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680Y1 -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680Y1
KR200392680Y1 KR20-2005-0013554U KR20050013554U KR200392680Y1 KR 200392680 Y1 KR200392680 Y1 KR 200392680Y1 KR 20050013554 U KR20050013554 U KR 20050013554U KR 200392680 Y1 KR200392680 Y1 KR 200392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riting instrument
body portion
finger
posture corr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미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20-2005-0013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6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필기구를 손에 쥐었을때 자연스럽도록 형태를 갖추어 엄지,검지 및 중지 손가락뿐만 아니라 필기구를 쥐는 손의 전체적인 모양을 올바르게 잡아주어 잘못된 파지자세로 인한 글씨체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도록 도와주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교정구는 필기구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관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일측에 엄지와 검지손가락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제1,제2만곡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타측에 중지손가락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제3만곡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일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엄지와 검지의 교차를 방지하며 외관의 효과를 높이는 제1교정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타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약지와 새끼손가락의 부적절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2교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Corrector for Grip on writing tool}
본 고안은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를 파지하는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자세교정뿐만 아니라 약지와 새끼손가락의 자세까지 교정하여 필기자세를 배우거나 자세교정을 하려는 사용자의 필기자세를 손쉽게 바로 잡을 수 있는 파지자세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5~6세의 어린아이때 부터 필기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익힌 필기구 파지자세가 습관화되어 초등교육을 받는 과정쯤이면 이미 그 자세가 익숙하게 된다. 이 시기에 필기구를 올바르게 잡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면 평생 바른 글씨를 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파지법에 의해 손가락이 휘거나 몸의 자세가 틀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잘못된 습관은 한번 몸에 베이면 쉽게 고쳐지지 않으므로 본인의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다양한 파지자세 교정구가 고안되어 있었으나, 그 고안들은 필기구를 쥘 때 자연스럽지 못하므로 필기감을 저해하거나, 각 손가락의 교정위치를 임의로 옮겨잡을 수 있어 올바른 위치에 자리잡게 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엄지,검지 및 중지의 위치를 잡아준다 하더라도 약지와 새끼손가락의 위치를 사용자의 임의로 외측으로 펴거나 내측으로 완전히 구부리는 등 부절적한 이탈로 인해 오히려 자세가 더욱 나빠질 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기구를 손에 쥐었을때 자연스럽도록 형태를 갖추어 엄지,검지 및 중지 손가락뿐만 아니라 필기구를 쥐는 손의 전체적인 모양을 올바르게 잡아주어 잘못된 파지자세로 인한 글씨체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도록 도와주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는 필기구의 외측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일측에 엄지와 검지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제1 및 제2만곡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타측에 중지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제3만곡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일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엄지와 검지의 교차를 방지하며 외관의 효과를 높이는 제1교정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타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약지와 새끼손가락의 부적절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2교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교정부에는 캐릭터등이 도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교정부의 외측형상은 상기 제2교정부를 감싸쥘 때 손바닥과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제2교정부의 하단중앙에 본체부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제1교정부 및 제2교정부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탄성소재는 토르마린이나 아로마향 또는 문구용품에 첨가되는 인공향들 중 하나 이상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의 실시예로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a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1b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홈이 형성 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에 캐릭터가 삽입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a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관통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일측에서 연장형성된 제1교정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타측에서 연장형성 된 제2교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의 내측 중앙은 필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14)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은 엄지와 검지손가락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손가락의 접촉면이 본체부의 종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제1만곡부(11)와 제2만곡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만곡부(11,12)의 배면부에는 필기구를 받치는 중지손가락의 방향을 고려하여 접촉면이 본체부의 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제3만곡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교정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일측에서 제1,2만곡부(11,12)방향으로 하향연장형성되며, 엄지와 검지손가락의 윗부분을 자연스럽게 덮을 수 있는 각도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제1교정부(20)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21)는 외주연이 둥근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간부(21)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등을 삽입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교정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타측에서 약 35~50°정도로 비스듬히 연장형성되는데 45°정도가 가장 바람직하고, 외측형상은 필기구를 쥐었을 때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손잡이형태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2교정부(30)는 상기 제3만곡부(13)와 곡선형태로 자연스럽게 이어져 중지손가락을 안정감 있게 감싸준다.
또한, 상기 제2교정부(30)의 하단중앙에는 상기 본체부(10)방향으로 홈(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홈(31)의 내부직경과 깊이는 상기 제2교정부(3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패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은 본 고안이 제품으로 생산될 때 제조원가절감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 제1교정부(20) 및 제2교정부(30)는 그 소재가 탄성을 가진 신축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되며, 소재에는 토르마린, 아로마향 또는 인공향 등이 첨가 된다.
상기 탄성소재에 첨가되는 토르마린(Tourmaline)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영구적인 전기 특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서, 원적외선 방사효과, 음이온의 발생, 탈취효과, 향균효과, 온열작용 등 많은 효과를 가진 물질이다.
원적외선은 몸의 심층부까지 침투하여 세포를 뜨겁게 해주고, 혈액 이동을 좋게 해주며, 생체조직활성화, 면역력 증대, 신진대사를 원활히 유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토르말린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100%에 가깝고, 다른 어떤 광물보다도 높은 치수를 보이며, 특히 원적외선은 피하 40~50mm까지 침투하여 몸 내부로부터 방사되어 온천욕 느낌은 물론 피로회복, 혈액순환의 촉진, 면역력 증대, 생체조직 활성화, 피부탄력 유지, 냉증, 신경통, 근육통, 어깨 결림, 요통 등에 도움이 된다.
특히, 요즘 일반인들은 식생활에서 육식을 많이 하면서 몸은 산성화되고 건강에 문제가 생고 있는 실정에서, 토르마린의 음이온에 의하여 몸을 알카리성으로 바꾸면 혈액중 나트륨이나 칼슘의 이온화 양이 증가되고 산성화 되어 있는 혈액을 약 알카리성으로 바꾸어 준다. 또한, 음이온의 작용은 세포의 활성화, 저항력 증진, 혈액정화, 그리고 자율신경에 영향을 주어교감신경의 흥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사람의 피부 중 전기저항이 낮은 모공으로 들어오는 음이온은 세포를 활성화하고 피로회복, 근육통, 신경통, 혈액장애불면증, 만성변비, 내장질환, 성인병,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
토르마린은 상기와 같은 여러 특성 때문에 현재 섬유, 식품, 인테리어, 잡화, 수처리, 건축.주택분야, 의료, 축.수산 등 일상생활을 통한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탄성소재에 첨가되는 아로마향 역시 현재 실생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소재로서, 향의 종류에 따라 식품·화장품·제약·의료 등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아로마는 인간의 환경과 생활에 변화를 줄 뿐 아니라 질병 치료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감기나 우울증 및 스트레스 등 현대인이 걸리기 쉬운 질병에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아로마의 이 같은 치료 효과는 의학적 실험으로도 검증이 계속 되고 있어 단순한 대체 요법의 차원을 넘어 현대인들의 생활에 자리잡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및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는 본체부(10)의 관통공(14)에 연필을 일정길이만큼 삽입하여 사용한다.
사용자는 본체부(10)의 제1,2만곡부(11,12)에 엄지와 검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중지손가락을 받치지 않더라도 제1교정부(20)에 의해 교정구는 손가락에 안정감있게 걸친 상태가 되며, 제3만곡부(13)에 중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기본적인 파지자세가 설정된다.
중지손가락은 제3만곡부(13)와 제2교정부(30)의 연결부위에 안착하게 되므로 받침역할을 하는데 더욱 용이하게 된다. 엄지,검지 및 중지 손가락이 제 위치에 놓여지면, 약지와 새끼손가락은 자연스럽게 제2교정부(30)를 감싸쥐는 상태가 되고 교정구는 더욱 안정감을 갖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필기구를 지면에서 45~55°정도의 각도로 세워서 글씨를 쓰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는 필기구를 처음 사용하는 아이들이나 유아기때 잘못된 파지자세로 인해 필기구를 올바르게 잡지 못하는 성인등의 자세교정을 잡아주어서 올바른 자세가 습관화 되도록 하는 고안이다. 기존에도 엄지,검지 및 중지손가락의 위치를 설정해서 파지자세를 교정하려한 교정구가 많이 있었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그 위치를 바꿔 사용하기 쉬운탓에 쉽게 고칠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는 제1교정부와 제2교정부를 구비하여 엄지,검지 및 중지 손가락의 위치를 지정해주고 임의로 그 위치를 벗어날 수 없도록 설정해줄 뿐 만아니라, 약지와 새끼손가락의 위치까지 설정해줌으로써 필기구를 파지한 손의 전반적인 자세를 교정해줄 수 있다.
또한, 제1교정부의 공간부에 캐릭터 등이 삽입되어 심미적인 효과가 있고, 교정구소재에 인체에 이로운 성분인 토르마린 또는 아로마향등을 첨가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사용시에도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다.
도1a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1b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홈이 형성 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에 캐릭터가 삽입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0:본체부 11:제1만곡부
12:제2만곡부 13:제3만곡부
14:관통공 20:제1교정부
21:공간부 30:제2교정부
31:홈

Claims (8)

  1. 필기구의 외측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일측에 엄지와 검지손가락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제1 및 제2만곡부(11,12)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타측에 중지손가락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제3만곡부(13)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일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엄지와 검지의 교차를 방지하며 외관의 효과를 높이는 제1교정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타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약지와 새끼손가락의 부적절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2교정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정부(20)에는 캐릭터등이 도입될 수 있는 공간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정부(30)의 외측형상은 상기 제2교정부(30)를 감싸쥘 때 손바닥과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정부(30)의 하단중앙에 본체부(10)방향으로 홈(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제1교정부(20) 및 제2교정부(3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 토르마린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 아로마향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소재는 문구용품에 허용되는 인공향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KR20-2005-0013554U 2005-05-13 2005-05-13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KR200392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554U KR200392680Y1 (ko) 2005-05-13 2005-05-13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554U KR200392680Y1 (ko) 2005-05-13 2005-05-13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680Y1 true KR200392680Y1 (ko) 2005-08-17

Family

ID=4369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554U KR200392680Y1 (ko) 2005-05-13 2005-05-13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6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507A (ko) * 2017-03-20 2018-10-01 허원영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KR20190000829U (ko) * 2017-09-25 2019-04-03 유지열 자세교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507A (ko) * 2017-03-20 2018-10-01 허원영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KR101977870B1 (ko) * 2017-03-20 2019-05-13 허원영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KR20190000829U (ko) * 2017-09-25 2019-04-03 유지열 자세교정기
KR200491598Y1 (ko) 2017-09-25 2020-05-06 주식회사 지아이엘 자세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999Y1 (ko) 지압용 베개
KR200392680Y1 (ko)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KR200423409Y1 (ko) 건강증진용 베개형 운동구
TWM469907U (zh) 耳穴刺激物
KR100929198B1 (ko) 후두부 양측을 받쳐주어 목경추부 정형이 되는 베개
KR101079832B1 (ko) 교육용 젓가락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US20160287473A1 (en) Acupressure tool, acupressure tool set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arranging same
CN105815975A (zh) 一种保健枕
KR101460043B1 (ko) 기능성 마사지기
JP3175763U (ja) 指圧器
KR100812070B1 (ko) 목침
CN201451424U (zh) 按摩裤
KR200329355Y1 (ko) 다용도 베개
KR20050116591A (ko) 건강 베개
JP2006175146A (ja) 指圧具
KR200341753Y1 (ko) 건강 베개
KR20210001380A (ko)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목침
KR200495936Y1 (ko) 피부 마사지 도구
TWM536515U (zh) 按摩枕靠結構
JP2019097684A (ja) 脊椎ツボ押し器具
JP3130859U (ja) スクレーピング療法用多機能マッサージ器
KR200182986Y1 (ko) "한방 생약제를 내장한, 방향, 허리등받이"
Lee Water up, fire down: an energy principle for creating calmness, clarity, and a lifetime of health
JP3008957U (ja) 磁石配設健康促進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