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346A -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346A
KR20130053346A KR20110119165A KR20110119165A KR20130053346A KR 20130053346 A KR20130053346 A KR 20130053346A KR 20110119165 A KR20110119165 A KR 20110119165A KR 20110119165 A KR20110119165 A KR 20110119165A KR 20130053346 A KR20130053346 A KR 2013005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aper
mixing
brick
cement
raw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727B1 (ko
Inventor
명태식
고준빈
이화랑
서홍철
김범식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1011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7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0Mixing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mixtures contain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04Proportio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지를 이용하여 벽돌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지를 이용하여 경량이면서 시멘트 벽돌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고 보온성과 방음성이 뛰어나며 독성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폐지를 포함한 원재료와 물을 혼합하여 벽돌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조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분할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층에 혼합할 원재료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통이 구비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하부 층에 제어수단으로 셋팅된 량만큼 각 원재료와 물을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의 하부에 혼합한 혼합물을 공급받아 벽돌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Description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With the abolition of a brick manufacturing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폐지를 이용하여 벽돌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지를 이용하여 경량이면서 시멘트 벽돌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고 보온성과 방음성이 뛰어나며 독성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자재 중의 하나인 벽돌을 제조하는 원료로는 물을 포함한 모래 및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생산비용이 상당히 높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에 포함하고 있는 독성인 과산화지질에 의한 폐암, 피부암 유발은 물론 성기능 저하, 접촉성 피부염이나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함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시멘트의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무독성 성질을 가지는 원료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시멘트의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무독성의 성질을 가지는 원료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제조원가 상당히 높아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통상적인 대부분의 벽돌은 시멘트와 모래만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9245호 "황토를 이용한 다목적 벽돌 제조방법"이 제시된바 있다.
이는 황토, 펄프, 섬유, 점토, 고령토와 혼합물인 전분, 짚, 스치로폴, 플라스틱, 두유, 은행잎 중의 일부를 혼합하여 성형 후 1,2차 열처리를 거쳐 건조 후 유액를 도포한 다음 순간열처리코팅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의 경우 한두 가지가 아닌 다양한 재료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제조를 위한 배합하기까지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은 물론 배합비에 오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강도로 제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폐지를 이용하여 경량이면서 시멘트 벽돌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고 보온성과 방음성이 뛰어나며 독성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입자를 갖도록 세절된 폐지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료의 혼합이 더욱더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지를 포함한 원재료와 물을 혼합하여 벽돌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조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분할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층에 혼합할 원재료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통이 구비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하부 층에 제어수단으로 셋팅된 량만큼 각 원재료와 물을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의 하부에 혼합한 혼합물을 공급받아 벽돌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작은 입자를 갖도록 세절된 폐지가 저장되는 폐지 저장통과, 시멘트 분말이 저장된 시멘트 저장통과, 입도가 작은 모래가 저장된 모래 저장통으로 구성되되, 상기 폐지 저장통과 혼흡부 사이에는 공급스크류에 의해 세절된 폐지를 공급하며, 상기 시멘트 저장통과 모래 저장통의 하부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각 개폐밸브 및 그 개폐밸브와 혼합부 사이에 연결된 각각의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부는 각 원재료와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는 저장되는 각 원재료와 물을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혼합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지를 포함한 원재료와 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벽돌로서, 상기 원재료는 작은 입자로 세절된 폐지 20~30%, 시멘트 20~30%, 입도가 작은 모래 60~40%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채워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지를 이용하여 경량이면서 시멘트 벽돌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고 보온성과 방음성이 뛰어나며 독성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으로 인한 취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 벽돌에 비해 높은 보온성과 방음성을 가짐과 아울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작은 입자를 갖도록 세절된 폐지의 공급이 공급스크류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폐지의 공급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원료의 혼합이 더욱더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원료가 간의 분포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더욱더 높은 강도와 보온성 및 방음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요부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폐지를 포함한 원재료와 물을 혼합하여 통상의 시멘트 벽돌과 같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벽돌을 제조하는 제조장치(1)에 있어서,
본 발명은, 폐지를 이용하여 시멘트 벽돌과 같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보온성과 방음성이 뛰어나며 경량이면서 독성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장치(1)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세로대 사이에 다수개의 받침판이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분할된 본체 프레임(10)과;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상부 층에 폐지를 포함하는 혼합할 원재료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통(22)(24)(26)이 구비되는 저장부(20)와;
상기 저장부의 하부 층에 통상적인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셋팅된 량만큼 각 원재료와 물을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부(30)와;
상기 혼합부의 하부에 혼합한 혼합물을 공급받아 벽돌 형태로 성형하는 통상의 벽돌 형태의 성형금형(42)이 안치되는 성형부(40)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성형부에 구비되는 성형금형은 통상의 진동수단 상에 올려져 혼합물이 채워짐과 동시에 진동에 의하여 혼합물의 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져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성형금형 내의 혼합물이 다져지면 혼합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과정을 거침에 따라 벽돌의 제조과정이 완료된다.
상기 저장부(30)는, 보온성과 방음성을 가질 수 있도록 작은 입자를 갖도록 세절된 폐지가 저장되는 폐지 저장통(22)과, 물과 혼합시 화학성질에 의해 접착력과 강도를 가지는 시멘트 분말이 저장된 시멘트 저장통(24)과, 입도가 작은 모래가 저장된 모래 저장통(26)으로 구성되되, 상기 폐지 저장통(22)과 혼흡부(30) 사이에는 통상의 모터 등에 의해 작동되는 공급스크류(28)에 의해 세절된 폐지를 공급하며, 상기 시멘트 저장통(24)과 모래 저장통(26)의 하부에는 상기한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각 개폐밸브(V) 및 그 개폐밸브(V)와 혼합부(30) 사이에 연결된 각각의 공급관(2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부(30)는, 각 원재료와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혼합탱크(32)와, 상기 혼합탱크에는 저장되는 각 원재료와 물을 통상의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혼합하는 교반날개(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탱크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저장부에 물을 저장하는 별도의 물 저장통을 구비하여도 무방하고 별도로 구비하여 공급펌프에 의해 공급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혼합탱크로 공급되는 원재료의 비율은 폐지가 약 20~30%, 시멘트가 약 20~30%, 모래는 약 60~40%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대략 폐지의 비율을 전체 비중의 약 1/3 가량의 비중을 갖도록 하고 시멘트의 비율을 전체 비중의 약1/5의 비중을 갖도록 함에 따라 강도는 통상적인 시멘트 벽돌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시멘트가 가지는 독성을 최소화함은 물론 폐지에 의해 높은 보온성과 방음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경량의 조건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저장부(20)인 폐지 저장통(22)과 시멘트 저장통(24) 및 모래 저장통(26)으로 저장되어 있는 각 원료를 제어수단으로 셋팅된 적정량만큼 혼합부(30)의 혼합탱크(32) 내로 공급하고, 즉 폐지는 약 20~30% 정도를 공급스크류에 의해 공급되며 시멘트는 약 20~30%로, 모래는 약 60~40%를 각 개폐밸브와 공급관을 통하여 혼합탱크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적정량의 물도 혼합탱크로 공급된다.
이렇게, 혼합탱크로 공급된 각 원료는 혼합탱크(32)에 구비되는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개(34)에 의하여 일정시간 동안에 골고루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반되어 혼합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 다음 혼합된 혼합물은 다시 하부에 위치하는 성형부(40)의 성형금형(42)로 채워짐과 동시에 진동에 의해 다져지면서 필요로 하는 형태의 벽돌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성형된 폐지를 포함하는 벽돌은 다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공지의 건조로나 자연건조를 통하여 경화기간을 거친 후 성형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필요로 하는 폐지가 함유한 벽돌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제조된 벽돌은 폐지로 인한 높은 보온성과 방음성을 가짐은 물론 시멘트의 최소량을 사용함에 따라 시멘트가 가지는 독성 또한 최소화하면서 경량인 조건을 가짐과 동시에 강도는 통상적인 시멘트 벽돌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즉 시멘트와 모래 뿐만 아니라 시멘트의 경화 시 부착성이 뛰어난 폐지를 포함하고 있는 관계로 더욱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1 : 제조장치
10 : 본체 프레임 20 : 저장부
22 : 폐지 저장통 24 : 시멘트 저장통
26 : 모래 저장통 28 : 공급스크류
29 : 공급관 30 : 혼합부
32 : 혼합탱크 34 : 교반날개
40 : 성형부 42 : 성형금형
V : 밸브

Claims (4)

  1. 폐지를 포함한 원재료와 물을 혼합하여 벽돌을 제조하는 제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조장치(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분할된 본체 프레임(10)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층에 혼합할 원재료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통(22)(24)(26)이 구비되는 저장부(20)와;
    상기 저장부의 하부 층에 제어수단으로 셋팅된 량만큼 각 원재료와 물을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부(30)와;
    상기 혼합부의 하부에 혼합한 혼합물을 공급받아 벽돌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0)는, 작은 입자를 갖도록 세절된 폐지가 저장되는 폐지 저장통(22)과, 시멘트 분말이 저장된 시멘트 저장통(24)과, 입도가 작은 모래가 저장된 모래 저장통(26)으로 구성되되, 상기 폐지 저장통(22)과 혼흡부(30) 사이에는 공급스크류(28)에 의해 세절된 폐지를 공급하며, 상기 시멘트 저장통(24)과 모래 저장통(26)의 하부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각 개폐밸브(V) 및 그 개폐밸브(V)와 혼합부(30) 사이에 연결된 각각의 공급관(2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30)는, 각 원재료와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혼합탱크(32)와, 상기 혼합탱크에는 저장되는 각 원재료와 물을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혼합하는 교반날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4. 폐지를 포함한 원재료와 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벽돌로서,
    상기 원재료는 작은 입자로 세절된 폐지 20~30%, 시멘트 20~30%, 입도가 작은 모래 60~40%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채워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방법.
KR20110119165A 2011-11-15 2011-11-15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KR10129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9165A KR101293727B1 (ko) 2011-11-15 2011-11-15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9165A KR101293727B1 (ko) 2011-11-15 2011-11-15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346A true KR20130053346A (ko) 2013-05-23
KR101293727B1 KR101293727B1 (ko) 2013-08-06

Family

ID=4866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9165A KR101293727B1 (ko) 2011-11-15 2011-11-15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7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382B1 (ko) * 2015-02-25 2016-08-0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폐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비내력벽 조성물과 그의 제조 방법
CN106013589A (zh) * 2016-05-30 2016-10-12 嘉兴三官堂新材料有限公司 一种隔音保温的轻质节能砖
CN117415127A (zh) * 2023-12-11 2024-01-19 吉林省环境工程评估中心 一种垃圾处理用的污水分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709B1 (ko) * 1995-04-18 1998-11-16 박종성 견출시공방법 및 장치
KR20010044511A (ko) * 2001-01-12 2001-06-05 진승백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용 구축재
MXPA04008452A (es) * 2004-09-01 2005-04-13 Angel Eduardo Martinez Leal Procedimiento mejorado para manufactura de una composicion para fabricar tabique a base de diversos materiales, la composicion y el tabique asi obtenido.
KR20090002833A (ko) * 2007-07-04 2009-01-09 곽찬열 에이치빔 인발과 동시에 모래를 분사하여 지반공극을채워주는 시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382B1 (ko) * 2015-02-25 2016-08-0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폐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비내력벽 조성물과 그의 제조 방법
CN106013589A (zh) * 2016-05-30 2016-10-12 嘉兴三官堂新材料有限公司 一种隔音保温的轻质节能砖
CN117415127A (zh) * 2023-12-11 2024-01-19 吉林省环境工程评估中心 一种垃圾处理用的污水分离装置
CN117415127B (zh) * 2023-12-11 2024-02-13 吉林省环境工程评估中心 一种垃圾处理用的污水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727B1 (ko)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4164A1 (en) Stratified and agglomerated artificial stone article
US3770859A (en) Building materials
EP3568273B1 (en) Plant and method for producing pumice blocks having cavities filled with insulation material
CN103864376A (zh) 一种人造石材及其制备方法
KR101293727B1 (ko) 폐지를 이용한 벽돌 제조장치
JP2014511786A (ja) セメントモルタル本体の生産のための改善された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行うためのユニット
CN107351236B (zh) 一种方料式无机型人造石生产工艺
CN101786830B (zh) 一种仿大理石莎安娜高档品种图案之人造石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人造石
CN104692714A (zh) 自密实混凝土以及环保型护坡构件的生产工艺
CN107139320A (zh) 一种高性能泡沫混凝土生产装置
CN1829844A (zh) 植物生长砌块和植物生长砌块用外层体
CN209453849U (zh) 一种全自动混凝土制版机
CN110143094A (zh) 一种树根灯罩的加工方法
US3776992A (en) Method for producing sleeves or sheets for feeder heads formed in metal casting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0540010B1 (ko) 초경량 인조석의 제조방법 및 초경량 인조석
CN111925178B (zh) 一种加气混凝土砌块的制备工艺
CN206855727U (zh) 泡沫混凝土生产装置
RU2297910C2 (ru) Сборно-разъемная форма-матрица со сменным модулем-вкладыше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вяжущих материалов
US2007133A (en) Gypsum sla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RU115384U1 (ru)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с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ей поверхностью
RU231129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ухслойного стро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изделие, изготовленное этим способом
RU267845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броармированных пеноблоков и плит,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броармированных пеноблоков и плит
CN205853087U (zh) 一种用于蒸压加气混凝土砌块生产的搅拌机
JPH02192915A (ja) 高密度セメント質材料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CN107685394A (zh) 一种螺旋式加湿搅拌机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