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70Y1 -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70Y1
KR200345870Y1 KR20-2003-0039233U KR20030039233U KR200345870Y1 KR 200345870 Y1 KR200345870 Y1 KR 200345870Y1 KR 20030039233 U KR20030039233 U KR 20030039233U KR 200345870 Y1 KR200345870 Y1 KR 200345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ans
writing
body portion
writing instrument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도
Original Assignee
김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도 filed Critical 김남도
Priority to KR20-2003-0039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필기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필기구(10)에 삽입고정하여 필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위치한 탄성 재질의 고정수단(210, 220, 230)으로서,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는 제 1 고정수단(210), 검지가 삽입되는 제 2 고정수단(220), 장지가 삽입되는 제 3 고정수단(230)이 각각 60도의 각을 지며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각 고정수단(210, 220, 230)의 형상은 종방향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고정수단(230)의 종축 직경은 다른 2개의 고정 수단(210, 22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보조기구의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가 필기구(10)에 결합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종방향의 크랙(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의 일 상단에는 상기 몸체부(100)를 조여 필기구(10)에 결합력을 강화하기위한 나사식 조임 수단(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는 잘못된 필기구 파지로 인한 유아의 필기 방식을 바로잡기 위해 유아의 손가락을 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필기학습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필기구 파지법을 보다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WRITING AID APPARATUS FOR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용 필기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유아의 손가락을 필기구에 고정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복수의 고정수단 이 구비되어 유아의 필기 습관을 교정하는 착탈 가능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이 부모는 유아의 학습과정에서 유아가 글을 읽는 것에 대한 능력을 학습시킴과 아울러 유아의 글쓰기 능력도 함께 배양한다. 보통 유아 또는 어린이가 연필 등의 필기구를 손에 잡고 필기를 배우는 때는 보통 4세 내지 6세 사이이다. 그런데, 부모의 과잉 학습으로 필기구를 손에 잡는 것이 버거운 4세 이하의 유아에게 필기구를 잡게 한다면 분명 그 나이의 유아는 손에 필기구가 제대로 잡히지도 않아 필기구를 움켜쥐어야할 것이다.
이런 연유로, 생각 외의 유아들이 필기구를 움켜쥐는 것에 먼저 익숙해져 차후 제대로 필기 학습을 시작할 때 이미 필기구를 움켜쥐는 상태의 잘못된 필기 습관을 상당한 시간동안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잘못된 필기 습관을 올바른 필기방식으로 교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부모 또는 교사의 노력이 들게 되고, 더불어 유아들 스스로 학습에 재미를 놓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한다.
기존 대한민국에 실용신안 등으로 출원, 등록된 필기보조구는 주로 성인 대상으로서 필기 속도 상승이나 필기의 안락감을 위주로 한 보조구가 많았을 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드물고 그 형상 또한 어린이들에게 친숙함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 또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바른 필기구를 잡는 법을 유도하고자하여 필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한 필기보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어린이의 손가락에 삽입이 가능한 복수의 고정수단 을 제공하여 이를 손가락에 삽입함으로써 바른 필기구 파지의 교정법을 제공하며 이러한고정수단 사용의 편의성을 더불어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의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부 210: 제 1 고정수단
110: 크랙 220: 제 2 고정 수단
120: 조임 수단 230: 제 3 고정 수단
130: 연결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는 필기구(10)에 삽입 고정하여 필기구(10)에 탈부착이 가능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위치한 고정수단 (210, 220, 230)으로서, 엄지가 삽입되는 제 1고정수단 (210), 검지가 삽입되는 제 2고정수단 (220), 장지가 삽입되는 제 3고정수단 (230)이 각각 60도의 각을 지며 위치하고 있고, 각 고정수단 (210, 220, 230)의 형상은 종방향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고정수단 (230)의 종축 직경은 다른 2개의 고정수단 (210, 22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필기 보조기구의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가 필기구(10)에 결합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종방향의 크랙(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00)의 일 상단에는 상기 몸체부(100)를 조여 필기구(10)에 결합력을 강화하기위한 나사식 조임 수단(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고정수단 (210, 220, 230)이 상기 몸체부(100)에서 분리되어 상기 고정수단 (210, 220, 230)과 상기 몸체부(100)를 그 사이에 위치한 3mm 내지 8mm의 연결부(130)로 인해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기구는 크게 제 1고정수단 (210), 제 2고정수단 (220), 제 3고정수단 (230) 및 이러한 고정수단 들(210, 220, 230)이 부착된 몸체부(1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 1고정수단 (210)은 엄지 손가락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된다. 다시 말해, 엄지 손가락은 다른 손가락에 비하여 두껍기 때문에 그 굵기에 알맞은 직경으로 구성되어 손가락에 삽입고정될 수가 있다. 또한, 제 2고정수단(220)은 잡게 손가락에 삽입고정이 되며 제 3고정수단 (230)은 장지 손가락에 고정이 된다.
이러한 고정수단 (210, 220, 230)의 구성은 마치 귀 속의 세반고리관과 유사한 형상을 가져 몸체부(100)에 연결되어 각각 해당되는 손가락을 지탱하게 되며, 이러한 지탱의 효과로 인해 필기구(10)에 위치하는 어린이의 손가락이 교정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바른 자세에 의하여 필기구(10)를 파지하는 손가락을 위치를 살펴보면, 장지는 필기구(10)를 하방에서 받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엄지 및 검지는 대략 60도의 각도로 필기구(10)의 상부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엄지와 검지는 손가락의 끝마디가 가볍게 서로 붙게 되며 장지는 장지의 측부가 필기구(10)를 떠받치는 형태를 띠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정수단 (210, 220, 230)도 이러한 형태를 고려하여야한다.
따라서, 각각의 고정수단 (210, 220, 230)은 몸체부(100)에 타원형상을 띠면서 연결되는데 서로 대략 60도의 각으로 몸체부(100)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에 따라 그 각과 손가락의 위치가 조금씩 다르므로 탄성력이 있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 (210, 220, 230)의 직경은 유아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제작되는 것이 좋으며, 고무밴드보다 약간 두껍고 폭이 넓게 제작되는 것이 손가락이 빠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타원형상의 고정수단(210, 220, 230)은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캐릭터 모양을 모사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토끼 형상 또는 곰 머리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외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착안한다면, 토끼의 귀뿐 아니라 다른 동물의 귀 형상과 유사하게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가 있다. 도 1에서는 제 1고정수단(210)과 제 2고정수단(220)이 곰 머리의 형상을 가진 것을 알 수가 있다. 제 3 고정수단(230)은 장지를 필기구에 고정시키는 역할이 중요하므로 굳이 동물 형상으로 만들지 않고 통상의 링 형상으로 제작해도 무방하다.
각각의 고정수단(210, 220, 230)이 위치되는 몸체부(100)는 일반 필기구(10)에 삽입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고무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몸체부(100)의 일측에 종단으로 크랙(110)을 형성하여 몸체부(100)가 필기구(1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크랙(110)을 구비한 몸체부(100)는 일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고, 이를 필기구(10)에 삽입고정한 다음 필기구(10)에 원활한 안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몸체부(100)를 조이는 조임수단(120)을 구비할 수가 있다( 도 3 참조). 예를 들어, 조임수단(120)은 나사식으로 몸체부의 일 상단에 제공이 되어 이를 조임으로서 몸체부(100)가 조여지는 방식이 가능하다.
몸체부(100)는 필기구(10)에 착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만일 연필과 같은 필기구를 예로 들면, 연필의 길이가 짧아 질 때 그 길이에 알맞은 적당한 위치로 밀어 넣는 등의 이동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를 일반 필기구(10)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손가락은 본 고안의 기구가 요망하는 정 위치로 위치하여 필기구(10) 상에 놓여지게 되며 고무 소재로 된 고정수단(210, 220, 230)의 탄성력으로 손가락에 끼워 삽입고정 될 수 있고 손가락의 일부 유동이 가능해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끼지 않을 수가 있다. 이러한 자세로 유아가 필기구(10)를 사용하게 되면, 유아는 이 상태를 기억하게 되어 시행착오 없이 올바른 필기구 사용의 교정이 가능하며, 캐릭터 또는 동물 모양의 제 1 및 제 2 고정수단(210, 220)으로 흥미를 가질 수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보조기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몸체부(10)상단에 위치한 각각의 고정수단(210, 220, 230)은 대략 60도의 각을 가지며 위치하고 있고, 장지가 다른 손가락보다 길기 때문에 제 3의 고정수단(230)의 종축 직경이 다른 고정수단(210, 220)보다 약간 더 크며, 엄지가 다른 손가락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제 1고정수단(210)이 다른 고정수단보다 직경이 더 크다.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크랙(110)이 형성되어 몸체부(100)가 필기구(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근방에 조임 수단(120)이 위치하여 몸체부(100) 및 크랙(100)을 조여 필기구(10)에 확실한 고정력을 제공한다. 크랙(110)은 몸체부(100)의 일 종단을 완전히 갈라 놓은 구조로 형성이 되어 도 3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몸체부(100)를 위에서 바라보면 C 형상과 유사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보조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알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각각의 고정수단(210, 220, 230)은 몸체부(100)와 분리되어 그 사이에 연결부(13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몸체부(100)에서 8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8mm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좋은데, 너무 연결부(100)가 길면 손가락을 고정수단(210, 220, 230)에 삽입하기 어렵고 손가락에 고정이 힘들기 때문이다.
고정수단(210, 220, 230)의 위치와 크기, 직경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고정수단(210, 220, 230)이 몸체부(1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됨으로 고정수단(210, 220, 230)을 손가락에 삽입하였을 때 그 탄성력에 의해 압박을 받는 정도가 덜하게 된다. 즉, 손가락에 고정수단(210, 220, 230)을 삽입하였을 때 고정수단 (210, 220, 230)의 자국이 손가락에 남는 것이 본 변형예를 통해 감소가 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210, 220, 230)이 손가락에서 쉽사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사용자의 손에 이물감을 주지 않도록 연질의 고무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210, 220, 23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보다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제 3고정수단(230)은 장지의 위치에 따른 삽입 특성으로 타원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수단(210, 220, 23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고리 모양의링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제 1 및 제 2 고정 수단(210, 220) 역시 동물 형상 또는 캐릭터 형상을 모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아래의 도 5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에 크랙(110)과 조임수단(120)을 추가로 제공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변형예의 원리 및 구성은 도 3에서 제공된 일 실시예의 원리와 같이, 몸체부(100)에 종방향으로 갈라진 크랙(110)과 일 상단부에 위치하는 나사식 조임수단(120)이 제공된다. 이러한 변형예를 일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연결대(130)와 고정수단(210, 220, 230)의 다양한 구조와 형상으로 다른 변형이 가능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는 잘못된 필기구 파지로 인한 유아의 필기 방식을 바로잡기 위해 유아의 손가락을 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필기학습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필기구 파지법을 보다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필기구에 고정삽입을 보조하는 조임 수단과 크랙을 제공하여본 고안의 필기 보조기구가 필기구에 보다 원활하게 삽입되고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법과 손가락의 편의를 도모하여 사용자가 손이 불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수단 의 형상이 토끼 귀 또는 곰 머리 등의 동물 형상 또는 캐릭터 형상과 유사하여 어린이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필기구(10)에 삽입고정하여 필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위치한 탄성 재질의 고정수단(210, 220, 230)으로서,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는 제 1고정수단(210), 검지가 삽입되는 제 2고정수단(220), 장지가 삽입되는 제 3고정수단(230)이 각각 60도의 각을 지며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각 고정수단(210, 220, 230)의 형상은 종방향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고정수단(230)의 종축 직경은 다른 2개의 고정수단(210, 22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가 필기구(10)에 결합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종방향의 크랙(1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 상단에는 상기 몸체부(100)를 조여 필기구(10)에 결합력을 강화하기위한 나사식 조임 수단(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0, 220, 230)이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고정수단(210, 220, 230)과 상기 몸체부(100)를 그 사이에 위치한 3mm 내지 8mm의 연결부(130)로 인해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수단(210, 220)은 동물 머리 또는 캐릭터 모양을 가진 종방향의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KR20-2003-0039233U 2003-12-17 2003-12-17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KR200345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33U KR200345870Y1 (ko) 2003-12-17 2003-12-17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33U KR200345870Y1 (ko) 2003-12-17 2003-12-17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70Y1 true KR200345870Y1 (ko) 2004-03-22

Family

ID=4942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33U KR200345870Y1 (ko) 2003-12-17 2003-12-17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979B1 (ko) * 2006-02-28 2007-04-24 김순일 필기 자세 교정 기구
KR101658823B1 (ko) * 2015-07-29 2016-09-27 김진환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0495787Y1 (ko) 2021-08-09 2022-08-18 박연길 필기 보조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979B1 (ko) * 2006-02-28 2007-04-24 김순일 필기 자세 교정 기구
KR101658823B1 (ko) * 2015-07-29 2016-09-27 김진환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0495787Y1 (ko) 2021-08-09 2022-08-18 박연길 필기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6547A (en) Writing aid and method of teaching using the writing aid
US20060174448A1 (en) Pen-holding posture corrective apparatus
KR200345870Y1 (ko)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JP2006263462A (ja) 指動作補助具、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被把握体、棒状道具の持ち方練習具
JPH10228234A (ja) 持ち方練習用箸
JP2000203188A (ja) 筆記補助具
JP4693523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JP2662184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練習具
JP2863718B2 (ja) 箸の持ち方練習具
CN218127997U (zh) 一种训练筷
KR200406177Y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JP2502327Y2 (ja) 筆記具並びに箸の持ち方練習具
JPH0298500A (ja) 筆記具掴み方矯正具
CN217347290U (zh) 一种握笔训练装置及笔
CN210881425U (zh) 一种通用型握笔矫正器
KR200178233Y1 (ko) 필기구 파지 교정구
CN220576924U (zh) 一种毛笔书法握笔矫正器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CN213261726U (zh) 握笔器、握笔矫正装置及笔
JP3108532U (ja) 箸の使い方練習用箸
CN218127998U (zh) 一种筷子
KR200368914Y1 (ko) 필기보조기구
JP3145437U (ja) おたすけボール
KR200399092Y1 (ko) 필기자세교정장치
JP4717772B2 (ja)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