서 등시 패킷들로 전송된다. 등시 데이터는 장비의 출력 플러그를 통해 버스(101)상의 채널에 전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는 다른 장비의 입력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다.
출력과 입력 플러그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은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oPCR)와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와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iMPR)와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iPCR)에 의해 제어된다.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는 장비내의 특성들을 제어하며,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는 장비와는 관련이 없는 특성들을 제어한다.
IEEE 1394는 ISO/IEC 13213에 의해 규정된 64 비트 주소 공간을 가지는 CSR(제어 및 상태 레지스터) 구조에 따르고 있다. 도 7은 CSR 구조 주소 공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상위 16 비트들은 각 IEEE 1394에 있는 노드들을 지시하는 노드 ID가 된다. 그리고 나머지 48 비트들은 각각 노드에 주어진 주소 공간을 지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위 16 비트들은 버스 ID의 10 비트들과 물리적인 ID(좁은 의미에서는 노드 ID)의 6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분할된다. 모든 비트들이 1이되는 값들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이용되므로, 1023 버스들과 63 노드들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위 48 비트들에 의해 규정된 256 테라(tera) 바이트 주소 공간의 상위 20 비트들에 의해 규정된 공간은 2048 바이트 CSR 레지스터내에서 이용되는 초기 레지스터 공간과, IEEE 1394 레지스터 및 전용 공간, 초기 메모리 공간 등을 제공하기 위해 분할된다. 만약 상위 20 비트들에 의해 규정된 공간이 초기 레지스터 공간이라면, 하위 28 비트에 의해 규정된 공간은 구조(Configuration) ROM내에서 이용되는 초기 단위 공간으로서 이용되며 노드와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PCRs)등에서도 이용가능하다.
도 8은 주 CSR의 오프 셋 주소, 이름들과 동작들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의 오프셋은 초기 레지스터 공간이 시작되는 FFFFF0000000h(h로 종료되는 수는 16진 표시를 의미한다.) 주소로부터의 오프셋을 표시한다. 오프셋 220h를 가지며 밴드폭이 이용가능한 레지스터는 등시 통신에 할당될 수 있는 밴드폭을 지시한다. 이 때에, 등시 자원 관리자로 동작하는 노드의 값만이 유효하게 된다. 즉, 각 노드는 도 7의 CSR을 가지고 있지만, 단지 등시 자원 관리자의 밴드폭 이용가능한 레지스터만이 유효하게 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단지 등시 자원 관리자만이 실제적으로 밴드폭 이용가능한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다. 밴드폭 이용가능한 레지스터는 밴드가 등시 통신(isochronou communication)에 할당된다면 최대 값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값은 밴드가 등시 통신에 할당될 때마다 감소된다.
오프셋 224h- 228h의 채널 이용가능한 레지스터내에서는, 각 비트들이 각각 0에서 63까지의 채널 번호들에 대응한다. 만약 비트가 0이라면, 이것은 이러한 채널이 이미 할당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지 등시 자원 관리자로 동작하는 노드의 채널 이용가능한 레지스터만이 유효하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일반적인 ROM 형태에 근거하는 구조 ROM은 초기 레지스터 공간내의 주소 400h- 800h내에 위치한다. 도 9는 일반적인 ROM 형태를 설명하는데 참조가 되는 도면이다. IEEE 1394상의 억세스 유니트가 되는 노드는 노드들이 주소 공간을 공통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동안에 독자적으로 동작하는 다수의 유니트들을 가지고 있다. 유니트 디렉토리들(unit_directories)은 이러한 유니트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위치와 버전(version)을 지시하고 있다. 버스 정보 블록(bus_info_block)과 루트 디렉토리(root_directory)의 위치들이 고정되어 있지만, 다른 블록들의 위치들은 오프셋 주소들에 의해 지정된다.
도 10은 버스 정보 블록, 루트 디렉토리와 유니트 디렉토리의 상세한 부분들을 도시하고 있다. 버스 정보 블록내의 회사_ID는 장비의 제조자를 표시하는 ID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칩 ID는 그 안에 다른 장비의 ID와 중복되지 않으며, 이러한 장비내에 부여된 고유한 한 개의 ID를 저장한다. 또한 IEC 61883 표준에 따르면, IEC 61883을 만족시키는 장비의 유니트 디렉토리의 유니트명세 ID(unit_spec_ID)중에서, 00h가 제 1옥테트로 입력된다. A0h는 제 2옥테트내에 입력된다. 그리고 2Dh는 제 3옥테트에 입력된다. 게다가, 유니트 스위치 버전(unit_sw_version)중에서, 01h는 제 1옥테트내에 입력된다. 그리고 1은 제 3옥테트의 LSB(Least Significant Bit)내에 입력된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비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노드는 도 7의 초기 유니트 공간내의 주소 900h-9FFh내에 있고, IEC 61883에 의해 규정된 PCR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같이 논리적인 관점에서 볼 때에,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신호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서, 플러그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PCR의 구조를 설명하는데 참조가 되는 도면이다. PCR은 출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oPCR(output plug control register)과 입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iPCR(input plug control register)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PCR은 장비내에 고유한 출력 또는 입력 플러그 정보를 나타내는 oMPR(output master plug register)과 iMPR(input master plug register) 레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 장비는 다수의 oMPR과 iMPR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지만, 장비는 성능에 따라 각각의 플러그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oPCR과 iPCR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PCR은 32 개의 oPCR들과 31개의 iPCR들을 포함한다. 등시 데이터의 흐름은 이러한 플러그들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들을 동작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도 12a - 12d는 oMPR, oPCR, iMPR과 iPCR을의 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히 말하자면, 도 12a는 oMPR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b는 oPCR의 구조를, 도 12c는 iMPR의 구조를, 도 12d는 iPCR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oMPR과 iMPR의 MSB(most significant bit) 측상에 있는 2 비트 데이터율 기능은 그 장비에 의해 전송되고 수신되는 등시 데이터의 최대 전송율을 나타내는 코드를 그 안에 저장하는 것이다. 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는 방송 출력에서 이용되는 채널 수를 규정한다. 만약 전송이 시작될 때에, 전송 장비가 채널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6비트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내에 있는 채널은 전송 채널(디폴트 채널)로 이용된다.
oMPR의 LSB측상의 출력 플러그들의 5 비트 수는 장비의 출력 플러그들의 수, 예를 들면, oPCR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iMPR의 LSB측상의 입력 플러그들의 5 비트 수는 그 장비의 입력 플러그들의 수, 예를 들면, iPCR들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비지속성 연장 필드와 지속성 연장 필드는 미래의 확장을 위해 정의된 영역들이다.
iMPR의 2 비트 데이터 율 기능 뒤에 오는 6 비트 영역은 예비된 필드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수신 채널(디폴트 채널)을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만약 전송이 시작될 때에, 수신 장비가 채널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그 때에는 6 비트 예비 영역내에 기술된 채널은 수신 채널로서 이용된다.
oPCR과 iPCR의 MSB상의 온 라인은 플러그가 이용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즉, 만약 이러한 온-라인의 값이 1로 유지된다면, 이것은 플러그가 ON-LINE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0으로 유지된다면, 이것은 플러그가 OFF-LINE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oPCR과 iPCR의 방송 연결 카운터는 방송 연결의 존재(1) 또는 방송 연결의 부재(0)를 나타낸다. oPCR과 iPCR의 6 비트 폭을 가지는 포인트-포인트 연결 카운터의 값은 그 플러그의 포인트-포인트 연결의 수를 나타낸다.
oPCR과 iPCR의 6 비트 폭을 가지는 채널 수의 값은 그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는 등시 채널 번호를 나타낸다. oPCR의 2 비트 폭을 가지는 데이터 율의 값은 그 플러그로부터 출력된 등시 데이터의 실제 패킷 전송율을 나타낸다. oPCR의 4 비트 폭을 가지는 오버 헤드 ID내에 저장된 코드는 등시 통신의 오버헤드의 밴폭을 나타낸다. oPCR의 10 비트 폭을 가지는 페이로드(payload)의 값은 그 플러그에 의해 조장되는 등시 패킷내에 포함된 데이터의 최대 값을 나타낸다.
도 13은 플러그,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와 등시 채널 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AV 장치 27-1에서 27-3은 IEEE 139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채널이 oPCR[0]의 oPCR[1]에서 oPCR[2]에 의해 지정되며, 전송율과 oPCR의 번호가 AV 장치 27-3의 oMPR에 의해 규정되는 등시 데이터는 IEEE 1394 버스의 채널 #1로 전송된다. 입력 채널 #1이 지정되어 있는 iPCR[0]에 근거하여, 전송율과 iPCR의 의 수가 AV 장치 27-1의 iMPR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iPCR[0]과 iPCR[1]중에서,
AV 장치 27-1은 IEEE 1394버스의 채널 #1로부터 등시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와같이, AV 장치 27-2는 oPCR[0]에 의해 지정된 채널 #2에 등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AV 장치 27-1은 iPCR[1]에 의해 지정된 채널 #2로부터 등시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2a에 도시된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의 설정과 도 12c에 도시된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iMPR)의 6 비트 예비 필드의 설명은 이용자가 동작부(116)를 동작시킬 때에 이용자에 의해 재입력될 수 있다.
즉, 동작부(116)의 모드 변환키(도시 안됨)를 이용자가 동작시킴으로써
전자장비가 채널 설정 모드로 설정될 때에, 제어부(112)는 도 14에 도시된 표시부(115)상에 채널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이용자가 동작부(116)의 윗키(116a)와 아래키(116b)를 누름으로써 설정 채널들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에는, 이용자가 "YES" 키(116c)를 누를 때에, 제어부(112)는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와 RAM(113)내의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iMPR)의 6비트 예비 필드내에 선택된 채널을 입력한다. 그리고 채널 설정 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이용자가 "YES" 키(116c) 대신에 "NO"키(116d)를 누를 때에, 제어부는 선택된 채널을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채널 설정 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채널이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와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iMPR)의 6비트 예비 필드내에 입력되고, 상기 동일한 채널이 상술한 설정 동작중에 전송과 수신디폴트 채널로서 설정되는 반면에, 전자 장비가 모드 변환키에 의해 전송과 수신 채널중 어느 채널의 채널 설정 모드로 설정될 때에, 상술한 유사한 설정 동작에 의해, 선택된 채널은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와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iMPR)의 6비트 예비 필드내에 입력된다. 그리고 전송 또는 수신디폴트 채널이 설정된다.
동시에, 설정 화면이 상술한 설정 동작중 각 장비의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동안에, 이러한 설정 화면은 버스(101)에 연결된 모니터들(104, 105)상에 표시되며, 이용자 설정 동작에 의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IEEE 1394 버스(101)에 연결된 IEEE 1394 노드로 작용하는 각 장비는 전송과 수신 채널의 디폴트 채널을 설정하며, 전송과 수신 채널이 동작부(116)에 의해 이러한 레지스터에 임의로 그리고 쉽게 설정되는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각 장비의 성능에 따라 동일한 디폴트 채널을 이용하여 쉽게 몇 개의 채널들을 준비할 수 있다. 각 장비의 성능들은 DVCR, MPEG, 오디오등의 대응하는 형태와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등이다. 또한 장비들이 동일한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목적을 위한 그룹들이 만들어진다. 그렇게 만들어진 그룹들중에서, 데이터가 다수의 장비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될 때에, 다수의 장비들은 그러한 순차적인 순서로 동일한 채널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디폴트 채널을 수신하는 장비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는 새로운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일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몇 개의 수신 장비가 신호를 기록하기 시작한 후에, 신호의 기록이 종료되기 까지, 새로운 전송 장비가 채널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할 때에, 이러한 체널을 록(lock)할 수 있게 된다.
전송과 수신 채널이 상술한 실시내에 있는 상술한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와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 (iMPR)의 6비트 예비 필드내에 있는 채널을 서술함으로써 설정되는 반면에, 전송과 수신 채널은 다른 장비로부터 통신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명령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CTS(command transaction set)는 명령 설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CT/RC(command type/response code)는 명령에 대한 요구사항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응답에 대한 응답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HA(header address)는 명령에 대한 주소를 나타내고 있고, 응답에 대한 소스를 나타낸다. OPC(operation code)와 OPR(operand)은 명령과 변수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통신 명령은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 블록 부분내에 삽입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송된다.
채널이 장비 A로부터 장비 B로 설정되는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도 17A는 장비 A로부터 장비 B로 전송된 명령어 설정의 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설정 명령은 CTs, CT/RC. HA뒤에 오는 OPC, OPR1, OPR2로 구성된다.
CTS는 "0h"("h"는 16진 표시)로 설정된다. 이러한 "0h"는 설정 명령이 IEEE 1394 버스 프로토콜에 따르는 AV/C(audio*video/control) 명령 설정이다. CT/RC는 "CONTROL"로 설정된다. "HA"는 "장비 B"로 설정된다. "OPC"는 "디폴트 채널 설정"으로 설정되며, OPR1은 "입력" 또는 "출력"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서는, 수신디폴트 채널이 설정될 때에, 그것이 "입력"으로 설정된다. 전송 디폴트 채널이 설정될 때에, 그것은 "출력"으로 설정된다. OPR2는 "채널 번호"로 설정되며, 설정된 채널 번호를 나타낸다.
이러한 설정 명령을 수신한 장비 B에서는, 제어부(112)가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 또는 RAM(113)내의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iMPR)의 6비트 예비 필드내에 있는 OPR2에 의해 표시된 채널을 입력한다. 그 후에는, 이러한 장비 B가 도 17B에 도시된 응답을 장비 A에 전송한다. 이러한 응답은 CTS, CT/RC, HA다음에 오는 OPC, OPR1, OPR2로 구성된다. CTS, HA, OPC, OPR1, OPR2는 상술한 설정 명령들의 내용들과 같은 동일한 내용들을 가지고 있다. 단지 "HA"는 "장비 A"로 설정된다. 이러한 응답을 수신한 장비 A에서는, 제어부(112)가 전송 또는 수신디폴트 채널이 지시된대로 장비 B내에서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송 또는 수신디폴트 채널이 상술한 바와같이, 다른 장비로부터 통신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설정되는 반면에, 전송 또는 수신디폴트 채널은 다른 장비로부터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내에 채널을 직접 입력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예를 들면, IEEE 1394에 규정된 응답, 비교와 교환 명령으로 구성된 통신이 이용된다.
각 장비의 전송 또는 수신디폴트 채널이 상술한 바와같이 다른 장비로부터 나온 통신 명령을 이용함여 설정되므로, 통신 명령들을 전송할 수 있는 장비는 다른 장비의 디폴트 채널들을 중앙집권 형식으로 설정한다.
수신디폴트 채널의 설정이 상술한 바와같이, 전송 또는 수신디폴트 채널이 입력 마터 플러그 레지스터의 6비트 예비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한 반면에, 이러한 수신디폴트 채널은 독자적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oMPR)의 "방송 채널 베이스" 필드내에 설정된 전송 디폴트 채널은 수신디폴트 채널로서 이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IEEE 1394 버스에 연결된 어느 장비(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가 응용 소프트웨어의 자동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에 연결된 모든 장비의 구조 ROM들을 판독함으로써 단일(Unique) ID를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모델의 정보를 판독하고 수집된 Self ID를 분석함으로써 대응하는 속도를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AV/C 명령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형태를 검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목적지 장비는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된 추천된 그룹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룹화된다. 그 후에는, 이용자가 확인 동작을 한 후에, 상술한 설정 명령은 예를 들면, 최종 그룹들에 응답하여 발생되며, 그로 인해 모든 장비들의 디폴트 채널들이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도 18은 그룹들이 표시되는 방법의 보기이다. 이 표시 보기는 장비(1-10)가 세 그룹의 채널들(61, 62, 63)을 제공하기 위해 그룹화된 보기이다. 채널(61)의 장비(1-3)는 MPEG 형태를 조절하는 비디오 장비이다. 채널(63)의 장비(7-9)는 DVCR 형태를 조절하는 비디오 장비이다. 또한 장비(10)는 DVCR과 MPEG의 형태를 변환시키는데 사용된다. 수신(입력)은 채널 63으로 설정되며, 전송(출력)은 채널(62)로 설정된다.
채널(61)에서는, 장비(1-3)중 어느 것도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채널 62에서는, 장비(10)가 데이터를 전송하며, 장비(6)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채널 63에서는, 장비(8)가 데이터를 전송하며, 장비(7,9,10)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서는, 장비(9)가 장비(8)등으로부터 나온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로크(lock)된다. 또한, 장비(10)는 채널 63의 DVCR 형태의 데이터를 MPEG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최종 데이터를 채널(62)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이, IEEE 1394 버스를 통해 연결된 통신 시스템내에서 이용되는 전자장비에 적용되지만, 본 발명은 다른 통신 버스를 통해 연결된 통신 시스템내에서 이용되는 전자장비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비는 전송 또는 수신디폴트 채널을 설정하는 레지스터와 그 레지스터에 채널을 설정하는 동작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전송 또는 수신 채널을 임의로 그리고 쉽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기능들을 가진 장비는 다른 그룹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채널들은 동시에 통신이 될 수 있다. 또한 장비는 다른 전송율들에 대응하여 다른 그룹들로 그룹화되기 때문에, 밴드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만약 장비가 상술한 방법에 의해 다른 그룹들로 그룹화가 안된다면, 전자장비가 모든 종류들의 수신 장비의 기능들과 매치하기 위해서, 데이터가 가장 낮은 전송율로 전송되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서술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 수정들과 변화들이 첨부된 청구항들내에 한정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술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Claims (24)

  1.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소정의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전자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비는,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동작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된 상기 수신 채널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수신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이 레지스터인 전자장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수단에 의해 상기 수신 채널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장비.
  4.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소정의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전자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비는,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통신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통신 명령이 수신 채널의 설정에 관련된 통신 명령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통신 명령이 수신 채널의 설정에 관련된 통신 명령이라면, 상기 메모리 수단에 상기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된 상기 수신 채널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버스 를 통해 전송된 상기 수신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명령은 소정의 형태의 패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패킷은 최소한 상기 통신 명령이 전송 채널의 설정에 관한 통신 명령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명령 판단 수단과 설정 채널이 수신 채널 또는 전송 채널인지를 판단하는 전송 및 수신 판단수단과 설정 채널 번호를 나타내는 채널 번호 판단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비.
  6. 소정의 채널의 데이터를 통신 버스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전자장비에 있어서,
    전송 채널을 설정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전송 채널을 설정하는 동작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된 상기 전송 채널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상기 전송 채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이 레지스터인 전자장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수단에 의해 상기 수신 채널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장비.
  9. 소정의 채널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버스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전자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비는,
    전송 채널을 설정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통신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통신 명령이 전송 채널의 설정에 관련된 통신 명령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통신 명령이 전송 채널의 설정에 관련된 통신 명령이라면, 상기 메모리 수단에 상기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된 상기 전송 채널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버스 를 통해 상기 전송 채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비.
  10. 통신 버스를 통해 다른 전자장비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비는,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다른 전자장비의 수신 채널과 전송 채널중 모두 또는 그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통신 명령을 발생시키는 발생수단과,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통신 명령을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상기 다른 전자장비에 전송하는 전송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은 소정의 형태의 패킷을 발생시키는 발생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이 발생된 상기 패킷은 최소한 상기 통신 명령이 채널의 설정에 관한 통신 명령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명령 판단 수단과 설정 채널이 수신 채널 또는 전송 채널인지를 판단하는 전송 및 수신 판단수단과 설정 채널 번호를 나타내는 채널 번호 판단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비.
  12. 통신 버스를 통해 다른 전자장비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비는,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 수단과,
    상기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장비들을 다수의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수단과,
    상기 그룹 수단으로부터 그룹화된 상태들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장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수단으로부터 그룹화된 상태들의 확인작업을 수행하는 동작수단과,
    상기 확인 작업이 상기 동작수단에 의해 수행될 때에 상기 그룹화된 상태들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장비들에 의해 이용되는 전송 또는 수신채널을 설정하는 채널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장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설정수단은 상기 다른 전자장비의 채널을 설정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며, 상기 다른 전자장비의 채널이 설정될 때에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상기 통신 명령을 상기 다른 전자장비에 전송하는 전자장비.
  15.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소정의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 버스에 연결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수신채널 설정동작 과정과,
    상기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채널을 메모리 수단에 기억시키는 수신 채널 설정 과정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된 상기 수신 채널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수신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채널 설정동작 과정은 상기 수신 채널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과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수신 방법.
  17.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소정의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 버스에 연결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통신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수신된 상기 통신 명령이 수신 채널의 설정에 관련된 통신 명령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통신 명령이 수신 채널의 설정에 관련된 통신 명령이라면, 메모리 수단에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설정과정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된 상기 수신 채널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버스 를 통해 전송된 상기 수신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 방법.
  18. 소정의 채널의 데이터를 통신 버스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송 채널을 설정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수신채널 설정동작 과정과,
    상기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전송 채널을 메모리 수단에 기억시키는 전송 채널 설정 과정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된 상기 전송 채널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상기 전송 채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채널 설정동작 과정은 상기 전송 채널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과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통신 버스를 통해 소정의 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된 통신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수신된 상기 통신 명령이 전송 채널의 설정에 관련된 통신 명령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통신 명령이 전송 채널의 설정에 관련된 통신 명령이라면, 메모리 수단에 전송 채널을 설정하는 설정과정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설정된 상기 전송 채널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버스 를 통해 상기 전송 채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21. 통신 버스를 통해 다른 전자장비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장비의 채널을 설정하는 채널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다른 전자장비의 전송 채널과 수신 채널중 모두 또는 그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통신 명령을 발생시키는 발생과정과,
    상기 발생 과정에 의해 발생된 상기 통신 명령을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상기 다른 전자장비에 전송하는 전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채널설정방법.
  22. 통신 버스를 통해 다른 전자장비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장비를 다수의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채널 그룹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 과정과,
    상기 정보획득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장비들을 다수의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과정과,
    상기 그룹화 수단의 그룹화된 상태들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표시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채널 그룹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과정의 그룹화된 상태들의 확인작업을 수행하는 동작과정과,
    상기 확인 작업이 수행될 때에 상기 그룹화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장비들에 의해 이용되는 전송 또는 수신채널을 설정하는 채널설정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채널 그룹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설정과정은 상기 다른 전자 채널들중 한 채널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명령을 발생시키며, 상기 다른 전자장비의 채널이 설정될 때에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상기 통신 명령을 상기 다른 전자장비에 전송하는 채널 그룹화 방법.
KR1020000027427A 1999-05-27 2000-05-22 전자장비, 데이터 수신방법, 데이터 전송방법, 채널설정방법과 전자장비를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방법 KR20010007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48598 1999-05-27
JP11148598A JP2000341302A (ja) 1999-05-27 1999-05-27 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103A true KR20010007103A (ko) 2001-01-26

Family

ID=1545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427A KR20010007103A (ko) 1999-05-27 2000-05-22 전자장비, 데이터 수신방법, 데이터 전송방법, 채널설정방법과 전자장비를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6591313B1 (ko)
EP (1) EP1056021A3 (ko)
JP (1) JP2000341302A (ko)
KR (1) KR200100071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006140A (pt) * 1999-05-19 2002-01-29 Sony Corp Processo, aparelho e sistema de comunicação e meio de provisão para prover um programa que armazena um procedimento de comunicação para comunicação entre aparelhos conectados através de um coletor de comunicação em série
JP2000341302A (ja) * 1999-05-27 2000-12-08 Sony Corp 電子機器
US7032024B1 (en) * 1999-07-29 2006-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devices connected digital interface and command structure therefor
US20020016882A1 (en) * 2000-04-24 2002-02-07 Hiroshi Matsuuchi Digital device, data input-output control method, and data input-output control system
JP4731096B2 (ja) * 2000-08-23 2011-07-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通信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US20020030764A1 (en) * 2000-09-06 2002-03-14 Min-Young Kim Digital TV for use in a home wide web and method of changing a channel in the same
JP4484353B2 (ja) * 2000-10-31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4683587B2 (ja) 2000-10-31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方法
JP4586268B2 (ja) * 2000-12-25 2010-11-24 ヤマハ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送受信管理方法及び同データ送受信管理装置
JP4166956B2 (ja) * 2001-01-12 2008-10-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ータ伝送システム、コネクション確立方法及び情報伝送装置
JP4059423B2 (ja) * 2001-01-12 2008-03-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ータ伝送システム、コネクション回復方法及び情報伝送装置
US6985979B2 (en) * 2001-12-17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 bus controlling method, bus controll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047700B1 (ko) 2003-05-05 2011-07-08 톰슨 라이센싱 상호접속된 ieee-1394 부합 디바이스를 동조하는 방법
JP2005017817A (ja) * 2003-06-27 2005-01-20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信号供給装置と映像表示端末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ける信号入力端子選択方法
US7335686B2 (en) 2003-10-20 2008-02-26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steoporosis
US7827578B2 (en) * 2003-11-10 2010-11-0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implified peer-to-peer recording
CN100375512C (zh) * 2004-02-27 2008-03-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音视频播放方法
KR100603293B1 (ko) * 2004-10-20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동작제어방법
JP4171456B2 (ja) * 2004-12-03 2008-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Av機器
KR20070048060A (ko) * 2005-11-03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녹화재생 시스템, 방송신호 녹화재생 장치,방송신호 튜닝장치
JP2008065737A (ja) * 2006-09-11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ストリーム送受信装置
CA3164154A1 (en) * 2020-01-10 2021-07-15 Michel Veillette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a default channel during unused periods of timeslot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8346A (ja) * 1981-10-18 1983-04-23 Toshiba Corp デ−タ伝送システム
JPS60130282A (ja) * 1983-12-16 1985-07-11 Pioneer Electronic Corp Catvにおけるデ−タ伝送方式
US4718005A (en) * 1984-05-03 1988-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control of alias name usage in networks
US4707828A (en) * 1984-09-11 1987-11-17 Ricoh Company, Ltd. Multi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4918690A (en) * 1987-11-10 1990-04-17 Echelon Systems Corp. Network and intelligent cell for providing sens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and control
JPH0731666B2 (ja) * 1988-06-03 1995-04-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セッサ間通信方式
US4928097A (en) * 1988-06-10 1990-05-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al time process control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US5204669A (en) * 1990-08-30 1993-04-20 Datacard Corporation Automatic station identification where function modules automatically initialize
AU654992B2 (en) * 1991-01-04 1994-12-01 Csir Communication system
GB9107031D0 (en) * 1991-04-04 1991-05-22 Bicc Plc Repeaters for digital data networks
DE69531014T2 (de) * 1994-03-09 2004-05-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atenübertragungssystem und Verfahren
US5684959A (en) * 1995-04-19 1997-11-0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topology of a network
DE69631182T2 (de) * 1995-04-28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atenübertragungsverfahren
JP3500785B2 (ja) * 1995-07-12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JP3271493B2 (ja) * 1995-09-26 2002-04-02 ヤマハ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US5995916A (en) * 1996-04-12 1999-11-30 Fisher-Rosemount Systems, Inc. Process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diagnostic information of multiple distributed devices
JP3248428B2 (ja) * 1996-06-18 2002-01-21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のチャンネル制御方法
US5883621A (en) *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CA2216573C (en) * 1996-10-01 2006-03-14 Sony Corporation Digital tuner having ieee 1394 serial bus interfac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elected programs as a functional unit
JPH10224424A (ja) * 1997-02-12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媒体
US6341127B1 (en) * 1997-07-11 2002-01-22 Kabushiki Kaisha Toshiba Nod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bel switching path set up in inter-connected networks
US6356968B1 (en) * 1997-09-03 2002-03-12 Cirrus Log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USB-to-1394 bridging and video delivery between a host computer system and a remote peripheral device
JPH11127214A (ja) * 1997-10-21 1999-05-1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並びに伝送媒体
EP0913975B1 (en) * 1997-10-29 2005-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3277874B2 (ja) * 1998-01-29 2002-04-22 日本電気株式会社 Ieee1394ブリッジ
JP3454136B2 (ja) * 1998-02-23 2003-10-0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伝送方法
US6408351B1 (en) * 1998-03-31 2002-06-1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Host modem having a peripheral codec powered by a peripheral bus
US6701356B1 (en) * 1998-04-15 2004-03-02 Cien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ownloading profile and image files for optical network elements
US6314460B1 (en) * 1998-10-30 2001-1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 storage network based on incomplete information from multiple respective controllers
US6389547B1 (en) * 1999-03-19 2002-05-1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ynchronize a bus bridge to a master clock
JP2000341302A (ja) * 1999-05-27 2000-12-08 Sony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9480B2 (en) 2008-08-05
US20030066083A1 (en) 2003-04-03
EP1056021A3 (en) 2001-12-19
EP1056021A2 (en) 2000-11-29
JP2000341302A (ja) 2000-12-08
US6591313B1 (en) 2003-07-08
US20070174510A1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7103A (ko) 전자장비, 데이터 수신방법, 데이터 전송방법, 채널설정방법과 전자장비를 채널들로 그룹화하는 방법
CA2340902C (en) A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US6389496B1 (en) Bridge including portals with ability to redefine network topology
US6108718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6366964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enumerating objects representing devices within an IEEE 1394 serial bus networking
JP2000069035A (ja) 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方法
JPH09282263A (ja) 電子機器及びその識別情報構成方法
US200301797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s at a transfer rate that depends on a response from a destination
US73893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globally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6408355B1 (en) Method for releasing isochronous transaction in bus network, bus network utilizing the method thereof and information provision medium
US6389502B1 (en) Synchronous communication setting method in bus network, bus network utilizing the method thereof and information provision medium
US6751687B1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transmission device, and medium
KR20010105196A (ko) 제어 기기 및 제어 방법
US7016303B1 (en) Transmitting method transmitting system and transmitter
JP4320955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7058746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ata processing subunit with functional block termination device
JP2002057683A (ja)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200035803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管理方法
JP3704773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63716B1 (ko) 정보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제어 시스템
JPH10200555A (ja) 伝送方法、受信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10021719A (ko)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들간의 연결들을 설정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JPH10173689A (ja) 情報信号の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3229857A (ja) シリアルバスシステム、シリアルバスの帯域管理機器および通信機器
JP2002217928A (ja)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