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624B1 -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624B1
KR100583624B1 KR1020050054448A KR20050054448A KR100583624B1 KR 100583624 B1 KR100583624 B1 KR 100583624B1 KR 1020050054448 A KR1020050054448 A KR 1020050054448A KR 20050054448 A KR20050054448 A KR 20050054448A KR 100583624 B1 KR100583624 B1 KR 100583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rucible
crystals
rolling plate
melt
a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우
Original Assignee
박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우 filed Critical 박만우
Priority to KR102005005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4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specially adapted to be crem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화하고 이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골분을 고온으로 재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용융액을 구슬 형태로 재결정하는 유골의 결정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골분을 열을 가해 용해시키고 이를 냉각시켜 재결정 함에 있어, 고온의 용융액을 물에 넣어 급냉시키거나 경사판 등으로 굴려 구슬형태로 재결정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결정체가 진원에 가까운 구체를 만들 수 없었으며, 고운 색상과 광택을 갖지 못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용융된 골분을 재결정함에 있는 경사가 지지않는 평평한 구름판에 진동을 가하면서 바람을 가해 서냉시킴으로 고운 색상과 광택을 가지며 진원에 가까운 구체의 결정체를 얻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또한 골분을 용해하는 가열 수단과 용해된 골분의 용융액으로부터 결정체로 재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골결정체 제조장치, 유골 사리화 장치

Description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quipment of manufacture crystaalloid form the person' ashes}
도 1 본 발명에 있어 가열도가니와 구름판이 이격된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2 본 발명에 있어 가열도가니와 구름판이 근접된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3 본 발명에 있어 가열부의 개략 종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골분가열부
B: 결정체 제조부
11: 가열도가니
11-1 화염투입구 11-2 토출구
11-3 열기배출구 11-4 좌우지지축
12: 단열벽 13: 버너
15: 케이블 16: 권취드럼
17: 모터 21: 후레임
31: 구름판 32: 낙하안내판
33: 바람공급파이프 33-1 바람구멍
34: 구름판 이송수단 35: 진동발생기
41: 호퍼 42: 송풍기
43: 이송통로 44: 수집함
본 발명은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화하고 이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골분을 고온으로 재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용융액을 구슬 형태의 사리로 재결정하는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에 있어서 죽음은 탄생에 못지 않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며, 죽은자에 대한 시신처리는 각 민족이나 종교에 따라 정하여진 양식 및 관습에 따라 행하여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종래 장례 의식은 전통적인 유교 사상이나 풍수사상의 영향으로 시신을 땅에 매장하고 분봉하는 묘지를 선호하며, 이로 인해 매년 많은 땅이 묘지로 잠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묘지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정부나 사회단체에서는 시신을 화장하고 수습된 유골을 용기에 넣어 보관하는 납골당 및 화장장례를 권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국민 대부분은 전통적인 장례 의식에 따라 묘지를 선호하는 입장이며, 시신을 화장한후 유골을 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 것이 국민정서라 할 것이다.
특히 시신을 화장한 다음 유골을 수습하고, 이를 용기에 담아 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에 있어서는, 납골된 유골이 보기 흉한 잿빛의 색상과, 모양을 가짐으로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하는 것보다, 묘지를 사용하는 마음을 갖도록 유발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통의 사람들이 시신을 화장하고 수습된 유골을 납골당 등에 안치하는 장례 방식 보다, 시신을 땅에 묻고 묘지를 만드는 장례 절차를 선호하는 것은 유골이 혐오스러운 색상 및 모양을 가지며 비위생적이며,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는 등의 원인도 있지만, 화장으로 인해 시신을 태워 2번 죽인다는 부정적인 생각과 납골당 등에 초라하게 유골을 안치하는 것보다는 묘소를 크게하고 화려하게하여 이로 말미암아 후손이 복을 받는다는 기복 사상에 의해 묘지를 선호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한정적이며 좁은 땅을 갖는 매년 증가하는 묘지의 발생을 억제해야만 하는 것이 또한 당면과제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화장하고 남은 유골이 혐오스러운 색상 및 모양을 가짐으로 인해 보통 사람들은 시신을 화장하기를 꺼려하며, 묘지사용을 선호하는 장례문화를 변화시키며, 화장장례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타파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고온으로 재차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용융액을 구슬형태의 결정체로 재결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 출원이전에 있어서도,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기술 및 이에 대한 특허 및 실용신안을 다수개 볼 수 있다.
즉, 특허공개번호 10-2000-0023870(발명의 명칭: 화장후 남는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실용신안 등록 제 20-0294238호(발명의 명칭: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시스템의 결정체 성형 장치)등의 선행 기술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특허 및 실용신안은 먼저 시신을 화장하고 유골화한 것을 재차 고온 연소장치인 결정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용해 시킨 후, 이를 결정체로 재결정하는 2중화장방법에 관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화하고 동시에 유골을 재차 고온으로 가열하여, 유골을 용해시키고, 이를 결정체로 만드는 화장로 및 결정체제조하는 것에 대한 발명을 실용신안등록 제 20-0361000호(발명의 명칭: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로 등록 받은바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화장로에서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화 한 것이나, 이미 화장하여 납골함 등에 안치된 유골을 가열 용융하여 재결정하는 유골의 결정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골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용융액을 결정체로 재결정함에 있어서 결정체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가능토록 하며, 유골 용융액으로부터 결정되는 결정체의 형상이 진원에 가까운 구체로 결정되도록 하는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1600~2000℃의 고온에서 재차 가열하면 용융되고 이를 냉각시키면 결정체로 재결정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고온으로 용융시킨 유골 용융액을 냉각하게 되면 응고되어 결정체로 재결정되어지며, 재결정 방법에 따라 크기와 모양 및 색상과 광택을 서로 달리하는 결정체로 재결정 되어 지게 된다.
종래, 골분을 용해시키고 이를 냉각시켜 재결정함에 있어, 고온의 용융액을 물에 넣어 급냉시키거나 경사판 등으로 굴려 구슬형태로 재결정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결정체가 진원에 가까운 구체를 만들 수 없었으며, 고운 색상과 광택을 갖지 못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용융된 골분을 재결정함에 있는 경사가 지지않는 평평한 구름판에 진동을 가하면서 바람을 가해 서냉시킴으로 고운 색상과 광택을 가지며 진원에 가까운 구체의 결정체를 얻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또한 골분을 용해하는 가열 수단과 용해된 골분의 용융액으로부터 결정체로 재결정하는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며 취급이 용이한 기계장치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분 가열부(A)와 결정체(사리) 제조부(B)로 구성되며, 상기 골분 가열부(A)는 가열도가니(11)와 가열도가니(11)의 저면과 사방을 감싸는 단열벽(12)및 버너(13)로 구성되며, 상기 가열도가니(11)는 양측면에 버너(13)의 노즐이 위치하는 화염투입구(11-1)와 용융물을 배출하는 토출구(11-2)와 상방에는 열기배출구 (11-3)를 가지며, 단열벽(12)내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단열벽(12)에 유설되는 좌우지지축(11-4)을 가지며, 단열벽(12)의 일측 상단 변에는 단열벽(12)을 들어올려 내측의 가열도가니(11)를 기울이는 케이블(15)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15)의 타측 단부는 상방 후레임(21)에 고정하는 모터(17)에 의해 구동되는 권취 드럼(13)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 도가니(11) 일측에는 가열 도가니(11)를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구동시키는 가열도가니(11) 도가니구동수단(22)을 가지며, 상기 가열도가니(11)일측에 위치하는 버너(13)의 지지대(13-1) 하방에 전후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버너위치조절수단(18)을 가지며,
상기 결정체(사리) 제조부(B)는 좌, 우로 이동 가능한 구름판(31)을 가지며, 구름판(31)일측에는 낙하 안내판(32)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낙하 안내판(32)아래에는 결정체를 불어 이송하는 다수개의 구멍(33-1)을 표면에 형성한 바람 공급파이프(33)를 가지며, 상기 구름판(31)의 타측 단부에는 구름판(31)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 이동하는 구름판 이동수단(34)을 가지며, 구름판(31)의 저면에는 구름판(31)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기(35)가 부착되며, 구름판(31)의 단부 하방에는 구슬형태로 된 결정체(사리)를 수집이동하는 호퍼(41)를 가지며, 호퍼(41) 하방에는 결정체를 이송하는 송풍기(42) 및 이송통로(43)와 결정체 수집함(44)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장후 남은 유골을 분쇄한 골분을 가열도가니(11)에 넣고, 버너(13)를 점화 하여 버너(13)의 토치로부터 화염을 가열도가니(11)내로 불어넣어 가열도가니(11)내의 골분을 1400℃이상으로 가열하게 되면 골분이 용융되기 시작하며 고온에서 재차 연소되어 불순물이 연소 제거되어지게 된다.
그후 버너의 화염온도를 더 높여 가열도가니(11)내의 온도를 1600℃~1800℃로 상승시킬때 골분은 용해되어 용융물로 되어진다.
상기 가열도가니(11)는 최소한 2000℃ 이상에서도 깨지거나 변형 되지 않는 내열재로 구성되며, 가열도가니(11)의 일측 하방에는 가열도가니(11)를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좌우로 구동시켜 가열도가니(11)내의 용융액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도가니구동수단(22)을 갖게 된다.
상기 도가니구동수단(22)은 도가니를 반복적으로 밀었다 당겼다 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는 캠기구나 간단한 기어장치로 이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도가니(11)를 일정 범위 내에서 구동하는 가열도가니(11)는 단열벽(12)과 유설되는 좌우지지축(11-4)으로 연결되어진다.
가열도가니(11) 외측에는 가열도가니(11)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벽(12)이 가열도가니(11)의 사방과 저면을 감싸 보호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가열도가니(11)의 상방을 덮어주는 구성을 갖게된다.
가열도가니(11)내의 골분이 버너(13)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어 용융될시, 가열도가니(11)를 경사지게 하여 용융물을 배출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열도가니(11)를 감싸는 단열벽(12) 일측에 케이블(15)을 고정하고, 후레임(21) 상방에 상기 케이블(15)을 감아올리는 권취드럼(13)을 설치하며, 모터(17)에 의해 권취 드럼(16)을 회전시켜 케이블(15)을 감아올릴 시 단열벽(12)의 일측이 들어 올려져 가열도가니(11)가 기울여지게되며 가열도가니(11) 내측의 용융물이 토출구(11-2)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즉, 가열도가니(11)내의 골분이 버너(13)에의해 충분히 가열되어 용융물로 될 시, 모터(17)로 권취드럼(16)을 감아 케이블(15)을 당겨 단열벽(12)의 일측을 기울여 가열도가니(11)내의 용융물을 토출구(11-2)로 배출하게 되며, 배출되는 용융물은 경사진 낙하안내판(32)을 통해 구름판(31)위로 쏟아지게 된다. 구름판(31)은 저면에 부착한 진동 발생기(35)에 의해 진동됨으로 인해, 그 위에 쏟아지는 용융물을 적당한 크기로 분리시켜 구슬형태로 재결정하게 되며, 진동발생기(35)로 부터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결정체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발생기(35)에 의해 용융물을 작은크기로 재결정하며, 구름판(31)일측에 위치한 다수개의 구멍(33-1)을 형성한 바람공급파이프(33)로 바람을 불어내어, 작은 크기로 분리된 결정체를 구름판(31) 반대쪽으로 굴려 이송하게 되면, 결정체는 진동되는 구름판(31)위에서 진동되면서 바람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 진원에 가까운 결정체로 재결정되며 바람에 의해 서서히 냉각됨으로 인해 결정체의 조직이 치밀하여 그 강도 및 경도가 높아져 쉽게 깨지지 않도록 고강도로 재결정되며 표면은 반짝이는 광택과 다양한 색상을 갖게 된다.
구름판(31)은 하방의 진동발생기(35)에 의해 진동되므로 그 위에 결정체가 달라붙지 않게 되며, 진동에 의해 진원에 가까운 결정체가 형성되며 바람에 의해 구름판(31) 반대편으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상기 표면에 다수개의 바람구멍(33-1)을 형성한 바람공급파이프(33)는 바람구멍(33-1)을 상,하,좌,우로 불규칙적으로 형성 할 때 구름판(31)위로 쏟아지는 용융물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넓게 퍼져 고른 크기의 결정체로 재결정되어지게 된다.
특히 구름판(31)은 경사지지않는 수평을 유지하는 평판으로 그 위로 낙하되는 용융물이 충분히 구름판 위를 굴러 진원에 가까운 구체로 재결정되며 바람에의해 서냉되어 견고하며 광택을 갖게된다.
이와 같이 하방에 진동발생기(35)를 갖는 구름판(31)의 하측단부에는 구름판(31)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내어 단열벽(12)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름판이송수단(34)을 가지는데, 가열도가니(11)내에서 골분을 용융가열하는 동안 단열벽(12)과 구름판(31)을 이격시켜 구름판(31)이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열도가니(11)의 가열이 끝날시 구름판(31)을 이동하여 구름판(31)의 일측 상방이 가열도가니(11)의 토출구(11-2) 아래에 위치시키케 된다.
상기 구름판이송수단(34)의 장치로는 공기압 실린더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등의 기계적 장치로 이를 구성하게 된다.
구름판(31)단부 하방에는 결정체를 수집하는 호퍼(41)를 가지며, 호퍼(41)는 이송통로(43)로 결정체 수집함(44)으로 연결되며, 이송통로(43)에는 결정체를 바람으로 이송하는 송풍기(42)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게 되며, 용해된 골분을 진원에 가까운 결정체로 재결정하며, 바람에 의해 냉각됨으로 인해 결정의 강도와 경도가 높아져 쉽게 깨지지 않게 되며, 표면에 광택을 갖는 결정체를 얻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체를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분쇄하여서 된 골분을, 재차가열하여 결정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종래 유골은 잿빛의 색상과, 쉽게 날리는 가루 형태로, 이를 보관 함에 있어서는 대개 도자기 항아리로 된 유골함에 담아 납골당등에 안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종래 유골은 보기 흉한 색상과 모양으로 인해, 집에 보관하지 않는 것이 통념이였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결정체는 비취색, 옥색, 광택을 갖는 남색등으로 재결정되어, 그 색상이 미려하며, 모양이 아름다워 굳이 납골함 등에 보관할 염려가 없이 투명한 용기에 보관 가능하게 되며, 납골당(묘지)에 안치하거나 유족들이 조금식 나누어 보관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제조하는 본 발명은,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혐오스러운 골분을 미려한 색상 및 모양을 갖는 결정체로 재결정하게 되며, 이로 인해 화장 장례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관을 타파하는 효과를 갖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골분 가열부(A)와 결정체(사리) 제조부(B)로 구성되며, 상기 골분 가열부(A)는 가열도가니(11)와 가열도가니(11)의 저면과 사방을 감싸는 단열벽(12)및 버너(13)로 구성되며, 상기 가열도가니(11)는 양측면에 버너(13)의 노즐이 위치하는 화염투입구(11-1)와 용융물을 배출하는 토출구(11-2)와 상방에는 열기배출구(11-3)를 가지며, 단열벽(12)내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단열벽(12)에 유설되는 좌우지지축(11-4)을 가지며, 단열벽(12)의 일측 상단 변에는 단열벽(12)을 들어올려 내측의 가열도가니(11)를 기울이는 케이블(15)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15)의 타측 단부는 상방 후레임(21)에 고정하는 모터(17)에 의해 구동되는 권취 드럼(13)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 도가니(11) 일측에는 가열 도가니(11)를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구동시키는 가열도가니(11) 도가니구동수단(22)을 가지며, 상기 가열도가니(11)일측에 위치하는 버너(13)의 지지대(13-1) 하방에 전후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버너위치조절수단(18)을 가지며,
    상기 결정체(사리) 제조부(B)는 좌, 우로 이동 가능한 구름판(31)을 가지며, 구름판(31)일측에는 낙하 안내판(32)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낙하 안내판(32)아래에는 결정체를 불어 이송하는 다수개의 구멍(33-1)을 표면에 형성한 바람 공급파이프(33)를 가지며, 상기 구름판(31)의 타측 단부에는 구름판(31)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 이동하는 구름판 이동수단(34)을 가지며, 구름판(31)의 저면에는 구름판(31)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기(35)가 부착되며, 구름판(31)의 단부 하방에는 구슬 형태로 된 결정체(사리)를 수집이동하는 호퍼(41)를 가지며, 호퍼(41) 하방에는 결정체를 이송하는 송풍기(42) 및 이송통로(43)와 결정체 수집함(44)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KR1020050054448A 2005-06-23 2005-06-23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KR100583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48A KR100583624B1 (ko) 2005-06-23 2005-06-23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48A KR100583624B1 (ko) 2005-06-23 2005-06-23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137U Division KR200396194Y1 (ko) 2005-06-23 2005-06-23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624B1 true KR100583624B1 (ko) 2006-05-30

Family

ID=3718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448A KR100583624B1 (ko) 2005-06-23 2005-06-23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6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639B1 (ko) 2008-12-29 2010-01-14 (주)헤븐제이드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KR101516149B1 (ko) * 2014-03-06 2015-05-04 주식회사 천옥 버너형 유골분 성형 장치
CN106439824A (zh) * 2016-10-25 2017-02-22 秦皇岛海涛万福环保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平板火化机的骨灰冷却装置
CN107388253A (zh) * 2017-07-27 2017-11-24 黄丽利 一种环保防堵料的生活垃圾焚烧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153A (ko) * 1979-09-13 1983-04-29 사또 료오기찌 융체로부터 특정 사이즈의 구형 입자 또는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9990078565A (ko) * 1999-05-14 1999-11-05 김상국 유골의골분만을사용한결정체제조방법및그제조장치
KR20010026992A (ko) * 1999-09-10 2001-04-06 김용일 화장 후 남은 유골을 고형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
KR200294238Y1 (ko) 2002-08-20 2002-11-04 주식회사 선진장묘문화원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KR20050022135A (ko) * 2003-08-29 2005-03-07 배재열 가열과 서냉에 의해 유골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153A (ko) * 1979-09-13 1983-04-29 사또 료오기찌 융체로부터 특정 사이즈의 구형 입자 또는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9990078565A (ko) * 1999-05-14 1999-11-05 김상국 유골의골분만을사용한결정체제조방법및그제조장치
KR20010026992A (ko) * 1999-09-10 2001-04-06 김용일 화장 후 남은 유골을 고형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
KR200294238Y1 (ko) 2002-08-20 2002-11-04 주식회사 선진장묘문화원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KR20050022135A (ko) * 2003-08-29 2005-03-07 배재열 가열과 서냉에 의해 유골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639B1 (ko) 2008-12-29 2010-01-14 (주)헤븐제이드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KR101516149B1 (ko) * 2014-03-06 2015-05-04 주식회사 천옥 버너형 유골분 성형 장치
CN106439824A (zh) * 2016-10-25 2017-02-22 秦皇岛海涛万福环保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平板火化机的骨灰冷却装置
CN107388253A (zh) * 2017-07-27 2017-11-24 黄丽利 一种环保防堵料的生活垃圾焚烧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194Y1 (ko)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KR100666444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및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83624B1 (ko)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US7266866B2 (en) Memorial created for cremation remain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KR100921388B1 (ko)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28388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KR20010026992A (ko) 화장 후 남은 유골을 고형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
KR100562722B1 (ko)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
KR200361000Y1 (ko)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
KR100407145B1 (ko) 화장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방법
KR19990078565A (ko) 유골의골분만을사용한결정체제조방법및그제조장치
GB2415679A (en) Memorial formed from organic remains
KR101221121B1 (ko) 화장 후 남은 분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
KR100936639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CN103848616A (zh) 微波骨灰成型装置
JP5750695B2 (ja) 装飾材料、装飾品およびカルシウムを含有する装飾材料の製造方法
GB2431390A (en) Method of forming a memorial for the presentation of cremated remains
Takahashi et al. LaBGeO5 single crystals in glass and second-harmonic generation
JP2022009690A (ja) 人造宝石の製造方法
CN204509125U (zh) 一种宝石型舍利子的制备炉
CN105801075A (zh) 一种宝石型舍利子的制备方法
KR100419297B1 (ko) 이동식 화장장치
KR20060112017A (ko) 유골 및 분골의 용융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971653B1 (ko)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3022412A (ja) 供養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31

Effective date: 2008032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