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813Y1 - 눈썹화장용구 - Google Patents

눈썹화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813Y1
KR200223813Y1 KR2019980015399U KR19980015399U KR200223813Y1 KR 200223813 Y1 KR200223813 Y1 KR 200223813Y1 KR 2019980015399 U KR2019980015399 U KR 2019980015399U KR 19980015399 U KR19980015399 U KR 19980015399U KR 200223813 Y1 KR200223813 Y1 KR 200223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brows
plate
shape
eyebrow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814U (ko
Inventor
박재남
Original Assignee
박재남
주식회사샤몽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남, 주식회사샤몽화장품 filed Critical 박재남
Priority to KR2019980015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81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81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얼굴화장을 함에 있어서,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지면서 여러 가지 눈썹형태를 형성한 판체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눈썹의 형태를 선택하고 이를 안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눈썹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그릴 수 있도록 한 눈썹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진 판체(1)의 외곽부에 여러 가지 눈썹의 형태를 가지는 곡면부(3)들을 형성하고 상기 판체(1)에는 눈썹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여러개의 통공부(4)를 형성하며 이 통공부(4)의 각 끝단은 상기 판체(1)의 모서리부(2)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눈썹화장용구
본 고안은 얼굴화장을 함에 있어서,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지면서 여러 가지 눈썹형태를 형성한 판체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눈썹의 형태를 선택하고 이를 안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눈썹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그릴 수 있도록 한 눈썹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현금에 이르러 외모를 특별히 가꾸고 이를 표출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품과 화장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얼굴화장에 있어서는 눈썹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인상을 풍길 수 있기 때문에 눈썹화장에 특히 심혈을 기울이고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눈썹을 화장함에 있어서는 본연의 눈썹형태에 따라 아이펜슬 등을 이용하여 눈썹을 그리거나, 본연의 눈썹형태를 무시하고 다른 형태의 눈썹을 그리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도구없이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었는바, 이와같은 눈썹 그리기는 얼굴의 형태에 따라 눈썹의 형태를 연출하기 어려웠고 이에 따라 여러번씩 그렸다, 지웠다 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으며 상기 눈썹이 그려진 후에도 그려진 부분의 외곽선을 살리기 위하여 정리작업을 해야하는 폐단이 있었고 상기 눈썹을 그리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얼굴화장을 함에 있어서,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지면서 여러 가지 눈썹형태를 형성한 판체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눈썹의 형태를 선택하고 이를 안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눈썹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그릴 수 있도록 한 눈썹화장용구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체
2 : 모서리부
3 : 곡면부
4 : 통공부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진 판체(1)의 외곽부에 여러 가지 눈썹의 형태를 가지는 곡면부(3)들을 형성하고 상기 판체(1)에는 눈썹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여러개의 통공부(4)를 형성하며 이 통공부(4)의 각 끝단은 상기 판체(1)의 모서리부(2)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진 판체(1)에 여러 가지 눈썹의 형태를 가지는 곡면부(3)와, 눈썹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여러개의 통공부(4)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통공부(4)의 각 끝단이 상기 판체(1)의 모서리부(2)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진 판체(1)의 곡면부(3)와 통공부(4)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부분이 눈썹의 위치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판체(1)를 얼굴에 부착하며 상기 판체(1)의 모서리부(2)를 잡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며 예를들어 통공부(4)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이 통공부(4)가 눈썹의 위치에 위치되도록하여 판체(1)를 얼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아이펜슬 등을 이용하여 한 쪽의 눈썹을 그리게 된다.
상기 한 쪽의 눈썹이 그려지면, 상기 판체(1)의 일측 모서리부(2)를 중심으로하여 판체(1)를 뒤집고 다른 쪽의 눈썹을 그리게 되며 상기 양 쪽의 눈썹을 모두 그리고 난 후 상기 판체(1)를 얼굴에서 떼어내게 된다.
또, 상기 곡면부(3)를 이용하여 눈썹을 그리게 될 경우에는 상기 곡면부(3)가 눈썹의 상부에 위치하도록하여 눈썹을 그리게 되며 상기 곡면부(3)와 통공부(4)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눈썹을 그리면서 화장함에 있어서, 상기 판체(1)에 형성된 여러 가지 눈썹형태의 곡면부(3)와 통공부(4)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눈썹을 그리도록 된 것으로 상기 눈썹을 그리는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선명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또 상기 눈썹을 그린 후 수정작업이나 정리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눈썹을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진 판체(1)의 외곽부에 여러 가지 눈썹의 형태를 가지는 곡면부(3)들을 형성하고 상기 판체(1)에는 눈썹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여러개의 통공부(4)를 형성하며 이 통공부(4)의 각 끝단은 상기 판체(1)의 모서리부(2)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화장용구.
KR2019980015399U 1998-08-17 1998-08-17 눈썹화장용구 KR200223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99U KR200223813Y1 (ko) 1998-08-17 1998-08-17 눈썹화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99U KR200223813Y1 (ko) 1998-08-17 1998-08-17 눈썹화장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14U KR20000004814U (ko) 2000-03-15
KR200223813Y1 true KR200223813Y1 (ko) 2001-06-01

Family

ID=6951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399U KR200223813Y1 (ko) 1998-08-17 1998-08-17 눈썹화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8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14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5470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USD363308S (en) Ball-point pen
USD390872S (en) Combined computer input pen and writing instrument with cap member therefor
USD329460S (en) Casing for a writing instrument
KR200223813Y1 (ko) 눈썹화장용구
USD374460S (en) Writing instrument
USD357699S (en) Felt pen with an eraser at the tip of the cap
USD447172S1 (en) Pen
KR200419520Y1 (ko) 핑거 펜
JP2002200372A (ja) 電気機器
USD375323S (en) Pen
USD362682S (en) Pen
USD456842S1 (en) Input pen with ball-point pen
KR200224647Y1 (ko) 눈 화장용 가이드
JP3112981U (ja) 化粧用眉描器具
USD416941S (en) Writing instrument
USD392317S (en) Writing instrument
USD457187S1 (en) Writing instrument
WO2003029022A1 (en) 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CA98403S (en) Writing instrument
US20030037797A1 (en) Cosmetic pad
USD378764S (en) Ink refill for a ball-point pen
CA106665S (en) &#34;writing instrument&#34;
JP3053702U (ja) 化粧用の眉の形を印刷することを特長とした印刷物
CA2538330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