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319B1 -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319B1
KR100900319B1 KR1020077023101A KR20077023101A KR100900319B1 KR 100900319 B1 KR100900319 B1 KR 100900319B1 KR 1020077023101 A KR1020077023101 A KR 1020077023101A KR 20077023101 A KR20077023101 A KR 20077023101A KR 100900319 B1 KR100900319 B1 KR 10090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reatment
polyethylene glycol
oral
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547A (ko
Inventor
토요히코 타쿠시게
에츠로 호시노
Original Assignee
토요히코 타쿠시게
에츠로 호시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히코 타쿠시게, 에츠로 호시노 filed Critical 토요히코 타쿠시게
Publication of KR2007011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5Tetracyc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50Prepa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root treatment
    • A61K6/52Cleaning;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50Prepa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root treatment
    • A61K6/54Filling; S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3Periodo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He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의 제거에 의존하지 않고, 대상자에게 주는 아픔 및 모든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재발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종래의 치료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치료 방법 등을 제공한다. 상기 치료 방법은, 세균성 구강내 질환에 걸린 치아를 세정용 처리액을 이용해 세정하는 세정 단계와 세정된 치아에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투여 단계와 치아의 개구부를 피복하는 피복 단계를 구비하는 병소무균화 조직 회복 요법이다. 상기 치료용 조성물은, 구강내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가지는 항균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기제를 가진다.
세균, 구강, 항균, 폴리에틸렌글리콜

Description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 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 {COMPOSITION FOR TREATING BACTERIAL DISEASE IN THE ORAL CAVITY, LIQUID AGENT FOR WASHING TREATMENT, LIQUID AGENT FOR HEMOSTASIS TREATMENT AND METHOD OF TREATING BACTERIAL DISEASE IN THE ORAL CAVIT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 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세균성 구강내 질환(예를 들면, 충치, 치수(齒髓) 질환, 근첨성치주질환, 치주조직염)의 치료 방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치료 방법을 대표예로 들수 있다.
도 8은,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일 예인 충치 및 치수 질환에 걸린 치아(100)의 단면도이다.
치아(100)는, 외측부터 차례대로, 에나멜질(130), 상아질(140), 치수(150)를 가지는 구조이며, 시멘트질(160) 및 치근막(170)을 개입시켜, 치조골(180)에 매설되어 있다. 이 치조골(180)은, 잇몸(190)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또한, 구강내 세균(111)이 치아(100)의 내부에 침입함으로써, 충치부위(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충치부위(110)에는, 유리 에나멜질, 스메아층, 세균 존재 조직 등이 포함된다.
도 9는, 도 8의 치아(100)를 종래예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으로 치료했을 때의 치아(100)'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종래의 치료 방법은, 세균성 구강내 질환에 걸린 치아(100)로부터 충치부위(110)를 연삭하고 치수(150)를 제거하는 연삭단계와, 충치부위(110)가 연삭되고 치수(150)가 제거된 치아(100)'의 개구부(120)'를 충전재(미도시)로 피복하는 피복 단계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치료 방법에 의하면, 충치부위(110)을 연삭하고 치수(150)를 제거한 후에 치아(100)'의 개구부(120)'를 피복하므로, 구강내 세균(111)이 완전하게 제거되었다면, 세균성 구강내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특허공표 2002-54190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술한 치료 방법에 의하면, 구강내 세균(111)이 치수(150)에 이르고 있는 경우, 구강내 세균(111)을 제거하고 동시에 치료 후의 대상자에게 아픔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치관부의 치수(150)를 제거할 수 밖에 없고, 일반적으로는, 치관부 뿐만 아니라 치근부에 이르기까지의 치수(150)를 제거할 수 (도 9 참조)밖에 없었다.
또한, 충치부위(110)의 범위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연삭단계에서, 충치부위(110)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충치부위(110)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한 경우, 상기 피복 단계 후에, 잔존하던 구강내 세균이 치아 (100)'내부에서 재번식하기 때문에, 세균성 구강내 질환이 재발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하여, 충치부위(110)를 완전히 제거할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치부위(110)로 확인된 부위 뿐만 아니라, 그 주변 부위도 연삭한다고 하는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
그러나, 질환의 진행에 수반하여, 구강내 세균(111)이, 상아질(140)의 심부, 시멘트질(160), 치근막(170)으로 확대되었을 경우, 구강내 세균(111)의 완전한 제거는, 더욱 곤란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연삭에 의한 치료를 포기하고, 치아(100) 전체를 뽑는 등으로 대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치료 방법은,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생체 조직의 철저한 제거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체 조직의 제거에 의존하지 않고, 대상자에게 주는 아픔,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재발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치료 방법, 및,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 처리액, 지혈용 처리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생체 조직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종래의 치료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내과적 치료 방법을 치과 치료에 채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 세균성 구강내 질환에 걸린 치아를 세정용 처리액을 이용해 세정하는 세정 단계, 세정된 치아에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투여 단계 및 치아의 개구부를 피복하는 피복 단계를 구비하는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 방법으로,
상기 치료용 조성물은, 구강내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가지는 항균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기제(基劑)를 가지는 치료 방법.
「세균성 구강내 질환」이란, 세균 감염에 기인하는 구강내에 있어서의 모든 단계의 질환을 의미하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충치, 치수 질환, 근첨성치주질환, 치주조직염을 들 수 있다.
(2) 상기 기제는, 상기 기제의 체적에 대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을 13~19 체적%,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을 13~19 체적%,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을 27~38 체적%, 프로필렌 글리콜을 36~50 체적%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치료 방법.
(3) 상기 세정용 처리액은, pH 약 7의 EDTA와 수용성이면서 금속 이온비함유성의 증점제를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치료 방법.
(4) 상기 세정용 처리액은, 상기 세정용 처리액의 체적에 대해서, EDTA를 10~12 체적% 포함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치료 방법.
(5) 상기 피복 단계 전에, 치수 및/또는 잇몸으로부터의 출혈을 지혈하는 지혈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혈 단계는, 알긴산나트륨과 산화 아연을 포함하는 지혈용 처리액을 이용해, 치수 및/또는 잇몸으로부터의 출혈을 지혈하는 단계인 상기 (1) 내지 (4)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치료 방법.
(6) 상기 지혈용 처리액은, 상기 지혈용 처리액의 체적에 대해, 알긴산나트륨을 6.0~6.5 체적%, 산화 아연을 33~35 체적% 포함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치료 방법.
(7) 구강내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가지는 항균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기제를 가지는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8) 상기 기제는, 상기 기제의 체적에 대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을 13~ 19 체적%,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을 13~19 체적%,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을 27~38 체적%,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36~50 체적% 포함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치료용 조성물.
(9) pH 약 7의 EDTA와 수용성이면서 금속 이온비함유성의 증점제를 포함하는 치아를 세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세정용 처리액.
(10) EDTA를 10~12 체적% 포함하는 상기 (9)에 기재된 세정용 처리액.
(11) 알긴산나트륨과 산화 아연을 포함한 치수 및/또는 잇몸으로부터의 출혈을 지혈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지혈용 처리액.
(12) 알긴산나트륨 6.0~6.5 체적%, 산화 아연 33~35 체적%를 포함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지혈용 처리액.
(13)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치료용 조성물의 원재료물과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세정용 처리액과 상기 (11) 또는(12)에 기재된 지혈용 처리액을 구비하는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키트.
「원재료물」이란, 치료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화합물로, 혼합되기 전 상태의 각각의 화합물을 가리킨다. 각각의 화합물이란, 구체적으로는, 메트로니다졸, 미노사이크린, 시프로플록사신을 포함하는 항균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기제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생존 조직을 연삭하지 않는 구성이므로, 대상자에게 주는 아픔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구강내 세균 및 진균을 살균가능한 항균제와 기제를 포함하는 치료용 조성물을 치아에 투여했기 때문에, 상기 치료용 조성물이 세균 존재 조직으로 확산해 침투함으로써, 세균 존재 조직이 무균화 된다. 이 때문에, 피복 단계 후에, 치아 내부에서 세균 또는 진균이 재번식하는 것이 예방되므로,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재발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칼슘의 재침착(재석회화), 회복상아질의 형성, 시멘트질의 증식 등의 조직 회복 반응이 자발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무균화된 조직은, 괴사 조직 및 생존 조직에 관계없이, 세균 감염전의 상태에 근사하게 회복된다.
따라서, 세균성 구강내 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 조직의 제거에 의존하지 않고, 대상자에게 주는 아픔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재발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제1 실시 형태 이외의 각각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하게 한다.
〔제1 실시 형태〕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항균제와 기제를 가진다.
[항균제]
항균제는, 구강내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가진다. 상기 항균제는, 소정의 항생 물질을 조합한 것으로, 다방면에 걸친 모든 구강내 세균을 살균한다. 예를 들면, 메트로니다졸, 미노사이크린, 시프로플록사신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들 수 있다. 상기 3 종류의 성분을 조합하면, 모든 구강내 세균에 대해서 항균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각 성분의 함유량비는, 구강내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고려해, 메트로니다졸, 미노사이크린, 시프로플록사신의 역가비가, 1~3: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로니다졸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스조르정 250 mg(상품명)」(후지제약사제조)을 사용할 수 있다.
미노사이크린으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미노마이신 100 mg(상품명)」(와이스사제조)을 사용할 수 있다.
시프로플록사신으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시프록산 200 mg(상품명)」(바이엘약품사제조)을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이러한 시판품을 이용하는 경우, 약제의 피복제나 캅셀을 제거한 약제 성분을 사용하면 된다.
[기제]
기제는, 항균제에 의한 구강내 세균성 질환의 치료효과를 안정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분말상의 항균제와 혼합함으로써, 페이스트상 또는 연고상으로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작성이 향상되어, 치료용 조성물 투여량의 계측이 용이해진다.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은, 치료용 조성물의 침투성을 향상시킨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은, 융점이 약 18℃이기 때문에, 입의 외부에서는 고체상태여서, 투여기구에 적재하기 쉬운 한편, 입의 내부에서는 액화하여 젖는 성질이 향상되므로, 치아에 투여하기 쉽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은, 치료용 조성물의 점조도를 상승시켜,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이 외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이 혼합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솔베이스(상품명)」(다이니혼제약사제조)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 글리콜은, 페이스트상 또는 연고상으로 변화된 항균제의 점조도를 조정한다. 소정의 점조도로 조정함으로써, 치료용 조성물의 침투성이 향상된다. 또한, 프로필렌 글리콜은, 구강내의 진균을 살균하는 작용도 구비한다.
기제는, 이상과 같은 각 성분의 작용을 고려해,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3~19 체적%,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13~19 체적%,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27~38 체적%, 및 프로필렌 글리콜 36~50 체적%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우선, 소정량의 항균제를 각각 별도로 막자사발내에 취하여, 막자를 이용해 분말화함으로써, 항균제를 제조한다.
또한, 비커 모양의 용기에 소정량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따른 후,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에 대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씩, 원하는 점조도가 될 때까지 첨가해, 온화하게 혼합함으로써, 기제를 제조한다.
이러한 상기 항균제 및 기제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기제의 함량이 너무 크면,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조작성이 반대로 악화됨과 동시에, 항균제의 함량이 부족해 충분히 무균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것을 고려해, 일반적으로, 항균제가 기제에 대해서 5~7의 체적비로 포함되도록 혼합하면 좋다.
또한 치료용 조성물은, 쉽게 변질하여 치료 효과를 잃기 때문에, 사용하기 직전에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치료용 조성물의 원재료, 특히 항균제는, 사용전까지 별개로 냉암소에 보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 후의 치료용 조성물을 보관하는 경우, 변질을 억제하는 점에서, 저온이면서 저습도의 차광된 조건하의 밀폐 용기내에 두어, 치료용 조성물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조건하에서도, 통상,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기간은 2일 정도이다.
<세정용 처리액>
본 발명의 세정용 처리액은, 치아를 세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pH 약 7의 EDTA와 수용성이면서 금속 이온비함유성의 증점제를 포함한다.
EDTA는, 치아의 유리(遊離) 칼슘의 킬레이트제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EDTA를 포함하는 세정용 처리액에 의하면, 유리 칼슘이 킬레이트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유리 칼슘에 매설되어 있던 미생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정용 처리액이 산성인 경우, 치아를 탈회하고, 알칼리성인 경우, 칼슘의 침착이 저해되므로, 세정용 처리액의 pH는 7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DTA의 함유량은, 너무 작으면 유리 칼슘을 포착하는 효율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는 한편, 너무 커도 유리 칼슘을 포착하는 효율이 포화하여, 비용면에서 불리하므로, 10~12 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는, 세정용 처리액에 점조성을 부여해, 세정용 처리액이 치아로부터 유실되는 것을 늦추므로, EDTA에 의한 미생물 등의 제거가 실행되는 시간을 확보한다. 또한, 증점제는, EDTA에 대해서 안정하기 때문에, 금속 이온비함유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덱스트린을 들 수 있다.
덱스트린의 함유량은, 너무 작으면 세정용 처리액의 점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치아로부터 신속하게 유실되는 한편, 너무 크면 EDTA의 치아로의 삼출이 방해된다. 덱스트린의 함유량은, 2.7~ 3.0 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정제수를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정제수에, 도타이트 2 NA 및 도타이트 4 NA를 이 순서로에 동일한 양(체적비)씩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용해 후, EDTA의 농도가 24 체적%가 되도록, 정제수량을 조절한다.
조절된 용액에 덱스트린을 동일한 양(체적비) 첨가해, 혼합함으로써, 세정용 처리액을 제조한다. 이 결과, 세정용 처리액에는, EDTA가 12 체적%의 농도로 함유 된다.
<지혈용 처리액>
본 발명의 지혈용 처리액은, 후술하는 제거 단계나 세정 단계 등에 있어서, 치수나 잇몸으로부터 출혈했을 경우, 치수나 잇몸으로부터의 출혈을 지혈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알긴산나트륨 및 산화 아연을 포함한다.
알긴산나트륨은, 출혈 부위를 피복해, 점막으로부터의 조직의 붕괴를 억제한다.
산화 아연은, 치아나 잇몸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결합해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혈관의 수렴 작용, 소염 작용, 보호 작용, 방부 작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산화 아연은, 침출액을 흡수하고, 침출액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손상된 면을 건조한다.
알긴산나트륨의 함유량은, 너무 작으면 점막으로부터의 조직의 붕괴를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고, 너무 크면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해 지혈용 처리액이 출혈 부위 전체에 확산되기 어렵다. 알긴산나트륨의 함유량은, 6.0~6.5 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아연의 함유량은, 너무 작으면 손상된 면으로부터의 출혈을 충분히 지혈할 수 없는 한편, 너무 커도 상술한 작용이 포화하여, 비용면에서 불리하다. 산화 아연의 함유량은, 33~35 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정제수를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정제수에 알긴산나트륨을, 10:1(체적비)의 비율로,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얻어지는 용액에 산화 아연을, 100:55(체적비)의 비율로 첨가해, 용해시켜 지혈용 처리액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치료 방법>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세균성 구강내 질환에 걸린 치아를 세정용 처리액을 이용해 세정하는 세정단계, 세정된 치아에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투여단계, 및 치아의 개구부를 피복하는 피복단계를 구비한다.
세정단계 전에, 피복단계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가 계지되는 계지부위를 형성하는 계지부위 형성단계나, 충분한 양의 치료용 조성물을 적재하기 위해 투여 부위를 형성하는 투여부위 형성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피복 단계 전에, 치수로부터의 출혈을 지혈하는 지혈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계지부위 형성 단계]
계지부위 형성단계는, 세균성 구강내 질환에 걸린 치아로부터 유리 칼슘(예를 들면, 유리 에나멜질, 스메아층)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등, 피복 부재가 계지되는 계지부위(후술하는 도 1~3의 계지부위 14)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계지부위의 형성은, 공지의 수단(예를 들면, 엑스커베이터, 터빈용 바)을 사용해 실시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주는 아픔을 억제하는 점에서, 생존 조직 뿐만 아니라, 괴사 조직(특히, 연화상아질)도 가능하면 연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괴사 조직에 있어서의 신경이 죽었으므로, 괴사 조직의 제거 자체는 본래, 대상자에게 아픔을 주지 않지만, 괴사 조직 근방의 신경에 자극을 주어, 대상자에게 아픔을 느끼게 하는 경우도 있다.
[투여 부위 형성 단계]
투여 부위 형성 단계는, 후술하는 투여 단계에 있어서, 치료용 조성물을 적재하는데 충분한 공간이 대상자의 치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충분한 투여 부위를 형성하기 위해, 또는, 감염근관 치료의 경우에, 치조골 등의 세균 침입 부위에의 치료용 조성물의 도달을 촉진하기 위한 단계이다. 즉, 상기 투여 부위 형성 단계는, 세균 침입 부위의 범위 등을 고려해, 적당히 실시하면 좋은 임의 단계이다.
또한 구강내 세균이 근관이나 치수까지 감염하고 있는 경우로, 근관의 확대나 형성이 곤란하거나 치근이 만곡하고 있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도, 근관의 개구부에 치료용 조성물을 적재하는 것만으로, 상기 치료용 조성물이 상아 세관이나, 근관과 근충제의 틈을 통과해, 근관이나 치수에까지 확산하여, 침투한다.
[지혈 단계]
지혈 단계는, 후술하는 세정 단계 전에, 치수나 잇몸으로부터의 출혈을 지혈하는 단계이다. 지혈은, 상술한 지혈용 처리액을 사용해 실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통상 1~2분간 정도, 이 지혈용 처리액으로 출혈 부위를 덮은 후, 수총을 부드럽게 맞힘으로써, 지혈용 처리액을 제거한다.
잔존하는 지혈용 처리액은, 후술하는 투여 단계에서 투여되는 치료용 조성물의 치료 효과를 방해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한 완전하게 지혈용 처리액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 단계]
세정 단계는, 계지부위 형성 단계 후에, 그리고, 후술하는 투여 단계 전에, 치아를 세정하는 단계이다. 세정 단계에 있어서, 잔존하는 유리 칼슘을 세정함으로써, 후술하는 치료용 조성물의 세균 존재 조직에의 확산, 침투가 보다 촉진된다.
세정은, 상술한 세정용 처리액을 사용해 실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세관의 선단부를 구비하는 세정용 기구의 선단으로부터 세정용 처리액을 사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투여 단계]
투여 단계는, 유리 칼슘이 제거된 치아에 상술한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약 1 mm의 거의 구형의 치료용 조성물을, 세균 존재 조직의 적당한 부위에 적재한다. 이로 인해, 적재된 치료용 조성물이 세균 존재 조직으로 확산하여, 침투해 가기 때문에, 세균 침입 부위를 무균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하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치아 1의 단면도이다.
치아(1)에는, 구강내 세균의 침입에 의해, 충치부위(12)가 상아질에 형성되어, 도 1에 점으로 나타나는 세균이 치수에 이르고 있다. 상기 치아(1)에는, 충치부위(12) 상에 형성된 투여 부위에, 치료용 조성물이 적층됨으로써, 치료제층(13)이 형성된다.
치아(1)의 다른 구조는, 전술한 치아(100)와 공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 한다.
[피복 단계]
피복 단계는, 치료용 조성물이 투여된 치아의 개구부를 피복하는 단계이다. 개구부를 피복함으로써, 무균화 된 부위로의 구강내 세균의 침입이 차단되어 무균 상태가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투여된 치료용 조성물을 덮도록, 충전제(예를 들면, 그라스아이오노마시멘트 「Fuji IX GP(상품명)」(주식회사GC사 제조)로 치아의 개구부를 피복한다.
또한, 근관치료의 경우에는, 상기 치료용 조성물을 첩약착좌(貼藥着座)에 첩약 후, 수경 화성 시멘트(예를 들면, 「캐비톤(등록상표)」(주식회사GC사 제조)로 피복하고, 상기 수경화성 시멘트를 인산 시멘트로 더 피복하면 좋다.
도 2는, 도 1의 치아(1)를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한 다음 단계의 치아 (1')의 단면도이다.
치아(1')에는, 상술한 개구부(20) 상에 충전제가 적층됨으로써, 충전제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제층(21)은, 계지부위(14)에 의해 치아(1')에 계지되고 있다. 치아(1')의 다른 구조는, 상술한 치아(100)와 공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 한다.
이 상태로 방치하면, 치료용 조성물은, 치료제층(13)으로부터 충치부위(12)로 확산되고, 이 확산에 따라 충치부위(12)가 무균화된 무균화 조직(24)을 형성한다.
도 3은, 도 1의 치아(1)를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한 다음 단계의 이후 단계의 치아 (1'')의 단면도이다.
치아 (1'')에는, 상술한 충전제층(21)이 제거됨에 의해 노출한 개구부 (20) 위에, 그라스아이오노마시멘트(「Fuji IX GP(상품명)」), 치관 회복물이 접착성 레진 시멘트로 합착된 합착제가 순서대로 적층됨으로써, 그라스아이오노마시멘트층(22) 및 합착제층(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치료용 조성물이 치수로 확산됨으로써, 구강내 세균(16)이 소멸되어 있다.
치아(1'')의 다른 구조는, 상기 치아 (100)과 공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의하면, 충치부위(12) 위에 치료제층(13)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치료용 조성물이 치아(1) 전체로 확산되어, 구강내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록 구강내 세균이 상아질의 심부 등에까지 미치고 있었다고 해도, 생체 조직을 제거하는 일 없이, 세균성 구강내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치료 방법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하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치아 (1 A)의 단면도이다.
치아(1A)에서는, 구강내 세균 (16A)에 의해 치수가 괴사해, 상기 구강내 세균(16A)이 치아의 내부로부터 치조골로 더욱 침입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를 방치하면, 치주조직염이 유발된다.
이러한 증상에 대한 본 발명의 치료 방법(감염근관 치료)은, 근관내의 괴사 치수를 제거하고, 이 근관에 치료용 조성물의 확산을 매개하는 근충재를 충전하는 근관 충전 단계를 더 구비한다.
[투여 부위 형성 단계]
도 5는, 도 4의 치아(1A)를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한 다음 단계의 치아(1 A')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의 투여 부위 형성 단계는, 근관보다도 지름이 큰 투여 부위(15)를 근관의 개구부에 형성하기 위해서, 상아질을 연삭하는 단계이다. 투여 부위(15)의 깊이는, 통상, 2 mm이상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치조골 등의 세균 침입 부위에의 치료용 조성물의 도달 효율을 촉진할 수 있다.
[근관 충전 단계]
근관 충전 단계는, 감염 근관 치료를 실시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세정 단계 전에, 근관내의 괴사 치수를 제거하고, 상기 근관에 치료용 조성물의 확산을 매개하는 근충재(26)를 충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근충재(26)는, 상술한 투여 부위(15)의 바로 아래까지 충전된다.
또한 괴사 치수를 완전하게 제거할 필요는 없고, 근관의 심부에 괴사 치수 (12 A')가 잔존할 수 있다.
근충재로는, 가타파챠(Gutta-percha) 및 아파타이트계 실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치아(1A)를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한 다음 단계의 이후 단계의 치아(1 A'')의 단면도이다.
치료용 조성물이 치료제층(13A)으로부터 근충재 (26)를 통해서 괴사 치수 (12 A'), 치조골로 확산됨으로써, 무균화 조직(24 A)이 형성되어 구강내 세균 (16 A)이 살균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의하면, 투여 부위(15)에 치료제층(13 A)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치료용 조성물이 상아 세관이나, 근관과 근충제와의 틈새를 통과해, 치조골 등에까지 확산된다. 이로 인해, 치조골 등의 세균 침입 부위를 무균화할 수 있다.
또한, 괴사 치수에 있어서의 신경이 죽었기 때문에, 괴사 치수를 제거해도, 대상자에게 큰 아픔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의하면, 치근이 만곡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치료용 조성물이 상아세관이나, 근관과 근충제와의 틈새를 통과해, 치조골 등에까지 확산되어, 침투하기 때문에, 치조골 등의 세균 침입 부위를 무균화할 수 있다.
도 1은 세균성 구강내 질환에 걸린 치아를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하는 초기 단계의 치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아를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한 다음 단계의 치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치아를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한 다음 단계 이후 단계의 치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세균성 구강내 질환에 걸린 치아를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하는 초기 단계의 치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치아를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한 다음 단계의 치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치아를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한 다음 단계 이후 단계의 치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험예에 있어서의 시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세균성 구강내 질환에 걸린 치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치아를 종래예와 관련되는 치료 방법으로 치료했을 때의 치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치아
13 치료제층
14 계지부위
16 구강내 세균
21 충전제층
22 그라스아이오노마시멘트층
23 합착제층
24 무균화 조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기제에 대해
도 7은, 본 시험예에 있어서의 시료(50)의 단면도이다.
우선, 근첨성 치주병에 걸린 아랫턱 제 1 소구치를, 70번 리머를 이용해 굴삭하여 근관을 확대하고, 나아가, 가타파챠포인트 및 실러를 이용해, 옆쪽을 가압함으로써 근관(51)을 충전했다. 다음에, 치경선(치관과 치네의 경계선)으로부터 깊이 약 2 mm, 직경 약 1. 5 mm의 대략 원주상의 구멍(이하, 이 구멍을, 상술한 투여 부위로서의 첩약착좌(52)라 칭한다)을 형성했다. 이 첩약착좌(52)의 저부에, 홍색 식용 색소를 첨가한, 표 1에 나타내는 각각의 기제의 소괴(53)(직경 약 1. 0 mm) 2개를 적재했다. 더욱이, 이러한 소괴(53)를 덮으려고 면구(綿球,미도시)를 두고, 이 면구에 「캐비톤(등록상표)」(주식회사 GC사제조)을 적층해, 피복층(54)를 형성하는 것으로, 시료(50)을 작성했다.
각각의 시료(50)의 근부분을 보통 석고체(55) 내에 매립한 후, 습도 100%하에서 보관했다.
시료번호 조성
1
2 프로필렌글리콜
3 솔베이스(상품명): 프로필렌글리콜 = 1: 1 (질량비)
4 폴리에틸렌글리콜4000: 프로필렌글리콜 = 3: 1 (질량비)
5 폴리에틸렌글리콜600
6 글리세린
보관 시간 24시간 및 48시간에 있어서의, 첩약착좌로부터의 홍색 식용 색소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각 시료에 포함되는 기제의 침투성을 평가했다. 이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이동거리는, 시료(50)를 외부로부터 관찰해, 홍색 식용 색소에 의한 착색이 미친 영역의, 시료(50)의 깊이 방향(도 7에 있어서의 화살표 D방향)에 있어서의 최대길이로 했다.
 
시료번호 첩약착좌로부터 홍색식용색소의 이동거리 (깊이방향): 단위 mm
24시간 48시간
1 2.0 4.0
2 2.0 3.5
3 5.0 16.0
4 9.5 18.5
5 3.5 4.0
6 5.0 7.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제의 침투성은, 시료 4, 즉,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기제에서, 가장 우수한 것을 알았다. 덧붙여 시료 4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과 프로필렌 글리콜을 3:1의 질량비로 포함해, 1:1의 체적비로 포함하는 것이다.
[시험예 2] 세정에 대해
시험예 1에 있어서, 기제(시료 2)의 소괴를 적재하기 전에, 이하의 각각의 세정 방법에 따라 첩약착좌의 세정 처리를 실시했다.
세정 처리구 1에서는, 우선, 35.2 체적% 인산 수용액에 함침시킨 면구를 첩약착좌에 적재해, 10초간 방치한 후, 물 세정하고, 에어블로우 했다. 나아가, 첩약착좌에 10 체적%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을 흘려, 60초간 방치한 후, 물 세정하고, 에어블로우 했다.
세정 처리구 2에서는, 12 체적%EDTA 수용액에 함침시킨 면구를 첩약착좌에 적재해, 60초간 방치한 후, 물 세정하고, 에어 블로우했다.
각 세정 처리구에 대해, 시험예 1에 있어서의 시료 2의 기제를 이용해, 시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기제의 침투성을 평가했다.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세정처리구번호 첩약착좌로부터의 홍색 식용색소의 이동거리(깊이방향); 단위mm
1 3.5
2 5.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세정 처리구에 대해서도, 시험예 1의 경우보다 홍색 식용 색소의 이동거리가 증가한 것으로부터, 첩약착좌의 세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기제의 침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았다. 특히, 세정 처리구 2, 즉, EDTA를 12 체적%포함한 용액을 이용해 세정을 실시하는 경우에서, 기제의 침투성이 가장 향상되는 것을 알았다.
덧붙여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3)

  1. 구강내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가지는 항균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기제를 가지는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따른 치료용 조성물의 원재료물을 포함하는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pH 7의 EDTA와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치아를 세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세정용 처리액을 더 포함하는 치료용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처리액은 EDTA를 10~12 체적% 포함하는 것인 치료용 키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긴산나트륨과 산화 아연을 포함하는 치수 및/또는 잇몸으로부터의 출혈을 지혈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지혈용 처리액을 더 포함하는 치료용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용 처리액은 알긴산나트륨을 6.0~6.5 체적%, 산화 아연을 33~35 체적% 포함하는 것인 치료용 키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77023101A 2005-03-11 2006-03-10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 KR100900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70168 2005-03-11
JPJP-P-2005-00070168 2005-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547A KR20070111547A (ko) 2007-11-21
KR100900319B1 true KR100900319B1 (ko) 2009-06-02

Family

ID=3695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101A KR100900319B1 (ko) 2005-03-11 2006-03-10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42735A1 (ko)
JP (1) JP5390767B2 (ko)
KR (1) KR100900319B1 (ko)
AU (1) AU2006221331B2 (ko)
WO (1) WO2006095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6209B2 (ja) * 2007-05-10 2013-07-17 士朗 清原 歯牙製品及び歯牙製品の製造方法
KR101048558B1 (ko) * 2009-11-23 2011-07-11 (주)아모레퍼시픽 불소증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약 내 일불소인산나트륨 정량방법
JP6252202B2 (ja) * 2014-01-23 2017-12-27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内塗布用固形スティック製剤
WO2017101098A1 (en) 2015-12-18 2017-06-22 Colgate-Palmolive Company Sodium zinc alginate structurant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8399A (en) * 1988-05-03 1997-07-15 Perio Products, Ltd. Liqui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20030055085A (ko) * 2001-12-25 2003-07-02 지씨 코포레이션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0624A (ja) * 1989-01-30 1990-08-08 Nippon Kayaku Co Ltd 歯科用包帯剤
US5624906A (en) * 1994-12-08 1997-04-29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Oral hygiene compositions comprising heteroatom containing alkyl aldonamide compounds
JP3877807B2 (ja) * 1996-07-03 2007-02-07 ゼリア新薬工業株式会社 口内炎治療・予防剤
JP2004201799A (ja) * 2002-12-24 2004-07-22 Niigata Tlo:Kk 口腔用骨欠損複合型骨移植材及び歯周治療法
JP2004231603A (ja) * 2003-01-31 2004-08-19 Hideji Watanabe コエンザイムq10を主成分とする口腔内塗布剤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8399A (en) * 1988-05-03 1997-07-15 Perio Products, Ltd. Liqui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20030055085A (ko) * 2001-12-25 2003-07-02 지씨 코포레이션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95858A1 (ja) 2008-08-21
AU2006221331B2 (en) 2010-09-09
AU2006221331A1 (en) 2006-09-14
US20090142735A1 (en) 2009-06-04
KR20070111547A (ko) 2007-11-21
JP5390767B2 (ja) 2014-01-15
WO2006095858A1 (ja)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ope Treatment of the immature tooth with a non–vital pulp and apical periodontitis
Sonmez et al. A comparison of four pulpotomy techniques in primary molars: a long-term follow-up
Asgary et al. Periradicular regeneration after endodontic surgery with calcium-enriched mixture cement in dogs
JP6574785B2 (ja) 患部浸透亢進性薬剤組成物の製造方法
Bogen et al. Pulp preservation in immature permanent teeth
US20030138383A1 (en) Irrigation solution and methods for use
PL205148B1 (pl) Zastosowanie chemicznych środków leczniczych
JP2004501063A5 (ko)
Al-Dlaigan Pulpotomy medicaments used in deciduous dentition: an update
Shabzendedar et al. Sodium hypochlorite vs formocresol as pulpotomy medicaments in primary molars: 1-year follow-up
Trope et al. Capping the inflamed pulp under different clinical conditions
CN109982680A (zh) 根管糊剂组合物
KR100900319B1 (ko)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
JPH0686380B2 (ja) 殺菌剤とその製造方法
Ali et al. Endodontic materials: from old materials to recent advances
CA2765271C (en) Silver hydrosol, dental application and other uses thereof
AU2003214876B2 (en) Irrigation solution and methods for use
US20090304606A1 (en) Method for removing debris from tooth and bone surface using irrigation solution
JP5439642B2 (ja) 殺菌性根管充填用シーラー及び調製用キット
Chung et al. Local drug delivery in endodontics: a literature review
Valkov et al. Temporary filling materials in endodontics—a literature review
De Rossi et al. An epigallocatechin-3-gallate formulation developed for endodontic use: a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evaluation
Orstavik Intracanal medication
Sumanthini et al. Successful nonsurgical retreatment of resected teeth associated with persistent periapical lesion by placing triple antibiotic paste and mineral trioxide aggregate apical plug-a case report
Mansour et al. APICAL MICROLEAKAGE OF ROOT END RESECTED TEETH AFTER ORTHOGRADE OBTURATION USING A BIOCERAMIC SEALER: AN IN VITRO BACTERIOLOGIC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