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617A - 필기구 몸체 - Google Patents

필기구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617A
KR20010006617A KR1020000005915A KR20000005915A KR20010006617A KR 20010006617 A KR20010006617 A KR 20010006617A KR 1020000005915 A KR1020000005915 A KR 1020000005915A KR 20000005915 A KR20000005915 A KR 20000005915A KR 20010006617 A KR20010006617 A KR 20010006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grip portion
instrument body
grip
protrusion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치 이즈시마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ublication of KR2001000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5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fluid fuel
    • F24H7/0466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fluid fuel the transfer fluid be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필기구를 잡는 손가락에 적당한 큐션효과를 주도록 된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를 제공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필기구(10)의 필기구 몸체(11)을 손가락으로 쥐게 되는 파지부분에 탄성재로 만들어진 그립부(18)가 형성되고서, 필기구(10)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그립부(18)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18a)가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되, 이들 복수의 돌출편부(18a)가 상기 그립부(18)의 전체길이 약 2/3에 상당하는 축방향길이에 걸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필기구 몸체{Body Portion of Writing Utensils}
본 발명은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에 탄성재로 된 그립부가 갖춰진 필기구의 몸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필기구 몸체의 예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10-18127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는바, 이 공보에 기재된 필기구 몸체는 파지부분에 탄성재로 된 그립부가 갖춰지고서 이 그립부의 표면에 판형상을 한 복수의 돌출부가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호 밀접하는 홈이 복수로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그립부를 파지했을때 돌출부가 굽혀지는 굴곡이 이루어져 쿠션효과가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 몸체에서는 대체로 그립부의 전체의 주위 및 길이에 걸쳐 같은 모양의 돌출부가 나란히 형성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실제로 접하는 부분 이외의 돌출부도 연쇄적으로 넘어지게 됨으로써 오히려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손가락이 오히려 더 피로해질 염려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해결과제를 감안해서 발명한 것으로, 적당한 쿠션효과가 파지하는 손가락에 부여될 수 있는 필기구 몸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필기구 몸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도 2의 1-1선에서 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필기구 몸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종단 반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필기구 몸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종단 반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필기구 몸체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종단 반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필기구 몸체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종단 반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필기구 몸체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종단 반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필기구 몸체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종단 반단면도이다.
(주요부호의 설명)
10 - 필기구, 11 - 필기구 몸체,
18 - 그립부, 18a - 돌출편부,
22 - 선단파이프, 28 - 그립부,
28a, 28a1, 28a2- 돌출편부, 32 - 그립부,
32a - 돌출편부, 38 - 그립부,
38a, 38a1, 38a2- 돌출편부, 48 - 그립부,
48a - 돌출편부, 58 - 그립부,
58a - 돌출편부, 68 - 그립부,
68a - 돌출편부, 68b - 길이방향중간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파지하는 부분에 탄성재로 된 쿠션부를 갖춘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에서, 필기구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가 그립부 전체길이의 약 2/3에 상당하는 축방향길이만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파지하는 부분에 탄성재로 된 그립부를 가진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에서,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 높이가 공간주기적(空間周期的)으로 변화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파지하는 부분에 탄성재로 된 그립부를 갖춘 필기구 몸체에서,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 사이의 홈깊이가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파지하는 부분에 탄성재로 된 그립부를 갖춘 필기구 몸체에서,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인접한 돌출편부끼리의 간격이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파지하는 부분에 탄성재로 된 그립부를 갖춘 필기구 몸체에서,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의 높이가 필기구 몸체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파지하는 부분에 탄성재로 된 그립부를 갖춘 필기구 몸체에서,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의 높이가 그립부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서 최대로 높아짐과 더불어 그립부의 전후쪽 끝에서부터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부쪽을 향해 점차 높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필기구인바, 본 실시예에서는 필기구(10)로서는 샤아프펜슬을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샤아프펜슬에 한정되지 않고 볼펜이나 사인펜, 눈화장연필, 컴퓨터펜과 같은 여러 가지 필기구에다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필기구(10)의 필기구 몸체(11)는, 선구(12)와 앞쪽외통(14), 이 앞쪽외통(14)에 나사결합되는 뒤쪽외통(16) 및 상기 필기구 몸체(11)를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앞쪽외통(14) 외주면 둘레에 끼워지는 그립부(18)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필기구 몸체(11)내에는 공지의 필심송출기구(20)가 배치되고, 상기 선구(12)내에는 선단파이프(22)가 고정되어 있는바, 이 선단파이프(22)는 필심송출기구(20)에 의해 출몰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그립부(18)로는 합성고무나 실리콘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져 앞쪽외통(14)과 별개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으나, 2색성형(二色成形)과 같은 방법을 써서 앞쪽외통(14)과 일체가 되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이 그립부(18)의 전체길이는 바람직스럽기로는 필기구 몸체(11)의 전체 길이를 1로 했을때 0.3 ∼ 0.4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필기구(10)의 앞끝부분을 이루는 선단파이프(22)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그립부(18)의 표면부분에는,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18a)가 평행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들 돌출편부(18a)는 그립부(18)의 원주방향으로 120。씩 떨어져 3개가 형성되고서, 각 돌출편부(18a)의 축방향길이가 그립부(18) 전체길이의 약 2/3쯤 되는 길이를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약 2/3에 상당하는 길이」라 함은 그립부(18)의 전체길이를 1이라 했을때 각 돌출편부(18a) 길이방향길이가 0.60 ∼ 0.70의 범위에 있다는 것을 뜻한다.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하는 경우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필기구(10)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위치에 손가락이 닿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필기구를 파지하는 데는 엄지와 둘째 및 셋째손가락(검지 및 중지)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3개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게 되는 위치에 돌출편부(18a)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그립부(18)의 전체 외곽선을 따라 바라본 외경칫수는, 필기구(10)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이 되는 곳이 가장 가늘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각 돌출편부(18a)는 필기구(10)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서 그 단면형상이 꼭대기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되는(두께가 얇아지는) 곡선형상을 그리도록 되어 있어서, 성형할때 이형하기가 쉽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필기구 몸체(11)에서는, 사용자가 그립부(18)을 잡으면 그 파지력에 의해 돌출편부(18a)가 굽혀져 굴곡되게 됨으로써 쿠션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미끄럼을 저지하는 효과도 나타나게 된다. 이 돌출편부(18a)는 그립부(18)의 거의 전체에 한가지 모양의 돌출편부(18a)가 형성되지 않고, 실제로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과 그 주위에만, 즉 필기구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해서 그립부(18) 전체길이의 약 2/3에 상당하는 만큼의 축방향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돌출편부가 연쇄적으로 넘어져 감촉이 너무 부드러워지지 않도록 하는 적당한 경도(硬度)로 될 수가 있어서, 장시간 계속 필기를 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어지게 된다. 또, 그립부의 약 2/3 (즉, 비율이 0.60 ∼ 0.70)에 상당하는 축방향길이만큼 형성됨으로써 대단히 좋은 감촉을 느낄 수가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요부종단 반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나머지 필기구 몸체부분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하였고,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제2실시예에서의 그립부(28)의 표면에는 돌출편부(28a)가 평행하게 복수개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28a)의 높이가 교대로 다르게 되어 있는바, 즉 높은 돌출편부(28a1)와 낮은 돌출편부(28a2)가 되풀이해서 교대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높은 돌출편부(28a1)은 굴곡되기 쉽고 낮은 돌출편부(28a2)는 쉽게 굴곡되지 않음으로써 돌출편부(28a2)의 굴곡난이도가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몸체(11)에서도 상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져,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립부(28)를 잡으면 그 파지력에 의해 돌출편부(28a)가 굴곡되게 된다. 이때, 굴곡되기 어려운 낮은 높이의 돌출편부(28a2)가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부(28)의 거의 전체에 걸쳐 모두 같은 높이의 돌출편부가 형성된 경우와는 달리 다수의 돌출편부가 연쇄적으로 넘어지게 됨으로써 너무 부드러운 감촉을 갖게 되지 않는 적당한 경도로 될 수가 있어서, 장시간 필기를 계속하더라도 피로가 덜해지게 된다.
이러한 돌출편부(28a)의 높이변화는 1개씩마다 대신 2개씩마다 또는 그 이상씩마다 변화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요부종단 반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도 나머지 필기구 몸체부분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또,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그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제2실시예에서의 그립부(32)의 표면에는 돌출편부(32a)가 평행하게 복수개로 형성되고서, 이들 중 상호 인접한 돌출편부(32a) 사이의 홈깊이가 다르게, 즉 깊은 홈(32b1)과 얕은 홈(32b2)이 교대로 되풀이해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어서, 깊은 홈(32b1)에서는 인접한 돌출편부(32a)가 깊은 홈(32b1)쪽으로 굴곡되기 쉬우나, 얕은 홈(32b2)에서는 인접한 돌출편부(32a)가 얕은 홈(32b2)쪽으로 굴곡되기 어렵기 때문에 돌출편부(32a)의 굴곡난이도가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기구 몸체에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가 나타나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립부(32)를 쥐면 그 파지력에 의해 돌출편부(32a)가 굴곡되게 된다. 이때, 굴곡되기 어려운 곳으로 되는 얕은 홈(32b2)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부(32a)의 거의 전체길이에 걸쳐 같은 깊이의 홈이 형성된 돌출편부가 형성된 경우와는 달리 다수의 돌출편부가 연쇄적으로 넘어지게 됨으로써 너무 부드러운 감촉을 주지 않는 적당한 경도로 될 수가 있어서, 장시간 필기를 계속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어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홈깊이의 변화는 1개씩마다 대신 2개씩마다 또는 그 이상씩마다 변화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요부종단 반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나머지 필기구 몸체부분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였고, 또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제4실시예에서의 그립부(38)의 표면에는 돌출편부(38a)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고서 이들 돌출편부(38a)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즉 두꺼운 돌출편부(38a1)와 얇은 돌출편부(38a2)가 되풀이해서 교대로 배치되어, 두꺼운 돌출편부(38a1)는 굴곡되기 어렵고 얇은 돌출편부(38a2)는 쉽게 굴곡될 수 있기 때문에, 돌출편부(38)의 굴곡난이도가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기구 몸체에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가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립부(38)을 잡으면 그 파지력에 의해 돌출편부(38)가 굴곡되게 된다. 이때 굴곡되기 어려운 두께가 두꺼운 돌출편부(38a1)가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부(38)의 거의 전체에 걸쳐 두꺼운 돌출편부가 형성된 경우와는 달리 다수의 돌출편부가 연쇄적으로 넘어져 너무 부드러운 감촉을 주지 않는 적당한 경도가 되어, 장시간 필기를 계속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어지게 된다.
한편, 이 두께의 변화는 1개씩마다 변화되는 대신 2개씩마다 또는 그 이상씩마다 변화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요부종단 반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나머지 필기구 몸체부분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였고, 또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제5실시예에서의 그립부(48)의 표면에는 돌출편부(48a)가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되 상호 인접하는 돌출편부(48a)의 간격이 서로 달리, 즉 인접하는 돌출편부(48a)끼리의 간격이 넓은 간격(48b1)과 좁은 간격(48b2)이 교대로 되풀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넓은 간격(48b1)에서는 인접한 돌출편부(48a)가 넓은 간격(48b1)쪽으로 굴곡되기 쉬우나 좁은 간격(48b2)에서는 인접하는 돌출편부(48a)가 좁은 간격(48b2)쪽으로 쉽게 굴곡되지 않기 때문에 돌출편부(48a)의 굴곡난이도가 공간적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기구 몸체에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질 수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립부(48)를 잡으면 그 파지력에 의해 돌출편부(48a)가 굴곡되게 된다. 이때, 굴곡되기 어려운 곳으로 되는 좁은 간격(48b2)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부(48)의 거의 전체에 같은 간격의 돌출편부가 형성된 경우와 달리 다수의 돌조가 연쇄적으로 넘어져 너무 유연한 감촉을 주지 않는 적당한 경도가 되어, 장시간 필기를 계속하더라도 피로가 적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간격의 변화는 1개씩마다 대신 2개씩마다 또는 그 이상씩마다 변화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요부종단 반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였고, 또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제6실시예에서의 그립부(58)의 표면에는 돌출편부(58a)가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58a)의 높이가 필기구 몸체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되어 있어서, 돌출편부(58a)의 높이가 높아지면 굴곡되기가 쉽기 때문에 필기구 몸체의 앞쪽으로 갈수록 쿠션효과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기구 몸체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가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립부(58)를 잡으면 그 파지력으로 돌출편부(58)가 굴곡되게 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58)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쪽편 쪽이 쿠션효과가 커지도록 되어 있어서 필기구의 앞끝이 되는 선단파이프(22)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바람직한 쿠션효과가 얻어지는 곳을 쥐고서 필기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그립부(58)전체에 걸쳐 같은 높이의 돌출편부가 형성된 것과는 달리 다수의 돌출편부가 연쇄적으로 넘어져 너무 부드러운 감촉을 주지 않는 적당한 경도가 되어 장시간 필기를 계속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어지게 된다.
한편, 제2 ∼ 제6실시예에서는 그립부 전체에 걸쳐 돌출편부가 형성된 예가 나타내어져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그립부의 일부에만 돌출편부가 형성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요부종단 반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였고, 또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제7실시예에서의 그립부(68)의 표면에는 돌출편부(68a)가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부(68a)의 높이는 그립부(68)의 길이방향 중간부(68b)에서 가장 높아지고서, 돌출편부(68a)가 형성된 부분의 앞쪽 끝에서 길이방향 중간부(68b)를 향해서도 또, 돌출편부(68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뒤쪽 끝에서 길이방향 중간부(68b)를 향해서도 점차 높아지게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방향 중간부(68b)가, 필기구(10)를 쥐는 경우 엄지와 검지의 끝부분과 중지 등 3개의 손가락이 놓여지기 쉬운 곳 근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보다 바람직스럽기로는 제1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같이 필기구의 앞끝에서 30 ∼ 50 mm 뒤쪽쯤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돌출편부(68a)의 높이가 높으면 굴곡되기가 쉽기 때문에 길이방향 중간부, 즉 손가락이 놓여지는 곳 근방이 쿠션효과가 좋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 그 이외의 부분에 있는 돌출편부(68a)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돌출편부(68a)의 최대높이로 되어 있는 길이방향 중간부(68b)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곡되기가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기구 몸체에서도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립부(68)를 잡으면 그 파지력에 의해 돌출편부(68)가 굴곡되게 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68)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간부(68b), 즉 손가락이 놓여지는 곳 부근에서 높은 쿠션효과와 미끄러짐방지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그립부(68) 전체에 걸쳐 같은 높이의 돌출편부(68a)가 형성된 경우와는 달리 다수의 돌출편부(68a)가 연쇄적으로 넘어져 너무 부드러운 감촉을 주지 않는 적당한 경도로 되어, 장시간 필기를 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그립부(68) 중 축방향 일부(약 2/3에 상당하는 길이)에 돌출편부(68a)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그립부(68)전체에 걸쳐 돌출편부(68a)가 형성되더라도 좋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필기구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그립부의 표면부분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되, 이들 복수의 돌출편부가 그립부 전체길이의 약 2/3에 상당하는 축방향 길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이 실제로 접촉하는 부분 및 그 주위에서 쿠션효과가 얻어지고 미끄럼방지효과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부드러운 감촉이 느껴지지 않는 적당한 경도를 얻을 수가 있어서, 장시간 필기를 계속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은 필기구 몸체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2 ∼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그 그립부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되어질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되 이들 복수의 돌출편부의 굴곡난이도가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주기적으로 굴곡되기 어려운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너무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지 않는 적당한 경도가 얻어질 수 있어, 장시간 필기를 계속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은 필기구 몸체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되 이들 복수의 돌출편부의 높이를 필기구 몸체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사용자가 쥐게 되지 않는 부분은 굴곡되기가 어렵고 사용자가 쥘 가능성이 높은 앞쪽으로 갈수록 굴곡되기가 쉬워져, 사용자가 좋아하는 경도로 되어 있는 곳을 찾아 쥘 수가 있어서, 장시간 필기를 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은 필기구 몸체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이 복수개 형성되되 이들 복수의 돌출편의 높이가 그립부의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가장 높아짐과 더불어 이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그립부의 앞뒤끝쪽으로 갈수록 돌출편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변화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쥐어지지 않는 부분은 쉽게 굴곡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쥐어질 가능성이 많은 길이방향 중간부분에서 높은 쿠션효과가 얻어질 수 있고 미끄럼방지효과도 얻어질 수가 있게 됨으로써 너무 부드러운 감촉을 주지 않는 적당한 경도가 되어, 장시간 필기를 계속하더라도 피로감이 적은 필기구몸체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에 탄성재질로 된 그립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필기구 몸체에 있어서, 필기구의 앞끝에서 30 ∼ 40 mm 뒤쪽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그립부의 표면부분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복수의 돌출편부가 그립부 전체길이의 약 2/3에 상당하는 축방향길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
  2.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에 탄성재질로 된 그립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필기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의 높이가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
  3.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에 탄성재질로 된 그립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필기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가 서로 인접한 돌출편부 사이의 홈의 깊이가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
  4.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에 탄성재질로 된 그립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필기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의 두께가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
  5.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에 탄성재질로 된 그립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필기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가 서로 인접하는 돌출편부끼리의 간격이 공간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
  6.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에 탄성재질로 된 그립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필기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의 높이가 필기구 본체의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
  7.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에 탄성재질로 된 그립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필기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표면에 파지력에 의해 굴곡될 수 있는 돌출편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이들 돌출편부의 높이가 그립부의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가장 높아짐과 더불어, 이 길이방향 중간부보다 앞쪽 및 뒤쪽 부분에서는 각각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해 점차 돌출편 높이가 높아지게 변화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필기구 몸체.
KR1020000005915A 1999-03-15 2000-02-09 필기구 몸체 KR20010006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69312 1999-03-15
JP6931299 1999-03-15
JP11238676A JP2000326682A (ja) 1999-03-15 1999-08-25 筆記具の筆記軸体
JP?11-238676 1999-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617A true KR20010006617A (ko) 2001-01-26

Family

ID=2641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915A KR20010006617A (ko) 1999-03-15 2000-02-09 필기구 몸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36671A1 (ko)
JP (1) JP2000326682A (ko)
KR (1) KR20010006617A (ko)
TW (1) TW48339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182A (ja) * 2000-06-22 2002-01-08 Kotobuki:Kk 筆記具用グリップ及び筆記軸体
US20060062628A1 (en) * 2004-09-20 2006-03-23 Ken Kostecki Deformable grip for a writing implement
JP4898115B2 (ja) * 2004-12-16 2012-03-14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鋏における指掛部構造
JP2006305787A (ja) * 2005-04-27 2006-11-09 Pentel Corp 軸体
JP4912829B2 (ja) * 2006-10-17 2012-04-1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蓋
JP5022179B2 (ja) * 2006-11-01 2012-09-1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蓋
EP2008724A1 (de) * 2007-06-26 2008-12-31 Faber-Castell AG Griffzonen aus Siliconkautschuk für Schreib-, Mal-, Zeichen- und Sportgeräte
JP5262109B2 (ja) * 2007-12-28 2013-08-14 ぺんてる株式会社 グリップ
JP6315549B2 (ja) * 2013-12-26 2018-04-2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JP6576148B2 (ja) * 2015-07-31 2019-09-18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6818311B2 (ja) * 2016-07-21 2021-01-20 株式会社トキワ 塗布容器及び塗布容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61874C (de) * 1934-12-28 1938-06-29 Friedrich Herig Schreibgeraet, insbesondere Fuellbleistift oder Federhalter, mit einer kegelfoermigen Spitze und den Fingern angepassten Auflageflaechen am Griffschaft
NL300030A (ko) * 1963-01-12
US4601598A (en) * 1983-08-29 1986-07-22 Schwartz Allan E Finger gripping device
DE3406522A1 (de) * 1984-02-11 1985-09-12 Pelikan Ag, 3000 Hannover Gehaeuse fuer von hand gehaltene geraete, insbesondere schreibgeraete
US5056945A (en) * 1990-09-04 1991-10-15 W. T. Rogers Company Writing instrument grip
DE29514096U1 (de) * 1995-09-04 1995-12-14 Spethmann Hans Dipl Ing Ergonomisch den Fingern anpaßbarer Schreibstift
JP3814906B2 (ja) 1996-12-26 2006-08-30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のグリップ
JP2000071674A (ja) * 1998-08-28 2000-03-07 Kotobuki:Kk 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3396U (en) 2002-04-11
EP1036671A1 (en) 2000-09-20
JP2000326682A (ja) 2000-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313B2 (ja) 筆記具用グリップ
US6206595B1 (en) Writing utensil
KR20010006617A (ko) 필기구 몸체
US6375373B2 (en) Writing stem for writing instruments
JP4433711B2 (ja) 軸体
KR20020082160A (ko) 삽지식 필기구
KR20020000474A (ko) 필기구용 그립 및 필기구몸체
JPH08164692A (ja) 筆記具用グリップ
JP5300688B2 (ja) 筆記具の軸筒
JP2004175041A (ja) グリップ
JP4155390B2 (ja) 筆記具
JP4831696B2 (ja) 筆記具
JP5073813B2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6054651B2 (ja) 筆記具の軸筒
KR200240538Y1 (ko) 필기구
JP2004299406A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5024941B2 (ja) 筆記具
JP4848066B2 (ja) 筆記具
TWI636900B (zh) Writing utensil and grip member
JP2007144701A (ja) 筆記具の軸筒
KR102510201B1 (ko) 필기구
JP2002096594A (ja) 軸筒用グリップカバー
JP2010082809A (ja) 筆記具の軸筒
JP3057701U (ja) 筆記具
JP4971211B2 (ja) 筆記具の軸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