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870B1 -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870B1
KR101977870B1 KR1020170034907A KR20170034907A KR101977870B1 KR 101977870 B1 KR101977870 B1 KR 101977870B1 KR 1020170034907 A KR1020170034907 A KR 1020170034907A KR 20170034907 A KR20170034907 A KR 20170034907A KR 101977870 B1 KR101977870 B1 KR 10197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writing
thumb
upper body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507A (ko
Inventor
허원영
Original Assignee
허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원영 filed Critical 허원영
Priority to KR102017003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8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필기구를 끼울 수 있게 통공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단 둘레는 필기구를 파지한 손의 아랫면을 받칠 수 있게 외측으로 확장된 스커트부로 이루어진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체는 상기 통공이 위치된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 아래로 상기 필기구를 파지한 손의 바닥면이 감싸게 되는 중간부와, 그리고 상기 중간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체부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필기구를 잡을 때의 자세 형성을 위해 엄지 및 검지손가락의 안쪽 면이 밀착하면서 상기 손가락의 끝이 모아지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체부, 즉 스커트부의 저면은 필기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매끄러운 소재로 구성하거나 매끄러운 재질의 부재를 부착하여 제공한다.

Description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AUXILIARY CORRECTION DEVICE FOR HOLDING A WRITING ARTICLE CORRECTLY}
본 발명은 필기구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이나 볼펜 등의 각종 필기구를 잡는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만든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를 처음 사용하게 되는 5~6세의 유아기 때 필기구를 잡는 자세가 습관화되고, 필기구의 사용이 본격화되는 초등학교 과정에서 그 자세가 몸에 익숙하게 된다. 이 시기에 필기구를 바르게 잡는 방법에 대한 부모들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잘못된 자세가 초기에 습관화되면 나중에는 쉽게 고쳐지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본인의 노력이 필요하고 필기구의 정확한 파지 자세를 반복적으로 교정해 주어야 한다.
올바른 필기구 파지 자세는 엄지와 중지 사이에 필기구의 하단부를 위치시킨 후 검지로 필기구를 잡아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약 6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필기구를 처음 접하게 되는 유아들은 손가락에 힘이 없어서 필기구를 자연스럽게 잡지 못하고, 그로 인하여 글씨를 쓰는데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지 자세를 교정해 주기 위한 교정용 연필손잡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116호)나 필기자세 교정기구(등록특허공보 제10-0710979호) 등의 필기구 바로잡기용 교정수단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보통 손가락의 위치만을 교정해주는데 그칠 뿐, 바른 글씨체나 그림의 구현에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필기구 사용이 자연스러운 중고등학생이나 성인들의 경우 주로 손목을 움직여 필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리게 되는데 반해, 필기구를 처음 접하는 취학 전 아동들이나 그나마 다소 익숙해진 초등학교 저학년들만 하더라도 손목을 사용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는 거의 대다수가 팔 전체를 움직여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리게 된다. 특히, 필기구를 잡은지 얼마되지 않는 유아들이나 저학년 아이들이 손을 지면에 대고 안정된 자세로 글을 쓰기란 결코 쉽지 않으므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직선이던 곡선이던 간에 대체로 구불구불하게 표현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따라서 올바른 글씨체나 그림 그리기를 익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연필이나 볼펜 등의 각종 필기구를 잡는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올바른 글씨체나 그림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만든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필기구를 끼울 수 있게 통공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단 둘레는 필기구를 파지한 손의 아랫면을 받칠 수 있게 외측으로 확장된 스커트부로 이루어진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가 제안된다.
상기 구성에서 본체는 상기 통공이 위치된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 아래로 상기 필기구를 파지한 손의 바닥면이 감싸게 되는 중간부와, 그리고 상기 중간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체부로 구성되되, 상기 하체부는 상기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부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필기구를 잡을 때의 자세 형성을 위해 엄지 및 검지손가락의 안쪽 면이 밀착하면서 상기 손가락의 끝이 모아지도록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체부는 상기 통공의 전방 하부에 필기구를 지지할 수 있게 소정 각도의 오목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는 일측에 중지와 약지, 그리고 새끼손가락이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의 주름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체부, 즉 상기 스커트부의 저면은 필기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매끄러운 소재로 구성하거나 매끄러운 재질의 부재를 부착하여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특징들로부터 본 발명의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는 연필이나 볼펜 등의 각종 필기구를 잡는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기구 잡은 손의 하단이 보다 안정적이면서 필기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도 용이하여 직선이나 곡선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본 발명이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면서, 종속 청구항들, 첨부 도면 및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측면상태에서 필기구를 끼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걸쳐 동일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측면상태에서 필기구를 끼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필기구(P; 도 6 및 7 참조)를 끼울 수 있도록 통공(113)이 형성된 본체(100)를 가지며, 상기 본체(100)의 하단 둘레는 필기구(P)를 파지한 손의 아랫면을 받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스커트부(130; 이하의 ‘하체부’에 해당)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본체(100)는 필기구(P)를 끼우기 위한 상기 통공(113)이 형성된 상체부(110)와, 상기 상체부(110)의 아래로 상기 필기구(P)를 파지한 손의 바닥면이 감싸게 되는 중간부(120)와, 그리고 상기 중간부(12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체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체부(130)는 상술한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체부(110)는 정면 중앙에, 바람직하게는 필기구가 끼워지는 상기 통공(113)의 전방 하부에 상기 필기구(P)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의 경사면(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체부(110)는 중간부(120)에 비해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필기구(P)를 잡을 때의 바람직한 자세 형성을 위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각 안쪽 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엄지 및 검지손가락의 끝이 서로 모아지도록 유도하게 되는 소정 형태의 돌출된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114)은 필기구(P)의 안정된 자세 유지를 위해 대체로 오목한 골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상체부(110)는 상기 경사면(114)의 골을 중심으로 좌·우측이 검지 및 엄지손가락의 각 안쪽 면이 밀착되는 파지부(111)(112)로 구획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부호들 ‘111a’ 및 ‘112a’는 필기구가 끼워지는 통공(113)을 중심으로 상기 상체부(110)로부터 상향 연장된 각각의 ‘돌기부’들로서, 이들 각각은 설계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부(120)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상체부(110)를 감싼 상태에서 안정된 필기구 잡는 자세 유지를 위해, 그 일측에 중지와 약지, 그리고 새끼손가락이 각각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의 복수의 주름부(121)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체부(130), 즉 스커트부(130)의 저면은 필기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보다 매끄러운 소재로 구성하거나, 아니면 소정의 매끄러운 재질의 부재를 부착하여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는 연필이나 볼펜 등의 각종 필기구를 잡는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기구 잡은 손의 하단이 보다 안정적이면서 필기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도 용이하여 직선이나 곡선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의 제1 변형례 및 제2 변형례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변형례들은 통공(113)에 필기구가 끼워진 상태로 본 발명의 보조기구를 파지할 때 필기구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의 정확한 파지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8b에 따르면, 오목한 골 형태의 경사면(114)의 좌·우측에 형성된 파지부(111)(112)들은 이들 각 측면 또는 전(前) 측면에 엄지 및 검지손가락의 서로 대응하는 안쪽 면들이 안착 또는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오목홈(111b)(112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9b에 따르면, 오목한 골 형태의 경사면(114)의 좌·우측에 형성된 파지부(111)(112)들은 이들 각 측면 또는 후(後) 측면에 엄지 및 검지손가락의 서로 대응하는 안쪽 면들이 안착 또는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오목홈(111b')(112b')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8 및 9에 따르면, 필기구가 끼워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를 파지하고자 할 때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정확한 파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필기구(P)를 잡을 때의 바람직한 자세 형성이 보다 수월하게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동일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물의 많은 변화,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상체부
111,112 : 파지부
111a,112a : 돌기부
111b,112b,111b',112b' : 오목홈
113 : 통공
114 : 경사면
120 : 중간부
130 : 하체부(스커트부)
P : 필기구

Claims (5)

  1.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필기구를 끼울 수 있게 통공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단 둘레에 필기구를 파지한 손의 아랫면을 받칠 수 있게 외측으로 확장된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통공이 위치된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 아래로 상기 필기구를 파지한 손의 바닥면이 감싸게 되는 중간부와, 그리고 상기 중간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체부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필기구를 잡을 때의 자세 형성을 위해 엄지 및 검지손가락의 안쪽 면이 밀착하면서 상기 손가락의 끝이 모아지도록 상기 중간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상체부는 상기 통공의 전방 하부에 필기구를 지지할 수 있게 소정 각도의 오목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의 좌,우측이 상기 엄지 및 검지손가락의 안쪽 면이 밀착되는 파지부로 구획되고, 상기 중간부는 둘레 일측에 중지와 약지, 그리고 새끼손가락이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의 주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는 상기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좌,우측에 위치된 파지부들은 각 측면에 상기 엄지 및 검지손가락의 서로 대응하는 안쪽 면들이 안착 또는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 즉 상기 스커트부의 저면은 필기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매끄러운 소재로 구성하거나 매끄러운 재질의 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5. 삭제
KR1020170034907A 2017-03-20 2017-03-20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KR10197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07A KR101977870B1 (ko) 2017-03-20 2017-03-20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07A KR101977870B1 (ko) 2017-03-20 2017-03-20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07A KR20180106507A (ko) 2018-10-01
KR101977870B1 true KR101977870B1 (ko) 2019-05-13

Family

ID=6387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907A KR101977870B1 (ko) 2017-03-20 2017-03-20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8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80Y1 (ko) * 2005-05-13 2005-08-17 주식회사 영우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2794U (ko) * 1987-02-20 1988-08-30
US5037224A (en) * 1989-04-17 1991-08-06 Wright Christine A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stabilizing an imp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80Y1 (ko) * 2005-05-13 2005-08-17 주식회사 영우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07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6710A (en) Apparatus for aiding in learning correct penmanship
US3972628A (en) Writing instrument support
JP3151079U (ja) 握り姿勢矯正用ペン
KR101977870B1 (ko)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JP2662184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練習具
KR20110117774A (ko) 필기구 파지장치
KR200488563Y1 (ko) 교정 필기구
KR200422116Y1 (ko) 바른 글쓰기를 위한 연필손잡이
JP3628684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JP4717772B2 (ja)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JP2502327Y2 (ja) 筆記具並びに箸の持ち方練習具
JP3017630U (ja) 習字用の握り持ち補助文具
KR200406177Y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JPH04324479A (ja) 書き方矯正具
JP4693523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JP3756903B2 (ja) 持ち方矯正箸および箸の持ち方矯正補助具
JPH0641263Y2 (ja) 筆記具並びに箸の持ち方練習具
KR102130399B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JP2662185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練習具
JP3706623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JP4693622B2 (ja) 持ち方矯正具
KR100597338B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JP2502328Y2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JPS5817506Y2 (ja) 箸の持ち方矯正具
JP2004181685A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