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261A - 연료 필터 - Google Patents

연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261A
KR20000064261A KR1019980702104A KR19980702104A KR20000064261A KR 20000064261 A KR20000064261 A KR 20000064261A KR 1019980702104 A KR1019980702104 A KR 1019980702104A KR 19980702104 A KR19980702104 A KR 19980702104A KR 20000064261 A KR20000064261 A KR 20000064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turn
filter
filter cas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416B1 (ko
Inventor
히로노리 우에다
다카시 나가이
노부오 스즈키
다다오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이토 히로미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 히로미,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 히로미
Publication of KR2000006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4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6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essure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0Means for dissipating electrostatic 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필터(10)의 필터 케이스(11)의 상면에는 압력 조절기로부터 배출되는 리턴 연료가 공급되는 리턴 통로(25)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 통로(25)는 하부가 폐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분기 통로(25)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리턴 통로(25)에 공급된 리턴 연료는 분기 통로(26)로부터 필터 케이스(11)의 측면을 따라 연료액내로 흘러 내린다. 리턴 연료가 필터 케이스(11)의 측면을 따라 흘러 내릴 때 필터 케이스(11) 표면의 전하가 감소한다. 또한, 리턴 통로(25)에서의 에너지 흡수 작용, 분기 통로(26)에서의 에너지 분산 작용, 필터 케이스(11)의 측면을 따라 흘러 내릴 때의 에너지 흡수 작용에 의해 리턴 연료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고, 리턴 연료가 연료액내로 낙하할 때의 리턴 소음도 감소한다.

Description

연료 필터
종래,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성 제 4-109465 호(1992년)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탱크로부터 토출된 연료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와 연료 펌프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연료 탱크내에 삽입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연료 필터에 연료 펌프를 조립하여 펌프 모듈을 구성하고, 이 펌프 모듈을 연료 탱크내에 삽입하도록 한 것도 개시되어 있다.
연료가 필터내를 통과할 때에는 여과지와 연료간의 마찰 대전, 필터 케이스와 연료간의 유동 대전에 의해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전하가 발생한다. 이 전하의 크기, 즉 대전 전위는 연료가 필터내를 통과하는 속도에 비례한다.
이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발생한 전하는 연료 탱크내의 연료 잔량이 많아 필터 케이스가 연료에 잠겨 있는 경우에는 대개 축적되지 않지만, 연료 탱크내의 연료 잔량이 적어지게 되면 전하가 축적되기 쉽게 된다.
그리고,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전하가 축적된 상태로 연료 필터를 연료 탱크로부터 분리하면, 필터 케이스와 연료 탱크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종래,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전하가 축적된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 6-500373 호(1994년)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와 차체 사이에 도전성 경로를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연료 탱크내에 삽입하는 연료 필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터 케이스와 연료 탱크 사이에 도전성 경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작업성도 악화된다.
한편, 일본 실용 공개 평성 제 4-109465 호(1992년)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압력 조절기에 접속되어 있는 리턴 파이프의 배출구를 연료 탱크내에 장착하여, 압력 조절기로부터의 리턴 연료를 리턴 파이프의 배출구로부터 연료액내로 낙하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리턴 연료가 연료액의 액면에 낙하할 때 리턴 연료가 갖는 운동 에너지 등에 의해 리턴 소음(return sound)이 발생한다.
이 리턴 소음은 연료액의 액면이 낮아져 리턴 파이프의 배출구와 연료액의 액면 사이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커지게 되어, 연료 탱크를 거쳐 외부로 소음으로서 전파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리턴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연료 탱크를 방음 특성이 좋은 재료로 형성하는 방법이나, 연료 탱크의 주위에 방음재를 설치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작업성도 불량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로 검토한 결과, 리턴 연료를 필터 케이스를 따라 흘려 보냄으로써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발생한 전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리턴 연료를 필터 케이스를 따라 흘려 보냄으로써 리턴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염가에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리턴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는 연료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연료 필터는 연료 유입구와 연료 유출구가 설치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내에 설치된 필터 부재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일체식으로 설치된 리턴 연료 통로로 구성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리턴 연료가 필터 케이스에 일체식으로 설치된 리턴 연료 통로를 따라 흐름으로써 필터 케이스 표면의 전하가 감소하기 때문에,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전하가 축적되는 일이 없게 되어,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리턴 연료의 에너지가 리턴 연료 통로를 통과할 때 감소하기 때문에, 리턴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연료 필터에 있어서, 상기 리턴 연료 통로가, 필터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설치된 리턴 통로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리턴 연료를 확실하게 필터 케이스를 따라 연료액내까지 흘려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케이스 표면의 전하의 감소 효과 및 리턴 소음의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연료 필터에 있어서, 상기 리턴 연료 통로가,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리턴 통로와, 상기 리턴 통로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된 분기 통로로 구성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리턴 연료 통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분기 통로를 복수개 설치하면, 리턴 연료가 필터 케이스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통로가 복수 형성되기 때문에, 필터 케이스 표면의 전하의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연료가 리턴 통로를 통과할 때 및 리턴 통로로부터 분기 통로로 분기할 때 리턴 연료의 운동 에너지가 흡수되기 때문에, 리턴 소음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연료 필터에 있어서, 리턴 통로를 필터 케이스의 상면을 따라 설치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필터 케이스의 상면을 따라 설치된 리턴 통로의 적절한 위치에 분기 통로를 설치함으로써, 리턴 연료를 필터 케이스의 표면 전체에 흘려 보낼 수 있기 때문에, 필터 케이스 표면의 전하 감소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연료가 필터 케이스의 상면을 따라 통과할 때 리턴 연료의 운동 에너지가 흡수되기 때문에, 리턴 소음의 저감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기재된 연료 필터에 있어서, 필터 케이스에 압력 조절기를 장착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압력 조절기의 장착 작업이나 리턴 파이프의 배관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탱크로부터 토출된 연료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연료 필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C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C 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연료 필터에 연료 펌프 및 압력 조절기를 조립한 펌프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E-E 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연료 필터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연료 필터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8의 F-F 선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연료 필터와 본 발명의 연료 필터에 대하여, 연료의 필터 통과 속도에 대한 필터 케이스의 대전 전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필터(10)의 필터 케이스(11)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연료 펌프 삽입부(14)를 형성하는 내주벽(12) 및 외주벽(13)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료 펌프 삽입부(14)에 연료 펌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 케이스(11)의 형상은 원통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이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을 D 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내주벽(12)과 외주벽(13) 사이에는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된 연료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 부재(16)로서는 여러 가지가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형상의 여과재를 국화꽃 모양으로 절곡시켜, 단면을 C 자형으로 형성한 필터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필터 부재(16)는 필터 부재(16)의 내주측 및 외주측에 연료 유입실 및 연료 유출실이 형성되도록 밀봉 부재(17)에 의해 필터 케이스(11)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부재(16)의 외주측에 연료 유입실(18)이 형성되고, 내주측에 연료 유출실(19)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17)의 구조는 사용하는 필터 부재(16)의 구조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시트 형상의 여과재를 이용하여 단면을 C 자형으로 형성한 필터 부재(1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밀봉 부재(17)는 필터 부재(16)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밀봉하는 구조로 한다. 또한, 통형의 여과재를 이용하여 단면을 C 자형으로 형성한 필터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밀봉 부재는 필터 부재의 축 방향의 상부와 하부를 밀봉하는 구조로 한다. 또, 필터 부재(16) 혹은 필터 케이스(11) 자체가 밀봉 작용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밀봉 부재(17)는 불필요하다.
또한, 필터 케이스(11)에는 연료 펌프 삽입부(14)에 삽입된 연료 펌프의 토출구가 장착되는 유입측 장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입측 장착부(20)는 통로(21) 및 연료 유입구(22)를 거쳐 연료 유입실(18)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11)에는 메인 파이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파이프 혹은 압력 조절기가 장착되는 유출측 장착 구멍(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유출측 장착 구멍(24)은 연료 유출구(23)를 거쳐 연료 유출실(19)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11)의 상면에는 리턴 파이프 혹은 압력 조절기로부터의 리턴 연료가 공급되는 리턴 통로(2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턴 통로(25)는 하부가 폐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분기 통로(26)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분기 통로(26)의 갯수는 임의적이며, 또한 분기 통로(26)는 필터 케이스(11)의 상면으로 연장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필터 케이스(11)의 측면(내주면, 외주면)까지 연장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리턴 통로(25)와 분기 통로(26)에 의해 리턴 연료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리턴 통로(25) 및 분기 통로(26)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필터 케이스(11)와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 1의 연료 필터에 연료 펌프, 압력 조절기 등을 조립한 펌프 모듈을 도 4 및 도 5에 도시한다.
연료 펌프(30)를 연료 필터(1)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연료 펌프(30)를 필터 케이스(11)의 삽입구(15)로부터 연료 펌프 삽입부(14)로 삽입한다.
이 때, 연료 펌프(30)의 토출구(31)를 스페이서(32) 및 부시(33)를 거쳐 필터 케이스(11)의 유입측 장착 구멍(20)에 장착한다.
그리고, 연료 펌프(30)를 조립한 필터 케이스(11)를 쿠션(41)을 거쳐 하우징(40)에 삽입한 후, 하우징(40)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42)에 계합부(51)를 계합함으로써 세트 플레이트(50)를 하우징(40)에 장착한다. 하우징(40)은 필터 케이스(11)의 외형 형상에 맞추어 단면이 D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0)의 단면이 D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원통 형상으로부터 컷트된 부분에 센서 등의 부속 부품을 조립할 수 있고, 부속 부품을 장착한 모듈을 기존의 탱크 구멍으로부터 연료 탱크내로 삽입할 수 있다. 또, 하우징(40)의 형상은 원통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이 가능하다.
하우징(40)에 세트 플레이트(50)를 장착할 때, 필터 케이스(11)에 설치되어 있는 유출측 장착 구멍(24)과 세트 플레이트(50)에 설치되어 있는 장착 구멍(54) 사이에 압력 조절기(60)를 O 링(61)을 거쳐 장착한다. 이 장착 구멍(54)은 통로(66)를 거쳐 메인 파이프 장착부(67)에 연결되어 있다.
압력 조절기(60)의 연료 배출구는 리턴 통로(25)에 대향시키거나, 또는 리턴 통로(25)와 직접 혹은 연결 파이프를 거쳐 접속한다.
또한, 세트 플레이트(50)와 필터 케이스(11) 사이에 쿠션(52)을 설치한다.
또한, 세트 플레이트(50)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용 커넥터(53)와 연료 펌프(30)의 전원 단자를 접속한다.
또한, 연료 펌프(30)의 흡입구에 흡입 필터(34)를 장착한다.
필터 케이스(11)에는 필터 케이스(11)를 하우징(40)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연료 필터(10)에 연료 펌프(30), 압력 조절기(60)를 조립한 펌프 모듈을 연료 탱크의 탱크 구멍으로부터 연료 탱크내로 삽입하여, 메인 파이프 장착부(67)에 메인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한다.
또, 흡입 필터(34)는 항상 연료 탱크의 저면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전하가 축적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실시예 1의 연료 필터에 연료 펌프 및 압력 조절기를 조립한 펌프 모듈의 동작을 설명한다.
연료 펌프(30)에 의해 흡인된 연료는 토출구(31), 통로(21), 연료 유입구(22), 연료 유입실(18), 필터 부재(16), 연료 유출실(19) 및 연료 유출구(23)를 거쳐 압력 조절기(60)로 보내진다. 압력 조절기(60)는 연료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연료를 통로(66), 메인 파이프 장착부(67) 및 메인 파이프를 거쳐 연료 분사 장치에 공급하고, 연료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에는 연료를 연료 배출구로부터 배출한다.
압력 조절기(60)로부터 배출된 리턴 연료는 리턴 통로(25)에 공급되고, 또한, 리턴 통로(25)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분기 통로(26)로부터 필터 케이스(11)의 측면(내주면 혹은 외주면)을 따라 연료액내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압력 조절기(60)로부터 배출된 리턴 연료는 리턴 통로(25) 및 분기 통로(26)로 구성되는 리턴 연료 통로로부터 필터 케이스(11)의 측면을 따라 연료액내까지 도입된다. 그리고, 리턴 연료가 필터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흘러 내리는 것에 의해 필터 케이스(11)의 표면에 발생되어 있는 전하가 감소한다.
또한, 리턴 통로(25)에서의 에너지 흡수 작용, 분기 통로(26)에서의 에너지 분산 작용, 케이스 측면을 따라 낙하할 때의 에너지 흡수 작용 등에 의해 리턴 연료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압력 조절기(60)로부터 배출된 리턴 연료를 리턴 파이프로부터 직접 연료액내로 낙하시키는 경우에 비해 리턴 소음이 저감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리턴 통로를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하였지만, 리턴 통로를 필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 2의 연료 필터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필터(80)의 필터 케이스(81)에는 필터 케이스(81)의 상부로부터 외주면을 따라 리턴 통로(85)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 통로(85)는, 필터 케이스(81)의 상부에서는 압력 조절기의 배출구와 대향하거나 접속 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필터 케이스(81)의 측면에 따른 부분은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턴 통로(85)의 하부의 측벽에는 리턴 연료를 연료액내로 배출하는 배출구(8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턴 통로(85) 및 배출구(86)에 의해 리턴 연료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리턴 통로(85)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필터 케이스(81)와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턴 통로(85)는 복수개 설치하여도 좋다.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 1의 연료 필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의 연료 필터에 있어서는, 압력 조절기(60)로부터 배출된 리턴 연료는 필터 케이스(81)의 측면을 따라 설치된 리턴 통로(85)에 의해 연료액내까지 도입된다. 그리고, 리턴 연료가 리턴 통로(85)를 따라 흘러 내리는 것에 의해 필터 케이스(81)의 표면에 발생되어 있는 전하가 감소한다.
또한, 리턴 연료가 리턴 통로(85)에 의해 연료액내까지 도입될 때 리턴 연료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리턴 소음이 저감된다.
또, 리턴 통로(85)의 단면 형상은 원형, 반원형 이외에도 여러가지 형상이 가능하며, 리턴 통로(85)의 갯수는 복수개이어도 좋다.
실시예 3
다음에, 실시예 3의 연료 필터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필터(90)의 필터 케이스(91)의 상면에는, 압력 조절기로부터 배출된 리턴 연료를 필터 케이스(91)의 상면을 따라 도입하는 리턴 통로(9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턴 통로(95)의 적절한 위치에는 분기 통로(96)가 연접되어 있다.
리턴 통로(95) 및 분기 통로(96)는 합성 수지 등으로 필터 케이스(91)와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3의 연료 필터에 있어서는, 압력 조절기(60)로부터 배출된 리턴 연료는 리턴 통로(95)에 의해 필터 케이스(91)의 상면을 따라 도입되고, 또한 리턴 통로(95)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분기 통로(96)로부터 필터 케이스(91)의 측면(내주면 혹은 외주면)을 따라 연료액내까지 도입된다. 그리고, 리턴 연료가 리턴 통로(95)를 따라 흐르는 것에 의해, 또한 필터 케이스(91)의 측면을 따라 흘러 내리는 것에 의해 필터 케이스(81)의 표면에 발생되어 있는 전하가 감소한다. 이 경우, 분기 통로(96)에 의해 리턴 연료를 필터 케이스(91)의 측면 전체로 흘려 보낼 수 있기 때문에, 필터 케이스 표면에 국부적으로 전하가 축적되는 일이 없어지게 되어 필터 표면의 전하가 한층 더 감소한다.
또한, 리턴 연료가 필터 케이스(91)의 표면을 따라 설치된 리턴 통로에 의해 도입될 때에도 리턴 연료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리턴 소음도 한층 더 감소한다.
또, 리턴 통로(95)를 형성하는 안내벽(97, 98)은 통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리턴 연료를 필터 케이스(91)의 측면까지 도입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또한, 리턴 통로(95)의 단면 형상이나 분기 통로(96)의 단면 형상 등도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11에는 흡입 필터만이 연료에 잠겨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연료 필터를 이용한 경우와 종래의 연료 필터를 이용한 경우의 연료의 필터 통과 속도에 대한 필터 케이스의 대전 전위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 실선은 리턴 연료를 직접 연료액내로 리턴시키는 종래의 연료 필터를 나타내며, 파선은 리턴 연료를 필터 케이스의 표면을 따라 흘려 보내는 본 발명의 연료 필터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 연료를 직접 연료액내로 리턴시키는 종래의 연료 필터에서는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전하가 축적되기 때문에, 대전 전위가 높고, 특히 연료의 필터 통과 속도가 빨라질수록 대전 전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반하여, 리턴 연료를 필터 케이스의 표면을 따라 흘려 보내는 본 발명의 연료 필터에서는 필터 케이스의 표면에 전하가 축적되기 어렵기 때문에, 대전 전위가 낮고, 또한 연료의 필터 통과 속도가 빨라지더라도 대전 전위를 저전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연료 필터에 연료 펌프, 압력 조절기를 조립하여 펌프 모듈을 구성하였는데, 연료 필터에 연료 펌프만을 조립하여 펌프 모듈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세트 플레이트에 메인 파이프 장착부 및 리턴 파이프 장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메인 파이프 장착부와 세트 플레이트의 장착 구멍을 통로를 거쳐 접속하고, 연료 펌프를 장착한 연료 필터의 필터 케이스를 하우징에 삽입한 후 하우징에 세트 플레이트를 장착할 때, 필터 케이스의 유출측 장착 구멍과 세트 플레이트의 장착 구멍 사이에 연료 공급 파이프를 장착한다. 그리고, 리턴 파이프 장착부와 연결된 리턴 연료 배출구를 리턴 통로와 대향시키거나, 또는 리턴 통로와 직접 접속하거나 연결 파이프를 거쳐 접속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연료 필터의 하우징의 단면을 D 자형으로 형성하였는데, 연료 필터의 필터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서, 예컨대 원통 형상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턴 연료 통로의 구조, 장착 위치 등도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이밖에,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하여 여러가지의 변경을 부가한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연료 유입구와 연료 유출구가 설치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내에 설치된 필터 부재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일체식으로 설치된 리턴 연료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연료 통로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설치된 리턴 통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연료 통로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리턴 통로와, 상기 리턴 통로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된 분기 통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통로를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을 따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에 압력 조절기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터.
KR1019980702104A 1996-07-23 1997-07-22 연료 필터 KR100288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93462 1996-07-23
JP19346296 1996-07-23
JP96-303126 1996-11-14
JP8303126A JPH1089188A (ja) 1996-07-23 1996-11-14 燃料フィルタ
PCT/JP1997/002517 WO1998003787A1 (fr) 1996-07-23 1997-07-22 Filtre a carbur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261A true KR20000064261A (ko) 2000-11-06
KR100288416B1 KR100288416B1 (ko) 2001-09-22

Family

ID=2650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104A KR100288416B1 (ko) 1996-07-23 1997-07-22 연료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56201A (ko)
EP (1) EP0852293B1 (ko)
JP (1) JPH1089188A (ko)
KR (1) KR100288416B1 (ko)
DE (1) DE69720172T2 (ko)
WO (1) WO19980037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041B1 (ko) * 2013-07-23 2014-11-27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모듈용 필터의 하우징 및 그것을 갖는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6305B2 (ja) 1997-03-11 2004-09-15 愛三工業株式会社 帯電しにくいように改善されたインタンク式燃料フィルタ
DE19844559A1 (de) * 1998-09-29 2000-03-30 Bosch Gmbh Robert Kraftstoffilter
DE19926687C2 (de) * 1999-06-11 2001-06-1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modul mit integriertem Kraftstofffilter und Potentialanschluß
DE60031892T2 (de) * 2000-08-18 2007-06-21 Mitsubishi Denki K.K. Brennstoffzufuhr
KR20020030670A (ko) * 2000-10-19 2002-04-25 이 춘 석 내장형 연료 필터
US6453870B1 (en) * 2000-12-28 2002-09-24 David Richard Koller Electrically conducting filter
US6740236B2 (en) 2001-09-25 2004-05-25 Kuss Corporation Fuel filter assembly having a conductive spring
GB0205965D0 (en) * 2002-03-14 2002-04-24 Delphi Tech Inc Fuel system
JP3783230B2 (ja) * 2002-03-28 2006-06-07 株式会社デンソー ポンプモジュール
JP4376716B2 (ja) * 2004-07-20 2009-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フィルタ
JP4267545B2 (ja) * 2004-09-03 2009-05-27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ユニット
JP2006250040A (ja) * 2005-03-10 2006-09-21 Aisan Ind Co Ltd 燃料ポンプ
JP4785576B2 (ja) * 2006-03-17 2011-10-05 株式会社ケーヒン 自動二輪車用の燃料供給装置
DE102008040479A1 (de) * 2007-07-23 2009-02-05 Denso Corp., Kariya-shi Kraftstoffzufuhrvorrichtung
JP4552994B2 (ja) * 2007-10-12 2010-09-2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US8372278B1 (en) * 2012-03-21 2013-0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quid fuel strainer assembly
JP6380364B2 (ja) * 2015-12-17 2018-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及び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KR102178858B1 (ko) * 2019-09-25 2020-11-13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용 스트레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836A (en) * 1984-05-10 1986-06-03 Chiao Yi Shong Electrostatic engine oil cleaner
DE3422979A1 (de) * 1984-06-22 1986-01-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Filter fuer dieselkraftstoff
JPH04109465A (ja) * 1990-08-29 1992-04-10 Hitachi Ltd 磁気デイスク装置のキヤリツジ
JP3286957B2 (ja) * 1992-03-06 2002-05-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及びv型エンジン
GB2304821B (en) * 1992-12-15 1997-05-07 Bosch Gmbh Robert Fuel supply equipment for a vehicle fuel supply system
JP3734281B2 (ja) * 1993-09-10 2006-01-11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
DE4417713A1 (de) * 1994-05-20 1995-11-23 Teves Gmbh Alfred Austauschsatz für ein Wischblatt
FR2724692B1 (fr) * 1994-09-15 1997-01-24 Marwal Systems Ensemble de pompage incorporant un regulateur de pression, pour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reservoir ainsi equipe
DE4433301C2 (de) * 1994-09-19 1998-07-02 Mannesmann Vdo Ag Tankdeckel
WO1996014506A1 (fr) * 1994-11-04 1996-05-17 Nippondenso Co., Ltd. Appareil d'alimentation en carburant
DE19581548B9 (de) * 1995-02-03 2008-11-06 Denso Corp., Kariya-shi Kraftstoffzuführsystem
DE19509143C2 (de) * 1995-03-14 2003-04-10 Pierburg Gmbh Brennstofförder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2839861B2 (ja) * 1995-07-18 1998-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JPH0932679A (ja) * 1995-07-21 1997-02-04 Aisan Ind Co Ltd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3382808B2 (ja) * 1997-02-07 2003-03-04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燃料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041B1 (ko) * 2013-07-23 2014-11-27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모듈용 필터의 하우징 및 그것을 갖는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2293A4 (en) 1999-06-30
WO1998003787A1 (fr) 1998-01-29
EP0852293B1 (en) 2003-03-26
EP0852293A1 (en) 1998-07-08
JPH1089188A (ja) 1998-04-07
DE69720172D1 (de) 2003-04-30
DE69720172T2 (de) 2004-02-05
US6156201A (en) 2000-12-05
KR100288416B1 (ko) 200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416B1 (ko) 연료 필터
US6520163B2 (en) In-tank fuel supply apparatus
EP1861613B1 (en) Fuel system with direct connection between fuel pump, jet pump and fuel filter
US7964096B2 (en) Filter device utilizing returned fuel to prolong filter life
JP3758274B2 (ja) 燃料フィルタ
EP1008745B1 (en) Vehicle fuel supplying apparatus
JP3556983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3389010B2 (ja) 燃料フィルタ
JP2004028040A (ja) 車輌用の燃料供給装置
WO2002016754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carburant
SE519735C2 (sv) Anordning innefattande ett luftfilter och en membranförgasare
JPH09268957A (ja) 燃料供給装置
JP4370528B2 (ja) 燃料供給装置
US6162029A (en) Filtering throttle element for fuel injection pump
JP4195756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3975849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2008082263A (ja) 燃料供給装置
JP3314909B2 (ja) 給油装置用ポンプユニット
JP3216512B2 (ja) ポンプ装置の気液分離装置
US20020100717A1 (en) Fuel filters
KR200158422Y1 (ko) 오일연소기 연료필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286482B1 (ko) 연료계의 공기분리장치
US20220003193A1 (en) Fuel pump assembly with electric motor fuel pump and fluid driven fuel pump
JP2004211678A (ja) 燃料タンク内ポンプモジュール
KR0117797Y1 (ko) 석유 연소기기의 연료 정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