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47327A2 -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47327A2
WO2010147327A2 PCT/KR2010/003657 KR2010003657W WO2010147327A2 WO 2010147327 A2 WO2010147327 A2 WO 2010147327A2 KR 2010003657 W KR2010003657 W KR 2010003657W WO 2010147327 A2 WO2010147327 A2 WO 201014732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alt
mold
heating furnace
solid
molten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6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47327A3 (ko
Inventor
심현진
Original Assignee
Sim Hyun Ji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im Hyun Jin filed Critical Sim Hyun Jin
Publication of WO201014732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7327A2/ko
Publication of WO201014732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732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14Purification
    • C01D3/20Purification by me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t solid st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 salt of high quality, high purity by melting the salt completely by melting the sun salt, bamboo salt or rock salt at a high temperature of more than 2000 °C Celsius in a completely sealed and heat-insulated space
  • salts such as sun salt are mainly composed of sodium chloride (NaCl), salty white crystals, which are essential for human physiology, and are usually obtained from rock salt, but most are obtained from seawater.
  • NaCl sodium chloride
  • salty white crystals which are essential for human physiology, and are usually obtained from rock salt, but most are obtained from seawater.
  • salts such as sun salt obtained by evaporating sea water naturally, bamboo salt baked in bamboo with salt, and fresh salt processed with sun salt, and the effects on the human body vary greatly.
  • sal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grading food and excreting waste products, and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moothing of human metabolism, so the lack of salt in the body may cause symptoms such as fatigue, boredom, and anorexia.
  • the salt solid is obtained by obtaining molten salt obtained by melting the natural salt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n hardening it again.
  • a person enters the inner space and the salt
  • the salt By knowing the far-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body,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metabolism of the human body and to remove the wastes in the body.
  • salt solids also known as salt panels
  • salt panels made of tiles or blocks, such as saunas such as public baths and hot springs, various buildings, buildings, or decorative structures.
  • saunas such as public baths and hot springs
  • buildings, buildings, or decorative structures The benefits of salt are to provide a beneficial space for the human body.
  • Patents have been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with respect to the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alt solid and far-infrared emitting structure using salt.
  • the salt solid body 150 follows the shape of the solid frame 140 and the salt solid body 150. Obtaining a salt solid 150 formed to form a hole 152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154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54; The fixing member 154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160 or the support plate 162 fixed to the wall inside the building.
  • the flame emitted from the burner 110 is directly heated to the salt 122 to directly melt the salt 122 by a direct fire method, but the amount of salt to be melted is small.
  • the burnt and the impurities such as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burner 122 are contained in the flame and contained in the molten salt.
  • the problem of acting as an obstacle in preparing high purity salt solids has been exposed.
  • the salt 122 when the salt 122 is melted by the direct burn method through the burner 110, the salt 122 continuously melts only in a portion directly heated by the burner 110 to flow down in the form of brine.
  • the salt water flows down, not only the surrounding salt powder is mixed together, but also the salt (122) just before melting, which is not completely melted, flows out together, so that the strength of the finally prepared salt solid is lower than the required strength. There was a problem.
  • the salt powder contained in the salt solid can not be produced as a high-quality, high-purity salt solid As the strength of the salt solid becomes poor, it is found that the salt solid is inferior in strength when it is applied to the inner wall or the bottom of a sauna facility or a jjimjilbang.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a way to mass-produce salt solids of higher purity by supplementing and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salt solid preparation method shown in Korean Patent No. 0601190,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y melting natural salts, bamboo salts, or rock salts in a completely sealed and insulated space at a high temperature of 2000 ° C. or higher, the salt is completely melted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ss-producing high-quality and high-purity salt solid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lt solid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to a wall, such as a sauna, to be used as a far-infrared emitting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 of salt solids is greatly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of salt solid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produce a large amount of salt solids, automated processes to reduce the number of workers as possible while producing a safer and more stable produc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be carried out with.
  • the electric heat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so that the salt is loaded and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of 2000 °C or more
  • a heating furnace having an enclosed insulated space provided with an outlet having a discharge valve on one side thereof, and containing molten sal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valve to cure at room temperature to contain molten salt.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alt solid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mold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molds are formed.
  • a fresh water passage is provided with a heater therein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800 °C or more while storing and storing molten salt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and a freshwater passage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molten salt on one side thereof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Further disposed, the discharge valve may be disposed at the outlet of the fresh water passage.
  • an auxiliary heat source is further installed outside the heating furnace and the fresh water furnace.
  • the conveying means made of a conveyor belt for conveying the mold frame is further provided.
  • the mold is preferably formed in a negative shape on the mold frame.
  • the mol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ld frame, it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entire lower end of the mold with a separate auxiliary supporting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alt solid by melting and curing the salt, the electric heater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ide and in the heating furnace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ceramic material having an enclosed spac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on the lower one side Loading the salt and heating it to a temperature of 2000 ° C.
  • a discharge valve provided on the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heating furnace to pour molten salt into a mold formed on a mold frame and to harden it into a salt solid at room temp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alt solid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salt solid in the mold at a separate place by transferring the mold frame formed of the salt solid to the conveying means consisting of a conveyor belt through the curing process. .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salt solid by melting and curing the salt
  • the electric heater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ide and in the heating furnace consisting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ceramic material having a closed spac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on the lower one side Loading the salt and heating it to a temperature of 2000 ° C. or higher through an electric heater to completely melt the loaded salt to form molten salt so as to flow into the lower outlet of the furnace in the form of molten salt;
  • the molten salt is introduced into the freshwater passage disposed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heating furnace and the heater is provided therein, and then the molten salt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liquid state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freshwater passage at a temperature of 800 ° C.
  • a discharge valve provided on the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freshwater passage to pour the molten salt into a mold having various shapes formed on a mold frame and to harden it into a salt solid at room temp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alt solid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salt solid in the mold at a separate place by transferring the mold frame in which the salt solid is formed through the curing process to a conveying means such as a conveyor belt. .
  • natural salt, bamboo salt or rock salt is melted at a high temperature in a heating furnace of 2000 ° C. or higher, and molten salt is supplied to a sieve mold frame maintaining a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while temporarily storing molten salt in a fresh water furnace.
  • the present invention by melting the salt at a high temperature by completely heating the indirect heating method through a quartz tube type electric heater and an auxiliary heat source in a sealed heating furnace, melting according to the partial melting generated in the direct burning method by a conventional burner.
  • a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ss-producing salt solids may be implemented, and thus, the number of workers may be reduced as some automated processes are introduced according to mass production. Will be. That is, in the past, a large number of workers were required due to the manufacture of salt solids through manual labor,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workers as much as possible while allowing an automated process, as well as conducting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more safely and efficiently. It is to provide a salt solid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be.
  •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for producing a salt solid used in the far-infrared emitting structure using the salt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far infrared ray emitting structure using a salt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 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showing a salt solid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alt solid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mold structure for making a salt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ld structure for making a salt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ld structure for making a salt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heating furnace 21 electric heater
  • 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showing a salt solid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showing a salt solid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old structure for making a salt so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lt solid production apparatus basically includes a heating furnace 20 for loading and melting salt 10, and in the heating furnace 20.
  • the molten salt 11 is melted and flowed into the mold frame 40, which can be made into a plurality of salt solids by hardening it in a mold engraved with a predetermined mold 41, and a transfer capable of moving the mold frame 40.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the means (50).
  •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061190 patent registered by the applicant, in the production of salt solids, salt solids that can mass-produce high-quality, high-purity salt solids It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ed process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workers required to manufacture and produce salt solids while greatly improving the strength required for salt solids to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auna room, production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alt solid production apparatus that can be manufactured more safely and stably.
  • the salt solid production apparatus has a heating furnace 20 for heating by loading the salt (10).
  • the heating furnace 20 is a kind of electric furnace having an enclosed space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ceramic material so as to be heated at a temperature of 2000 ° C. to 3000 ° C., which can generate a high temperature within a short time.
  • An electric heater 21 of a quartz tube type is provided.
  • the interior of the furnace 20 is preferably composed of refractory ceramics, aluminum alloys or metal alloys that withstand high temperatures.
  • the inner wall of the heating furnace 20 is preferably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that does not react to salt, the out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20 It is preferable to insulate the material such as asbestos and ceramic fiber boards.
  • the salt inlet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order to put the salt (10) in the heating furnace 20, the upper side or the side of the heating furnace 20 is provided.
  • the quartz tube type electric heater 21 is a heater that can generate an ultra-high temperature, and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furnace 20 to quickly mel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alt 10 loaded in the furnace 20. Is arranged to make this happen.
  • the heating heater 21 since the electric heater 21 is disposed and h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led heating furnace 20, the heating heater sequentially starts from the salt 10 loa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eating furnace 20 close to the electric heater 21. Although melted, after a certain time, the entire closed heating furnace 20 maintains an even temperature distribution at a set high temperature of 2000 ° C. or higher. Salt water).
  • an auxiliary heat source 22 using a gas or an electric heater as a heat source may be provided outside the heating furnace 20.
  • the auxiliary heat source 22 is disposed so as to be heated outside the heating furnace 20 by indirect heating instead of direct heating, and in parallel with the electric heater 21 to heat the inside of the heating furnace 20 to salt
  • the auxiliary heat source 22 By allowing 10 to be heated, it not only serves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ing furnace 20 more quickly in the early stage of heating, but also heats the heating furnace 20 with only the auxiliary heat source 22 in case of emergency. To make it work.
  • the main heat source of the heating furnace 20 is to use the electric heater 21 disposed therein, the auxiliary heat source 22 can be used if necessary.
  • the present invention heats at a high temperature of 2000 ° C. to 3000 ° C. in a state where the powder salt 10 is loaded in the heating furnace 20, so that the salt 10 having a melting temperature of about 800 ° C. is faster. Melting is to occur in the inside. That is, the heating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heating furnace 20 are set to a high temperature so that the melting rate of the salt 10 does not become inferior as compared with when the salt is heated by a conventional burner.
  • the temperature of the furnace 20, which is an enclosed space reaches a salt melting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Since the salt 10 is melted evenly from the point of time as a whole, the overall melt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complete melting of all the salts 10 is possible.
  • an outlet 23 is provided at one low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20 so that the molten salt 11 melted in the heating furnace 20 may be discharged.
  • the salt 10 is rapidly melted (liquef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20 is quickly flowed down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3, the salt 10 is not melted in this process
  • the heat is solidified like a rock solidified so as not to be mixed with the molten salt 11, only the molten salt 11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23.
  • a discharge valve 24 capable of discharging and supplying the molten salt 11 to the mold frame 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23.
  • the discharge valve 24 basically performs an on / off valve function for supplying the molten salt 11 to a mold frame 40 for curing by placing the molten salt 11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multaneously discharging the molten salt 11. It has a speed control valve function to control the speed.
  • the mold frame 40 to produce a salt solid is placed below the discharge valve 24.
  • the molten salt 11 When the molten salt 11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bar 24 and the molten salt 11 accumulates in all the molds 41 of the mold frame 40, the molten salt 11 is melted within 10 seconds at room temperature. As it falls below the temperature, it hardens rapidly, turning into a salt solid.
  • the mold frame 40 changed to a salt solid is moved to another place to separate the salt solid, the discharge mold 32 toward the other mold frame 40 must be placed.
  • such a series of processes are not manual, but in order to be made through an automated system is configured to move the mold frame 40 through a transfer means 50, such as a conveyor belt.
  • the mold frame 40 contains the molten salt 11 and rapidly dried at room temperature to harden, thereby forming a mold for manufacturing a salt solid of high purity.
  • the mold frame 40 is made of metal or ceramic material.
  • the mold frame 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olds 41 of various shapes including hexagons are formed in an intaglio form.
  • the basic shape of the mold 41 is usually manufactured in a hexag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 pentagon, a polygon or a rhombu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alt solid desired by the manufacturer. Of course, it can be prepared by.
  • salt solids of various shapes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41 formed on the mold frame 40.
  • the size of the salt solid is usually manufactured in a size of about 10 cm, bu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the mold frame 4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sired salt solid Naturally, the size of the mold 41 formed on the sheet is determi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focused on being able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solid salt, a plurality of molds 41 are formed on the mold frame 40 through a plurality of mold frame 40 Salt solids can be prepared.
  • the mold frame 40 receives the molten salt 11 in the liquid state from the discharge valve 24 and the molten salt 11 is engraved in the mold 41 engraved into various shapes on the mold frame 40. After being cured at room temperature to be solid, the cured salt solid is separated from the mold frame 40.
  • the mold frame 40 may be turned upside down to sufficiently separate the salt solid, but more preferably, the salt solid may be separated from the mold frame 40 without being turned over.
  •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ld 41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structure on the mold frame 40.
  • Figure 7 shows an embodiment of block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old 41 open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old 41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structure on the mold frame 40 with the auxiliary support plate 42.
  • the auxiliary support plate 42 has a structure that sli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mold frame 40 through guide rails 4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mold frame 40, and has a lower end of the penetrated mold 41. It has a function to prevent it.
  • the molten metal is melted in the mold 41 while blocking the lower end of the mold 41 penetrated by the auxiliary supporting plate 42.
  • the auxiliary support plate 42 is removed to open the lower end of the mold 41, and then lift the mold frame 40 upwards. , The salt solid is to be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mold frame (40).
  •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salt solids more quickly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as well as indirect heating method through the electric heater 21 and the auxiliary heat source 22 of the quartz tube type in the closed heating furnace 20.
  • By heating and melting the salt 10 it is possible to naturally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conventional burning method by the burner.
  • the molten salt 11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3 is stored in the freshwater passage 30 by directly connecting the freshwater passage 30 to the rear end of the outlet 23 of the heating furnace 20. It is supposed to be.
  • the salt solid stat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heating furnace 20 for loading and melting salt 10 and melted in the heating furnace 20.
  • the fresh water passage 3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flowed molten salt 11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the molten salt 11 supplied through the fresh water passage 30 are cured in a mold engraved with a constant mold 41.
  • the fresh water passage 30 is designed to maintain a temperature of about 800 °C to 1000 °C so that the molten salt 11 is not solidified while continuously storing and storing the molten salt (11).
  • the molten salt 11 is cooled by maintaining the high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in the freshwater passage 3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1. It hardens like a stone and solidifies.
  • the molten salt is to maintai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salt while storing and storing the molten salt (11) in a large amount through the fresh water (30) so that the solid does not cool in the middle.
  • a subsidiary heat source 33 such as a gas or an electric heater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eshwater passage 30, together with the heater 31 inside the freshwater passage 30, as in the heating furnace 20. (30)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maintain internal temperature at 800 degreeC or more.
  • an outlet 32 for discharging and supplying molten salt 11 to the mold frame 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eshwater passage 30, and the outlet 32 i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 Discharge bar 24 is to be arranged.
  • the discharge valve 24 is disposed in the outlet 23 of the heating furnace 20 in the first embodiment,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reshwater passage 30 is disposed in the outlet 23 of the heating furnace 20.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32 of the fresh water passage 30 is changed position.
  •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valve 24 is to place a mold frame 40 for producing a salt solid.
  •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salt solid through the molten salt 11 supplied through the fresh water passage 30 through the mold frame 40 is the proces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description is omitted.
  • Salt solids produced through the salt solid stat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heated to the solidification method by a conventional burner, melted and then hardened to the salt solid produced In comparison, the strength was greatly improved through a simple clinical trial.
  • each salt solid B is made into blocks having a width of 10 cm, a height of 1 cm, and a height of 1 cm, and then each 10 kg of salt solids A and B are weighted one by one. The strength was measured in the manner.
  • the salt solid A was not broken up to the weight weight of 40 kg, but there was no abnormalit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damage to the weight weight of 50 kg.
  • the salt solid A prepared by heating, melting, curing and curing in a conventional burner-fired method has a thickness of 3 cm or more when applied to an inner wall or floor of a building because its strength drops. It is true.
  • the salt solid B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a very good strength that does not break even with a weight of 150 kg.
  • the salt solid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required, thereby providing a beneficial function 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peculiar effect of sal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단열된 가열로에서 섭씨 2000℃이상의 고온으로 소금을 완전히 용융시킨 다음, 별도의 금형을 통해서 상온에서 경화시켜 고품질,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는,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21)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23)가 구비된 밀폐 단열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20)와, 상기 가열로(20)에서 배출되는 용융소금(11)을 담아 상온에서 경화시켜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다수의 금형(41)이 형성된 금형프레임(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는, 상기 가열로(20)의 배출구(23)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가열로(20)에서 배출된 용융소금(11)을 담아 저장하면서 8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금형프레임(40)에 용융소금(22)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히터(31)가 마련되고 외부 일측에 용융소금(11)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32)를 갖춘 담수로(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천일염이나 죽염 또는 암염 등을 완전 밀폐되고 단열이 가능한 공간에서 섭씨 2000℃이상의 고온에서 용융시킴에 따라 소금을 완전히 용융시켜 고품질,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된 소금고형체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상태에서 사우나 등의 벽체에 부착하여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 등의 소금은 염화나트륨(NaCl)을 주성분으로 하며, 짠맛이 나는 흰색의 결정체로서 인간의 생리작용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통상은 암염층에서 얻어지기도 하나, 대부분은 해수로부터 얻어진다.
소금의 종류에는 해수(海水)를 자연 증발시켜 얻어지는 천일염, 소금을 대나무 속에 넣고 구워낸 죽염, 천일염을 가공한 생소금 등 그 종류도 다양하며, 각 종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효과도 매우 다양하다.
또한, 소금은 음식물을 분해하고, 노폐물을 배설처리하는 기능을 비롯하여 인간의 신진대사를 원할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체내에 염분이 부족하면 피로, 권태,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피부 미용, 노화 방지, 신진대사 촉진을 등을 위해 소금의 효능을 응용한 여러 가지 상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소금고형체이다.
즉, 상기 소금고형체는 천일염을 고온에서 용융시킨 용융소금을 얻은 후 이를 다시 경화시켜 얻어진 것으로써, 이 소금고형체를 일정의 공간 내벽에 마감한 상태에서 사람이 그 내부 공간에 들어가 상기 소금고형체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쬠으로써,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마치 타일이나 블록(block) 형상으로 제작되는 소금고형체(일명, 소금패널; salt panel)를 대중목욕탕이나 온천 등의 사우나 시설을 비롯하여 각종 빌딩이나 건물, 혹은 장식구조 등에 사용함으로서, 소금이 갖는 효능을 통해 인체 유익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구조물에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등록받은 바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01190호(2006.7.7. 등록)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 제조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벽면 및 밑면을 단열 세라믹으로 구성하여 1200℃ 이상의 열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한 적재함(120)에 소금(122)을 안정되게 쌓는 단계와; 상기 적재함(120)에 쌓여진 상기 소금(122)을 버너(110)로 1200℃ 내지 2000℃로 직화 가열하여 액체 형태의 소금(122)이 배출로(130)를 통해 흘러내려 금속이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제조된 프레임(140)에 고이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140)에 담수된 소금물을 상온에서 경화시킨 후, 경화된 소금고형체(150)를 프레임(14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고형체 프레임(140)의 모양을 따르며, 상기 소금고형체(150)에 고정부재(154)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홀(152)이 형성되도록 형성된 소금고형체(150)를 얻는 단계와; 건물 내부의 벽면(160) 또는 벽면에 고정시킨 지지판(162)에 상기 고정부재(154)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상기 특허의 경우, 소금고형체를 소량 생산하는 데 적합하지만 대량 생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하나의 프레임(140)을 통해 하나의 소금고형체를 생산하는 방식이라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10)에서 발산되는 불꽃을 소금(122)에 직접 가열하여 직화방식으로 소금(122)을 순식간에 용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용융되는 소금의 양이 적고, 버너(110)의 불꽃이 직접 소금(122)에 접하는 직화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버너(122)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끄름과 배기가스와 같은 불순물이 불꽃 속에 포함되어 용융소금 내에 함유됨에 따라 고품질,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특히, 상기 버너(110)를 통한 직화 방식으로 소금(122)을 용융하는 경우, 버너(110)로 직접 가열되는 부분에서만 소금(122)이 지속적으로 용융되어 소금물 형태로 흘러내리게 되고, 이렇게 용융된 소금물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주변의 소금가루도 같이 섞여 나올 뿐만 아니라 완전히 용융되지 않은 용융 직전의 소금(122)도 포함되어 함께 흘러나오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된 소금고형체의 강도가 요구되는 강도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용융된 소금물을 경화시켜 제조되는 소금고형체 내에 용융되지 않은 소금가루가 포함된 상태로 제조되는 관계로, 이러한 소금고형체 내에 포함된 소금가루로 인해 고품질,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로 제조되지 못하고 소금고형체의 강도가 불량하게 됨에 따라 강도가 떨어지는 소금고형체로 사우나 시설이나 찜질방 등의 내벽이나 바닥면에 시공했을 때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작업자가 배출로(130) 바로 밑에서 용융된 소금물을 프레임(140)에 담수 해야하기 때문에 끄름과 배기가스에 작업자가 직접 노출되어 작업자의 건강 및 불꽃 화기에 노출되어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01190호에 나타난 소금고형체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여 보다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편으로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천일염이나 죽염 또는 암염 등을 완전 밀폐되고 단열이 가능한 공간에서 섭씨 2000℃이상의 고온에서 용융시킴에 따라 소금을 완전히 용융시켜 고품질,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된 소금고형체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상태에서 사우나 등의 벽체에 부착하여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금고형체를 제조 생산하는 데 있어서,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작업자 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자동화 된 공정이 가능하면서 생산 제조를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금을 용융하여 소금고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금을 적재하여 20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 상측에 전기히터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밸브를 갖춘 배출구가 구비된 밀폐 단열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와, 상기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소금을 담아 상온에서 경화시켜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용융소금을 담는 다수의 금형이 형성된 금형프레임을 포함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된 용융소금을 담아 저장하면서 8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히터가 마련되고 외부 일측에 용융소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갖춘 담수로가 상기 배출구와 직접 연결되어 더 배치되고, 상기 배출밸브는 담수로의 배출구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열로 및 담수로 외부에는 보조열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형프레임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형이 금형프레임 상에 음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금형이 금형프레임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금형의 하단 전체를 분리 가능한 별도의 보조받침판으로 막아 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금을 용융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밀폐된 공간을 갖는 단열재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가열로 내에 소금을 적재한 다음, 전기히터를 통해서 20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적재된 소금을 완전히 용융시켜 용융소금 형태로 가열로 아래쪽 배출구로 흘러내리도록 용융소금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가열로에 구비된 배출구 상에 마련된 배출밸브를 조작하여 용융소금을 금형프레임 상에 형성된 금형에 부어서 상온에서 소금고형체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화과정을 통해 소금고형체가 형성된 금형프레임을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금형 내 소금고형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금고형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소금을 용융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폐쇄된 공간을 갖는 단열재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가열로 내에 소금을 적재한 다음, 전기히터를 통해서 20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적재된 소금을 완전히 용융시켜 용융소금 형태로 가열로 아래쪽 배출구로 흘러내리도록 용융소금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가열로의 배출구에 직접 연결 배치되고 내부에 히터가 마련된 담수로 내로 상기 용융소금을 배출구를 통해서 유입시킨 다음, 담수로 내부의 온도를 800℃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용융소금이 액상 상태로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담수로에 구비된 배출구 상에 마련된 배출밸브를 조작하여 용융소금을 금형프레임 상에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금형에 부어서 상온에서 소금고형체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화과정을 통해 소금고형체가 형성된 금형프레임을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금형 내 소금고형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금고형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일염이나 죽염 또는 암염등을 섭씨 2000℃이상의 가열로에서 고온으로 용융시키고 용융된 소금을 담수로에 일시 저장하면서 8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한 체 금형프레임에 융용소금을 공급하여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이렇게 제조된 소금고형체를 사우나 등의 벽체에 부착하여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로 사용할 수 있어 소금 특유의 효능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가열로에서 석영관 타입의 전기히터 및 보조열원을 통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소금을 고온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시킴으로써,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 방식에서 발생하는 부분 용융에 따른 용융되지 않은 소금가루가 용융소금에 포함되어 흘러나오는 문제점 및 끄름과 배기가스에 작업자가 직접 노출되어 작업자의 건강 및 불꽃 화기에 노출되어 위험하다는 문제점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소금고형체를 제조 생산하는 데 있어서,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대량 생산에 따른 일부 자동화 공정이 도입됨에 따라 작업자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수작업을 통해 소금고형체가 제조되는 관계로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했었지만, 본 발명은 자동화 된 공정이 가능하면서 작업자 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생산 제조를 보다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 가스를 통해 생산된 소금고형체 보다 상대적으로 소금고형체의 강도 및 경도가 훨씬 뛰어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에 사용되는 소금고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소금 11 : 용융소금
20 : 가열로 21 : 전기히터
22,33 : 보조열원 23, 32 : 배출구
24 : 배출밸브 30 : 담수로
31 : 히터 40 : 금형프레임
41 : 금형 42 : 보조받침판
43 : 가이드레일 44 : 고정다이
50 : 이송수단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고형체를 만들기 위한 금형 구조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는, 기본적으로 소금(10)을 적재하여 용융시키기 위한 가열로(20)와, 상기 가열로(20)에서 용융되어 흘러나온 용융소금(11)을 일정한 금형(41)이 새겨진 형틀에 담아 경화시켜 다수의 소금고형체로 제조할 수 있는 금형프레임(40)과, 상기 금형프레임(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190호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소금고형체를 제조 생산하는 데 있어서, 고품질,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우나실의 내벽 등에 설치되기 위한 소금고형체에 요구되는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소금고형체를 제조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작업자 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자동화된 공정이 가능하며, 생산 제조를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는, 소금(10)을 적재하여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열로(20)는 2000℃~3000℃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단열재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밀폐된 공간을 갖는 전기로(電氣爐)의 일종으로써, 그 내부에 빠른시간내에 고온을 발생할 수 있는 석영관 타입의 전기히터(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열로(20)의 내부는 강한 고온에 견디는 내화세라믹, 알루미늄 합금 또는 금속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열로(20)를 구성하기 위해서 금속합금을 사용할 경우, 상기 가열로(20)의 내벽은 소금에 반응하지 않는 코팅재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로(20)의 바깥쪽은 석면 및 세라믹 화이바 보드와 같은 재질로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열로(20)의 위쪽이나 측면에는 가열로(20)에 소금(10)을 투입하여 적재하기 위해서 개폐 가능한 소금투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석영관 타입의 전기히터(21)는 초고온도를 발생할 수 있는 히터로써, 가열로(20)의 내부 상단 쪽에 위치하여 가열로(20) 내부에 적재되는 소금(10)의 상단 부위에서부터 빠르게 용융이 일어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전기히터(21)가 밀폐된 가열로(20) 상부 쪽에 배치되어 가열하기 때문에 가열 초기에는 전기히터(21)와 가까운 가열로(20) 내부 상부 쪽에 적재된 소금(10)부터 순차적으로 용융되지만, 일정시간이 지나면서 밀폐된 가열로(20) 전체가 설정된 2000℃ 이상의 고온 상태로 고른 온도 분포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800℃ 정도부터 용융되는 소금이 빠른 시간 내에 모두 완전히 용융되어 액체 상태(소금물)로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열로(20) 내부에서 고온을 발생할 수 있는 전기히터(21) 외에도 가열로(20)의 외부에는 가스나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하는 보조열원(22)을 갖출 수도 있다.
상기 보조열원(22)은 직화방식이 아닌 간접 가열방식으로 가열로(20) 외부에서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히터(21)와 함께 병행하여 가열로(20) 내부를 가열하여 소금(10)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열 초기에 보다 빠르게 가열로(2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유사시에 보조열원(22)만으로도 가열로(20)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가열로(20)의 주열원은 내부에 배치된 전기히터(21)를 사용하게 되나, 필요시에 상기 보조열원(22)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로(20) 내에 분말 상태의 소금(10)이 적재된 상태에서 2000℃~3000℃의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800℃정도의 용융 온도를 갖는 소금(10)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융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 버너를 통한 직화방식으로 소금을 가열할 때와 비교해서도 소금(10)의 용융 속도가 뒤떨어지지 않도록 가열로(20)의 가열온도 조건을 고온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종래 버너를 통한 직화방식의 경우 불꽃이 가해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부분적인 용융이 일어나는 것에 비해서, 본 발명은 밀폐된 공간인 가열로(20)의 온도가 800℃ 이상의 소금 용융 온도에 도달하는 시점부터 전체적으로 고르게 소금(10)이 용융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용융 시간이 단축되고 모든 소금(10)의 완전한 용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로(20)의 하부 일측에는 배출구(23)가 마련되어 가열로(20) 내부에서 용융된 용융소금(11)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소금(10)은 가열로(20) 상부 쪽에서부터 급격하게 용융(액화)되어 아래쪽으로 빠르게 흘러내려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 바, 이 과정에서 용융되지 않은 소금(10)은 열을 받아 바위처럼 고체 형태로 굳어져 용융소금(11)과 섞이지 않게 되고, 용융소금(11)만 배출구(23)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3)의 일측에는 용융소금(11)을 금형프레임(40)으로 배출 공급할 수 있는 배출밸브(2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출밸브(24)는 용융소금(11)을 일정한 모양의 금형(41)에 담아 경화시키기 위한 금형프레임(40)에 공급하기 위한 개폐밸브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용융소금(11)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조절밸브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상기 배출밸브(24) 하부에는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프레임(40)이 놓이게 된다.
상기 배출배브(24)를 통해 용융소금(11)이 공급되어 금형프레임(40)의 모든 금형(41) 내에 용융소금(11)이 고이게 되면, 용융소금(11)이 상온에서 보통 10초 이내에 용융온도 이하로 떨어지면서 급격히 경화되어 소금고형체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소금고형체로 변한 금형프레임(40)은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소금고형체를 분리하게 되고, 상기 배출배브(32) 쪽으로는 다른 금형프레임(40)이 놓여져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수작업이 아니고,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50)을 통해 금형프레임(40)을 이동 시킬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금형프레임(40)은 용융소금(11)을 담아 상온에서 빠르게 자연 건조시켜 경화시킴으로써, 고순도의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틀로써, 금속이나 세라믹 재질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프레임(40) 상에는 육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의 금형(41)이 음각형태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금형(41)의 기본적인 형상은 육각형 형상으로 제조되는 되는 것이 보통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자가 원하는 소금고형체의 형상에 따라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은 물론, 다각형 또는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상기 금형프레임(40)에 형성된 금형(4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금고형체의 크기는 통상 10㎝ 내외의 크기로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상기 원하는 소금고형체의 크기에 맞춰 상기 금형프레임(40) 상에 형성되는 금형(41) 크기가 결정됨은 당연하다.
이때, 본 발명은 소금고형체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초점이 맞춰진 관계로, 상기 금형프레임(40) 상에 다수의 금형(41)이 형성되어 하나의 금형프레임(40)을 통해 다수의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금형프레임(40)은 상기 배출밸브(24)로부터 액체 상태의 용융소금(11)을 공급받아 금형프레임(40) 상에 다양한 형상으로 음각된 금형(41) 내에 용융소금(11)이 고이도록 하여 상온에서 경화시킨 후, 경화된 소금고형체를 금형프레임(40)으로부터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금형(41)이 금형프레임(40) 상에 음각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경화된 소금고형체를 분리하기 위해서 금형프레임(40)을 뒤집어야만 분리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금형프레임(40)을 뒤집어 소금고형체를 충분히 분리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 금형프레임(40)을 뒤집지 않는 상태에서 소금고형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프레임(40) 상에 금형(41)을 음각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 구조로 형성한 다음, 그 바닥면을 고정다이(44)나 보조받침판(42)으로 막아줄 수 있는 형태의 금형프레임(40)이 각각의 실시예로 제시되어 있다.
즉, 도 6에는 금형프레임(40) 상에 금형(41)이 관통공 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금형프레임(40)의 금형(41)을 통해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때에는 개방된 금형(41)의 하부를 고정다이(44)를 이용하여 막아주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다이(44)에 금형프레임(40)을 올려 놓기만 하면, 고정다이(44)가 개방된 금형(41)의 하부를 막아주어 금형(41) 내에 용융소금(11)을 부어 담을 수 있고, 이렇게 금형 내에 용융소금(11)이 담기면 상온에서 짧은 시간 내 경화되어 소금고형체로 제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금형을 통해 용융소금(11)이 경화되어 소금고형체가 만들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다이(44)에서 금형프레임(40)을 밀어서 켄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50)에 올려 놓음으로써, 소금고형체를 분리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금형프레임(40) 상에 금형(41)이 관통공 구조로 형성된 상태에서 개방된 금형(41)의 하부를 보조받침판(42)으로 막아주는 실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보조받침판(42)은 금형프레임(40)의 하부 양측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43)을 통해 금형프레임(4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관통된 금형(41) 하단을 막아주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조받침판(42)을 갖는 금형프레임(40)을 통해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때에는 상기 보조받침판(42)으로 관통된 금형(41) 하단을 막은 상태에서 금형(41) 내에 용융소금(11)을 부어 담고, 그 상태에서 경화시켜 소금고형체가 형성되면, 상기 보조받침판(42)을 빼내어 금형(41)의 하단을 개방한 다음, 금형프레임(40)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소금고형체가 금형프레임(40)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보다 빠르게 소금 고형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폐쇄된 가열로(20)에서 석영관 타입의 전기히터(21) 및 보조열원(22)을 통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소금(10)을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로(20)에서 금형프레임(40)으로 직접 용융소금(11)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담수로(30)를 배치하여 용융소금(11)을 일시 저장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가열로(20)의 배출구(23)의 후단에 상기 담수로(30)를 직접 연결 배치함으로써, 상기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소금(11)이 담수로(30)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는, 소금(10)을 적재하여 용융시키기 위한 가열로(20)와, 상기 가열로(20)에서 용융되어 흘러나온 용융소금(11)을 일정온도로 유지하면서 일시 저장하는 담수로(30)와, 상기 담수로(30)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소금(11)을 일정한 금형(41)이 새겨진 형틀에 담아 경화시켜 다수의 소금고형체로 제조할 수 있는 금형프레임(40)과, 상기 금형프레임(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담수로(30)는 용융소금(11)을 지속적으로 저장 보관하면서 용융소금(11)이 고형화되지 않도록 800℃~100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상기 담수로(30) 내부에는 별도의 히터(31)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히터(31)의 가동을 통해 담수로(30) 내부가 800℃ 이상의 고온을 유지하여 용융소금(11)이 식어서 돌처럼 굳어버려 고형화되는 현상을 원척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이는 소금고형체를 대량 생산하는 과정에서 용융소금(11)이 별도의 금형(41)에 부어져 고형화되기 전까지는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용융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열로(20)에서 가열되어 용융된 소금이 중간에 식어서 고형되지 않도록 담수로(30)를 통해 용융소금(11)을 대량으로 저장 보관하면서도 소금의 용융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담수로(30)의 하부에는 상기 가열로(20)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스나 전기히터와 같은 보조열원(33)을 배치하여 상기 담수로(30) 내부의 히터(31)와 함게 담수로(30) 내부의 온도를 800℃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담수로(30)의 일측에는 용융소금(11)을 금형프레임(40)으로 배출 공급할 수 있는 배출구(32)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32) 상에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배출배브(24)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배출밸브(24)는 제1실시예에서 가열로(20)의 배출구(23)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로(20)의 배출구(23)에 담수로(30)가 직접 연결됨에 따라 담수로(30)의 배출구(32)로 위치가 변경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밸브(24) 하부에는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프레임(40)이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담수로(30)를 통해 공급된 용융소금(11)이 상기 금형프레임(40)을 통해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과정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소금고형체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소금고형체는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 방식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경화하여 제조하는 소금고형체에 비해 강도가 크게 향상됨을 간단한 임상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방식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경화하여 제조한 소금고형체 A와, 본 발명에 따라 가열로에서 20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완전 용융시킨 용융소금(11)을 경화시켜 제조한 소금고형체 B를 각각 가로, 세로 10㎝, 높이(혹은 두께) 1㎝ 크기의 블록 형태로 만든 다음, 각각의 블록 형태의 소금고형체 A, B에 10㎏ 무게의 추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올리는 방식으로 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1 (○ : 파손안됨, × : 파손)
무게추 10㎏ 20㎏ 30㎏ 40㎏ 50㎏ 60㎏ 150㎏
소금고형체 A × × - -
소금고형체 B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금고형체 A는 40㎏의 무게 추까지는 파손되지 않고 이상이 없었으나, 50㎏의 무게 추에서 파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질적으로, 종래 버너에 의한 직화 방식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경화하여 제조한 소금고형체 A는 그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건물 내벽이나 바닥면에 시공할 때 3㎝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여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비해, 본 발명을 적용한 소금고형체 B는 150㎏의 무게 추에서도 파손되지 않는 매우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고형체를 필요로 하는 사우나실과 같은 건물 내벽이나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에도 몸무게 150㎏의 사람이 올라가도 파손없이 견딜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소금고형체의 두께를 1㎝ 정도로 제조해도 시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소금고형체가 필요로 하는 건물 내벽에 설치됨으로써, 소금 특유의 효능을 통해서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소금(10)을 용융하여 소금고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금(10)을 적재하여 소금을 용융시킬 수 있는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21)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밸브(24)를 갖춘 배출구(23)가 구비된 밀폐 단열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20)와,
    상기 배출밸브(24)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소금(11)을 담아 상온에서 경화시켜 소금고형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용융소금(11)을 담는 다수의 금형(41)이 형성된 금형프레임(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20)의 배출구(23)와 직접 연결되어 가열로(20)에서 배출된 용융소금(11)을 담아 저장하면서 소금의 용융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히터(31)가 마련되고 외부 일측에 용융소금(11)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32)를 갖춘 담수로(30)가 더 배치되고, 상기 배출밸브(24)는 담수로(30)의 배출구(2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20)의 외부에는 보조열원(2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로(30)의 외부에는 보조열원(2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프레임(40)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41)이 금형프레임(40) 상에 음각 형태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41)이 금형프레임(40)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금형(41)의 저면 전체를 분리 가능한 별도의 보조받침판(42)으로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8. 소금(10)을 용융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21)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23)가 구비된 밀폐 단열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20) 내에 소금(10)을 적재한 다음, 상기 전기히터(21)를 통해 소금을 용융시킬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여 적재된 소금(10)을 완전히 용융시켜 용융소금(11) 형태로 가열로(20) 아래쪽 배출구(23)로 흘러내리도록 용융소금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가열로(20)에 구비된 배출구(23) 상에 마련된 배출밸브(24)를 조작하여 용융소금(11)을 금형프레임(40) 상에 형성된 금형(41)에 부어서 상온에서 소금고형체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화과정을 통해 소금고형체가 형성된 금형프레임(40)을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50)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금형(41) 내 소금고형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방법.
  9. 소금(10)을 용융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소금고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상측에 전기히터(21)가 마련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23)가 구비된 밀폐 단열된 공간을 갖는 가열로(20) 내에 소금(10)을 적재한 다음, 상기 전기히터(21)를 통해 소금을 용융시킬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여 적재된 소금(10)을 완전히 용융시켜 용융소금(11) 형태로 가열로(20) 아래쪽 배출구(23)로 흘러내리도록 용융소금(11)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가열로(20)의 배출구(23)에 직접 연결 배치되고 내부에 히터(31)가 마련된 담수로(30) 내로 상기 용융소금(11)을 배출구(23)를 통해서 유입시킨 다음, 담수로(30) 내부의 온도를 소금의 용융온도로 유지하면서 용융소금(11)이 액상 상태로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담수로(30)에 구비된 배출구(32) 상에 마련된 배출밸브(24)를 조작하여 용융소금(11)을 금형프레임(40) 상에 형성된 금형(41)에 부어서 상온에서 소금고형체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경화과정을 통해 소금고형체가 형성된 금형프레임(40)을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이송수단(50)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금형(41) 내 소금고형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고형체 제조방법.
PCT/KR2010/003657 2009-06-15 2010-06-08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014732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50A KR100921388B1 (ko) 2009-06-15 2009-06-15 소금 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09-0052850 2009-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7327A2 true WO2010147327A2 (ko) 2010-12-23
WO2010147327A3 WO2010147327A3 (ko) 2011-03-31

Family

ID=4156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657 WO2010147327A2 (ko) 2009-06-15 2010-06-08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1388B1 (ko)
WO (1) WO201014732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4259A (zh) * 2018-07-23 2021-04-13 杭州尤美特科技有限公司 功能性植物盐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3124700A (zh) * 2021-04-27 2021-07-16 中国电建集团江西装备有限公司 一种熔融盐储能换热装置及其操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85B1 (ko) 2009-11-16 2010-08-16 심현진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58367B1 (ko) * 2010-05-28 2012-06-22 권혁만 소금 성형물 제조방법
KR101341557B1 (ko) * 2012-06-28 2013-12-13 심현진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소금고형체를 이용한 전열보료 및 이를 적용한 소금온돌 침대
KR101415009B1 (ko) 2013-03-18 2014-07-04 조종수 용융소금블록 제조 방법
KR101737312B1 (ko) 2015-09-22 2017-05-18 농업회사법인 한국죽염 주식회사 송진 분사장치
KR101722755B1 (ko) 2016-12-09 2017-04-03 (주)이가 직화 용융 방식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KR101862380B1 (ko) * 2016-12-09 2018-05-31 주식회사 이가 직화 용융 방식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방법
KR20210029704A (ko) 2020-09-09 2021-03-16 한상관 물질분자 충격기가 공기의 비중보다도 더 가볍게 만들어내는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음이온 물질분자들을 사람이나 동물이나 식물이나 어류들에게 접촉시키거나 흡입 시켜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질병 치료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술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를 추출해내는 물질분자 추출 친환경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056Y1 (ko) * 2001-04-07 2001-11-16 문응현 소금의 완전용해가 가능한 열처리장치
KR100601190B1 (ko) * 2004-09-21 2006-07-13 심현진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3424B1 (ko) * 2007-01-15 2008-02-13 이상천 해수로부터 음용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순수소금물을 소금입자로 제조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719A (ja) * 1995-09-26 1997-03-31 Tokai Rika Hanbai Kk 塩の造形物の製造方法
KR20020084443A (ko) * 2001-05-02 2002-11-09 곽명숙 소금 건자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056Y1 (ko) * 2001-04-07 2001-11-16 문응현 소금의 완전용해가 가능한 열처리장치
KR100601190B1 (ko) * 2004-09-21 2006-07-13 심현진 소금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출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3424B1 (ko) * 2007-01-15 2008-02-13 이상천 해수로부터 음용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순수소금물을 소금입자로 제조하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4259A (zh) * 2018-07-23 2021-04-13 杭州尤美特科技有限公司 功能性植物盐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3124700A (zh) * 2021-04-27 2021-07-16 中国电建集团江西装备有限公司 一种熔融盐储能换热装置及其操作方法
CN113124700B (zh) * 2021-04-27 2022-05-13 中国电建集团江西装备有限公司 一种熔融盐储能换热装置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7327A3 (ko) 2011-03-31
KR100921388B1 (ko)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47327A2 (ko)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TW434061B (en) Furnace for melting aluminum block and holding the melt
JPS61197462A (ja) 釉薬窯製タイ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製品
KR100366611B1 (ko) 유골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A2206807A1 (en) Decorative construction material and methods of its production
US6311522B1 (en) Process for casting and forming slag products
KR100971653B1 (ko) 소금고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75285B1 (ko)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E69827932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gerichtet erstarrter guss-stücke
KR19990078565A (ko) 유골의골분만을사용한결정체제조방법및그제조장치
US3259672A (en) Method of forming and maintaining refractory bottoms of open hearth furnaces for the manufacture of steel
KR101103111B1 (ko) 유골분 결정화 방법
KR101133915B1 (ko)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CN214400257U (zh) 一种通体微晶玻璃制备装置
CN217922240U (zh) 一种耐火的轧钢加热炉
CN220417867U (zh) 一种悬挂缸浇注料烘烤装置
US2550147A (en) Method of firing ceramic articles and apparatus therefor
EP1497232B1 (en) Method and electric furnace for melting vitreous materials
CN116119900A (zh) 一种玻璃材料制备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20091149A (ko) 유골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622144B1 (ko) 입체 무늬 유리의 제조 장치
JP3042874B2 (ja) 溶融金属瀘過装置の均一予熱装置
DE3260787D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efractory bricks
RU208351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х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учения
RU2040492C1 (ru) Ванная стекловаренная печ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896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7896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