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160A - 삽지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삽지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160A
KR20020082160A KR1020020028766A KR20020028766A KR20020082160A KR 20020082160 A KR20020082160 A KR 20020082160A KR 1020020028766 A KR1020020028766 A KR 1020020028766A KR 20020028766 A KR20020028766 A KR 20020028766A KR 20020082160 A KR20020082160 A KR 20020082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main body
finger
writing instrument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박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형 filed Critical 박준형
Priority to KR102002002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2160A/ko
Priority to US10/200,342 priority patent/US6648537B1/en
Priority to PCT/KR2002/001841 priority patent/WO2003099584A1/en
Priority to AU2002348681A priority patent/AU2002348681A1/en
Publication of KR2002008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를 파지하지 않은 채, 필기구를 손가락에 직접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장기간의 필기에도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20) 및 삽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는 좌우 대칭형의 중공형상체로서, 그 내부공동에는 필기기능체(11)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20)는 삽지부(30)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측면에 접촉되어 필기구가 전체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만곡부(21)가 좌우 대칭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지부(3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상체로서, 그 중공부가 삽지공동(31)으로 기능하고, 그 일측면이 대칭형 절개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칭형 절개부(32)에 대향되는 면이 상기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삽지식 필기구 {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본 발명은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필기구를 파지하지 않은 채, 필기구를 손가락에 직접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장기간의 필기에도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라 함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서, 연필, 볼펜이나 만년필 등을 의미한다. 이들 필기구들은 통상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세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필기를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와 그에 따른 필기동작에 의하면, 장시간 필기하는 경우에는 손 전체에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 중지의 측면에 힘을 가하는 필기동작에 의하여 중지의 측면에 굳은살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세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된 형태의 파지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바른 필기구 파지형태가 되지 못하여 올바른 필기습관이 되지 못하고, 잘못된 필기습관으로 굳어질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기동작을 취한 상태에서 부수적인 수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손으로 필기와 함께 컴퓨터의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손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고, 다시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다시 파지하는 동작을 취해야 했으므로 신속한 업무처리를 방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가락에 삽지하는 형태로 필기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손가락을 포함하여 신체에 무리를 가하지 않으면서 장시간의 필기동작이 가능하며, 필기동작을 위한 필기구의 파지상태에서도 다른 수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적합한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삽지식 필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삽지식 필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삽지식 필기구를 배면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삽지식 필기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본체부와 삽지부를 구분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11 : 필기기능체
12 : 수납고정부13 : 요홈
14 : 제2요홈15 : 무선마우스
16 : 볼20 : 지지부
21 : 만곡부30 : 삽지부
31 : 삽지공동32 : 절개부
33 : 전방개구부α : 절단각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 및 삽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는 좌우 대칭형의 중공형상체로서, 그 내부공동에는 필기기능체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는 삽지부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측면에 접촉되어 필기구가 전체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만곡부가 좌우 대칭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지부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상체로서, 그 중공부가 삽지공동으로 기능하고, 그 일측면이 대칭형 절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칭형 절개부에 대향되는 면이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의 좌우측면에는 손가락 끝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필기기능체 대신 무선 마우스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20) 및 삽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는 좌우 대칭형의 중공형상체로서, 그 내부공동에는 필기기능체(11)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20)는 삽지부(30)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측면에 접촉되어 필기구가 전체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만곡부(21)가 좌우 대칭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지부(3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상체로서, 그 중공부가 삽지공동(31)으로 기능하고, 그 일측면이 대칭형 절개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칭형 절개부(32)에 대향되는 면이 상기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부(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대칭형의 중공형상체로서, 그 내부공동에는 필기기능체(11)가 삽입 설치되고, 볼펜이나 샤프펜슬, 만년필, 개인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스타일러스(stylus), 기타 컴퓨터용 무선마우스, 오토캐드(autoCAD)용 무선입력펜 등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공동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외형을 갖는 것이라면 다른 어떠한 종류의 필기구, 문구류 또는 전산용품 등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필기구, 문구류 또는 전산용품들 역시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극히 용이한 설계변경의 정도로 공지된 필기구, 문구류 또는 전산용품들 중 어느 하나를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본체부(10) 내에 상기 필기기능체(11) 대신 적용시킬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필기기능체(11)를 상기 본체부(10)에 삽입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필기기능체(11)가 상기 본체부(10) 내로 용이하게 삽입하고, 또한 일단 삽입된 필기기능체(11)가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납고정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고정부(12)의 상기 본체부(10)에의 고정은 통상의 나사결합 방식이 될 수 있으나, 기타 수납고정부(12)를 본체부(10)에 압입시켜 고정시키는 등 통상의 고정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본체부(10)에 컴퓨터용 무선마우스(15)가 삽입 설치되는 상태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용 무선마우스(15)가 삽입 설치되는 경우, 마우스 자체의 구성 및 작동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볼마우스의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변위의 감지를 위한 볼(16)이 필기기능체(11)의 위치에 위치되어 마우스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컴퓨터용 무선마우스(15)가 삽입 설치되는 경우,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해서는 유선도 가능하기는 하나, 무선마우스(15)가 보다 사용이 편리함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으며, 무선마우스(15)의 무선 연결을 위한 원적외선 송수신장치는 상기 본체부(10)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 내에 원적외선 송수신장치를 수용시키는 것은 공지된 무선마우스(15)와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당업자에게는 극히 용이한 설계변경의 정도로 공지된 무선마우스(15)를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본체부(10) 내에 상기 필기기능체(11) 대신 적용시킬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20)는 삽지부(30)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측면에 접촉되어 필기구가 전체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만곡부(21)가 좌우 대칭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성형시에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의 만곡부(21)는 상기 삽지부(3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손가락에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를 고정시켰을 때, 상기 삽지부(30)에 고정된 손가락의 측면에 접촉되어 필기구 자체가 손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기 위하여 손가락 사이, 특히 서로 대향되는 위치의 엄지와 검지의 측면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완만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다.
상기 삽지부(3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상체로서, 그 중공부가 삽지공동(31)으로 기능하고, 그 일측면이 대칭형 절개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칭형 절개부(32)에 대향되는 면이 상기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형상체의 내부공동이 삽지공동(31)으로 기능하며, 상기 삽지공동(31) 내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지공동(31)은 상기 중공형상체의 중공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좌우 어느 손의 엄지 또는 검지의 삽입도 가능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전방에는 전방개구부(33)가 형성되고, 후방은 삽지공동(31) 내로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전방개구부(33)를 통해 상기 삽지공동(31)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통풍이 잘되어 비록 오랜시간 동안 손가락이 삽지공동(31) 내에 삽입된 채로 유지되어도 원활한 통기가 가능하게 되며, 그에 따라 땀이 차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삽지공동(31) 내로 삽입되는 손가락의 굵기에 무관하게 편안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자유로운 삽입이 될 수 있도록 삽지공동(31)의 내경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칭형 절개부(32)가 삽지부(3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이 절개부(32)는 좌우대칭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지며, 엄지나 검지 또는 사용자의 손의 크기 등에 무관하게 어느 손가락이나 모두 수용이 가능하도록 삽지공동(31)의 내경을 조절한다. 즉, 상기 절개부(32)에 의해 삽지부(30)의 내경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신축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개부(32)는 상기 삽지부(30)의 일부를 절개시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공형상체의 후방 즉, 손가락이 들어가는 방향의 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공형상체의 중간까지를 일부 절개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부(3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형상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개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더 절개하여 대칭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개부(32)의 형성시, 절개부(32)의 최초 절단부의 절단각(α)은 20 내지 70°의 범위 이내,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이 절단각(α)은 손가락 특히 삽입되는 엄지 또는 검지를 구부려 자유롭게 글씨를 쓸 수 있도록 손가락의 굴곡자유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절단각(α)이 20°미만으로 되는 경우, 절개부(32)의 입구가 너무 좁게 형성되어 검지의 굴곡자유도가 너무 작아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여 글씨 쓰기에 부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70°를 초과하는 경우, 절개부(32)의 입구가 너무 넓게 형성되어 필기구가 손가락, 특히 엄지나 검지의 운동에 따라 필기구가 정확하게 연동되지 못하게 되어 자유로운 글씨 쓰기가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좌우측면에는 손가락 끝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13)은 특히 필기구를 손으로 쥘 때, 엄지손가락의 단부가 닿는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삽지부(30)에 검지손가락을 삽입시켜 사용할 때, 엄지손가락의 단부 일부가 접촉하여 보다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요홈(13)의 대향되는 위치에 제2요홈(14)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 제2요홈(14)은 상기 요홈(13)이 엄지손가락의 단부에 접촉할 때, 중지의 일부가 대칭되는 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요홈(13) 및 제2요홈(14)들은 상기 삽지부(30)에 엄지손가락을 삽입시켜 사용할 때에는 다른 손가락들의 단부 일부가 접촉되어 보다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한 바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는 필기기능체(11) 또는 기타 본체부(10)에 수용되는 문구류나 전산용품들을 제외한 본체부(10), 지지부(20) 및 삽지부(30)를 인서트사출(injection molding with insert in a mold)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서트사출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인서트사출은 공동,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삽지공동(31)과 같이 공동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인서트물이 투입된 금형내로 수지를 사출시켜 금형의 내부면의 형상과 인서트물의 외부면 사이의 빈 공간을 수지로 채워 성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금형 및 인서트물의 제조와 사출방법 등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삽지부(30)는 전체적으로 또는 삽지공동(31)을 중심으로 하는 삽지부(30)의 일부를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체 수지 역시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하고자 할 경우를 검지손가락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기구의 삽지부(30)의 삽지공동(31)에 사용자의 검지를 삽입시킨 후, 엄지와 중지로 감싸도록 파지하면, 엄지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요홈(13)에 안착되고, 중지는 상기 본체부(10)의 요홈(13)의 반대면에 접촉하게 되어 완벽한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필기를 하게 되면, 적은 힘으로도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필기구가 검지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수작업, 예를 들면, 컴퓨터의 키보드 작업이나 마우스의 작동 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삽지부(3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삽지식 필기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손동작이 가능하며, 검지에 압박감 등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없이 필기구를 항상 휴대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삽지부(30)에 형성된 절개부(32)는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 등 좌우 손의 어느 검지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손가락이 굵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상기 절개부(32)에 의해 삽지공동(31)의 내경이 넓어져서 쉽게 검지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삽지부(30)의 절개부(32)의 최초 절단부의 절단각(α)의 형성에 의해 자우 어느 손의 검지의 삽입에 의해서도 필기구의 자유로운 파지가 가능하며, 상기 지지부(20)의 만곡부(21)가 상기 삽지부(30)에 삽입된 손가락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20)는 좌우 대칭형으로 만곡부(2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어느 손의 손가락의 삽입에 의해서도 상기 지지부(20)는 유효하게 손가락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하도록 굴곡자유도를 높이게 되어, 주로 사용하는 손이 좌우 어느 손이라도 모두 간편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필기 및 필기 이외의 다른 수작업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
비록, 상기에서 검지손가락을 삽입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엄지손가락을 삽지부(30)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0)에 삽입 고정되는 필기기능체(11) 및 기타 볼펜이나 샤프펜슬, 만년필, 개인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스타일러스(stylus), 기타 컴퓨터용 무선마우스(15), 오토캐드(autoCAD)용 무선입력펜 등이 삽입 설치되어 다양한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 어느 손의 손가락의 삽입으로도 간단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필기기능체(11)를 포함하여 기타 볼펜이나 샤프펜슬, 만년필, 개인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스타일러스(stylus), 기타 컴퓨터용 무선마우스(15), 오토캐드(autoCAD)용 무선입력펜 등이 삽입 설치되어 다양한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필기 및 필기 이외의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삽지와 힘의 부가시 요홈(13)을 통한 힘의 분산 및 삽지부(30)의 절개부(32)의 최초 절단부의 절단각(α)과 지지부(20)의 만곡부(21)의 형성에 의해 좌우 어느 손의 검지의 삽입에 의해서도 필기구의 자유로운 파지가 가능하며, 엄지나 검지 등 삽입되는 손가락에 굴곡자유도를 제공하여 미려한 글씨 쓰기가 가능하게 되며, 필기 이외의 수작업에서도 상당히 자유로운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의 구성에 의해 인체공학적으로 신체에 가장 적은 부담을 가하면서 작은 힘으로 확실한 필기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장시간의 필기동작으로도 중지의 굳은 살의 발생 억제 및 손의 변형 등 기형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는 엄지 및 중지 등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필기구 기타 문구류나 전산용품 등이 엄지나 검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필기구를 항상 파지하면서도 다른 수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삽지부(30)에 삽입된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들이 자유롭게 다른 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업무능율의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 및 삽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는 좌우 대칭형의 중공형상체로서, 그 내부공동에는 필기기능체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는 삽지부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측면에 접촉되어 필기구가 전체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만곡부가 좌우 대칭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지부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상체로서, 그 중공부가 삽지공동으로 기능하고, 그 일측면이 대칭형 절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칭형 절개부(32)에 대향되는 면이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좌우측면에는 손가락 끝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삽지식 필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상기 필기기능체 대신 무선 마우스가 삽입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삽지식 필기구.
KR1020020028766A 2002-05-23 2002-05-23 삽지식 필기구 KR20020082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766A KR20020082160A (ko) 2002-05-23 2002-05-23 삽지식 필기구
US10/200,342 US6648537B1 (en) 2002-05-23 2002-07-23 Finger insertion type writing device
PCT/KR2002/001841 WO2003099584A1 (en) 2002-05-23 2002-10-02 Finger insertion type writing device
AU2002348681A AU2002348681A1 (en) 2002-05-23 2002-10-02 Finger insertion type wri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766A KR20020082160A (ko) 2002-05-23 2002-05-23 삽지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160A true KR20020082160A (ko) 2002-10-30

Family

ID=2772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766A KR20020082160A (ko) 2002-05-23 2002-05-23 삽지식 필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48537B1 (ko)
KR (1) KR20020082160A (ko)
AU (1) AU2002348681A1 (ko)
WO (1) WO20030995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2946A1 (en) * 2002-08-06 2004-02-12 Min-Keun Kim Writing device of finger insertion ty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2271B1 (en) * 2006-02-17 2010-05-25 Harvin Gregory L Finger attachable writing apparatus
JP4175661B2 (ja) * 2006-05-29 2008-11-05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及び塗布物質容器
US7476043B1 (en) 2007-10-30 2009-01-13 Angel Rivas Fingertip writing instrument
US20090244822A1 (en) * 2008-03-28 2009-10-01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Touch control pe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142528A1 (en) * 2009-11-19 2011-06-16 Charlton David E Bingo dauber
MD20110021A2 (ro) * 2011-03-10 2012-09-30 Симион ЛУНГУ Instrument de scris cu rezervor compact în formă de capsulă, cu forma şi construcţia adaptate pentru utilizare în poziţia "îmbrăcat pe deget", procedeu şi metodă
GB2508791A (en) * 2012-08-06 2014-06-18 First Swipe Ltd Counterfeiting detection pen that can be worn on users finger
US9352462B2 (en) 2013-03-18 2016-05-31 Sidney Charles Laybourne Multipurpose finger embracing implement
US9333796B2 (en) 2013-10-23 2016-05-10 Keith Martin Fingertip mountable writing instru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661Y1 (ko) * 2000-02-10 2000-07-15 김종태 장애인을 위한 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입력장치
JP2001018580A (ja) * 1999-07-08 2001-01-23 Morito Co Ltd 筆記具
KR200244648Y1 (ko) * 2001-06-07 2001-10-22 전우현 골무형 필기구
KR20010091252A (ko) * 2000-03-14 2001-10-23 오명환 핑거마우스
KR200261344Y1 (ko) * 2001-10-04 2002-01-24 (주) 알포텍 삽지식 필기구
KR200274066Y1 (ko) * 2002-02-08 2002-05-01 백남용 핑거 마우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9419A (en) * 1954-09-07 1955-05-31 Andrew L Appel Attachment for writing implements
US3947132A (en) * 1974-09-03 1976-03-30 Joseph Fox Finger tip writing instrument
US4127338A (en) * 1976-10-27 1978-11-28 Laybourne Sidney C Writing instrument
US4968167A (en) 1989-01-19 1990-11-06 Shuhei Kageyama Combined writing tool
US5405206A (en) * 1990-07-13 1995-04-11 Bedol; Mark A. Finger-mounted writing apparatus
US5529415A (en) * 1995-03-29 1996-06-25 Bishop; Deborah L. Fingertip pen writer
JP2786830B2 (ja) * 1995-06-07 1998-08-13 義弘 佐藤 指ガイド付き筆記具
KR100283740B1 (ko) * 1998-08-28 2001-03-02 김민근 손가락 착탈식 필기구
DE19903394C1 (de) 1999-01-29 2000-05-31 Schmidt Feinmech Schreibgerät mit wenigstens zwei Schreibelemente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580A (ja) * 1999-07-08 2001-01-23 Morito Co Ltd 筆記具
KR200189661Y1 (ko) * 2000-02-10 2000-07-15 김종태 장애인을 위한 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입력장치
KR20010091252A (ko) * 2000-03-14 2001-10-23 오명환 핑거마우스
KR200244648Y1 (ko) * 2001-06-07 2001-10-22 전우현 골무형 필기구
KR200261344Y1 (ko) * 2001-10-04 2002-01-24 (주) 알포텍 삽지식 필기구
KR200274066Y1 (ko) * 2002-02-08 2002-05-01 백남용 핑거 마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2946A1 (en) * 2002-08-06 2004-02-12 Min-Keun Kim Writing device of finger insertion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48681A1 (en) 2003-12-12
US20030219301A1 (en) 2003-11-27
US6648537B1 (en) 2003-11-18
WO2003099584A1 (en) 200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5057B2 (en) Facile ergonomic computer pointing device
EP1292202B1 (en)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KR200462321Y1 (ko) 볼펜 겸용 터치펜
CA2342429A1 (en) Writing instrument and hand tool grip
WO1994023956A1 (en) Ergonomic snap-fit cartridge pen
KR20020082160A (ko) 삽지식 필기구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20090266626A1 (en) Flexible Stylus Tip With Flat Contact Surface
KR20010006617A (ko) 필기구 몸체
US6328493B1 (en) Instruments with ergonomic gripping
US5549405A (en) Heel-shaped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JPH08164692A (ja) 筆記具用グリップ
KR200331545Y1 (ko) 삽지식 필기구 집게
CN214355138U (zh) 一种握笔器
KR200312410Y1 (ko) 기능성 필기구 홀더
KR200300822Y1 (ko) 기능성 필기구
CN210821510U (zh) 一种动态矫正握笔姿势的书写套件及工具件
US20040145866A1 (en) Ergonomic styl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KR20030086205A (ko) 삽지식 필기구
JP4848066B2 (ja) 筆記具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KR200294752Y1 (ko) 삽지식 필기구
WO2003029022A1 (en) 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JPH0624226Y2 (ja) 運指時ペン固定用リング
JP4717772B2 (ja)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