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626Y1 - 다기능 필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626Y1
KR200314626Y1 KR20-2003-0004795U KR20030004795U KR200314626Y1 KR 200314626 Y1 KR200314626 Y1 KR 200314626Y1 KR 20030004795 U KR20030004795 U KR 20030004795U KR 200314626 Y1 KR200314626 Y1 KR 200314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predetermined length
writing instrument
storage ho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우진
Original Assignee
선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진 filed Critical 선우진
Priority to KR20-2003-0004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 신체(손가락)에 부착 고정되는 축소된 부피구조로서 필기구의 휴대 및 그에 따른 사용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편리한 휴대관계로서 불필요한 필기구의 분실을 예방되도록 하여 사용효율을 극히 상승되도록 한 다기능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글자를 적고 그림을 그리는 단순한 필기수단 이외의 구성으로서, 컷팅수단과, 천공수단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교환 가능하도록 하여, 그 사용기능을 다양한 형태로 범용화 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범용화된 사용기능으로서 다수의 문방도구를 빈번하게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경제성 향상 효과를 부여되도록 한 다기능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탄성연결구와 스프링이 내설된 탄성작동부를 중심으로 그 좌, 우 양측면에 개폐뚜껑을 갖는 천공부재 보관홀과, 절단부재 보관홀을 일체로 구비토록 한 몸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탄성연결구에 탈,부착 연결되는 나사체결 구조로서 체결홈과, 고정홈과 심부재를 구비한 소정길이의 필기수단을 형성시키며;
재차, 상기 몸체를 사용자 신체에 부착, 휴대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서, 고정밴드와, 스톱링과, 힌지연결부를 구비한 소정길이의 장착편을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필기구{Mult pencil}
본 고안은 다기능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신체(손가락)에 부착, 고정되는 축소된 부피구성으로서, 휴대의 편리성을 부여되도록 하고, 또한, 글자를 적고 그림을 그리는 단순한 필기구로써 뿐만 아니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컷팅수단과 천공수단으로 그 기능을 다변화 되도록하여 범용적인 사용관계를갖도록 한 다기능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라 함은 연필, 볼펜, 만년필, 붓 등의 문방도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필기구는 통상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필기구는 문자를 쓰기위한 위한 심의 종류에 있어서만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일뿐, 그 전체적인 구성은 별반(別般) 차이가 없는 일반적인 형태로서;
통상, 소정의 길이를 갖는 손잡이에 흑연을 일체로 매설시키거나 혹은 잉크를 충전시킨 펜심 내지 펜촉등의 부재를 손잡이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필기구는 단순한 막대형상으로서 소정 길이의 부피 구조를 갖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이를 휴대함에 있어서는 필통과 같은 별도의 보관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이와같은 별도의 보관수단(보관)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 있어서는, 필기구를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시키나 혹은 주머니등에 수납시켜야 했음으로, 이에 필기구 분실의 위험성과 함께,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불편하게 하는 등, 상당한 구조상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는 단순히 글자 내지 그림을 그리는 용도에 한정되는 기능 구성으로서, 이에 원거리 이동을 행하며 다수종류의 문방도구(필기구 이외의 포장끈 절단을 위한 컷팅칼 내지 천공용 송곳등)를 수시로 이용해야 하는 택배, 퀵써비스, 우편배달업종 등의 종사자들은 다양한 용도의 문방도구를 개별적으로 구입해야하는 경제적 부담의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으며, 이의 사용 또한 각각 개별적으로 휴대한 상태하에 용도별로 구별 사용해야 하는 상당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정적 사용관계를 갖는 종래 필기구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 신체(손가락)에 부착 고정되는 축소된 부피구조로서 필기구의 휴대 및 그에 따른 사용관계를 편리화 되도록하고, 이와같은 편리한 휴대관계로서 불필요한 필기구의 분실을 예방되도록 하여 사용효율을 극히 상승되도록 한 다기능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글자를 적고 그림을 그리는 필기수단 이외의 구성으로서, 컷팅수단과, 천공수단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교환가능하도록 하여, 그 사용기능을 다양한 형태로 범용화 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범용화된 사용기능으로서 다수의 문방도구를 빈번하게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경제성 향상 효과를 부여되도록 한 다기능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탄성연결구와 스프링이 내설된 탄성작동부를 중심으로 그 좌, 우 양측면에 개폐뚜껑을 갖는 천공부재 보관홀과, 절단부재 보관홀을 일체로 구비토록 한 몸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탄성연결구에 탈,부착 연결되는 나사체결 구조로서 체결홈과, 고정홈과 심부재를 구비한 소정길이의 필기수단을 형성시키며;
재차, 상기 몸체를 사용자 신체에 부착, 휴대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서, 고정밴드와, 스톱링과, 힌지연결부를 구비한 소정길이의 장착편을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요부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사용상태도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필기수단 3 : 천공부재
4 : 절단부재 5 : 장착편 11 : 탄성작동부
12 : 천공부재 보관홀 13 : 절단부재보관홀 14 : 힌지구
51 : 고정밴드 52 : 스톱링 53 : 힌지연결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요부 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의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호 직립 구획된 공간구조로서 탄성작동부(11)와, 천공부재 보관홀(12)과, 절단부재 보관홀(13)로 이루어진 몸체(1)를 형성하고, 이와같이 형성된 몸체와 일련의 결합관계를 갖는 부품 구조로서 필기수단(2)과, 천공부재(3)와, 절단부재(4)와, 장착편(5)을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는 그 후면 상부 중앙에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로서 회전구(141)와 회동연결구(142)로 이루어진 힌지구(14)를 일체로 구비되도록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작동부(11)는 소정길이를 갖는 직립 공간구조로서, 이는 도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내부에 스프링(S)을 내설하고, 상기 스프링(S)이 내설된 하부면에 관통구조를 이루는 탄성안내공(P)을 형성하며, 상기 탄성안내공(P)에 걸림되는 봉상체의 체결수단으로서, 외측면을 수나사(N)로 형성한 탄성연결구(111)를 장착되도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 보관홀(12)은 소정길이를 갖는 직립 공간구조로서, 그 상부면에 선택적으로 열림 및 닫힘되는 개폐뚜껑(121)을 구비되도록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부재 보관홀(13)은 전술한 천공부재 보관홀(12)과 대칭되는 동일 구조로서, 그 상부면에 선택적으로 열림 및 닫힘되는 개폐뚜껑(131)을 구비되도록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기수단(2)은 도 1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소정 길이의 봉 상체로서, 이에 이와같은 필기수단(2)은 그 상단면 중앙에 암사나 구조를 취하는 체결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21)을 형성한 필기수단(2)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원형띠 구조를 취하는 고정홈(22)을 형성하며, 재차 필기수단(2)의 내부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직립 설치구로서 잉크를 충진한 심부재(23)를 장착되도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3)는 도 1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소정 길이의 봉상체로서, 이에 이와같은 천공부재(3)는 그 상단면 중앙에 암사나 구조를 취하는 체결홈(3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31)을 형성한 천공부재(3)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원형띠 구조를 취하는 고정홈(32)을 형성하며, 재차 천공부재(3)의 하단면으로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천공핀(33)을 일체로 장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부재(4)는 도 1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소정 길이의 봉상체로서, 이에 이와같은 절단부재(4)는 그 상단면 중앙에 암사나 구조를 취하는 체결홈(4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41)을 형성한 절단부재(4)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원형띠 구조를 취하는 고정홈(42)을 형성하며, 재차 절단부재(4)의 하단면으로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컷팅날(43)을 일체로 장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편(5)은 전술한 몸체(1)를 사용자 신체(손가락)에 부착, 휴대시키기 위한 소정 길이의 연결수단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장착편(5)은 그 중앙부에 판상의 원형띠 구조로 고정밴드(51)를 형성하고, 그 하부면에 일측면이 개방된 링구조의 스톱링(52)을 형성하며, 재차 장착편(5)의 상단부에 라운딩 절곡된 연결수단으로서 힌지연결부(53)를 형성되도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기능 필기구의 각 구성부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먼저, 탄성연결구(111)와 스프링(S)이 내설된 탄성작동부(11)를 중심으로 그좌, 우 양측면에 천공부재 보관홀(12)과, 절단부재 보관홀(13)을 구비토록 한 몸체(1)를 단일 성형구조로 일체화 형성시킨 상태하에, 상기, 탄성연결구(111)의 수나사(N)에 체결홈(21)에 의한 장착구조로 필기수단(2)을 연결 고정시키고, 재차상기 몸체(1)를 힌지구(14)에 의한 연결형태로서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장착편(5)의 힌지연결부(53)에 결합되게 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천공부재 보관홀(12)으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천공부재(3)가 수용 보관되고, 또한, 절단부재 보관홀(13)으로는 절단부재(4)가 수용 보관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을 갖는 다기능 필기구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는 사용자 신체(손가락)에 부착 휴대되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이에 먼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장착편(5)의 고정밴드(51)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시켜 일련의 결합형태를 갖는 다기능 필기구를 사용자 신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태하에 단순히 다기능 필기구를 휴대만 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탄성연결구(111)에 결합된 필기수단(2)을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작동부(11)내로 밀어넣으며 상기 필기수단(2)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고정홈(22)을 장착편(5)의 스톱링(52)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다기능 필기구의 휴대관계를 갖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휴대된 다기능 필기구를 사용할 경우, 상기 스톱링(52)으로 부터 필기수단(2)을 이탈시키게 되면, 탄성작동부(11)의 스프링(S) 탄성에 의해 필기수단(2)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연장 돌출하게 되고, 이와같은 필기수단(2)의 길이연장에 따라 원할한 사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사용관계를 갖을 경우, 몸체(1)로 형성된 힌지구(14)는 도 1의 부분확대도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구(141)의 회전작용과, 회동연결 구(142)의 회동작용을 동시에 부여받게 되는 것으로, 이에 사용자 신체변화(손 놀림)에 유연성 있게 대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상기와 같은 다기능 필기구는, 천공부재 보관홀(12)에 천공부재(3)를 수용 보관하고, 절단부재 보관홀(13)에 절단부재(4)를 수용 보관되도록 한 구조로서, 이에,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용도에 따라 상기 천공부재(3)와, 절단부재(4)를 필기수단(2)과 교환 설치되도록하여, 다양한 형태로서의 천공작업과 절단 작업을 병행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필기구는 사용자 신체(손가락)에 부착 고정되는 축소된 부피구조로서 필기구의 휴대 및 그에 따른 사용관계를 편리화 되도록하고, 이와같은 편리한 휴대관계로서 불필요한 필기구의 분실을 예방되도록 하여 사용효율을 극히 상승되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글자를 적고 그림을 그리는 단순한 필기수단 이외의 구성으로서, 컷팅수단과, 천공수단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교환 가능하도록 하여, 그사용기능을 다양한 형태로 범용화 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기대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탄성연결구(111)와 스프링(S)이 내설된 탄성작동부(11)를 중심으로 그 좌, 우 양측면에 개폐뚜껑(121)(131)을 갖는 천공부재 보관홀(12)과, 절단부재 보관홀(13)을 일체로 구비토록 한 몸체(1)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연결구(111)에 탈,부착 연결되는 나사체결 구조로서 체결홈(21)과, 고정홈(22)과 심부재(23)를 구비한 소정길이의 필기수단(2)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1)를 사용자 신체에 부착, 휴대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서, 고정밴드(51)와, 스톱링(52)과, 힌지연결부(53)를 구비한 소정길이의 장착편(5)을 형성되도록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 보관홀(12)로 체결홈(31)과, 고정홈(32)과, 천공핀(33)을 구비한 소정길이의 천공부재(3)를 수용 보관되도록하고, 상기 절단부재 보관홀(13)으로는 체결홈(41)과, 고정홈(42)과, 컷팅날(43)을 구비한 소정길이의 절단부재(4)를 수용 보관되도록하여,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용도에 따라 상기 천공부재(3)와 절단부재(4)를 상기 필기수단(2)과 교환 사용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후면 상부에 회전구(141)와, 회동연결구(142)로 이루어진 힌지구(14)를 일체로 형성시켜, 이 힌지구(14)에 의해상기 장착편(5)의 힌지연결부(53)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필기구.
KR20-2003-0004795U 2003-02-18 2003-02-18 다기능 필기구 KR200314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795U KR200314626Y1 (ko) 2003-02-18 2003-02-18 다기능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795U KR200314626Y1 (ko) 2003-02-18 2003-02-18 다기능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626Y1 true KR200314626Y1 (ko) 2003-05-27

Family

ID=4940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795U KR200314626Y1 (ko) 2003-02-18 2003-02-18 다기능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6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29B1 (ko) * 2006-09-27 2007-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29B1 (ko) * 2006-09-27 2007-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US6009584A (en) Multi-purpose tool with brush
WO1994023956A1 (en) Ergonomic snap-fit cartridge pen
KR200314626Y1 (ko) 다기능 필기구
US3407021A (en) Pocket utility device including writing instrument
KR200419520Y1 (ko) 핑거 펜
US7001090B2 (en) Offset pen
KR102631703B1 (ko) 펜 타입 컴퍼스
CN201056111Y (zh) 多功能毛笔
KR200441249Y1 (ko) 다목적 필기구
KR100474391B1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JP2601764B2 (ja) 多用途の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348264Y1 (ko) 삽지식 필기구
JP6227902B2 (ja) 筆記具
CN209898550U (zh) 一种多功能文具盒
CN212098185U (zh) 一种橡皮盒
CN2352357Y (zh) 涂改、书写两用笔
KR102127338B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KR200411044Y1 (ko) 필통
KR200204566Y1 (ko) 연필깍기
KR200389999Y1 (ko) 미니 필기구
KR200214583Y1 (ko) 휴대가 간편한 필기구
KR200218256Y1 (ko) 필기구 휴대장치
KR200348228Y1 (ko) 필기 도구 구조
KR200292803Y1 (ko) 휴대용 색연필 꽂이 겸용 색연필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