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870A - 화장후남은유골로부터결정체를만드는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후남은유골로부터결정체를만드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870A
KR20000023870A KR1019990009064A KR19990009064A KR20000023870A KR 20000023870 A KR20000023870 A KR 20000023870A KR 1019990009064 A KR1019990009064 A KR 1019990009064A KR 19990009064 A KR19990009064 A KR 19990009064A KR 20000023870 A KR20000023870 A KR 2000002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nozzle
container
shaf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338B1 (ko
Inventor
이명식
윤정로
Original Assignee
이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식 filed Critical 이명식
Priority to KR10-1999-000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33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1/00Single-crystal growth by normal freezing or freezing under temperature gradient, e.g. Bridgman-Stockbarger method
    • C30B11/003Heating or cooling of the melt or the crystallis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53Processes involving a melting st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시체를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미세하게 분쇄한 후, 이를 고온에서 재차 가열하여 골분으로부터 결정체를 제조하는 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가열부와 원료공급부 2개 부분으로 구성되며, 가열부에는 골분을 용해하는 가열용기를 가지며, 가열용기 일측에는 화염을 방사하는 가열노즐을 가지며, 가열용기 직하방에는 용융시킨 용해물을 작은 조각으로 세절 분리하는 회전세절봉과 냉각을 위한 송풍팬 및 송풍관을 가지며, 작은 조각으로 세절된 용융액을 둥글게 형성함과 이를 이송하는 진동 이송판을 가지며, 원료공급부에는 좌우로 이동되어지는 지지판 위에 골분을 이송하는 이송관과 골분을 저장하는 홉퍼 및 이송관의 스크류축을 회전하는 모타가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equipment of manufacture crystalloid from the person's ashes}
본발명은 시체를 화장(火葬)하고 남은 유골을 수습한 다음 이를 고온에서 재차 가열 용융시킨후 이를 냉각 처리하여 결정체로 만드는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죽음은 탄생에 못지않는 중용한 의미를 갖게 되며, 죽은자에 대한 시신처리는 각 민족이나 종교등에 따라 정하여진 양식 및 관습에 따라 행하여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장례의식은 전통적인 유교사상이나 풍수사상의 영향으로 시신을 묘지에 안장하는 것을 대부분 선호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묘지의 증가로 말미암아 국토가 묘지로 잠식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매년 묘지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정부나 사회단체는 시체를 화장(火葬)하고 이를 용기에 넣은 다음 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민 대부분은 전통적인 장례의식에 따라 묘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며, 시체를 화장하고 이를 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은 선호하지 않는 것이 국민정서라 할 것이다. 특히, 시체를 화장한 다음 유골을 수습하여 일정용기에 담고 이를 납골당에 보관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는 납골된 유골은 보기 흉한 형상을 가지므로 인하여 가까운 친인척이라 하더라도 납골된 유골은 시간이 지날수록 꺼리기는 마음이 발생하게 되어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하는 것보다 묘지를 사용하는 마음을 더욱 강하게 유발시켰다.
이와 같이 화장한 유골을 납골당에 보관하는데 있어서는 꺼리기는 선입감을 갖는다는 것을 감안하여 본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화장(火葬)이 끝난 유골을 재차 고온에서 가열하여 골분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융상태로 만든 다음, 이를 작은 크기로 분리시켜 냉각시키게 되면 유골의 본래 부피보다 1/3-1/5의 부피로 줄어들게 되며, 비취색의 결정체로 재결정됨으로 인하여 화장후의 잿빛 유골에 비해 그 외관에 대한 거부감이 없게 된다.
특히, 비취색의 결정체는 유리용기에 담고 보관할 경우 외관이 미려하여 번거롭게 납골당에 안치시킬 필요없이 각 가정에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은 이와 같이 화장(火葬)후 발생된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제조토록 하는 기계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은 시체를 화장한후 남은 유골을 고온에서 재차 가열하여 결정체를 제조토록 하는 것으로, 골분을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되려면 적어도 1600-2000℃의 고온을 일정시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골분을 넣어 가열하는 용기는 적어도 2000°이상의 고온에서 견뎌야 하며, 지속적인 고온을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골분을 담아 가열하는 가열용기는 세라믹 재질 또는 알루미나 재질로 구성토록 하며, 적어도 1800℃ 이상의 화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가열노즐을 구비하며, 가열후, 적당한 크기로 쪼개어 나누어 주는 분리장치와 냉각 및 이동을 위한 이송판 및 송풍팬 및 송풍관을 가지며, 골분 투여에서 가열, 냉각 및 결정체 생성에까지 자동으로 모든 과정이 행해지도록 한 골분으로부터 결정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 - 본고안의 개략 단면도.
도2 - 도1의 A-A선 개략 단면도.
도3 - 도1의 A-A선 사용상태 개략단면도.
본발명은 크게 가열부(A)와 원료공급부(B)로 구성되며, 가열부(A)에는 중앙에 가열용기(10)를 가지며, 상기 가열용기(10)에는 골분투여구(11)와 화염투입구 (12)를 가지며, 가열용기(10)는 이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축(13)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축(13)의 단부에는 정,역 회전작동기(15)가 부착되어지며, 상기 가열용기(10)의 화염투입구(12) 앞에는 가열노즐(21)을 가지며, 상기 가열노즐(21)의 가열노즐지지대(22)는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노즐이동기구와 연결되어지며, 가열용기(10)의 직하방에는 각봉으로 된 회전세절봉(25)과 진동이송판(26)과 송풍팬(27) 및 송풍관(28)을 가지며, 상기 원료공급부(B)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지지판(31) 위에 내측에 스크류축(33)을 갖는 이송관(32)과 스크류축(33)을 가동시키는 모타(34)와 이송관(32)으로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35)를 가지며, 상기 지지판(31) 하단에 부착된 슬라이더(36)는 고정판(37)에 좌우양단이 고정된 복수개의 슬라이더축(38)에 삽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가열용기(10)의 재질은 세라믹 재질 또는 알루미나 재질로 구성되며, 가열노즐(21)은 수냉을 위한 물공급구(21-1)와 물배출구(21-2)와 혼합가스공급관(21-3)을 가지며, 상기 이송판(26)을 굴곡진 주름판으로 구성하며, 가열용기(10) 회전축(13)에 타측단부에 부착되는 정역회전 작동기(15)는 자동작동기구로 압축공기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로 구성된 정,역회전작동기구나, 통상 감속장치를 갖는 일반모타를 사용하게 되며,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기어박스를 갖는 핸들을 부착하여 가열용기(10)를 180°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게 된다.
또한, 가열용기(10) 일측에 위치하는 가열노즐(21)은 레버(22-1)에 의해 가열노즐지지대(22)과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가열노즐지지대(22) 하단부는 이를 좌우 전후로 이동하는 실린더 작동기구와 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기어장치에 의해 그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1는 배기구이며, 52는 가열부(A)와 원료공급구(B) 사이의 격벽이며, 53은 이송관(32)의 이동구멍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홉퍼(35)에 미세하게 세절한 골분을 투여하고, 지지판(31)과 일체로 고정된 슬라이더(36)을 작동시켜 지지판(31)과 함께 이송관(32)을 가열부(A) 내측으로 이동시켜 이송관(32)의 배출구를 가열용기(10) 상부로 위치시킨 후, 이송관(32) 후단에 모타(34)를 작동시켜 이송관(32) 내측의 스크류(33)를 회전시켜 홉퍼(35)에 있는 골분을 골분투여구(11)를 통해 가열용기(10) 내측으로 투여한 후, 지지판(31)의 슬라이더(36)을 후진시켜 지지판(31)과 그 위에 부설된 이송관(32) 및 홉퍼(35)를 원료공급구(B)로 원위치시키게 된다. 슬라이더(36)의 좌우이동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라이너 플레이트 작동기구를 사용하거나, 왕복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처음 5분간은 약 500℃의 낮은 온도로 골분을 가열시켜 골분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한 후, 그 후 약 1000℃의 온도로 10분간 가열하여 골분을 하나의 덩어리로 형성한 후 약 1600-1800℃의 고온으로 약20분 가열할 때 골분 속에 포함된 불순물은 연소되어 제거되며, 무기물만 남아 용융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골분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가열용기(10)와 일체로 연결된 회전축(13) 타측에 부착된 정,역회전 작동기구(15)를 작동시켜 가열용기(10)를 180°회전시킬 때 상방에 위치하던 골분투입구(11)는 아래방향을 향하게 되며, 골분투입구(11)를 통해 용해된 골분 용융액이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용기(10)로부터 낙하하는 골분 용해물은 회전되는 삼각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의 회전세절축(25)에 의해 작은 조각으로 분리되어 진동이송판(26)으로 낙하하게 되며, 진동이송판(26) 후단의 송풍관(28)을 통해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냉각되면서 진동이송판(26)을 통해 배출되는 동안 골분용해물은 냉각되면서 직경이 2-7㎜정도의 구형상의 작은 알갱이로 재결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은 이와 같이 시체를 화장하고 남은 골분을 재차 고온에서 가열하여 골분중의 유기물을 완전히 연소함과 동시에 용융상태의 골분의 무기물을 냉각하여 작은 알갱이로 재결정되어지게 하는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이와 같이 시체를 화장하고 남은 골분을 재차 고온에서 가열하여 골분중의 유기물을 완전히 연소제거하며, 용융상태의 무기물을 냉각하여 작은 알갱이로 재차 결정할 때 비취빛의 알갱이로 재결정되어 종래 화장후 잿빛의 유골과는 전혀 다른 외관을 갖게 되어 종래와 같이 유골에 대한 꺼림직한 선입관이 제거 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유골을 용융하여 재결정체로 만듦에 있어 화장후 남은 유골을 잘게 부수어 가루로 만든 다음, 이를 재차 1700-1800℃의 고온에서 가열할 때 골분은 용해되어 용융상태로 되게 된다.
따라서, 골분을 넣고 일정시간 용해하는 가열용기는 20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견딜 수 있는 세라믹재질 또는 알루미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2000℃ 이상의 고온의 화염을 만들기 위해서는 LPG가스와 공기(또는산소)와의 적당한 비율의 혼합가스를 필요하게 된다. 특히, 단시간에 가열 용기내의 골분을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가열노즐(21)로부터 공급되는 화염이 매우 강해야만 한다. 따라서, 강한 화염에 의해 가열노즐(21)의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발명에 있어서는 가열노즐을 2중관으로 구성하여 내측의 중심으로는 LPG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가스공급관(21-3)공급하며, 그 외측관에는 물공급구(21-1)와 물배출구(21-2)를 통해 물을 통과시켜 가열노즐(21)이 열에 의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가열노즐(21)은 이를 지지 고정하는 가열노즐지지대(23)와 임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가열노즐지지대(23)은 일정범위내에서 전후, 좌우, 상하로 가동되도록 하여 가열노즐(21)의 선단부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부(A)와 원료공급부(B) 사이에는 격벽(52)을 마련하며, 격벽 상단부에는 이송구멍(53)을 형성하여 이송구멍(53)을 통해 원료공급부(B)의 이송관(32)이 가열부(A)로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이송관(3)의 배출구를 가열용기(10)의 직상방에 위치시킨 후, 가열용기(10)내로 골분을 투여한 후, 이송관(32)은 원료공급부(B)로 후진하여 재위치하게 되므로 가열용기(10)를 가열노즐(21)로 가열할 때 발생되는 열이 가열용기(10) 이외에는 작용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가열노즐로부터 발생된 열 및 가스는 상방의 배기구(51)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본발명은 시체를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잘게 부수어 미세한 골분을 고온에서 재차 가열하여 골분으로부터 결정체를 제조하는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분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다음 이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식히게 되면 광택을 갖는 옥색이나 비취색의 작은 알갱이로 재결정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골분을 가열하여 요융시키려면 2000℃상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가열용기를 가져야 하며, 높은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해야 하는 관계로 모든 작동 수단은 자동으로 동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크게 가열부(A)와 원료투입구(B)로 나누어지며, 가열부(A) 내측에는 가열용기(10)를 갖되 가열용기에는 골분의 투여와 용융된 골분을 배출하는 골분투여구(11)를 갖도록 하며, 측면에는 화염이 공급되는 화염투입구(12)를 가지며, 또한, 가열용기(10)는 180°정,역회전이 가능한 회전축(13) 및 회전작동기구(15)로 일체로 구성하며, 골분의 투여와 용융된 용융액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였다.
특히, 낙하되는 용융액은 삼각기둥 형상 또는 사각기둥 형상의 회전되는 세절봉(28)에 의해 분산시키고 분산된 것은 진동 이송판(26)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구형 또는 타원형상의 적당한 크기(직경 약2-7㎜)의 옥색 또는 비취색의 결정체로 재결정되며, 그 색상은 오랜 수행을 한 고승의 유골에서 추출되는 사리와 같은 색상과 광택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재결정체는 유골이라는 종래 선입관이 사라지게 되며, 이를 투명한 유리상자에 보관할 때 굳이 납골당에 안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발명은 종래 화장후 남은 유골에 비해 그 부피가 1/3-1/5로 작아지며, 비취빛의 결정체로 재결정됨으로 인해 고인의 유족은 이를 나누어 보관할 수 있게 되어 굳이 납골당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그 유골을 납골당에 보관하는 종래 화장문화를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죽은자를 묘지에 안장하는 종래의 매장을 행하던 장례절차를 화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좋은 계기를 마련하게 되며, 이로 인해 묘지의 증가 억제와 국토를 묘지로 뒤덮어 국토가 묘지로 잠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갖게 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가열부(A)와 원료공급부(B)로 구성되며, 가열부(A)에는 중앙에 가열용기(10)를 가지며, 상기 가열용기(10)에는 골분투여구(11)와 화염투입구 (12)를 가지며, 가열용기(10)는 이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축(13)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축(13)의 단부에는 정,역 회전작동기(15)가 부착되어지며, 상기 가열용기(10)의 화염투입구(12) 앞에는 가열노즐(21)을 가지며, 상기 가열노즐(21)의 가열노즐지지대(22)는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노즐이동기구와 연결되어지며, 가열용기(10)의 직하방에는 각봉으로 된 회전세절봉(25)과 진동이송판(26)과 송풍팬(27) 및 송풍관(28)을 가지며, 상기 원료공급부(B)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지지판(31) 위에 내측에 스크류축(33)을 갖는 이송관(32)과 스크류축(33)을 가동시키는 모타(34)와 이송관(32)으로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35)를 가지며, 상기 지지판(31) 하단에 부착된 슬라이더(36)는 고정판(37)에 좌우양단이 고정된 복수개의 슬라이더축(38)에 삽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열용기는 세라믹 재질이나 알루미나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열노즐(1) 내측에는 수냉을 위한 물공급구(21-1)와 물배출구(21-2)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KR10-1999-0009064A 1999-03-17 1999-03-17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KR10044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64A KR100445338B1 (ko) 1999-03-17 1999-03-17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64A KR100445338B1 (ko) 1999-03-17 1999-03-17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70A true KR20000023870A (ko) 2000-05-06
KR100445338B1 KR100445338B1 (ko) 2004-08-18

Family

ID=1957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064A KR100445338B1 (ko) 1999-03-17 1999-03-17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3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428B1 (ko) * 2006-07-27 2007-01-12 유니원기연(주) 사리제조장치
KR100704026B1 (ko) * 2006-01-17 2007-04-17 주식회사 본향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회전원판 냉각구조
WO2007083850A1 (en) * 2006-01-17 2007-07-26 Essel Nano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rira with ashes of man or a pet animal
WO2007083964A1 (en) * 2006-01-23 2007-07-26 Yo Sub Sim Making equipment of bones
KR100776326B1 (ko) * 2006-04-17 2007-11-13 심요섭 망자 유골을 이용한 사리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835B1 (ko) 2006-01-17 2007-01-04 (주)에셀나노 사리화 장치
KR100664834B1 (ko) 2006-01-17 2007-01-04 (주)에셀나노 사리화 장치
KR200445312Y1 (ko) * 2008-11-07 2009-07-20 (주)나노테크 유골 사리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26B1 (ko) * 2006-01-17 2007-04-17 주식회사 본향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회전원판 냉각구조
WO2007083850A1 (en) * 2006-01-17 2007-07-26 Essel Nano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rira with ashes of man or a pet animal
WO2007083964A1 (en) * 2006-01-23 2007-07-26 Yo Sub Sim Making equipment of bones
JP2009538407A (ja) * 2006-01-23 2009-11-05 スブ シム,ヨ 舎利製造装置
KR100776326B1 (ko) * 2006-04-17 2007-11-13 심요섭 망자 유골을 이용한 사리가공장치
KR100668428B1 (ko) * 2006-07-27 2007-01-12 유니원기연(주) 사리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5338B1 (ko)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338B1 (ko)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KR100366611B1 (ko) 유골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396194Y1 (ko)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ES2101084T3 (es) Electrodo compuesto para proceso electroquimico y metodo de preparacion por sintesis por combustion sin matriz.
KR100269981B1 (ko) 유골을 결정체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221121B1 (ko) 화장 후 남은 분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
KR100936639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KR20010026992A (ko) 화장 후 남은 유골을 고형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
KR100583624B1 (ko)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KR101121756B1 (ko) 유골 성형장치
JPS6065804A (ja) 路面舗装装置
KR19990078565A (ko) 유골의골분만을사용한결정체제조방법및그제조장치
KR100562722B1 (ko)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
KR100407145B1 (ko)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방법
KR100664834B1 (ko) 사리화 장치
JP4874705B2 (ja) 遺骨結晶体製造機
KR200361000Y1 (ko)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
KR101796015B1 (ko) 유골분 결정화 장치
CN207435335U (zh) 一种新型有机肥翻堆机
KR101559702B1 (ko) 유골결정체 제조방법
KR200434155Y1 (ko) 수공에 의한 사리 제조 장치
KR20060112017A (ko) 유골 및 분골의 용융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U2021100818A4 (en) Pharmaceutical spray for treating gynecological diseases of female reproductive system,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CN209565070U (zh) 一种硫酸铝制备用冷却粉碎装置
CN212728303U (zh) 一种无公害农业床土生产用蛭石膨胀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310

Effective date: 200404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09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310

Effective date: 2004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