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914Y1 - 필기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필기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914Y1
KR200368914Y1 KR20-2004-0026409U KR20040026409U KR200368914Y1 KR 200368914 Y1 KR200368914 Y1 KR 200368914Y1 KR 20040026409 U KR20040026409 U KR 20040026409U KR 200368914 Y1 KR200368914 Y1 KR 200368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thumb
finger
contact
index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희
Original Assignee
안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희 filed Critical 안성희
Priority to KR20-2004-0026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필기구를 잡는 주요 세손가락 즉, 엄지, 검지, 중지의 파지부문을 인체공학적으로 필기보조기구를 형상화하여 가장 최적한 집필자세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필기구를 바르게 파지함으로서 정확한 필기자세를 유지하고 필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형상은 전체적으로는 삼각기둥의 형태로서, 이는 정상적인 파지법이 엄지, 검지, 중지의 세손가락 접점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므로 이를 그대로 옮겨 필기보조기구에 적용한 것으로서 별도의 추가적인 부품을 배제하여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보조기구에 대한 이질감을 최대한 없애고 자연스러운 친밀감을 갖도록 하였다.
즉, 도 1, 2에서 처럼 세손가락의 파지모양에 따른 굴곡형상을 토대로 하여 형성되어진 엄지밀착부(11) 및 검지밀착부(12)에 각각 마련한 타원형의 엄지관통부(21) 및 검지관통부(22)에 엄지 및 검지가 자연스럽게 밀착됨으로서 삽입된 필기구본체의 촉감을 최대한 느낄 수 있으며, 또한 도 5, 6에서 처럼 엄지 및 검지의 하방으로의 힘작용을 지지하는 역할의 중지밀착부(13)를 형성하여 최적의 파지 조건을 구성하므로서 정확하고 올바른 집필법을 최대한 유지, 숙지 시킬 수 있고 또한 잘못된 파지로 인한 악필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기보조기구{Writing Supporter}
본 고안은 필기도구에 장착하는 필기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필기구 파지시의 주요 세손가락 부분 즉 엄지, 검지 ,중지의 삼각형태의 집필형상을 인체공학적으로 그대로 옮겨 형상화시켜 적용하므로서 올바른 파지조건을 최적화하여 세 손가락 부위별로 자연스럽게 밀착시키므로서 필기구에 대한 친밀도를 유지시켜 어릴때 부터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통해 올바른 집필능력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집필 교정에 대한 기존의 필기보조기구는 여러개의 보조적인 부품을 결합하여 사용하다보니 유아에 있어서는 사용이 어려워 친밀도가 저하되었으며 또한 실용으로서의 단순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중 특히, 올바른 파지법의 주요 대상자가 어린이임을 감안하여 필기구의 탈부착이 쉽고 별도의 복잡한 장치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세 손가락의 접점을 형상화한 최적의 파지법을 통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올바른 파지법을 숙지할 수 있는 필기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필기구가 장착된 필기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필기구가 장착된 필기보조기구의 파지모습
도 3은 필기구가 장착된 필기보조기구의 엄지밀착부 정면도
도 4는 필기구가 장착된 필기보조기구의 검지밀착부 정면도
도 5는 필기구가 장착된 필기보조기구의 중지밀착부 정면도
도 6은 필기구가 장착된 필기보조기구의 정면도
도 7은 필기구가 장착된 필기보조기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필기구삽입 관통부
11 : 엄지밀착부
12 : 검지밀착부
13 : 중지밀착부
21 : 엄지관통부
22 : 검지관통부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필기보조기구는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엄지, 검지 중지의 세손가락을 이용한 필기구 파지에 있어서 최적의 파지 환경조건을 유지해주는 필기구삽입부(10), 엄지밀착부(11), 검지밀착부(12), 중지밀착부(13), 타원형의 엄지관통부(21) 및 검지관통부(22)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기둥의 형상으로서 적용재질은 손가락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편안한 필기감을 유지할 수 있는 탄성있는 부드러운 고무제품 또는 실리콘 등이 적합하고 각 부위는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 형상의 입체감 있는 굴곡의 곡면을 형성하여 집필시에는 실제의 파지자세와 거의 동일한 최적의 파지환경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엄지밀착부(11)와 검지밀착부(12)에는 각각 타원형의 엄지관통부(21)와 검지관통부(22)를 별도로 형성하여 필기구삽입 관통부(10)와 상호연결 관통시켜 필기자가 필기구 자체를 직접 접촉하여 파지함으로써 필기도구와 일체감을 조성하여 친밀감을 갖도록 하여 향후 필기보조기구의 사용없이도 올바른 파지법을 빨리 숙지하도록 최적의 파지환경 조건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필기보조기구의 파지모습이다. 가장 이상적인 파지법은 필기구의 물체에 엄지와 검지를 맞닿게 잡고 중지는 엄지와 검지를 받쳐서 지지하는 삼각형태를 이루며 필기구는 지면으로 부터 60도 각도가 최적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 최적의 조건을 기초로 하여 필기구 파지시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파지모습을 세 손가락의 굴곡형상에 따라 동일하게 구현하여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직으로 설계되어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엄지밀착부(11) 및 엄지관통부(21)를 표현한 것이다. 필기구 파지시 괼요한 주요 세 손가락중 엄지가 타 손가락에 비해 크고 힘의 작용이 크다 할 것이므로 엄지 접촉부위를 넓은곡면 형상으로 처리하여 안정감을 가짐과 동시에 필기구와 접촉 되어지는 엄지 지문부위는 필기구삽입 관통부(10)와 서로 연결될 타원형의 엄지관통부(21)를 형성시켜 필기도구와의 밀착을 극대화 하므로서 바른파지법의 숙련후에도 필기감각을 잊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검지밀착부(12) 및 검지관통부(22)를 표현한 것이다. 검지밀착부(12)는 엄지밀착부(11)보다는 밀착부위를 조금 작게 곡면을 형성토록 하여 검지 파지부분을 안정감있게 하였다. 또한 검지밀착부(12)도 검지의 지문부위에 필기구삽입 관통부(10)와 서로 연결될 타원형의 검지관통부(22)를 형성하여 필기구와의 밀착을 최대화 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지밀착부(13)를 표현한 것이다. 엄지와 검지의 필기구 파지시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중지의 손톱 옆부위가 힘을 지지하고 감싸는 역할을 하므로 이를 기본으로하여 중지파지 부분은 사선방향으로 골짜기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하여 힘의 지지대 역할을 충분히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올바른 파지법이 필요로 하는 누구나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상태로 고안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필기구 파지시의 주요 세손가락의 형태를 인체공학적으로 형상화하여 구성되어져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없는 일체형으로 고안되어 제조시에 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치 않을때는 필기구 끝부분까지 끌어 내림으로써 필기구의 심을 보호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으며, 또한 파지법이 손가락 삽입방식이 아닌 접촉방식로 구성되어 사용이 간편하므로 올바른 파지법이 필요한 아동과 악필의 성인에게는 필기교정의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겠다.

Claims (3)

  1. 필기구의 탈부착이 가능한 필기보조 기구에 있어 엄지, 검지, 중지의 파지모습을 형상화한 본 고안은 삼각기둥의 형태로서, 필기구가 장착되는 필기구 삽입관통부(10), 엄지와 접촉되어지는 엄지밀착부(11), 검지와 접촉되어지는 검지밀착부(12), 중지와 접촉되어지는 중지밀착부(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체형의 필기보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엄지밀착부(11), 검지밀착부(12), 중지밀착부(13)의 형상은 각 손가락 부위별의 정확한 파지모습을 그대로 옮겨 적용한 것으로서 각 부위는 높낮이가 있는 입체적인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필기보조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엄지밀착부(11)와 검지밀착부(12)에는 각각 타원형의 엄지관통부(21)와 검지관통부(22)를 형성하여 필기구삽입 관통부(10)와 서로 연결되게 구성함으로서 필기구 본체와의 밀착을 최대화 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필기보조 기구.
KR20-2004-0026409U 2004-09-10 2004-09-10 필기보조기구 KR200368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409U KR200368914Y1 (ko) 2004-09-10 2004-09-10 필기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409U KR200368914Y1 (ko) 2004-09-10 2004-09-10 필기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914Y1 true KR200368914Y1 (ko) 2004-12-03

Family

ID=4944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409U KR200368914Y1 (ko) 2004-09-10 2004-09-10 필기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9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217B1 (ko) * 2014-04-16 2014-12-19 시혜원 손가락 자세를 교정하는 필기구
KR20160083491A (ko) * 2014-12-31 2016-07-1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사무용 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217B1 (ko) * 2014-04-16 2014-12-19 시혜원 손가락 자세를 교정하는 필기구
KR20160083491A (ko) * 2014-12-31 2016-07-1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사무용 칼
KR101663391B1 (ko) * 2014-12-31 2016-10-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사무용 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1026B2 (en) Device for teaching proper penmanship technique
KR200368914Y1 (ko) 필기보조기구
JP2006263462A (ja) 指動作補助具、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被把握体、棒状道具の持ち方練習具
JP3181162U (ja) おたすけボール
KR20110117774A (ko) 필기구 파지장치
JP2662184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練習具
JP2002293092A (ja) 筆記具保持具
KR100841943B1 (ko) 집필 교정구
JP3145437U (ja) おたすけボール
JP4693523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JP2502327Y2 (ja) 筆記具並びに箸の持ち方練習具
JP2009083359A (ja) 筆記具保持用補助具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JPH0641263Y2 (ja) 筆記具並びに箸の持ち方練習具
KR200399092Y1 (ko) 필기자세교정장치
KR200345870Y1 (ko)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JP2001180174A (ja) 筆記具の握り部
KR200248284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유아용 마우스
JP4717772B2 (ja)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JP2000203188A (ja) 筆記補助具
JPS5812188Y2 (ja) 持ち方教習用はし
JP2019217126A (ja) スプーン及び筆記具の補助具
KR200406177Y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JP3209006U (ja) おたすけボール
JP3756903B2 (ja) 持ち方矯正箸および箸の持ち方矯正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