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314Y1 -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 Google Patents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314Y1
KR200463314Y1 KR2020110003172U KR20110003172U KR200463314Y1 KR 200463314 Y1 KR200463314 Y1 KR 200463314Y1 KR 2020110003172 U KR2020110003172 U KR 2020110003172U KR 20110003172 U KR20110003172 U KR 20110003172U KR 200463314 Y1 KR200463314 Y1 KR 200463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writing
handicapped
groov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302U (ko
Inventor
서진영
Original Assignee
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영 filed Critical 서진영
Priority to KR2020110003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31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3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4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ssisting handicapped or disabled persons to wr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5/00Supports for attachment to hands or arms for facilitating writing or drawing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 또는 손이 절단된 장애우가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는 판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홈; 상기 홈에 삽입되어 홈 내부에서 회전하는 볼; 상기 몸체 전방에 설치되어 필기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Writing device for hand-handicapped people}
본 고안은 손가락 또는 손이 절단된 장애우가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여러 가지 사고에 의해 다양한 장애를 입거나, 출생 당시부터 여러 가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장애우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여러 가지 다양한 장애 중에서 손가락이 절단되거나 손목이 절단된 손 장애우는 자신의 이름조차 쓸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손 장애우를 위해 필기구를 구비하여 손가락 또는 손목이 절단된 팔 단부에 삽입하여 필기를 할 수 있는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가 일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는 사용하는 장애우의 손가락 또는 팔의 크기 등과 같이 장애우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고가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는 사용할 때는 필기도구를 손가락 또는 팔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잠시 쉬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를 벗겨내야하는 등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신체조건과 장애부위가 각기 다른 모든 손 장애우가 같이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는 판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홈; 상기 홈에 삽입되어 홈 내부에서 회전하는 볼; 상기 몸체 전방에 설치되어 필기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홈의 내부에는 볼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홈이 구비된 고정구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실리콘 또는 스펀지로 성형된 받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은 몸체의 무게중심선으로부터 몸체의 전방 고정장치 방향으로 편심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는 신체조건과 장애부위가 각가 다른 모든 손 장애우가 사용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손 장애우가 필기도구를 사용하기가 매우 간편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의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필기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필기도구를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필기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필기도구를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측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100)는 크게 몸체(101)와, 연필 등의 필기구를 상기 몸체(101)에 고정하는 고정장치(11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1)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홈(102)에는 구 형태의 볼(104)이 삽입된다. 상기 볼(104)은 몸체(101) 하부의 홈(102)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 1과 같이 볼(104)이 삽입되는 홈(102)의 내부에는 볼 베어링(103)을 구성함으로써 볼(104)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01)의 전방에는 필기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장치(11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도 1과 같이 몸체(101)의 전방에 삽입구(112)가 구비된 고정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11)의 측면에 천공된 홈(113)에 고정나사(114)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장치(110)의 삽입구(112)에 연필, 볼펜, 싸인펜 등의 필기구를 삽입하고 홈(113)에 고정나사(114)를 체결하면 고정나사(114)의 단부가 삽입구(112) 내부의 필기구를 압착함으로써 필기구가 삽입구(112)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몸체(101) 하부의 볼(104)을 중심으로 볼(104)의 후방이 지면과 접촉하고 몸체(101) 전방의 필기구는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104)이 몸체(101)의 무게중심축으로부터 상측 즉, 필기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10) 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됨으로써 도 3과 같이 볼(104)을 중심으로 후방이 무겁기 때문에 몸체(101)의 후방이 지면과 접촉하고 필기구는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 장애우가 필기를 하기 위하여 손가락 또는 팔을 몸체(101)의 상부에 형성된 받침부(105)(볼(104)과 고정장치(110) 사이의 받침부(105))에 올리면 필기도구(100)가 볼(10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몸체(101) 전방의 필기구가 지면(종이)에 접촉하게 되고 몸체(101)의 후방이 들어 올려지며 이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팔을 움직여서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게 된다.
필기를 하는 상태에서는 몸체(101)를 지지하는 볼(104)이 홈(102)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기 때문에 저항감이나 힘을 들이지 않고 자유롭게 필기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1) 상부에 형성되어 장애우의 손가락 또는 팔이 올려지는 받침부(105)는 실리콘 또는 스폰지 등의 쿠션이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받침부(105)의 표면은 직물로 감싸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한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필기도구
101 : 몸체
102 : 홈
103 : 베어링
104 : 볼
105 : 받침부
110 : 고정장치
111 : 고정구
112 : 삽입구
113 : 홈
114 : 고정나사

Claims (5)

  1. 판 형태의 몸체(101);
    상기 몸체(101)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홈(102);
    상기 홈(102)에 삽입되어 홈(102) 내부에서 회전하는 볼(104);
    상기 몸체(101) 전방에 설치되어 필기구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102)의 내부에는 볼(104)을 지지하는 베어링(10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10)는 삽입구(112)가 형성되고 측면에 홈(113)이 구비된 고정구(111)와, 상기 홈(113)에 삽입되는 고정나사(1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의 상부에는 실리콘 또는 스펀지로 성형된 받침부(10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104)은 몸체(101)의 무게중심선으로부터 몸체(101)의 전방 고정장치(110) 방향으로 편심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KR2020110003172U 2011-04-14 2011-04-14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KR200463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72U KR200463314Y1 (ko) 2011-04-14 2011-04-14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72U KR200463314Y1 (ko) 2011-04-14 2011-04-14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02U KR20120007302U (ko) 2012-10-24
KR200463314Y1 true KR200463314Y1 (ko) 2012-11-05

Family

ID=4751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172U KR200463314Y1 (ko) 2011-04-14 2011-04-14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3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59B1 (ko) 2012-12-11 2014-08-13 구영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모양 보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545Y1 (ko) 2003-06-30 2003-11-01 주식회사 펜스토리 삽지식 필기구 집게
JP2005046332A (ja) 2003-07-28 2005-02-24 Katsue Suzuki 指用補助具
KR200426595Y1 (ko) 2006-07-06 2006-09-13 현 덕 신 손가락의 보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545Y1 (ko) 2003-06-30 2003-11-01 주식회사 펜스토리 삽지식 필기구 집게
JP2005046332A (ja) 2003-07-28 2005-02-24 Katsue Suzuki 指用補助具
KR200426595Y1 (ko) 2006-07-06 2006-09-13 현 덕 신 손가락의 보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59B1 (ko) 2012-12-11 2014-08-13 구영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모양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02U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851B1 (en) Computer mouse that prevents or treats carpal tunnel syndrome and methods of use
DE602005009188D1 (de) Kopfstütze
KR200463314Y1 (ko)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US20070069096A1 (en) Ergonomic laterally-pitched PC-mouse w/magnetic-cling & retrofit-kit
KR20110117774A (ko) 필기구 파지장치
CN214727758U (zh) 一种握姿矫正装置
JP3157670U (ja) 薬剤塗布用器具
CN204767151U (zh) 一种拉力器
KR200422116Y1 (ko) 바른 글쓰기를 위한 연필손잡이
KR200463448Y1 (ko) 필기보조기구
CN2328527Y (zh) 书写矫正器
KR200368914Y1 (ko) 필기보조기구
KR200181343Y1 (ko) 마우스 사용자용 팔받침대
CN203969934U (zh) 一种可供趴桌休息的枕头
CN214803122U (zh) 一种用于支撑手臂的托架
KR200454344Y1 (ko) 그리기 및 메모를 위한 보드를 갖는 어린이용 침대
CN201867773U (zh) 一种用于鼠标的支撑结构
CN201452169U (zh) 预防近视的桌面装置
CN203250281U (zh) 鼠标辅助使用装置
JP2013223642A (ja) シップ貼り具
CN205468051U (zh) 一种具有护指功能的笔
CN200991105Y (zh) 一种嵌夹结构的持筷工具
CN202399691U (zh) 一种适合残疾人用脚写字的笔
TW200924680A (en) Chopsticks structure
CN202262612U (zh) 一种腕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