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2Y1 - 기능성 필기구 - Google Patents

기능성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2Y1
KR200300822Y1 KR20-2002-0031772U KR20020031772U KR200300822Y1 KR 200300822 Y1 KR200300822 Y1 KR 200300822Y1 KR 20020031772 U KR20020031772 U KR 20020031772U KR 200300822 Y1 KR200300822 Y1 KR 200300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writing instrument
finger
present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20-2002-0031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AU2003301545A priority patent/AU2003301545A1/en
Priority to PCT/KR2003/000069 priority patent/WO2004037553A1/en
Publication of KR200300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4Clips detachably secured to the writ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6Clip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는 필기기능체를 지지하고 필기구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캡; 중공삽입부가 삽입되는 중공부, 손톱보호를 위한 전방개구부, 손가락을 눌러주기 위한 클립, 가운데 손가락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 및 협각(夾角)으로 형성된 틈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및 필기기능체와 중공삽입부를 갖는 필기구 본체로 이루어지며, 본 고안의 기능성 필기구는 좌우 어느 손으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필기구{Functional Pen}
본 고안은 기능성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필기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고안된 기능성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라 함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서, 연필, 볼펜이나 만년필 등을 의미한다. 이들 필기구들은 통상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세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필기를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와 그에 따른 필기동작에 의하면, 장시간 필기하는 경우에는 손 전체에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 중지의 측면에 힘을 가하는 필기동작에 의하여 중지의 측면에 굳은살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세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된 형태의 파지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바른 필기구 파지형태가 되지 못하여 올바른 필기습관이 되지 못하고, 잘못된 필기습관으로 굳어질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필기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한 기능성 필기구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필기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한 기능성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2 : 파지부
3 : 필기구 본체 4 : 중공부
5 : 전방개구부 6 : 클립
7 : 요홈 8 : 중공삽입부
9 : 필기기능체 10: 틈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는 필기기능체를 지지하고 필기구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캡; 중공삽입부가 삽입되는 중공부, 손톱보호를 위한 전방개구부, 손가락을 눌러주기 위한 클립, 가운데 손가락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 및 협각(夾角)으로 형성된 틈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및 필기기능체와 중공삽입부를 갖는 필기구 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가운데손가락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는 필기기능체(9)를 지지하고 필기구 본체(3)를 고정하기 위한 캡(1); 중공삽입부(8)가 삽입되는 중공부(4), 손톱보호를 위한 전방개구부(5), 손가락을 눌러주기 위한 클립(6), 가운데 손가락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7) 및 협각(夾角)으로 형성된 틈(10)으로 이루어진 파지부(2); 및 필기기능체(9)와 중공삽입부(8)를 갖는 필기구 본체(3)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부(2)의 하부에는 손가락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7)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개구부(5)는 엄지손가락 또는 집게손가락이 상기 클립(6) 밑부분으로 삽지되는 경우에 손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필기기능체(9)는 볼펜심, 샤프펜슬심, 싸인펜심 등과 같은 상용적으로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필기기능체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공삽입부(8)는 파지부(2)에 형성된 중공부(4) 내로 삽입되어 캡(1)으로 고정되어 일체가 되도록 한다.
상기 파지부(2)의 재질은 고무,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클립(6)은 탄성체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엄지손가락 또는 집게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작된다. 상기 클립 내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을 갖는 금속을 삽입하여 클립의 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요홈(7)은 파지부(2)의 하부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좌우 어느 손의 사용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는 각 구성부분을 인서트사출(injection molding with insert in a mold)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서트사출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인서트사출은 공동,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전방개구부 및 중공부와 같이 공동으로 형성될 부분에 해당하는 인서트물이 투입된 금형내로 수지를 사출시켜 금형의 내부면의 형상과 인서트물 사이의 빈 공간을 수지로 채워 성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금형 및 인서트물의 제조와 사출방법 등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의 파지부는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를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체 수지 역시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필기구를 파지하는 방법은 엄지손가락이 요홈(7)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집게손가락만이 클립 밑으로 들어가 클립에 의하여 살짝 눌러지며, 가운데손가락은 상기 요홈(7)의 반대쪽 요홈에 접촉되어 자연스럽게 필기구를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클립을 중심으로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이 상기 클립 밑부분으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클립에 의해 살짝 눌러지게 되고, 그리고 가운데손가락은 요홈에 접촉되어 자연스럽게 필기구를 파지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에 상관없이 좌우 어느 손의 엄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의 단부가 상기 클립(6) 밑부분으로 들어가 살짝 눌러지게 되고, 가운데손가락의 단부를 요홈(7)에 접촉하여 완벽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자유롭게 필기를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업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에 압박감 등을 주지않아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없으며, 손가락이 굵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손톱이 긴 경우에는 전방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손톱의 부러짐을 예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필기구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기구의 앞부분에 형성된 클립을 주머니에 끼워넣어 클립 안쪽에 협각(夾角)으로 형성된 틈(10)에 주머니 깃을 고정하여 휴대한다. 또한, 상기 클립은 손가락을 눌러주는역할을 함과 동시에 주머니 깃에 필기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함께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필기구는 좌우 어느 손으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손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아 바람직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켓에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필기기능체를 지지하고 필기구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캡;
    중공삽입부가 삽입되는 중공부, 손톱보호를 위한 전방개구부, 손가락을 눌러주기 위한 클립, 가운데손가락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홈 및 협각(夾角)으로 형성된 틈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및
    필기기능체와 중공삽입부를 갖는 필기구 본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기구.
KR20-2002-0031772U 2002-10-24 2002-10-24 기능성 필기구 KR200300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72U KR200300822Y1 (ko) 2002-10-24 2002-10-24 기능성 필기구
AU2003301545A AU2003301545A1 (en) 2002-10-24 2003-01-14 Functional pen
PCT/KR2003/000069 WO2004037553A1 (en) 2002-10-24 2003-01-14 Functional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72U KR200300822Y1 (ko) 2002-10-24 2002-10-24 기능성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2Y1 true KR200300822Y1 (ko) 2003-01-14

Family

ID=3246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772U KR200300822Y1 (ko) 2002-10-24 2002-10-24 기능성 필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0822Y1 (ko)
AU (1) AU2003301545A1 (ko)
WO (1) WO20040375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1598A (en) * 1983-08-29 1986-07-22 Schwartz Allan E Finger gripping device
JPH1086586A (ja) * 1996-09-12 1998-04-07 Hideo Hoshino 滑り押し具付きシャープペンシル
KR19990030257U (ko) * 1997-12-30 1999-07-26 김경용 필기구 파지용 그립
JP4620234B2 (ja) * 2000-09-21 2011-01-26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用グ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301545A1 (en) 2004-05-13
WO2004037553A1 (en)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85290A (ja) 筆記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71674A (ja) 筆記具
WO2004024465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6648537B1 (en) Finger insertion type writing device
KR200300822Y1 (ko) 기능성 필기구
CN201333860Y (zh) 书写笔
KR20010006617A (ko) 필기구 몸체
JP5065773B2 (ja) 複合筆記具
US5897261A (en) Ballpoint pen for credit card receiving pocket
JPH08164692A (ja) 筆記具用グリップ
KR102631703B1 (ko) 펜 타입 컴퍼스
JP4155390B2 (ja) 筆記具
KR20110002480U (ko) 펜심 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JP4831696B2 (ja) 筆記具
JP4848066B2 (ja) 筆記具
JP2004175041A (ja) グリップ
KR200312410Y1 (ko) 기능성 필기구 홀더
KR200331545Y1 (ko) 삽지식 필기구 집게
JP2001180174A (ja) 筆記具の握り部
CN214355138U (zh) 一种握笔器
CN211764478U (zh) 一种适用于多尺寸笔的握笔器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JP2003276393A (ja) キャップ式筆記具
JP3057701U (ja) 筆記具
KR20030086205A (ko) 삽지식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