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238Y1 -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238Y1
KR200294238Y1 KR2020020024746U KR20020024746U KR200294238Y1 KR 200294238 Y1 KR200294238 Y1 KR 200294238Y1 KR 2020020024746 U KR2020020024746 U KR 2020020024746U KR 20020024746 U KR20020024746 U KR 20020024746U KR 200294238 Y1 KR200294238 Y1 KR 200294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rystal
eccentric
rotating
install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노
배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장묘문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장묘문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장묘문화원
Priority to KR2020020024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238Y1/ko

Links

Landscapes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 브라켓(22)을 구비하여 용해로(12) 하부에 위치하도록 몸체(10)에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20)과, 상기 지지 브라켓(22)에 추력 베어링으로 설치되고 내,외축 구동부재(3,32)에 의해 구동되는 이중축(30)과, 상기 이중축(30)의 외부축(33) 상단부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편심회전부재(40) 및 편심가변부재(50)와, 상기 편심가변부재(50)에 설치되는 자전축(70)과, 상기 지지 브라켓(22)에 설치되는 모음부재(80)와, 상기 자전축(7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회전판(90)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용융된 액상의 골분이 자전운동과 공전운동 및 진동되는 회전판(90)에 의해 냉각되면서 구형으로 성형될 수 있고, 회전판(90)의 자전속도 및 공전속도를 조절하고 편심가변부재(50)로 편심거리를 조절하며 승/하강수단으로 회전판(90)과 용해로(12)의 거리를 조절하고 압축공기로 액상의 덩어리를 비산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결정체의 크기와 형상을 조절할 수 있고, 성형되는 결정체가 성형단계에서 압축공기와 모음부재에 의해 서서히 냉각됨으로 성형된 결정체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crystal making apparatus of crystal manufacture system using a bone}
본 고안은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용해로부터 용융된 액상의 골분을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는 회전판으로 낙하시켜 원형의 결정체로 성형하여 냉각시킬 수 있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후 남은 유골을 용융시켜 결정체를 만드는 방법 및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9064호(공개번호 2000-23870호 공개일자 2000.05.06)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는 가열부(A)와 원료공급부(B) 및 결정체 성형부(C)로 구분되며, 상기 가열부(A)에는 중앙에 용해로(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용해로(2)는 가열버너(노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원료공급부(B)는 분쇄된 골분을 상기 용해로(2)에 투입하기 위한 장치로 호퍼(3)의 골분을 이송스크류로 이송시켜 상기 용해로(2)에 공급한다.
상기 결정체 성형부(C)는 상기 용해로(2)에서 가열버너에 의해 용융된 액상의 골분이 낙하되면 회전세절봉(4)이 회전하면서 낙하되는 액상의 골분을 비산시키고, 비산되면서 낙하되는 액상의 골분은 경사진 진동 이송판(5)에 의해 구형으로 성형되며, 이 과정에서 공기노즐(6)로부터 공기가 토출되어 결정체를 냉각시키게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분쇄된 골분은 구형으로 성형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체 제조장치는 상기 결정체를 성형하는 구조가 단순하였기 때문에 결정체가 일정하지 않게 성형되었고, 구형으로 성형하기 곤란하였으며, 크기나 형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결정체 성형장치는 단순히 낙하되는 용융된 액상의 골분을 타격하여 비산시킨 후 경사진 진동 이송판(5)을 통과시켜 성형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크기가 타격시에 결정되었고, 그 형상이 구형으로 성형되기 전에 경사진 진동 이송판(5)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그 형상이 구형으로 성형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에 의해 용융된 액상의 골분을 자전운동과 공전운동 및 진동되는 회전판에 낙하시켜 냉각시키면서 구형으로 성형하여 크기는 물론, 결정체의 형상을 일정하게 성형할 수 있고, 크기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는 결정체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2에 도시된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판의 편심거리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결정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용해로
20 : 설치 프레임 22 : 지지 브라켓
30 : 이중축 32 : 외축 구동부재
33 : 외부축 34 : 내축 구동부재
35 : 내부축 40 : 편심회전부재
50 : 편심가변부재 52 : 장공
54 : 체결부재 60 : 축 자재이음 부재
70 : 자전축 80 : 모음부재
82 : 투출구 84 : 지지부재
86 : 축 관통공 90 : 회전판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지 브라켓이 설치되어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용해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 상기 지지 브라켓에 추력 베어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외축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외부축, 상기 외부축의 내부에 추력 베어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타측에 설치되는 내축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내부축으로 이루어진 이중축; 상기 외부축의 상단부에 하부가 편심되게 결합되는 편심회전부재; 한 쌍의 장공을 구비하고, 각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편심회전부재의 상면에 편심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편심가변부재; 상기 편심가변부재에 추력 베어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편심회전부재의 내부에서 축 자재이음 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축과 연결되는 자전축; 일측의 투출구와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고, 중앙에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어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는 모음부재; 상기 모음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축 관통공으로 노출된 상기 자전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축 구동부재에 의해 자전하고 상기 외축 구동부재에 의해 공전하면서 용해로에서 가열장치에 의해 용융되어 낙하하는 액상의 골분을 구형으로 성형하기 위한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회전판이 내축 구동부재에 의해 자전되고, 외축 구동부재에 의해 편심되게 공전하면서 낙하되는 용융된 분골을 굴려 구형으로 성형하게 됨으로 결정체의 형상이 일정하게 성형될 수 있고, 또한 회전판의 속도와 편심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결정체의 크기는 물론, 형상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결정체 성형장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몸체(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몸체(10) 내부에는 골분 이송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가열버너(도시되지 않음) 및 용해로(12)가 설치된다. 이러한 몸체(10)는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차량에 설치되어 장거리 이동이 편리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설치 프레임(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설치 프레임(20)은 상기 용해로(12)의 하부에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설치 프레임(20)은 상기 모음부재(80)로 모여진 성형된 결정체를후술할 투출구(82)로 배출하기 위한 결정체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결정체 배출수단은 힌지 브라켓(26A)과 기울기 작동부재(26B)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 브라켓(26A)은 상기 설치 프레임(20)을 몸체(10)의 내부 양측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즉,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양측이 각 힌지에 의해 각 힌지 브라켓(26A)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울기 작동부재(26B)는 공기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액츄에이터 중에서 선택된 부재가 적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울기 작동부재(26B)의 일단은 상기 몸체(10)의 내측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저면 일측에 축설된다.
이때, 상기 기울기 작동부재(26B)는 수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울기 작동부재(26B)의 인장/수축 작동에 의해 상기 설치 프레임(20)은 힌지 브라켓(26A)의 힌지를 중심으로 전방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 프레임(20)은 승/하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양측 내벽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재(28A)와, 상기 양측의 가이드부재(28A)에 각각 안내되는 승/하강부재(28B)와,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승/하강 작동부재(28D)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 작동부재(28D)는 공기, 유압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엑츄에이터 중에서 선택된 부재가 사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8A)는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양측 내벽에 각각 수직으로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재(28B)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것이고, 상기 승/하강부재(28B)는 상기 각 가이드부재(28A)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부로 승/하강하는 것이며, 이러한 각 승/하강부재(28B)는 후술할 지지 브라켓(22)의 양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브라켓(22)은 각 승/하강부재(28B)와 가이드부재(28A)에 의해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작동부재(28B)는 상기 지지 브라켓(22)에 추력 베어링에 의해 결합된 내부축(35)에 작동로드(28C)가 결합되고 승/하강 작동부재(28B) 자체는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저면에 상단부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중축(30)은 상기 회전판(90)을 자전시키고 공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지지 브라켓(22)에 추력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지지되면서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편심회전부재(40)의 저면에 결합되는 외부축(33)과, 상기 외부축(33)의 내부에 복수개의 추력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지지되면서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축(3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축(33)과 내부축(35)의 외경 또는 지지 브라켓(22)의 관통공 내경에는 상기 추력 베어링을 설치하기 위한 스냅링 등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축(33)과 내부축(35)의 하부에는 스프로켓 또는 기어가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로켓이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외부축(33)은 상기 편심회전부재(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내부축(35)은 상기 회전판(9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부축(35)의 하단부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작동부재(28D)의 작동로드(28C)와 추력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로드(28C)가 인장/수축됨에 따라 상기 내부축(35)이 승/하강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외부축(33) 및 지지 브라켓(22)이 승/하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축(33)은 외축 구동부재(32)에 의해 구동되고, 내부축(35)은 내축 구동부재(34)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외부축(33) 하부에 설치된 스프로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22)의 일측에 설치된 외축 구동부재(32)의 구동축에 설치된 스프로켓이 체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내부축(35) 하부에 설치된 스프로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22)의 타측에 설치된 내축 구동부재(34)의 구동축에 설치된 스프로켓이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내,외축 구동부재(34,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내,외부축(35,33)이 구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외축 구동부재(34,32)와 내,외부축(35,33)은 기어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축 구동부재(34,32)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속도 조절회로를 구비하여 그 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감속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편심회전부재(40)는 그 하부가 상기 외부축(33)과 결합되는데 상기 외부축(33)은 상기 편심회전부재(40)의 저면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축(33)의 상단부가 상기 편심회전부재(40) 저면의 일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부축(33)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편심회전부재(40)는 편심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편심회전부재(40)의 상면에 결합되는 편심가변부재(50)는 각각의 체결부재(54)에 의해 장공(52)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편심가변부재(50)를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54)를 조이게 되면 상기 편심가변부재(50)의 중심과 상기 편심회전부재(40)의 중심점은 멀어지게 되어 편심거리가 커지게 되고, 상기 편심가변부재(50)의 중심이 편심회전부재(4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하게 되면 편심거리가 작거나 편심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편심가변부재(50)의 관통공에는 자전축(70)이 추력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지지됨은 물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자전축(70)의 하단부는 상기 편심회전부재(40)의 내부에서 축 자재이음 부재(60)에 의해 상기 외부축(33) 내부의 내부축(35)과 길이조절이 됨은 물론, 각도 조절이 되도록 결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자재이음 부재(60)는 일단이 상기 내부축(35)과 결합되는 제 1축 자재이음(62)과, 일단이 상기 제 1축 자재이음(62)의 타단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플라인 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자전축(70)과 결합되는 제 2축 자재이음(6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가변부재(5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자전축(70)의 중심선과 상기 내부축(35)의 중심선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내부축(35)을 회전중심점으로 하는 상기 자전축(70)의 회전반경은 커지게 되어 편심이 심하게 되고, 상기 자전축(70)의 중심선과 내부축(35)의 중심선이 일치하거나 근접하게 되면 상기 자전축(70)의 회전반경이 없어지거나 작아지게 되어 편심이 발생하지 않거나작아지게 된다.
상기 모음부재(80)는 바닥 중앙에 축 관통공(86)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판(90)에 의해 성형된 결정체가 모아지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성형된 결정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투출구(8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커버부재(88)가 설치되는데, 이 커버부재(88)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음부재(80)의 상부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커버하여 회전중에 성형된 결정체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자전축(70)의 상단부는 상기 축 관통공(86)으로 노출되고, 이 자전축(70)의 상단부에 회전판(90)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90)은 상기 모음부재(80)의 내부에서 자전축(70)에 의해 자전되고, 상기 편심회전부재(40)에 의해 공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모음부재(80)의 바닥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냉각수 순환부(86A)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순환부(86A)에는 냉각수가 공급되기 위한 공급관(86C) 및 상기 냉각수 순환부(86A)를 순환한 냉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86D)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86D)과 공급관(86C)은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기(86E)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86D) 또는 공급관(86C)에는 순환펌프(86B)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모음부재(80)의 바닥 내부에는 항상 냉각수가 순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음부재(80)의 일측에는 상기 모음부재(80)를 진동시키기 위한진동발생부재(B)가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발생부재(B)는 상기 모음부재(80)를 진동시켜 성형된 결정체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투출구(8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재(B)를 결정체의 성형중에 작동시키게 되면, 결정체의 성형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러한 진동발생부재(B)는 진동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음부재(80)에는 상기 투출구(82)로부터 낙하되는 용융된 액상의 골분에 압축공기를 가하여 냉각시키면서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압축공기 노즐(85)이 설치되는데 상기 압축공기 노즐(85)은 도시되지 않은 압축공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토출되는 것으로, 제어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로(12)에서 용융된 액상의 골분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축 구동부재(32)를 작동시키고, 내축 구동부재(35)를 작동시킨다.
상기 외축 구동부재(32)와 내축 구동부재(34)가 작동되면 상기 내부축(35)과 외부축(33)이 회전된다. 상기 외부축(33)은 추력 베어링에 의해 지지 브라켓(2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내부축(35)도 마찬가지로 추력 베어링에 의해 외부축(3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회전만 하게 된다.
먼저, 상기 외부축(33)이 회전되면 상기 편심회전부재(40)가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외부축(33)은 상기 편심회전부재(40)의 저면 일측으로 치우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축(33)이 외축 구동부재(32)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편심회전부재(40)는 그 회전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편심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가변부재(50)에 지지되어 있는 자전축(70)은 그 편심정도에 따라 편심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편심가변부재(50)가 편심회전부재(4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자전축(70)은 편심가변부재(5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자전축(70)은 편심회전부재(40)의 편심회전에 의해 편심회전을 하게 되고, 이는 상기 자전축(70)에 설치된 회전판(90)이 공전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편심가변부재(50)를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52)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전축(70)의 편심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가변부재(5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축 자재이음 부재(60)의 제 1축 자재이음(62)과 제 2축자재이음(64)이 스플라인 축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자전축(70)의 중심과 상기 내부축(35)의 중심이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전축(70)과 이 자전축(70)에 결합된 회전판(90)의 편심회전 반경은 보다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편심가변부재(50)에 형성된 장공(52)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자전축(70)이 편심회전을 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축 구동부재(34)가 작동되면 상기 내부축(35)이 작동되고, 상기 내부축(35)은 축 자재이음 부재(60)의 제 1축 자재이음(62)을 회전시키고, 이어서 제 1축 자재이음(62)과 스플라인 축으로 연결된 제 2축 자재이음(64)이 회전된다. 상기 제 2축 자재이음(64)이 회전됨으로 인하여 상기 자전축(70)이 회전하여 결국 상기 회전판(90)이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축(33)이 회전하면 상기 자전축(70)이 편심회전을 하게 됨으로 상기 회전판(90)은 상기 외부축(33)의 중심점 주변을 공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축(35)의 회전에 의해 자체 회전(자전축(70)의 중심을 회전중심점으로 하여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90)은 자체 회전(자전)을 함과 동시에 공전을 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용해로(12)로부터 용융된 액상의 골분이 낙하되면, 낙하되어 비산되는 액상의 골분은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진행하는 회전판(90)의 상면에서 구형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자전과 공전을 하는 회전판(90)의 상면 중앙에 낙하되어 비산된 액상의 골분은 둥글게 성형되면서 상기 모음부재(80)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성형되는 결정체는 상기 회전판(90)의 속도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용해로(12)와 회전판(90)의 거리, 즉 낙하거리에 따라서도 그 크기가 결정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승/하강 작동부재(28D)가 작동되어 상기 작동로드(28C)가 인장되면 상기 작동로드(28C)가 내부축(35)을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내부축(35)이 추력 베어링에 의해 결합된 외부축(33)과, 상기 외부축(33)이 추력 베어링에 의해 설치된 지지 브라켓(22)이 상승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22)이 설치된 승/하강부재(28B)가 각 가이드부재(28A)에 안내되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음부재(80)와 회전판(90)은 회전중에도 상승되어 상기 용해로(12)와의 거리가 좁혀질 수 있게 되고, 결국 낙하거리가 짧아져 액상의 골분이 낙하에 의해 비산될 때 그 덩어리가 크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판(90)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구형으로 성형될 때 그 크기는 낙하거리가 길때보다 크게 성형된다.
한편, 상기 노즐(85)로부터 압축공기가 토출되면 낙하되는 액상의 골분은 보다 미세하게 비산되어 그 크기가 결정됨과 동시에 바람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진다.
즉, 낙하된 액상의 골분은 노즐(85)로부터 압축공기가 토출되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비산되고, 비산된 각각의 덩어리는 자전과 공전을 하는 회전판(90)에 의해 구형으로 성형되면서 냉각된다. 이때, 노즐(85)로부터 압축공기가 토출되면 보다 미세한 알갱이(덩어리)로 비산되어 그 크기가 작게 성형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재(B)를 작동시키게 되면, 진동이 모음부재(80)를 통하여 지지 브라켓(22) 및 외부축(33), 편심회전부재(40), 편심가변부재(50), 자전축(70)을 통하여 회전판(90)에 전달됨으로 비산된 액상의 골분 덩어리는 보다 용이하게 구형으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90)이 자전만 하거나 공전, 즉 편심회전을 하지 않게 되면 성형되는 액상의 골분은 그 형상이 구형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회전판(90)이 자체 회전만 하게 되면 낙하되어 비산된 액상의 골분 덩어리는 회전판(90)의 중심에서 외측(가장자리 측)으로 굴러 모음부재(80)로 떨어진다. 즉, 액상의 골분 덩어리는 일방향으로만 구르면서 성형되어 구형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90)이 자전을 함과 동시에 공전을 하게 되면, 액상의 골분 덩어리가 일방향이 아닌 여러방향으로 구르면서 성형됨으로 구형의 결정체로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모음부재(80)로 떨어진 성형된 결정체는 모음부재(80)의 바닥에 닿는 순간부터 2차 냉각이 시작된다.
이는 상기 모음부재(80)의 바닥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부(86A)로 냉각수가 순환되면서 모음부재(80)의 바닥을 냉각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냉각수 순환부(86A)를 순환한 냉각수는 배출관(86D)으로 배출된 후 방열기(86E)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이어서 순환펌프(86B)에 의해 다시 공급관(86C)을 통하여 냉각수 순환부(86A)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융된 액상의 골분이 성형되면서 바람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모음부재(80)의 바닥에 의해 냉각됨으로 서서히 냉각이 이루어져 급격한 냉각에 의한 결정체의 균열과 같은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성형되어 냉각된 결정체를 모음부재(80)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결정체 배출수단을 작동시켜 모음부재(80)에 모여진 결정체를 배출시킨다.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기울기 작동부재(26B)를 인장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기울기 작동부재(26B)의 작동로드가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하부 일측을 밀게 된다. 상기 작동로드가 설치 프레임(20)을 밀게 되면, 상기 설치프레임(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브라켓(26A)의 힌지를 중심으로 전방측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설치 프레임(20)이 기울기 작동부재(26B)의 인장 작동에 의해 전방부 측으로 기울게 되면 상기 모음부재(80)에 모여진 성형된 결정체는 상기 투출구(82)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 진동발생부재(B)를 작동시키게 되면 모음부재(80)의 구석에 모여진 성형된 결정체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출구(82)로부터 배출되는 결정체는 경사진 배출안내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면서 더욱더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에 의하면, 용융된 액상의 골분이 자전운동과 공전운동 및 진동되는 회전판에 의해 냉각되면서 구형으로 성형될 수 있고, 회전판의 자전속도 및 공전속도를 조절하고 편심가변부재로 편심거리를 조절하며 승/하강수단으로 회전판과 용해로의 거리를 조절하고 압축공기로 액상의 덩어리를 비산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결정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형상을 임의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성형되는 결정체가 성형단계에서 압축공기에 의해 서서히 냉각되고, 냉각수가 순환되는 모음부재에 의해 냉각됨으로 성형된 결정체가 급속한 냉각으로 인한 균열이나 강도 약화와 같은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지 브라켓(22)이 설치되어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용해로(12) 하부에 위치하도록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20);
    상기 지지 브라켓(22)에 추력 베어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22)의 일측에 설치되는 외축 구동부재(32)에 의해 구동되는 외부축(33), 상기 외부축(33)의 내부에 추력 베어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22)의 타측에 설치되는 내축 구동부재(34)에 의해 구동되는 내부축(35)으로 이루어진 이중축(30);
    상기 외부축(33)의 상단부에 하부가 편심되게 결합되는 편심회전부재(40);
    한 쌍의 장공(52)을 구비하고, 각 체결부재(54)에 의해 상기 편심회전부재(40)의 상면에 편심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편심가변부재(50);
    상기 편심가변부재(50)에 추력 베어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편심회전부재(40)의 내부에서 축 자재이음 부재(60)에 의해 상기 내부축(35)과 연결되는 자전축(70);
    일측의 투출구(82)와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고, 중앙에는 축 관통공(86)이 형성되어 지지부재(84)에 의해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22)에 설치되는 모음부재(80);
    상기 모음부재(80)의 내부에서 상기 축 관통공(86)으로 노출된 상기 자전축(7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축 구동부재(34)에 의해 자전하고 상기 외축 구동부재(32)에 의해 공전하면서 용해로(12)에서 가열장치에 의해 용융되어 낙하하는 액상의 골분을 구형으로 성형하기 위한 회전판(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20)은 상기 회전판(90)에 의해 구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모음부재(80)로 모여진 결정체를 상기 투출구(82)로 배출시키기 위한 결정체 배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결정체 배출수단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양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26A); 및
    일단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바닥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저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장/수축작동으로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 작동부재(26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 구동부재(32)와 내축 구동부재(34)는 속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20)은 상기 모음부재(80)와 회전판(90)을 용해로(12)에 근접/이격시켜 결정체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승/하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내부 양측벽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재(28A);
    상기 지지 브라켓(22)의 양측에 각 일측이 결합되고, 각 타측이 상기 각 가이드부재(28A)에 승/하강되도록 결합되어 안내되는 승/하강부재(28B); 및
    상기 설치 프레임(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작동로드(28C)가 추력 베어링에 의해 상기 내부축(35)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 작동부재(28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 자재이음 부재(60)는 상기 내부축(35)과 결합되는 제 1축 자재이음(62); 및
    상기 제 1축 자재이음(62)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플라인 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전축(70)과 결합되는 제 2축 자재이음(6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재(80)에는 상기 투출구(82)로부터 낙하되는 용융된 액상의 골분에 압축공기를 가하여 냉각시키면서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압축공기 노즐(8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재(80)의 상부는 중앙부를 제외하고 커버부재(88)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재(80)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모음부재(80)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부재(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재(80)는 결정체 냉각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결정체 냉각수단은 상기 모음부재(80)의 바닥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수 순환부(86A);
    순환펌프(86B)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순환부(86A)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86C); 및 상기 냉각수 순환부(86A)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86D);
    상기 배출관(86D)으로 배출된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기(86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KR2020020024746U 2002-08-20 2002-08-20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KR200294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746U KR200294238Y1 (ko) 2002-08-20 2002-08-20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746U KR200294238Y1 (ko) 2002-08-20 2002-08-20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238Y1 true KR200294238Y1 (ko) 2002-11-04

Family

ID=7307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746U KR200294238Y1 (ko) 2002-08-20 2002-08-20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238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24B1 (ko) 2005-06-23 2006-05-30 박만우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KR100664835B1 (ko) 2006-01-17 2007-01-04 (주)에셀나노 사리화 장치
KR100664834B1 (ko) 2006-01-17 2007-01-04 (주)에셀나노 사리화 장치
KR100677946B1 (ko) * 2005-08-19 2007-02-05 배재열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KR100704026B1 (ko) 2006-01-17 2007-04-17 주식회사 본향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회전원판 냉각구조
KR100704030B1 (ko) 2005-12-30 2007-04-17 주식회사 본향 유골 결정체 냉각 수집장치
KR100832171B1 (ko) 2007-05-25 2008-05-23 김상조 사리제조장치
KR100852397B1 (ko) 2007-05-15 2008-08-18 김찬성 골분 고형화 장치
KR100885271B1 (ko) 2008-09-23 2009-02-23 (주)하이드록스코리아 유골사리 분골결정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24B1 (ko) 2005-06-23 2006-05-30 박만우 화장후 남은 유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장치
KR100677946B1 (ko) * 2005-08-19 2007-02-05 배재열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KR100704030B1 (ko) 2005-12-30 2007-04-17 주식회사 본향 유골 결정체 냉각 수집장치
KR100664835B1 (ko) 2006-01-17 2007-01-04 (주)에셀나노 사리화 장치
KR100664834B1 (ko) 2006-01-17 2007-01-04 (주)에셀나노 사리화 장치
KR100704026B1 (ko) 2006-01-17 2007-04-17 주식회사 본향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회전원판 냉각구조
KR100852397B1 (ko) 2007-05-15 2008-08-18 김찬성 골분 고형화 장치
KR100832171B1 (ko) 2007-05-25 2008-05-23 김상조 사리제조장치
KR100885271B1 (ko) 2008-09-23 2009-02-23 (주)하이드록스코리아 유골사리 분골결정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4238Y1 (ko)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 제조 시스템의 결정체 성형장치
JPH01203053A (ja) 堅型のローラミル
CN107715979A (zh) 建筑用水泥生料循环粉碎筛选导出装置
CN1952571A (zh) 动态立式烘干机
KR100677946B1 (ko)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CN215277640U (zh) 一种回转式珍珠岩高效制砂机
CN213611715U (zh) 一种陶粒除渣砂生产用细化研磨装置
CN108311206A (zh) 一种刚玉微粉用超声波粉碎设备
CN114733634A (zh) 实验室超声波破筛一体两级破碎机
CN210058474U (zh) 一种新型球磨机
CN211630945U (zh) 一种粉碎机
CN210448791U (zh) 一种建筑工程室内装修用腻子粉制备装置
US4106707A (en) Feed distributor for gyratory crusher
CN214327540U (zh) 一种玻璃液流水冷破碎装置
CN219171377U (zh) 一种鞋材原料碎料机
JPH089083B2 (ja) 半凝固金属スラリー製造装置
CN219686120U (zh) 一种房建工程施工用混凝土搅拌设备
JPH0370983A (ja) 竪炉装置
CN216368826U (zh) 一种中药饮片生产用筛选设备
CN218531689U (zh) 一种大米滚筒调质器
CN2903862Y (zh) 动态立式烘干机
CN211917263U (zh) 一种混凝土搅拌设备
JP3626154B2 (ja) 茶粉製造装置
CN220514341U (zh) 一种泥料多级球磨装置
CN219816453U (zh) 一种具有防堵塞功能的制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