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344Y1 - 삽지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삽지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344Y1
KR200261344Y1 KR2020010030214U KR20010030214U KR200261344Y1 KR 200261344 Y1 KR200261344 Y1 KR 200261344Y1 KR 2020010030214 U KR2020010030214 U KR 2020010030214U KR 20010030214 U KR20010030214 U KR 20010030214U KR 200261344 Y1 KR200261344 Y1 KR 200261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ertable
body portion
writing instrument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근
Original Assignee
(주) 알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포텍 filed Critical (주) 알포텍
Priority to KR2020010030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344Y1/ko
Priority to PCT/KR2001/001681 priority patent/WO200302902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에 손가락에 삽입한 상태에서 힘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필기에도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삽지형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삽지식 필기구에 있어서, 몸체부와 삽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전후, 좌우 비대칭의 중공형상체로서, 좌, 우측면에 완만한 요부(凹部)인 제1 요홈부와 제2 요홈부가 구비되는 전방부와, 일측으로 휘어진 테이퍼형상으로, 휘어진 방향의 측면에 급커브면이 구비되고, 그 반대측면에 완커브면이 구비되는 후방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동에는 필기기능체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삽지부는 후방이 개구되는 중공형상체인 삽지공동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체공학적으로 적합한 형상으로 인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사용에 따른 업무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오며,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형태를 취함으로써 경제적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삽지식 필기구{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힘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필기에도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삽지형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라 함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써 연필, 볼펜이나 만년필 등을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엄지, 검지 및 중지로 필기구를 감싸안고, 엄지와 검지 사이 및 중지의 측면에 필기구를 지지시킨 채로 힘을 부가하여 필기하는 형태를 취해야 했다.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와 그에 따른 필기동작에 의하면, 장시간 필기하는 경우에는 손 전체에 부담을 주어 손에 신체적 무리를 줌은 물론 중지의 측면에 힘을 부가하는 형태의 필기동작에 의하여 중지 측면에 굳은살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기동작을 취한 상태에서 부수적인 수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손으로 필기와 함께 컴퓨터의 마우스나 키보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 바, 종래의 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기동작을 취한 상태에서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손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고, 다시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파지하는 동작을 취해야 했으므로 신속한 업무처리를 방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필기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가락에 삽지하는 형태로 필기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손가락을 포함한 신체에 무리를 가하지 않으면서 장시간의 필기동작이 가능하며, 필기동작을 취한 상태에서도 다른 수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적합한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몸체부, 110...전방부,
112...제1 요홈부, 114...제2 요홈부,
116...표장요홈부, 120...후방부,
122...완커브면, 124..급커브면,
132...펜촉지지부, 134...수나사부,
136...뚜껑안착부, 140...필기기능체,
142...펜촉부, 200...삽지부,
210...삽지공동, 220...전반부,
230...후반부, 240...상단 폐색부,
242...조절부, 250...엠보싱,
300...뚜껑, 310...돌출부.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삽지식 필기구에 있어서, 몸체부와 삽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전후, 좌우 비대칭의 중공형상체로서, 좌, 우측면에 완만한 요부(凹部)인 제1 요홈부와 제2 요홈부가 구비되는 전방부와, 일측으로 휘어진 테이퍼형상으로, 휘어진 방향의 측면에 급커브면이 구비되고, 그 반대측면에 완커브면이 구비되는 후방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동에는 필기기능체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삽지부는 후방이 개구되는 중공형상체인 삽지공동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우측면도와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는 몸체부(100), 삽지부(200) 및 뚜껑(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공동이 있는 중공형상체로서, 전방부(110)의 부피가 후방부(120)의 부피보다 크며, 좌우, 전후 비대칭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방부(120)는 점차 부피가 줄어드는 테이퍼형상으로서, 우측으로 휘어져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우측 편향의 휘어짐에 의하여 좌측에 완커브면(122)이 형성되며, 우측에 급커브면(124)이 형성된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좌측 완커브면(122)의 곡률반경이 상기 우측 급커브면(124)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완커브면(122)은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에 비하여, 급커브면(124)은 상기 완커브면(122)보다 훨씬 급격한곡면을 갖게 된다.
상기 전방부(110)의 좌, 우측면에는 타원형상으로서 완만한 요부(凹部)로 형성되는 제1 요홈부(112)와 제2 요홈부(114)가 구비된다. 도 3의 (a)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우측면도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부(110) 우측면에 형성된 제1 요홈부(112)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의 (b)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좌측면도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부(110) 좌측면에 형성된 제2 요홈부(114)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부(110) 좌, 우측 적소에는 적당한 크기를 갖는 표장요홈부(116)가 구비된다. 상기 표장요홈부(116)는 본 고안이 상품화된 경우에 상품의 표장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동에는 필기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필기기능체(14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필기기능체(14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안착되며, 그 종단의 펜촉부(142)가 몸체부(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바, 상기 펜촉부(142)의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종단에는 외향돌출되는 펜촉지지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펜촉지지부(132)는 필기기능체(140)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교체를 위해서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펜촉지지부(132)의 내측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0) 종단에 외향돌출하는 수나사부(134)를 형성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착탈이 가능하고 사용시에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라면 끼움결합 등의 어떠한 결합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에는 뚜껑의 지지를 위한 요홈으로 형성되는 뚜껑안착부(136)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안착부(136)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하였으나, 내향 요홈을 갖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삽지부(200)는 도 1,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위치하며, 몸체부(100)와 삽지부(200)는 별개로 제작된 후, 상호 결합되는 바, 접착제를 통한 결합이나 끼움구조에 의한 결합 등 어떠한 결합구조로도 무방하다.
상기 삽지부(200)에는 내부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후방이 개구된 삽지공동(2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삽지공동(210)의 하단 표층은 전반부(220)가 후반부(230)보다 하향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삽지부(200)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 표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지공동(210)의 상단 폐색부(240)에는 작은 틈새를 갖도록 절개된 조절부(242)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242)는 본 실시예에서는 S자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틈새를 갖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삽지공동(210)의 내측 적소에는 외향돌출하는 다수의 소돌기로 구성되는 엠보싱(250)을 형성한다.
상기 삽지부(200)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을 감안하여 유연한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0)은 몸체부(100)의 종단에 형성된 상기 펜촉지지부(132)를 포위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 적소에는 몸체부(100)의 하단에 요홈으로 형성된 뚜껑안착부(136)에 대응하는 돌출부(3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310)를 상기 뚜껑안착부(136)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삼각형으로 구성하였으나, 변형 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안착부(136)의 변형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필기구의 몸체부(100)를 하향시킨 후, 검지를 상기 삽지부(200)의 삽지공동(210)에 삽입시킨 후, 엄지와 중지로 감싸 안으면, 엄지는 상기 제1 요홈부(112)에 안착하고, 중지는 상기 제2 요홈부(114)에 안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완커브면(122)는 엄지와 검지의 중간 부분에서 엄지측에 인접한 부분과 접하게 되고, 급커브면(124)은 엄지와 검지의 중간 부분에서 검지측에 인접한 부분과 접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필기동작을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취한 후, 필기를 위해 힘을 부가하면, 적은 힘의 부가로도 필기구의 완벽한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요홈부(112)와 제2 요홈부(114)의 존재로 인하여, 엄지와 중지의 측면에 부가되는 힘의 양이 적어지게 되므로, 장시간의 필기동작에 의하여 무리한 힘의 부가로 중지 측면에 발생되는 굳은 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삽지부(200)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아니함음 물론, 사용자에 따라 다른 검지의 크기에 대해서는 상기 삽지부(200)의 상단 폐색부(240)에 형성된 조절부(242)가 좌우로 벌어지면서 사용자에 따른 다양한 검지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242)는 필기동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검지의 수분을 배출하는 통풍구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삽지부(200) 내측에 형성된 엠보싱(250)은 필기동작을 위한 힘의 부가시 미끄러짐이 발생된 않고 정확한 힘의 부가가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필기동작을 취한 상태로 필기를 하다가, 필기작업을 중지한 상태에서도 필기구에 검지가 삽지된 상태로 손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필기구를 유지한 상태로 다른 수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컴퓨터를 통한 키보드 입력이나 마우스 조작과 함께 필기동작을 취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의한 필기구를 유지한 상태로 두가지 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지를 삽입한 형식으로 필기구를 파지하는 방식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엄지를 삽입하여 파지하는 형식으로도 필기동작을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필기구의 몸체부(100)를 상향시킨 후, 엄지를 상기 삽지부(200)의 삽지공동(210)에 삽입시킨 후, 검지와 중지로 감싸 안으면, 검지는 상기 제2 요홈부(114)에 안착하고, 중지는 상기 제1 요홈부(112)에 안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상기 몸체부(100)의 완커브면(122)이 엄지와 검지의 중간 부분과 접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검지 삽입 방식과 엄지 삽입 방식의 효과는 동일하며, 사용자의 필기습관과 편의성에 따라 선택될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부(100) 종단에 펜촉지지부(132)를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필기기능체(140)의 사용 종료와 함께 다른 필기기능체(140)로 전환함으로써 필기구의 반영구적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와 상기 몸체부(100)의 종단 저면에 형성된 뚜껑안착부(136)에 의하여 필기구에 뚜껑(300)을 닫은 상태에서 뚜껑(300)의 회전을 차단하며, 뚜껑(300)의 이탈을 일부 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뚜껑체결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의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삽지와 힘의 부가시 요홈부를 통한 힘의 분산과 손의 형상과 연관된 완, 급커브면의 존재 등을 통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신체에 가장 작은 부담을 가하면서 작은 힘으로 확실한 필기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의 필기동작으로도 중지의 굳은살을 발생시키거나 신체에 부담을 가해 손의 기형화를 초래하는 등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기동작 중은 물론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도 필기구가 이탈되지 않으며, 필기구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나머지 손가락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필기동작과 함께 다른 수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신속한 업무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인체공학적으로 적합한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성과 사용에 따른 업무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오며,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형태를 취함으로써 경제적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6)

  1. 삽지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삽지식 필기구는 몸체부와 삽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전후, 좌우 비대칭의 중공형상체로서,
    좌, 우측면에 완만한 요부(凹部)인 제1 요홈부와 제2 요홈부가 구비되는 전방부와,
    일측으로 휘어진 테이퍼형상으로, 휘어진 방향의 측면에 급커브면이 구비되고, 그 반대측면에 완커브면이 구비되는 후방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동에는 필기기능체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삽지부는 후방이 개구되는 중공형상체인 삽지공동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공동의 상단에는 틈새를 갖도록 절개된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공동의 내측 적소에는 외향돌출하는 다수의 소돌기로 구성되는 엠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부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공동의 하단 표층은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하향되게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 표층도 상기 삽지공동의 하단표층에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요홈으로 형성되는 뚜껑안착부를 구비하고,
    내측 적소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뚜껑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KR2020010030214U 2001-10-04 2001-10-04 삽지식 필기구 KR200261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214U KR200261344Y1 (ko) 2001-10-04 2001-10-04 삽지식 필기구
PCT/KR2001/001681 WO2003029022A1 (en) 2001-10-04 2001-10-08 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214U KR200261344Y1 (ko) 2001-10-04 2001-10-04 삽지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344Y1 true KR200261344Y1 (ko) 2002-01-24

Family

ID=1971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214U KR200261344Y1 (ko) 2001-10-04 2001-10-04 삽지식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61344Y1 (ko)
WO (1) WO200302902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60A (ko) * 2002-05-23 2002-10-30 박준형 삽지식 필기구
KR20030086205A (ko) * 2002-05-03 2003-11-07 김영진 삽지식 필기구
WO2004028830A1 (en) * 2002-09-26 2004-04-08 Min-Keun Kim V-shaped writing instrument
WO2004076201A1 (en) * 2003-02-25 2004-09-10 Hae-Il Kim The device for right grip of writing too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132A (en) * 1974-09-03 1976-03-30 Joseph Fox Finger tip writing instrument
US4588317A (en) * 1984-10-05 1986-05-13 Taylor Clarence R Lead or pen marking device
US5405206A (en) * 1990-07-13 1995-04-11 Bedol; Mark A. Finger-mounted writing apparatus
JP2786830B2 (ja) * 1995-06-07 1998-08-13 義弘 佐藤 指ガイド付き筆記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205A (ko) * 2002-05-03 2003-11-07 김영진 삽지식 필기구
KR20020082160A (ko) * 2002-05-23 2002-10-30 박준형 삽지식 필기구
WO2003099584A1 (en) * 2002-05-23 2003-12-04 Pan Story Co., Ltd. Finger insertion type writing device
WO2004028830A1 (en) * 2002-09-26 2004-04-08 Min-Keun Kim V-shaped writing instrument
WO2004076201A1 (en) * 2003-02-25 2004-09-10 Hae-Il Kim The device for right grip of writing to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29022A1 (en) 200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9065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WO1994023956A1 (en) Ergonomic snap-fit cartridge pen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JP3987711B2 (ja) 筆記用具
KR200261344Y1 (ko) 삽지식 필기구
US9333796B2 (en) Fingertip mountable writing instrument
US7789580B2 (en) Ergonomic pen with convex device for index finger exerting force thereon
KR200419520Y1 (ko) 핑거 펜
US6006693A (en) Bookmark with highlighter pen
KR200294752Y1 (ko) 삽지식 필기구
JP2008265126A (ja) 指先で操作できる筆ペン
KR200312410Y1 (ko) 기능성 필기구 홀더
CN108349295B (zh) 书写用具
KR100597338B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0331545Y1 (ko) 삽지식 필기구 집게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JP4693523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KR20100086759A (ko) 핑거 펜
JP3126015U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KR101839984B1 (ko) 필기구용 클립형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KR200223813Y1 (ko) 눈썹화장용구
KR200428169Y1 (ko) 홈을 갖는 필기구
KR200345890Y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CA2538325C (e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KR200240349Y1 (ko) 핑거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