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477A -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477A
KR20050028477A KR1020030064745A KR20030064745A KR20050028477A KR 20050028477 A KR20050028477 A KR 20050028477A KR 1020030064745 A KR1020030064745 A KR 1020030064745A KR 20030064745 A KR20030064745 A KR 20030064745A KR 20050028477 A KR20050028477 A KR 20050028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ore member
holder
outer cylinder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전익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펜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펜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펜스토리
Priority to KR102003006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8477A/ko
Publication of KR2005002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4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2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with a deformabl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필기구를 테이블 표면에 접촉시켜 단지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필심부재를 출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펜촉과 잉크통을 갖는 필심부재와; 캠동작에 의해 상기 필심부재를 출몰시키는 캠조립체와; 상기 필심부재와 캠조립체를 몸통 내부에 수용하고, 상 하부에 각각 홀더 결합부와 버튼 결합부를 구비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홀더 결합부에 체결되며,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클립부를 형성한 삽지식 홀더와; 상기 캠 조작용 기어와 걸림턱 및 슬라이딩동작을 위한 스프링 조립 공간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외통의 버튼 결합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하는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하여, 삽지식 필기구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필심부재를 돌출 또는 몰입시켜 필기시 작은 힘만으로도 편리하게 장시간 필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키보드 등을 이용한 다른 수작업 병행시 홀더의 클립기능에 의해 필기구가 손가락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도 펜촉 자체가 자판기 등에 부딛히지 않게 하여 필기구의 수명 연장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Finger pen having a appearing and disappearing nip support means by contacting with a surface of table}
본 발명은 삽지식 홀더를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의 바닥면을 테이블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거나 또는 후방으로 당겨 필심부재를 필기구 선단에서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한 삽지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손에 필기구를 든 상태에서 그와 함께 컴퓨터의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는 동작이 자주 이루어지게 되며, 이 경우는 필기구를 들고 있는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워딩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오자 또는 탈자의 발생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올바른 워딩작업을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는 필기구를 손에서 이탈시킨 후,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고, 필기를 위해 다시 필기구를 집어 드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필기시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편리성을 강조한 다양한 디자인의 필기구 및 그 필기구 홀더가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31772호에는, 필기기능체를 지지하고 필기구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캡; 중공삽입부가 삽입되는 중공부, 손톱보호를 위한 전방개구부, 손가락을 눌러주기 위한 클립, 가운데 손가락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 및 협각으로 형성된 틈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및 필기기능체와 중공삽입부를 갖는 필기구 본체로 이루어지는 삽지식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삽지식 필기구에 의하면, 좌우 어느 손으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장시간 동안 필기하여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립을 이용하여 주머니의 깃 등에 끼워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삽지식 필기구에서는 손톱이 돌출되는 구조의 반원형 전방 개구부, 및 클립에 의해 단순히 필기하는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클립 치수가 다른 필기구 홀더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또한 상기 클립에 의해 필기구를 포켓에 끼워 거치를 하는 형태로서 필기구가 포켓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개인별 신체조건, 특히 손가락 굵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으면서도 섬세한 필기감을 가질 수 있고 또한 포켓에 완전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는 필기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 요구에 부응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01858호에는, 필기구 삽입을 위한 관통공과, 필기구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가락 접촉면을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후단부쪽으로 라운딩되되, 탄성력 부가를 위해 상기 본체부의 손가락 접촉면의 연장선보다 아래쪽에 지지돌기가 위치하도록 라운딩되고 그 종단부의 내측에 지지돌기를 형성한 클립부를 구비한 삽지식 필기구 홀더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삽지식 홀더의 클립부는 그 라운딩 부분 중앙에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손가락을 밀어넣을 수 있는 하트 모양(♡)의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클립부가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손가락 삽입홈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지식 필기구 홀더를 이용하게 되면, 클립부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에 어느 손가락이라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한 상태에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동안 필기하여도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게 하며,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립을 이용하여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삽지식 필기구 홀더는 펜촉부가 항상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손가락에 필기구를 착용한 상태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을 병행하게 될 때, 펜촉부에 돌출된 필심(샤프심이나 볼 등)이 키보드의 다른 부분에 닿거나 또는 부딪치게 되어 볼펜 끝단의 볼이나 연필심이 키보드 등과 부딪치게 될 때 받는 충격으로 인해 이탈되어 버리거나 부러져나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한 원하는 형태의 워딩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필기구를 삽지한 상태에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다른 작업(예를 들면 워드 작업 등)을 병행하게 될 때 필기구의 선단에 미세하게 장착된 펜촉(볼 또는 연필심 등)이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원할한 필기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필기구의 펜촉지지부재와 펜촉부가 함께 출몰할 수 있는 삽지식 필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삽지식 필기구의 바닥면을 테이블 표면에 단지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필심부재가 필기구 선단에서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삽지식 필기구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필심부재를 돌출시켜 필기시 작은 힘만으로도 편리하게 장시간 필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삽지식 필기구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필심부재를 몰입시켜 키보드 등을 이용한 다른 수작업 병행시 홀더의 클립기능에 의해 필기구가 손가락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도 펜촉 자체가 자판기 등에 부딛히지 않게 하여 필기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펜촉과 잉크통을 갖는 필심부재와; 캠동작에 의해 상기 필심부재를 출몰시키는 캠조립체와; 상기 필심부재와 캠조립체를 몸통 내부에 수용하고, 상 하부에 각각 홀더 결합부와 버튼 결합부를 구비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홀더 결합부에 체결되며,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클립부를 형성한 삽지식 홀더와; 상기 캠 조작용 기어와 걸림턱 및 슬라이딩동작을 위한 스프링 조립 공간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외통의 버튼 결합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를 알 수 있는 분해사시도로서, 필심부재의 출몰동작이 캠 조립체의 캠판 및 그 하부의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현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삽지식 필기구는 펜촉과 잉크통을 구비한 필심부재(42)와, 상기 필심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41)과, 상기 필심부재에 결합되어 그 필심부재의 출몰을 캠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하는 캠조립체(43-49)와, 상기 필심부재와 캠조립체를 몸통 내부에 수용하는 외통(20,30)과, 상기 외통의 상부에 체결되는 삽지식 홀더(10)와, 상기 외통의 하부에 필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체결되는 슬라이드 버튼(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의 선단에 체결되는 외통(20)과 필기구의 후단에 쳬결되는 외통(30)으로 각각 구성된다. 특히 선단 외통(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필심 출몰구(21) 및 후단 외통과의 결합을 위한 후단 결합부(22)를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하고, 상부 외주면에 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홀더 결합부(23)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단 외통(30)은 상기 선단 외통을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선단 결합부(31)를 구비하고 상부 외주면에 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홀더 결합부(33)를 형성하며 상면의 소정 위치에 자석(31)을 탑재하고 상기 필심부재 및 캠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마련한다. 그리고 몸체의 하부 일부를 개방하여 버튼 결합부(35)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 선단 외통의 후단 결합부(22) 및 후단 외통의 선단 결합부(32)는 그 내경을 필심 부재의 출몰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 외통(20,30)의 양 측면 각각에는 홀더에 삽지된 손가락에 이웃하는 손가락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측면홈(24,34)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삽지식 홀더(10)는 상기 두 외통(20,30)의 홀더 결합부(23,33)에 체결되며, 몸체의 선단에서 상부쪽으로 라운딩되어 후단부쪽으로 연장되는 클립부(12)를 갖는다. 상기 클립부(12)는 필기구의 몸체쪽으로 탄력이 작용되어 삽지된 손가락을 눌러주는 구조로서 그 선단부에 손가락 삽입홈(11)을 형성하여 후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손가락 삽입홈은 상기 클립부가 몸체와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손가락 삽입홈의 반경이 달라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립부의 후단부에는 지지돌기를 형성한 후 그 지지돌기에 자석(14)을 탑재하여 상기 후단 외통의 자석(31)에 대응되어 작용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손가락 삽입홈에 손가락을 자유롭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끼워진 손가락을 지지돌기가 적당하게 눌러주어 양옆의 지지손가락 없이도 홀더가 손가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클립부의 자석을 이용하여 책갈피나 주머니 깃에 견고하게 끼워 휴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12)는 그 종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갖도록 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작은 힘에 의해서도 손쉽게 탄력적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원위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종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폭을 갖도록 하여 탄력을 증대시키는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후단 외통의 상면 편평한 부분과 일직선이 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연장선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클립부의 종단부는 그 연장선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라운딩시킴으로써 상기 클립부의 탄성을 더욱 강화시켜, 상기 물리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삽입된 손가락 또는 포켓의 깃을 보다 더 잘 눌러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슬라이드 버튼(50)은 테이블 표면에 접촉되었을 때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의 마찰력이 큰 재질로 구성되고,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을 상기 필심부재의 출몰 동작을 위해 캠 조립체로 전달하는 캠 조작용 평기어(50a)와, 캠판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48), 및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스프링 조립 공간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으며, 필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후단 외통(30)의 버튼 결합부(35)에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캠 조립체는 복원스프링(41)과 필심 지지부재(43)와 캠 커버(44)와 캠판(45)과 회전기어(46) 및 지지스프링(49) 등으로 구성한다.
상기 복원스프링(41)은 상기 필심지지부재에 압입된 필심부재의 선단에 끼워지며, 상기 캠판과 각 기어에 의한 캠동작시 외부로 돌출된 필심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필심 지지부재(43)는 몸체에 중공홈을 형성하여 필심부재(42)를 압입시켜 구성하고, 외주면 중 하부의 일부를 평면으로 형성하여 그 평면상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향 돌기(43a)를 설치한다.
상기 캠 커버(44)는 상기 필심지지부재에 압입된 필심부재의 후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주면 중 하부의 일부를 평면으로 형성하여 그 평면상에 상기 회전기어에 대응하는 평기어(44a)를 형성한다.
상기 캠판(45)은 상기 하향 돌기가 안내되어 움직일 수 있는 안내 레일(45a)을 상면에 형성하고 후단에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내부에 수용된 기어에 대응하는 회전 기어(46)를 구비하고 스프링 지지를 위한 걸림턱(47)을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버튼 내부의 스프링 조립 공간에서 필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지지스프링(49)은 필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압축/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캠판(45)과 슬라이드 버튼(50)의 각 걸림턱(47,48)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돌기(47a,48a)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에서 필심부재가 몰입된 상태와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3a와 도 3b의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관계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지식 필기구의 조립동작을 보면, 먼저 선단 외통(20)과 후단 외통(30)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홀더 결합부(23,33)에 삽지식 홀더(10)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그들의 결합부(22,32)를 통해 두 외통(20,30)을 하나로 체결하여 삽지식 홀더를 갖는 삽지식 필기구의 하우징을 조립한다.
이와 병행하여 필심 지지부재(43)에 필심부재(42)를 압입한 후 상기 필심부재(42)의 선단에는 복원스프링(41)을 끼워넣고, 필심부재(42)의 후단에는 캠 커버(44)를 끼워넣어 필심 지지부재(43)에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버튼(50)과 캠판(45)의 각 걸림턱(47,48)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 돌기(47a,48a)에 지지스프링(49)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아울러 슬라이드 버튼(50)의 내부에 수용된 평기어(50a)와 상기 캠판(45) 후단의 회전기어(46)의 위치를 맞추어 상기 캠판(45)을 슬라이드 버튼(50)의 내부 공간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복원스프링(41)과 필심 지지부재(43) 및 캠 커버(44)가 조립된 필심 부재(42)를 상기 후단 외통(30)의 개방 부위에서 각 외통(20,30)의 결합부(22,32)를 통해 밀어 넣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필심 부재(42) 후단에 결합된 캠커버(44) 하부의 평기어(44a)를 상기 캠판(45)의 회전기어(46)에 맞추고, 상기 필심 지지부재(43)의 하부에 돌출된 하향돌기(43a)가 상기 캠판(45) 상면의 안내 레일(45a)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필심부재(42)와 캠판(45)과 슬라이드 버튼(50)을 조립한다.
이후 상기 필심부재(42)의 펜촉부위가 선단 외통(20)의 필심 출몰구(21)까지 이르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심부재(42)를 상기 후단 외통(30)의 개방 단부를 통해 하우징 조립체쪽으로 밀어 넣으면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50)을 상기 후단 외통(30)의 버튼 결합부(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버튼(50)의 작용에 의해 필심 부재가 출몰될 수 있는 삽지식 필기구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도 3a 및 도 4a와 같이 필심 부재(42)가 필기구 내부로 몰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필기구의 삽지식 홀더(10)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11)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필기구의 하부를 테이블 표면에 접촉시켜 필기구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필기구의 하부에 체결된 슬라이드 버튼(50)의 재질 특성상 발생되는 테이블 표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50)이 필기구의 후방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드 버튼(50)의 내부에 수용된 평기어(50a) 상에서 캠판(45) 후단의 회전기어(4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동시에 슬라이드 버튼(50)의 걸림턱(48)이 캠판(45)의 걸림턱(47)쪽으로 지지스프링(49)을 밀게 되어 지지스프링(49)이 압축되고, 그에 따라 도 2의 부분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a위치에 있던 상기 필심 지지부재(43)의 하향 돌기(43a)가 캠판(45)의 안내레일(45a)을 따라 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심 지지부재(43)에 설치된 하향 돌기(43a)는 도 2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모양의 안내레일 뿐만 아니라 도면과 같이 곡선을 이루는 안내레일(45a)을 따라서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캠동작을 통해 필심부재(42)가 필기구의 선단으로 밀리면서 필심부재(42)의 선단에 끼워진 복원스프링(41)에 힘이 전달되고, 후단 외통(30)의 지지에 의해 복원스프링(41)이 압축되면서 그와 동시에 필심부재(42)는 선단 외통(20)의 내부를 통해 미끄러져 필심 출몰구(21)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b 및 도 4b와 같이 외부에서 계속해서 힘이 가해져 지지스프링(49)이 최대로 압축되는 상태 즉, 슬라이드 버튼(50)이 후방쪽으로 끝까지 밀리는 상태에까지 이르게 되면 도 2의 부분 상세도와 같이 상기 캠판(45)의 안내레일(45a) 상의 하향 돌기(43a)가 c위치에 이르면서 고정되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되고, 따라서 필심 부재(42)는 도 3b 및 도 4b와 같이 선단 외통(20)의 필심 출몰구(21)쪽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필기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도 3b 및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필기구의 하부를 테이블 표면에 접촉시켜 필기구를 전방으로 살짝 밀게 되면, 슬라이드 버튼(50)이 필기구의 후방으로 약간 밀리면서 그와 함께 도 2의 부분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위치에 고정되어 있던 상기 필심 지지부재(43)의 하향 돌기(43a)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그에 따라 복원 스프링(41)의 복원력이 필심지지부재(43)에 작용하게 되어 필심 지지부재(43)를 후방쪽으로 밀어주고, 동시에 캠판(45) 하부의 지지스프링(49)이 슬라이드 버튼(50)의 걸림턱(48)을 필기구 전방쪽으로 밀게 되면서 하향 돌기(43a)가 캠판(45)의 안내레일(45a)을 따라 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고 동시에 슬라이드 버튼(50)의 내부에 수용된 평기어(50a) 상에서 캠판(45) 후단의 회전기어(4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버튼(50)이 원위치되어 상기 필심 지지부재(43)에 설치된 하향 돌기(43a)는 다시 a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캠동작에 의해 필기구의 선단에 돌출되어 있던 필심부재(42)가 선단 외통(20)의 내부로 미끄러져 필심 출몰구(21) 안쪽으로 몰입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필기구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하지 않고 단지 테이블 표면에 접촉시켜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필심 부재가 출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기시에는 삽지식 홀더의 선단부로 필심부재가 돌출되어 삽지식 홀더의 이점인 작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장시간 필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삽지식 필기구를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한 다른 수작업을 병행할 경우 삽지식 홀더의 클립기능에 의해 필기구가 손가락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도 외부 키보드나 기타 다른 부위에 부딪치는 결점을 해소하여 필기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지식 필기구에서 필심부재가 몰입된 상태와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3a와 도 3b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삽지식 홀더 11 : 손가락 삽입홈 12 : 클립부
14,31 : 자석 20,30 : 외통 21 : 필심 출몰구
22,32 : 외통 결합부 23,33 : 홀더 결합부 24,34 : 측면 홈
35 : 버튼 결합부 41 : 복원 스프링 42 : 필심부재
43 : 필심 지지부재 43a : 하향 돌기 44 : 캠커버
44a,50a : 평기어 45 : 캠판 45a : 안내 레일
46 : 회전기어 47,48 : 걸림턱 47a,48a : 스프링 고정돌기
49 : 지지 스프링 50 : 슬라이드 버튼

Claims (3)

  1. 펜촉과 잉크통을 갖는 필심부재와;
    캠동작에 의해 상기 필심부재를 출몰시키는 캠조립체와;
    상기 필심부재와 캠조립체를 몸통 내부에 수용하고, 상 하부에 각각 홀더 결합부와 버튼 결합부를 구비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홀더 결합부에 체결되며,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클립부를 형성한 삽지식 홀더와;
    상기 캠 조작용 기어와 걸림턱 및 슬라이딩동작을 위한 스프링 조립 공간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외통의 버튼 결합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기 필심부재가 출몰될 수 있는 내경의 필심 출몰구를 선단에 구비하고 후단 외통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형성하며 상부 외주면에 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홀더 결합부를 형성한 선단 외통과;
    상기 선단 외통을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부 외주면에 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홀더 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필심부재 및 캠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마련한 후단 외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조립체는,
    몸체에 중공홈을 형성하여 필심부재를 압입시키고, 외주면 중 하부의 일부를 평면으로 형성하여 그 평면상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향 돌기를 설치한 필심지지부재와;
    상기 필심지지부재에 압입된 필심부재의 후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주면 중 하부의 일부를 평면으로 형성하여 그 평면상에 상기 회전기어에 대응하는 평기어를 형성한 캠 커버와;
    상기 하향 돌기가 안내되어 움직일 수 있는 안내 레일을 상면에 형성하고 후단에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내부에 수용된 기어에 대응하는 회전 기어를 구비하고 스프링 지지를 위한 걸림턱을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버튼 내부의 스프링 조립 공간에서 필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캠판과;
    필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압축/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캠판과 슬라이드 버튼의 각 걸림턱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필심지지부재에 압입된 필심부재의 선단에 끼워지며, 상기 캠판과 각 기어에 의한 캠동작시 외부로 돌출된 필심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KR1020030064745A 2003-09-18 2003-09-18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KR20050028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745A KR20050028477A (ko) 2003-09-18 2003-09-18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745A KR20050028477A (ko) 2003-09-18 2003-09-18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477A true KR20050028477A (ko) 2005-03-23

Family

ID=3738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745A KR20050028477A (ko) 2003-09-18 2003-09-18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84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83B1 (ko) * 2010-12-10 2013-01-21 주식회사 모리스 필기구
KR101332992B1 (ko) * 2011-09-22 2013-11-25 김대상 손가락끼움부를 갖는 필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83B1 (ko) * 2010-12-10 2013-01-21 주식회사 모리스 필기구
KR101332992B1 (ko) * 2011-09-22 2013-11-25 김대상 손가락끼움부를 갖는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452B1 (ko) 악필교정용 필기구
KR20050028477A (ko) 바닥면 접촉에 의해 필심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JP5065773B2 (ja) 複合筆記具
JP2023054261A (ja) ペン型コンパス
KR100370508B1 (ko) 측면 노크식 복합 필기구
KR20040049440A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JP3014217U (ja) ボールペン
KR200356696Y1 (ko) 전방녹크식 볼펜
KR20110002480U (ko) 펜심 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KR200331545Y1 (ko) 삽지식 필기구 집게
JP2013140421A (ja) 静電型入力ペン
KR101371587B1 (ko) 돌기가 형성된 핑거패드
KR20040080292A (ko) 펜촉지지부재가 출몰되는 삽지식 필기구
KR200312410Y1 (ko) 기능성 필기구 홀더
KR200249674Y1 (ko) 측면 노크식 복합 필기구
JPH04221700A (ja) ノック式筆記具
KR19980016485U (ko) 볼펜
JPH10329484A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KR20070021358A (ko)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
JP2013171300A (ja) 静電型入力ペン
KR200294779Y1 (ko) 캡 분리가 용이한 필기구
JP3053878U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
JP3189357U (ja) 静電型入力ペン
JP2004358725A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KR910000014Y1 (ko) 축통체선단부 출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