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085A -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085A
KR20030055085A KR1020020032283A KR20020032283A KR20030055085A KR 20030055085 A KR20030055085 A KR 20030055085A KR 1020020032283 A KR1020020032283 A KR 1020020032283A KR 20020032283 A KR20020032283 A KR 20020032283A KR 20030055085 A KR20030055085 A KR 20030055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material
material composition
alginate impression
water
g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082B1 (ko
Inventor
히로시 가모하라
노부따까 와따나베
마끼꼬 다께오
히로끼 나이또
Original Assignee
지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5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90Compositions for taking dental impres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pH 지시약을 사용한 변색성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impression material) 조성물의 겔화 종료의 확인이 부정확하고 또한 확인이 어려운 점, 및 연화시에 사용하는 물과의 친화성이 열등하다는 결점을 해소시킨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알긴산염, 겔화 반응제, 겔화 조정제 및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은 크레졸 레드(Cresol Red), α-나프톨프탈레인, 트로페올린(Tropaeolin)000, 티몰 블루(Thymol Blue) 또는 페놀프탈레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pH 지시약 0.001 내지 0.1 중량%, 25 ℃에서 액상인 수용성 폴리에테르 0.1 내지 10 중량%, 물과 혼화하여 겔화될 때에 pH 지시약에 의해 발색되는 색조와 분명히 다른 색의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를 0.001 내지 5 중량%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Dental Alginate Impression Material Composition}
본 발명은 치과에서 구강 내의 인상(印象) 채득을 행하기 위해 이용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과 혼화하여 겔화되기 전과 겔화된 후의 색조에 명백한 변화가 생기며, 또한 연화(練和) 조작에서도 혼화되기 위한 물과의 친밀함이 양호한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보철물 제조시에 구강 내의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로서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은 알긴산염, 겔화 반응재, 겔화 조정재,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물과 연화함으로써 겔상으로 경화된다. 이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은 통상 분말상으로 공급되고, 이 분말을 소정량의 물과 혼합·연화하여 페이스트상으로 구강 내에 삽입하여 경화시킨다.
이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에 있어서, 구강 내에서 겔화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로 조성물이 겔화되어 구강 내에서 추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제조사에서 지시한 구강내 유지 시간에 따르거나, 또는 겔화되어 경화하고 있는지는 시술자가 구강내의 인상재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경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겔화의 정도는 기온 및 수온에 좌우되기 쉽기 때문에 작업환경에 따라서는 제조사가 지시하는 구강 내 유지 시간에서 겔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불완전한 인상이 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겔화를 판정하는 방법도 시술자에 의해 차이가 크고, 불완전한 인상이 되는 한 원인으로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물과 혼화하여 겔화되기 전후에 변색하는 타입의 인상재가 판매되고 있고, 이러한 종래의 변색성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은 후술하는 방법으로 변색을 행한다. 즉, 일반적으로 알긴산염 인상재는 연화 종료 직후에는 pH가 8보다 약간 높고, 겔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 pH가 저하되어 겔화가 종료되면 8보다 낮아진다. 여기에서 종래의 변색되는 타입의 인상재 조성물은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겔화 전의 pH로 명백히 발색하는 pH 지시약을 함유시켜, 겔화 후의 pH 변동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pH 지시약이 명백히 발색되지 않게 되어 겔화의 종료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중의 여러가지 염류의 영향에 의해 겔화 전에 너무 조기에 변색되어서 겔화 종료 판정의 확실한 목표가 되지 않으므로, 최근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pH 지시약은 연화시에 사용하는 물과의 친화성이 열등하고, 연화 조작면에서도 매우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의 pH 지시약을 이용한 변색성의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겔화 종료의 확인이 부정확하며, 또한 확인이 어려운 점 및 연화시에 사용하는 물과의 친화성이 열등하다는 결점을 해소시킨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중에 특정한 pH 지시약을 배합함과 동시에 특정한 수용성 폴리에테르를 첨가함으로써, pH 지시약을 넣은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에서도 물과의 친화성이 양호하며 또한 pH 지시약이 조기에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물과 혼화하여 겔화될 때에 pH 지시약에 의해 발색되는 색조와 명백하게 상이한 색의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를 공존시킴으로써 pH 지시약의 변화와 겔화를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을 구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알긴산염, 겔화 반응제, 겔화 조정제 및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에 있어서, 크레졸 레드, α-나프톨프탈레인, 트로페올린000, 티몰 블루 또는 페놀프탈레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pH 지시약 0.001 내지 0.1 중량%, 25 ℃에서 액상인 수용성 폴리에테르 0.1 내지 10 중량%, 물과 혼화하여 겔화될 때에 pH 지시약에 의해 발색되는 색조와 분명히 다른 색의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 0.001 내지 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긴산염, 겔화 반응제, 겔화 조정제 및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알긴산염 인상재에서, 알긴산염으로는 알긴산의 나트륨, 칼륨, 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수용성 염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과 동일하게 10 내지 20 중량%를 함유한다. 겔화 반응재로는 2가 이상의 난용성 금속염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황산칼슘의 이수염 또는 반수염이 사용된다. 겔화 조정재로는 나트륨 또는 칼륨의 인산염, 규산염, 탄산염 등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충전재로는 일반적으로 규조토, 무수규산, 활석, 탄산칼슘, 펄라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말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알긴산염, 겔화 반응제, 겔화 조정제 및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에 본 발명의 특징을 부가하기 위해 후술하는 성분이 배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특정한 pH 지시약은 크레졸 레드, α-나프톨프탈레인, 트로페올린000, 티몰 블루 또는 페놀프탈레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pH 지시약이다. 이러한 pH 지시약은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연화 종료시의 pH인 pH 8보다 약간 높은 영역에서 특히 명백한 색을 발하는 pH 지시약이다. 이러한 pH 지시약을 이용하여 겔화의 진행을 확인하는 방법은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기술이지만, 이 pH 지시약만에 의한 변색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겔 종료 전에 불명료한 색이 되거나, 겔화 이전에도 조성물 중의 다른 염에 의해서 변색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25 ℃에서 액상인 수용성 폴리에테르,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를 공존시킴으로써 겔화를 정확하게 또한 명료하게 색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크레졸 레드, α-나프톨프탈레인, 트로페올린000, 티몰 블루 또는 페놀프탈레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pH 지시약은 알긴산염 인상재 중에 0.001 내지 0.1 중량%로 함유된다. 0.001 중량%보다 적으면 정확한 판단을 위해 필요한 발색이 얻어지지 않고, 0.1 중량%보다 많으면 겔화 후의 색의 식별이 부정확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25 ℃에서 액상인 수용성 폴리에테르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폴리에테르는 겔화가 종료되기 전에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중 다른 염류 등에 의해 pH 지시약이 조기에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특정한 폴리에테르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상기한 특정한 pH 지시약을 함유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에서도 연화시 사용하는 물과의 친화성도 매우 양호해진다. 이 25 ℃에서 액상인 수용성 폴리에테르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중에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어 있고, 0.1 중량%보다 적으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 중량%보다 많으면 조성물의 보존성 및 경화된 인상재에 석고를 주입하여 제조하는 석고 모형의 표면 성형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는 상기한 특정한 pH 지시약과 공존시킴으로써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H 지시약은 물과의 연화 직후의 pH 8 보다 약간 높은 영역에서 발색하여 겔화의 진행에 따라 pH가 저하되고 겔화 종료시의 pH에서는 거의 발색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연화 직후는 pH 지시약의 색과 안료의 색이 혼색되어, 겔화 종료시에는 pH 지시약의 발색이 없어지기 때문에 안료만의 색조가 된다. 이것은 종래의 변색성 알긴산염 인상재를 최초로 나타내는 색조가 겔화의 진행과 동시에 흐려지는 것과는 달리, 초기의 pH 지시약의 색과는 상이한 안료의 색조로 변화되기 때문에 변색의 확인이 매우 명료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는 무기, 유기 중 어느 하나의 안료일 수 있고, 양자를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단, 변색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이들 안료는 연화 종료시에 pH 지시약에 의해 발색되는 색조와는 분명히 상이한 색이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H 지시약의 α-나프톨프탈레인은 알긴산염 인상재 연화 개시시에는 청색으로 발색되기 때문에 이와는 상이한 색조의 안료, 예를 들어 황색 안료(티탄 옐로우, 축합 아조계 황색 안료) 또는 적색 안료(적색(bengala), 축합 아조계의 적색 안료)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중에 0.001 내지 5 중량%로 함유되어 있고, 0.001 중량% 미만이면 색이 명료하지 않고, 5 중량% 초과이면 pH 지시약에 의한 발색이 상쇄되어 결과적으로 겔화 전후에 의한 색조 변화의 판별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관한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에는 그 특성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소독제, 향료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해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기본 조성 (중량%)으로서,
알긴산나트륨15
황산칼슘이수염15
제3인산나트륨0.8
탄산나트륨0.2
규조토68.898
특정한 수용성 폴리에테르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0.1
특정한 pH 지시약으로서,
α-나프톨프탈레인0.001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로서,
크로모프탈 레드(Chromophthal Red)(축합 아조계 안료)0.001
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블렌더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을 얻었다.
<변색에 의한 겔화 시간 확인의 정확함>
상기 조성물 17 g과 물 40 cc를 계량하여 치과용 고무컵에서 혼합하여 20초간 연화한 후, JIS T6505에 규정되어 있는 영구 변형(Strain) 시험체 제조용 금형에 주입하여 35 ℃ 온수 중에 침지시킨 후, 눈으로 변색을 확인할 수 있는 시점에서 온수에서 꺼내어 영구 변형 시험을 행하였다. 이어서, 동일하게 하여 상기 조성물을 연화한 후, 영구 변형 시험용 금형에 주입하여 35 ℃ 온수 중에 침지시키고, 변색이 확인되는 시점에서 1 분이 더 경과한 후에 꺼내어 영구 변형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양 방법에서 영구 변형의 차이가 거의 없으면 변색된 시점에서 겔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과 물과의 친화성>
상기 조성물 17 g과 물 40 cc를 계량하여 치과용 고무컵에서 혼합하여 혼화시킬 때에, 상기 조성물이 물과 친화되어 실제로 연화 조작을 개시할 수 있는 시간을 목표로 하여,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과 물과의 친화성을 "양호" 및 "열등"의 2 단계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2>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기본 조성 (중량%)으로서,
알긴산나트륨14
황산칼슘이수염15
제3인산나트륨0.8
탄산나트륨0.2
불화 티탄산칼륨1
규조토67
특정한 수용성 폴리에테르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1
특정한 pH 지시약으로서,
α-나프톨프탈레인0.01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로서,
티탄 옐로우0.99
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블렌더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3>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기본 조성 (중량%)으로서,
알긴산나트륨15
황산칼슘이수염15
제3인산나트륨0.7
탄산나트륨0.3
불화티탄산칼륨1
규조토57.9
특정한 수용성 폴리에테르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5.5
특정한 pH 지시약으로서,
페놀프탈레인0.1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로서,
코발트 블루 4.5
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블렌더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4>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기본 조성 (중량%)으로서,
알긴산나트륨15
황산칼슘이수염15
제3인산나트륨0.5
탄산나트륨0.5
불화티탄산칼륨1
규조토66.475
특정한 수용성 폴리에테르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1.5
특정한 pH 지시약으로서,
α-나프톨프탈레인 0.01
페놀프탈레인0.005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로서,
크로모프탈 옐로우(축합 아조계 안료) 0.01
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블렌더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비교예 1>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기본 조성 (중량%)으로서,
알긴산나트륨15
황산칼슘이수염15
제3인산나트륨0.8
탄산나트륨0.2
불화티탄산칼륨1
규조토67.99
특정한 pH 지시약으로서,
α-나프톨프탈레인 0.01
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블렌더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비교예 2>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기본 조성 (중량%)으로서,
알긴산나트륨15
황산칼슘이수염15
제3인산나트륨0.8
탄산나트륨0.2
불화티탄산칼륨1
규조토66.99
특정한 pH 지시약으로서,
α-나프톨프탈레인 0.01
특정한 수용성 폴리에테르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1
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블렌더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영구 변형율(%) 변색 직후 2.1 2.3 2.2 2.1 4.2 3.0
변색한 지 1분 경과 후 2.1 2.3 2.2 2.1 2.2 2.2
물과의 친화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등 양호
표 1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은 변색 직후에 꺼내었을 때와 그로부터 1분 경과한 후의 영구 변형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겔화의 종료와 변색을 확인한 시간이 일치하였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의 pH 지시약만을 함유한 조성물은 겔화 종료 전보다 너무 이르게 변색되므로, 변색 직후의 영구 변형과 변색으로부터 1분 경과한 후의 영구 변형과의 사이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컸다. 또한 비교예 2는 비교예 1보다는 변색 시간이 연장되어 겔화 종료와 변색 시간과의 차이가 작지만, 안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변색의 판단이 명백하지 않고 실제로 겔화된 시간과 변색의 확인 시간과의 차가 크므로 문제가 되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은 종래의 pH 지시약을 이용한 변색성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의 겔화 종료 확인이 부정확하고 또한 확인이 어려운 점, 및 연화시에 사용하는 물과의 친화성이 열등하다는 결점을 해소하여, 물과의 친화성이 양호하고 또한 겔화 시간을 변색에 의해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의 치과 분야에 공헌하는 가치는 매우 큰 것이다.

Claims (2)

  1. 알긴산염, 겔화 반응제, 겔화 조정제 및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impression material) 조성물에 있어서, 크레졸 레드(Cresol Red), α-나프톨프탈레인, 트로페올린(Tropaeolin)000, 티몰 블루(Thymol Blue) 또는 페놀프탈레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pH 지시약 0.001 내지 0.1 중량%, 25 ℃에서 액상인 수용성 폴리에테르 0.1 내지 10 중량%, 물과 혼화하여 겔화될 때에 pH 지시약에 의해 발색되는 색조와 분명히 다른 색의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 0.001 내지 5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폴리에테르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KR1020020032283A 2001-12-25 2002-06-10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KR100845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91026 2001-12-25
JP2001391026A JP4132811B2 (ja) 2001-12-25 2001-12-25 歯科用アルギン酸塩印象材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085A true KR20030055085A (ko) 2003-07-02
KR100845082B1 KR100845082B1 (ko) 2008-07-09

Family

ID=1918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283A KR100845082B1 (ko) 2001-12-25 2002-06-10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59200B1 (ko)
EP (1) EP1323408B1 (ko)
JP (1) JP4132811B2 (ko)
KR (1) KR100845082B1 (ko)
CN (1) CN1228036C (ko)
AT (1) ATE285744T1 (ko)
AU (1) AU777720B2 (ko)
DE (1) DE60202432T2 (ko)
TW (1) TWI2236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471B1 (ko) * 2004-11-29 2006-05-03 김재원 치과용 인상처치재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0319B1 (ko) * 2005-03-11 2009-06-02 토요히코 타쿠시게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5474U1 (de) * 2001-09-19 2003-02-20 Biester Klaus Gleichspannungs-Wandlervorrichtung
JP4823547B2 (ja) * 2005-03-28 2011-11-24 株式会社ジーシー ペースト状歯科用アルギン酸塩印象材組成物
ATE431731T1 (de) * 2005-06-15 2009-06-15 Zhermack Spa Thermochromisches material für dentale abformmass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US9259439B2 (en) * 2005-10-21 2016-02-16 Ada Foundation Dual-phase cement precursor systems for bone repair
US9101436B2 (en) * 2005-10-21 2015-08-11 Ada Foundation Dental and endodontic filling materials and methods
JP5225566B2 (ja) * 2006-09-06 2013-07-03 株式会社ジーシー 粉末状の歯科用アルギン酸塩印象材
CN109662688B (zh) * 2018-06-11 2021-11-19 中山大学 一种用于检测牙齿疾病的牙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8280A (en) * 1952-03-21 1954-05-11 Dental Perfection Company Gel point indicating impression materials
CH333356A (it) * 1954-07-06 1958-10-15 Cozzi Danilo Prof Dott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un prodotto per impronte elastische, per odontoiatria e odontotecnica
US2816843A (en) * 1955-07-27 1957-12-17 Wallace A Erickson & Co Impression composition
DE1466968A1 (de) * 1962-08-21 1969-02-20 Cozzi Dr Danilo Produkt zur Herstellung von Zahnabdrueck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Abdruecke
AU461693B2 (en) * 1971-10-28 1975-05-16 Marrickville Holdings Limited Alginate gel dental impression material
JPS60105607A (ja) * 1983-11-02 1985-06-11 G C Dental Ind Corp 低粉塵性粉末状歯科用アルギン酸塩印象材
JPS6219506A (ja) * 1985-07-18 1987-01-28 G C Dental Ind Corp 歯科用水成コロイド系歯牙ウ蝕予防組成物
DE69004245T2 (de) * 1990-02-23 1994-05-11 Minnesota Mining & Mfg Semi-thermoplastische Formmasse mit thermostabilem Formerinnerungsvermögen.
AU692520B2 (en) * 1994-05-16 1998-06-11 Dentsply Detrey G.M.B.H. Method of making a dental prosthesis and curable system
JP4210359B2 (ja) * 1998-01-22 2009-01-14 株式会社ニッシン 歯科用印象材組成物
JP2002104915A (ja) * 2000-09-27 2002-04-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粉末状アルギン酸塩印象材組成物
KR100497220B1 (ko) * 2002-07-09 2005-06-23 김철위 다기능형 치과용 알지네이트 인상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471B1 (ko) * 2004-11-29 2006-05-03 김재원 치과용 인상처치재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0319B1 (ko) * 2005-03-11 2009-06-02 토요히코 타쿠시게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세정용처리액,지혈용처리액, 및 세균성 구강내 질환의 치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3408A1 (en) 2003-07-02
EP1323408B1 (en) 2004-12-29
DE60202432D1 (de) 2005-02-03
DE60202432T2 (de) 2005-12-15
US6559200B1 (en) 2003-05-06
TWI223600B (en) 2004-11-11
CN1428139A (zh) 2003-07-09
AU4576302A (en) 2003-06-26
JP2003192519A (ja) 2003-07-09
KR100845082B1 (ko) 2008-07-09
ATE285744T1 (de) 2005-01-15
CN1228036C (zh) 2005-11-23
JP4132811B2 (ja) 2008-08-13
AU777720B2 (en)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082B1 (ko) 치과용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EP0907619B1 (en) Binders for cores and molds
US4209434A (en) Dental cement containing poly(carboxylic acid), chelating agent and glass cement powder
AU772035B2 (en) Two-constituent elastomer materials based on alkyl aziridine comprising a catalyst constituent that contains boric acid complex
EP2638893B1 (en) Alginate impression material for dental use and curing agent paste used therefor
US6779590B2 (en) Phosphate inves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4516260A (ja) 歯科用不活性ガラス
JPS61271203A (ja) 歯科用変色性セメント組成物
US2678280A (en) Gel point indicating impression materials
JP6099425B2 (ja) 歯科用アルジネート印象材
EP2459151B1 (en) Cationically hardenable dental composition, proces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3246998A (en) Impression material
JPH05213712A (ja) 歯科業用石膏モデル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生成物
EP1243246B1 (en) Composition for dental impression material
US2298835A (en) Dental impression composition
KR20060114411A (ko) 알긴산염 인상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4342512A (ja) 歯科印象用組成物
SU1458058A1 (ru) Самотвердеюща смесь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литейных форм и стержней
RU2164788C1 (ru) Зуботехническая гипс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SU1279736A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 смеси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литейных форм и стержней по @ -процессу
SU1509169A1 (ru) Смесь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литейных стержней и форм теплового отверждени
EP0158609A2 (en) Procedure for taking and correcting dental impressions by means of alginate-based materials
JPH04108709A (ja) 歯科用埋没材組成物
JP2002104915A (ja) 粉末状アルギン酸塩印象材組成物
JPS625265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