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63Y1 - 교정 필기구 - Google Patents

교정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63Y1
KR200488563Y1 KR2020170005683U KR20170005683U KR200488563Y1 KR 200488563 Y1 KR200488563 Y1 KR 200488563Y1 KR 2020170005683 U KR2020170005683 U KR 2020170005683U KR 20170005683 U KR20170005683 U KR 20170005683U KR 200488563 Y1 KR200488563 Y1 KR 200488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elete delete
writing instrument
present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filed Critical 김태희
Priority to KR2020170005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는 굴곡된 삼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횡단면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면, 제 2 면 및 제 3 면을 갖는 몸체를 포함하되, 제 1 내지 제 3 면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교정 필기구{WRITING INSTRUMENT FOR CORRECTING HANDWRITING}
본 고안은 교정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와 휴대폰의 보급이 광범위해짐에 따라 과제 또는 보고서를 자필로 작성하거나 편지를 쓰는 일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연필과 같은 필기구의 올바른 필기자세를 습득하지 못한 사용자가 연령층에 관계없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의 올바른 필기 자세는,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사이에 필기구의 하단부를 위치시킨 후, 엄지와 검지로는 필기구를 가볍게 파지하고, 중지로는 필기구를 지지함으로써, 필기구가 지면과 약 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초로 학습을 위해 필기구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어린이가 필기구를 손으로 올바르게 잡기가 매우 어려워서 글자 쓰는 올바른 습관을 배우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청소년이나 일반 성인들은 이미 자신이 글자를 쓰는 필기 습관이 고정되어 있어 쉽게 고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 한국등록특허 제 10-0615954호(고안의 명칭: 필기교정용 필기구 홀더)는 원통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외측에 엄지손가락 및 중지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된 필기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필기구를 파지해야 하는 엄지, 검지 및 중지와 대응되는 위치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필기구 잡는 자세가 자동으로 교정되는 교정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는 굴곡된 삼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횡단면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면, 제 2 면 및 제 3 면을 갖는 몸체를 포함하되, 제 1 내지 제 3 면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할 경우,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필기구를 파지해야 하는 엄지, 검지 및 중지와 대응되는 위치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의식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필기구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몸체의 각 면에 밀림을 방지하는 패드가 구비되어 있어,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도 편안한 그립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필기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는 굴곡된 삼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횡단면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면(11), 제 2 면(12) 및 제 3 면(13)을 갖는 몸체(1)를 포함하되, 제 1 내지 제 3 면(11-13)은 사용자의 엄지, 검지 및 중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기구의 자세를 교정하고자 의식하지 않고서, 단순히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필기구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의 형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는 제 1 면(11), 제 2면(12) 및 제 3 면(13)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면(11-13)에 배치되는 제1 패드(110), 제 2 패드(120) 및 제 3 패드(13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면(11-13)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되, 제 1 면(11)과 제 2 면(12)의 곡면 길이는 제 3 면(13)의 곡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는 횡단면이 굴곡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횡단면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면(11), 제 2 면(12) 및 제 3 면(13)을 포함하며,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은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되며, 각각 엄지 및 검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되, 엄지와 검지가 걸리도록 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은 서로 대칭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몸체(1)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면(13)은 제 1 면(11)의 일 측 및 제 2 면(12)의 일 측과 이웃하도록 형성되며, 중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되, 중지를 지지하도록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3면(13)은 제 1 면(11)의 일 측 및 제 2 면(12)의 일 측과 이웃하도록 형성되며, 중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되, 중지를 지지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는 제 1 면(11)과 제 2 면(12)의 움푹 패인 홈에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가 걸려서 종래의 원형 필기구를 잡을 때 보다 엄지와 검지에 힘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올바른 필기구 자세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또한 제 3 면(13)을 통해 중지의 측면으로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는 제 1 내지 제 3 면(11-13)의 일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밀림을 방지하는 제 1 내지 제 3 패드(110-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내지 제 3 패드(110-130)는 제 1 내지 제 3면(11-13)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및 제 2 패드(110, 120)는 제 1 및 제 2면(11, 12)의 움푹 패인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부착되고, 제3 패드(130)는 제 3 면(13)의 볼록한 영역을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3 패드(130)는 제 3 면(13)의 오목한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부착될 수 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의 횡단면에 대하여 제 3 패드(130)의 폭(H3)은 제 1 패드(110) 및 제 2패드(120)의 폭(H1, H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패드(110) 및 제 2 패드(120)는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의 움푹 패인 형상의 홈에 형성될 수 있다. 제 3 패드(130)는 제 3 면(13)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를 파지하여 사용할 경우, 제 1 패드(110) 및 제 2 패드(120)는 엄지와 검지가 하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3 패드(130)는 중지의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패드(110-130)는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를 잡았을 때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의 횡단면에 대하여 제 3 면(13)의 곡률의 피크(P3)는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의 곡률의 피크(P1, P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은 엄지와 검지로 파지하는 경우, 움푹 패인 곡면(홈)에 엄지와 검지의 끝마디가 걸릴 수 있을 정도의 높은 피크(P1, P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 3면(13)은 중지의 중간마디 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면으로, 중지가 편안하게 몸체(1)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의 피크(P1, P2)보다 낮은 피크(P3)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의 횡단면에 대하여 흑심(5)은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의 절반 이하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흑심(5)이 삼각형의 몸체(1)의 무게 중심에 위치하여 흑심(5)이 쉽게 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를 파지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끝마다가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의 움푹 패인 형상의 홈에 걸리고, 제 3 면(13)을 중지의 중간마디 측면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필기 자세가 자동적으로 교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면(11) 및 제 2면(12)의 움푹 패인 홈과 제 3면(13)에 형성된 고무 재질의 제 1 내지 제 3 패드(110-130)를 통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본 고안의 교정 필기구를 불편함 없이 장시간 사용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몸체
5: 흑심
11: 제 1 면
12: 제 2 면
13: 제 3면
110: 제 1 패드
120: 제 2 패드
130: 제 3 패드

Claims (17)

  1. 교정 필기구에 있어서,
    굴곡된 삼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횡단면과 수직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면, 제 2 면 및 제 3 면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면의 일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밀림을 방지하는 제 1 패드, 제 2 패드 및 제 3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3 면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되,
    상기 제 1 면은 상기 제2면의 일 측 및 상기 제 3 면의 일 측과 이웃하도록 형성되며, 엄지가 걸리도록 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면의 타 측 및 상기 제 3 면의 타 측과 이웃하도록 형성되며, 검지가 걸리도록 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횡단면에 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면은 서로 대칭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3 면은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 3 면의 곡률의 피크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의 곡률의 피크보다 낮은 것이고,
    상기 제 1 면과 제 2면의 곡면 길이는 상기 제 3면의 곡면 길이보다 짧은 것이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면의 장변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되,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 1 면의 움푹 패인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 2 패드는 상기 제 2 면의 움푹 패인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3패드는 상기 제 3 면의 볼록한 영역을 덮도록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횡단면에 대하여 상기 제 3 패드의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패드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인, 교정 필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에 대하여,
    상기 몸체의 흑심은 상기 제 1 및 제 2 면의 절반 이하의 높이에 형성되는 것인, 교정 필기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교정 필기구.
  17. 삭제
KR2020170005683U 2017-11-03 2017-11-03 교정 필기구 KR200488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83U KR200488563Y1 (ko) 2017-11-03 2017-11-03 교정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83U KR200488563Y1 (ko) 2017-11-03 2017-11-03 교정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563Y1 true KR200488563Y1 (ko) 2019-02-20

Family

ID=6551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83U KR200488563Y1 (ko) 2017-11-03 2017-11-03 교정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6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79267Y (zh) * 1995-09-11 1998-04-22 王长新 一种具备纠姿和保健功能的铅笔
JP2001180174A (ja) * 1999-12-27 2001-07-03 Mitsuo Inoue 筆記具の握り部
CN202208204U (zh) * 2011-09-09 2012-05-02 红旭文具(上海)有限公司 防滑铅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79267Y (zh) * 1995-09-11 1998-04-22 王长新 一种具备纠姿和保健功能的铅笔
JP2001180174A (ja) * 1999-12-27 2001-07-03 Mitsuo Inoue 筆記具の握り部
CN202208204U (zh) * 2011-09-09 2012-05-02 红旭文具(上海)有限公司 防滑铅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6203B1 (en) Writing instrument gripping aid and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ame
US9505259B2 (en) Grip for hand-held too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339629B2 (ja) 鉛筆用持ち方矯正具
KR200488563Y1 (ko) 교정 필기구
GB2449406A (en) A Posture Correct Pen
JP4717772B2 (ja)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KR20110117774A (ko) 필기구 파지장치
TW201544360A (zh) 筆具握持結構
JP3017630U (ja) 習字用の握り持ち補助文具
KR200491598Y1 (ko) 자세교정기
CN213138320U (zh) 一种握笔姿势矫正器套装
JP3126015U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CN211567443U (zh) 一种矫正握笔姿势的五指定位握笔器
JP2004181685A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CN214355138U (zh) 一种握笔器
KR100597338B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100086759A (ko) 핑거 펜
JP3756903B2 (ja) 持ち方矯正箸および箸の持ち方矯正補助具
JP2502328Y2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JP2018032103A (ja) マウス
JP3209006U (ja) おたすけボール
KR200450035Y1 (ko) 필기구 홀더
KR101658823B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180106507A (ko)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JP2002096594A (ja) 軸筒用グリップ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