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545Y1 - 삽지식 필기구 집게 - Google Patents

삽지식 필기구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545Y1
KR200331545Y1 KR20-2003-0020813U KR20030020813U KR200331545Y1 KR 200331545 Y1 KR200331545 Y1 KR 200331545Y1 KR 20030020813 U KR20030020813 U KR 20030020813U KR 200331545 Y1 KR200331545 Y1 KR 200331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writing
hollow body
clip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펜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펜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펜스토리
Priority to KR20-2003-0020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삽지식 필기구 집게에 관한 것으로, 볼펜이나 만년필 또는 일반 샤프펜슬 등의 필기구, 또는 파스텔이나 크레파스 또는 분필 등과 같은 그림도구를 집게로 집어 한 손가락을 삽지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필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필기구나 그림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이 비어있는 고무 재질의 중공몸체의 하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외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원위치될 수 있는 제1,2 탄성편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몸체의 상부에 손가락 접촉면을 형성한 후 그 손가락 접촉면의 상부공간으로는 상기 중공몸체의 선단부 또는 중단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고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한 클립/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삽지식 필기구 집게를 제공함으로써, 필기구 또는 그림도구들을 간단히 집어 고정할 수 있게 하여 필기 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특히 아동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는 크레파스나 파스텔 또는 분필 등과 같이 손에 잘 묻어 나는 재질의 그림도구 등으로 재질이 손가락에 묻지 않게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삽지식 필기구 집게{A finger pen nipper}
본 고안은 한 손가락을 삽지하여 필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삽지식 홀더를 개량한 필기구 홀더 겸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펜, 만년필, 샤프펜슬 등의 필기구나 파스텔, 크레파스, 분필 등과 같이 손에 잘 묻는 재질의 그림도구를 집게로 집은 상태에서 한 손가락을 삽지하여 필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필기기능에 의한 필기 자세의 교정이 가능하고 그림 도구의 재질을 손에 묻히지 않은 상태로 깔끔하게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한 삽지식 필기구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라 함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서, 연필, 볼펜이나 만년필, 또는 크레파스, 파스텔이나 분필 등을 의미한다. 이들 필기구들은 통상 원통 또는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세 손가락으로 이들을 지지하여 필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리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와 그에 따른 필기동작에 의하면, 장시간 필기하는 경우에는 손 전체에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 중지의 측면에 힘을 가하는 필기동작에 의하여 중지의 측면에 굳은 살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크레파스나 파스텔 또는 분필 등의 그림도구들은 손에 잘 묻어나게 되므로 아이들이나 비 전문가의 경우 깔끔하게 마무리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세 손가락으로 지지하는 경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바른 필기 형태가 되지 못하여 올바른 필기습관이 되지 못하고, 잘못된 필기습관으로 굳어질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기동작을 취한 상태에서 부수적인 수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컴퓨터 작업과 함께 필기동작을 병행해야만 하는 경우,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내려놓거나 손가락 사이에 필기구를 끼워 둔 후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여야 하며, 다시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파지하는 동작을 취해야 했으므로 신속한 업무처리를 방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최근, 필기시에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편리성을 강조한 다양한 디자인의 필기구 및 그 필기구 홀더가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31772호(명칭: 기능성 필기구)에 의하면, 좌우 어느 손으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장시간 동안 필기하여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립을 이용하여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필기구는 손톱보호 및 손가락을 눌러줄 수 있도록 구성된 클립이 단순히 필기하는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구별되는 필기구 홀더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클립에 의해 필기구가 포켓에 끼워져서 흔들리지 않도록 단순히 거치를 하는 형태로서 필기구가 포켓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01858호(명칭: 기능성 필기구 홀더)에 의하면, 필기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면서도 클립의 상태에 따라 손가락 삽입을 위한 구멍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하여 손톱보호 및 손가락을 눌러주는 것은 물론이며 손가락 굵기에 관계없이 손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탄성을 갖는 클립부를 형성하여 필기구를 포켓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필기구가 스스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분실의 염려없이 용이하게 필기구를 사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01858호(명칭: 기능성 필기구 홀더)의 필기구 홀더를 개량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볼펜이나 만년필 또는 일반 샤프펜슬 등의 필기구, 또는 파스텔이나 크레파스 또는 분필 등과 같은 그림도구를 집게로 집어 고정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을 삽지하여 편리하게 그림을 그리거나 필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기구 또는 그림도구들을 간단히 집어 고정하면서도 편리한 필기자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필기 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특히 아동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는 크레파스나 파스텔 또는 분필 등과 같이 재료가 손에 잘 묻어 나는 재질의 그림도구 등을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집어 손가락 굵기에 관계없이 한 손가락을 삽지한 상태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여 그림 도구의 재질이 손가락에 묻지 않은 상태로 깔끔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삽지식 필기구 집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와 작동상태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도 1a와 도 1b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 집게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a의 실시예에서 클립/손잡이부의 종단이 제거된 형태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공몸체 11a, 11b : 탄성편
12 : 손가락 접촉면 13 : 클립/손잡이부
13a : 손가락 삽입홈 14 : 지지돌기
20 : 외력 30 : 필기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필기구나 그림도구가 삽입될 수있도록 몸통의 중앙부분이 비어있는 중공몸체를 마련하고; 상기 중공몸체의 하부에는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외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원위치될 수 있는 제1,2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중공몸체의 상부에는 필기구나 그림도구를 지지하는 손가락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손가락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손가락 접촉면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중공몸체의 선단부 또는 중단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고 상기 라운딩 부분의 중앙에 후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손가락을 밀어넣을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한 클립/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삽지식 필기구 집게를 제공한다.
상기 본 고안에서의 중공몸체는 고무재질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와 작동상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각각 도 1a와 도 1b의 측면도로서, 클립 종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일 실시예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 집게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중공몸체(10)에 필기구(30)가 삽입 및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 집게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이나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필기구나 그림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는 중공몸체(10)와, 상기 중공몸체(10)의 하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외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원위치될 수 있게 일체로 형성된 제1,2 탄성편(11a,11b)과, 상기 중공몸체(10)의 상부에 필기구나 그림도구를 지지하는 손가락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 손가락 접촉면(12)과, 상기 손가락 접촉면(12)이 형성된 상부 공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공몸체(10)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어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클립/손잡이부(13)와, 상기 클립/손잡이부(13)의 전방에 상기 라운딩 부분의 중앙에 후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손가락을 밀어넣을 수 있게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13a)과, 상기 클립/손잡이부(13)의 후방부 종단에 형성된 돌기(14)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클립/손잡이부(13)에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20)을 가하게 되면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탄성편(11a,11b)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필기구(30 : 또는 그림도구)를 집을 수 있게 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 탄성편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필기구(30; 또는 그림도구)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공몸체(10)는 상기 클립/손잡이부(13)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지지대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상기 중공몸체(10)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몸체를 기반으로 하는 탄성력에 의해 손가락을 눌러주거나 두 탄성편(11a,11b)을 좌우로 개방하거나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2 탄성편(11a,11b)의 벌어지는 각도는 0°에서 180°까지 조정가능하며, 이 각도는 필요에 따라, 또는 적용되는 제품의 용도에 따라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몸체(10)는 필기구(30)를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의 중앙부분이 비어 있으며, 상기 중공몸체의 상부에는 손가락에 의한 필기구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가락 접촉면(12)이 형성된다. 상기 손가락 접촉면(12)에는 필기구(30)를 지지하는 어느 손가락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검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외부에서 상하로 작용되는 물리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거나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몸체(10)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는 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외부에서 좌우로 작용되는 물리력에 의해 상기 두 탄성편(11a,11b)을 개방시키거나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두 탄성편에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그 종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갖도록 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작은 힘에 의해서도 탄력적으로 상기 중공몸체(10)로부터 벌어지거나 또는 원위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종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폭을 갖도록 하여 탄력을 증대시키는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그 종단부의 내측에 지지돌기(14)를 형성하여 필기구를 삽입 고정한 경우에 손가락 또는 포켓의 깃을 보다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져 손가락 또는 포켓의 깃을 삽입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물리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되어 상기 삽입된 손가락 또는 포켓을 눌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외부에서 좌우방향으로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두 탄성편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필기구나 그림도구 등을 집을 수 있게 되며, 상기 물리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두 탄성편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중공부분에 삽입된 필기구나 그림도구 등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상기 라운딩 부분에 상기 중공몸체의 후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손가락을 밀어넣을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13a)을 형성하되,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딩 부분의 중앙쪽으로 손가락 삽입홈(13a)을 형성하여 손가락 보호는 손가락의 굵기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손가락 삽입홈(13a)은 클립/손잡이부(13)의 종단부 쪽에 중심각이 위치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부채꼴의 중심각은 필요에 따라 변형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 손가락이 상기 손가락 삽입홈(13a)에 삽입되었을 때 클립/손잡이부(13)의 종단부가 위로 젖혀짐으로 해서 상기 손가락 삽입홈(13a)의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손가락이 굵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본 고안에서 상기 클립/손잡이부(13)는, 중공몸체(10)의 손가락 접촉면(12)을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면상으로 연장하였을 때 그 연장선보다 아래쪽에 상기 돌기(14)가 위치하도록 곡률을 주어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클립/손잡이부의 탄성을 더욱 강화시켜 상기 삽입된 손가락 또는 주머니의 깃을 보다 더 잘 눌러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중공몸체 및 클립/손잡이부의 재질은 고무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상기 클립/손잡이부는 엄지나 검지 또는 중지의 굵기에 따라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작된다.
특히 상기 클립/손잡이부 내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을 가진 금속을 삽입하여 클립/손잡이부의 탄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립/손잡이부 내에 금속을 삽입하는 경우 제조과정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클립/손잡이부는 상기 중공몸체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 제작된 중공몸체와 클립/손잡이부는 끼움 결합이나 접합 등에 의한 결합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1a 내지 도 3의 일 실시예에서 클립/손잡이부(13)의 종단이 제거된 형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그 사용상태 및 동작상태는 상기 도 1a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 집게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삽지식 필기구 집게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리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클립/손잡이부(13)에 도 1b 및 도 2b와 같이 좌우방향의 힘(20)을 가하게 되면, 그와 반대로 작용하는 중공몸체(10) 하부의 제1,2탄성편(11a,11b)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필기구(30)를 집을 수 있게 되며, 상기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중공몸체(10)는 두 탄성편(11a,11b)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필기구나 그림도구 등을 집어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후로 상기 클립/손잡이부(13)의 종단부를 들어올려 중공몸체(10)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쪽으로 검지를 밀어 넣어 상기 클립/손잡이부(13)의 손가락 삽입홈(13a)에 사용자의 검지를 삽입시킨 후, 엄지와 중지로 필기구 홀더의 몸체를 감싸게 되면, 검지는 상기 중공몸체(10)의 손가락 접촉면(12)에 접촉되고, 엄지와 중지는 상기 중공몸체(10)의 몸체 하부의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립/손잡이부(13)의 종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14)가 상기 손가락 삽입홈(13a)에 삽입된 검지의 등쪽을 상기 라운딩 구조에 의해 강화된 탄성으로 견고하게 눌러주게 되면서 상기 클립/손잡이부(13)에 삽입된 검지는 상기 손가락 접촉면(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며,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사용자의 의도대로 필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필기구 홀더를 구성하는 중공몸체(10) 및 클립/손잡이부(13)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필기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손동작이 가능하며, 검지에 압박감 등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없이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클립/손잡이부(13)에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손가락 삽입홈(13a)은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 등 좌우 손의 어느 손가락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손가락이 굵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클립/손잡이부(13)의 종단부를 위로 젖힘으로해서 상기 부채꼴 모양의 손가락 삽입홈(13a)의 크기가 확장되어 쉽게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몸체(10)의 손가락 접촉면(12)을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한 연장선보다 아래쪽에 상기 지지돌기(14)가 위치하도록 라운딩될 경우 상기 클립/손잡이부(13)가 책갈피 등에 걸치도록 하기만 하여도 필기구가 상기 포켓으로부터 스스로 이탈되지 않고 필기구가 앞, 뒤 또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하면, 볼펜이나 만년필 또는 일반 샤프펜슬 등의 필기구, 또는 파스텔이나 크레파스 또는 분필 등과 같은 그림도구 등에 착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착탈기능을 이용하여 교체도 가능하며, 상기 도구나 필기구들을 간단히 집어 고정하면서도 편리한 필기자세를 제공하여 필기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특히 아동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는 크레파스나 파스텔 또는 분필 등과 같이 재료가 손에 잘 묻어 나는 재질의 그림도구 등을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집어 손가락 굵기에 관계없이 한 손가락을 삽지한 상태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여 그림 도구의 재질이 손가락에 묻지 않은 상태로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필기구나 그림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몸통의 중앙부분이 비어있는 중공몸체를 마련하고;
    상기 중공몸체의 하부에는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외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원위치될 수 있는 제1,2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중공몸체의 상부에는 필기구나 그림도구를 지지하는 손가락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손가락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손가락 접촉면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중공몸체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고 상기 라운딩 부분의 중앙에 후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손가락을 밀어넣을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한 클립/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손잡이부는 상기 중공몸체의 중단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집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몸체는 고무재질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필기구 집게.
KR20-2003-0020813U 2003-06-30 2003-06-30 삽지식 필기구 집게 KR200331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13U KR200331545Y1 (ko) 2003-06-30 2003-06-30 삽지식 필기구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13U KR200331545Y1 (ko) 2003-06-30 2003-06-30 삽지식 필기구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545Y1 true KR200331545Y1 (ko) 2003-11-01

Family

ID=4941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813U KR200331545Y1 (ko) 2003-06-30 2003-06-30 삽지식 필기구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5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35Y1 (ko) * 2009-08-31 2010-08-31 박동국 필기구 홀더
KR200463314Y1 (ko) 2011-04-14 2012-11-05 서진영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KR20170054334A (ko) * 2017-04-06 2017-05-17 최은홍 필기 보조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35Y1 (ko) * 2009-08-31 2010-08-31 박동국 필기구 홀더
KR200463314Y1 (ko) 2011-04-14 2012-11-05 서진영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KR20170054334A (ko) * 2017-04-06 2017-05-17 최은홍 필기 보조 기구
KR101983283B1 (ko) * 2017-04-06 2019-05-29 최은홍 필기 보조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6158A1 (en) Ergonomic device
US6343885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hand grip
CN203792952U (zh) 握笔辅助装置及具有该握笔辅助装置的笔具
WO1994023956A1 (en) Ergonomic snap-fit cartridge pen
US9352462B2 (en) Multipurpose finger embracing implement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9505259B2 (en) Grip for hand-held too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384207B2 (en) Ergonomic hand held implement with retractable tip
KR200331545Y1 (ko) 삽지식 필기구 집게
US20110038661A1 (en) Eraser for Dry Erase Markers
JP2006263462A5 (ko)
KR20020082160A (ko) 삽지식 필기구
KR20120002781U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0312410Y1 (ko) 기능성 필기구 홀더
JP7106784B1 (ja) 指装着用筆記具
JP2001310583A (ja) 筆記具
CN215041644U (zh) 一种省力防滑握笔矫正器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JP2001180174A (ja) 筆記具の握り部
JP3215956U (ja) ツバを付けた筆記具
KR200450035Y1 (ko) 필기구 홀더
CN2608292Y (zh) 握笔姿势矫正套
JP2518575Y2 (ja) 筆記具
KR20040080292A (ko)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GB2526546A (en) A handle for art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