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292A -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292A
KR20040080292A KR1020030015198A KR20030015198A KR20040080292A KR 20040080292 A KR20040080292 A KR 20040080292A KR 1020030015198 A KR1020030015198 A KR 1020030015198A KR 20030015198 A KR20030015198 A KR 20030015198A KR 20040080292 A KR20040080292 A KR 2004008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am
support member
pen tip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전익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펜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펜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펜스토리
Priority to KR102003001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0292A/ko
Publication of KR2004008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펜촉지지부재가 펜촉과 함께 삽지식 홀더 내에서 통째로 출몰되게 하여, 필기구를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로 다른 수작업 등을 병행할 때 필기구의 펜촉부 및 펜촉지지부재가 외부 키보드나 기타 다른 부위에 부딪치는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필기체 심이 삽입되어 그 펜촉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끼워지는 펜촉지지부재와;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내부에서 미끄러지도록 몸통의 양단이 개방되고, 그 개방단부의 외주면 각각에 홀더 스토퍼 및 제 2외통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를 형성한 제 1외통과; 손가락 삽입홈 및 지지돌기를 형성한 클립부와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제 1외통이 밀착 삽입되는 삽지식 홀더와; 캡고정을 위한 걸림턱 및 캠장착을 위한 캠결합부를 형성하여, 노크캡 및 노크캠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제 1외통과 나사결합되는 제 2외통과; 노크캠의 작동시 외부로 돌출된 펜촉지지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삽지식 홀더에 삽입된 상기 제 1외통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홀더 스토퍼를 포함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Finger pen having a appearing and disappearing nip support means}
본 발명은 펜촉지지부재가 펜촉부와 함께 삽지식 홀더 내에서 통째로 출몰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삽지식 필기구를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로 다른 수작업을 병행하게 될 때 삽지식 필기구의 펜촉부 및 펜촉지지부재가 외부 키보드나 기타 다른 부위에 부딪치는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삽지식 홀더에 압입된 외통의 내부에서 노크방식 또는 슬라이드방식 또는 회전방식 또는 상기 방식들 중의 한가지 이상을 혼용하는 방식의 캠 동작에 의해 펜촉지지부재가 통째로 출몰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필기시에는 삽지식 홀더의 선단부로 펜촉지지부재 및 펜촉부가 돌출되어 삽지식 홀더의 이점인 작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장시간 필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삽지된 상태에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한 다른 수작업을 병행할 경우에는 삽지식 홀더의 클립기능에 의해 필기구가 손가락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펜촉지지부재가 펜촉부와 함께 삽지식 홀더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 삽지식 필기구를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다른 수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홀더를 갖는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라 함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서, 연필, 볼펜이나 만년필 등을 의미한다. 이들 필기구들은 통상 원통 또는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세 손가락으로 지지하여 필기를 하게 된다.
일반적인 필기구를 이용하는 필기동작에 따르면, 장시간 필기를 하는 경우에는 손 전체에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 중지의 측면에 힘을 가하는 필기동작에 의하여 중지의 측면에 굳은살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필기구를 손에 쥔 상태에서는 다른 부수적인 수작업을 병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손에 필기구를 든 상태에서 그와 함께 컴퓨터의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는 동작이 자주 이루어지게 되며, 이 경우는 필기구를 들고 있는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에 의한 워딩작업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워딩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는 필기구를 손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고, 다시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다시 파지하는 동작을 취해야 했으므로 신속한 업무처리를 방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최근에는 필기시에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편리성을 강조한 다양한 디자인의 필기구 및 그 필기구 홀더가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종래의 필기구 및 그 홀더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31772호에 의하면, 필기기능체를 지지하고 필기구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캡; 중공삽입부가 삽입되는 중공부, 손톱보호를 위한 전방개구부, 손가락을 눌러주기 위한 클립, 가운데 손가락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 및 협각으로 형성된 틈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및 필기기능체와 중공삽입부를 갖는 필기구 본체로 이루어지는 삽지식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삽지식 필기구에 의하면, 좌우 어느 손으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장시간 동안 필기하여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립을 이용하여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삽지식 필기구에서는 손톱이 돌출되는 구조의 반원형 전방 개구부, 및 클립에 의해 단순히 필기하는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클립 치수가 다른 필기구 홀더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클립에 의해 필기구가 포켓에 끼워져서 흔들리지 않도록 단순히 거치를 하는 형태로서 필기구가 포켓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개인별 신체조건, 특히 손가락 굵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으면서도 섬세한 필기감을 가질 수 있고 또한 포켓에 완전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는 필기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삽지식 필기구 홀더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0185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면, 필기구 삽입을 위한 관통공과, 필기구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가락 접촉면을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되, 탄성력 부가를 위해 상기 본체부의 손가락 접촉면의 연장선보다 아래쪽에 지지돌기가 위치하도록 라운딩되고 그 종단부의 내측에 지지돌기를 형성한 클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라운딩 부분 중앙에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손가락을 밀어넣을 수 있는 하트 모양(♡)의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클립부가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손가락 삽입홈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필기구 홀더의 클립부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에 어느 손으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한 상태에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동안 필기하여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게 하며,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립을 이용하여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삽지식 필기구 홀더는 펜촉부가 항상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손가락에 필기구를 착용한 상태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을 병행하게 될 때, 펜촉부에 돌출된 필심(샤프심이나 볼 등)이 키보드의 다른 부분에 닿거나 또는 부딪치게 되어 볼펜 끝단의 볼이나 연필심이 키보드 등과 부딪치게 될 때 받는 충격으로 인해 이탈되어 버리거나 부러져나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한 원하는 형태의 워딩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필기구를 삽지한 상태에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다른 작업(예를 들면 워드 작업 등)을 병행하게 될 때 필기구의 선단에 미세하게 장착된 펜촉(볼 또는 연필심 등)이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원할한 필기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필기구의 펜촉지지부재가 펜촉부와 함께 통째로 출몰할 수 있는 필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손가락 굵기에 관계없이 손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손톱보호는 물론 장시간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며 분실의 염려없이 용이하게 필기구를 사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손가락에 필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른 수작업을 병행하는 중에도 필기구 선단의 펜촉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필기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에서 펜촉지지부재가 삽지식 홀더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에서 펜촉지지부재가 삽지식 홀더의 내부로 몰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필기체 심 11a : 펜촉부
12 : 펜촉 지지부재 12a : 펜촉 돌출홀
13 : 제 1외통 14 : 삽지식 홀더
14a : 클립부 14b : 관통구멍
14c : 손가락 삽입홈 14d : 지지돌기
15 : 복원스프링 16 : 노크캠
17 : 노크캡 18 : 제 2외통
18b : 캠결합부 18c : 걸림턱
19 : 홀더 스토퍼 20,21 : 회전 보조링
12b, 13a, 13b, 18a, 19a : 나사결합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펜촉부를 구비한 필기체 심과; 상기 필기체 심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 및 길이를 갖는 몸통의 일측 단부를 개방하여 그 개방단부의 외주면에 캠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 단부에는 상기 필기체 심의 펜촉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끼워지는 펜촉 돌출홀을 형성한 펜촉지지부재와;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 및 길이의 몸통을 구비하여 그 양단을 개방하고, 그 개방단부의 외주면 각각에 홀더 스토퍼 및 제 2외통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를 각각 형성한 제 1외통과; 상기 제 1외통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관통구멍을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선단에서 상부쪽으로 라운딩되어 후단부쪽으로 연장되는 클립부를 형성하되 상기 라운딩된 클립의선, 후단부 각각에 손가락 삽입홈 및 지지돌기를 형성한 삽지식 홀더와; 상기 제 1외통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몸통의 일측 단부를 개방하여 그 내주면에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다른측 단부에는 노크캡 고정을 위한 걸림턱 및 캠장착을 위한 캠결합부를 형성한 제 2외통과; 상기 제 2외통의 캠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펜촉지지부재의 선단이 상기 제 1외통으로부터 출몰하는 동작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캠조립체와; 상기 제 1외통과 동일한 반경을 갖고, 상기 캠조립체의 작동시 외부로 돌출된 펜촉지지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외통과 캠조립체 사이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과; 링형상으로서 상기 제 1외통의 나사결합부에 대응되는 나사결합부를 내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삽지식 홀더에 삽입된 상기 제 1외통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홀더 스토퍼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는 상기 제 1외통과 제 2외통과의 결합시 상기 제 1외통과 캠 조립체 사이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의 전, 후단에 하나 또는 두 개의 회전 보조링을 삽입한 후 결합시킴으로써, 캠 동작시 제 1외통과 복원스프링간, 또는 복원스프링과 캠조립체 간의 회전이 자유로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는 상기 삽지식 홀더와 제 2외통의 각 결합단부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캠 조립체로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 및 몰입되는 동작 모두를 후단의 노크캡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후단에 설치되는 노크캠으로 이루어지는 캠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캠 조립체로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을 후단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후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노크캡과,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몰입되는 동작을 측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측면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측면 캠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캠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캠 조립체로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 및 몰입되는 동작 모두를 측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측면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측면 캠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캠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캠 조립체로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 및 몰입되는 동작 모두를 후단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후단에 설치되는 회전캠으로 이루어지는 캠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펜촉지지부재의 출몰동작이 노크캠 구조의 캠 조립체에 의해 실시될 수 있도록 구현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는 펜촉부(11a)를 구비한필기체 심(11)과, 상기 필기체 심(11)이 몸통에 삽입되어 펜촉부(11a)가 외부로 돌출되는 펜촉지지부재(12)와, 상기 펜촉지지부재(12)가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양단이 개방되는 제 1외통(13)과, 상기 제 1외통을 압착 삽입할 수 있으며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삽지식 홀더(14)와, 상기 필기체 심(11)의 후단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펜촉지지부재(12)의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노크캠(16) 및 노크캡(17)으로 이루어지는 캠 조립체와, 상기 노크캠(16)과 노크캡(17)을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제 1외통(13)의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제 2외통(18)과, 상기 제 1외통(13)과 노크캠(16) 사이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15)과, 상기 복원스프링(15) 앞, 뒤에 각각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 보조링(20, 21)과, 삽지식 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스토퍼(19)를 구성요소로 갖는다.
상기 펜촉 지지부재(12)는 상기 필기체 심(1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몸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통은 일측 단부를 개방하여 형성하되, 그 개방된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캠 조립체의 노크캠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12b)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 단부에는 펜촉 돌출홀(12a)을 형성하여 상기 필기체 심(11)의 펜촉부(11a)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끼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펜촉지지부재(12)와 필기체 심(11)은 하나의 몸통으로 일체화되게 성형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상기 노크캠과의 결합을 위해 몸통 후단의 소정위치에 상기 노크캠에 대응하는 단구조를 형성하고, 그 단구조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반향으로 나사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펜촉 지지부재(12)와 필기체 심(11)이 각각 별개로 형성된 경우를 바람직한실시예로서 설명하겠으나, 이와 관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상기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외통(13)은 상기 펜촉지지부재(12)가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크기의 내경 및 길이를 갖는 몸통을 구비하여 그 양단이 개방되어야 하고, 그 개방단부의 외주면 각각에 홀더 스토퍼(19) 및 제 2외통(18)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13a, 13b)를 형성한다.
상기 삽지식 홀더(14)는 몸체 선단부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는 클립부(14a)를 형성하되 상기 라운딩된 클립의 선, 후단부 각각에 손가락 삽입홈(14c) 및 지지돌기(14d)를 형성하여 손가락 삽입홈(14c)에 손가락을 자유롭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끼워진 손가락을 지지돌기(14d)가 적당하게 눌러주어 양옆의 지지손가락 없이도 홀더가 손가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몸체 중앙에 길이방향의 관통구멍(14b)을 형성하여 상기 제 1외통(13)이 그 구멍 내부에 압착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삽지식 홀더(14)는 편평한 상면을 갖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클립부(14a)는 상기 몸체에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몸체쪽으로 작용하는 탄력에 의해 손가락을 눌러주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삽지식 홀더의 편평한 상면에는 필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어느 손가락의 접촉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검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4d)는 상기 라운딩된 클립의 후단부에 몸체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홈(14c)은 상기 라운딩된 클립의 선단부에 몸체의 후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손가락을 밀어넣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클립부가 몸체와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손가락 삽입홈의 반경이 달라질 수 있으면서도 손가락 또는 포켓의 깃을 보다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 하부에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의해 필기구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손가락 접촉면(참조번호 생략됨)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외통(18)은 상기 제 1외통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몸통을 구비하되, 일측 단부는 개방하여 그 내주면에 나사결합부(18a)를 형성하고, 다른측 단부에는 몸통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18c)을 형성하여 상기 캡 조립체의 노크캡(17)이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며, 또한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몸통의 내주면 안쪽으로는 캠결합부(18b)를 형성하여 상기 캠 조립체의 노크캠(16)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캠 조립체의 노크캡 및 노크캠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제 1외통과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삽지식 홀더와 마주 대하는 제 2외통의 결합단부, 및 제 2외통과 마주 대하는 삽지식 홀더의 결합단부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캠 조립체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제 1외통으로부터 출몰하는 동작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캠구조로서 여러 종류의 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외통의 캠 결합부(18b)와 후단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캠 조립체에 적용 가능한 캠구조로서는 노크방식 캠구조 또는 슬라이드방식 캠구조 또는 회전방식 캠구조, 또는 상기 각 방식 중의 두 가지를 혼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 및 몰입되는 동작 모두를 후단의 노크캡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후단에 설치되는 노크캠으로 이루어지는 캠구조, 또는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을 후단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후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노크캡 및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몰입되는 동작을 측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측면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측면 캠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캠구조, 또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 및 몰입되는 동작 모두를 측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측면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측면 캠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캠구조, 또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 및 몰입되는 동작 모두를 후단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후단에 설치되는 회전캠으로 이루어지는 캠구조 중의 어느 하나로 구현 가능하다. 이하의 본 발명에서는 노크방식의 캠구조가 적용된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겠으나, 이와 관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원스프링(15)은 상기 두 외통(13, 18)이 나사 결합될 때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외통(13)과 동일한 반경을 갖고, 상기 노크캠의 작동시 외부로 돌출된 펜촉지지부재(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외통(13)과 노크캠(16)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복원스프링의 전, 후단에는 캠동작에 따른 회전동작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회전 보조링(20, 21)을 삽입한 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제 1외통(13)과 복원스프링(15) 간, 또는 복원스프링(15)과 노크캠(16) 간, 또는 두 곳 모두에 그들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각각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서는 두 곳 모두에 회전 보조링(20, 21)이 각각 삽입된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겠으나, 이와 관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홀더 스토퍼(19)는 링형상으로서 상기 제 1외통(13)의 선단 나사결합부(13a)에 대응되는 나사결합부(19a)를 내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삽지식 홀더(14)에 삽입된 상기 제 1외통(13)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클립부(14a)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거나 원위치로 복구되도록 상기 몸체 선단의 상부에서 후단부쪽으로 라운딩 및 연장시켜 형성하되, 그 종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갖도록 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작은 힘에 의해서도 탄력적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원위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종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폭을 갖도록 하여 탄력을 증대시키는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상기 클립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져 손가락 또는 포켓의 깃을 삽입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상기 물리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되어 상기 삽입된 손가락 또는 포켓을 눌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 삽입홈(14c)은 라운딩 부분의 중앙쪽에 형성하여 손가락 보호는 물론 상기 클립부가 몸체에서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그 홈의 반경이 달라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손가락의 굵기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14d)는 몸체의 상면 편평한 부분과 일직선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면상으로 연장하였을 때 그 연장선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라운딩시켜 형성함으로써 상기 클립부의 탄성을 더욱 강화시켜, 상기 물리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삽입된 손가락 또는 포켓의 깃을 보다 더 잘 눌러줄 수 있게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펜촉지지부재가 몰입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관계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노크캠과 노크캡으로 이루어지는 캠 조립체의 구조에 의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조립동작을 보면, 먼저 펜촉지지부재(12)의 개방단부에서 필기체 심(11)을 삽입하여 다른 일측 단부의 펜촉 돌출홀(12a)을 통해 펜촉부(11a)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끼우고, 그 개방된 일측 단부의 나사결합부(12b) 및 노크캠(16) 전단의 나사결합부(16a)를 이용하여 펜촉지지부재(12)와 노크캠(16)을 나사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펜촉 지지부재(12)와 나사 결합된 노크캠(16)에 노크캡(17)을 끼운 후, 그것을 상기 제 2외통(18)의 선단에서 후단쪽으로 밀어넣어 상기 걸림턱(18c) 및 캠결합부(18b)에 의해 상기 제 2외통(18)의 후단부에 필기체 심(11)과 펜촉 지지부재(12)와 노크캠(16)과 노크캡(17)을 조립한다.
이후, 상기 필기체 심(11)과 펜촉 지지부재(12)와 노크캠(16)과 노크캡(17)이 조립된 제 2외통(18)의 내부에 상기 펜촉지지부재(12)로 안내하여 회전 보조링(21)과 복원스프링(15)과 회전 보조링(20)을 차례로 삽입하고, 상기 제 2외통(18)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18a)에 상기 제 1외통(13)의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결합부(13b)를 결합시켜 상기 제 2외통(18)과 제 1외통(13)을 조립 완료한다.
다음으로 삽지식 홀더(14)에 형성된 관통구멍(14b)에 후단에서 선단부쪽으로 상기 제 1외통(13)을 끝까지 끼워 넣어 그 선단부의 나사 결합부(13a)가 상기 삽지식 홀더(14)의 선단부로 돌출되게 조립하고, 상기 돌출된 나사결합부(13a)에 홀더 스토퍼(19)를 나사결합하여 본 발명의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홀더를 갖는 삽지식 필기구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삽지식 필기구의 작동상태를 보면, 후단의 노크캡(17)을 누르게 되면, 노크캠(16) 및 회전 보조링(21)에 의한 캠동작을 통해 복원스프링(15)에 힘이 전달되고, 따라서 회전 보조링(20) 및 제 1외통(13)의 지지에 의해 복원스프링(15)이 압축되면서 그와 동시에 펜촉지지부재(12)는 제 1외통(13)의 내부를 통해 그 선단쪽으로 미끄러져 도 3a와 같이 삽지식 홀더(14)의 선단으로 돌출된다.
상기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후단의 노크캡(17)을 누르게 되면, 상기 캠구조와 복원스프링(15) 및 회전 보조링(20, 21)에 의해 복원스프링(15)이 원위치되면서 그와 동시에 펜촉지지부재(12)는 제 1외통(13)의 내부를 통해 그 후단쪽으로 미끄러져 도 3b와 같이 삽지식 홀더(14)의 안쪽으로 몰입된다.
반대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분해 동작은 상기한 조립동작과 반대의 순서를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캠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노크캡과 측면 캠스위치에의해 각각 출몰되도록 구성되는 캠구조, 또는 측면 캠 스위치만으로 출몰되도록 구성되는 캠구조, 또는 회전 캠에 의해 출몰되도록 구성되는 캠구조에 의한 설치/조립/분해동작은 일반적으로 필기구에 탑재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출몰되는 펜촉지지부재(12)를 갖는 본 발명의 삽지식 필기구는 크기 변화가 가능한 손가락 삽입홈에 의해 손가락 굵기에 관계없이 손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손톱보호는 물론 장시간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지지돌기에 의해 손가락이나 주머니의 깃을 적당하게 눌러줄 수 있게 되므로 착용시나 휴대시 분실의 염려없이 용이하게 필기구를 사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출몰 가능한 펜촉지지부재에 의해 손가락에 필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른 수작업을 병행하는 중에도 필기구 선단의 펜촉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되므로 필기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의 상태에 따라 손가락 삽입을 위한 구멍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하여 손톱보호 및 손가락을 눌러주는 것은 물론이며 손가락 굵기에 관계없이 손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강화된 탄성을 갖는 클립부를 형성하여 필기구를 포켓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필기구가 스스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분실의 염려없이 용이하게 필기구를 사용하고 휴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출몰 가능한 펜촉지지부재에 의해 손가락에 필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른 수작업을 병행하는 중에도 필기구 선단의 펜촉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되므로 필기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펜촉부를 구비한 필기체 심과;
    상기 필기체 심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 및 길이를 갖는 몸통의 일측 단부를 개방하여 그 개방단부의 외주면에 캠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 단부에는 상기 필기체 심의 펜촉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끼워지는 펜촉 돌출홀을 형성한 펜촉지지부재와;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 및 길이의 몸통을 구비하여 그 양단을 개방하고, 그 개방단부의 외주면 각각에 홀더 스토퍼 및 제 2외통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를 각각 형성한 제 1외통과;
    상기 제 1외통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관통구멍을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선단에서 상부쪽으로 라운딩되어 후단부쪽으로 연장되는 클립부를 형성하되 상기 라운딩된 클립의 선, 후단부 각각에 손가락 삽입홈 및 지지돌기를 형성한 삽지식 홀더와;
    상기 제 1외통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몸통의 일측 단부를 개방하여 그 내주면에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다른측 단부에는 노크캡 고정을 위한 걸림턱 및 캠장착을 위한 캠결합부를 형성한 제 2외통과;
    상기 제 2외통의 캠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펜촉지지부재의 선단이 상기 제 1외통으로부터 출몰하는 동작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캠조립체와;
    상기 제 1외통과 동일한 반경을 갖고, 상기 캠조립체의 작동시 외부로 돌출된 펜촉지지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외통과 캠조립체 사이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과;
    링형상으로서 상기 제 1외통의 나사결합부에 대응되는 나사결합부를 내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삽지식 홀더에 삽입된 상기 제 1외통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홀더 스토퍼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외통과 제 2외통과의 결합시 상기 제 1외통과 캠 조립체 사이에 삽입되는 복원스프링의 전, 후단에 회전 보조링을 적어도 하나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식 홀더와 제 2외통의 각 결합단부가 서로 대응하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조립체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몰입되는 동작을 후단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후단에 설치되는 노크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조립체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되는 동작을 후단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후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노크캡과;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몰입되는 동작을 측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측면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측면 캠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조립체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몰입되는 동작을 측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외통의 측면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측면 캠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조립체는,
    상기 펜촉지지부재가 돌출/몰입되는 동작을 후단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제 2외통의 후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회전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KR1020030015198A 2003-03-11 2003-03-11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KR20040080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198A KR20040080292A (ko) 2003-03-11 2003-03-11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198A KR20040080292A (ko) 2003-03-11 2003-03-11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292A true KR20040080292A (ko) 2004-09-18

Family

ID=3736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198A KR20040080292A (ko) 2003-03-11 2003-03-11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02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59B1 (ko) * 2012-12-11 2014-08-13 구영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모양 보관장치
KR200477320Y1 (ko) * 2014-03-26 2015-06-01 김용식 필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59B1 (ko) * 2012-12-11 2014-08-13 구영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모양 보관장치
KR200477320Y1 (ko) * 2014-03-26 2015-06-01 김용식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98585A (ja) 筆記具用グリップおよび筆記具用キャップならびに筆記具
KR20140034102A (ko) 인체공학적인 다목적 필기 도구
JP3987711B2 (ja) 筆記用具
EP1539503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KR20040080292A (ko)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CN210132909U (zh) 笔具
JP2008302673A (ja) 筆記具の軸構造
KR20120002781U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JP6445754B2 (ja)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このボールペンチップを利用したボールペン
KR200317736Y1 (ko) 자석이 부착된 클립을 갖는 삽지식 필기구
KR20050028477A (ko)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KR200312410Y1 (ko) 기능성 필기구 홀더
JP2008265126A (ja) 指先で操作できる筆ペン
JP4894755B2 (ja) 保持補助具を備えた筆記具の軸筒
JP2001125723A (ja) 入力ペン
KR200281548Y1 (ko) 필기구 홀더
KR200174278Y1 (ko) 필기구
JP4333324B2 (ja) 軸の連結構造
JP2001180174A (ja) 筆記具の握り部
JP4417177B2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0426596Y1 (ko) 필기구의 보조구
US20070020019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partially resilient end
KR200294779Y1 (ko) 캡 분리가 용이한 필기구
JP6748462B2 (ja) 筆記具
KR200311748Y1 (ko) 손가락 고정대와 변형이 가능한 몸체를 갖는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