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774A - 필기구 파지장치 - Google Patents
필기구 파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7774A KR20110117774A KR1020100037177A KR20100037177A KR20110117774A KR 20110117774 A KR20110117774 A KR 20110117774A KR 1020100037177 A KR1020100037177 A KR 1020100037177A KR 20100037177 A KR20100037177 A KR 20100037177A KR 20110117774 A KR20110117774 A KR 201101177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riting instrument
- contact member
- user
- writing
- hold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4—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ssisting handicapped or disabled persons to wri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2—Finger, hand or arm sup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기구를 파지할 수 있게 한 필기구 파지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필기구 파지장치는 필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용부와,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서로의 측면이 마주하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안내부들을 포함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수용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재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접촉부재 및 제2접촉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필기구를 잘 파지하지 못하는 사용자와,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장애인, 어린이 및 유아가 필기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기구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필, 볼펜 등의 필기구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한 필기구 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필기구들은 사용자가 임의로 잡고 필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양호한 파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그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사용자마다 파지상태를 각기 달리할 수 밖에 없으며, 필기구의 파지가 불량할 경우에는 그 만큼 양호한 필기감을 갖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필기구의 파지자세가 처음에 잘못 길들여진 아이들은 고치기가 매우 힘든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성장하면서 필기구를 처음 가지고 노는 아이들의 경우 최초 필기구를 올바르게 잡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별도의 기구가 없었기 때문에 인지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은 부모들이 계속적으로 교정해주어야 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장애인은 필기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기구를 파지할 수 있게 한 필기구 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파지장치는, 필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용부와,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서로의 측면이 마주하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안내부들을 포함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수용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재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접촉부재 및 제2접촉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파지장치는 필기구를 잘 파지하지 못하는 사용자와,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장애인, 어린이 및 유아가 필기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필기구 파지장치는 필기를 장시간 해야하는 수험생이나, 필기를 장시간 하게 되면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 사용자들이 필기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장치(100)는, 몸체부재(110)와, 제1접촉부재(120)와, 제2접촉부재(130)를 포함한다.
몸체부재(110)는 수용부(111)와, 두 개의 안내부(112,113)들을 포함한다. 수용부(111)는 필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안내부(112,113)들은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서로의 측면이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는 수용부(111)를 중심으로 몸체부재(11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 의 형상은 아크(arc)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에 접촉되는 경우,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가 손가락의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기구 파지장치(100)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는 몸체부재(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는 연성이 우수한 소재일 수 있다.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의 소재일 일예로 실리콘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가 탈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제조된 제1접촉부재(120) 및 제2접촉부재(13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접촉부재(120)가 사용자의 엄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접촉부재(130)가 중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접촉부재(120)와 제2접촉부재(130)를 서로 바꿔서 몸체부재(110)에 결합시켜서 오른손 잡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필기구 파지장치(100)에 필기구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필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필기구가 몸체부재(110)의 수용부(111)에 수용되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검지를 안내부(112,113)들 사이에 넣고, 엄지는 제1접촉부재(120)에 접촉되게 하고, 중지는 제2접촉부재(130)에 접촉되게 한다. 여기서, 제1접촉부재(120)와 제2접촉부재(130)를 몸체부재(110)로부터 특정 각도 회전시켜서 엄지와 중지가 안정적으로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필기구 파지장치(100)는 오른손 잡이 사용자뿐만 아니라 왼손 잡이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재(110)의 재질의 일예로 실리콘 일 수 있다. 실리콘은 탄성력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필기구 파지장치(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필기구 파지장치(100)는 필기구를 잘 파지하지 못하는 사용자와,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장애인, 어린이 및 유아가 필기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필기구 파지장치(100)는 필기를 장시간 해야하는 수험생이나, 필기를 장시간 하게 되면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 사용자들이 필기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필기구 파지장치(100)는 지지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몸체부재(110)의 일측으로부터 안내부(112,113)를 중심으로 수용부(111)의 반대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사용자가 필기구를 필기구 파지장치(100)에 결합시키고, 필기구 파지장치(100)를 자신의 손가락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지지부재(140)의 자유단은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필기구 파지장치(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지부재(140)의 자유단에는 거치홀(14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기구 파지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벽의 못 또는 걸이 등에 필기구 파지장치(100)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필기부 파지장치는 탄성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유닛(150)은 수용부(111) 내에 필기구가 수용된 상태에서, 필기구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유닛(150)의 일예로, 이동부(151)와, 스프링(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51)는 수용부(111) 내에서 필기구가 수용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152)은 이동부(151)와 수용부(111)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부(151)가 필기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탄성유닛(150)에 의해 필기구가 필기구 파지장치(100)의 몸체부재(110)의 수용부(111)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필기구 파지장치 110: 몸체부재
111: 수용부 112,113: 안내부
120: 제1접촉부재 130: 제2접촉부재
140: 지지부재 150: 탄성유닛
151: 접촉부
152: 스프링
111: 수용부 112,113: 안내부
120: 제1접촉부재 130: 제2접촉부재
140: 지지부재 150: 탄성유닛
151: 접촉부
152: 스프링
Claims (3)
- 필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용부와,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서로의 측면이 마주하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안내부들을 포함하는 몸체부재; 및
상기 수용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재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접촉부재 및 제2접촉부재;
를 포함하는 필기구 파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안내부를 중심으로 상기 수용부의 반대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기구 파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 필기구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필기구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도록 형성된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7177A KR20110117774A (ko) | 2010-04-22 | 2010-04-22 | 필기구 파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7177A KR20110117774A (ko) | 2010-04-22 | 2010-04-22 | 필기구 파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7774A true KR20110117774A (ko) | 2011-10-28 |
Family
ID=4503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7177A KR20110117774A (ko) | 2010-04-22 | 2010-04-22 | 필기구 파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1777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9359B1 (ko) * | 2012-12-11 | 2014-08-13 | 구영순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모양 보관장치 |
KR101698531B1 (ko) * | 2016-03-08 | 2017-01-20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양극 산화 장치 |
KR200495787Y1 (ko) * | 2021-08-09 | 2022-08-18 | 박연길 | 필기 보조기구 |
-
2010
- 2010-04-22 KR KR1020100037177A patent/KR201101177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9359B1 (ko) * | 2012-12-11 | 2014-08-13 | 구영순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모양 보관장치 |
KR101698531B1 (ko) * | 2016-03-08 | 2017-01-20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양극 산화 장치 |
KR200495787Y1 (ko) * | 2021-08-09 | 2022-08-18 | 박연길 | 필기 보조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17774A (ko) | 필기구 파지장치 | |
JP5713384B2 (ja) | 飲食用具 | |
JP3181162U (ja) | おたすけボール | |
JP2662184B2 (ja) | 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練習具 | |
TW201544360A (zh) | 筆具握持結構 | |
KR200422116Y1 (ko) | 바른 글쓰기를 위한 연필손잡이 | |
KR101159301B1 (ko) | 필기연습 도구 | |
JP3017630U (ja) | 習字用の握り持ち補助文具 | |
KR200368914Y1 (ko) | 필기보조기구 | |
JP2001260592A (ja) |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 |
JP4717772B2 (ja) |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 |
KR200488563Y1 (ko) | 교정 필기구 | |
JP3126015U (ja) |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 |
US20240108485A1 (en) | Hol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tools and utensils | |
CN209920839U (zh) | 一种握笔器 | |
JP3145437U (ja) | おたすけボール | |
JP2011154274A (ja) | 筆記具 | |
JP3209006U (ja) | おたすけボール | |
KR101977870B1 (ko) |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 |
JP3192321U (ja) | 握り動作訓練・補助具 | |
JP4693523B2 (ja) |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 |
JPH04324479A (ja) | 書き方矯正具 | |
KR200463314Y1 (ko) | 손 장애우용 필기도구 | |
KR20110026646A (ko) | 젓가락 | |
JP2003084662A (ja) | 筆記練習用セ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