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530A - 전기모터용그리스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모터용그리스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530A
KR20000064530A KR1019980706502A KR19980706502A KR20000064530A KR 20000064530 A KR20000064530 A KR 20000064530A KR 1019980706502 A KR1019980706502 A KR 1019980706502A KR 19980706502 A KR19980706502 A KR 19980706502A KR 20000064530 A KR20000064530 A KR 20000064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grease
bearing
electric moto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681B1 (ko
Inventor
하치로 이치가와
마사토시 카타기리
게이조 요시까와
미쓰노리 우치다
고이치 호리에
Original Assignee
카사이 요시유키
센트럴 재팬 레일웨이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사이 요시유키, 센트럴 재팬 레일웨이 컴퍼니 filed Critical 카사이 요시유키
Publication of KR2000006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08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with mechanical drive, other than directly by springs or 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그리스 탱크(10)로부터 계량압송기(22)로 이송된 그리스는 그리스 중량이 정확하게 측정된 후 분사 실린더(30)내로 이송되고, 분사 실린더(30)에 있는 총량의그리스가 노즐(34)로부터 분사된다. 노즐(34)은 전기모터(60)를 향해 전진할 수 있다. 노즐(34)이 전진할 때, 선단면(34a)에 제공된 제1패킹(50)과 제2패킹(52)은 각각 베어링(66)의 외륜(66a)와 내륜(66b)에 밀착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그리스가 분사구멍(34b)으로부터 분사될 때, 그리스는 베어링(66)의 전동체 작동공간내로 주입된다. 그리스포켓(68) 또한 그리스로 충전된다.

Description

전기모터용 그리스충전장치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용 메인모터의 베어링은 정기적으로 세정된다. 많은 경우, 메인모터의 베어링은 메인모터에서 커버를 분리하므로서 베어링의 외측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곳에만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베어링은 메인모터로부터 베어링을 분리함없이 분사노즐에서 베어링상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므로서 세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그리스로 세정된 베어링을 충전할 때, 베어링을 메인모터로부터 분리하지 않으며 적절한 양의 그리스로 베어링을 충전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베어링을 그리스로 충전하여, 세정부터 그리스로 베어링 충전까지의 공정이 자동화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모터로부터 베어링을 분리함없이 적절한 양의 그리스로 베어링을 충전할 수 있는 전기모터용 그리스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모터에 고정된 외륜, 상기 외륜 내측에 배치된 내륜,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개재된 전동체로 구성된 구조를 갖고, 외측단면이 전기모터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에 있어서, 그리스 공급원으로부터 선단면에 있는 최소한 하나의 분사구멍을 통해 공급된 그리스를 분사하는 노즐; 노즐의 선단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측 단면으로 눌려질 때 상기 베어링의 외륜에 밀착되기 위해 노즐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패킹; 그리고 노즐의 선단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측단면으로 눌려질 때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밀착되기 위해 상기 노즐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패킹을 포함하고, 제1패킹, 제2패킹 및 상기 노즐의 선단면이 환형상의 그루브(groove)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구멍이 환형상의 그루브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을 상기 전기모터로부터 분리함없이 그리스로 베어링을 충전할 수 있는 전기모터의 베어링용 그리스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런 구성을 갖는 그리스충전장치에 있어서, 노즐의 선단면이 베어링의 외측단면으로 눌려질 때, 제1패킹은 베어링의 외륜에 밀착접촉하는 반면 제2패킹은 베어링의 내륜에 밀착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제1패킹에 의해 형성된 환형상 그루브, 제2패킹 및 노즐 선단면은 베어링 전동체의 작동공간에만 연결된다. 그리스가 그리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될 때, 분사구멍으로부터 분사된 그리스는 베어링의 전동체 작동공간내로 주입되거나 환형상의 그루브내로 주입되어 베어링의 전동체 작동공간내로 유동하고 더 나아가 베어링의 내부단면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그리스 포켓으로 유동한다. 어느 경우에도 그리스가 베어링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그리스충전장치가 이용될 경우, 전기모터의 외부커버는 충전작업이 전기모터로부터 베어링을 분리함없이 수행될 때에도 그리스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또한 노즐로의 그리스 공급이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때, 그리스 충전을 수작업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그리스충전공정이 자동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아래 구성을 구비할 경우, 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첫째, 복수의 상기 분사구멍이 상기 환형상 그루브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스충전장치는 오직 하나의 분사구멍을 갖는 그리스충전장치에 비해, 환형상 그루브내로 동시에 주입되어 베어링 전동체의 작동공간내로 유동하는 그리스의 양이 감소되고 베어링 전동체의 작동공간내로 직접 들어가는 그리스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심지어 같은 양의 그리스가 모두 분사될 때에도 그리스 충전은 보다 빨리 완료될 수 있다.
둘째, 노즐구동 메카니즘은 전진위치 또는 후퇴위치로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노즐의 선단면은 상기 전진위치에 있는 상기 베어링의 외측단면에 밀착접촉하고, 상기 노즐의 선단면은 상기 후퇴위치에 있는 상기 베어링의 외측단면에서 멀어진다.
그리스충전장치는 노즐구동 메카니즘의 힘으로 노즐을 전진/후퇴시키므로서, 노즐이 전기모터를 이동시킴없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모터의 이동에 기인한 문제가 쉽게 유발되지 않는다.
노즐구동 메카니즘은 여러 구체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노즐이 전진/후퇴할 수 있게 배치된 이동체에 부착되고 이동체가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므로서 작동되는 구성; 모터로부터의 동력이 벨트 및 풀리를 통해 전달되어 이동체를 작동시키는 구성; 이동체가 랙크와 함께 이동하는 방법으로 랙크와 맞물린 피니언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작동되는 구성 등이 있다. 이런 방법에서는 어떠한 노즐구동 메카니즘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진위치/후퇴위치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의 행정이 소정량으로 미리 조정되는 방법; 이동체의 위치가 제동용 리미트스위치로 검출되는 방법; 스텝핑 모터와 같이 구동량을 지령할 수 있는 구동동력원이 사용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같은 임의의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셋째, 2개의 상기 노즐은 전기모터의 타단면에 제공된 2개의 상기 베어링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노즐들은 상기 베어링을 향해 전진하며, 따라서 상기 전기모터는 두개의 노즐의 선단면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그리스충전장치는 전기모터가 두 노즐에 의해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노즐이 오직 한쪽으로부터 전기모터로 눌려질 때에 비해, 전기모터의 위치가 쉽게 안정될 수 있다. 특히, 거의 동시에 두 노즐의 압력을 설정하므로서, 전기모터는 심지어 압력이 약간만 강해도 어느 한 노즐에 의해 눌려지고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약간 강하게 노즐의 압력을 설정하므로서, 노즐의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중심 맨드렐(centering mandrel)은 상기 베어링을 향해 상기 노즐 선단면의 중심위치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중심 맨드렐을 따라 전진/후퇴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중심 맨드렐이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중심 부근에 접촉한 상태로 선단을 이동시키므로서 상기 중심 맨드렐이 오직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를 향해 중심 맨드렐이 위치되는 방법으로 상기 중심 맨드렐의 선단이 형성된다.
그리스충전장치는, 전기모터의 회전중심 부근에서 접촉한 상태에서 중심 맨드렐을 이동시키므로서, 중심 맨드렐이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중심 맨드렐이 변위된다. 중심 맨드렐을 따라 노즐을 전진시키므로서, 노즐이 베어링으로 눌려질 수 있지만, 노즐의 중심이 베어링의 회전중심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더욱이, 중심 맨드렐의 선단형상은 중심 맨드렐이 전기모터의 회전중심 부근과 접촉한 상태에서 중심 맨드렐을 이동시키므로서 오직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한 어떠한 구체적인 형상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중심 맨드렐 선단의 하나와 전기모터의 회전중심 부근은 오목부를 갖고 다른 것은 돌출부를 갖는다. 이 경우, 오목부와 돌출부가 서로 밀착되게 맞물리게 되고, 측방으로의 변위는 반대편 측벽에 의해 조정된다. 다른 대안으로, 돌출단부가 반대편 오목부의 최심부(最深部)에 접할 때 최심부 외부로의 돌출단부의 변위가 조정된다.
다섯번째, 노즐은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을 이탈시키기 위한 구멍이 선단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 돌출부가 구멍으로 도입되지만 상기 노즐의 선단면이 돌출부의 루트(root) 부근에 제공된 베어링으로 눌려지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그리스충전장치에서, 회전축이 전기모터로부터 돌출될 때에도, 돌출부의 루트부근에 제공된 베어링으로 노즐의 선단면을 누르므로서, 그리스 충전이 수행된다. 따라서, 전기모터로부터 회전축을 분리하기 위한 노동시간이 전혀 필요없다. 동시에, 회전축이 전기모터로부터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그리스 충전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섯번째로, 그리스 공급원과 상기 노즐 사이의 유로 하류로 미리 결정된 중량의 그리스를 공급할 수 있는 일정중량송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스충전장치에는 일정중량의 그리스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일정체적의 그리스가 공급되는 구성과 다르게, 기포가 그리스내에 포함되기 때문에 그리스의 양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기모터의 베어링을 그리스로 충전할 수 있는 전기모터용 그리스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베어링을 정기적으로 세정하고 그리스로 충전할 필요가 있는 철도차량용 메인모터의 베어링을 세정한 후 새로운 그리스로 베어링을 충전하기에 적절한 전기모터용 그리스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그리스충전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그리스충전장치를 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그리스충전장치의 노즐이 중심 맨드렐을 따라 전진하여 베어링에 압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모터용 그리스충전장치의 일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해를 돕기위해, 세부 구성이 첨부한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그리스충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스충전장치는 오른쪽과 왼쪽의 세부 구성이 서로 다르지만 기능적으로 대칭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반대편에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부분은 같은 도면번호로 표시된다.
그리스충전장치에는 베이스프레임(1)상에 고정된 레일(3)을 따라 전진/후퇴할 수 있는 가동프레임(5)이 제공되고, 각각의 가동프레임(5)은 에어실린더(7)에 의해 전진/후퇴하도록 작동된다.
베이스프레임(1)상에는 그리스탱크(10)가 또한 설치되고, 그리스탱크(10)는 내압호스(12)를 거쳐 압송펌프(14)에 연결되고, 압송펌프(14)는 그리스탱크(10)로부터 그리스를 흡인한다. 압송펌프(14)는 내압호스(16), 전자밸브(18) 및 내압호스(20)를 거쳐 계량압송기(22)에 연결되고, 압송펌프(14)로부터 압송된 그리스는 전자밸브(18)의 작동에 반응하여 계량압송기(22)로 분사된다. 계량압송기(22)는 또한 내압호스(24), 전자밸브(26) 및 파이프(28)를 거쳐 분사실린더(30)에 연결되고, 계량압송기(22)에 의해 압송된 그리스는 전자밸브(26)의 작동에 반응하여 분사 실린더(30)로 분사된다. 분사실린더(30)는 또한 내압호스(32)를 거쳐 노즐(34)에 연결되고, 분사실린더(30)에 의해 압송된 그리스(30)는 노즐(34)로부터 분사된다. 한편, 이들 구성요소들 가운데, 계량압송기(22), 전자밸브(26), 분사실린더(30) 및 노즐(34)은 가동프레임(5)에 고정되고, 가동프레임(5)이 작동될 때, 이들 구성요소들은 가동프레임(5)과 함께 전진/후퇴한다.
받침대(36)가 또한 베이스프레임(1)에 설치되고, 메인모터는 받침대(36)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는 그리스충전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계량압송기(22)는 가동프레임(5)의 상부 단차부(5a)에 고정된다. 계량압송기(22)는 실린더(22a)와 피스톤(22b)으로 구성된 그리스충전챔버(22c)를 가지며, 그리스충전챔버(22c)에는 유로의 하류쪽에서 압송된 그리스가 충전된다. 그리스 충전챔버(22c)가 그리스로 충전될 때, 전자밸브(26)는 차단되고 피스톤(22b)을 거쳐 그리스 충전챔버(22c)의 반대쪽상에 있는 에어챔버(도시하지 않음)는 대기압으로 개방되거나 압력이 감소되고, 그 후 전자밸브(18)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그리스는 유로의 상류쪽에서 그리스충전챔버(22c)로 유동한다. 그리스충전챔버(22c)의 내압이 증가함에 따라, 피스톤(22b)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스충전챔버(22c)내로 유동하는 그리스를 멈추게 하기 위해, 전자밸브(18)는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압축가스는 그리스 충전챔버(22c)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에어챔버에서 유동하게 된다. 그 후 전자밸브(26)가 개방될 때, 피스톤(22b)은 에어챔버의 내압이 상승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리스는 그리스충전챔버(22c)에서 유로의 하류쪽으로 배출되도록 압력을 받는다.
또한, 계량압송기(22)의 구성에 있어서, 실린더(22a)는 계량기(22b)에 고정되고, 그리스 충전챔버(22c)의 그리스 중량은 계량기(22d)를 사용하므로서 측정될 수 있다. 전자밸브(26)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전자밸브(26)가 계량기(22d)에 의해 검출된 중량 변화에 근거하여 제어되어 특정중량의 그리스가 계량압송기(22)로부터 송출된다. 특히, 계량압송기(22)로부터 특정중량(a)의 그리스를 송출하기 위해, 먼저 그리스 충전챔버(22c)는 충분한 양이상의 중량(b)으로 충전되고(즉 b>a), 중량(b)은 제어장치에 의해 계량기(22b)로 측정된다. 그 다음, 전자밸브(22b)가 제어장치에 의해 개방된 후, 그리스는 (b-a)양이 계량기(22d)로 측정될 때까지 그리스충전챔버(22c)로부터 공급된다. 그 후, 전자밸브(22)는 제어장치에 의해 차단된다. 이런 방법으로 계량압송기(22)로부터 그리스를 송출하므로서, 특정체적의 그리스가 공급되는 경우와 다르게, 그리스가 기포를 포함하여도 실질적으로 필요한 양의 그리스가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계량압송기(22)가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제공되기 때문에, 계량압송기(22)의 압송성능이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리스충전장치에서는 계량압송기(22)로부터 송출된 그리스가 분사실린더(30)로 분사되면, 고압이 분사실린더(30)에 가해지고, 분사실린더(30)로 분사된 전량의 그리스가 노즐(34)로부터 분사된다. 그리스가 분사실린더(30)로 분사될 때, 그리스가 분사되는 것을 돕기위해, 부압이 분사실린더(30)에 가해진다. 더욱이, 그리스가 분사실린더(30) 외부로 분사될 때, 전자밸브(26)가 차단되고, 이것은 그리스가 유로의 상류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노즐(34)의 구조와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노즐(34)은 가동프레임(5)와 함께 이동하나, 노즐은 가동프레임(5)에 비해 더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중심 맨드렐(40)은 가동프레임(5)에 고정되고, 중심 맨드렐(40)을 따라 접동가능한 플랜지 원판(42)은 중심 맨드렐(40)의 외주에 부착된다. 플랜지 원판(42)은 에어실린더(44)의 피스톤 로드(44a)에 연결되어, 플랜지 원판(42)은 에어실린더(44)에 의해 전진/후퇴하도록 작동된다. 반대편 아암(46)은 플랜지 원판(42)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사이에 중심 맨드렐(40)이 배치되고, 노즐(34)이 아암(46)의 선단에 고정된다. 노즐(34)은 환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중심 맨드렐(40)은 노즐의 환형상 내부구멍을 통과한다.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 노즐(34)은 에어실린더(44)가 작동될 때 가동프레임(5)에 비례하여 이동한다. 또한, 분사 실린더(30)와 노즐(34)을 연결하기 위한 내압호스(32)는 충분히 유연하고 길다. 따라서, 노즐(34)은 전진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제1패킹(50)과 제2패킹(52)이 노즐(34)의 선단면(34a)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패킹(50)과 제2패킹(52)은 고무 환형체이다. 제1패킹(50), 제2패킹(52) 및 노즐(34)의 선단면(34a)은 환형상의 그루브(54)를 형성한다. 분사구멍(34b)은 그리스를 분사하기 위한 환형상의 그루브(54) 내측에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32개의 분사구멍(34b)이 있으며, 이것들은 노즐(34)의 선단면(34a)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환형상의 그루브(54) 하부에서 미리 결정된 피치로 형성된다. 그리스는 유로의 상류로부터 내압호스(32)를 거쳐 노즐(34)로 송출되고, 노즐(34)의 후단부에 있는 분사구(34c)로부터 노즐(34)에 있는 환형상의 공간(34d)으로 분사되고, 환형상의 공간(34d)으로부터 32개의 분사구멍(34b)으로 분류(分流)되고, 각각의 분사구멍(34b)으로부터 외부로 더 공급된다.
도 3은 노즐(34)이 중심 맨드렐(40)을 따라 전진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또한 노즐(34)을 가압하는 전기모터(6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모터(60)에는 베어링의 외측단면이 전기모터(6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곳에 위치된 베어링(66)이 제공되고 베어링의 내부단면은 이물질이 전기모터(6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62)에 인접한다. 이 위치에서 전기모터(60)의 회전축(64)은 베어링(6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66)은 전기모터(60)에 고정된 외륜(66a), 외륜(66a)의 내측에 배치된 내륜(66b), 외륜(66a)과 내륜(66b)사이에 환형상 공간에서 미리 결정된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전동체(66c)로 구성된다. 인접한 전동체(66c)들 사이에 간극이 있고, 전동체(66c)와 밀봉부(62)사이의 간극과 그리스포켓(68)에는 그리스가 충전된다.
그리스충전장치의 노즐(34)이 전기모터(60)를 향해 눌려지는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상태에서, 가동프레임(5)은 후퇴위치(전기모터(60)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다. 노즐(34) 또한 후퇴위치(전기모터(60)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중심 맨드렐(40)의 선단(40a)은 노즐(34)을 통과하고 전기모터(60)를 향해 제1패킹(50)과 제2패킹(52)으로부터 돌출된다.
노즐(34)이 전기모터(60)에 접근하도록 하기위해, 먼저 그리스충전장치의 가동프레임(5)이 전진한다. 가동프레임(5)이 전진할 때, 중심 맨드렐(40)의 선단(40a)은 전기모터(60)의 회전축(64) 선단(64a)에 접한다. 중심 맨드렐(40)의 선단(40a)은 원추형상을 갖는다. 반면, 회전축(64)의 선단(64a)은 오목부를 갖는다. 중심 맨드렐(40)이 오목부의 최심부에 맞물릴 때까지 가동프레임(5)을 향해 이동하므로서, 중심 맨드렐(40)의 중심은 회전축(64)의 중심과 동일한 축선에 배치된다.
중심 맨드렐(40)의 중심이 이런 방법으로 회전축(64)의 중심과 일치한 후, 플랜지 원판(42)은 에어실린더(44)에 의해 작동되어 전진하고, 노즐(34)은 플랜지 원판(42)과 함께 전진한다. 노즐(34)은 환형상의 외부형상을 갖고, 노즐의 내부구멍의 내경은 회전축(64)의 외경보다 크다. 따라서, 회전축(64)이 내부구멍을 통과할 경우, 노즐은 베어링(66)에 접근하도록 회전축(64)의 외주를 따라 전진할 수 있다.
노즐(34)이 베어링(66)의 외단면 부근에 도달할 때, 제1패킹(5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베어링(66)의 외륜(66a)에 밀착접촉하고, 제2패킹(52)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베어링(66)의 내륜(66b)에 밀착접촉한다. 이런 상태에서, 환형상 그루브(54)는 베어링(66)의 전동체(66c) 작동공간에만 연결된다. 따라서, 분사구멍(34b)으로부터 분사된 그리스는 도 3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같이 베어링(66)의 전동체(66c) 작동공간내로 주입되거나 동시에 환형상 그루브(54)내로 주입되어 베어링(66)의 탄성체(66c) 작동공간내로 유동하고 그리스포켓(68)내로 더 유동한다. 이때, 제2패킹(52)이 내륜(66b)에 밀착접촉하는 경우, 제1패킹(50)이 외륜(66a)에 밀착접촉하기 때문에, 그리스가 베어링(66)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그리스충전장치를 이용하므로서, 베어링(66)은 충전 작업을 하는 동안 전기모터(60)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고, 전기모터(60)의 외부커버는 그리스로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그리스 충전이 수작업으로 수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리스 충전공정은 자동화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리스충전장치가 반대편상의 동일 그리스 충전 메카니즘이 제공되어 전기모터(60)의 부하측상에 있는 베어링(66)과 반대편상에 있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동시에 그리스가 충전될 수 있다. 베어링이 이런 방법으로 그리스로 동시에 충전될 때, 베어링이 개별적으로 그리스가 충전될 때에 비해, 충전작업이 동시에 진행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보다 빨리 수행된다. 또한 전기모터(60)가 한 쌍의 노즐(34)에 의해 반대편에서 샌드위치되기 때문에, 전기모터(60)는 받침대(36)에 안정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34)이 일측에서 전기모터(60)로 눌려질 때에 비해, 노즐(34)의 압력이 커질 수 있게 되고, 제1패킹(50)과 제2패킹(52)의 밀봉성능이 향상된다.
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모터의 그리스충전장치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스충전장치에서, 각각의 가동부에는 가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 에어실린더가 제공되나, 동력원으로 전기모터를 사용하므로서 그리고 동력전달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벨트/풀리 및 여러 기어를 사용하므로서, 가동부가 작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모터의 그리스충전장치에 있어서, 베어링은 전기모터로부터 베어링을 분리함없이 적절한 양의 그리스로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리스충전장치는 베어링이 전기모터로부터 베어링을 분리함없이 세정된 후 그리스로 충전될 때 유용한다. 특히, 베어링이 정기적으로 세정되고 그리스로 충전될 때, 예를들어 철도차량용 메인모터에서, 그리스충전장치는 보수가 분해작업을 요구함없이 수행될 수 있어 현저하게 편리하다. 베어링 세정부터 그리스 충전까지의 공정이 자동화될 수 있다.

Claims (7)

  1. 전기모터에 고정된 외륜, 외륜의 내측에 배치된 내륜,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개재된 전동체로 구성된 구조를 갖고, 외측단면이 전기모터의 외부로 노출되는 곳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에 있어서,
    그리스 공급원으로부터 선단면에 있는 최소한 하나의 분사구멍을 거쳐 공급된 그리스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
    노즐의 선단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측 단면으로 눌려질 때 상기 베어링의 외륜에 밀착되기 위해 노즐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패킹; 및
    노즐의 선단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측 단면으로 눌려질 때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밀착되기 위해 상기 노즐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패킹을 포함하고,
    제1패킹, 제2패킹 및 상기 노즐의 선단면은 환형상의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구멍은 환형상의 그루브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을 상기 전기모터로부터 분리함없이 그리스로 베어링을 충전할 수 있는 전기모터의 베어링용 그리스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사구멍은 상기 환형상 그루브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의 베어링용 그리스충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노즐구동 메카니즘은 전진 위치 또는 후퇴위치로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노즐의 선단면은 상기 전진 위치에서 상기 베어링의 외측단면에 밀착접촉하고, 상기 노즐의 선단면은 상기 후퇴위치에서 상기 베어링의 외측 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의 베어링용 그리스충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노즐은 전기모터의 반대편 면에 제공된 2개의 상기 베어링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노즐들은 상기 베어링을 향해 전진하며, 상기 전기모터는 이에 따라 두 노즐의 선단면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의 베어링용 그리스충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 맨드렐은 상기 베어링을 향해 상기 노즐의 선단면 중심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중심 맨드렐을 따라 전진/후퇴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중심 맨드렐의 선단은 상기 중심 맨드렐이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중심 부근과 접촉하는 선단을 이동시키므로서 오직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를 향해 변위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의 베어링용 그리스충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이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선단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의 돌출부가 구멍으로 도입되는 상기 노즐의 선단면이 돌출부의 루트 부근에 제공된 상기 베어링을 향해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의 베어링용 그리스충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리스 공급원과 상기 노즐 사이의 유로 하류를 향해 미리 결정된 중량의 그리스를 송출할 수 있는 일정중량송출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의 베어링용 그리스충전장치.
KR10-1998-0706502A 1998-03-16 1998-03-16 전기모터용그리스충전장치 KR100518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1104 WO1999047849A1 (fr) 1998-03-16 1998-03-16 Dispositif d'alimentation en graisse pour moteur e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530A true KR20000064530A (ko) 2000-11-06
KR100518681B1 KR100518681B1 (ko) 2005-12-06

Family

ID=1420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502A KR100518681B1 (ko) 1998-03-16 1998-03-16 전기모터용그리스충전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55380A (ko)
EP (1) EP0987486B1 (ko)
JP (1) JP3496939B2 (ko)
KR (1) KR100518681B1 (ko)
CN (1) CN1106522C (ko)
DE (1) DE69837786T2 (ko)
ES (1) ES2286846T3 (ko)
WO (1) WO1999047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0080B1 (de) * 2001-06-19 2010-0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trag von Schmieroel
US6681490B2 (en) * 2002-03-22 2004-01-27 Continental Conveyor And Equipment Company Axle hub re-packing apparatus
JP4053562B2 (ja) 2005-11-25 2008-02-2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グリス供給装置
US9429270B2 (en) * 2009-10-30 2016-08-30 Noel Lindsay Dawson Bearing grease packer
KR101372319B1 (ko) * 2012-12-27 2014-03-11 서울메트로 철도차량의 축상베어링 다중 그리스 자동 충진시스템
CN109357151B (zh) * 2018-11-28 2023-10-20 苏州长城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交叉滚子轴承自动注脂装置
CN109854927B (zh) * 2019-01-31 2023-09-19 河南科技大学 一种滚动轴承环间喷射润滑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97766A (en) * 1945-08-25 1948-02-03 Helliwell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lubrication of annular bearings
US2427233A (en) * 1944-03-09 1947-09-09 Wagner Electric Corp Greasing device for antifriction bearings
CH329135A (fr) * 1955-03-25 1958-04-15 Napier & Son Ltd Dispositif à palier
US2839160A (en) * 1956-06-14 1958-06-17 Daniel M Wright Lubricator for sealed frictionless bearings
US2873817A (en) * 1956-12-17 1959-02-17 Carlton A Keys Ball bearing lubricator
GB853553A (en) * 1957-06-18 1960-11-09 Skf Svenska Kullagerfab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ubricating devices
US3048236A (en) * 1960-01-25 1962-08-07 Gen Motors Corp Anti-friction bearing grease dispenser
US3268638A (en) * 1963-02-19 1966-08-23 Permawick Company Method of extruding oil-impregnated fibers into bearing reservoirs
US3365024A (en) * 1964-07-28 1968-01-23 John F. Freda Lubricating equipment
US3797089A (en) * 1972-10-17 1974-03-19 M Abel Machine for making and injecting lubricant-impregnated wicking material
JPS5853239B2 (ja) * 1975-11-26 1983-11-28 エヌ テ− エヌトウヨウベアリング カブシキガイシヤ ころがり軸受の潤滑グリ−ス充填装置
US4058185A (en) * 1976-08-09 1977-11-15 Ploeger Kenneth C Automatic wheel bearing lubricator
US4113059A (en) * 1977-03-04 1978-09-12 Ognian Markovski Hand held device for packing grease into wheel bearings
US4778450A (en) * 1979-07-12 1988-10-18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Fluid flow control system
ZA873002B (en) * 1986-05-01 1987-11-25 Castrol Ltd Lubrication devices
JP2565699B2 (ja) * 1986-12-29 1996-1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が図られた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168397U (ko) * 1987-04-22 1988-11-02
US4762252A (en) * 1987-05-08 1988-08-09 Hyer Industries, Inc. Adaptation to major or sporadic disturbance error in weigh feeding apparatus
JPH0337497Y2 (ko) * 1987-08-06 1991-08-08
JPH0337497A (ja) * 1989-07-05 1991-02-18 Nissan Koki Kk ベアリングのグリース充填装置
US5080198A (en) * 1990-02-06 1992-01-14 Rice Gene A Apparatus for greasing wheel bearings
US5109955A (en) * 1990-07-20 1992-05-05 Clark Jimmy E Apparatus for greasing a wheel bearing hub
JPH05266130A (ja) * 1992-03-17 1993-10-15 Fujitsu Ltd 回路動作を指定するための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7786T2 (de) 2008-01-31
US6155380A (en) 2000-12-05
KR100518681B1 (ko) 2005-12-06
EP0987486A4 (en) 2004-03-31
CN1246917A (zh) 2000-03-08
CN1106522C (zh) 2003-04-23
DE69837786D1 (de) 2007-06-28
ES2286846T3 (es) 2007-12-01
JP3496939B2 (ja) 2004-02-16
WO1999047849A1 (fr) 1999-09-23
EP0987486A1 (en) 2000-03-22
EP0987486B1 (en)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5022B (zh) 液材排出裝置及使用其之液體塗佈裝置
KR100592504B1 (ko) 액체정량 토출방법 및 장치
KR101411446B1 (ko) 액재 토출 장치
EP0869554A2 (en) Dispensing pump for epoxy encapsulation of integrated circuits
KR100518681B1 (ko) 전기모터용그리스충전장치
CN100580246C (zh) 液体的定量排出装置
JP4890235B2 (ja) 塗布剤の定量押出し方法及び塗布剤の定量押出し装置
TWI402105B (zh)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id material
JP2000126666A (ja) 液体定量吐出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62568A (ko)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US20230339630A1 (en) Filling apparatus
KR102158686B1 (ko) 고압검사장치용 고압가스통 클램핑장치
JPH01105096A (ja) グリース供給装置
GB2415951A (en) Monitoring a fluid dispensing system
CN117571235B (zh) 一种高压油轨密封测试系统
CN214554902U (zh) 一种点胶机用高粘度胶水微量计量阀
CN219031742U (zh) 一种全自动活塞灌装机
CN220177384U (zh) 一种压电点胶阀
JP2750665B2 (ja) 2液混合硬化性樹脂の注入機及び注入ミキサーノズル
JP2851711B2 (ja) 電気電子部品の気密封止方法
CN112808535A (zh) 一种点胶机用高粘度胶水微量计量阀
JP3098441B2 (ja) 反応射出成形における材料供給装置
CN116835017A (zh) 一种气囊式导料机构和充填机
CN114323612A (zh) 一种燃油总管的在线测试机
JPH055089A (ja) シール剤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