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703B1 - 펜 타입 컴퍼스 - Google Patents

펜 타입 컴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703B1
KR102631703B1 KR1020217039957A KR20217039957A KR102631703B1 KR 102631703 B1 KR102631703 B1 KR 102631703B1 KR 1020217039957 A KR1020217039957 A KR 1020217039957A KR 20217039957 A KR20217039957 A KR 20217039957A KR 102631703 B1 KR102631703 B1 KR 102631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de main
sharp
needle
com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086A (ko
Inventor
도모코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레이메이후지이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메이후지이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레이메이후지이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0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43L9/02Com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1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compass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Toys (AREA)

Abstract

[과제] 일반적인 샤프펜슬의 심을 이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노크 동작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펜 타입 컴퍼스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바늘측 본체(12)와 샤프측 본체(11)를 구비한 펜 타입 컴퍼스로서, 샤프측 본체(11)가,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샤프 기구부(21)를 수납하는 샤프측 본체 하부(11b)와,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샤프측 본체 하부(11b)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3)를 구비하고, 연결부(13)가 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샤프 기구부(21)에 삽입된 일반적인 길이(60 mm)의 심의 상부를 유지하는 심 보호부(133)를 구비함과 더불어, 심의 상단 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더욱이 노크부(14)의 표면에 산 형태의 돌기부(145)를 형성한 펜 타입 컴퍼스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펜 타입 컴퍼스
본 발명은 휴대성이 우수한 펜 타입 컴퍼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길이의 샤프펜슬의 심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심을 내보내는 노크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펜 타입 컴퍼스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의 설명]
종래 휴대하기가 편리한 컴퍼스로서 펜 형태이며 캡을 갖춘 펜 타입 컴퍼스가 있다.
펜 타입 컴퍼스는, 본체의 다리부를 닫은 경우에 필기도구와 같은 대략 원주형상으로 되고, 바늘이나 심의 선단이 노출된 선단부를 보호하는 캡이 마련된 것이다.
캡을 장착함으로써 바늘이나 심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다룰 수 있음과 더불어, 펜 케이스에 수납한 경우에 다른 물품에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고, 또한 컴퍼스의 선단 부분을 보호할 수 있어, 휴대하기에 편리한 것으로 되어 있다.
닫은 상태가 펜 형태이기 때문에, 다른 펜류와 마찬가지로 펜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펜 타입 컴퍼스에는 심 대신에 소형 샤프펜슬을 갖춘 것도 있다. 샤프펜슬 형태의 펜 타입 컴퍼스에서는, 심을 수납하여, 외부로부터의 노크에 의해 심을 특정 피치로 내보내는 샤프펜슬 기구부(샤프 기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샤프펜슬 형태의 펜 타입 컴퍼스에서는, 일반적인 샤프펜슬용의 심과 비교하여 길이가 짧은 전용 심을 이용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샤프펜슬 형태의 펜 타입 컴퍼스에서는, 노크 조작을 행하는 노크부가 본체의 측면에 마련된 사이드 노크 방식이며, 노크부를 아래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노크를 하여 심을 내보내는 식으로 되어 있다.
[관련 기술]
또한, 컴퍼스에 관한 종래 기술에서는,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78069호 공보 「컴퍼스」(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79264호 공보 「컴퍼스」(일본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0-141289호 공보 「연필심이 보이는 컴퍼스」(특허문헌 3)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펜 타입 컴퍼스이며, 심을 내보내는 장치를 구비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바늘이 흑색으로 형성되고, 연필을 부착할 수 있는 컴퍼스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교환 심을 내장할 수 있는 컴퍼스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7806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7926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0-14128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샤프펜슬을 이용한 펜 타입 컴퍼스에서는, 일반적인 길이의 샤프펜슬의 심을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하고, 또한, 사이드 노크 방식이기 때문에,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손끝으로부터의 힘이 잘 전해지지 않아 노크 동작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3에는, 일반적인 샤프펜슬의 심을 사용할 수 있어, 노크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샤프펜슬 형태의 펜 타입 컴퍼스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반적인 샤프펜슬의 심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노크 동작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펜 타입 컴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늘이 마련된 다리부가 되는 바늘측 본체와, 샤프펜슬 기구부가 수납되는 다리부가 되는 샤프측 본체와, 바늘측 본체와 샤프측 본체의 상단을 수납하여 유지하는 중심부를 구비하고, 바늘측 본체와 샤프측 본체를 합쳐서 닫으면, 펜 형태의 형상으로 되는 펜 타입 컴퍼스로서, 샤프측 본체가, 샤프측 본체 상부와, 샤프측 본체 하부와, 샤프측 본체 상부와 샤프측 본체 하부를 접속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연결부는, 샤프펜슬 기구부에 삽입된 길이 약 60 mm의 샤프펜슬의 심의 상부를 보호하는 대략 원통형의 심 보호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심의 상단 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측 본체 하부의 측면에, 심을 내보내는 노크 동작을 행하는 노크부가 마련되고, 노크부의 표면에는 산 형태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 타입 컴퍼스에 있어서, 노크부는 요철부를 구비하고, 돌기부는 요철부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 타입 컴퍼스에 있어서, 샤프측 본체 하부에 샤프펜슬 기구부가 수납되고, 연결부가 샤프측 본체 하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심 보호부의 상단에서부터 약 60 mm의 심을 삽입한 경우에, 상기 심의 상부가 연결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 타입 컴퍼스에 있어서, 바늘측 본체와 샤프측 본체를 합쳐 닫은 상태에서 선단부에 장착되어, 선단부를 보호하는 캡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늘이 마련된 다리부가 되는 바늘측 본체와, 샤프펜슬 기구부가 수납되는 다리부가 되는 샤프측 본체와, 바늘측 본체와 샤프측 본체의 상단을 수납하여 유지하는 중심부를 구비하고, 바늘측 본체와 샤프측 본체를 합쳐서 닫으면, 펜 형태의 형상으로 되는 펜 타입 컴퍼스로서, 샤프측 본체가, 샤프측 본체 상부와, 샤프측 본체 하부와, 샤프측 본체 상부와 샤프측 본체 하부를 접속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연결부는, 샤프펜슬 기구부에 삽입된 길이 약 60 mm의 샤프펜슬의 심의 상부를 보호하는 대략 원통형의 심 보호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심의 상단 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측 본체 하부의 측면에, 심을 내보내는 노크 동작을 행하는 노크부가 마련되고, 노크부의 표면에는, 산 형태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춘 펜 타입 컴퍼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용 심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길이의 샤프펜슬용의 심을 이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노크 시에는 손가락이 돌기부에 걸리기 때문에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노크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컴퍼스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을 닫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샤프측 본체(11) 내측의 외관도이다.
도 4는 샤프측 본체(11)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설명도이다.
도 5는 눈금부의 구성 (1)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눈금부의 구성 (2)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개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펜 타입 컴퍼스(본 컴퍼스)는, 바늘이 마련된 바늘 측의 본체와 샤프펜슬 기구부를 갖춘 샤프펜슬 측의 본체(샤프측 본체)를 구비하고, 바늘측 본체와 샤프측 본체를 합쳐서 닫으면 대략 원주형상의 펜 형태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샤프측 본체는, 샤프측 본체 상부와, 샤프측 본체 하부와, 샤프측 본체 상부와 샤프측 본체 하부를 접속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연결부가, 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샤프펜슬 기구부에 삽입된 일반적인 60 mm 길이의 심의 상부를 보호하는 대략 원통형의 심 보호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심의 상단부를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샤프펜슬 기구부 위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여, 전용 심을 이용하지 않고서 일반적인 샤프펜슬용의 심을 이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컴퍼스는, 샤프측 본체 하부의 측면에 샤프펜슬 기구부를 노크하는 노크부를 구비하고, 노크부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용의 복수의 줄기(요철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요철부보다 펜끝 근방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노크 시에 손끝이 걸려 노크 동작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펜 타입 컴퍼스의 개략 구성: 도 1, 도 2]
본 컴퍼스의 개략 구성에 관해서 도 1,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컴퍼스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캡을 닫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컴퍼스는 본체(1)와 본체(1)의 선단부에 씌우는 캡(2)을 구비하고,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캡을 닫은 상태에서는 볼펜 등의 필기도구와 매우 닮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컴퍼스는 본체(1)의 다리부에 샤프펜슬을 갖춘 샤프펜슬 형태의 구성이다.
본체(1)는, 중심부(10)와, 본 컴퍼스의 한쪽의 다리부인 샤프측 본체(11)와, 다른 쪽의 다리부인 바늘측 본체(12)와, 본체 접속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샤프측 본체(11)는,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샤프측 본체 하부(11b)와 연결부(13)와 노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측 본체 상부(11a), 샤프측 본체 하부(11b), 바늘측 본체(12)는 아연 다이캐스트 등으로 형성되고, 중심부(10), 연결부(13), 노크부(14)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측 본체(11)는, 내부에 샤프펜슬 기구부(샤프 기구부)를 구비하고, 선단에 샤프펜슬의 펜끝(31)이 노출되어 있다.
노크부(14)가 노크됨으로써 펜끝(31)으로부터 심(32)이 빠져 나오게 된다. 여기서, 심(32)은 컴퍼스 전용이 짧은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샤프펜슬에 이용되는 60 mm 길이의 심이다. 일반적인 길이의 심을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통상 사용하고 있는 샤프펜슬의 심을 사용하거나 원하는 경도의 심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바늘측 본체(12)는 선단에 바늘(33)이 마련되어 있다.
본 컴퍼스의 바늘(33)은 흑색의 바늘이다.
흑색으로 함으로써, 흰 바탕인 경우가 많은 노트 등의 위에서 본 컴퍼스를 사용할 때에, 바늘(33)의 선단이 보기 쉽게 되어(시인성이 향상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중심부(10)는, 상단에 손잡이를 구비하고, 내부에 손잡이를 컴퍼스의 중심에 고정하는 중심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바늘측 본체(12)의 상단을 수납하여 유지한다.
본체 접속부(15)는, 나사와 너트를 구비하여, 중심부(10)의 내부에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바늘측 본체(12)의 상단부가 수납된 상태에서,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바늘측 본체(12)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본체 접속부(15)의 너트는 도 1, 2의 안쪽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측 본체(11) 및 바늘측 본체(12)는, 본체 접속부(15)로 접속된 점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샤프측 본체(11) 및 바늘측 본체(12)는, 중심기에 의해서, 동일한 각도만큼 벌리도록 되어 있고, 이로써, 중심부(10)의 손잡이가 항상 본 컴퍼스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캡(2)은 폴리프로필렌(PP),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샤프측 본체(11) 및 바늘측 본체(12)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선단부에 씌워져, 벗겨지지 않게 고정된다.
연결부(13)는, 본 컴퍼스의 특징 부분이며,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샤프측 본체 하부(11b)를 접속함과 더불어, 노크부(14)의 상단 측의 스토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13)는, 샤프측 본체 상부(11a) 및 샤프측 본체 하부(11b)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노크부(14)는, 사이드 노크 방식의 노크 버튼이며, 본체(1)의 하단 방향으로 향하여 밀어 내림으로써, 후술하는 샤프 기구부의 스프링을 눌러서 심을 내보낸다. 손가락을 떼어 누름판을 풀면, 노크부(14)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노크부(14)의 표면에는, 손가락이 걸리기 쉽도록 복수의 줄기형 요철인 요철부나 돌기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45)는, 요철부보다도 노크부(14)의 하단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어, 본체(1)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산 형태의 돌출부이다. 돌출부(145)의 높이는, 요철부의 볼록 부분의 높이와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엄지손가락의 배가 걸릴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다.
노크부(14)에, 요철부뿐만 아니라 돌기부(145)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노크부(14)를 아래쪽으로(펜끝(31) 방향) 민 경우에, 손끝이 돌기부(145)에 걸려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힘을 전하기 쉽고, 노크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어린아이라도 손쉽게 노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연결부(13), 노크부(14) 내측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더욱이, 샤프측 본체(11)와 바늘측 본체(12)가 맞닿는 부분에는, 닫은 상태에서 양 본체를 벌릴 때에 조작하기 쉽도록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샤프측 본체에는 오목부(16a)가 형성되고, 바늘측 본체(12)에는 오목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측 본체(11)의 오목부(16a)는 연결부(13)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6a, 16b)는 도 1, 2의 안쪽에도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다.
[샤프측 본체(11)의 내측: 도 3]
이어서, 샤프측 본체(11) 내측의 구성에 관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샤프측 본체(11) 내측의 외관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샤프측 본체(11)의 내측(바늘측 본체(12)에 맞닿는 측)은,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연결부(13)의 접속부(132)와 샤프측 본체 하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내부는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이 공동 부분에 샤프 기구부가 수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내부 공동은 2단계의 굵기로 되어 있으며, 상부는 굵게(직경이 크게), 하부는 가늘게(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연결부(13)의 접속부(132)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샤프측 본체(11)의 구성: 도 4]
이어서, 샤프측 본체(11)의 구성에 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샤프측 본체(11)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컴퍼스의 샤프측 본체(11)는, 샤프측 본체 하부(11b), 샤프 기구부(21), 노크부(14), 연결부(13), 샤프측 본체 상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 기구부(21)는 범용품이며, 원통형의 축의 내부에 심(32)을 수납한다.
축의 외측에, 스프링부(24)와 스프링부(24)의 상부에 마련된 누름부(23)를 구비하고, 또한, 누름부(23)에는, 노크부(14)의 돌출부(142)와 계합하는 계합부(231)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내부는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고, 샤프 기구부(21)가 수납되어,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하단부로부터 샤프 기구부(21)의 펜끝(31)이 돌출한다. 샤프 기구부(21)의 상부는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일 없이 수납되어 있다.
각 부의 길이는 샤프측 본체 하부(11b)>연결부(13)>샤프측 본체 상부(11a)>노크부(14)로 되어 있다.
또한,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외측 측면(도 4의 배면측)에는, 노크부(14)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슬릿(111)이 형성되어 있다.
노크부(14)는 샤프 기구부(21)의 상부를 누르고 있다.
또한,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내부에는, 샤프 기구부(2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0)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부(40)는, 내부에 관통 구멍을 갖춘 대략 원통형이며, 탄력성 있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고정부(40)가 샤프 기구부(21) 측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고정부(40)는 미리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원통 내부에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40)의 외경은, 샤프측 본체(11b)의 상부의 내경 치수보다 작고, 하부의 내경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40)는, 샤프측 본체(11b)의 상부의 공동으로부터 하부의 공동에 강하게 압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40)의 내경(관통 구멍의 직경)은, 샤프 기구부(2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샤프 기구부(21)가 고정부(40)의 관통 구멍에 강하게 삽입되어 마찰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부(40)는 변형 가능한 소재이기 때문에, 힘이 가해지면 변형되어, 본 컴퍼스의 제조 시에 샤프 기구부(21)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컴퍼스에서 이용되는 심(32)은 일반적인 샤프펜슬용의 심이며, 사용하기 시작할 때는 샤프 기구부(21)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있다.
본 컴퍼스에서는, 샤프측 본체(11)에, 이 돌출 부분을 수납하는 공간을 둠으로써, 일반적인 샤프펜슬의 심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와 같은 컴퍼스 전용의 짧은 심도 사용 가능하다.
노크부(14)는, 샤프측 본체(11)의 외측 측면의 일부가 되는 노크부 측면(141)과, 내부로 돌출하는 돌출부(142)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요철부 및 돌기부(145)는 노크부 측면(141)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노크부 측면(141)은 연결부 측면(131)에 맞닿는다.
돌출부(142)는, 원반 형상이며 중심 부근에 샤프 기구부(21)의 상부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노크부 측면(141)과 돌출부(142)를 접속하는 부분이,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오목부(111)에 계합하여, 노크부(14)가 위아래로 슬라이드한다.
또한, 노크부(14)의 돌출부(142)는 샤프 기구부(21)의 계합부(231)에 계합한다.
그리고, 노크부(14)가 아래로 눌리면, 돌출부(142)에 의해서 누름부(23)가 아래로 눌리고, 누름부(23)가 스프링부(24)를 눌러, 펜끝(31)으로부터 심(32)이 내보내지게 된다.
연결부(13)는, 샤프측 본체(11)의 외측 측면의 일부가 되는 연결부 측면(131)과, 연결부 측면(131)에 접속하여, 샤프측 본체(11)의 내측 측면의 일부가 되는 접속부(132)와, 내부에 마련된 원통형의 심 보호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심 보호부(133)는 샤프 기구부(21)로부터 돌출된 심의 상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또한, 심 보호부(133)의 내부를 관통하는 구멍은, 샤프 기구부(21)의 구멍과 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심(32)의 상부를 수납하는 공간으로 되는 것이다.
즉, 본 컴퍼스에서는, 샤프 기구부(21)에서부터 연결부(13)의 심 보호부(133)에 걸쳐, 심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짧은 전용의 심과 비교하여 긴 일반적인 샤프펜슬용의 심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샤프 기구부(21)와 연결부(13)의 심 보호부(133)에 걸쳐 형성되는 공간은, 일반적인 샤프펜슬용 심의 길이(60 mm)보다 길어, 심(32)의 상단 부분까지 충분히 수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샤프 기구부(21)가 샤프측 본체 하부(11b)에 수납되어, 노크부(14) 및 연결부(13)가 접속된 상태에서, 새로운 심(32)의 상단이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부러 컴퍼스 전용의 심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보통의 샤프펜슬에 사용하는 심을 본 컴퍼스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심을 유지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심 보호부(133)는, 연결부(13)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아도 되며, 예컨대 접속부(132)와 같은 정도의 길이라도 좋지만, 도 4와 같이, 심 보호부(133)를 연결부(13)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심을 공동 내에 유지함과 더불어, 심(32)을 넣을 때에 심의 방향이 틀어져 선단이 샤프 기구부(21)의 모서리에 닿아 부러지거나 하지 않게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부(132)의 상단부는 샤프측 본체 상부(11a)의 하단부에 맞닿고, 접속부(132)의 하단부는 샤프측 본체 하부(11b)의 상단부에 맞닿아 각각 계합함으로써, 본 컴퍼스의 샤프측 본체(11)가 조립된다.
심(32)을 넣는 경우에는, 샤프측 본체 상부(11a)로부터 샤프측 본체(11)를 떼어내어, 심 보호부(133) 상단의 개구부로부터 심을 삽입한다.
[응용예: 원의 치수 맞춤]
종래의 컴퍼스에서는, 원을 그릴 때에, 샤프측 본체(11)와 바늘측 본체(12)를 벌리고, 샤프펜슬의 심(32)과 바늘(33)의 간격을 자 등으로 측정하여 원하는 반경에 맞추는 식으로 벌려 가감을 조절하고 있었다.
또한, 원을 그리고 있는 도중에 반경이 틀어져 버려 올바른 원을 그릴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컴퍼스의 응용예에서는, 부속 부품으로서 간이한 눈금부를 본체와는 별도로 마련해 두고서, 눈금부를 본체에 부착할 수 있게 하여, 자로 재지 않더라도 특정 치수의 원을 그릴 수 있게 하고 있고, 더욱이 그리는 중에 치수가 틀어지지 않도록 샤프측 본체(11)와 바늘측 본체(12)의 간격(각도)을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응용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눈금부의 구성 (1): 도 5]
눈금부의 구성 (1)에 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눈금부의 구성 (1)을 도시하는 설명도로, (a)는 본체 측에 형성된 돌기부, (b)는 본 컴퍼스에 눈금부(4)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눈금부(4)는, 샤프측 본체(11') 또는 바늘측 본체(12')의 어디에 부착하여도 좋지만, 여기서는 바늘측 본체(12')에 부착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눈금부(4)를 부착할 수 있는 본 컴퍼스는, 바늘측 본체(12')에 2개의 돌기부(21a, 21b)를 형성하고, 샤프측 본체(11')에 돌기부(21c)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돌기부(21a, 21b, 21c)에 의해서 눈금부(4)를 본 컴퍼스에 부착하고, 또한 원하는 반경에 고정하는 것이다.
돌기부(21a, 21b, 21c)를 형성하는 위치는, 노크부(14)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면 임의이지만, 예컨대 오목부(16a, 16b)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눈금부(4)는 본 컴퍼스의 바늘측 본체(12')에 부착되어 이용되며, 착탈 가능한 부재이다.
눈금부(4)는, 플라스틱 등의 얇은 판으로 활 형태(원호형)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단부에는 구멍부(41a, 41b)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단부로 향하여 복수의 구멍부(42)가 원호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부(42)는, 반경 2.0 cm, 2.5 cm, 3.0 cm, 3.5 cm, …에 대응하고 있고, 대응하는 반경 치수의 값이 각 구멍부(42) 근처에 기재되어 있다. 즉, 각각의 구멍부(42)를 돌기부(21c)에 계합시킴으로써, 바늘(33)과 샤프펜슬의 심(32)의 선단과의 간격이 대응하는 반경 치수로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늘측 본체(12')의 돌기부(21a, 21b)와, 눈금부(4)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부(41a, 41b)가 계합하여, 눈금부(4)가 바늘측 본체(12')에 고정된다. 돌기부를 2개 마련함으로써, 눈금부(4)가 회전하지 않고서 튼튼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샤프측 본체(11')에 형성된 돌기부(21c)는, 눈금부(4)의 구멍부(42)의 어느 하나와 계합하여, 특정 반경 치수가 되도록 바늘측 본체(12')와 샤프측 본체(11')의 간격(각도)을 고정한다.
돌기부(21a, 21b, 21c)의 직경은, 구멍부(41a, 41b, 42)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눈금부(4)를 착탈할 때는 구멍부(41a, 41b, 42)가 변형되어 넓어져 삽입하거나 또는 떼어낼 수 있게 되고, 또한, 장착 상태에서는 의도하지 않게 벗겨져 버리는 일이 없게 되어 있다.
눈금부(4)를 이용한 경우, 구멍부(42) 이외의 치수로는 고정할 수 없지만, 간단한 구조로 자주 사용하는 반경 치수에 용이하게 셋트할 수 있음과 더불어, 원을 그리고 있는 사이에 치수가 틀어져 버리는 것을 막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눈금부의 구성 (2): 도 6]
상술한 눈금부의 구성 (1)에서는 컴퍼스 본체에 돌기부를 형성해 놓을 필요가 있었지만, 눈금부의 구성 (2)에서는 컴퍼스 본체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눈금부의 구성 (2)에 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눈금부의 구성 (2)를 도시하는 설명도로, (a)는 본 컴퍼스에 눈금부(5)를 부착한 상태, (b)는 바늘측 본체(12)에 있어서의 부착 부분, (c)는 샤프측 본체(11)에 있어서의 계합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눈금부(5)는, 본 컴퍼스의 바늘측 본체(12), 샤프측 본체(11)의 어느 한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품이며, 여기서는 바늘측 본체(12)에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눈금부(5)는 플라스틱 등으로 활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눈금선(51)을 갖추고, 고정부(52)에 의해서 바늘측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눈금부(5)와 마찬가지로, 눈금선(51)의 근방에 반경 치수의 값을 기재하고 있지만,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샤프측 본체(11)에는, 착탈 가능한 부품인 누름부(54)가 부착된다.
누름부(54)는, 눈금부(5)를 샤프측 본체(11) 상에서 가볍게 누르는 부품이며, 도 6(a)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6)(도 6(c) 참조)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56)을 눈금부(5)가 관통하여, 샤프측 본체(11)의 개폐 동작에 따라 누름부(54)가 눈금부(5) 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누름부(54)는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원하는 반경의 기준이 되는 눈금 맞춤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눈금 맞춤부(55)의 선은, 눈금부(5)의 눈금선(51)과 혼동하지 않도록 길게 그려져 있다. 눈금 맞춤부(55)와 눈금선(51)을 다른 색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사용자가, 샤프측 본체(11)를 개폐하면서, 투명한 누름부(54)를 통해 눈금부(5)의 눈금선(51)을 보면서, 눈금선(51)을 기준으로 눈금 맞춤부(55)에 원하는 반경의 길이를 맞춤으로써, 본 컴퍼스의 바늘(32)과 샤프펜슬의 심의 간격이 상기 반경의 길이가 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눈금부(5)의 좌단 부분에는 L자형으로 형성된 고정부(52)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52)는, 예컨대 바늘측 본체(12)의 오목부(16b)에 딱 감합하는 크기 및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눈금부(5)는 항상 같은 위치에 부착되게 되어, 반경 치수의 변동을 막는 것이다.
또한, 도 6(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샤프측 본체(11)의 오목부(16a)에는 누름부(54)가 부착되어 있다. 누름부(54)는, L자형으로 형성된 고정부(53)를 구비하여, 오목부(16b)에 딱 감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누름부(54)에는 관통 구멍(56)이 형성되어, 눈금부(5)가 관통하고 있다.
[다른 응용예]
다른 응용예로서, 샤프 기구부(21)를 떼어낼 수 있게 하고, 다양한 샤프 기구부를 부속 부품으로서 준비해 놓고서, 임의의 샤프 기구부를 부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노크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심이 나오는 타입의 샤프 기구부를 부착하여도 좋다.
또한, 심의 굵기를 일반적인 0.5 mm에 한하지 않고, 0.3 mm나 0.7 mm의 심에 대응하는 샤프 기구부를 부착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 방법이나 심의 굵기를 기호나 용도에 맞춰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컴퍼스에 의하면, 샤프측 본체(11)가 샤프측 본체 상부(11a)와 샤프측 본체 하부(11b)와 연결부(13)를 구비하고, 연결부(13)가 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샤프 기구부(21)에 삽입된 일반적인 길이(60 mm)의 심의 상부를 보호하는 심 보호부(133)를 구비함과 더불어, 심의 상단 부분까지 수납 가능한 공간을 갖춘 펜 타입 컴퍼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컴퍼스 전용의 심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샤프펜슬용의 심을 이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노크 방식의 노크부(14)의 표면에 돌기부(145)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노크 동작 시에 손가락이 돌기부(145)에 걸려 노크부(14)의 누름 조작을 하기 쉽게 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컴퍼스에 의하면, 본체에 착탈 가능한 눈금부(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 등이 없더라도 용이하게 컴퍼스를 반경 치수에 맞춰 벌릴 수 있고, 또한, 눈금부(4)의 구멍부(42)와 본체의 돌기부(21c)를 계합시킴으로써 벌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어, 그리는 도중에 반경 치수가 틀어지는 것을 막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성이 우수하고, 일반적인 샤프펜슬의 심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심을 내보내는 노크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펜 타입 컴퍼스에 관한 것이다.
1: 본체, 2: 캡, 4, 5: 눈금부, 10: 중심부, 11, 11': 샤프측 본체, 11a: 샤프측 본체 상부, 11b: 샤프측 본체 하부, 12, 12': 바늘측 본체, 13: 연결부, 14: 노크부, 15: 본체 접속부, 16a, 16b: 오목부, 21: 샤프 기구부, 21a, 21b, 21c: 돌기부, 23: 누름부, 24: 스프링부, 31: 펜끝, 32: 심, 33: 바늘, 40: 고정부, 41a, 41b, 42: 구멍부, 51: 눈금선, 52, 53: 고정부, 54: 누름부, 55: 눈금 맞춤부, 56: 관통 구멍, 111: 슬릿, 131: 연결부 측면, 132: 접속부, 133: 심 보호부, 141: 노크부 측면, 142: 돌출부, 145: 돌기부, 231: 계합부.

Claims (4)

  1. 바늘이 마련된 다리부가 되는 바늘측 본체와, 샤프펜슬 기구부가 수납되는 다리부가 되는 샤프측 본체와, 상기 바늘측 본체와 상기 샤프측 본체의 상단을 수납하여 유지하는 중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측 본체와 상기 샤프측 본체를 합쳐서 닫으면, 펜 형태의 형상으로 되는 펜 타입 컴퍼스로서,
    상기 샤프측 본체는, 샤프측 본체 상부와, 샤프측 본체 하부와, 상기 샤프측 본체 상부와 상기 샤프측 본체 하부를 접속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샤프측 본체 상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펜슬 기구부에 삽입된 길이 60 mm의 샤프펜슬의 심의 상부를 보호하는 원통형의 심 보호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심의 상단 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샤프측 본체와 상기 바늘측 본체를 닫은 상태에서 벌리기 쉽게 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측 본체 하부의 측면에, 상기 심을 내보내는 노크 동작을 행하는 노크부가 마련되고,
    상기 노크부의 표면에는 요철부와, 이 요철부의 하측에서 상기 요철부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인 펜 타입 컴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샤프측 본체 하부에 샤프펜슬 기구부가 수납되어, 연결부가 샤프측 본체 하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심 보호부의 상단으로부터 60 mm의 심을 삽입한 경우에, 상기 심의 상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것인 펜 타입 컴퍼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늘측 본체와 샤프측 본체를 합쳐서 닫은 상태에서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단부를 보호하는 캡
    을 구비한 펜 타입 컴퍼스.
  4. 삭제
KR1020217039957A 2019-06-05 2020-05-22 펜 타입 컴퍼스 KR102631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4973 2019-06-05
JP2019104973 2019-06-05
JP2019191676 2019-10-21
JPJP-P-2019-191676 2019-10-21
PCT/JP2020/020424 WO2020246278A1 (ja) 2019-06-05 2020-05-22 ペン型コンパ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086A KR20220005086A (ko) 2022-01-12
KR102631703B1 true KR102631703B1 (ko) 2024-01-30

Family

ID=7365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957A KR102631703B1 (ko) 2019-06-05 2020-05-22 펜 타입 컴퍼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234360B2 (ko)
KR (1) KR102631703B1 (ko)
CN (1) CN113993714B (ko)
WO (1) WO2020246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892344U (zh) * 2022-09-07 2022-11-25 广州市悟生文具有限公司 按动圆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965B2 (ja) * 1992-10-01 2000-06-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3178069B2 (ja) * 1992-03-30 2001-06-18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1835A (en) * 1925-07-08 1926-12-21 Allan J Keaney Folding pencil compass
JPS58117978U (ja) * 1982-02-04 1983-08-11 三菱鉛筆株式会社 触指繰り出し式シヤ−プペンシル
DE9007164U1 (ko) * 1990-06-28 1990-08-30 Andreas Witte Kg, 2122 Bleckede, De
JP3049965U (ja) * 1997-04-10 1998-06-30 州彦 長谷部 シャープペンシル用芯拾い上げ溝付きキャップ
JP4818805B2 (ja) * 2006-05-09 2011-11-16 株式会社トンボ鉛筆 筆記具
JP3178069U (ja) * 2012-06-18 2012-08-30 株式会社レイメイ藤井 コンパス
JP3179264U (ja) 2012-08-01 2012-10-25 株式会社レイメイ藤井 コンパス
TWM454331U (zh) * 2012-09-19 2013-06-01 San Yann Industry Co Ltd 自動鉛筆單元及裝設自動鉛筆單元的圓規
CN203246225U (zh) * 2012-12-08 2013-10-23 三燕兴业股份有限公司 自动铅笔单元及装设自动铅笔单元的圆规
CN206664085U (zh) * 2017-02-11 2017-11-24 高凡 一种可调型测画一体式圆规
CN107160907A (zh) * 2017-06-21 2017-09-15 恭城瑶族自治县恭城中学 多功能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069B2 (ja) * 1992-03-30 2001-06-18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取付構造
JP3049965B2 (ja) * 1992-10-01 2000-06-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086A (ko) 2022-01-12
WO2020246278A1 (ja) 2020-12-10
JP2023054261A (ja) 2023-04-13
CN113993714B (zh) 2023-04-04
JP7234360B2 (ja) 2023-03-07
JPWO2020246278A1 (ko) 2020-12-10
CN113993714A (zh) 2022-01-28
JP7454077B2 (ja)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EP2240334B1 (en) Adapter for writing instruments
JP7454077B2 (ja) ペン型コンパス
KR101474557B1 (ko) 검지와 중지 삽입용 구멍을 구비한 필기구그립
JP5065773B2 (ja) 複合筆記具
KR100474391B1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WO2014023950A1 (en) Writing device
KR20110002480U (ko) 펜심 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KR101403576B1 (ko) 가루 볼펜
KR200351023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KR200416457Y1 (ko)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KR102652148B1 (ko) 펜형 컴퍼스
JPH10329484A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2019177639A (ja) 出没式筆記具
KR200351024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JP4333324B2 (ja) 軸の連結構造
JP6227902B2 (ja) 筆記具
KR20200050447A (ko) 피스톤식 연필 끼우개
KR200389999Y1 (ko) 미니 필기구
KR200351140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JP2013171300A (ja) 静電型入力ペン
KR200322517Y1 (ko) 연필용 기능성 뚜껑
JP3189357U (ja) 静電型入力ペン
KR200356746Y1 (ko) 다용도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