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204A -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 Google Patents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204A
KR20000022204A KR1019980710623A KR19980710623A KR20000022204A KR 20000022204 A KR20000022204 A KR 20000022204A KR 1019980710623 A KR1019980710623 A KR 1019980710623A KR 19980710623 A KR19980710623 A KR 19980710623A KR 20000022204 A KR20000022204 A KR 2000002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matitis
carnosine
sodium alginate
zinc
zinc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히라노
시로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이베 사치아키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다까미 시게오
하마리야꾸힝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베 사치아키,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다까미 시게오, 하마리야꾸힝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베 사치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2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2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2Imidazole-alkanecarboxylic acids, e.g. his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55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e.g. hemin, hematin, melarsop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8Metal complex; Coordination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rosthe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 또는 그 화합물 및 알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제제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에 양호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에 기인하는 구내염에 대해 양호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REMEDIES AND PREVENTIVES FOR STOMATITIS)
구내염은 구강내 점막의 염증에 기인하는 것으로, 구강내 점막, 구각, 입술에 발병하는 미란(미란), 붉은 반점, 궤양과 같은 증상을 말한다. 구내염이 심해지면, 동통, 출혈을 동반하며, 음식물의 섭취가 곤란해지는 등, 환자에게 심각한 문제가 된다.
구내염의 원인으로는 중증질환, 영양실조, 단순 포진 바이러스감염 등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발병의 메커니즘은 아직 불명하다.
근년, 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으로서 심각한 구내염이 유발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항암제 투여시의 투여 한계 인자(dose limiting factor)의 한나로 되어, 방사선치료에서는 치료의 중단이나 치료계획의 변경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았다.
종래, 구내염 치료에는 구내청정, 각종 비타민제의 투여 등이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에 수반하는 구내염의 치료에 알로프리놀이나 알긴산나트륨의 마우스 워시(mouth wash) 투여가 행해져 왔다. [Archives, Vol. 55, No. 1, p. 28 (1995) ; Japanese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Vol. 18, No.5, p. 510 (1992) ; Japanese Journal of Nursing Acts, Vol. 37, No. 15, P. 44, (1991) ; The Journal of Japan Society for Cancer Therapy, Vol. 25, No. 6, p. 1129, (1990) ; Japanese Journal of Cancer and Chemotherapy, Vol. 16, No. 10, p. 3449 (1989) ; 및 Nippon Acta Radiologica, Vol. 49, No. 8, p. 1047 (1989)].
종래 구내염의 치료방법으로는 증상의 개선효과가 약하고, 심각한 구내염에 대해서는 효과가 불충분하며, 증상이 개선될 때까지 장시간이 요하는 등의 문제가 많아, 충분한 치료방법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단기간에 치료가 달성될 수 있는 약제가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 또는 전술한 화합물과 알긴산나트륨과의 혼합체가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에 유효하며, 특히 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으로 인한 구내염을 현저히 치료 및 예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카르노신 아연염이나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과 알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염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카르노신 아연염 및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의 어느 하나와 알긴산나트륨과의 유효량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염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로서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로서 L-카르노신 아연염 및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의 어느 하나와 알긴산나트륨의 사용을 제공한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따른,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로서 유효성분인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이하, "L-카르노신 아연"이라 한다)은 L-카르노신 및 아연으로 구성된 염이나 착화합물이며, 부정형과 결정형의 2종의 형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5367/1991호,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116160/1995호), 결정성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 (국제적 일반명칭: "폴라프레징크")은 위궤양 치료제로서 시판되고 있으며, 임상실험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L-카르노신 아연의 약리작용으로는 항소화성 궤양작용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5367/1991호, 제 116160/1995호)외에도 간장애의 예방 및 치료작용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62299/1992호), 췌장염 치료작용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17022/1991호), 골형성 촉진작용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120257/1991호), 염증성 장질환 예방 및 치료작용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69338/1992호) 등이 알려져 있으나, 구내염 치료 및 예방 효과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한편, 알긴산나트륨은 갈조류의 세포막을 형성하는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점막보호제 및 지혈제로서 각종 제제의 형태로 시판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알긴산나트륨을 L-카르노신 아연과 혼용하여 얻을 수 있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효과에 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L-카르노신 아연은 무정형 또는 결정형이 있으며,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은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116160/1995호에, 부정형 L-카르노신 아연은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 5367/199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긴산나트륨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는 마우스 워시 제제 또는 구강내 연고제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적당한 첨가제, 예를 들면 주사용 증류수, 정제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젖당, 솔비트, 만니트, 백당, 옥수수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락티톨,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라비아고무, 트래칸트고무, 젤라틴, 폴리소르베이트 80, 활석,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물, 에탄올, 백색 바셀린, 글리세린, 지방, 지방유, 글리콜류, 스테아릴알코올과 같은 고급알코올류, 플라스티베이스, 파라핀, 밀랍,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사카린, 파인 시럽 등의 적절한 혼합물을 선택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 워시 제제는 예를 들면, 현탁제, 시럽제 또는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L-카르노신 아연이 물에 거의 녹지 않는 물질이므로 현탁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여 정제, 산제, 과립제를 만들고, 이들 몰타르 또는 분쇄기로 분쇄하고, 주사용 증류수 또는 정제수, 필요에 따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부형제를 사용하여 사용 직전에 현탁하여 마우스 워시 현탁제로 하여도 좋다. 또한 알긴산나트륨을 수용액으로 만들고, 여기에 L-카르노신 아연을 첨가하여 현탁액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임상치료에는, 시판되고 있는 폴라프레징크 제제 (상품명: "Promac Granule 15 %")를 상기의 산제, 과립제과 마찬가지로 사용시에 현탁조제해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주사용 증류수 또는 정제수 대신에 시판되고 있는 알긴산나트륨 액제를 사용하여 현탁조제하면 L-카르노신 아연과 알긴산나트륨의 병용투여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중의 구강내 연고제는 플라스티베이스, 백색 바셀린, 파라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밀랍, 스테아릴알코올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선택하고, 이들을 가열 및 융해하고, 혼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 구강내 연고제는 구각, 입술에 발병한 구내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효과적이다.
L-카르노신 아연과 알긴산나트륨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양자를 혼합하여 제제화하거나, 또는 양자를 단독으로 제제화하여 병용 투여해도 무방하며, 효과의 차이 역시 없다.
또, L-카르노신 아연은 부정형 또는 결정형의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하지만,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효과의 차이는 없다.
L-카르노신 아연의 투여량은 연령, 체중, 증상, 치료효과, 투여방법, 투여시기, 투여회수, 투여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L-카르노신 아연만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1회 1∼150 ㎎을 1일 1∼10회, 바람직하게는 1회 5∼30 ㎎을 1일 2∼6회 투여한다.
L-카르노신 아연 및 알긴산나트륨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L-카르노신 아연의 투여량에 추가로 알긴산나트륨을 1회당 25∼500 ㎎, 바람직하게는 50∼300 ㎎을 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는 어떠한 원인의 구내염에도 효과적이며, 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가 원인인 구내염에 양호한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제로는 5-FU, 시스플라틴, 메토트렉세이트, 시클로포스파미드, 시타라빈, 빈크리스틴, 아드리아마이신 및 마이토마이신C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우스 워시제제는 가글 후에 삼키거나 뱉어내어도 무방하며, 구각, 입술에 발생한 구내염을 치료하는 경우에는, 구강내 연고제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도 면봉이나, 탈지면 또는 필름막에 마우스 워시 제제를 함유시켜 바르는 것도 좋다.
다음에, 임상예, 제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 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임상예, 제제예에 사용한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의 제조법 및 5 % 알긴산나트륨 용액의 조제법을 참고예로 나타낸다.
참고예 1 :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의 제조법 :
메탄올 (100 ㎖)에 수산화나트륨 (3.51 g)을 용해하고, L-카르노신 아연염 (9.96 g)을 가하여 균일 용액을 제조했다. 여기에 메탄올(145 ㎖) 중 아세트산 아연염 2수화물 (9.67 g)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하하여 백색 침전을 얻었다. 적하 종료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밤새 정치한 후, 여과하고, 생성 필터 케이크를 물(140 ㎖)로 세정하고 80 ℃에서 5시간 동안 풍건하여, 백색 분말 결정의 L-카르노신 아연염 (12.4 g)을 얻었다.
참고예 2 :
5 % 알긴산나트륨 용액의 조제법 :
알긴산나트륨 (5 g, 와코 순약공업(주) 제품) 을 정제수(100 ㎖)에 가하고, 알긴산나트륨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5 % 알긴산나트륨 용액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임상예) :
각 예에서 표시된 빈도수는 증상의 경과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본암학회 부작용기준에 근거하여 판정되었다. 빈도수, 증상은 하기와 같으며, 빈도수가 높을수록 상태가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빈도수 증상
0 : 없음
1 : 동통, 붉은 반점
2 : 미란, 궤양
3 : 궤양, 유동식만 섭취
4 : 궤양, 출혈 동반
실시예 1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환자 : 여성, 55세
구강내에 미란 및 궤양(빈도수 2)이 발생한 본 환자에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 주사용 증류수(100 ㎖), 칼슘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1 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했다. 이를 1일 5∼6회 반복하고, 8일간 연속적으로 투여한 결과, 구강내 점막에 발생했던 미란, 궤양이 완전히 치유되었다 (빈도수 0).
실시예 2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식도암환자 : 여성, 57세
구강내 및 구각에 궤양이 발생하여 유동식만 섭취하는 (빈도수 3) 본 환자에게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450 ㎎), 주사용 증류수(100 ㎖), 칼슘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1 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뱉어내게 했다. 이를 1일 2∼4회 반복하고, 6일간 연속적으로 투여하였다. 그 후 이틀간 항암제를 증량한 결과, 증상이 더욱 악화되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3일간 투여하고 이틀간 면봉으로 구각에 도포하여, 구강내 점막 및 구각에 발생했던 궤양이 완전히 치유되고, 고체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빈도수 0).
실시예 3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급성골수성 백혈병환자 : 여성, 54세
구강내에 궤양이 발생하여 유동식만 섭취하고 있는 (빈도수 3) 본 환자에게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300 ㎎), 정제수(100 ㎖), 칼슘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1 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했다. 이를 1일 2회 반복하고, 10일간 연속적으로 투여한 결과, 구강내 점막에 발생했던 궤양이 완전히 치유되어 고체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빈도수 0).
실시예 4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환자 : 남성, 24세
양쪽 어금니의 잇몸 바깥쪽과 혀의 측면에 구내염이 발생하여 언어장애를 일으킨 (빈도수 1) 본 환자에게,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을 5 % 알긴산나트륨 용액(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했다. 이를 1일 5∼6회 반복한 결과, 치료개시 다음날 통증이 완전히 사라져 말을 잘 할 수 있게 되고, 11일간 연속 투여한 후에는 구내염이 완전히 치유되었다(빈도수 0).
실시예 5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위암수술 후의 환자 : 남성, 65세
구각 및 입술에 미란 및 궤양 (빈도수 2)이 발생한 본 환자에게 알로프리놀 (100 ㎎)을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5 % 알긴산나트륨(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하였다. 이를 1일 3회씩 9일간 반복했으나 통증이 사라지지 않았다 (빈도수 1). 이에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 150 ㎎ 을 5 % 알긴산나트륨(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하였다. 이를 1일 3회, 7일간 반복한 결과, 구각 및 입술에 발생해 있던 미란, 궤양이 완전히 치유됨과 동시에 통증이 말끔히 사라졌다 (빈도수 0).
실시예 6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 : 여성, 46세
구강내에 수포가 발생해 있는 (빈도수 2) 본 환자에게 알로프리놀(100 ㎎)을 5 % 알긴산나트륨 용액(100 ㎖)에 혼화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1일 5회 린스한 후, 삼키게 했다. 이를 8일간 반복했으나, 상태가 개선되지 않았다. 이에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을 5 % 알길산나트륨(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하였다. 이를 1일 5회, 5일간 반복한 결과, 구강내의 수포가 완전히 사라졌다 (빈도수 0).
실시예 7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식도암 환자 : 남성, 65세
구강내에 출혈을 동반하는 궤양이 발생되어 있는 (빈도수 4) 본 환자에게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 및 알긴산나트륨(5 g)을 정제수(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했다. 이를 1일 3회, 7일간 반복한 결과, 구각 및 입술에 발생해 있던 미란, 궤양이 완전히 치유됨과 동시에 통증이 말끔히 사라졌다 (빈도수 0).
실시예 8 :
방사선치료 및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직장암 환자 : 남성, 81세
구각출혈을 일으키고 있는 (빈도수 2) 본 환자에게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을 5 % 알긴산나트륨 용액(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의 적당량을 면봉에 적셔 환부에 도포하였다. 이를 1일 5∼6회, 3일간 반복한 결과, 구각출혈이 완전히 멈추었다 (빈도수 0).
실시예 9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급성백혈병 환자 : 여성, 25세
구각 및 입술에 미란 및 궤양이 발생한 (빈도수 2) 본 환자에게 "15 % 프로막 과립"(제리아 신약공업(주) 제품) 1 g (폴라프레징크 150 ㎎ 함유)을 막자사발로 분쇄하고, 알로이드G액 (5 % 알긴산나트륨 용액, 교세이제약(주), (주)카이겐 제품) (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뱉어내게 했다. 이를 1일 3회, 37일간 반복한 결과, 구각 및 입술에 발생해 있던 미란 및 궤양이 완전히 치유되었다 (빈도수 0).
실시예 10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 : 여성, 61세
구각 및 입술에 미란 및 궤양이 발생한 (빈도수 2) 본 환자에게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을 5 % 알긴산나트륨 용액(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뱉어내게 했다. 이를 1일 3회, 10일간 반복한 결과, 구각 및 입술에 발생해 있던 미란, 궤양이 거의 없어졌다 (빈도수 1).
실시예 11 :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는 직장암 환자 : 남성
구각 및 구강내에 궤양, 출혈을 동반하고 있는 (빈도수 4) 본 환자에게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을 5 % 알긴산나트륨 용액(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뱉어내게 했다. 이를 1일 3회, 17일간 반복한 결과, 구각 및 구강내에 발생해 있던 궤양 및 출혈이 완전히 치유되었다(빈도수 0).
실시예 12 :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식도암 환자 : 남성, 64세
구각 및 입술에 궤양이 발생되어 유동식만을 섭취하고 있는 (빈도수 3) 본 환자에게 구각 및 구강내에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을 플라스티베이스(100 g)에 가하여 혼화하여 얻은 연고를 면봉에 적당량 묻혀서 환부에 도포하였다. 이를 1일 3∼5회, 9일간 반복한 결과, 구각 및 구강내에 발생해 있던 궤양이 완전히 치유되어 고체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빈도수 0).
대조예 : (알긴산나트륨 단독투여)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식도암 환자 : 여성, 61세
구강내에 미란 및 궤양이 발생한 (빈도수 2) 본 환자에게 5 % 알긴산나트륨 용액(10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했다. 이를 1일 3∼6회, 7일간 반복했으나, 구강내에 발생해 있던 궤양이 완전히 치유되지는 않았다 (빈도수 2).
실시예 13
식도암 환자 (남성, 45세)에게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을 5 % 알긴산나트륨 용액(100 ㎖)에 가하고, 교반하여 얻은 현탁액(5 ㎖)으로 구강을 린스한 후, 삼키게 했다. 이를 1일 5회 실시한 후, 암화학요법을 시작했다. 암화학요법 기간(5일) 및 요법종료 익일까지 1일 3∼4회 상기의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알긴산나트륨용액 혼합물로 구강을 린스한 결과, 본 환자의 구내염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급성독성 :
(1)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의 실험용 쥐의 경구투여에 따른 LD50은 8,441 ㎎/㎏ 이었다.
(2) 알긴산나트륨의 실험용 쥐의 경구투여에 따른 LD50은 5,000 ㎎/㎏ 이었다.
(제제예)
실시예 14 :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을 주사용 증류수(100 ㎖)에 가하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1 g)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현탁제를 얻었다.
실시예 15 :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 및 알긴산나트륨(5 g)을 정제수(100 ㎖)에 가하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1 g)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현탁제를 얻었다.
실시예 16 :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150 ㎎) 및 알긴산나트륨(5 g)을 주사용 증류수(100 ㎖)에 가하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1 g)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현탁액을 얻었다. 이를 백색바셀린(100 g)과 혼화하여 구강내 연고제를 얻었다.
실시예 17 :
결정성 L-카르노신 아연염(300 ㎎)을 플라스티베이스(3 g)에 가하고, 상온에서 혼화하여 구강내 연고제를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한 L-카르노신 아연, 또는 L-카르노신 아연과 알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는, 특히, 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에 기인하는 심각한 구내염에 대해 뛰어난 치료 및 예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그의 저독성으로 인해 안전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2.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 및 알긴산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한쪽 또는 양쪽에 기인하는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4. 제 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수용 제제 또는 구강내 연고제인,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5.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염의 치료방법.
  6. L-카르노신 아연염과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의 어느 하나와 알긴산나트륨과의 유효량을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염의 치료방법.
  7.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한쪽 또는 양쪽에 기인하는 구내염의 치료방법.
  8. 제 5항 내지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수단이 함수용 제제 또는 구강내 연고제의 투여인 치료방법.
  9.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로서의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의 사용.
  10.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로서의 L-카르노신 아연염 및 L-카르노신-아연 착화합물의 어느 하나와 알긴산나트륨과의 사용.
  11.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한쪽 또는 양쪽에 기인하는 구내염에의 사용.
  12. 제 9항 내지 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수용 제제 또는 구강내 연고제인 제제의 사용.
KR1019980710623A 1996-07-03 1997-06-25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KR200000222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91640 1996-07-03
JP19164096A JP3877807B2 (ja) 1996-07-03 1996-07-03 口内炎治療・予防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204A true KR20000022204A (ko) 2000-04-25

Family

ID=1627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623A KR20000022204A (ko) 1996-07-03 1997-06-25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69083B1 (ko)
EP (1) EP0938900B1 (ko)
JP (1) JP3877807B2 (ko)
KR (1) KR20000022204A (ko)
AT (1) ATE326232T1 (ko)
AU (1) AU713337B2 (ko)
DE (1) DE69735892T2 (ko)
DK (1) DK0938900T3 (ko)
ES (1) ES2264166T3 (ko)
PT (1) PT938900E (ko)
WO (1) WO1998001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5027A1 (en) * 2000-03-07 2001-09-27 Sonis Stephen T. Inhibition of ceramid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mucositis induced by antineoplastic drugs or radiation
EP1285660A4 (en) * 2000-05-31 2003-07-09 Hamari Chemicals Ltd ZINC SUPPLEMENTARY COMPOSI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US20040242491A1 (en) * 2003-05-30 2004-12-02 Lytone Enterpprise Inc. Composition containing dipeptide of histidine and alanine for reducing uric acid and method for reducing uric acid using the dipeptide
US20090142735A1 (en) * 2005-03-11 2009-06-04 Toyohiko Takushige Bacterial intraoral disease treatment composition, washing treatment solution, hemostatic treatment solution, and bacterial intraoral disease treatment method
JP5205618B2 (ja) * 2007-06-19 2013-06-05 学校法人日本大学 抗菌剤
JP2009235053A (ja) * 2008-03-05 2009-10-15 Kyowa Chem Ind Co Ltd 口内炎予防乃至治療薬
WO2016057910A1 (en) * 2014-10-09 2016-04-14 Di Rocco Richard J +l-carnosine zinc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921A (ja) * 1983-07-27 1985-02-14 Kaneshiro Nagai 炎症治癒促進剤
JPS61186322A (ja) * 1985-02-13 1986-08-20 Nippon Univ 免疾調節剤
JPS6314728A (ja) * 1986-07-03 1988-01-21 Zeria Shinyaku Kogyo Kk 肝障害の予防、治療剤
JPS63229058A (ja) * 1987-03-17 1988-09-22 大鳥 泰雅 骨形成材料の製法
JPH07116160B2 (ja) * 1987-08-10 1995-12-13 浜理薬品工業株式会社 結晶性l−カルノシン亜鉛錯体およびその製造法
DE69231576T2 (de) * 1991-09-09 2001-06-13 Peptech Ltd Verwendung von Peptiden ZUR BEHANDLUNG VON KOMPLIKATIONEN UND PATHOLOGY BEI DIABETES
US5380530A (en) * 1992-12-29 1995-01-10 Whitehill Oral Technologies Oral care composition coated gum
FR2701948B1 (fr) * 1993-02-22 1996-07-26 Exsymol Sa Produit de couplage de l'histamine ou l'histamine méthyl-substituée et d'un acide aminé,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applications thérapeutiques, cosmétologiques et agroalimentaires.
AUPN784796A0 (en) * 1996-02-02 1996-02-22 Bellara Medical Products Limited Supplementation of glucocortico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77807B2 (ja) 2007-02-07
WO1998001146A1 (fr) 1998-01-15
AU713337B2 (en) 1999-12-02
EP0938900A1 (en) 1999-09-01
US6169083B1 (en) 2001-01-02
ATE326232T1 (de) 2006-06-15
DE69735892T2 (de) 2006-09-28
JPH1017490A (ja) 1998-01-20
EP0938900A4 (en) 2004-03-31
EP0938900B1 (en) 2006-05-17
ES2264166T3 (es) 2006-12-16
PT938900E (pt) 2006-07-31
DK0938900T3 (da) 2006-09-04
DE69735892D1 (de) 2006-06-22
AU3274597A (en) 199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140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mouth pain
US4405596A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for and treatment procedures involving increasing plasma bicarbonate level
US5977087A (en) Topical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aphthous ulcers and other lesions
CA2155971A1 (en) Method of treating damaged mucosal and epithelial tissues with misoprostol
WO1992021345A1 (fr) Composition, methode et trousse pour le traitement des tumeurs par stimulation de l'activite antitumorale
JPS63290830A (ja) 胃腸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5006551A (en) Composition for destroying malignant tumors
CA2018945A1 (en) Sucralfate and a medicament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KR20000070733A (ko) 위장 리파아제 억제제의 용도
JPS63239227A (ja) 薬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20000022204A (ko) 구내염의 치료 및 예방제
CN100594911C (zh) 一种药物组合物及其用途
US20030216438A1 (en) Antimicrobial agent
WO1995001780A1 (en) H2 antagonist-alginate combinations
JP4791358B2 (ja) 真菌の重感染と真菌の再発の処置のためのアスコルビン酸を含んでなる製薬学的組成物
CA2259997C (en) Remedies and preventives for stomatitis
JP2584636B2 (ja) 胃炎治療剤
McLean et al. Relative effectiveness and costs of antiulcer medications as a basis for rational prescribing
JP4203170B2 (ja) 医薬組成物
JPWO2006043336A1 (ja) 胃粘膜疾患の治療又は予防のための組成物
CN114246852A (zh) 一种药物组合物在心脑血管疾病中的应用
US3852454A (en)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RU2751351C2 (ru) Пероральный препарат ибупрофена
JPH0445494B2 (ko)
JPH10509729A (ja) 骨粗鬆症治療サイクル用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