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999Y1 - 미니 필기구 - Google Patents

미니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999Y1
KR200389999Y1 KR20-2005-0010443U KR20050010443U KR200389999Y1 KR 200389999 Y1 KR200389999 Y1 KR 200389999Y1 KR 20050010443 U KR20050010443 U KR 20050010443U KR 200389999 Y1 KR200389999 Y1 KR 200389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ini
writing instrument
tip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록
Original Assignee
신수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록 filed Critical 신수록
Priority to KR20-2005-0010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0Key holders; Key board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기가 작아 휴대가 간편한 미니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도구가 내장된 몸체와, 캡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개구부의 주연에 상기 몸체의 고정부가 끼움 고정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캡이 몸체의 전체를 수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몸체의 선단부만 수용하는 캡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필기구에 비하여 볼펜길이를 더욱 작게 제작할 수 있어 휴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니 필기구{MINI PEN}
본 고안은 크기가 작아 휴대가 간편한 미니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도구가 내장된 몸체와, 캡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개구부의 주연에 상기 몸체의 고정부가 끼움 고정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볼펜은 원통형 등으로 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삽입된 볼펜심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볼펜 휴대시 볼펜심에 들어 있는 잉크에 의하여 옷 등을 버릴 염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펜심을 상기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인입, 인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된 볼펜심을 캡으로 수용하였다.
보통 사용되는 볼펜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필기를 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와 길이가 요구되며, 그 중 휴대와 직결되는 길이는 볼펜을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이용하여 파지했을 때 적어도 볼펜의 일부분이 엄지손가락과 검지가 교차하는 부분에 안착되는 정도의 길이(90~130mm)를 갖고 있어야 하고, 이 정도의 길이를 갖는 볼펜은 주머니 등에 휴대하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볼펜의 휴대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볼펜들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63332호는 볼펜 몸체와 케이스 및 볼펜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볼펜에 있어서, 상기 볼펜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펜의 하부에는 상기 볼펜 뚜껑 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볼펜 뚜껑과 볼펜 케이스가 결합한 상태의 전 길이가 볼펜 원통 단면 직경의 3~5배인 휴대용 액세서리 초미니 볼펜을 제안하고 있으나, 뚜껑에 볼펜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를 제작하고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볼펜 뚜껑이 볼펜 몸체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필연적으로 볼펜의 길이가 길게 되어 휴대성이 크게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게들 뿐만 아니라 필기시에는 볼펜의 길이가 길어져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고, 휴대시에는 볼펜길이를 줄여 휴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니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필기도구가 내장된 몸체와, 캡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개구부의 주연에 상기 몸체의 고정부가 끼움 고정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 내장된 필기도구는 잉크가 담겨진 볼펜심과, 상기 볼펜심의 선단에 결합되는 볼펜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중공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선단캡과; 일단부가 상기 선단캡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어 필심을 선택적으로 상기 선단캡으로 송출하는 필심송출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부에 슬라이딩결합되고, 측면부에 상기 캡의 절개부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필심송출부의 타단부를 끼움 고정하는 요홈이 형성된 버튼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고정부에 요홈 또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일측에 고리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미니 필기구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각 도면에서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은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구성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미니필기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미니필기구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몸체의 볼펜팁이 돌출되도록 몸체의 고정부를 캡의 절개부에 끼움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미니필기구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몸체(20)와, 캡(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0)는 볼펜심, 필심송출부(270) 등의 필기도구가 내장되어 종이 등에 필기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몸체(20)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몸체(20)가 상기 캡(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캡(10)으로부터 상기 몸체(2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10)은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20)의 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의 주연에 상기 고정부(210)와 끼움 고정되는 절개부(110)가 구비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미니 필기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휴대할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몸체(20)의 볼펜팁(230) 등을 보호하고 필기구의 크기를 작게하여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20)를 상기 캡(10)에 수용하고, 이때 상기 몸체(20)는 상기 몸체(20)의 고정부(210)와 상기 캡(10)의 절개부(110)의 끼움 고정에 의하여 상기 캡(10)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미니 필기구를 이용하여 종이 등에 필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손가락으로 상기 몸체(10)의 고정부(210)를 파지한 후 외력을 가하여 외측으로 상기 몸체(20)를 당겨 상기(10)으로부터 상기 몸체를 분리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몸체(20)를 캡(1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20)의 고정부(210)의 상부면에 요철(2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몸체(20)의 고정부(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철 대신에 요홈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다음 분리된 몸체(20)의 일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몸체(20)의 일단부를 도 3과 같이 상기 고정부(210)가 상기 캡(10)의 절개부(110)에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20)에 삽입시켜 상기 몸체(20)를 캡(10)에 고정결합한다.
도 4는 원기둥형상의 몸체(20)가 캡(10)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몸체(20)의 볼펜팁(230)이 돌출되도록 원기둥형상의 몸체(20)를 캡(10)에 고정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캡(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리구멍(130)에 열쇠고리(150)를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과 같이 상기 캡(10)의 상부면에 고리구멍(130)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리구멍(130)에 열쇠고리(150) 등을 장착하여 열쇠고리, 핸드폰고리, 펜던트 등의 기타 액세서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캡(10)의 측면부에 로고 등의 광고내용(50)을 기재하여 본 발명의 미니 필기구를 널리 판촉물로서 사용할 수 도 있으며, 또한 도 6에서는 상기 몸체(20) 및 상기 캡(10)의 형상을 단면이 정사각형인 기둥으로 도시하였으나, 보다 많은 광고내용을 기재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인 기둥으로 형성할 수 도 있으며, 기타 원기둥, 삼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기타 다각기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미니 필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미니 필기구 중 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몸체의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미니 필기구는 제1실시예와 달리 몸체(20)는 도 9와 같이 필심(도 10의 272)을 가이드하는 선단캡(250)과, 몸통부(260)와, 상기 몸통부(260)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선단캡(250)과 결합되는 필심송출부(270)와, 상기 필심송출부(270)의 타단부에 끼움 고정되는 버튼캡(2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260)는 도 9와 같이 상부면에 상기 필심송출부(270)의 일단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262)이 형성되고, 저부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부면의 주연에는 가이드홈(2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심송출부(270)는 필심(도 10의 272)을 소정의 작동에 따라 일정 길이만큼 송출시키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필심송출부(270)의 일단부는 상기 몸통부(260)의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공(262)을 관통하여 상기 선단캡(250)과 결합되고, 상기 필심송출부(270)의 일단부와 상기 선단캡(25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선단캡(250)이 상기 몸통부(260)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캡(280)의 상부면에는 상기 필심송출부(270)의 타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8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필심송출부(270)의 타단부가 상기 버튼캡(280)의 수용홈(281)에 수용되어 끼움 고정됨으로써, 외력을 가하여 상기 버튼캡(280)을 누를 경우 상기 필심송출부(270)가 상기 버튼캡(280)의 상부면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캡(280)의 측면부에는 상기 몸통부(260)의 가이드홈(264)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캡(10)의 절개부(110)에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28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282)의 상부면에는 요홈 또는 요철(28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버튼캡이 외력에 의해 눌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버튼캡(280)에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도 10과 같이 상기 버튼캡(280)의 수용홈(281)에 끼움 고정된 필심송출부(270)가 상기 필심송출부(270)내에 위치한 필심(272)을 선단캡(250)으로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은 몸체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캡에 고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캡을 눌러 몸체의 선단부로 필심이 송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미니 필기구를 이용하여 종이 등에 필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캡(10)으로부터 몸체(20)를 분리하고, 상기 몸체(20)의 선단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회전시킨 다음 상기 몸체(20)의 버튼캡(280)의 고정부(282)를 상기 캡(10)의 절개부(110)에 끼움 고정시켜 상기 몸체(20)를 상기 캡(10)에 고정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를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캡(10)을 도 12와 같이 누르면 상기 캡(10)의 절개부(110)에 고정된 상기 버튼캡(280)이 상기 필심송출부(270)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필심송출부(270)는 필심(272)을 상기 몸체(20)의 선단캡(250)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니 필기구는 볼펜, 필심송출부 등의 필기구가 내장된 몸체를 캡이 전체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몸체의 선단부만 수용하는 캡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미니 필기구에 비하여 더욱 크기가 작아 휴대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몸체의 측면부에 여러 가지 광고문구를 기재할 수 있어 판촉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고정부의 상부면에 요홈 또는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정부를 슬립되지 않도록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어 더욱 간편하게 상기 몸체를 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캡의 일측에 고리구멍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용도에 따라 열쇠고리, 핸드폰 고리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펜던트 등의 액세서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미니필기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미니필기구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몸체의 볼펜팁이 돌출되도록 몸체의 고정부를 캡의 절개부에 끼움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원기둥형상의 몸체가 캡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몸체의 볼펜팁이 돌출되도록 원기둥형상의 몸체를 캡에 고정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캡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리구멍에 열쇠고리를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미니 필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미니 필기구 중 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몸체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버튼캡이 외력에 의해 눌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몸체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캡에 고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캡을 눌러 몸체의 선단부로 필심이 송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캡 110: 절개부
130: 고리구멍 150: 열쇠고리
20: 몸체 210: 고정부
230: 볼펜심 250: 선단캡
260: 몸통부 270: 필심송출부
280: 버튼캡

Claims (5)

  1. 필기도구가 내장된 몸체와, 캡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개구부의 주연에 상기 몸체의 고정부가 끼움 고정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내장된 필기도구는 잉크가 담겨진 볼펜심과, 상기 볼펜심의 선단에 결합되는 볼펜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공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선단캡과; 일단부가 상기 선단캡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어 필심을 선택적으로 상기 선단캡으로 송출하는 필심송출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부에 슬라이딩결합되고, 측면부에 상기 캡의 절개부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필심송출부의 타단부를 끼움 고정하는 요홈이 형성된 버튼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고정부에 요홈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측에 고리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필기구.
KR20-2005-0010443U 2005-04-15 2005-04-15 미니 필기구 KR200389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443U KR200389999Y1 (ko) 2005-04-15 2005-04-15 미니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443U KR200389999Y1 (ko) 2005-04-15 2005-04-15 미니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999Y1 true KR200389999Y1 (ko) 2005-07-14

Family

ID=4369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443U KR200389999Y1 (ko) 2005-04-15 2005-04-15 미니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9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0334B1 (en) Adapter for writing instruments
US6290413B1 (en) Writing instrument
JP2545330Y2 (ja) 筆記具
US8128302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lidable cap
KR200389999Y1 (ko) 미니 필기구
JP7454077B2 (ja) ペン型コンパス
US20110318084A1 (en) Retraction mechanism
US5995123A (en) Marking and counting probe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CN110303800B (zh) 一种可换笔芯的压缩笔
KR100474391B1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KR200397228Y1 (ko) 접착식 메모지를 내장하는 필기구
KR200266528Y1 (ko) 다기능 지우개
KR200351023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0363363Y1 (ko) 6각 연필형 볼펜의 뚜껑
KR200351140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0260972Y1 (ko) 필기구와 메모지를 겸비한 열쇠고리
KR200416457Y1 (ko) 노크식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KR200280251Y1 (ko) 필기구가 구비된 부채
KR200322517Y1 (ko) 연필용 기능성 뚜껑
JPH053347Y2 (ko)
KR200351024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0351049Y1 (ko) 몽당 연필 사용이 가능한 볼펜 몸체 구조
KR200314626Y1 (ko) 다기능 필기구
JP3142438U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