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457Y1 -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 Google Patents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457Y1
KR200416457Y1 KR2020060005387U KR20060005387U KR200416457Y1 KR 200416457 Y1 KR200416457 Y1 KR 200416457Y1 KR 2020060005387 U KR2020060005387 U KR 2020060005387U KR 20060005387 U KR20060005387 U KR 20060005387U KR 200416457 Y1 KR200416457 Y1 KR 200416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fixed shaft
knock
writ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미덕
Original Assignee
함미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미덕 filed Critical 함미덕
Priority to KR2020060005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4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4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에 관한 것이다.
노크식 필기구의 상측 필기축 상단으로 노출된 고정축 노브와, 상기 고정축노브와 잉크심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고정축 노브는 승하강하고 회전축은 회전하도록 슬라이드 홈과 경사턱을 형성한 상단 필기축으로 노크식 구성을 이루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노브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면서 상단으로 걸림턱을 갖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그 내경에는 나사 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축 노브의 내경에서 회전 승하강하는 슬라이드 면과 국부적인 표면접촉을 이루는 촉이 구비된 출몰부재를 형성하며,상기 고정축 노브의 삽입홀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결합부와 상기 출몰부재의 출입홀을 갖는 캡부로 이루어진 노브금구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노크식으로 심을 출몰시키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출몰부재의 구조와 조립구조가 안정되어져 조립의 용이함과 사용중에 조립부분에 대한 분리 또는 이로 인한 망실 등의 염려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노크기능을 안정화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노크식 필기구,슬라이드홈과 경사턱을 갖는 필기축, 고정축노브, 출몰부재

Description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boll point pen of knock type}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하는 필기구의 노크식 조작부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대한 노크식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1에 대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노크식 조작부에서 출몰부재의 돌출상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선출원의 노크식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6의 B - B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필기구 110 : 필기축 113 : 내경
115 : 걸림턱 117 : 슬라이드홈 118 : 경사턱
120 : 회전축 121a, 121b : 머리부 123 : 출몰리브
124 : 습동면 130 : 고정축노브 131 : 돌기
133 : 유도경사면 135 : 유도홀 137 : 스크류홈
138 : 통공 139 : 걸림턱 200 : 출몰부재
210 : 터치봉 211 : 슬라이드돌부 212 : 돌조
215 : 가이드리브 300 : 노브금구 301 : 내경
303 : 출몰공 305 : 리브홈 310 : 결합부
313 : 슬릿 315 : 캡부
본 고안은 노크식으로 잉크심을 출몰하는 필기구의 고정축에서 터치스크린의 표면과 피부의 혈자리를 누를 수 있는 터치봉을 출몰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기의 기능이 점차적으로 발달해 감에 따라서 LCD화면을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터치스크린 표면을 눌러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능을 채용하는 전자기기제품(개인용 휴대폰, MP3, 디지털 카메라, 게임기 등)은 휴대하기에 적당한 작은 사이즈로 제작하므로 터치스크린의 크기도 작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면적이 작은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누르기 위해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및 터치펜(TOUCH PEN)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타일러스펜은 지름이 0.5mm정도이고, 길이는 7~9㎝ 정도, 선단촉이 뾰족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에 굵기와 길이가 가늘어서 취급하기가 어색하였고, 취급하는 도중에 분실 및 망실되는 경우가 종종있으며, 일반 필기용 펜과 별도로 지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LCD화면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기존의 필기구 펜이나, 선단 촉이 뾰족한 것으로 LCD화면의 표면을 접촉시키면 스크레치가 발생하게 되고, 표면 에 스크레치가 많아지면 빛의 투과 시 산란작용을 일으켜 투시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어 선명하지 못한 화면을 시청해야 되는 불편을 겪어야 했던 것이다.
그리고, 노크식 볼펜의 압압버튼 (일명고정축노브)의 선단 나사홈을 파내고, 스타일러스펜 촉을 선단 나사홈에 결합시킨 구성이 제공된바 있으나, 이는 스타일러스펜 촉이 항상 노출된 상태를 이루고 있고, 나사식으로 조립되어 있어서 압압버튼을 취급시 번거러움이 있었고, 나사부분이 풀려서 스타일러스펜 촉이 분실되어 사용상에 불편을 경우도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제2003-39777호를 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선 출원된 특허는 필기구 하우징(32)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홀더(34)에 의해 필기구(30)의 펜촉출몰기구(36)에 연결되는 전후진 너트(40)와, 상기 전후진 너트(40)의 끝에 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된 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중공형 회전캡(42)과, 상기 전후진 너트(40)와는 나사결합되고, 상기 회전캡(42)과는 스플라인 결합되는 슬라이드스크류(44)와 상기 슬라이드스크류의 끝에 설치되어 회전캡의 중심으로 부터 안밖으로 출몰되는 터치팁(46)으로 구성된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상기 선 출원된 출몰구성은 필기구 하우징(32)속에 별도로 제작된 펜촉 출몰기구(36)를 장착하는 구성이며, 펜촉출몰기구(36) 중 전후진 너트(40)내부에 슬라이드스크류(44)를 삽입하고, 전후진 너트(40)선단에 중공형 회전캡(42)을 결합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슬라이드 스크류(44)의 표면에 수나사부(44s)와 육각형 단면모양의 스플라인 결합부(44h)를 형성한 구성입니다.
이와 같은 선 특허출원의 구성에서는 하우징 제작과 출몰기구의 제작 및 회전캡을 포함한 슬라이드 스크류의 제작을 별개로 하여서 이들을 상호 조립해야 하는 구성인 바, 조립공정수가 많아 생산성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각 부분을 조립상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킨 관계로 필기구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에서 출몰기구에 장착되는 예압스프링과 필기구심의 코일스프링의 탄력을 받을때 탄력으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 나가버리는 조립불량이 발생하였고,이는 필기구의 노크기능을 상실시켜 제품에 대한 가치를 상실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선 특허출원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기구의 출몰조작용 고정축 노브에서 촉을 갖는 출몰부재가 회전 슬라이딩되는 상태로 조작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노크식 필기구의 상측 필기축 상단으로 노출된 고정축 노브와, 상기 고정축노브와 잉크심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고정축 노브는 승하강하고 회전축은 회전하도록 슬라이드 홈과 경사턱을 형성한 상단 필기축으로 노크식 구성을 이루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노브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면서 상단으로 걸림턱을 갖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그 내경에는 나사 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축 노브의 내경에서 회전 승하강하는 슬라이드 면과 국부적인 표면접촉을 이루는 촉이 구비된 출몰부재를 형성하며,상기 고정축 노브의 삽입홀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결합부와 상기 출몰부재의 출입홀을 갖는 캡부로 이루어진 노브금구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노크식 필기구의 필기축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2는 필기축내부에 장착하는 노크식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노크식 구조물을 조립한 상태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4는 본 고안중 도3의 A-A 선 단면 평면도이고, 도5는 고정축 노브의 조작으로 이동된 출몰부재의 상태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노크식 필기구(100)의 상측 하우징 즉, 필기축(110)의 내경(113)을 가공하면서 수직으로 승하강을 안내하며 출몰을 위한 이동상태를 제어하는 걸림턱(115)과 슬라이드홈(117)과,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홈(117)의 끝에서 필기심의 촉이 노출상태를 유지하게 하도록 안내하는 경사턱(118)을 구비하여 출몰유도부(114)를 형성한다. 상기 출몰유도부(114)의 경사턱(118)이 형성된 상태는 마치 톱니의 날 부분처럼 연결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필기축(110)의 내경으로는 필기심의 출몰 조작력을 받기 위한 고정축 노브(130)와, 고정축노브(130)의 조작력에 따라서 필기심(108)을 이동시켜 선단의 필기심촉이 노출 또는 은폐 상태를 이루게 하는 회전축(120)을 삽입한다.
상기 고정축노브(130)는 회전축(120)을 결합하기 위한 유도홀(135)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도홀(135)의 입구에는 톱니형태로 되어 회전축(120)이 슬라이드홈(117)에서 벗어나게 하는 유도경사면(133)을 형성하고, 유도경사면(133)의 둘레에는 슬라이드홈(117)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돌기(131)를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축노브(130)를 종래의 고정축노브 길이를 짧게 형성한 상태에서 상단에 유도홀(135) 직경보다 작으며, 후술하는 출몰부재(200)의 터치봉(210) 직경보다 큰 통공(138)을 형성한다. 따라서 직경이 다른 유도홀(135)과 통공(138)사이에는 자연적 걸림턱(13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 노브(130)의 유도홀(135)에는 스크류홈(137)을 파내어 형성한다.
상기 고정축 노브(130)의 유도홀(135) 입구에 결합되는 회전축(120)은 필기심(108)상단에 씌워지는 끼움홈(122)을 구비한 머리부(121a)와, 유도홀(135)내에서 후술하는 출몰부재(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머리부(121b)를 직경이 다르게 형성하고, 끼움홈(122)이 구비된 머리부(121a)(121b) 둘레에는 필기심(108)의 촉이 노출 및 엄폐되는 위치를 선택하게 하는 출몰리브(123)를 방사형으로 돌출형성한다. 특히 출몰리브(123)의 상단은 고정축노브(130)의 유도면(133)에 접촉된 상태에서 필기축(110)의 경사턱(118)을 벗어날 때 용이하게 벗어나고, 유도면(133)의 경사면에서 자연적으로 미끌어지도록 하기 위해 경사진 습동면(124)을 형성한다.
출몰부재(200)는 상기 고정축 노브(130)의 유도홀(135)로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전후진을 하는 동작을 이루는 것으로, 가늘고 소정의 길이를 갖추어서 된 봉형상의 터치봉(210)과, 유도홀(135)의 직경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한 슬라이드 돌부(121)로 형성하고, 상기 터치봉(120)의 선단에 뾰족한 형상의 촉(213)을 형성하고, 터치봉(210)의 원주면에는 수직이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215)를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고정축 노브(130)의 상단에는 출몰동작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며, 노 출과 엄폐용 공간을 제공하는 노브금구(300)를 설치한다.
상기 노브금구(300)는 공간으로 된 내경(301)과 내경(301)에는 방사형으로 리브홈(305)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단으로 터치봉 직경으로 출몰공(303)을 뚫은 캡부(315)와, 상기 통공(138)에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슬릿(313)을 절개한 결합부(310)로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310)는 화살촉 형상으로 되어 선단의 경사와 스릿(313)에 의해 통공(138)으로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통공(138)내부에 걸리는 턱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캡부(315)의 상단에 형성된 출몰공(303)은 터치봉(210)이 출입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먼저 고정축 노브(130)의 상단 통공(138)으로 노브금구(300)의 결합부(310)를 끼우면 결합부(310)의 슬릿(313)이 오므라 들면서 결합부(310)는 통공(138)을 통과하고, 자체 탄력에 의하여 벌어져서 통공(138) 위치에 결합부(310)가 조립된 상태를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노브금구(300)가 결합된 고정축 노브(130)의 유도홀(135)로 출몰부재(200)를 삽입한다. 삽입되는 출몰부재(200)의 터치봉(210)은 노브금구(300)의 내경(301)으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드금구(2110에 형성된 돌조(212)는 유도홀(135)의 스크류홈(137)에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터치봉(210)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하나이상의 가이드리브(215)는 내경(301)의 리브홈(305)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상태를 이룬다.
이처럼 출몰부재(200)와 노브금구(300)가 조립된 고정축 노브(130)를 필기축(1100의 내경(113)으로 삽입하면 고정축 노브(130)의 외면하단에 돌출된 돌기(131)는 내경(113)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7)을 따라 삽입되어 걸림턱(115)에 걸리는 상태를 이루며, 이대 고정축 노브(130)는 필기축(110)의 내경(113)을 관통한 상태에서 노브금구(300)가 필기축(1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후에 고정축 노브(130)의 유도홀(135)방향으로 회전축(120)의 머리부(121 b)가 삽입되도록 끼우고, 회전축(120)의 머리부(121a)에 필기심(108)상단을 끼우면 끼움홈(122)에 필기심(108)이 결합되는 상태가 되고, 탄력스프링(107)이 끼워진 필기심(108)부분에 필기관109)을 삽입하여 필기관의 나사부를 필기축(110)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면 필기심(108)은 필기구(100) 내부에 탄력적으로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기구(100)를 잡고 노출된 노브금구(300)를 누르면 고정축 노브(130)의 돌기(131)은 필기축(110) 내경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7)을 따라서 수직 하강하는 상태가 되고, 동시에 필기심(108)과 회전축(120)등도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하강하는 고정축 노브(130)에 의해 하강되는 회전축(120)의 출몰리브(123)의 습동면(124)이 슬라이드홈(117)의 끝에 마련된 경사턱(118)을 벗어나는 순간 고정축 노브(130)의 유도경사면(133)에서 출몰리브(123)의 습동면(124)이 미끌어져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슬라이드홈(117)과 이어진 경사턱(118)으로 습동면(124)을 이동시키고, 경사턱(118)에서 미끌어져 이동한 위치에서 회전축(120)이 정지하면 필기심(108)의 촉은 필기관(109)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 가 되어 필기를 할 수 있다.
고정축 노브(130)를 다시 한번 누르면 경사턱(118)에 걸려있는 회전축(120)의 출몰리브(123)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고정축노브(130)의 유도경사면(133)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다가 경사턱(118)에서 분리되는 순간 유도경사면(133)과 출몰리브(123)의 습동면(124)에 의해 미끌어져 회전하면서 경사턱과 이어진 슬라이드홈(117)으로 안내되며 이때 고정축 노브(13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필기심(108)의 탄력스프링(107)의 복원력으로 필기심(108)과 회전축(130) 및 고정축 노브(107)는 수직상승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필기구의 노크방식의 필기심 출몰조작상태에서 고정축노브(130)의 상단에 조립된 노브금구(300)를 좌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는 데, 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축 노브(130) 유도홀(135)에 장착된 출몰부재(200)의 선단 촉(213)이 캡부(315)의 출몰공(303)으로 노출되고, 좌 방향으로 노브금구(300)를 회전시키면 노출된 출몰부재(200)의 촉(213)은 출몰공(303) 속으로 은폐된다.
즉, 노브금구(300)의 캡부(315)를 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부(315)의 내경(301)에 형성된 리브홈(305)은 이에 결합된 터치봉(210)의 가이드 리브(215)에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이처럼 가해지는 회전력은 유도홀(135)의 스크류홈(137)에 결합된 출몰부재(200)의 돌조(212)가 스크류홈(137)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이동력으로 바꿔주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출몰부재(200)의 터치봉(210)은 회전하는 상태로 수직승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 승강 된 출몰부재(200)의 터치봉(210)은 그 선단의 촉(213)이 뾰족한 형상이므로 피부의 혈점을 찾기 위하여 피부에 접촉시켜서 자극할 수 있으며, 핸드폰, PDA, PMP, MP3,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대고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노브금구(300)의 캡부(315)에 노출된 터치봉(210)의 촉(213)을 은폐시키기 위해서는 캡부(315)를 좌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부(315)의 내경(301)에 형성된 리브홈(305)은 터치봉(210)의 가이드리브(215)에 회전력을 가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터치봉(210)의 슬라이드돌부(211)에서 돌출된 돌조(212)를 스크류홈(137)을 따라 이동하는 수직 이동력으로 바꾸게 된다. 수직하강하는 터치봉(210)은 회전축(120)에 접촉되어 정지되고, 캡부(315)의 출몰공(303)속으로 터치봉(210)의 촉(213)은 은폐되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노크식으로 필기심으로 노출 또는 은폐시키는 조작상태에서 필기축 자체에 노크식 구조를 일체화 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작업공정수를 축소시킨 상태로 고가의 생산비를 저렴한 생산비로 생산할 수 있는 효율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러한 출몰구조의 일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고정축 노브에 터치 및 자극할 수 있는 출몰부재와, 출몰상태를 조작할 수 있는 캡부를 결합함이 가능하여 출몰부재의 터치봉을 출몰시키기 위한 구조 부품을 감소시켜 생산비와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 고장발생의 요인도 줄어 저렴하면서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노크식 볼펜의 상측 필기축 상단으로 노출된 고정축노브와 상기 고정축노브와 잉크심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고정축 노브는 승하강하고 회전축은 회전하도록 슬라이드홈과 경사턱을 형성한 상단 필기축으로 이루어진 출몰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노브의 길이를 짧게하면서 상단으로 걸림턱을 갖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그 내경에는 나사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축 노브의 내경에서 회전승하강하는 슬라이드면과 국부적인 표면접촉을 이루는 촉이 구비된 출몰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축 노브의 삽입홀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결합부와 상기 출몰부재의 출입홀을 갖는 캡부로 이루어진 노브금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볼펜의 터치봉 출몰구조.
  2.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금구의 결합부에는 슬릿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볼펜의 터치봉 출몰구조.
  3.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는 고정축 노브의 내경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나사부와, 노브금구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리브를 터치봉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볼펜의 터치봉 출몰구조.
  4.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금구의 결합부는 고정축 노브의 삽입홀 끼움 시 재질자체의 탄성과 슬릿홀에 의해 탄력결합되고, 출몰부재의 터치봉의 가이드리브 돌출면이 상기 슬릿홀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볼펜의 터치봉 출몰구조.
  5.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금구의 캡부에는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접촉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볼펜의 터치봉 출몰구조.
KR2020060005387U 2006-02-27 2006-02-27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KR200416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387U KR200416457Y1 (ko) 2006-02-27 2006-02-27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387U KR200416457Y1 (ko) 2006-02-27 2006-02-27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492A Division KR20070089036A (ko) 2006-11-30 2006-11-30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457Y1 true KR200416457Y1 (ko) 2006-05-15

Family

ID=4176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387U KR200416457Y1 (ko) 2006-02-27 2006-02-27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4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29B1 (ko) 2008-05-08 2011-01-26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귀의 피부 관찰용 디지털 카메라
CN108694893A (zh) * 2017-04-11 2018-10-23 邵海艳 一种安装装置及led显示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29B1 (ko) 2008-05-08 2011-01-26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귀의 피부 관찰용 디지털 카메라
CN108694893A (zh) * 2017-04-11 2018-10-23 邵海艳 一种安装装置及led显示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0334B1 (en) Adapter for writing instruments
US6290413B1 (en) Writing instrument
US20020158854A1 (en) Stylus pen for personal digital mobile device
KR200416457Y1 (ko)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CN102135818B (zh) 触控笔
KR20070089036A (ko)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JP7454077B2 (ja) ペン型コンパス
JP5065773B2 (ja) 複合筆記具
JP4906625B2 (ja) ノック式筆記具
KR102091564B1 (ko) 커터날을 포함하는 출몰식 필기구
JP6038097B2 (ja) 筆記具
CN208232661U (zh) 可削彩铅的削笔机
KR200351024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JP2008254371A (ja) 筆記具
JP6227902B2 (ja) 筆記具
KR200351140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US11911922B2 (en) Multi tool with a writing utensil and a knife
JPH07214973A (ja) 棒状物係止装置及びその筆記具
KR200331264Y1 (ko) 구구단 계산용 필기구
KR200351023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0363363Y1 (ko) 6각 연필형 볼펜의 뚜껑
KR20040049440A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KR200399057Y1 (ko) 구구단 계산용 필기구
KR200430310Y1 (ko) 돋보기를 갖는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