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023Y1 -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023Y1
KR200351023Y1 KR20-2004-0003816U KR20040003816U KR200351023Y1 KR 200351023 Y1 KR200351023 Y1 KR 200351023Y1 KR 20040003816 U KR20040003816 U KR 20040003816U KR 200351023 Y1 KR200351023 Y1 KR 200351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nib
dedicated
writing instrumen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철환
Original Assignee
남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철환 filed Critical 남철환
Priority to KR20-2004-0003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치 스크린에 문자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용 촉을 구비한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은 필기구의 연필심 또는 볼포인트심이 노크식으로 출몰되도록 촉캡이 결합된 펜대의 내부에 추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출부재에는 펜대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압력을 받도록 된 압압버튼을 구비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압버튼을 뚜껑부재와 스타일러스 펜부재로 형성하여, 상기 추출부재에 연결되는 전용 촉 부재의 일측으로 문자입력용 전용 촉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전용 촉 보호용 뚜껑부재가 삽입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씌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전용 촉을 보호하는 가드캡부로 구성을 제공함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필기구 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휴대의 간편함과 사용상의 편리함 및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for ball point and stylus pen}
본 고안은 PDA기기 및 휴대폰의 터치 스크린에 문자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용 촉을 구비한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A기기와 휴대폰, 그리고 컴퓨터의 내부 저장장치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한글 문자나 영문자가 배열된 키패드의 자판버튼을 일일이 눌러서 필요한 문자를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드형 모니터에 문자인식을 하도록 한 구조를 갖추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문장을 스크린에 표시할 때 저장부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분류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드를 통하여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일반적인 필기구 펜이 아닌 다른 펜 즉, 터치 스크린 패드의 표면이 긁히지 않도록 선단이 둥굴며,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하기에 적당하게 경사진 물체(일명; 스타일러스 펜)를 사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터치 스크린 패드에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을 필기구와는 별개로 PDA기기의 보호 케이스 및 휴대폰에 고리를 이용해 보관, 휴대하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시 보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분실의 우려가 있고, 입력시 어디에 보관 했는지를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필기구와 스타일러스 펜을 같이 휴대하는 경우 휴대 물품이 많아 지는 것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3-39777호(2003년 06월 19일 출원)로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필기구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은 도 1의 기재와 같이 노크식으로 볼 포인트 촉심이 출몰되는 필기구(10)의 하우징(11) 상단에 볼 포인트 촉심의 출몰을 위한 힘을 가하도록 된 전후진 너트(13)에서 회전캡(15)과 터치팁(17)이 회전식으로 출몰되게 형성한 스타일러스 펜(20)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은 통상적으로 필기구(10)를 사용하다가 터치스크린 패드에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해야하는 경우 전후진 너트(13)에 결합된 회전캡(15)을 돌리면 터치팁(17)이 슬라이드되어 회전캡(15)상부로 출현되어 스타일러스 펜(20)을 형성하므로 출현된 터치팁(17)으로 터치스크린에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하는 목적을 이행 할 수 있고, 상기 회전캡(15)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터치팁(17)이 회전캡(15)속으로 들어가 보관되며, 회전캡(15)을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면 도시하지 않은 볼 포인트 심이 터치팁(17)의 반대위치에서 출현하여 일반적인 글씨를 기록하는 필기구(10)로 사용 하였다.
이러한 선출원 구성에서의 스타일러스 펜은 볼 포인트 심을 구비한 필기구에 구성하므로 다른 구조의 필기구 즉, 샤프 펜슬이나, 일반 누름식 볼펜 및 추출부재가 없는 심 고정상태의 필기구에는 적용하기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조립구조가 복잡함에 따라서 제조 단가가 자연적 상승하므로 저거의 필기구에는 적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출원의 구성에서는 볼 포안트촉이 노출된 상태로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과 의복 및 그밖의 주변물품에 잉크가 묻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필기구의 압압버튼에 터치 스크린 패드입력용 문자를 기재할 수 있는 전용 촉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전용 촉에 뚜껑을 씌운 구성으로 조립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저가의 필기구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필기구로 혹은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필기구의 연필심 또는 볼 포인트심이 노크식으로 출몰되도록 촉캡이 결합된 펜대의 내부에 추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출부재에는 펜대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압력을 받도록 된 압압버튼을 구비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압버튼을 뚜껑부재와 스타일러스 펜부재로 형성하여, 상기 추출부재에 연결되는 전용 촉 부재의 일측으로 문자입력용 전용 촉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전용 촉 보호용 뚜껑부재가 삽입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씌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전용 촉을 보호하는 가드캡부로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달성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또 상기 전용 촉을 스타일러스 펜부재의 삽입부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구성과, 상기 뚜껑부재의 가드캡부가 위치하는 면에 결합을 위한 돌기를 형성하여서 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도 달성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상기 전용 촉과 스타일러스 펜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부재의 삽입부에는 전용 촉의 고정부가 삽입되는 촉홀을 형성하여 전용 촉을 삽입부의 촉홀로 삽입하여서 고정된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도 달성될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할때에는 상기 뚜껑부재의 삽입부에 결합되는 가드캡부는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전용 촉이 투시되도록 한 구성과 상기 펜대의 추출부재와 결합되는 촉캡에는 압압버튼에서 분리된 상기 뚜껑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필기구에 구비된 스타일러스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대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중 뚜껑부재와 전용 촉부재에 대한 발췌 확대 단면도
도 4는 뚜껑부재를 펜대의 촉심에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중 전용 촉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볼포인트 심 110 : 촉캡 112 : 지지부
120 : 펜대 130 : 추출부재 140 : 압압버튼
150 : 뚜껑부재 151 : 삽입부 153 : 가드캡부
160 : 스타일러스 펜부재 161 : 전용촉 163 : 안착부
165 : 체결홀 169 : 탄력편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대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중 뚜껑부재와 전용 촉부재에 대한 발췌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뚜껑부재를 펜대의 촉심에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2의 기재와 같이 필기구(200)의 연필심 또는 볼포인트심(100)이 노크식으로 출몰되도록 촉캡(110)이 결합된 펜대(120)의 내부에 추출부재(130)를 구비하고, 상기 추출부재(130)에는 펜대(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압력을 받도록 된 압압버튼(140)을 구비한 필기구(200)에 있어서,
상기 압압버튼(140)은 뚜껑부재(150)와 스타일러스 펜부재(160)로 형성하여, 상기 추출부재(130)와 연결되는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의 일측에 문자입력용 전용 촉(161)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전용 촉 보호용 뚜껑부재(150)가 삽입되는 안착부(163)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부재(150)는 상기 안착부(163)에 씌워지는 삽입부(151)와, 상기 전용 촉(161)을 보호하는 가드캡부(153)로 구성된다.
상기 압압버튼(140)에 구성되는 스타일러스 펜부재(160)는 도 3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일측 중앙에는 추출부재(130)와 결합을 위한 체결홀(165)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전용 촉(161)과의 결합을 위한 촉홀(16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에는 뚜껑부재(150)가 씌워져 있도록 하는 안착부(163)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63)에는 상기 뚜껑부재의 가드캡부(153)의 결합시 안정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169)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뚜껑부재(150)는 상기 안착부(163)에 씌워지는 직경을 내경으로 갖는 삽입부(151)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151) 일단에 전용 촉(161)을 보호함과 동시에 은폐할 수 있도록 된 가드캡부(153)를 결합한 구성이고, 상기 삽입부(151)에는 안착부(163)외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돌편(155)을 형성한다.
상기 펜대(120)의 선단에 결합되어 볼포인트심이 출몰하는 촉캡(110)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시 압압버튼(140)에서 분리된 상기 뚜껑부재(150)를 결합시켜 촉심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163)와 같은 형상으로 된 지지부(112)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169)를 형성함에 있어서, 안착부 외면에서 링처럼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설계적인 요구에 따라서는 국부적인 위치에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뚜껑부재(15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51)는 가드캡부(153)구성까지 일체로 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취급성이 간단해진다.
상기 뚜껑부재(150)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삽입부(151)의 일단과 결합되는 별개의 가드캡부(153)로 형성하여 삽입부(151)와 가드캡부(153)결합되도록 하되, 가드캡부(153)를 삽입부와는 다른 재질로 불투명 및 투명하게 형성함도 무방하다. 가드캡부(153)를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가드캡부(153)를 통하여 전용 촉(161) 또는 촉캡(110)이 투시된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부재(160)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5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의 삽입부(163)선단을 돌출시켜 전용 촉(161)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또, 상기 스타일러스 펜부재(160)를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전용 촉(161)성형시에 야광물질을 혼합 · 사출성형하여 야간에 빛을 발산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필기구는 압압버튼(140)에 형성된 촉홀(167)로 전용 촉(161)을 삽입하여서 고정된 스타일러스 펜부재(160) 또는 전용 촉(161)이 일체로 형성된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에 형성된 체결홀(165)을 펜대(120)내부에 위치한 추출부재(130)에 선단에 끼워 결합고정하면 상기 펜대(120)의 상단으로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의 안착부(163)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드캡부(153)가 일체로 형성된 뚜껑부재(150), 혹은 투명하거나, 야광도료를 표면에 도포한 별도의 가드캡부(153)를 삽입부(151)에 결합시켜서 된 뚜껑부재(150)를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의 안착부(163)에 씌운다.
이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에 뚜껑부재(150)를 결합시킴으로 형성되는 압압버튼(140)을 누르게 되면 통상의 노크식 추출부재에 의해 펜대(120)의 촉캡(110)에서 볼 포인트심(100)이 노출되므로 일반용지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문장을 기재할 수 있다. 그리고 압압버튼(140)을 다시 누르면 촉캡(110)내부로 볼 포인트 심(100)이 들어가면 휴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필기구를 사용하거나, 휴대중일때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볼포인트 심(100)의 출몰상태에 관계없이 압압버튼(140)의 뚜껑부재(150)를 잡고 당기면 안착부(163)에서 뚜껑부재(150)의 삽입부(151)가 분리된다.
이처럼 분리된 뚜껑부재(150)를 펜대(120)의 촉캡(110)에 구비된 지지부(112)에 위치시켜 씌우면 삽입부(151)가 촉캡(110)의 지지부(112)에 끼워져 도 4와 같은 상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뚜껑부재(150)를 촉캡(1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펜대(120)를 통상의 필기구(200)처럼 잡고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의 전용 촉(161)을 터치스크린 패드에 접촉시켜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혹은 문장을 기입하거나, 터치스크린 패드에 나타난 문자판을 선택하여 누른다.
이러한 전용 촉(161)의 선단은 둥글고 그 재질이 터치스크린 패드에 흠집을 내지 않는 재질이어서 사용자 마음대로 기재할 수 있다.
이때, 뚜껑부재(150)는 촉캡(110)에 씌워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에 볼 포인트 심(100)의 잉크가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문자 또는 문장의 기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촉캡(110)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재(150)를 잡아당기면 촉캡(110)에서 뚜껑부재(150)는 분리되고, 이를 다시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의 안착부(163)에 삽입시키면 필기구의 심을 촐몰시키는 압압버튼(140)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뚜껑부재(150)의 가드캡부(153)가 투명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가드캡부(153)를 통하여 그 내부를 투시할 수 있어 촉캡(110) 또는 스타일러스 펜부재(160)를 식별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가드캡부(153)에 야광물질을 도포한 경우에는 야간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필기구의 위치확인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필기구의 압압버튼에 터치스크린 페드에 문자 및 문장을 입력할 수 있는 전용촉을 형성하는 스타일러스 펜부재와 상기 스타일러스 펜부재를 보호하는 뚜껑부재를 형성한 구성에 의해 제작과 조립이 간편하며 사용시 뚜껑부재에 의해 잉크가 손에 묻지 않는 이점이 있고, 생산단가가 저렴하여서 일반적인 필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뚜껑에 다른 재질의 가드캡을 형성하게 되어 신미감 및 필기구의 기능과 디자인을 고품질화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필기구의 연필심 또는 볼포인트심이 노크식으로 출몰되도록 촉캡이 결합된 펜대의 내부에 추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출부재에는 펜대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압력을 받도록 된 압압버튼을 구비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압버튼을 뚜껑부재와 스타일러스 펜부재로 형성하여, 상기 추출부재에 연결되는 스타일러스 펜부재의 일측으로 문자입력용 전용 촉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전용 촉 보호용 뚜껑부재가 삽입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씌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전용 촉을 보호하는 가드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촉은 스타일러스 펜부재의 삽입부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촉과 스타일러스 펜부재의 삽입부를 분리형성하여 삽입부에는 전용 촉이 삽입되는 촉홀을 형성하여 전용 촉의 일단을 삽입부의 촉홀로 삽입하여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부재의 삽입부에는 상기 뚜껑부재의 가드캡부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의 삽입부에 결합되는 가드캡부는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전용 촉이 투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의 추출부재와 결합되는 촉캡에는 압압버튼에서 분리된 상기 뚜껑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7. 제 1항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부재(160)에는 야광물질을 혼합 또는 표면에 도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2004-0003816U 2004-02-16 2004-02-16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0351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816U KR200351023Y1 (ko) 2004-02-16 2004-02-16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816U KR200351023Y1 (ko) 2004-02-16 2004-02-16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023Y1 true KR200351023Y1 (ko) 2004-06-23

Family

ID=4943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816U KR200351023Y1 (ko) 2004-02-16 2004-02-16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0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09B1 (ko) 2008-06-30 2010-03-18 홍인기 다용도 필기구
KR101137444B1 (ko) * 2011-03-30 2012-04-20 정광수 볼펜 겸용 정전식 터치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09B1 (ko) 2008-06-30 2010-03-18 홍인기 다용도 필기구
KR101137444B1 (ko) * 2011-03-30 2012-04-20 정광수 볼펜 겸용 정전식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992B1 (en) Writing instrument
US20020158854A1 (en) Stylus pen for personal digital mobile device
JPH11198585A (ja) 筆記具用グリップおよび筆記具用キャップならびに筆記具
JPH09510807A (ja) ペンコンピュータ装置(pen computing device)に使用するワイヤレススタイラス(wireless stylus)とその使い捨てスタイラスカートリッジ(disposable stylus cartridge)
US6659673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JP7454077B2 (ja) ペン型コンパス
KR200351023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0469825Y1 (ko) 터치펜
KR200422551Y1 (ko) 터치 팁이 구비된 펜
US6702500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KR200448221Y1 (ko) 터치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KR200351024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0351140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101403576B1 (ko) 가루 볼펜
KR200401650Y1 (ko) 샤프 펜의 스타일러스 펜 구조
KR200363183Y1 (ko) 샤프펜슬의 메모펜 구조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KR20130142828A (ko)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US3690778A (en) Push-button type writing instrument with a cap
JP3189356U (ja) 静電型入力ペン
JP2013140421A (ja) 静電型入力ペン
JP2008254371A (ja) 筆記具
KR200356758Y1 (ko) 샤프펜슬의 구조
KR200389999Y1 (ko) 미니 필기구
KR200356746Y1 (ko) 다용도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