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201B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201B1
KR102510201B1 KR1020187010694A KR20187010694A KR102510201B1 KR 102510201 B1 KR102510201 B1 KR 102510201B1 KR 1020187010694 A KR1020187010694 A KR 1020187010694A KR 20187010694 A KR20187010694 A KR 20187010694A KR 102510201 B1 KR102510201 B1 KR 10251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ircumferential
flat surface
circumferential surface
barre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248A (ko
Inventor
마사코 야나이
마사후미 요시카와
긴야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4Nib holders with retractabl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손가락에 쓸데없이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의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게 필기를 행하기 쉬운 필기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이,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와, 상기 후부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으로 되어 있는 전부(前部)와, 상기 전부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며, 필기용 펜끝을 돌출시키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를 구성했다.

Description

필기구
본 발명은, 필기를 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 필기심(筆記芯)을 축통(軸筒)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필기구의 대표예로서, 볼펜이나 샤프 펜슬이 주지(周知)이다. 볼펜은, 잉크를 충전한 용기의 선단 부위에 잉크를 종이 등에 전사(轉寫)하기 위한 볼을 포함하는 필기 기구부를 장착한 리필을 필기심으로서 축통에 수용한 것이며, 그 필기 기구부가 축통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샤프 펜슬에서는, 필기심인 연필심을 계속 보내기 위한 기구를 축통 내에 내장하고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유지되는 축통의 외주면의 형상은, 원통 모양인 것이 많지만, 옛날의 연필과 같이 단면에서 보아 육각형 모양을 이루는 것이나, 단면에서 보아 삼각형 모양을 이루는 것도 존재한다(예를 들면, 하기 비특허 문헌 1을 참조). 또, 원통 모양의 외형을 이룬 축통의 소정 부위에, 상기 축통의 축심을 향해 패인 패임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5-138420호 공보
비특허문헌 1 :"볼펜/샤프 펜슬/연필 샤프", 고쿠요 종합 카탈로그 2015년판 문구편, 고쿠요 주식회사, 평성(平成) 26년 12월, p.539-545
본 발명은, 사용자가 쓸데없이 손가락에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의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게 필기를 행하기 쉬운 필기구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軸筒)이,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後部)와, 상기 후부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으로 되어 있는 전부(前部)와, 상기 전부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고, 필기용 펜끝을 돌출시키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를 구성했다.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과 상기 선단부의 외주면은, 볼록 곡면 모양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을, 상기 평탄면 영역에 접속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후부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面一)로 하는 것도 허용된다. 이 경우, 축통에서의 후부로부터 전부까지가 일관하여 연속하고 있는 외관을 만들어낼 수 있어, 필기구로서의 격조,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이 상기 후부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축통의 후부의 외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부의 외경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따르는 최적인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환언하면, 전부를 후부보다도 굵게 할 수 있다.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의 윤곽과 상기 후부의 외주면의 윤곽이 동일한 직선 모양 또는 대략 동일한 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으면, 전부의 평탄면 영역이 후부의 외주면에 대해서 크게 패이지 않는 것, 반대로 말하면 후부의 외주면이 전부의 평탄면 영역보다도 크게 돌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축통을 자연스럽게 쥐기 쉬워지기 때문에, 축통의 후부에 의한,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의 밑부분에 대한 압박이 작아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에 쓸데없이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의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게 필기를 행하기 쉬운 필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필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는, 후단(後端) 노크식 볼펜이다. 본 필기구는, 필기를 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 필기심과, 사용자가 필기를 행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유지되는 축통(軸筒)(1)과, 축통(1)의 후단측에 배치한 노크봉(3)이 노크 조작됨으로써 펜끝(2) 즉 필기심의 선단 부위를 축통(1)의 전단(前端)(선단)측으로부터 돌몰(突沒)시키는 노크 기구를 구비한다. 축통(1)은, 그들 필기심 및 노크 기구를 내부에 수용한다.
필기심은, 잉크를 충전한 용기의 선단 부위에, 잉크를 종이 등에 전사(轉寫)하기 위한 볼을 포함하는 필기 기구부(2)를 장착한 리필이다. 노크 기구는, 노크봉(3)의 압하(押下)를 받아 펜끝인 필기 기구부(2)를 축통(1)으로부터 돌출시킴과 아울러, 노크봉(3)의 재차의 압하를 받아 축통(1)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던 필기 기구부(2)를 축통(1) 내에 몰입시키는, 종래부터 주지의 더블 노크식 기구이다.
축통(1)은, 각각이 내부에 필기심을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연신(延伸)된 중공 통 모양의 후축(後軸)(11) 및 전축(前軸)(12)을 요소로 한다. 후축(11)의 전단부와 전축(12)의 후단부 중 일방에는 수나사를 마련하고, 타방에는 암나사 구멍을 마련하고 있으며, 그 수나사를 암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후축(11)과 전축(12)을 결합하여, 일체의 축통(1)을 구성한다. 전축(12)은, 통 모양의 기체(基體)(121)의 외주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직접 접촉하는 외장체(122)를 씌운 것이다. 또, 기체(121)와 외장체(122)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시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필기구의 축통(1)은,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13)와, 후부(13)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전부(14)와, 전부(14)의 전방에 이어져 전방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작아지는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의 선단부(15)를 가지고 있다. 후부(13)의 대부분은 후축(11)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후부(13)의 전단 부분, 전부(14) 및 선단부(15)는 전축(12)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필기심의 필기 기구부(2)는, 그 선단부(15)로부터 돌출된다.
후부(13)의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대해, 전부(14)의 외주면에는, 단일의 평탄면 영역(141)과, 평탄면 영역(141) 이외의 영역인 곡면 영역(142)이 존재하고 있다. 평탄면 영역(141)은,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축심(L)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대략 평탄면 모양을 이룬다. 특히, 도 5의 A-A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탄면 영역(141)이 완전한 평탄면이 아니고, 외부(축통(1)(또는, 필기구)의 축심(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를 향해 약간 팽출(膨出)한 볼록 곡면으로 되어 있다. 볼록 곡면은, 상기 곡면 상의 임의의 2점을 상기 곡면을 따라서 최단 경로로 잇는 선분이, 그들 2점을 잇는 직선보다도 외부에 있거나 그러한 직선과 동일한 곡면을 말한다. 요컨데, 볼록 곡면은,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인 패임부가 존재하지 않는 곡면이다. 무엇보다도, 평탄면 영역(141)을, 완전한 평탄면으로 성형해도 상관없다.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은, 절두(切頭) 원추 모양을 이루는 선단부(15)의 외주면과 함께 볼록 곡면을 이루도록 연속하고 있으며, 평탄면 영역(141)과 선단부(15)의 외주면과의 경계 부분에는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이는 패임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부언하면, 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면 영역(141)이 가장 크게 보이는 평면시(平面視)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측부로부터 본 상태)에서,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선단부(15)의 외주면의 윤곽(15a)이 볼록 곡선을 이루도록 연속하고 있다. 볼록 곡선은, 상기 곡선 상의 임의의 2점을 잇는 상기 곡선의 부분이, 그들 2점을 잇는 직선보다도 외부에 있거나 그러한 직선과 동일한 곡선을 말한다.
게다가, 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이, 축심(L) 방향에 대해서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직선 또는 대략 직선 모양의 볼록 곡선을 이루고 있다. 즉, 이 윤곽선(141a) 상의 임의의 2점을 상기 윤곽선(141a)을 따라서 최단 경로로 잇는 선분은, 그들 2점을 잇는 직선보다도 외부에 있거나 그러한 직선과 동일하다. 즉, 평탄면 영역(141)은, 그 내부에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인 오목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대략 일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전자와 후자와의 단차가 근소하게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이,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보다도 매우 약간 내부(축통(1)의 축심(L)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도 2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아 평탄면 영역(141)의 타원 모양의 둘레 가장자리를 예쁜 형태로 하기 위함이다. 무엇보다도, 측면에서 보아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완전히 일직선 모양을 이루도록, 평탄면 영역(141) 및 후부(13)의 외주면을 성형해도 상관없다.
전부(14)의 외주면의 곡면 영역(142)은,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도 6의 B-B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곡면 영역(142)이, 평탄면 영역(141)에 접속하는 부분(142a)을 제외하고, 후부(13)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面一, 단차가 없음)로 되어 있다. 즉, 곡면 영역(142)은, 접속 부분(142a)을 제외하고, 그 외경이 후부(13)의 외주면의 외경과 동일한, 후부(13)의 외주면과 연속한 부분 원통면이다. 반대로, 곡면 영역(142)에서의, 평면시(平面視) 영역에 접속하는 부분(142a)은, 후부(13)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다. 이것은, 축통(1)의 전부(14)의 굵기를 후부(13)의 굵기로 일치시키면서, 평탄면 영역(141)의 폭치수를 확대하기 위한 형상이다. 또, 도 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축통(1)의 축심(L)에 대해서 직교하는 절단면과 곡면 영역(142)과의 교선(交線)(단면에서 보아 곡면 영역(142)의 외주면에 상당하는 윤곽)은, 상기의 접속 부분(142a)을 제외하고 진원호(眞圓弧) 모양을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1)이,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13)와, 상기 후부(13)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L)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141)이 형성되며,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142)으로 되어 있는 전부(14)와, 상기 전부(14)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며, 필기용 펜끝(2)을 돌출시키는 선단부(15)를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를 구성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3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구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엄지, 검지 또는 중지 중 어느 하나가 축통(1)의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에 면접촉하여 꼭 맞고, 나머지의 2개의 손가락이 곡면 영역(142)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1)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어, 가벼운 힘으로 이것을 유지하여 필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면에서 보아 육각형 모양을 이루는 옛날의 연필과 같이, 복수의 평탄면이 교차하는 능선(엣지)의 부분이 손가락으로 들어가는 날카로운 감촉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여하기 어려워, 쾌적한 필기를 실현할 수 있다.
축통(1)을 가벼운 힘으로 안정되게 유지 가능한 것은, 필기할 때의 필압(筆壓)을 작게 하는 것에 이어져,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의 피로의 경감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필기구의 리필에 충전되어 있는 잉크가 비교적 저점도의 것(예를 들면, 수성 겔 잉크나 저점도 유성 잉크)인 경우, 그러한 잉크 본래의 필기감과 함께, 매우 스무스하게(smooth) 필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저점도의 잉크를 충전하고 있는 필기구에서, 사용자가 쓸데없이 손가락에 힘을 들여 축통(1)을 끼워 지지하여 필압이 증대하면, 오히려 필기의 매끄러움이 손상될 염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축통(1)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불필요한 필압의 증대가 억제되어, 필기의 매끄러움이 유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141)과 상기 선단부(15)의 외주면은 볼록 곡면 모양으로 연속하고 있으며, 평탄면 영역(141)과 선단부(15)의 외주면과의 경계 부분에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축통(1)의 선단부(15)에 가까운 부위를 가지는 사용자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축통(1)을 파지하는 위치를 위화감없이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인차에 대응할 수 있는 편리성이 높은 필기구가 된다.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142)을, 상기 평탄면 영역(141)에 접속하는 부분(142a)을 제외하고, 상기 후부(13)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축통(1)에서의 후부(13)로부터 전부(14)까지가 일관하여 직선적으로 연속하고 있는 외관을 만들 수 있어, 필기구로서의 격조, 미관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상기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동일한 직선 모양 또는 대략 동일한 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이 후부(13)의 외주면에 대해서 크게 패이지 않는 것, 반대로 말하면 후부(13)의 외주면이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크게 돌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축통(1)을 자연스럽게 쥐기 쉬워지기 때문에, 축통(1)의 후부(13)에 의한,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의 밑부분에 대한 압박이 작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는, 축통(1)의 전부(14)의 외형을 제1 실시 형태로부터 변경한 것이다. 이후, 본 실시 형태 특유의 구성에 관해서 서술한다. 필기심이나 노크 기구 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또는, 기존의 필기구)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할애한다.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노크식 볼펜이다. 본 필기구의 축통(1)도 또,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13)와, 후부(13)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전부(14)와, 전부(14)의 전방에 이어져 전방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작아지는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의 선단부(15)를 가지고 있다. 후부(13)의 대부분은 후축(11)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후부(13)의 전단 부분, 전부(14) 및 선단부(15)는 전축(12)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필기심의 펜끝인 필기 기구부(2)는, 그 선단부(15)로부터 돌출된다.
후부(13)의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대해, 전부(14)의 외주면에는, 단일의 평탄면 영역(141)과, 평탄면 영역(141) 이외의 영역인 곡면 영역(142)이 존재하고 있다. 평탄면 영역(141)은,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로서, 축심(L)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대략 평탄면 모양을 이룬다. 특히, 도 11의 C-C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면 영역(141)은 완전한 평탄면이 아니고, 외부를 향해 약간 팽출한 볼록 곡면으로 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평탄면 영역(141)을, 완전한 평탄면으로 성형해도 상관없다.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은, 절두(切頭) 원추 모양을 이루는 선단부(15)의 외주면과 함께 볼록 곡면을 이루도록 연속하고 있고, 평탄면 영역(141)과 선단부(15)의 외주면과의 경계 부분에는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이는 패임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부언하면, 도 9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선단부(15)의 외주면의 윤곽(15a)이 볼록 곡선을 이루도록 연속하고 있다.
게다가, 도 9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이, 축심(L) 방향에 대해서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직선 또는 대략 직선 모양의 볼록 곡선을 이루고 있다. 즉, 이 윤곽선(141a) 상의 임의의 2점을 상기 윤곽선(141a)을 따라서 최단 경로로 잇는 선분은, 그들 2점을 잇는 직선보다도 외부에 있거나 그러한 직선과 동일하다. 즉, 평탄면 영역(141)은, 그 내부에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인 오목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은 대략 일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전자와 후자와의 단차가 근소(僅少)하게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이,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보다도 매우 약간 내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도 8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아 평탄면 영역(141)의 타원 모양의 둘레 가장자리를 예쁜 형태로 하기 위함이다. 무엇보다도, 측면에서 보아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완전하게 일직선 모양을 이루도록, 평탄면 영역(141) 및 후부(13)의 외주면을 성형해도 상관없다.
전부(14)의 외주면의 곡면 영역(142)은,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도 12의 D-D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곡면 영역(142)은 후부(13)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고, 선단부(15)에 이어지는 전단 부분을 제외하고, 곡면 영역(142)의 외경이 후부(13)의 외주면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부(13)의 외주면에 이어지는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곡면 영역(142)의 지름이 서서히 굵어져, 그 중도(中途)에서 최대 지름이 된다. 그러한 후, 선단부(15)에 가까워질수록 곡면 영역(142)의 지름이 가늘어져 가고, 곡면 영역(142)의 전단에서 그 지름이 선단부(15)의 후단의 지름과 동일하게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축통(1)(또는, 필기구)의 축심(L)에 대해서 직교하는 절단면과 곡면 영역(142)과의 교선(단면에서 보아 곡면 영역(142)의 외주면에 상당하는 윤곽)은, 진원호 모양을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1)이,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13)와, 상기 후부(13)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L)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141)이 형성되며,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142)으로 되어 있는 전부(14)와, 상기 전부(14)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고, 필기용 펜끝(2)을 돌출시키는 선단부(15)를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를 구성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3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구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엄지, 검지 또는 중지 중 어느 하나가 축통(1)의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에 면접촉하여 꼭 맞고, 나머지의 2개의 손가락이 곡면 영역(142)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1)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어, 가벼운 힘으로 이것을 유지하여 필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면에서 보아 육각형 모양을 이루는 옛날의 연필과 같이, 복수의 평탄면이 교차하는 능선(엣지)의 부분이 손가락에 들어가는 날카로운 감촉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여하기 어려워, 쾌적한 필기를 실현할 수 있다.
축통(1)을 가벼운 힘으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필기할 때의 필압을 작게 하는 것으로 이어져,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의 피로의 경감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필기구의 리필에 충전되어 있는 잉크가 비교적 저점도의 것인 경우, 그러한 잉크 본래의 필기감과 함께, 매우 스무스하게 필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저점도의 잉크가 충전되어 있는 필기구에서, 사용자가 쓸데없이 손가락에 힘을 들여 축통(1)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여 필압이 증대되면, 오히려 필기의 매끄러움이 손상될 염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축통(1)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불필요한 필압의 증대가 억제되어, 필기의 매끄러움이 유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141)과 상기 선단부(15)의 외주면은 볼록 곡면 모양으로 연속하고 있으며, 평탄면 영역(141)과 선단부(15)의 외주면과의 경계 부분에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축통(1)의 선단부(15)에 가까운 부위를 가지는 사용자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축통(1)을 파지하는 위치를 위화감없이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인차에 대응할 수 있는 편리성이 높은 필기구가 된다.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142)이 상기 후부(13)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기 때문에, 축통(1)의 후부(13)의 외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부(14)의 외경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따르는 최적인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필기구의 외관 디자인을 참신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게다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상기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동일한 직선 모양 또는 대략 동일한 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이 후부(13)의 외주면에 대해서 크게 패이지 않는 것, 반대로 말하면 후부(13)의 외주면이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크게 돌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축통(1)을 자연스럽게 쥐기 쉬워지기 때문에, 축통(1)의 후부(13)에 의한,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의 밑부분에 대한 압박이 작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이상에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필기구의 형태는 볼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필기심은 볼펜의 리필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필기구가 볼펜 이외의 종류의 펜(예를 들면, 사인펜 등)인 경우도, 필기심은, 잉크를 충전한 용기의 선단 부위에, 잉크를 종이 등에 전사하기 위한 기구가 마련된 것이 되고, 그 기구가 펜끝이 된다. 또는, 필기구가 샤프 펜슬인 경우에는, 필기심이 연필심이며, 필기심을 계속 보내어 축통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기구를 필기심과 함께 축통에 수용하게 된다.
또, 축통의 전부의 외표면에서의 평탄면 영역 및/또는 곡면 영역에, 사용자의 손가락의 굵기나 손가락마디의 크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미세한, 폭이나 지름이 1mm 이하인 요철, 홈, 구멍 등을 마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 외 각 부의 구체적 구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필기를 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 필기심을 축통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1 - 축통
13 - 후부
13 - 측면에서 볼 때의 후부의 윤곽
14 - 전부
141 - 평탄면 영역
141a - 측면에서 볼 때의 평탄면 영역의 윤곽
142 - 곡선 영역
142a - 평탄면 영역에 접속하는 부분
15 - 선단부
2 - 펜끝
L - 축심

Claims (4)

  1.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軸筒)이,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後部)와,
    상기 후부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으로 되어 있는 전부(前部)와,
    상기 전부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고, 필기용 펜끝을 돌출시키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부의 외주면의 곡면 영역에서의 상기 평탄면 영역의 양측단에 접속하는 부분이, 상기 후부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膨出)하고 있는 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과 상기 선단부의 외주면이 볼록 곡면 모양으로 연속하고 있는 필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이, 상기 평탄면 영역에 접속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후부의 외주면과 면일(面一)인 필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의 윤곽과 상기 후부의 외주면의 윤곽이 동일한 직선 모양을 이루는 필기구.
KR1020187010694A 2015-12-07 2016-10-17 필기구 KR102510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8897 2015-12-07
JP2015238897A JP6657886B2 (ja) 2015-12-07 2015-12-07 筆記具
PCT/JP2016/080695 WO2017098808A1 (ja) 2015-12-07 2016-10-17 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248A KR20180090248A (ko) 2018-08-10
KR102510201B1 true KR102510201B1 (ko) 2023-03-16

Family

ID=5901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694A KR102510201B1 (ko) 2015-12-07 2016-10-17 필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57886B2 (ko)
KR (1) KR102510201B1 (ko)
CN (1) CN108349295B (ko)
WO (1) WO20170988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594A (ja) * 2000-09-26 2002-04-02 Kotobuki:Kk 軸筒用グリップ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4114U (ko) * 1973-12-01 1975-07-18
JPS60178173U (ja) * 1984-05-08 1985-11-26 竹内 政野 筆記具
JPH11277971A (ja) * 1998-03-31 1999-10-12 Pilot Corp 軸筒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した軸筒
JP2000071674A (ja) * 1998-08-28 2000-03-07 Kotobuki:Kk 筆記具
JP4218497B2 (ja) 2003-11-06 2009-02-04 コクヨ株式会社 筆記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594A (ja) * 2000-09-26 2002-04-02 Kotobuki:Kk 軸筒用グリップ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57886B2 (ja) 2020-03-04
CN108349295B (zh) 2020-07-17
KR20180090248A (ko) 2018-08-10
CN108349295A (zh) 2018-07-31
WO2017098808A1 (ja) 2017-06-15
JP2017105004A (ja)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92952U (zh) 握笔辅助装置及具有该握笔辅助装置的笔具
JP2011512272A (ja) 鉛筆
JP3987711B2 (ja) 筆記用具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JP6828305B2 (ja) 筆記具
KR102510201B1 (ko) 필기구
JP2006263462A5 (ko)
US20160129722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an indented grasping area
JP5065773B2 (ja) 複合筆記具
KR20120002781U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US7001090B2 (en) Offset pen
JP5444635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4831696B2 (ja) 筆記具
JP2007144701A (ja) 筆記具の軸筒
KR200294752Y1 (ko) 삽지식 필기구
JP6833794B2 (ja) 出没式多芯筆記具
JP4333324B2 (ja) 軸の連結構造
JP6866186B2 (ja) グリップ取付構造
JP4848066B2 (ja) 筆記具
JP3193188U (ja) 筆記具
JP2020093511A (ja) 先端角度付ボールペン
JP6291237B2 (ja) ボールペン
JP6288924B2 (ja) 筆記具用の部品及び該部品を有する筆記具
JP2021130295A (ja) 筆記具
KR200308103Y1 (ko) 볼펜과 샤프연필 겸용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