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388B1 -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388B1
KR100921388B1 KR1020090052850A KR20090052850A KR100921388B1 KR 100921388 B1 KR100921388 B1 KR 100921388B1 KR 1020090052850 A KR1020090052850 A KR 1020090052850A KR 20090052850 A KR20090052850 A KR 20090052850A KR 100921388 B1 KR100921388 B1 KR 100921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mold
mold frame
heating furnace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진
Original Assignee
심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진 filed Critical 심현진
Priority to KR102009005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388B1/ko
Priority to PCT/KR2010/003657 priority patent/WO201014732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14Purification
    • C01D3/20Purification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금(10)을 용융하여 소금고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금(10)을 적재하여 20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21)가 마련되고, 하부에 배출구(23)가 구비된 폐쇄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20)와, 상기 배출구(23)와 직접 연결되어 가열로(20)에서 배출된 용융소금(11)을 담아 저장하면서 8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히터(31)가 마련되고, 외부 일측에 용융소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32)를 갖춘 담수로(30)와, 상기 배출구(32)의 배출밸브(24)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소금(11)을 담아 상온에서 경화시켜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용융소금(11)을 담는 다수의 금형(41)이 형성된 금형프레임(40)을 포함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금형프레임(40)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폐된 가열로(20)에서 전기히터(21) 및 보조열원(22)을 통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소금(10)을 2000℃이상의 고온가열하여 완전히 용융시킴으로써,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소금, 가열로, 용융소금, 담수로, 금형프레임, 전기히터, 소금고형체

Description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 manufacturing system of salt panel}
본 발명은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천일염이나 죽염 또는 암염등을 섭씨 2000℃이상의 고온에서 용융시켜 고순도의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된 소금 고형체를 사우나 등의 벽체에 부착하여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 등의 소금은 염화나트륨(NaCl)을 주성분으로 하며, 짠맛이 나는 흰색의 결정체로서 인간의 생리작용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통상은 암염층에서 얻어지기도 하나, 대부분은 해수로부터 얻어진다.
소금의 종류에는 해수(海水)를 자연 증발시켜 얻어지는 천일염, 소금을 대나무 속에 넣고 구워낸 죽염, 천일염을 가공한 생소금 등 그 종류도 다양하며, 각 종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효과도 매우 다양하다.
또한, 소금은 음식물을 분해하고, 노폐물을 배설처리하는 기능을 비롯하여 인간의 신진대사를 원할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체내에 염분이 부족하면 피로, 권태,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피부 미용, 노화 방지, 신진대사 촉진을 등을 위해 소금의 효능을 응용한 여러 가지 상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소금 고형체이다.
즉, 상기 소금 고형체는 천일염을 고온에서 용융시킨 용융소금을 얻은 후 이를 다시 경화시켜 얻어진 것으로써, 이 소금 고형체를 일정의 공간 내벽에 마감한 상태에서 사람이 그 내부 공간에 들어가 상기 소금 고형체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쬠으로써,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마치 타일이나 블록(block) 형상으로 제작되는 소금 고형체(일명, 소금패널;salt panel)를 대중목욕탕이나 온천 등의 사우나 시설을 비롯하여 각종 빌딩이나 건물, 혹은 장식구조 등에 사용함으로서, 소금이 갖는 효능을 통해 인체 유익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금 고형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구조물에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등록받은 바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제0601190호(2006.7.7. 등록)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 제조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벽면 및 밑면을 단열 세라믹으로 구성하여 1200℃ 이상의 열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한 적재함(120)에 소금(122)을 안정되게 쌓는 단계와; 상기 적재함(120)에 쌓여진 상기 소금(122)을 버너(110)로 1200℃ 내지 2000℃로 직화 가열하여 액체 형태의 소금(122)이 배출로(130)를 통해 흘러내려 금속이 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제조된 프레임(140)에 고이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140)에 담수된 소금물을 상온에서 경화시킨 후, 경화된 소금 고형체(150)를 프레임(14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고형체 프레임(140)의 모양을 따르며, 상기 소금 고형체(150)에 고정부재(154)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홀(152)이 형성되도록 형성된 소금 고형체(150)를 얻는 단계와; 건물 내부의 벽면(160) 또는 벽면에 고정시킨 지지판(162)에 상기 고정부재(154)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상기 특허의 경우, 소금 고형체를 소량 생산하는 데 적합하지만 대량 생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하나의 프레임(140)을 통해 하나의 소금 고형체를 생산하는 방식이라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10)에서 발산되는 불꽃을 소금(122)에 직접 가열하여 직화방식으로 소금(122)을 순식간에 용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용융되는 소금의 양이 적고, 버너(110)의 불꽃이 직접 소금(122)에 접하는 직화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버너(122)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끄름과 배기가스와 같은 불순물이 불꽃 속에 포함되어 용융소금 내에 함유됨에 따라 고품질, 고순도의 소금 고형체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작업자가 배출로(130) 바로 밑에서 용융된 소금물을 프레임(140)에 담수 해야하기 때문에 끄름과 배기가스에 작업자가 직접 노출되어 작업자의 건강 및 불꽃 화기에 노출되어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상기 제0601190호에 나타난 소금고형체 제조방법을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여 보다 고순도의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편으로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천일염이나 죽염 또는 암염등을 섭씨 2000℃이상의 고온에서 용융시켜 고순도의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된 소금 고형체를 사우나 등의 벽체에 부착하여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금 고형체를 제조 생산하는 데 있어서,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작업자 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자동화 된 공정이 가능하면서 생산 제조를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금을 용융하여 소금 고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금을 적재하여 20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밸브를 갖춘 배출구가 구비된 폐쇄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와, 상기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소금을 담아 상온에서 경화시켜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용융소금을 담는 다수의 금형이 형성된 금형프레임을 포함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된 용융소금을 담아 저장하면서 8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히터가 마련되고 외부 일측에 용융소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갖춘 담수로가 상기 배출구와 직접 연결되어 더 배치되고, 상기 배출밸브는 담수로의 배출구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열로 및 담수로 외부에는 보조열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형프레임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형프레임에 형성되는 금형이 음각 형태를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금형프레임(40)에 형성되는 금형(41)이 금형프레임(40)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를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된 금형의 하단 전체를 분리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막아 준 상태에서 상기 용융소금을 부어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금을 용융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소금 고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폐쇄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 내에 소금을 적재하여 20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적재된 상측 소금부터 순차적으로 용융시켜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도록 용융소금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가열로의 배출구에 직접 연결 배치되고 내부에 히터가 마련된 담수로 내로 상기 용융소금을 배출구를 통해서 유입시킨 다음, 담수로 내부의 온도를 800℃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용융소금이 액상 상태로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담수로에 구비된 배출구 상에 마련된 배출밸브를 조작하여 용융소금을 금형프레임 상에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금형에 부어서 상온에서 소금 고형체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화과정을 통해 소금 고형체가 형성된 금형프레임을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금형 내 소금 고형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일염이나 죽염 또는 암염등을 섭씨 2000℃이상의 가열로에서 고온으로 용융시키고 용융된 소금을 담수로에 일시 저장하면서 8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한 체 금형프레임에 융용소금을 공급하여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순도의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이렇게 제조된 소금 고형체를 사우나 등의 벽체에 부착하여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어 소금 특유의 효능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된 가열로에서 석영관 타입의 전기히터 및 보조열원을 통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소금을 고온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수작업을 통해 소금 고형체가 제조되는 관계로, 많은 작업 자를 필요로 했었는 데,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 생산에 따른 일부 자동화 공정이 도입됨에 따라 작업자의 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 가스를 통해 생산된 소금 고형체 보다 폐쇄된 전기로를 통해 생산된 소금 고형체의 강도, 경도가 훨씬 뛰어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소금 고형체를 제조 생산하는 데 있어서,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작업자 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자동화 된 공정이 가능하면서 생산 제조를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 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 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 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소금 고형체를 이용하여 건물 내벽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금 고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는, 기본적으로 소금(10)을 적재하여 용융시키기 위한 가열로(20)와, 상기 가열로(20)에서 용융되어 흘러나온 용융소금(11)을 일정한 금형(41)이 새겨진 형틀에 담아 경화시켜 다수의 소금 고형체로 제조할 수 있는 금형프레임(40)과, 상기 금형프레임(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제061190호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소금 고형체를 제조 생산하는 데 있어서,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작업자 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자동화 된 공정이 가능하면서 생산 제조를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소금(10)을 적재하여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열로(20)는 2000℃~3000℃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단열재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폐쇄된 공간을 갖는 전기로(電氣爐)의 일종으로써, 그 내부에 빠른시간내에 고온을 발생할 수 있는 석영관 타입의 전기히터(2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가열로(20)의 내부는 내화세라믹, 강한 고온에 견디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금속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합금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금에 반응하지 않는 코팅재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로(20)의 바깥쪽은 석면 및 세라믹 화이바 보드와 같은 재질로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열로(20)의 위쪽이나 측면에는 가열로(20)에 소금(10)을 투입하여 적재하기 위해서 개폐 가능한 소금투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석영관 타입의 전기히터(21)는 초고온도를 발생할 수 있는 히터로써, 가열로(20)의 내부 상단 쪽에 위치하여 가열로(20) 내부에 적재되는 소금(10)의 상단 부위에서부터 빠르게 용융이 일어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로(20)의 하부 일측에는 배출구(23)가 마련되어 가열로(20) 내부에서 용융된 용융소금(11)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소금(10)은 가열로(20) 상부 쪽에서부터 급격하게 용융(액화)되어 아래쪽으로 빠르게 흘러내려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 바, 이 과정에서 용융되지 않은 소금(10)은 열을 받아 바위처럼 고체 형태로 굳어져 용융소금(11)과 섞이지 않게 되고, 용융소금(11)만 배출구(23)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3)의 일측에는 용융소금(11)을 금형프레임(40)으로 배출 공급할 수 있는 배출밸브(2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출밸브(24)는 용융소금(11)을 일정한 모양의 금형(41)에 담아 경화시키기 위한 금형프레임(40)에 공급하기 위한 개폐밸브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용융소금(11)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조절밸브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상기 배출밸브(24) 하부에는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프레임(40)이 놓이게 된다.
상기 배출배브(24)를 통해 용융소금(11)이 공급되어 금형프레임(40)의 모든 금형(41) 내에 용융소금(11)이 고이게 되면, 용융소금(11)이 상온에서 보통 10초 이내에 용융온도 이하로 떨어지면서 급격히 경화되어 소금 고형체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소금 고형체로 변한 금형프레임(40)은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소금 고형체를 분리하게 되고, 상기 배출배브(32) 쪽으로는 다른 금형프레임(40)이 놓여져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수작업이 아니고,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50)을 통해 금형프레임(40)을 이동 시킬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금형프레임(40)은 용융소금(11)을 담아 상온에서 빠르게 자연 건조시켜 경화시킴으로써, 고순도의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틀로써, 금속이나 세라믹 재질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프레임(40) 상에는 육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의 금형(41)이 음각형태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금형(41) 형상은 기본적으로 육각형 형상으로 제조되는 되는 것이 보통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자가 원하는 소금 고형체의 형상에 따라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은 물론, 다각형 또는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상기 금형프레임(40)에 형성된 금형(41)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금 고형체의 크기는 통상 10㎝ 내외의 크기로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상기 원하는 소금 고형체의 크기에 맞춰 상기 금형프레임(40) 상에 형성되는 금형(41) 크기가 결정됨은 당연하다.
이때, 본 발명은 소금 고형체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초점이 맞춰진 관계로, 상기 금형프레임(40) 상에 다수의 금형(41)이 형성되어 하나의 금형프레임(40)을 통해 다수의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금형프레임(40)은 상기 배출밸브(24)로부터 액체 상태의 용융소금(11)을 공급받아 금형프레임(40) 상에 다양한 형상으로 음각된 금형(41) 내에 용융소금(11)이 고이도록 하여 상온에서 경화시킨 후, 경화된 소금 고형체를 금형프레임(40)으로부터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금형(41)이 금형프레임(40) 상에 음각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경화된 소금 고형체를 분리하기 위해서 금형프레임(40)을 뒤집어야만 분리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금형프레임(40)을 뒤집어 소금 고형체를 충분히 분리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 금형프레임(40)을 뒤집지 않는 상태에서 소금 고형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프레임(40) 상에 금형(41)을 음각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 구조로 형성한 다음, 그 바닥면을 고정다이(44)나 보조받침판(42)으로 막아줄 수 있는 형태의 금형프레임(40)이 각각의 실시예로 제시되어 있다.
즉, 도 6에는 금형프레임(40) 상에 금형(41)이 관통공 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금형프레임(40)의 금형(41)을 통해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때에는 개방된 금형(41)의 하부를 고정다이(44)를 이용하여 막아주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다이(44)에 금형프레임(40)을 올려 놓기만 하면, 고정다이(44)가 개방된 금형(41)의 하부를 막아주어 금형(41) 내에 용융소금(11)을 부어 담을 수 있고, 이렇게 금형 내에 용융소금(11)이 담기면 상온에서 짧은 시간 내 경화되어 소금 고형체로 제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금형을 통해 용융소금(11)이 경화되어 소금고형체가 만들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다이(44)에서 금형프레임(40)을 밀어서 켄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50)에 올려 놓음으로써, 소금고형체를 분리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금형프레임(40) 상에 금형(41)이 관통공 구조로 형성된 상태에서 개방된 금형(41)의 하부를 보조받침판(42)으로 막아주는 실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보조받침판(42)은 금형프레임(40)의 하부 양측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43)을 통해 금형프레임(4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가지 면서 관통된 금형(41) 하단을 막아주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조받침판(42)을 갖는 금형프레임(40)을 통해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때에는 상기 보조받침판(42)으로 관통된 금형(41) 하단을 막은 상태에서 금형(41) 내에 용융소금(11)을 부어 담고, 그 상태에서 경화시켜 소금 고형체가 형성되면, 상기 보조받침판(42)을 빼내어 금형(41)의 하단을 개방한 다음, 금형프레임(40)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소금 고형체가 금형프레임(40)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열로(20) 내부에서 고온을 발생할 수 있는 전기히터(21)외에도 가열로(20)의 외부에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가스나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하는 보조열원(22)을 갖출 수도 있다.
상기 보조열원(22)은 직화방식이 아닌 간접 가열방식으로 가열로 외부에서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히터(21)와 함께 병행하여 소금(10)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열 초기에 보다 빠르게 가열로(2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유사시에 보조열원(22)만으로도 가열로(20)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가열로(20)의 주열원은 내부에 배치된 전기히터(21)를 사용하게 되나, 필요시에 상기 보조열원(22)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열로(20)내에 분말 상태의 소금이 적재된 상태에서 2000℃~3000℃의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800℃정도의 용융 온도를 갖는 소금(10)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융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 버너를 통한 직화방식으로 소금을 가열할 때와 비교해서도 소금(10)의 용융 속도가 뒤떨어지지 않도록 가열로(20)의 가열온도 조건을 고온으로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보다 빠르게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폐쇄된 가열로(20)에서 석영관 타입의 전기히터(21) 및 보조열원(22)을 통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소금(10)을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로(20)에서 금형프레임(40)으로 직접 용융소금(11)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담수로(30)를 배치하여 용융소금(11)을 일시 저장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가열로(20)의 배출구(23)의 후단에 상기 담수로(30)를 직접 연결 배치함으로써, 상기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소금(11)이 담수로(30)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금(10)을 적재하여 용융시키기 위한 가열로(20)와, 상기 가열로(20)에서 용융되어 흘러나온 용융소금(11)을 일정온도로 유지하면서 일시 저장하는 담수로(30)와, 상기 담수로(30)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소금(11)을 일정한 금형(41)이 새겨진 형틀에 담아 경화시켜 다수의 소금 고형체로 제조할 수 있는 금형프레임(40)과, 상기 금형프레임(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담수로(30)는 용융소금(11)을 지속적으로 저장 보관하면서 용융소금(11)이 고형화되지 않도록 800℃~100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상기 담수로(30) 내부에는 별도의 히터(31)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히터(31)의 가동을 통해 담수로(30) 내부가 800℃ 이상의 고온을 유지하여 용융소금(11)이 식어서 돌처럼 굳어버려 고형화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이는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하는 과정에서 용융소금(11)이 별도의 금형(41)에 부어져 고형화되기 전까지는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용융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열로(20)에서 가열되어 용융된 소금이 중간에 식어서 고형되지 않도록 담수로(30)를 통해 용융소금(11)을 대량으로 저장 보관하면서도 소금의 용융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담수로(30)의 하부에는 상기 가열로(20)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스나 전기히터와 같은 보조열원(33)을 배치하여 상기 담수로(30) 내부의 히터(31)와 함게 담수로(30) 내부의 온도를 800℃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담수로(30)의 일측에는 용융소금(11)을 금형프레임(40)으로 배출 공급할 수 있는 배출구(32)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32) 상에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배출배브(24)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배출밸브(24)는 제1실시예에서 가열로(20)의 배출구(23)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로(20)의 배출구(23)에 담수로(30)가 직접 연결 됨에 따라 담수로(30)의 배출구(32)로 위치가 변경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밸브(24) 하부에는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프레임(40)이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담수로(30)를 통해 공급된 용융소금(11)이 상기 금형프레임(40)을 통해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과정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소금 고형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로 하는 건물 내벽에 설치됨으로써, 소금 특유의 효능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에 사용되는 소금 고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 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 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 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소금 고형체를 이용하여 건물 내벽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소금 11 : 용융소금
20 : 가열로 21 : 전기히터
22,33 : 보조열원 23, 32 : 배출구
24 : 배출밸브 30 : 담수로
31 : 히터 40 : 금형프레임
41 : 금형 42 : 보조받침판
43 : 가이드레일 44 : 고정다이
50 : 이송수단

Claims (8)

  1. 소금(10)을 용융하여 소금 고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금(10)을 적재하여 20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21)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23)가 구비된 폐쇄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20)와;
    상기 배출구(23)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가열로(20)에서 배출된 용융소금(11)을 담아 저장하면서 8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히터(31)가 마련되고 외부 일측에 용융소금(11)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밸브(24)를 갖춘 배출구(32)가 구비된 담수로(30)와;
    상기 배출밸브(24)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소금(11)을 담아 상온에서 경화시켜 소금 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용융소금(11)을 담는 다수의 금형(41)이 형성된 금형프레임(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20)의 외부에는 보조열원(2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로(30)의 외부에는 보조열원(2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프레임(40)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프레임(40)에 형성되는 금형(41)이 음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프레임(40)에 형성되는 금형(41)이 금형프레임(40)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된 금형(41)의 하단 전체를 분리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막아 준 상태에서 상기 용융소금(11)을 부어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7. 삭제
  8. 소금(10)을 용융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21)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23)가 구비된 폐쇄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20) 내에 소금(10)을 적재하여 20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적재된 상측 소금(10)부터 순차적으로 완전 용융시켜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도록 용융소금(11)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가열로(20)의 배출구(23)에 직접 연결 배치되고 내부에 히터(31)가 마련된 담수로(30) 내로 상기 용융소금(11)을 배출구(23)를 통해서 유입시킨 다음, 담수로(30) 내부의 온도를 800℃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용융소금(11)이 액상 상태로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담수로(30)에 구비된 배출구(32) 상에 마련된 배출밸브(24)를 조작하여 용융소금(11)을 금형프레임(40) 상에 형성된 금형(41)에 부어서 상온에서 소금 고형체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화과정을 통해 소금 고형체가 형성된 금형프레임(40)을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50)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금형(41) 내 소금 고형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고형체 제조방법.
KR1020090052850A 2009-06-15 2009-06-15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21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50A KR100921388B1 (ko) 2009-06-15 2009-06-15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CT/KR2010/003657 WO2010147327A2 (ko) 2009-06-15 2010-06-08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50A KR100921388B1 (ko) 2009-06-15 2009-06-15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477A Division KR100971653B1 (ko) 2009-09-24 2009-09-24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388B1 true KR100921388B1 (ko) 2009-10-14

Family

ID=4156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850A KR100921388B1 (ko) 2009-06-15 2009-06-15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1388B1 (ko)
WO (1) WO2010147327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85B1 (ko) 2009-11-16 2010-08-16 심현진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58367B1 (ko) * 2010-05-28 2012-06-22 권혁만 소금 성형물 제조방법
KR101341557B1 (ko) * 2012-06-28 2013-12-13 심현진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소금고형체를 이용한 전열보료 및 이를 적용한 소금온돌 침대
KR101415009B1 (ko) 2013-03-18 2014-07-04 조종수 용융소금블록 제조 방법
KR101722755B1 (ko) 2016-12-09 2017-04-03 (주)이가 직화 용융 방식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KR101737312B1 (ko) 2015-09-22 2017-05-18 농업회사법인 한국죽염 주식회사 송진 분사장치
KR101862380B1 (ko) * 2016-12-09 2018-05-31 주식회사 이가 직화 용융 방식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방법
KR20210029704A (ko) 2020-09-09 2021-03-16 한상관 물질분자 충격기가 공기의 비중보다도 더 가볍게 만들어내는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음이온 물질분자들을 사람이나 동물이나 식물이나 어류들에게 접촉시키거나 흡입 시켜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질병 치료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술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를 추출해내는 물질분자 추출 친환경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0182A1 (zh) * 2018-07-23 2020-01-30 杭州尤美特科技有限公司 功能性植物盐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3124700B (zh) * 2021-04-27 2022-05-13 中国电建集团江西装备有限公司 一种熔融盐储能换热装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719A (ja) * 1995-09-26 1997-03-31 Tokai Rika Hanbai Kk 塩の造形物の製造方法
KR20020084443A (ko) * 2001-05-02 2002-11-09 곽명숙 소금 건자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26817A (ko) * 2004-09-21 2006-03-24 심현진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056Y1 (ko) * 2001-04-07 2001-11-16 문응현 소금의 완전용해가 가능한 열처리장치
KR100803424B1 (ko) * 2007-01-15 2008-02-13 이상천 해수로부터 음용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순수소금물을 소금입자로 제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719A (ja) * 1995-09-26 1997-03-31 Tokai Rika Hanbai Kk 塩の造形物の製造方法
KR20020084443A (ko) * 2001-05-02 2002-11-09 곽명숙 소금 건자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26817A (ko) * 2004-09-21 2006-03-24 심현진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1190B1 (ko) * 2004-09-21 2006-07-13 심현진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85B1 (ko) 2009-11-16 2010-08-16 심현진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58367B1 (ko) * 2010-05-28 2012-06-22 권혁만 소금 성형물 제조방법
KR101341557B1 (ko) * 2012-06-28 2013-12-13 심현진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소금고형체를 이용한 전열보료 및 이를 적용한 소금온돌 침대
KR101415009B1 (ko) 2013-03-18 2014-07-04 조종수 용융소금블록 제조 방법
KR101737312B1 (ko) 2015-09-22 2017-05-18 농업회사법인 한국죽염 주식회사 송진 분사장치
KR101722755B1 (ko) 2016-12-09 2017-04-03 (주)이가 직화 용융 방식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KR101862380B1 (ko) * 2016-12-09 2018-05-31 주식회사 이가 직화 용융 방식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방법
KR20210029704A (ko) 2020-09-09 2021-03-16 한상관 물질분자 충격기가 공기의 비중보다도 더 가볍게 만들어내는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음이온 물질분자들을 사람이나 동물이나 식물이나 어류들에게 접촉시키거나 흡입 시켜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질병 치료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술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를 추출해내는 물질분자 추출 친환경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
KR20210113111A (ko) 2020-09-09 2021-09-15 한상관 물질분자 충격기가 공기의 비중보다도 더 가볍게 만들어내는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음이온 물질분자들을 사람이나 동물이나 식물이나 어류들에게 접촉시키거나 흡입 시켜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질병 치료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술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를 추출해내는 물질분자 추출 친환경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7327A3 (ko) 2011-03-31
WO2010147327A2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388B1 (ko)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S2268667T3 (es) Cadena de produccion y procedimiento para la realizacion, de forma continua, de piezas moldeadas a partir de un metal en fusion, en particular, de un metal ligero en fusion.
CN106219574B (zh) 熔融盐的制备方法
JP3641207B2 (ja) 遺骨結晶体の製造方法と装置
ES2342483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de colada con eliminacion del molde.
KR100971653B1 (ko)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RU2018104055A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или полу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метал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х средств для заливки металла
GB2484472B (en) A method of casting
KR101341557B1 (ko)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소금고형체를 이용한 전열보료 및 이를 적용한 소금온돌 침대
TW201723193A (zh) 用於與被加熱金屬接觸的預鑄更換表面
KR100975285B1 (ko)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7038180B2 (en) Isostat for treating materials and method of removing ceramic material from metal articles using the same
US4411679A (en) Method of producing foamed construction materials
KR100601190B1 (ko)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867873A (zh) 一种磁能陶瓷保温板
KR101133915B1 (ko)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KR20130053346A (ko)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KR101862380B1 (ko) 직화 용융 방식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방법
CN109940130B (zh) 一种利用电磁铁原理进行吸附灌浆制壳的方法
KR101722755B1 (ko) 직화 용융 방식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RU244364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ористого керамического блока
KR100704027B1 (ko) 유골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214400257U (zh) 一种通体微晶玻璃制备装置
RU200450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декоративно-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на основе стеклогранул та и установка дл их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учени
JP2011002156A (ja) 塩溶融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