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472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472A
KR20000053472A KR1020000001472A KR20000001472A KR20000053472A KR 20000053472 A KR20000053472 A KR 20000053472A KR 1020000001472 A KR1020000001472 A KR 1020000001472A KR 20000001472 A KR20000001472 A KR 20000001472A KR 20000053472 A KR20000053472 A KR 20000053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developer
image forming
se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374B1 (ko
Inventor
미즈이시하루지
다나카마사루
다츠미겐조
아메미야겐
야마구치도시타카
젬바히데키
우스이노리유키
오호리마유미
미즈사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0005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75Arrangements for shipping or transporting of the developing device to or from the user
    • G03G2215/0877Sealing of the developing device opening, facing the image-carrying member
    • G03G2215/088Peelable sealing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발명은 새로운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저비용, 소형화를 유지하면서 시일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클리닝 블레이드가 말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현상 장치(12)를 구비하여 2성분 현상제를 현상제 수납부(21)에 밀봉하는 시일 부재를 제거한다. 그리고 토너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를 검지하는 토너 농도 검지 센서(1)를 이용하여 화상 담지체(10) 위에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하지 않을 때와 형성할 때의 출력치 비교 결과로부터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제거를 식별했을 때, 현상 장치(12)를 구동시켜 현상제 수납부(21) 내의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현상제 담지부(22)로 공급하고, 현상제 담지부에서 2성분 현상제인 토너를 부착시켜 화상 담지체(10)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며, 그것에 의해 얻은 토너 패턴 화상을 전사 장치(13)에서 전사하여 전사재 P 위에 화상을 기록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을 통합한 기기 등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사기 등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맨 등에 의한 전문 기능을 요하지 않고서 이용자 자신이 간단히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시장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 시장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종래는 신품 현상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할 때에 서비스맨이 현상 장치 내로 현상제를 투입했던 작업을 이용자 자신이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허평 4-3463호에 있어서, 현상 장치 내의 현상제 수납부에 현상제를 미리 넣어두고 이 현상제 수납부를 시일 부재에 의해 밀봉하는데, 이 시일 부재를 제거하지 않는 한, 현상 롤러 등을 구성 부재로 하는 현상제 담지부로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이러한 종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신품 현상 장치를 사용하기 직전에 이용자 자신이 그 시일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현상 장치 내로 현상제를 투입하는 작업을 완료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 자신에 의한 현상제 투입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에 더해서, 현상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장기간 방치하여도 현상제 수납부의 시일 부재에 의한 밀봉에 의해 그곳에 수납된 현상제의 환경 열화 등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효과도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이용자가 확실하게 시일 부재를 제거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기능은 없어 이용자가 복사를 하고 나서야 비로소 이상이 있음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시일 부재가 제거되지 않고 현상제 수납부에 붙여진 상태로 장치를 가동하면 당연히 화상 담지체인 감광체 위에는 토너가 전혀 부착되지 않는다.
감광체 위에 부착되는 토너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클리닝 블레이드는 통상은 화상을 형성하지 않을 때라도 감광체에 부착되는 토너를 약간 가지고 있음으로써 감광체와의 마찰력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감광체 위에 토너가 전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클리닝 블레이드가 말리거나 혹은 그 일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이른바 블레이드의 말림이거나 파손이 생기면 그 후 고품질의 화상 형상을 유지하는 데 지장을 주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통상 현상 장치 내에 탑재되어 있는 토너 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현상 장치의 시일 부재를 확실하게 제거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변동에 의해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토너 농도 센서가 현상 장치 내에 위치하되 시일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현상제 수납부와는 별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가 진척되고 있는 오늘날에는 상술한 장치와 같이 현상 장치 내에 현상제 수납부를 포함하고 동시에 그 현상제 수납부에 토너 농도 센서를 배치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된다.
따라서, 토너 농도 센서에 의해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저비용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유지하면서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할 수 있고, 클리닝 블레이드가 말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복사기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레이저 복사기의 시일 부재가 붙어있는 감광체 유닛 현상 장치의 현상제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레이저 복사기에 있어서 시일 부재를 제거하지 않았을 때의 감광체 유닛 현상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b는 도 1의 레이저 복사기에 있어서 시일 부재를 제거했을 때의 감광체 유닛 현상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의 레이저 복사기에 있어서 신품 감광체 유닛을 세트했을 때의 CPU 제어에 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P 센서(토너 농도 검지 센서)
2 : 시일 부재
3 : 제어 모듈
4 : 모터 구동부
5 : 전원부
6 : 신품 검지 스위치
7 : 표시부
10 : 감광체(화상 담지체)
11 : 대전 장치
12 : 현상 장치
13 : 전사 장치
14 : 용지 분리 장치
15 : 클리닝 장치
17 : 클리닝 블레이드
20 : 감광체 유닛
21 : 현상제 수납부
22 : 현상제 담지부
23 : 제1 교반 부재
24 : 제2 교반 부재
25 : 새 토너 보급 구멍
26 : 재이용 토너 보급 구멍
28 : 현상 롤러
29 : 현상 닥터(doctor)
P : 용지(전사재)
L : 레이저 광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토너와 캐리어로 구성되는 2성분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와 이것으로부터 공급된 2성분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부와 이들 사이에 구비되며 2성분 현상제가 수납되는 현상제 수납부를 밀봉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를 설치하고, 이 현상 장치의 시일 부재를 제거한 후 이 현상 장치를 구동시켜 현상제 수납부 내에 수납하는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현상제 담지부로 공급하고, 이 현상제 담지부에 토너를 부착시켜 화상 담지체 위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며, 이 현상에 의해 얻은 토너 패턴 화상을 전사 장치로 전사하여 전사재 위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를 검지하는 토너 농도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이 토너 농도 검지 센서를 이용하여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담지체 위에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하지 않을 때의 토너 농도 검지 센서의 출력치와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한 때의 출력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로부터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하면 좋다.
이 때 화상 담지체의 구동을 개시해서 20초 이내에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너 농도 검지 센서를 이용하여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때 전사 장치에 토너가 갖는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가하면 좋다. 나아가 시일 부재가 제거된 것을 인식한 후에도 소정 시간동안 계속하여 현상제 수납부 내에 수납되는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고, 그 후에 상기 토너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를 검출하면 좋다.
또한, 토너 농도 제어를 행할 때의 제어 기준치와는 다른 기준치에 의해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기 위한 기준치를 토너 농도 제어를 행할 때의 기준치보다도 토너 농도가 옅어지는 쪽으로 설정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시일 부재가 제거된 것을 인식한 후,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전사 부재를 클리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하나인 레이저 복사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화상 담지체로서의 드럼형의 감광체(10) 주위에는 롤러 모양의 대전 장치(11), 현상 장치(12), P 센서(1)(토너 농도 검지 센서), 전사 장치(13), 용지 분리 장치(14), 클리닝 장치(15)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는 감광체 유닛(20), 용지 트레이(50), 용지 공급 롤러(51),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2), 정착 롤러쌍(53), 앞문 개폐 검지 센서(60), 제1 모터(8) 및 제2 모터(9), 구동부(4), 전원부(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어 모듈(3)은 어드레스 및 데이터 버스(3B), 네트워크 접속기(3N), CPU(3C), RAM(3R), 플래시 메모리(3F), 입력 장치(3I)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3F) 대신에 예컨대 ROM,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등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이 레이저 복사기로 복사를 할 때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이용자는 콘택트 렌즈(도시하지 않음) 위에 원고를 세트한 후 복사 스위치를 누른다. 복사 스위치가 눌러지면 광학 판독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세트된 원고의 화상 정보가 판독됨과 동시에 용지 이송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사재인 용지 P가 감광체(10)와 전사 장치(13)의 사이를 향하여 이송된다. (도 1의 화살표 A 방향임)
한편, 감광체(10)는 회전하면서 대전 장치(11)에 의해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고, 감광체 표면에는 상술한 원고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여 빛 기록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발사된 레이저광 L이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감광체(10)위에는 원고의 화상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나아가, 감광체(10)의 회전에 따라 감광체(10)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2)의 위치에 이르고 거기서 토너가 부착됨으로써 현상된다. 그리고 이 현상된 복사 화상으로서의 토너 화상은 또한 전사 장치(13)의 위치에 이르러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위치로 이송된 전사재인 용지 P 위에 전사된다.
복사 화상이 전사된 후의 용지 P는 용지 분리 장치(14)에 의해 방전되어 정전적으로 흡착하여 있던 감광체(1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용지 P는 정착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로 이송되고 거기서 용지 P위의 전사 화상은 정착된 후 배출부(도시하지 않음)로 배출된다.
한편, 전사 장치(13)로 토너 화상을 전사한 후의 감광체(10)에는 그 표면에 전사되지 않고 남은 잔류 토너가 클리닝 장치(15)에 구비된 클리닝 블레이드(7)에 의해 긁혀 떨어져 클리닝된 후 방전 램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방전되어 표면 전위가 초기화된다.
여기서 도시한 레이저 복사기에서, 상술한 감광체(10), 대전 장치(11), 현상 장치(12), 클리닝 장치(15) 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닛 케이스에 의해 일체화된 감광체 유닛(2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담지부(22)는 주로 현상 롤러(28)와 현상 닥터(2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롤러(28)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1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현상 닥터(29)는 현상 롤러(28)와 미세한 틈새를 두고 배치되며 이 틈새에 의해 감광체(10)의 위치로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제어하고 있다.
나아가 현상제 수납부(21)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쪽의 한 끝에 새 토너 보급 구멍(25)과 재이용 토너 보급 구멍(26)이 각각 위쪽으로 뚫려져 있다. 그리고, 이들 보급 구멍(25, 26)을 통해 투입되는 토너는 제1 교반 부재(23) 및 제2 교반 부재(24)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이송된다.
여기서 새 토너 보급 구멍(25)으로부터 공급되는 새 토너는 토너병, 토너 호퍼, 토너 보급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토너 보급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재이용 토너 보급 구멍(26)으로부터 공급되는 재이용 토너 즉, 클리닝 장치(15)에서 회수된 토너는 재이용 토너 이송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공급된다.
도 3a는 도 1의 레이저 복사기에 있어서 시일 부재(2)를 제거하지 않았을 때의 감광체 유닛 현상 장치(12)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시일 부재를 제거했을 때의 감광체 유닛 현상 장치(12)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감광체 유닛(20)은 도시하지 않지만 레이저 복사기의 장치 본체 내에서 전후로 대향하여 배치된 측판 사이에 구비되고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광체 유닛(20)은 이용자에 의해 소정의 복사 장수에 따라 신품 유닛이 교환된다. 신품 유닛이 복사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면 도 1에 나타낸 신품 검지 스위치(6)에 의해 그 정보가 제어 모듈(3)로 전달된다.
또 도시한 레이저 복사기에 있어서, 현상 장치(1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측에 구비된 현상제 수납부(21)와, 상부측에 구비된 현상제 담지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현상제 수납부(21)는 주로 제1 교반 부재(23), 제2 교반 부재(24), 토너 농도 센서(6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제 수납부(21) 내의 토너와 캐리어로 구성되는 2성분 현상제(12D)는 제1 교반 부재(23)와 제2 교반 부재(24)에 의해 교반되어 현상제 담지부(22)로 공급된다. 또 2성분 현상제의 토너와 캐리어의 혼합비는 토너 농도 센서(62)에 의해 자기적(磁氣的)으로 검지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현상 장치(12)는 복사할 때 구동부(4)에 의해 제1 모터(8)가 도 1의 점선 D3으로 나타낸 것처럼 구동되어 현상 롤러(28)가 회전됨과 동시에 교반 부재(23, 24)도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가 교반되고 토너와 캐리어는 마찰 대전되면서 현상 롤러(28)로 이송된다. 한편, 현상 롤러(28) 위에는 자계가 형성되고 또한 소정의 전압이 전원부(5)로부터 가해져 있으며 현상제 중의 토너만을 감광체(10)의 표면에 흡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감광체(1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된다.
또한 상술한 토너 보급부로부터 현상제 수납부(21)로 보급되는 토너 보급량은 현상제 수납부(21)에 설치된 토너 농도 센서(62)와 도 1에 나타낸 P 센서(1) 쌍방의 검출값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P 센서(1)는 주로 LED 등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사 원고에 근거하여 감광체(10) 위에 형성되는 화상 영역과 다른 영역 내에 형성되는 토너 패턴 화상에 발광부에서 나온 빛을 비추어 거기서 반사하여 수광부로 되돌아오는 빛의 양에 의해 토너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를 검출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구동부(4)는 현상 장치(12) 외에도 감광체(10), 대전 장치(11), 클리닝 장치(15)의 회전부재를 구동하지만 현상 장치(12)의 구동은 이들과는 독립한 계통으로 되어 있다. 즉, 현상 장치(12)의 교반 부재(23, 24) 등은 도 1의 점선 D1, D2로 나타낸 것처럼 제1 모터(8)에 의해 구동되고, 감광체(10) 등은 도 1의 점선 D4로 나타낸 것처럼 제2 모터(9)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이 구동부(4)는 제어 모듈(3)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또한, 전원부(5)는 현상 롤러(28)에 가하는 전압 외에 대전 장치(11), 전사 장치(13), 용지 분리 장치(14) 등에 가하는 고압 전압도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원부(5)는 제어 모듈(3)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여기에 도시한 레이저 복사기에 있어서, 사용 전의 감광체 유닛(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부(21) 내에 수납된 현상제는 시일 부재(2)로 밀봉되어 있다. 즉, 공장 출하 시에 현상제 수납부(21)에 수납되고 시일 부재(2)에 의해 밀봉된 현상제는 사용 직전에 이용자에 의해 시일 부재(2)가 제거될 때까지 현상제 담지부(22)에는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감광체 유닛(20) 자체의 운송 등에 의해 현상제가 장치 밖으로 튀어나오거나 이것에 의해 감광체(10) 표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 등을 피할 수 있다.
반면에, 신품 감광체 유닛(20)을 이용자가 교환할 때에 시일 부재(2)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 복사를 하고자 해도 백지인 용지 P가 배출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15)의 클리닝 블레이드(17)가 말리거나 파손되거나 하여 그 후의 복사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시한 레이저 복사기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나아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4는 신품 감광체 유닛(20)을 세트한 경우에 제어 모듈(3)에서 행해지는 시일 부재(2)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제어에 관한 흐름도이다.
우선, 신품 감광체 유닛(20)이 세트되면 신품 검지 스위치(6)에 의해 세트가 확인된다(S1). 여기서 신품 검지 스위치(6)에 의해 감광체 유닛(20)의 세트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사기 외곽부에 배치된 표시부(7) 위에 "감광체 유닛을 교환해 주십시오"라는 경고를 표시한다(S2).
신품 검지 스위치(6)에 의해 감광체 유닛(20)의 세트가 확인된 경우에는 구동부(4)가 제1 모터(8), 제2 모터(9)를 통해 각 부를 구동시킨다(S3). 다음에 P 센서(1)의 빛의 양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감광체(10) 위에 상술한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하지 않고 즉, 감광체(10) 위에 토너를 부착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P 센서(1)에 의한 검출을 행하며(S4), 그 출력이 소정의 값에 근사하도록 예컨대 4V로 되도록 그 발광부의 빛의 양을 조정한다. 이 때의 최종적인 출력값을 이하 Vsg라고 한다.
다음에 전원부(5)에 의해 각 부로 전압을 가한다(S5). 구체적으로는 우선 제2 모터에 의해 현상 장치(12) 이외의 각 부가 구동되고 다음에 대전 장치(11)에 전압이 가해진다.
계속하여 감광체(10)의 회전에 의해 표면이 대전된 영역이 현상 장치(12)의 위치에 이르면 동시에 현상 장치(12)를 구동시키고 전압을 가한다.
나아가, 전사 장치(13)에 토너가 갖는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가한다. 즉, 음극성을 갖는 토너이면 전사 장치(13)에 통상의 복사를 할 때와는 달리 음전압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감광체(10)의 회전에 따라 전사 장치(13) 자체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 장치(13)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것은 통상의 복사를 할 때에 용지 P의 뒷면(전사 장치(13)쪽의 면)에 발생하는 오점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된다.
또한, 시일 부재의 제거 검시 시에 전사 부재에 역바이어스를 가하고 있지만 역바이어스를 가하는 것만으로는 전사 부재로 토너가 전사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 그래서 시일 부재의 제거를 인식한 후, 통상의 화상 형성을 행하기 전에 전사 부재를 클리닝함으로써 전사지 뒷면의 오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실제로 감광체(10) 위에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하고(S6), 그 패턴 농도를 P 센서(1)로 검출한다(S7). 이 때의 P 센서(1)의 출력치를 이하 Vsp라고 한다.
이상의 P 센서(1)의 출력치 Vsg 및 Vsp는 CPU(3C)의 연산부에서 연산 처리되고 그 값에 근거하여 현상 장치(12)의 시일 부재(2)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한다(S8). 구체적으로는 Vsg와 Vsp의 차가 예컨대 1V보다 클 때는 시일 부재(2)가 제거되었다고 인식하고, 1V보다 작을 때는 시일 부재(2)가 제거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한다.
이것은 시일 부재(2)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의 Vsp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10) 위에 토너가 부착되지 않으므로 Vsg와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며, 시일 부재(2)가 제거된 경우의 Vsp는 통상의 복사 시에 검출하는 Vsp와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된다는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시일 부재(2)의 제거 유무의 식별에 의해 시일 부재(2)가 제거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한 경우는 구동부(4)에 의한 모든 구동과 전원부(5)로부터 전압이 가해짐이 정지된다(S11, S12). 그리고 상술한 표시부(7) 위에 시일 부재(2)를 제거하고 앞문을 닫을 것을 경고 표시한다(S13). 이 경고 표시는 복사기 장치 본체의 앞문(도시하지 않음)이 닫힌 것이 검지될 때까지 계속하여 표시된다(S14). 이용자가 앞문을 여는 작업은 감광체 유닛(20)을 복사기 장치 본체로부터 꺼내어 시일 부재(2)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조건으로 된다. 그리고 앞문의 닫힘이 검지되면 재차 전원부(5)에 의해 각 부로 전압을 가하고 구동부(4)에 의해 각 부를 구동시킨다(S3, S5).
한편, 시일 부재(2) 제거 유무의 식별에 의해 시일 부재(2)가 제거되어 있다고 인식한 경우는 구동부(4)의 제2 모터를 정지시키고, 제1 모터에 의해 현상 장치(12)의 교반 부재(23, 24)를 소정의 시간동안 구동시킨다(S9). 그리고 전원부(5)에 의해 각부로 전압을 가하고 구동부(4)에 의해 각 부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재차 화상 농도를 조정한다(S10). 그 후에 전압의 인가와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교반 부재(23, 24)의 소정 시간의 구동과, 그 후의 화상 농도 재조정은 신품 감광체 유닛(20)을 해외로 운송하는 등에 의해 장기간 방치된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즉, 현상제 수납부(21) 내의 현상제는 시일 부재(2)에 의해 외기로부터 밀폐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대전량 저하는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방치된 직후에 사용하는 경우의 대전량은 통상 복사시의 안정 상태의 대전량에 비해 낮다.
이와 같이 현상제 중의 토너가 충분히 대전되어 있지 않으면 본래 감광체(10) 위에 토너를 부착시키지 않고 행하는 Vsg 조정에 있어서, 감광체(10) 위에 토너가 약간 부착된 상태, 소위 바탕 오점의 상태에서 빛의 양이 조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경우 Vsp도 항상 큰 값으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현상 장치(12)로의 토너 보급량이 항상 많아짐으로써 대전량이 낮은 토너에 의한 화상 농도 저하가 초래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한 복사기에서는 교반 부재(23, 24)를 소정 시간 구동시켜 현상제의 대전량이 안정된 후에 화상 농도의 조정을 재차 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적절하고 안정한 화상 농도의 복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최초의 토너는 대전량이 작기 때문에 농도 검지용의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가 옅어진다. 따라서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기 위한 기준치를 토너 농도 제어시의 기준치와 같게 하는 것으로서는 시일 부재의 제거를 정확히 검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시일 부재 제거 검지시의 토너 기준치를 토너 농도 제어시의 토너 농도 기준치보다도 토너 농도가 옅게 되는 쪽으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서는 시일 부재(2)가 제거되지 않고서 감광체 유닛(20)이 세트된 경우에도 복사 개시 전에 그것을 재빨리 검출하므로 클리닝 장치(15)의 클리닝 블레이드(17)가 말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항상 안정한 화상 품질의 복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제어에 있어서, 감광체(10)의 구동이 개시되어서 정지할 때까지에 요하는 시간은 20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확실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0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복사기가 이용자 자신에 의한 관리 유지를 전제로 하는 비교적 소형의 기계라는 것을 고려하면 상술한 시간은 몇 번인가 연속하여 시일 부재(2)가 제거되지 않고서 도 4의 제어가 복수회 계속되어도 클리닝 블레이드(17)의 말림이나 파손을 초래하지 않는 적당한 시간이라고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P 센서(1)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장치(12)와 전사 장치(13) 사이에 배치했지만 용지 분리 장치(14)와 클리닝 장치(15)의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현상 장치(12) 등에 의해 구성되는 탈착가능한 감광체 유닛(20)을 구비한 복사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감광체 유닛을 구성하지 않는 개별 부품으로서 탈착가능한 현상 장치를 구비한 복사기에 대해서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레이저 복사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다른 화상 형성 장치, 예컨대 아날로그 복사기, 팩시밀리, 레이저 프린터 등에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화상 담지체 위의 토너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를 검지하는 토너 농도 검지 센서를 이용하여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므로 새로운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저비용 및 소형화를 유지하면서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할 수 있고, 클리닝 블레이드의 말림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화상 담지체 위에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하지 않을 때의 토너 농도 검지 센서의 출력치와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한 때의 출력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로부터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므로 간단하고도 신속히 또한 확실하게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화상 담지체의 구동을 개시해서 20초 이내에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므로 가령 시일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 복수회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는 제어를 반복해도 클리닝 블레이드의 말림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토너 농도 검지 센서를 이용하여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때 상기 전사 장치에 토너가 갖는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가하므로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는 제어를 행할 때 전사재의 뒷면을 더럽히는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시일 부재가 제거된 것을 인식한 후에도 소정 시간 계속하여 현상제 수납부 내에 수납되는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고, 그 후에 토너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를 검출하여 재차 센서를 조정하므로 가령 장기간 방치된 경우에도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6항과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기 위한 기준치를 토너 농도 제어를 행할 때의 기준치보다도 토너 농도가 옅어지는 쪽으로 설정했으므로 최초의 토너가 대전됨이 적어도 토너 농도를 정확히 검지하여 시일 부재의 제거를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시일 부재가 제거된 것을 인식한 후,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전사 부재를 클리닝하므로 전사지 뒷면의 오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토너와 캐리어로 구성되는 2성분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와 이것으로부터 공급된 2성분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부와 이들 사이에 구비되며 2성분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수납부에 밀봉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고, 이 현상 장치의 상기 시일 부재를 제거한 후 이 현상 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현상제 수납부 내에 수납되는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상기 현상제 담지부로 공급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부에 토너를 부착시켜 화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며, 이 현상에 의해 얻은 토너 패턴 화상을 전사 장치로 전사하여 전사재 위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를 검지하는 토너 농도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농도 검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 위에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하지 않을 때의 상기 토너 농도 검지 센서의 출력치와 토너 패턴 화상을 형성한 때의 출력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의 구동을 개시한 후 20초 이내에 상기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농도 검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때 상기 전사 장치에 토너가 갖는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가 제거된 것을 인식한 후에도 소정 시간 계속하여 상기 현상제 수납부 내에 수납되는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고, 그 후에 상기 토너 패턴 화상의 토너 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토너 농도 제어를 행할 때의 제어 기준치와 상이한 기준치에 의해 시일 부재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시일 부재의 제거 유무를 식별하기 위한 기준치를 토너 농도 제어를 행할 때의 기준치보다도 토너 농도가 옅어지는 쪽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가 제거된 것을 인식한 후,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전사 부재를 클리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00001472A 1999-01-14 2000-01-13 화상 형성 장치 KR100348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07900 1999-01-14
JP790099 1999-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472A true KR20000053472A (ko) 2000-08-25
KR100348374B1 KR100348374B1 (ko) 2002-08-10

Family

ID=1167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472A KR100348374B1 (ko) 1999-01-14 2000-01-1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66501B1 (ko)
KR (1) KR100348374B1 (ko)
CN (1) CN113818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15B1 (ko) * 2001-12-04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4100A (ja) 1999-11-09 2001-05-18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と画像形成装置
US6671484B2 (en) 2000-09-05 2003-12-3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ing device with magnet roller with particular magnetic flux density
JP4143266B2 (ja) 2001-01-16 2008-09-0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セスユニット
JP2003005530A (ja) 2001-06-22 2003-01-08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771918B2 (en) 2001-09-21 2004-08-03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EP1347341B2 (en) * 2002-03-22 2018-01-10 Ricoh Company, Ltd. Use of a toner and developer for electrophotography, image-forming process cartridge, image-forming apparatus and image-forming process using the toner
US6807390B2 (en) * 2002-04-12 2004-10-1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04209A (ja) * 2002-05-31 2004-01-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010246B2 (en) * 2002-06-10 2006-03-0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drum unit, image forming module, and method of insertion and removal of a damper into and from an image carrier drum
JP2004062062A (ja) * 2002-07-31 2004-02-26 Ricoh Co Ltd 帯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975830B2 (en) * 2002-09-12 2005-12-13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waste toner recovery device
EP1429209A3 (en) * 2002-09-19 2004-08-25 Ricoh Company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for use in the same
JP2004139031A (ja)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38816A (ja) * 2002-10-17 2004-05-13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70904A (ja) * 2002-11-08 2004-06-17 Ricoh Co Ltd 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177555B2 (en) 2003-01-15 2007-02-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proces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95335B2 (ja) * 2003-02-28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71876A (ja) * 2003-03-07 2004-09-30 Ricoh Co Ltd 現像剤担持体、現像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04070A (ja) * 2003-06-13 2005-01-06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US7158730B2 (en) * 2003-08-07 2007-01-0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method
JP4418192B2 (ja) * 2003-08-20 2010-02-17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70276A (ja) 2003-08-22 2005-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に用いるトナー
JP2005070274A (ja) * 2003-08-22 2005-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
JP4341957B2 (ja) * 2003-12-25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221825A (ja) *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56561B2 (ja) * 2004-03-05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368702B2 (ja) * 2004-03-11 2009-11-18 株式会社リコー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3997213B2 (ja) * 2004-03-31 2007-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300626A (ja) * 2004-04-07 2005-10-27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CN100375936C (zh) * 2004-04-26 2008-03-19 佳能株式会社 清洁装置、处理盒、清洁构件和电摄影成像设备
US7720416B2 (en) *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51301A (ja) * 2005-03-10 2006-09-21 Ricoh Co Ltd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トナー
JP4892330B2 (ja) * 2006-12-18 2012-03-0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2008175956A (ja) * 2007-01-17 2008-07-31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トナー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39390B2 (ja) * 2007-02-02 2012-10-03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657196B2 (en) * 2007-02-02 2010-02-02 Ricoh Company, Limited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moveable optical sensor
JP4833117B2 (ja) * 2007-03-06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潜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484189B2 (ja) * 2010-05-19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30224B2 (ja) * 2010-11-10 2014-1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5196367A1 (zh) * 2014-06-24 2015-12-30 昂纳自动化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烟雾化器密封圈装配质量检测装置及方法
JP6628043B2 (ja) * 2016-09-07 2020-01-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ガイド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3549A (en) * 1987-03-03 1989-10-10 Mita Industrial Co., Ltd. Device for detecting the life of an image forming process unit, opening of a seal of the unit and attachment of the unit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4963938A (en) * 1988-06-10 1990-10-16 Ricoh Company, Ltd. Toner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859905B2 (ja) 1989-10-25 1999-02-24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2277083A (ja) 1989-04-19 1990-11-13 Ricoh Co Ltd トナー補給機構
US5109254A (en) 1989-08-25 1992-04-2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apparatus
JPH04194971A (ja) * 1990-11-27 1992-07-14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4250479A (ja) * 1991-01-28 1992-09-07 Ricoh Co Ltd 画像濃度制御方法
JPH0566669A (ja) 1991-09-05 1993-03-19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機
JPH05257352A (ja) 1992-03-11 1993-10-08 Sharp Corp 電子写真装置
JPH0715609A (ja) 1993-06-17 1995-01-17 Toshiba Corp 画像伝送方法並びに画像送信装置、画像受信装置および画像伝送装置
JP3364632B2 (ja) 1994-11-08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US5734953A (en) 1995-02-17 1998-03-31 Ricoh Company, Ltd. Detachable toner supply and processing assembly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aving a shutter mechanism for toner flow control
JP3460425B2 (ja) * 1995-03-16 2003-10-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09385B2 (ja) 1995-07-24 2004-03-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
JP3406125B2 (ja) * 1995-07-31 2003-05-1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227914B1 (ko) 1995-10-11 1999-11-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US5864733A (en) 1995-10-25 1999-01-26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69155A (ja) 1996-05-29 1998-03-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199474B1 (ko) * 1996-06-12 1999-06-15 김광호 전자사진 프린터의 장치의 용지 배면 오염 방지 제어방법
JPH1073976A (ja) 1996-07-03 1998-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333415A (ja) * 1997-04-04 1998-12-18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122458A (en) * 1997-11-12 2000-09-19 Minolta Co., Ltd. Replaceable developer supplying device and replaceable imaging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15B1 (ko) * 2001-12-04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66501B1 (en) 2001-07-24
CN1138185C (zh) 2004-02-11
KR100348374B1 (ko) 2002-08-10
CN1260518A (zh) 200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374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5618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program for controlling, and recording medium for program
US81214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y method therefor
US7231164B2 (en) Developing unit,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381420B1 (en) Developer replenishing mechanism
JPH1128222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光学検知システム
US73697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ment unit
US84284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6455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ontent sensor
US582264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8797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lf-diagnosis mode
JP3116697B2 (ja) 画像形成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H10133436A (ja) 画像形成装置
US7366431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7761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15796A (ja) 画像形成装置
US6006048A (en) Wrong-sign toner detection system
JP200226847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490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8821A (ja) 現像装置、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67424A (ja) 画像形成装置
EP309618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606271B2 (ja) 画像形成装置
JP447843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106225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